KR20180103506A -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506A
KR20180103506A KR1020170030540A KR20170030540A KR20180103506A KR 20180103506 A KR20180103506 A KR 20180103506A KR 1020170030540 A KR1020170030540 A KR 1020170030540A KR 20170030540 A KR20170030540 A KR 20170030540A KR 20180103506 A KR20180103506 A KR 2018010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rol
control map
stee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828B1 (ko
Inventor
조준기
하윤철
반창완
이정숙
Original Assignee
대한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28B1/ko
Priority to EP18764555.1A priority patent/EP3539684B1/en
Priority to PCT/KR2018/002821 priority patent/WO2018164531A1/ko
Publication of KR2018010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01N2021/8918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장치는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에 대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은 후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어맵의 원점과 제1 영상의 철근 끝점을 매칭시킬 때 제2 영상의 철근 끝점과 매칭되는 제어맵의 영역에 대한 제어값을 기초로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l bar straightener}
본 발명은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직선화 설비를 통해 투출되는 철근의 휘어짐을 자동 감지하여 철근 직선화 설비를 자동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 직선화 설비는 복수 개의 롤러로 구성되며 교정 방식에 따라 크게 롤러 압력 방식과 로터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방식 모두 롤러의 압력을 제어하여 철근을 직선화하는데, 가해지는 롤러의 압력에 따라 철근 직선화 설비에서 나오는 철근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를 통해 나오는 철근이 휘어졌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을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제어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허등록공보 제10-164558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근의 휘어짐을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파악하여 철근 직선화 설비의 각 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의 일 예는, 대압력롤과 미세교정롤을 포함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이 기 설정된 두 위치를 지날 때마다 상기 철근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는 단계;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어맵의 원점과 상기 제1 영상의 철근 끝점을 매칭시킬 때 상기 제2 영상의 철근 끝점과 매칭되는 상기 제어맵의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상기 제어맵의 영역에 맵핑된 기 설정된 제어값을 기초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장치의 일 예는,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이 기 설정된 두 위치를 지날 때마다 상기 철근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는 촬영부;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어맵의 원점과 상기 제1 영상의 철근 끝점을 매칭시킬 때 상기 제2 영상의 철근 끝점과 매칭되는 상기 제어맵의 영역을 파악하는 영역파악부; 및 파악된 상기 제어맵의 영역에 맵핑된 기 설정된 제어값을 기초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 직선화 설비에서 출력되는 철근의 휘어짐을 자동 제어를 통해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철근을 동시에 직선화하는 설비의 경우에 둘 이상의 철근의 직선화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직선화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철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철근 끝점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맵과 철근 끝점을 매칭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직선화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철근 직선화 설비(100)는 크게 철근이 투입되는 투입구(102)와 철근의 직선화를 수행하는 대압력롤(104) 및 미세교정롤(106), 그리고 철근이 투출되는 투출구(108)를 포함한다. 대압력롤(104) 및 미세교정롤(106)은 복수 개의 롤러로 구성되며, 각 롤러의 위치 및 압력을 제어하여 철근을 직선화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철근 직선화 설비(100)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장치(110)는 철근 직선화 설비(100)로부터 출력되는 철근을 영상촬영장치(120)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철근이 정상적으로 직선화되었는지 휘었는지를 자동 감지한 후 휘어졌다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자동 발생시켜 철근 직선화 설비(100)의 대압력롤(104) 또는 미세교정롤(106) 등을 제어한다. 제어장치(11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영상촬영장치(120)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등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철근 직선화 설비(100)의 투출구(108)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출력되는 철근 끝점의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촬영장치(120)는 철근의 휘어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출구(108)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철근의 휘어짐을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철근 직선화 설비는 복수 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큰 압력을 철근(230)에 가하는 대압력롤(200)과 철근의 휘어짐 등을 미세하게 교정할 수 있는 미세교정롤(210,220)을 포함한다.
철근 직선화 설비는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철근을 동시에 직선화할 수 있도록 대압력롤(200)과 미세교정롤(210,220)이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 미세교정롤은 좌우로 움직이는 좌우교정롤(210)과 위아래로 움직이는 상하교정롤(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좌우교정롤(210)의 좌우 움직임 또는 상하교정롤(22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투출구(108)를 통해 투출되는 철근의 휘어짐을 제어할 수 있다.
좌우교정롤(210)과 상하교정롤(220)의 움직임이 투출구(108)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230)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적 또는 경험적 분석을 통해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 예는, 투출구(108)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230)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좌우교정롤(210)과 상하교정롤(220)에 입력하여야 할 제어값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장치(110)는 촬영부(300), 영역파악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촬영부(300)는 영상촬영장치(120)를 통해 철근 직선화 설비(100)의 투출구(108)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을 촬영한다. 촬영부(300)는 철근 직선화 설비(100)의 투출구(108)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이 기 설정된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를 지날 때마다 철근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촬영부(300)는 철근(400)이 투출구(108)로부터 출력되는 시점과, 철근(410)이 투출구(108)로부터 일정 길이(예를 들어, 800mmm) 출력된 시점에 각각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300)는 정해진 두 위치에서의 촬영을 위해 철근 직선화 설비(100)로부터 촬영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철근 직선화 설비(100)는 투출구(108)의 끝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투출구(108)의 끝에 철근이 도착했음을 감지하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촬영부(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철근 직선화 설비(100)는 대압력롤(104)이나 미세교정롤(106) 중 어느 한 곳의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투출구(108)의 끝에 위치한 철근이 투출구(108) 밖으로 얼마만큼 출력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길이만큼 출력되면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촬영부(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촬영부(300)가 정해진 두 위치에서 철근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철근 직선화 설비(100)가 두 개의 철근을 동시에 직선화하는 설비인 경우에 투출구(108)를 통해 두 개의 철근이 동시에 출력되며, 각 철근의 휘어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촬영부(300)는 투출구(108)에서 두 철근이 출력될 때 두 개의 철근 끝점(510,530)을 촬영하고, 철근이 투출구(108)로부터 일정 길이 출력될 때 다시 두 개의 철근 끝점(520,540)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영상에서 철근 끝점을 파악하는 데 종래의 다양한 영상 분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영역파악부(310)는 촬영부(300)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에서 파악된 각 철근 끝점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어맵에 각각 대응시켜 철근 끝점의 이동(즉 휘어짐)을 파악한다. 제어맵의 일 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300)는 철근이 투출구(108)를 통해 출력되는 시점의 제1 영상과 철근이 투출구(108)로부터 일정 길이(예를 들어, 800mmm) 출력된 시점의 제2 영상을 촬영한다. 영역파악부(310)는 제1 영상에서 파악된 철근 끝점을 도 6 또는 도 7과 같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어맵(600,700)의 원점(610,710)에 매칭시키고, 제2 영상에서 파악된 철근 끝점의 상대적 위치가 제어맵(600,700)의 어떤 영역과 매칭되는지 파악한다. 제어맵과 철근의 끝점을 매칭시키는 방법의 일 예는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320)는 제어맵에서 제2 영상의 철근 끝점이 가리키는 영역을 파악하고, 해당 영역에 맵핑된 기 설정된 제어값을 이용하여 철근 직선화 설비(100)를 제어한다. 제어맵(600,700)은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에는 기 설정된 제어값이 맵핑되어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제1 영상의 철근 끝점(810)을 제어맵(600)의 원점(610)과 일치시킨 후, 제2 영상의 철근 끝점(820)이 제어맵(600)의 56번 영역에 대응되면, 제어부(320)는 제어맵(600)의 56번 영역에 기 설정된 제어값을 이용하여 좌우교정롤 및 상하교정롤 등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철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철근(400,410)은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108)로부터 일정 길이 출력될 때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철근(410)의 휘어짐이 발생하면 철근 직선화 설비(100) 내 대압력롤(104) 또는 미세교정롤(106)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세교정롤(106)의 좌우교정롤 또는 상하교정롤의 움직임을 통해 철근의 휘어짐을 바라잡을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철근 직선화 설비(100)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영상촬영장치(120)로부터 철근 끝점을 파악하기 위한 투출구(108)의 X-Y 평면 영상을 얻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철근 끝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철근 직선화 설비(100)가 두 개의 철근을 동시에 직선화하는 설비인 경우에, 제어장치(110)는 영상촬영장치(120)를 통해 철근 직선화 설비(100)의 투출구(108)를 촬영하여 투출구로부터 출력되는 시점의 두 철근 끝점(510,530)을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10)는 철근이 투출구(108)로부터 일정 거리 출력되었을 때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다시 두 철근의 끝점(520,540)을 파악한다.
철근의 휘어짐이 없다면, 첫 번째 영상의 철근 끝점(510,530)과 두 번째 영상의 철근 끝점(520,540)이 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철근의 휘어짐이 발생하면, 첫 번째 영상에서 파악된 철근 끝점(510,530)과 두 번째 영상에서 파악된 철근 끝점(520,540)이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한다. 휘어짐이 심할 수록, 첫 번째 영상의 철근 끝점(510,530)과 두 번째 영상의 철근 끝점(520,540) 사이의 상대적 거리가 멀어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철근 직선화 설비가 두 개의 철근을 동시에 직선화하는 경우에 한 쌍의 미세교정롤에 대한 제어값을 나타내는 제어맵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철근 직선화 설비가 두 철근의 직선화를 위하여 안쪽의 제1 미세교정롤(즉, 제1 좌우교정롤 및 제1 상하교정롤)과 바깥쪽의 제2 미세교정롤(즉, 제2 좌우교정롤 및 제2 상하교정롤)의 쌍으로 구성된 경우, 도 6은 안쪽의 제1 미세교정롤의 제어를 위한 제어맵(600)이고, 도 7은 바깥쪽의 제2 미세교정롤의 제어를 위한 제어맵(700)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맵(600,700)은 철근의 휘어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맵(600,700)의 각 영역은 미세교정롤(좌우교정롤 및 상하교정롤)의 제어값과 맵핑되어 있다. 미세교정롤의 제어값은 설비의 특성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어맵(600,700)은 투출구(108)의 출력시점의 제1 철근 끝점을 매칭시키기 위한 원점(610,710)을 포함한다. 철근이 투출구(108)로부터 출력되면서 휘어지면, 그 휘어진 정도에 따른 제2 철근 끝점은 제1 철근 끝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맵과 철근 끝점을 매칭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장치는 제어맵(800)의 원점에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108)의 출력시점의 제1 철근 끝점(810)을 매칭시키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철근이 투출구(108)로부터 기 설정된 길이만큼 출력되었을 때의 제2 철근 끝점(820)이 제어맵(800)의 어떤 영역과 매칭되는지 파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맵(800)이 도 6의 제어맵(600)과 동일하다고 하면, 제2 철근 끝점(820)이 매칭되는 제어맵(800)의 영역은 56번 영역이다. 도 6을 참조하면, 56번 영역과 매칭되는 제1 좌우교정롤 및 제1 상하교정롤의 제어값은 각각 40과 30이다. 제어장치는 해당 제어값을 이용하여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장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의 영상을 촬영한다(S900).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이 기 설정된 적어도 두 곳을 지날때, 철근 끝점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장치는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철근 끝점의 위치를 각각 파악한 후 그 철근 끝점을 각각 제어맵의 원점을 맞춰 대응시킨다(S910).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첫 번째 촬영된 영상의 철근 끝점을 제어맵의 원점과 맞춘 후, 이 후 촬영된 영상의 철근 끝점의 위치가 제어맵의 어떤 영역과 대응되는지 파악한다.
제어장치는 두 번째 촬영된 철근 끝점이 대응되는 제어맵의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값을 이용하여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한다(S92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대압력롤과 미세교정롤을 포함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이 기 설정된 두 위치를 지날 때마다 상기 철근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는 단계;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어맵의 원점과 상기 제1 영상의 철근 끝점을 매칭시킬 때 상기 제2 영상의 철근 끝점과 매칭되는 상기 제어맵의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상기 제어맵의 영역에 맵핑된 기 설정된 제어값을 기초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교정롤은 좌우교정롤 및 상하교정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맵은 복수의 영역은 상기 좌우교정롤 및 상하교정롤의 제어값과 맵핑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맵의 영역과 맵핑된 제어값을 기초로 상기 좌우교정롤 및 상하교정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는 두 개의 철근을 동시에 투입받아 교정하는 두 개의 미세교정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는 단계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출력되는 두 개의 철근에 대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맵의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투출구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철근의 상대적 출력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값과 맵핑된 제1 제어맵과 제2 제어맵의 각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맵 및 제2 제어맵의 각 영역과 맵핑된 제어값을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미세교정롤을 각각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4.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의 투출구를 통해 출력되는 철근이 기 설정된 두 위치를 지날 때마다 상기 철근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얻는 촬영부;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어맵의 원점과 상기 제1 영상의 철근 끝점을 매칭시킬 때 상기 제2 영상의 철근 끝점과 매칭되는 상기 제어맵의 영역을 파악하는 영역파악부; 및
    파악된 상기 제어맵의 영역에 맵핑된 기 설정된 제어값을 기초로 상기 철근 직선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030540A 2017-03-10 2017-03-10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93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40A KR101938828B1 (ko) 2017-03-10 2017-03-10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EP18764555.1A EP3539684B1 (en) 2017-03-10 2018-03-09 Method for controlling steel reinforcement straightening equipment and device therefor
PCT/KR2018/002821 WO2018164531A1 (ko) 2017-03-10 2018-03-09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40A KR101938828B1 (ko) 2017-03-10 2017-03-10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06A true KR20180103506A (ko) 2018-09-19
KR101938828B1 KR101938828B1 (ko) 2019-01-16

Family

ID=6344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40A KR101938828B1 (ko) 2017-03-10 2017-03-10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539684B1 (ko)
KR (1) KR101938828B1 (ko)
WO (1) WO2018164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748B1 (ko) * 2021-11-29 2024-01-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 가공 공정에서의 머신 러닝 기반의 철근 자동 교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00A (ko) * 1997-02-21 1998-10-26 김종진 영상인식장치를 이용한 소재자동터닝장치
JP2011092990A (ja) * 2009-11-02 2011-05-12 Thk Co Ltd 矯正装置、およびこの矯正装置によって矯正加工を施された部材を備える運動案内装置
KR101645581B1 (ko) 2016-03-08 2016-08-08 주식회사 비엔씨스틸 코일 철근의 교정 및 벤딩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596B1 (ko) * 2010-02-18 2012-04-27 동부제철 주식회사 봉강 인발용 다이스 각도 조절장치
KR101184946B1 (ko) * 2010-12-28 2012-10-02 현대제철 주식회사 금속판재용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9438B1 (ko) * 2012-04-19 2014-03-28 김경효 벤딩 설비의 실시간 곡률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600A (ko) * 1997-02-21 1998-10-26 김종진 영상인식장치를 이용한 소재자동터닝장치
JP2011092990A (ja) * 2009-11-02 2011-05-12 Thk Co Ltd 矯正装置、およびこの矯正装置によって矯正加工を施された部材を備える運動案内装置
KR101645581B1 (ko) 2016-03-08 2016-08-08 주식회사 비엔씨스틸 코일 철근의 교정 및 벤딩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9684A4 (en) 2020-07-22
EP3539684A1 (en) 2019-09-18
WO2018164531A1 (ko) 2018-09-13
KR101938828B1 (ko) 2019-01-16
EP3539684B1 (en)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0867B2 (en) Calibration device of camera, camera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of camera
US6545699B2 (en) Teleconferencing system, camera controller for a teleconferencing system, and camera control method for a teleconferencing system
KR102028002B1 (ko)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TWI576647B (zh) 校正導引系統和校正導引系統的操作方法
TWI577172B (zh) 影像校正系統和立體照相機的校正方法
TWI405143B (zh) 用於辨識的物件影像校正裝置與其方法
WO1994027756A1 (fr) Dispositif permettant de detecter un angle de pliage et systeme d'extraction de lignes droites utilisees a cet effet, et appareil pour le reglage de la position de detection d'un angle de pliage
CN105100648B (zh) 确定光照条件改变引起的需要改变像素密度要求的方法和设备
JP2016038415A5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938828B1 (ko) 철근 직선화 설비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N106060372A (zh) 用于图像稳定的方法和系统
KR101245529B1 (ko)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
JP626560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07844789A (zh) 图像拍摄方法和系统
JP6210946B2 (ja) エレベータかご内カメラの画角調整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内カメラの画角調整方法
KR101553152B1 (ko)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3840137B (zh) 一种网络摄像机移动侦测灵敏度的验证方法及系统
KR101406648B1 (ko) 판쏠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5760462B2 (ja) 尾端クロップ検出装置
TWI533950B (zh) 金屬板材頭端檢測方法與金屬板材軋延方法
CN108062778B (zh) 一种拍摄装置的位置调节方法及控制装置
JP6837723B2 (ja) 平面形状測定装置
JP7348156B2 (ja) 角棒体寸法測定装置および該方法
US11398045B2 (en) Three-dimensional imag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ing condition adjusting method
JP5197330B2 (ja) 形状測定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