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277A -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277A
KR20180103277A KR1020170029978A KR20170029978A KR20180103277A KR 20180103277 A KR20180103277 A KR 20180103277A KR 1020170029978 A KR1020170029978 A KR 1020170029978A KR 20170029978 A KR20170029978 A KR 20170029978A KR 20180103277 A KR20180103277 A KR 2018010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st
images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회진
최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to KR102017002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3277A/ko
Publication of KR2018010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46Positional adjustment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은,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고, 스크린상에 각각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된 스크린상의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복수 영상의 중첩 영역을 계산하는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영상 추출부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함에 있어, 영상과 영상 사이의 중첩 영역의 왜곡된 경계 영상의 보정을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조절하는에지 블랜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하나의 영상 컨텐츠로 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FOR MULTI PROJECTO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함에 있어, 영상과 영상 사이의 중첩 영역의 왜곡된 경계 영상의 보정을 위해 영상 비율 및 중첩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에지 블랜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하나의 영상 컨텐츠로 투영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시회 또는 영화관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까지 스크린을 설치하여 보다 더 실감나는 영상 또는 보다 더 많은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시도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용상의 이유로 LCD가 아닌 2개 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큰 화면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빔 프로젝터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것이 바로 빔프로젝트 간의 접하는 부분에서 겹침이 생기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빔프로젝터 에지 블렌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가로가 아주 긴 영상을 표현하려면 빔프로젝터를 여러 대를 연결해야 하므로, 빔프로젝터가 중첩되는 부분은 화면의 명도가 밝아져 빔프로젝터가 여러 대로 연결되었다는 것이 표시가 난다.
이 부분을 빔프로젝터 내에 있는 밝기에 해당하는 명도를 낮추고 색깔을 하나로 맞추기 위한 기술을 에지 블렌딩(Edge Blending) 이라고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겹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접하는 경계면(edge)을 하드웨어적으로 블렌딩하여 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보정을 하더라도 빔프로젝터의 개수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29776호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함에 있어, 영상과 영상 사이의 중첩 영역의 왜곡된 경계 영상의 보정을 위해 영상 비율 및 중첩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에지 블랜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하나의 영상 컨텐츠로 투영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은,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고, 스크린상에 각각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된 스크린상의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복수 영상의 중첩 영역을 계산하는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영상 추출부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최소화 영상 비율을 연산하여 투사되는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추출부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따라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를 조절하여 영상 비율을 조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밝기가 동일하도록 낮추어 조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테스트 영상은 영상 왜곡도 테스트 및 마커를 이용하는 패턴 테스트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 추출부는 상기 패턴 테스트의 마커 인식을 통해 투사면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은, 스크린상에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비율 및 밝기를 적용하여 투사면에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영역에 대해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활용 면적을 연산하여 투사되는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에 따라 왜곡된 투사 영상에 대해 영상 비율을 조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복수의 테스트 영상은 영상 왜곡도 테스트 및 마커를 이용하는 패턴 테스트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테스트의 마커 인식을 통해 투사면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마커 인식을 통한 중첩 영역의 추출은 각각 순차적으로 하나의 영상 출력부에서 투사되는 마커를 인식하고, 또 다른 영상 출력부에서 투사되는 마커를 인식하여 중첩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함에 있어, 영상과 영상 사이의 중첩 영역의 왜곡된 경계 영상의 보정을 위해 영상 비율 및 중첩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는 에지 블랜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하나의 영상 컨텐츠로 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에서 구현되는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영상을 투영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마커 인식을 통해 영상의 중첩 영역을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추출부에서 중첩 영상을 추출하여 계산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생성부에서 중첩 영역에 대해 보상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에서 구현되는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은, 스크린(100), 영상 출력부(210), 촬영부(220), 영상 추출부(230) 및 영상 생성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 출력부(210)는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출력부(210)는 스크린상에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N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분할 된 영상을 각각의 영상 출력부에서 분할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부(210)는 스크린상에 컨텐츠 영상을 출력하기 전에 분할된 영상 출력의 중첩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테스트 영상은 영상 왜곡도 테스트 및 마커를 이용하는 패턴 테스트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영상을 투영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상에 패턴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여 중첩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패턴 테스트 영상에는 각 분할 영상의 영역을 표시하는 패턴과 각 영상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마커를 표시하여 영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부(210)에서 각도에 따른 왜곡도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여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영상 출력부(210)가 일정한 위치와 일정한 거리 배치를 두고 영상을 투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각 영상 출력부의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상기 영상 출력부(210)에서 출력된 스크린(110)상의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게 된다. 상기 영상 출력부(210)에서는 순차적으로 각각 테스트영상을 투사 출력하게 되며, 상기 촬영부(220)에서는 투사 출력된 영상을 각각 촬영하게 된다. 일 예로,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마커가 형성된 영상을 출력하면, 나머지 프로젝터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각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프로젝터에서 영상을 출력하여 전체적인 하나의 콘텐츠 영상을 구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부(220)는 스크린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스크린상에 투사되는 테스트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부(220)는 비전 카메라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크린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220)는 스크린상의 투사 영상에서 중첩 영역 및 각도에 따른 왜곡도를 촬영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추출부에서 출력되는 마커 인식을 통해 영상의 중첩 영역을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추출부(230)는 상기 촬영부(220)에서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복수 영상의 중첩 영역을 계산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추출부(230)는 상기 패턴 테스트의 마커 인식을 통해 투사면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정확한 중첩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중첩 영역의 추출을 위한 계산 알고리즘은 픽셀의 위치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생성부에서 중첩 영상을 추출하여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생성부에서 중첩 영역에 대해 보상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영상 생성부(240)는 상기 영상 추출부(230)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생성부(240)는 상기 중첩 영역의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화면영역을 연산하여 투사되는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두 개의 프로젝터에서 출사되는 영상에 의해 중첩 영역을 검출하였다면, 전체 스크린에 출사되는 영상의 사이즈의 비율을 조절하여 중첩 영역의 크기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이즈의 비율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가로 및 세로 비율인 16:9 등의 비율을 조절하여 중첩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추출부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따라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를 조절하여 영상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생성부(240)는 상기 영상 추출부(230)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따라 개별 프로젝터에서 출력될 영상 비율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 생성부(240)는 상기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밝기가 동일하도록 낮추어 조절하게 된다. 일 예로, 두 개의 프로젝터에서 출사되는 영상에서 중첩 영역에 대한 밝기는 중첩되지 않은 영역에 비교하여 더 밝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영상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중첩 영역에 대해서는 블랙 모드로 출력하고 나머지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중첩 영역에 대해서는 밝기를 좀 더 낮추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블랙 모드는 완전한 블랙 모드가 아니고 약간의 밝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상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에서 중첩영역의 밝기를 이에 비례하여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수의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면을 최대화하면서 이에 대한 중첩면의 밝기를 동시에 조절하여 자연스러운 전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은, 먼저 스크린상에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710).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출력부(210)는 스크린상에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N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분할 된 영상을 각각의 영상 출력부에서 분할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부(210)는 스크린상에 컨텐츠 영상을 출력하기 전에 분할된 영상 출력의 중첩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테스트 영상은 영상 왜곡도 테스트 및 마커를 이용하는 패턴 테스트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출력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7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출력부(210)에서 출력된 스크린(110)상의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게 된다.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테스트 영상을 투사 출력하게 되면, 상기 촬영부에서는 투사 출력된 영상을 각각 촬영하게 된다. 일 예로,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마커가 형성된 영상을 출력하면, 나머지 프로젝터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각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프로젝터에서 영상을 출력하여 전체적인 하나의 콘텐츠 영상을 구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부(220)는 스크린의 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스크린상에 투사되는 테스트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부는 비전 카메라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크린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220)는 스크린상의 투사 영상에서 중첩 영역 및 각도에 따른 왜곡도를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730). 여기서, 상기 패턴 테스트의 마커 인식을 통해 투사면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커 인식을 통한 중첩 영역의 추출은 각각 순차적으로 하나의 영상 출력부에서 투사되는 마커를 인식하고, 또 다른 영상 출력부에서 투사되는 마커를 인식하여 중첩되는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중첩 영역의 추출을 위한 계산 알고리즘은 픽셀의 위치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추출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7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첩 영역의 최소화 영상 비율을 연산하여 투사되는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두 개의 프로젝터에서 출사되는 영상에 의해 중첩 영역을 검출하였다면, 상기 투사영역에 대해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활용 면적을 연산하여 투사되는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에 따라 왜곡된 투사 영상에 대해 영상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밝기가 동일하도록 낮추어 조절하게 된다. 일 예로, 두 개의 프로젝터에서 출사되는 영상에서 중첩 영역에 대한 밝기는 중첩되지 않은 영역에 비교하여 더 밝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영상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중첩 영역에 대해서는 블랙 모드로 출력하고 나머지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중첩 영역에 대해서는 밝기를 좀더 낮추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블랙 모드는 완전한 블랙 모드가 아니고 약간의 밝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상쇄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밝기를 이에 비례하여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정된 영상 비율 및 밝기를 적용하여 투사면에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750). 즉, 상기 조절된 중첩 영역 및 밝기를 구현하고자 하는 영상에 각각 반영하여 스크린상에 투사하게 된다. 즉, 다수의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의 중첩 영역에 대해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이에 대한 밝기를 동시에 조절하여 자연스러운 전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스크린
210 --- 영상 출력부
220 --- 촬영부
230 --- 영상 추출부
240 --- 영상 생성부

Claims (13)

  1.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고, 스크린상에 각각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된 스크린상의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복수 영상의 중첩 영역을 계산하는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영상 추출부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중첩 영역에 따라 투사영역에 대해 화면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활용 면적에 대응하여 투사되는 복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추출부에서 계산된 중첩 영역에 따라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를 조절하여 영상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테스트 영상은 영상 왜곡도 테스트 및 마커를 이용하는 패턴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추출부는 상기 패턴 테스트의 마커 인식을 통해 투사면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7. 스크린상에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복수의 테스트 영상에서 마커 인식을 통해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중첩 영역에 대한 영상 균일화를 위해 영상 비율 및 밝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비율 및 밝기를 적용하여 투사면에 복수 개의 화면 영상을 투영하여 하나의 컨텐츠 영상으로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 영역의 최소화 영상 비율을 연산하여 투사되는 복수의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추출된 중첩 영역에 따라 투사 각도, 투사 거리 및 투사 높이를 조절하여 영상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 영역의 밝기를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스트 영상은 영상 왜곡도 테스트 및 마커를 이용하는 패턴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테스트의 마커 인식을 통해 투사면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중첩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인식을 통한 중첩 영역의 추출은 각각 순차적으로 하나의 영상 출력부에서 투사되는 마커를 인식하고, 또 다른 영상 출력부에서 투사되는 마커를 인식하여 중첩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방법.
KR1020170029978A 2017-03-09 2017-03-09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KR20180103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78A KR20180103277A (ko) 2017-03-09 2017-03-09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78A KR20180103277A (ko) 2017-03-09 2017-03-09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77A true KR20180103277A (ko) 2018-09-19

Family

ID=6371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978A KR20180103277A (ko) 2017-03-09 2017-03-09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327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13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팀제파 멀티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32220B1 (ko) * 2020-09-22 2021-03-26 주식회사 누리콘 직렬 구성된 복수의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가상의 고휘도 빔프로젝터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51510B1 (ko) 2021-05-17 2022-0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치과 임플란트 캡슐레이션 장치
WO2022260273A1 (ko) * 2021-06-10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03140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5883801A (zh) * 2021-09-28 2023-03-3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投射方法和投影仪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13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팀제파 멀티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32220B1 (ko) * 2020-09-22 2021-03-26 주식회사 누리콘 직렬 구성된 복수의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가상의 고휘도 빔프로젝터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351510B1 (ko) 2021-05-17 2022-0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치과 임플란트 캡슐레이션 장치
WO2022260273A1 (ko) * 2021-06-10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03140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5883801A (zh) * 2021-09-28 2023-03-3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投射方法和投影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277A (ko) 멀티 프로젝터의 영상처리수단 및 그 방법
US11284049B2 (en) Gestural control
US9122138B2 (en) Projector, image display system, and projector control method
EP186174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lignement of a projector with respect to a projection screen
US9016872B2 (en) Projector and method for projecting image from projector
US7175285B2 (en) Projection system that adjusts for keystoning
US8445830B2 (en)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ng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correcting method including detection of positional relationship of diagrams inside photographed images
US8711213B2 (en)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ng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correcting method
US9654750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o respectively display images obtained by dividing one image on first and the second display media
CN102365865B (zh) 多投影显示系统和屏幕画面形成方法
JP5549667B2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画面形成方法
EP313637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US9723281B2 (en) Projection apparatus for increasing pixel usage of an adjusted projection area, and projection method and program medium for the same
US202400077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image
JP2003283964A (ja) 映像表示装置
US9030553B2 (en) Projector image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JP2019168546A (ja) 投影制御装置、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92486B2 (en) Method of enhanced alignment of two means of projection
KR20090090682A (ko) 화면 왜곡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50080678A (ko) 사용자 및 환경 인지 기능이 부가된 영상투영장치에 대한 영상 보정장치 및 방법
US10244216B2 (en) Projector,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method
JP2011176629A (ja) 制御装置およ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8125819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4176053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CN108510457B (zh) 图像矫正方法、装置、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