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11A -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811A
KR20180102811A KR1020170029421A KR20170029421A KR20180102811A KR 20180102811 A KR20180102811 A KR 20180102811A KR 1020170029421 A KR1020170029421 A KR 1020170029421A KR 20170029421 A KR20170029421 A KR 20170029421A KR 20180102811 A KR20180102811 A KR 2018010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nger
contact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3183B1 (en
Inventor
박슬기
김현기
박노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18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1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es: a switch frame coupled to a circuit board;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switch fram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switch fram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plunger movabl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to protrude from the switch frame toward the knob; and a mov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thereby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touching the fixed terminal. The fixed terminal includes: a fixed terminal bod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contact protruding support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body to protrude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and a fixed contact fixed to the contact protruding support part so that a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can touch the fixed contac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Thus, the problem of damage to or contamination of the switch frame due to heat can be reduced.

Description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용 윈도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 switch for a vehicle power window switch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used for operating a vehicle window, and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BACKGROUND ART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편의 장치의 하나로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한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각 좌석마다 장착되어 각 좌석의 승객이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스위치 모듈로 도어의 아암 레스트 상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one of convenience devices, a power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f a vehicle is installed for each seat so that a passenger of each seat can open and close the window. Such a power window switch is generally mounted on a arm rest of a door with a switch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도 1은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노브(10)가 하우징(12) 상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노브(10)는 하우징(12)의 힌지축(14)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노브(10)에는 한 쌍의 전달로드(16)가 힌지축(14)의 아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노브(10)의 조작력을 마이크로 스위치(20)의 플런저(26)로 전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has a structure in which a knob 10 for user's operation is mov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12. [ The knob 10 can be pivoted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axis 14 of the housing 12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 pair of transmission rods 16 are formed on the knob 10 so as to extend under the hinge shaft 14 to transmit the operation force of the knob 10 to the plunger 26 of the micro switch 20. [

마이크로 스위치(20)내에는 PCB(30)와 전기적 회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단자(22)와, 노브(10)의 작동에 따라 한 쌍의 고정단자(22)에 각각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한 쌍의 가동 단자(24)가 구비된다. 가동 단자(24)의 상부에는 한 쌍의 플런저(26)가 마이크로 스위치(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플런저(26)는 노브(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전달로드(16)에 의해 상하로 직선 이동하면서 가동 단자(24)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micro switch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xed terminals 22 connected to the PCB 30 by an electric circuit and a pair of fixed terminals 22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knob 10 A pair of movable terminals 24 are provided. A pair of plungers 26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2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icro switch 20. These plungers 26 move linearly up and down by the transfer rod 16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nob 10 to actuate the movable terminal 24.

이러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승객이 노브(10)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하측으로 눌러서 회동시키면, 한 쌍의 전달로드(16) 중 하나가 이와 접촉하는 하나의 플런저(26)를 눌러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동 단자(24)가 플런저(26)에 눌려서 고정단자(22)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PCB(30)의 신호에 의해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작동하고,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passenger pushes the knob 10 upward or downward to pivot the knob 10, one of the pair of the transfer rods 16 pushes one plunger 26 in contact with the knob 10 to move downward do. At this time, the movable terminal 24 is pressed by the plunger 26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22. At this time, the window regulator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PCB 30, Direction.

그런데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20)의 접점이 위치하게 되는 금속부와 그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사출부가 동일 선상에 놓여있기 때문에, 제조 시 금속부에 열을 가할 때 사출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접점 제작을 위해 금속부에 열을 가할 때 순간 온도가 크게 상승하면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게 되고, 아크 방전이 주변의 사출부에 영향을 주어 사출물이 녹거나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has a metal portion on which the contact point of the micro switch 20 is to be positioned and an inj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metal portion, the injection portion is damaged when heat is applied to the metal portion during manufacturing . That is, when heat is applied to the metal part for producing a contact point, the instantaneous temperature rises to a great extent and an arc discharge occurs, and the arc discharge affects the periphery of the injection part, causing the injection object to melt or contaminate.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노브(10)가 마이크로 스위치(20)의 플런저(26)와 직접 닿기 때문에, 노브(10) 작동 시 기계적인 조작감을 일으키고, 노브(10)를 따라 유입되는 수분이 마이크로 스위치(20)나 PCB(30)에 도달하기 쉽다. 이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20)나 PCB(30)의 도전부에 녹이 발생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has a knob 10 directly touching the plunger 26 of the micro switch 20, the knob 10 causes mechanical feeling during operation of the knob 10, It is easy to reach the switch 20 or the PCB 30. In this case, a problem may occur that rust occurs or malfunctions occur in the conductive parts of the micro switch 20 and the PCB 30. [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노브(10)가 플런저(26) 힘의 작용점과 플런저(26)가 가동 단자(24)를 가압하는 힘의 작용점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며, 파워윈도우 스위치 구조상 플런저(26)가 가동 단자(24)의 접점부로부터 반대쪽으로 치우쳐서 가동 단자(24)와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가동 단자(24)는 접점부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눌러질수록 변형량이 증가하고, 이에 걸리는 응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가동 단자(24)를 한쪽 끝단에 가까운 부분을 눌러 작동시키려면 더 많은 가압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작동 시 가동 단자(24)의 변형량이 크고 가동 단자(24)에 걸리는 응력이 커서, 장시간 사용 시 가동 단자(24)가 영구 변형되기 쉽고, 그에 따라 작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also allows the knob 10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point of action of the force of the plunger 26 and the force that the plunger 26 presses against the movable terminal 24, Is biased to the opposite side from the contact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24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24. [ However, as the movable terminal 24 is pressed away from the contact portion, the amount of deformation increases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movable terminal 24 increases. Further, more pressing force is required to press the movable terminal 24 near the one end thereof.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24 is large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movable terminal 24 is large, so that the movable terminal 24 is liable to be permanently deformed at the time of use for a long time, The problem is likely to occur.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PCB(30)에 장착되는 저항의 장착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도 2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용 저항은 유선형의 핀타입으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핀타입 저항(40)은 납땜을 통해 PCB(3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조 시 그 장착 작업이 번거롭고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제조 시간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유선형으로 굽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troublesome to mount a resistor mounted on the PCB 30, and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or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e size of the resistor. That is, as shown in FIG. 2 (a), the conventional resistor for a power window switch has a streamlined pin type structure. This pin type resistor 40 can be fixed to the PCB 30 through soldering, so that the mounting operation is troublesom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power window switch is increased. And it ha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or a user to intuitively know the magnitude of resistance.

한편, 파워윈도우 스위치용 저항으로 도 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션트 저항(50)이 PCB(3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션트 저항(50)은 SMD를 통해 PCB(3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PCB(30)에는 많은 전자소자가 배치되므로, 종래의 션트 저항(50)은 다른 전자소자와 간섭되기 쉬우며,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장착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b), a shunt resistor 50 can be mounted on the PCB 30 and used as a resistor for a power window switch. The shunt resistor 50 can be mounted on the PCB 30 via the SMD.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are disposed in the PCB 30, the conventional shunt resistor 50 is likely to interfer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a structure that occupies a small space is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or or the user can not intuitively know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등록특허공보 제0591303호 (2006. 06. 19.)Patent Registration No. 0591303 (2006. 06. 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점 고정을 위해 마이크로 스위치의 금속부에 열을 가할 때 금속부 주위의 사출부가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 switch which can prevent a problem that the injection part around the metal part is damaged or contaminated by heat when heat is applied to the metal part of the micr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회로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스위치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상기 스위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노브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switch including a circuit board mounted on a vehicle, A switch fram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the micro switch comprising: a switch fram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switch fram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switch fram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plunger movabl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so as to protrude from the switch frame toward the knob; And a movable terminal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와, 상기 고정 단자 바디의 일측에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와,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돌출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한다.A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at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body and fixed to the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contacts with the fixed contact terminal body; And a fixed contact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고정 단자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ixed terminal external extension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body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연결 단자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부와, 상기 단자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점 결합부와, 상기 플런저가 접촉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고정부의 양측부와 상기 접점 결합부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결합부에 결합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구비되는 플런저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상기 노브 쪽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헤드와,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를 각각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 헤드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양측부에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런저 암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movab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fixing portion fix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contact connecting portion disposed apart from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a terminal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a movable contact coupled to the contact connecting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contact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ing portions, The plunger includes a plunger body movably supported by a plunger guide provided on the switch frame, a plunger head protruding from the plunger body toward the knob, and a plunger head protruding from the plunger head to press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And the plunger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unger body so as to cross the projecting direction. It may include a pair of plunger arms respectively projecting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in the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 상의 상기 한 쌍의 플런저 암이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를 각각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t)이 상기 노브가 상기 플런저 헤드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f)으로부터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 쪽으로 각각 편심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point of action (Pt) of a pressing force by which the pair of plunger arms on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 portions press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respectively, is changed from the action point (Pf) of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plunger head Can be eccentrically positioned toward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를 가압할 때 탄성 변형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결합부에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연결 단자에 지지되는 탄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resilient piece coupled to the contact point coupling part and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so that the plunger elastically deforms when the plunger presses the resilient resilient supporting part to generate elastic restoring force have.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바디와, 상기 연결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면에 상기 가동 단자의 단자 고정부가 걸려 지지되는 제 1 노치부가 마련된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과, 상기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과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을 등지는 일면에 상기 가동 단자의 탄지편이 걸려 지지되는 제 2 노치부가 마련된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과, 상기 연결 단자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bod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 provided with a first notch portion projecting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and having a terminal fixing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held on one surface thereof, A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protrud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and provided with a second notch portion to which a resilient piece of the movable terminal is caught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And a connection terminal external extens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스위치 프레임과,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와, 상기 고정 단자 바디의 일측에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와,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돌출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disposed in a vehicle; A circuit board mount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terminal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 plunger movabl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switch frame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micro switch having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frame, and a movable terminal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And a knob movab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press the plunger of the micro switch by being operated by a user, the fixed terminal comprising: a fixed terminal bod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to protrude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and a fixed contact fixed to the contact protruding and supporting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and being spaced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hav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성하는 고정 단자의 고정 접점이 스위치 프레임에 인접하는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고정 단자가 스위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시 고정 접점을 고정 단자 바디에 고정하기 위해 열을 가할 때, 스위치 프레임이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The fixed contact of the fixed terminal constituting the micro switch is coupled to the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adjacent to the switch frame so that the fixed terminal can be disposed apart from the switch frame have. Thus, when heat is applied to fix the stationary contact to the stationary terminal body during manufacture, the problem of the switch frame being damaged or contaminated by heat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용 저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푸시로드와 마이크로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회로기판과 마이크로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회로기판과 마이크로 스위치 간의 배치 구조가 변형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프레임 베이스와 프레임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연결 단자 및 고정 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고정 단자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가동 단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에 구비되는 플런저암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판상 저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micro switch in a power window switch.
2 shows a conventional resistance for a power window switch.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ush rod and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layout structure of a circuit board and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microswitch of the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8 is a side view showing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rame base and a frame cover are separated.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icro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connection terminals and fixed terminals of a micro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fixed terminal included in a micro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a movable terminal included in the micro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lunger arm included in the micro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a plate resistance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for producing a plate-like re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simplified version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te resist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implified version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te resist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and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120)과, 하우징(102)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125)와, 노브(125)와 회로기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러버 패드(130)와,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포함한다.3 and 4, a vehicle power window switch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2 disposed in a vehicle, a circuit board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2 A knob 125 movably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2, a rubber pad 130 interposed between the knob 125 and the circuit board 120, And a micro switch (140) coupled to the substrate (120).

하우징(102)은 하우징 베이스(103)와, 하우징 베이스(103)의 상부를 덮는 하우징 커버(105)를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차량의 도어 등 차량 내측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20), 러버 패드(130), 마이크로 스위치(140) 등 구성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 베이스(103)의 일측에는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08)가 결합된다.The housing 102 includes a housing base 103 and a housing cover 105 that covers the top of the housing base 103. The housing 102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side the vehicle such as a door of the vehicle. A space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such as the circuit board 120, the rubber pad 130, and the micro switch 14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2. A connector 10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base 103.

하우징(102)은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 베이스(103)의 상부를 하우징 커버(105)가 덮는 구조 이외에, 일체형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하우징은 다른 구성 부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노브(125)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차량에 실내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housing 102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such as an integral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cover 105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ase 103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the housing can tak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that can be mounted indoors to the vehicle to flexibly support the knob 125 while minimizing the external exposure of other components.

회로기판(120)은 하우징(102)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로기판(12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40)나 커넥터(108)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다양한 회로나, 램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은 커넥터(108)를 통해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런저 삽입홀(121)이 구비된다. 플런저 삽입홀(121)은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회로기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The circuit board 12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2. The circuit board 12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ircui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 switch 140 and the connector 108, or a lamp. The circuit board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ical device via the connector 108. [ The circuit board 120 is provided with a plunger insertion hole 121 through which the plunger 180 of the microswitch 140 can be partially inserted. The plunger insertion hole 121 is formed to penetrate the circuit board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노브(12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02)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노브(125)가 하우징(102) 상측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노브(125)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2)의 내측에는 노브(125)와 연계하여 작용하는 구성 요소(푸시로드(128), 마이크로 스위치(140) 등)가 복수의 노브(125)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노브(125)와 연계하여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푸시로드(128), 마이크로 스위치(140) 등)은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나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노브(125)와,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 knob 125 is movably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102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a user. Although the figure shows a plurality of knobs 125 disposed above the housing 102, the number of knobs 125 installed may vary. A plurality of components (push rod 128, micro switch 140, etc.)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knob 125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knobs 125, respectively,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2. The same components (push rod 128, micro switch 140, and the like)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knob 125 have the sam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nly one component corresponding to one knob 125 will be described.

노브(125)는 하우징 커버(105) 외측에 구비되는 노브 지지부(10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125)는 노브 지지부(106)에 지지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틸팅될 수 있다.The knob 125 is rotatably coupled to a knob support portion 106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cover 105. The knob 125 is supported by the knob support portion 106 and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be tilted.

노브(125)와 러버 패드(130)의 사이에는 푸시로드(128)가 설치되어 노브(125)의 움직임에 따른 가압력을 러버 패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40)에 전달한다. 푸시로드(128)는 하우징 커버(105)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시로드(128)의 이동 방향은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노브(125)가 회전하면 푸시로드(128)가 러버 패드(130) 쪽으로 하강하여 러버 패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를 가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A push rod 128 is provided between the knob 125 and the rubber pad 130 to transmit a press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ob 125 to the micro switch 140 through the rubber pad 130. The push rod 128 is installed to be movable linearly on the housing cover 105.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128 is the same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When the knob 125 rotates, the push rod 128 may be lowered toward the rubber pad 130 to press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through the rubber pad 130, Can be operated.

하나의 노브(125)는 한 쌍의 푸시로드(128)와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푸시로드(128)는 이들 각 푸시로드(128)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와 각각 작용한다.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는 한 쌍의 푸시로드(128)는 노브(125)의 하측에 노브(125)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이들 한 쌍의 푸시로드(128)는 노브(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나씩 움직여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각각 하나씩 작동시킬 수 있다.One knob 125 may act with a pair of push rods 128. And the pair of push rods 128 respectively operate with the micro switches 140 disposed on the lower side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ush rods 128. [ A pair of push rods 128 corresponding to one knob 125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knob 125 on the lower side of the knob 125. The pair of push rods 128 can be moved one by on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knob 125 to operate the pair of micro switches 140 one by one.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노브(12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노브(125)는 한 쌍의 푸시로드(128) 중 도면 상 우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푸시로드(128)를 마이크로 스위치(14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노브(125)에 의해 가압되는 푸시로드(128)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를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노브(1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면 상 좌측에 배치되는 또 다른 푸시로드(128)를 마이크로 스위치(140) 쪽으로 가압하고, 그 푸시로드(128)가 이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를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윈도우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각 다른 작동 신호(예를 들어, 윈도우 UP, 윈도우 DOWN)를 발생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knob 125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knob 125 rotates one push rod 128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mong the pair of push rods 128 128 to the micro switch 140 side. At this time, the push rod 128 pressed by the knob 125 presses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located below the push rod 128 to actuate the micro switch 140. Conversely, when the knob 125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other push rod 128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pressed toward the micro switch 140, and another push rod 128 The plunger 180 of the microswitch 140 is pressed to operate. A pair of micro-switches 140 corresponding to one knob 125 may generate different activation signals (e.g., window UP, window DOWN) for activating the window.

노브(125)의 구체적인 구조나, 움직임 형태, 마이크로 스위치(140)와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노브(125)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푸시로드(128)나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노브(125)와 별도로 구비되는 푸시로드(128)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노브(125)가 별도의 푸시로드(128)를 통하지 않고 직접 러버 패드(130)를 가압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작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knob 125, the movement typ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microswitch 140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numbers of the push rods 128 and the micro switches 140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one knob 125 may be variously changed. Further, the push rod 128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knob 125 may be omitted or changed to another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knob 125 to directly press the rubber pad 130 to operate the microswitch 140 without passing through a separate push rod 128.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러버 패드(130)는 하우징(102)의 내측에 회로기판(120)과 노브(125)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즉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은 러버 패드(130)가 배치되는 평면을 중심으로 회로기판(120) 및 마이크로 스위치(140)가 배치되는 공간과, 노브(125)가 연결되는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하우징(102)의 노브 지지부(106)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회로기판(120)이나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보호할 수 있다.3, 4 and 6, the rubber pad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knob 125 inside the housing 102 to define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2.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2 can be separated into a space in which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micro switch 140 are disposed and a space in which the knob 125 is connected, have. The rubber pad 130 covers the circuit board 120 and covers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micro switch 140 from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knob support portion 106 of the housing 102. [ Can be protected.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하우징의 노브가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그대로 회로기판이나 마이크로 스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여서, 수분이나 이물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100)은 러버 패드(130)를 이용하여 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회로기판(120)이나 마이크로 스위치(140)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has a structure in which moisture or foreign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portion to which the knob of the housing is connected can directly reach the circuit board or the microswitch and is vulnerable to moisture or foreign matter. On the other hand, the power window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moisture or foreign matter entering the housing 102 from reaching the circuit board 120 or the micro switch 140 by using the rubber pad 130 The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러버 바디부(131)와, 러버 바디부(131)로부터 노브 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러버 버튼부(135)를 포함한다. 러버 바디부(131)는 회로기판(120)의 일면을 덮는 전면 덮개부(132)와, 회로기판(120)의 가장자리 둘레를 덮을 수 있도록 전면 덮개부(13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측면 덮개부(133)를 포함한다. 전면 덮개부(132)와 측면 덮개부(133)를 통해 회로기판(120)의 마이크로 스위치(140)가 배치되는 하면을 제외한 대부분을 덮음으로써, 하우징(102)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회로기판(120)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The rubber pad 130 includes a rubber body portion 131 dispos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a plurality of rubber button portions 135 protruding from the rubber body portion 131 toward the knob. The rubber body part 131 includes a front cover part 132 covering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a side cover part 132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ront cover part 132 so as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circuit board 120. [ (133). Most of the circuit board 120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micro switch 140 of the circuit board 120 is disposed is covered with the front cover part 132 and the side cover part 133 to remove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the circuit board 120, It is possible to securely protect the display panel 120.

러버 버튼부(135)는 노브(125)의 가압력을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푸시로드(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러버 버튼부(135)는 푸시로드(128)에 대응하는 개수와 간격으로 구비된다. 러버 버튼부(135) 내측에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푸시로드(128)가 러버 버튼부(135)를 가압함으로써 플런저(180)를 누를 수 있다.The rubber button portion 135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rod 128 so that the pushing force of the knob 125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 The rubber button portion 135 is provided at a number and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push rod 128.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ubber button portion 135 and the push rod 128 can press the plunger 180 by pressing the rubber button portion 135. [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가 노브와 마이크로 스위치의 플런저가 직접 닿아 노브 작동 시 기계적인 조작감을 일으키는데 반해, 본 발명은 노브(125)가 러버 패드(130)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에 간접적으로 닿음으로써, 노브(125) 조작 시 기계적인 조작감을 일으키지 않고, 보다 부드러운 조작감을 발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knob 125 is moved through the rubber pad 130 to the plunger 180 of the microswitch 140 while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directly contacts the plunger of the microswitch, The knob 125 can be operated smoothly without generating a mechanical operation feeling when the knob 125 is operated.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스위치 본체(141)와, 스위치 본체(141)로부터 돌출되도록 스위치 본체(141)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플런저(180)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3 to 11, the micro switch 140 includes a switch body 141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And a plunger 180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valve body 141. The microswitch 140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nger 180.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 본체(141)는 회로기판(120)의 러버 패드(130)에 의해 덮이는 일면과 반대쪽 타면, 즉 도면 상 회로기판(120)의 하면에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러버 패드(130)가 회로기판(120)으로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140) 역시 수분이나 이물질이 도달하지 않게 보호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는 회로기판(120)에 형성된 플런저 삽입홀(121)을 관통하여 러버 버튼부(135) 쪽으로 돌출된다.6, the switch body 141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covered by the rubber pad 130 of the circuit board 120, that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As shown in Fig. Since the rubber pad 130 blocks moisture and foreign matter from the circuit board 120, the micro switch 140 can be protected from moisture or foreign matter.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penetrates the plunger insertion hole 121 formed in the circuit board 120 and protrudes toward the rubber button part 135.

스위치 본체(141)는 하우징(102)에 결합되는 스위치 지지부재(188)에 의해 지지된다. 스위치 지지부재(188)는 도면 상 스위치 본체(141)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플런저(180)가 눌릴 때 스위치 본체(141)에 대해 플런저(180)의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가할 수 있다. 이렇게 스위치 지지부재(188)가 스위치 본체(141)를 떠받침으로써, 플런저(18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141)가 회로기판(12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스위치 본체(141)는 안정적으로 회로기판(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 본체(141)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 등 스위치 본체(1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The switch body 141 is supported by a switch support member 188 coupled to the housing 102. The switch supporting member 188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 body 141 in the figure so that it can apply a reaction force to the switch body 14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when the plunger 180 is pressed . Even if the switch body 141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witch body 141 is separated from the circuit board 120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lunger 180, 141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The switch main body 14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switch main body 141 such a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installed in one or more various numbers.

한편,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로기판(120)의 러버 패드(130)와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치 본체(141)의 하면이 회로기판(120)에 결합됨으로써 플런저(18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스위치 본체(141)를 회로기판(120)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과의 사이에 스위치 본체(141)가 개재되도록 회로기판(12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러버 패드(130)는 노브(125)와 회로기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102)으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회로기판(120)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러버 패드(130)는 회로기판(12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그 러버 바디부(131)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면 덮개부(132)와 측면 덮개부(133)를 구비하는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7, the micro switch 14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120, which faces the rubber pad 130. As shown in FIG.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 main body 141 is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so that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lunger 180 does not act in a direction to separate the switch main body 141 from the circuit board 120. The rubber pad 130 is disposed apart from the circuit board 120 so that the switch body 141 is interposed between the rubber pad 130 and the circuit board 120. The rubber pad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knob 125 and the circuit board 120 to block water or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housing 102 from reaching the circuit board 120. The rubber pad 130 is separated from the circuit board 120 so that the rubber body part 131 is changed to a structure other tha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lid part 132 and the side lid part 133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

러버 패드(130)가 회로기판(120)의 일면을 덮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위치 본체(141) 위에는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가 배치된다.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는 스위치 본체(141)와 러버 패드(130) 사이에 배치되어 러버 패드(130)를 지지한다.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의 중간에는 플런저 삽입홀(211)이 구비된다. 플런저 삽입홀(211)은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2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플런저(180)는 플런저 삽입홀(211)을 관통하여 러버 버튼부(135)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rubber pad support plate 210 is disposed on the switch body 141 so that the rubber pad 130 can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The rubber pad support plate 210 is disposed between the switch body 141 and the rubber pad 130 to support the rubber pad 130. A plunger insertion hole 211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rubber pad support plate 210. The plunger insertion hole 211 is formed to penetrate the rubber pad support plat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The plunger 180 of the micro switch 140 may protrude toward the rubber button part 135 through the plunger insertion hole 211. [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스위치 본체(141)는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스위치 프레임(142)과,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150)와,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 프레임(14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단자(158)(163)와, 연결 단자(150)에 지지되어 플런저(18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단자(170)를 포함한다.8 to 11, the switch body 141 of the micro switch 140 includes a switch frame 142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and a switch frame 1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 A pair of fixed terminals 158 and 163 fixed to the switch frame 14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and a connection terminal 15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50 And a movable terminal 170 which can be moved by the plunger 180.

스위치 프레임(142)은 프레임 베이스(143)와, 프레임 베이스(143)의 상부를 덮는 프레임 커버(147)를 포함한다. 스위치 프레임(142)의 내측에는 연결 단자(150), 고정 단자(158)(163), 가동 단자(170), 플런저(18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프레임 베이스(143)의 내측에는 플런저(180)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런저 지지부(144)가 구비된다. 플런저 지지부(144)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플런저 지지 기둥(145)(146)을 포함한다. 이들 플런저 지지 기둥(145)(146)은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플런저(180)를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프레임 커버(147)의 일측에는 플런저(18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플런저 관통홀(148)이 구비된다. 플런저 관통홀(148)은 프레임 커버(147)를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플런저(180)는 플런저 관통홀(148)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플런저 관통홀(148)을 따라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switch frame 142 includes a frame base 143 and a frame cover 147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base 143. A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switch frame 142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150, fixed terminals 158 and 163, a movable terminal 170, a plunger 180, and the like. A plunger support portion 144 for linearly movably supporting the plunger 180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base 143. The plunger support 144 includes a pair of plunger support posts 145, 146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plunger support pillars 145 and 146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to stably and linearly support the plunger 180. A plunger through hole 148 through which the plunger 180 is partially inser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ame cover 147. The plunger through hole 148 is formed to penetrate the frame cover 147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The plunger 180 can be stably linearly moved along the plunger through-hole 148 by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lunger through-hole 148. [

스위치 프레임(142)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프레임(142)은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베이스(143)의 상부를 프레임 커버(147)가 덮는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switch frame 142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switch frame 142 can be chang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cover 147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base 143, as shown in the figure.

연결 단자(150)는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바디(151)와, 연결 단자 바디(151)로부터 돌출되는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 및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과, 연결 단자 바디(151)와 연결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152)를 포함한다. 연결 단자(150)는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152)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152)는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연결 단자(150)에 발생하는 열을 스위치 프레임(142)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으로 통해 연결 단자(15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5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body 151 coupled to the switch frame 142, a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 153 and a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 155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151, And a connection terminal outer extension 15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151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142. The connection terminal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external extension 152. The connection terminal outer extension 152 may extend outside the switch frame 142 to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150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142,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battery.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과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은 상호 마주하도록 연결 단자 바디(151)로부터 플런저(180)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들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과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은 가동 단자(17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의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을 등지는 일면에는 제 1 노치부(154)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을 등지는 일면에는 제 2 노치부(156)가 마련된다. 이들 노치부(154)()는 가동 단자(156)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153 and the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155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151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s 153 and the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s 155 are for supporting the movable terminal 170. The first notch 15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ost 153 on the back side of the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ost 155. The second notch 15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ost 155 on the back side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ost 153. These notches 154 () are for fixing the movable terminal 156.

한 쌍의 고정 단자(158)(163)는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회로기판(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고정 단자(158)(163)는 플런저(180)에 의한 가동 단자(170)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 단자(170)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런저(180)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가동 단자(170)가 접속하는 것을 상측 고정 단자(158)로, 가동 단자(170)가 플런저(180)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접속하는 것을 하측 고정 단자(163)로 정의하여 설명한다.The pair of fixed terminals 158 and 16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to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se fixed terminals 158 and 163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17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terminal 170 by the plunger 18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plunger 180 does not act, the connection of the movable terminal 170 is referred to as an upper fixed terminal 158, and the movable terminal 170 is resiliently deformed by the plunger 180 And a lower fixed terminal 163 is defined as a connection.

상측 고정 단자(158)는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159)와, 고정 단자 바디(159)와 연결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0)와, 가동 단자(170)와 접속될 수 있도록 고정 단자 바디(159)에 결합되는 고정 접점(161)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측 고정 단자(158)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0)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0)는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고정 단자(158)에 발생하는 열을 스위치 프레임(142)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The upper fixed terminal 158 includes a fixed terminal body 159 coupled to the switch frame 142 and a fixed terminal outer extension 160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body 159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142. [ And a fixed contact 161 coupled to the fixed terminal body 159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170. The upper fixed terminal 15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fixed terminal outer extension 160. The fixed terminal outer side extension 160 may extend outside the switch frame 142 to discharge heat generated in the upper side fixed terminal 158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142.

하측 고정 단자(163)는 스위치 프레임(142)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164)와, 고정 단자 바디(164)와 연결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5)와, 고정 단자 바디(164)의 일측에 고정 단자 바디(164)로부터 가동 단자(170)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166)와, 가동 단자(170)와 접속될 수 있도록 접점 돌출 지지부(166)에 결합되는 고정 접점(167)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측 고정 단자(163)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5)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165)는 스위치 프레임(14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 단자(163)에 발생하는 열을 스위치 프레임(142)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The lower fixed terminal 163 includes a fixed terminal body 164 coupled to the switch frame 142 and a fixed terminal outer extension 165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body 164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142. [ A contact protrusion support portion 166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164 to the movable terminal 170 at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body 164 and a contact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166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170 166, respectively. The lower fixed terminal 16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fixed terminal outer extension 165. The fixed terminal outer side extension portion 165 may extend outside the switch frame 142 to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in the fixed terminal 163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142.

하측 고정 단자(163)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접점(167)이 고정 단자 바디(164)로부터 돌출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166)에 결합됨으로써, 고정 접점(167)이 스위치 프레임(14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조 시 고정 접점(167)을 고정 단자 바디(164)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단자 바디(164)에 열을 가할 때, 고정 단자 바디(164)와 인접하는 스위치 프레임(142)이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스위치 프레임(142)이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에 의한 스위치 프레임(14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12 and 13, the lower fixed terminal 163 is coupled to the contact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166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164, so that the fixed contact 167 is fixed to the switch frame 164. [ (142). When the fixing terminal body 164 is heated to fix the stationary contact 167 to the stationary terminal body 164 during manufacture, the stationary terminal body 164 and the adjacent switch frame 142 are damaged by hea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the switch frame 142 is formed of an injection molded article, deformation of the switch frame 142 due to heat can be prevented.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측 고정 단자(158) 역시 고정 단자 바디(159)로부터 돌출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를 구비하여, 고정 접점(161)이 그 접점 돌출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밖에, 고정 단자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설치되는 고정 단자 전부, 또는 일부 고정 단자에 접점 돌출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fixed terminal 158 also has a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159, so that the fixed contact 161 can be fixed to the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fixed terminals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all of the fixed terminals to be installed or some fixed terminals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act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 단자(170)는 플런저(180)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연결 단자(150)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 및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에 지지된다. 가동 단자(170)는 플런저(180)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연결 단자(150)와 결합되어 지지되는 가동 단자 바디(171)와, 가동 단자 바디(171)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단자(158)(16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가동 단자 바디(171)에 결합되는 가동 접점(176)을 갖는다.8 to 11, the movable terminal 170 is fixed to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s 153 and the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s 153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0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lunger 180 155. The movable terminal 170 includes a movable terminal body 171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150 so as to be resiliently deform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plunger 180, And a movable contact 176 which is coupled to the movable terminal body 171 so as to be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body 163 (158).

가동 단자 바디(171)는 연결 단자(150)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부(172)와, 단자 고정부(17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접점 결합부(173)와, 단자 고정부(172)와 접점 결합부(17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와, 접점 결합부(173)에 고정되는 가동 접점(176)과, 접점 결합부(173)에 결합되어 접점 결합부(17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지편(177)을 포함한다. 단자 고정부(172)는 연결 단자(150)의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3)에 구비되는 제 1 노치부(154)에 걸려 지지되고, 탄지편(177)은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155)의 제 2 노치부(156)에 걸려 지지된다.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는 플런저(180)가 접촉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단자 고정부(172)의 양측부와 접점 결합부(173)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한다.The movable terminal body 171 includes a terminal fixing portion 172 fixed to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153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0 and a contact connecting portion 173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fixing portion 172. [ A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ing portions 174 and 175 for connecting the terminal fixing portion 172 and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173, a movable contact 176 fixed to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173, And a resilient piece 177 which is coupled to the contact portion 173 and resiliently supports the contact connecting portion 173. The terminal fixing portion 172 is hooked on the first notch 154 provided on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153 of the connection terminal 150 and the elastic piece 177 is engaged with the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155 of the second notch 156.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connect both side portions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172 and the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173 so that the plunger 18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이러한 가동 단자(170)는 플런저(180)가 움직여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할 때,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가 탄성 변형되어 가동 접점(176)이 움직이고, 플런저(18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가 탄성 복원됨으로써 가동 접점(176)이 원상 복귀된다.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가 탄성 변형될 때 탄지편(177) 또한 탄성 변형되어 플런저(180)의 가압력 해제 시 가동 접점(176)의 원상 복귀력을 증가시켜준다.When the plunger 180 moves to press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the movable contact 176 elastically deforms and the movable contact 176 moves ,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180 is released,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are resiliently restored, so that the movable contact 176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are resiliently deformed, the resilient piece 177 is elastically deformed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176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180 is released.

가동 단자(170)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런저(180)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그 가동 접점(176)이 고정 단자(158)(163)의 고정 접점(161)(167)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고, 플런저(18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176)이 원상 복귀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movable contact 176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plunger 180 so that the movable contact 176 contacts the fixed contacts 161 and 167 of the fixed terminals 158 and 163. [ And the movable contact 176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180 is released.

예를 들어, 가동 단자(220)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221)(222)가 노브(125)에 의한 플런저(180)의 가압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아치 형상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14,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221 and 222 are convexly curved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lunger 180 by the knob 125, . ≪ / RTI >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플런저(180)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스위치 프레임(142)에 구비되는 플런저 지지부(144)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181)와,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러버 버튼부(135) 쪽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헤드(182)와, 플런저 바디(181)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숄더(183)(184)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플런저 암(185)(186)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런저(180)는 한 쌍의 플런저 암(185)(186)으로 가동 단자(170)의 두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동 단자(170) 상의 단자 고정부(172) 쪽으로 다소 치우쳐 배치된다. 플런저 바디(181)는 가동 단자(170) 중간의 개구에 삽입되어 스위치 프레임(142)의 플런저 지지부(144)에 지지된다.8 to 11, the plunger 180 includes a plunger body 181 movably supported by a plunger support 144 provided on a switch frame 142 of the microswitch 140, a plunger body 181 A pair of plunger arms 185 and 182 connected to plunger shoulders 183 and 184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plunger body 181 ) ≪ / RTI > The plunger 180 is fix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172 on the movable terminal 170 so as to press the two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of the movable terminal 170 with the pair of plunger arms 185 and 186. [ ). The plunger body 18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in the middle of the movable terminal 170 and is supported by the plunger support portion 144 of the switch frame 142.

한 쌍의 플런저 암(185)(186)은 가동 단자(170)의 두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플런저 헤드(182)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도록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가동 단자(170)의 가동 접점(176)이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플런저 암(185)(186)은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가동 접점(176) 쪽으로 갈수록 플런저 바디(181)의 이동 방향으로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플런저 바디(181)에 연결된 고정단에서 자유단 쪽으로 갈수록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와의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각각의 플런저 암(185)(186)은 그 두께가 가장 두꺼운 자유단이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에 접촉하여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런저 암(185)(186)은 가동 단자 바디(171)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가동 단자 바디(171)의 반력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air of plunger arms 185 and 186 are connected to the plunger body 181 so as to intersect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lunger head 182 so as to press the two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of the movable terminal 170, And the movable contact 176 of the movable terminal 170 is located. The plunger bodies 185 and 186 gradually increase in thicknes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body 181 from the plunger body 181 toward the movable contact 176. The plunger bodies 185 and 186 gradually increase in thicknes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nger body 185 from the plunger body 181 toward the movable contact 176,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elastic support portions 174 and 175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ee end. The plunger arms 185 and 186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to press the contact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with the thickest free end thereof. With this structure, the plunger arms 185 and 186 can more stably press the movable terminal body 171 and minimize deformation or damage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movable terminal body 171. [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 상의 플런저 암(185)(186)이 각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t)은 노브(125)가 플런저 헤드(182)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f)으로부터 가동 접점 쪽으로 일정 거리(d) 편심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플런저(180)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설계 상 그 플런저 바디(181)가 가동 단자(170) 상의 단자 고정부(172) 쪽으로 다소 치우쳐 배치되더라도, 플런저 암(185)(186)을 통해 접점 탄성 지지부(174)(175) 상의 가동 접점(176)에 접근된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The point of action Pt of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plunger arms 185 and 186 on the respective contact elastic support portions 174 and 175 press the respective contact elastic support portions 174 and 175 as shown in Fig. Is eccentrically positioned a certain distance (d) from the action point Pf of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plunger head 182 toward the movable contact. The plunger 180 is designed such that the plunger body 181 of the microswitch 140 is biased toward the terminal fixing portion 172 on the movable terminal 170, It is possible to press the portion approaching the movable contact 176 on the elastic supports 174 and 175.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노브가 플런저를 가압하는 힘의 작용점과 플런저가 가동 단자를 가압하는 힘의 작용점이 동일선 상에 위치하여, 플런저가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을 가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파워윈도우 스위치는 플런저에 의한 가동 단자의 변형량이 증가하고 가동 단자에 걸리는 응력이 커짐으로써, 가동 단자의 수명이 단축되고 작동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플런저 바디(181)로부터 가동 단자(170)의 가동 접점(176)이 위치한 쪽으로 돌출된 플런저 암(185)(186)을 이용함으로써 그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has the action point of the force that the knob presses the plunger and the action point of the force that the plunger presses the movable terminal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so that the plunger presses the portion relatively far from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ower window switch,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movable terminal due to the plunger is increased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movable terminal is increased, so that the lifetime of the movable terminal is shortened and the operation accuracy is lowe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such a problem of the prior art by using the plunger arms 185 and 186 protruding from the plunger body 181 toward the movable contact 176 of the movable terminal 170.

플런저(180)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노브(125)에 의해 작동하여 가동 단자(170)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plunger 18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that can be actuated by the knob 125 to elastically deform the movable terminal 170.

예를 들어, 도 15는 변형된 구조를 갖는 플런저(2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 나타낸 플런저(230)는 플런저 바디(231)와, 플런저 헤드(232)로부터 노브(125) 쪽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헤드(232)와, 플런저 바디(231)의 양측에 플런저 헤드(232)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도록 플런저 바디(2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플런저 암(233)(234)과, 한 쌍의 플런저 암(233)(234)에 대응하는 한 쌍의 암 연장부(235)(23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암 연장부(235)(236)는 플런저 바디(231)로부터 플런저 암(233)(234)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 플런저 암(233)(234)과 연결된다. 이러한 플런저(230)는 암 연장부(235)(236)로 인해 플런저 암(233)(234)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되며, 플런저 암(233)(234)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동 단자(170)를 가압할 수 있고, 가동 단자(170)로부터의 반력에 의한 플런저 암(233)(234)의 변형이나 손상을 더욱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FIG. 15 shows a plunger 230 having a deformed structure. The plunger 230 shown in Fig. 15 includes a plunger body 231, a plunger head 232 protruding from the plunger head 232 toward the knob 125 and a plunger head 232 protruding from the plunger head 232 on both sides of the plunger body 231 A pair of plunger arms 233 and 234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lunger body 231 so as to intersect with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a pair of arm extension parts 235 and 235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plunger arms 233 and 234, ) ≪ / RTI > The pair of arm extension portions 235 and 236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lunger arms 233 and 234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nger arms 233 and 234 protrude from the plunger body 231. This plunger 2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plunger arms 233 and 234 is increased by the arm extension portions 235 and 236 and the plunger arms 233 and 234 are moved more stably to the movable terminal 170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plunger arms 233 and 234 due to the reaction force from the movable terminal 170 can be further reduced.

도 16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20)에는 판상 저항(190)이 연결된다. 판상 저항(190)은 저항 바디(191)와, 저항 바디(191)의 양쪽 끝단에서 각각 절곡된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와,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 각각의 끝단에서 절곡된 제 1 저항 접속부(194) 및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포함한다. 이러한 판상 저항(190)은 저항 바디(191)가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로기판(120)과 저항 바디(191)의 중앙 부분을 각각 직교하는 선분(L)을 중심으로 거울 대칭형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6, a plate-like resistor 19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The plate resistance 190 has a resistance body 191 and first and second resistance legs 192 and 193 bent at both ends of the resistance body 191 and first and second resistance legs 192 and 193, And a first resistor connection 194 and a second resistor connection 195 bent at the ends of each of the second resistor legs 193. The plate resistance 190 is formed such that the resistance body 191 is dispos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line segment L orthogonal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resistance body 191 And has a mirror symmetrical structure.

제 1 저항 레그(192)는 저항 바디(191)의 일단에서 회로기판(120)의 일면 쪽으로 수직으로 절곡되고, 제 2 저항 레그(193)는 저항 바디(191)의 타단에서 회로기판(120)의 일면 쪽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 1 저항 레그(19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저항 접속부(194)는 제 1 저항 레그(192)의 끝단에서 제 2 저항 레그(193) 쪽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저항 접속부(195)는 제 2 저항 레그(193)의 끝단에서 제 1 저항 레그(192) 쪽으로 절곡되어 회로기판(12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저항 접속부(194) 및 제 2 저항 접속부(195)는 회로기판(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resistor leg 192 is vertically bent toward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120 at one end of the resistor body 191 and the second resistor leg 193 is bent at a second end of the resistor body 191 at the other end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rst resistance legs 192. The first resistance legs 19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resistor connection portion 194 is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resistor leg 192 toward the second resistor leg 193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The second resistor connection part 195 is bent from the end of the second resistor leg 193 toward the first resistor leg 192 and dispos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The first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4 and the second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20, respectively.

이러한 판상 저항(190)은 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제 1 저항 접속부(194) 및 제 2 저항 접속부(195)가 제 1 저항 레그(192)와 제 2 저항 레그(193) 사이의 안쪽으로 배치되므로, 회로기판(120) 상에서 설치 공간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하면서 회로기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상 저항(190)은 회로기판(120)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저항 접속부(194)와 제 2 저항 접속부(195) 사이에서 전류 통로가 되는 저항 바디(191)와 한 쌍의 저항 레그(192)(193)만 외측으로 드러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나 사용자가 저항 크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The plate resistance 190 is formed such that a first resistor connection 194 and a second resistor connection 195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are formed inwardly between the first resistor leg 192 and the second resistor leg 193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while occupying a relatively small installation space on the circuit board 120. Therefore, the plate-like resisto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circuit board 120. The resistance body 191 and the pair of resistance legs 192 and 193 serving as current paths between the first resistance connecting portion 194 and the second resistance connecting portion 195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easy for the user to intuitively confirm the resistance size.

판상 저항(190)은 표면실장법을 통해 다른 전자 부품과 함께 회로기판(12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회로기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The plate resistance 19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20 together with other electronic components through a surface mounting method or can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20 through other methods.

판상 저항(190)은 금속 모재(400)를 프레스 장치(300)로 절곡하는 방식을 통해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plate-like resistor 190 can be simply manufactured by a method of bending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nto the press device 300.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te resista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te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step-by-step illustration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te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은 금속 모재(400)를 준비하는 단계(S11)와,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S12)와,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S13)와,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S14)와,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17,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late resistance includes a step S11 of preparing the metal base material 400, a step S12 of forming the first resistance connecting portion 194, a step of forming the first resistor leg 192, (S14) forming a second resistor connection portion 195, and forming a second resistor leg 193 (S15).

먼저, 금속 모재(400)를 준비하는 단계(S11)에서 선정된 금속을 설정된 길이와 폭으로 가공하여 금속 모재(400)를 준비한다. 금속 모재(400)로는 저항 소재로 적절한 다양한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First, in step S11 of preparing the metal base material 400,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prepared by processing the selected metal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s the metal base material 400, various metals suitable for the resistive material may be used.

다음으로,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S12)에서, 금속 모재(400)의 일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한다. 이때, 도 18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스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펀치(320)로 금속 모재(400)의 일단을 가압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할 수 있다.Next, in the step S12 of forming the first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4, the first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4 is formed by bending one end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8 (a), the first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4 can be formed by using the press apparatus 300. [ That is, the metal base material 400 may be placed on the support jig 310 and the first resistor connection portion 194 may be formed by pressing one end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with the press punch 320.

다음으로,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S13)에서, 금속 모재(400)의 중간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한쪽 끝단에 상기 제 1 저항 접속부(194)가 연결되는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한다. 도 18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저항 접속부(194)가 형성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할 수 있다.Next, in a step S13 of forming the first resistor leg 192, an intermediate one side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4 at one end Legs 192 are forme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on which the first resistance connecting portion 194 is formed is pressed to the press punch 320 while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jig 310, So that the first resistance leg 192 can be formed.

다음으로,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S14)에서, 금속 모재(400)의 타단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한다. 도 18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절곡되지 않은 금속 모재(400)의 타단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할 수 있다.Next, in the step S14 of forming the second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5, the other end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the second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5. [ The other end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which is not bent in the state that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jig 310 is pressed by the press punch 320, (Not shown).

다음으로,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S15)에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다른 일측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한쪽 끝단에 제 2 저항 접속부(195)가 연결되는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한다. 도 18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2 저항 접속부(195)가 형성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양쪽 끝단에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가 각각 연결되는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을 저항 바디(191)로 하여 판상 저항(190)을 완성할 수 있다.Next, in a step S15 of forming the second resistor leg 193, the other end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fold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econd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5 is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Legs 193 are formed.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on which the second resistance connecting portion 195 is formed is pressed to the press punch 320 while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jig 310, So that the second resistance legs 193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plate-shaped resistor 190 can be completed with the resistor body 191 as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to which the first resistor leg 192 and the second resistor leg 193 are connected at both ends, respectively .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판상 저항(190)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With this manufacturing method, the plate-shaped resistors 190 of various sizes can be efficiently manufactured.

판상 저항(19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plate-like resistor 190 may be manufactured by various other methods other than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상 저항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9에 나타낸 방법 역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프레스 장치(300)를 이용하는 방법이다.FIG. 19 is a simplified version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te resist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shown in Fig. 19 is also a method using the press apparatus 300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19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준비된 금속 모재(400)의 중간 일측 부분을 설정된 길이로 절곡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한다. 이때,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 위에 올려놓고 프레스 펀치(320)로 금속 모재(400)의 일단을 가압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9 (a),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repared metal base material 400 is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the first resistance leg 192. At this time, the metal base material 400 may be placed on the support jig 310 and the first resistance legs 192 may be formed by pressing one end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with the press punch 320.

다음으로, 도 19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금속 모재(400)의 중간 다른 일측 부분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1 저항 레그(192)와 평행하게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한다. 이때, 양쪽 끝단에 제 1 저항 레그(192) 및 제 2 저항 레그(193)가 각각 연결되는 금속 모재(400)의 중간 부분은 저항 바디(191)가 된다.Next, as shown in FIG. 19 (b), in the state in which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jig 310, the other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pressed by the press punch 320, 1 resistor leg 192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esistor leg 193. At this time,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se material 400, to which the first resistor leg 192 and the second resistor leg 193 are connected at both ends, becomes the resistor body 191.

다음으로, 도 19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저항 레그(192)의 끝단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한다.19 (c), the end of the first resistance leg 192 is pressed by the press punch 320 while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jig 310, Resistance connection portion 194 is formed.

다음으로, 도 19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 모재(400)를 받침 지그(310)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 2 저항 레그(193)의 끝단을 프레스 펀치(320)로 가압하여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할 수 있다. 19 (d), the end of the second resistance leg 193 is pressed by the press punch 320 while the metal base material 400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jig 310, The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5 can be formed.

이 밖에, 금속 모재(400)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 1 저항 레그(192)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저항 레그(193)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저항 접속부(194)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저항 접속부(195)를 형성하는 단계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판상 저항(190)을 제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step of pressing the metal base material 400 to form the first resistor leg 192,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resistor leg 193,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resistor connecting portion 194, The order of the steps of forming the resistor connection part 195 can be variously change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late-like resistor 190 by a method other than press working.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102 : 하우징 103 : 하우징 베이스
105 : 하우징 커버 106 : 노브 지지부
108 : 커넥터 120 : 회로기판
125 : 노브 128 : 푸시로드
130 : 러버 패드 131 : 러버 바디부
132 : 전면 덮개부 133 : 측면 덮개부
135 : 러버 버튼부 140 : 마이크로 스위치
141 : 스위치 본체 142 : 스위치 프레임
143 : 프레임 베이스 144 : 플런저 지지부
147 : 프레임 커버 1 50 : 연결 단자
151 : 연결 단자 바디 152 :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
153, 155 : 제 1,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
158, 163 : 고정 단자 159, 164 : 고정 단자 바디
160, 165 :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 161, 167 : 고정 접점
166 : 접점 돌출 지지부 170, 220 : 가동 단자
171 : 가동 단자 바디 172 : 단자 고정부
173 : 접점 결합부
174, 175, 221, 222 : 접점 탄성 지지부
176 : 가동 접점 177 : 탄지편
180, 230 : 플런저 181, 231 : 플런저 바디
182, 232 : 플런저 헤드 183, 184 : 플런저 숄더
185, 186, 233, 234 : 플런저 암 188 : 스위치 지지부재
190 : 판상 저항 191 : 저항 바디
192, 193 제 1, 2 저항 레그 194, 195 : 제 1, 2 저항 접속부
210 : 러버 패드 지지 플레이트 235, 236 : 암 연장부
300 : 프레스 장치 310 : 받침 지그
320 : 프레스 펀치 400 : 금속 모재
100: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102: housing 103: housing base
105: housing cover 106: knob support
108: connector 120: circuit board
125: Knob 128: Push rod
130: Rubber pad 131: Rubber body part
132: front cover part 133: side cover part
135: Rubber button part 140: Micro switch
141: switch body 142: switch frame
143: frame base 144: plunger support
147: Frame cover 1 50: Connection terminal
151: connection terminal body 152: connection terminal outside extension
153, 155: first and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s
158, 163: fixed terminal 159, 164: fixed terminal body
160, 165: fixed terminal external extension 161, 167: fixed contact
166: contact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170, 220: movable terminal
171: movable terminal body 172: terminal fixing portion
173:
174, 175, 221, 222: contact elastic support member
176: movable contact 177:
180, 230: plunger 181, 231: plunger body
182, 232: plunger head 183, 184: plunger shoulder
185, 186, 233, 234: plunger arm 188: switch supporting member
190: plate resistance 191: resistance body
192, 193 first and second resistance legs 194, 195: first and second resistance connecting portions
210: rubber pad support plate 235, 236:
300: Press apparatus 310: Support jig
320: press punch 400: metal base material

Claims (7)

회로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스위치 프레임;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상기 스위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노브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와,
상기 고정 단자 바디의 일측에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와,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돌출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A micro switch of a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installed in a housing for generating an operating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a knob movably coupled to a housing disposed in a vehicle with a circuit board mounted thereon,
A switch fram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switch fram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fixed terminal fixed to the switch fram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plunger movabl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so as to protrude from the switch frame toward the knob; And
And a movable terminal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The fixed terminal includes:
A fixed terminal bod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contact protrusion suppor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on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body;
And a stationary contact fixed to the contact protrusion suppor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tationary terminal body so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can contact the contact protrusion suppor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고정 단자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 외측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fixed terminal external extension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body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연결 단자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부와,
상기 단자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점 결합부와,
상기 플런저가 접촉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고정부의 양측부와 상기 접점 결합부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결합부에 결합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구비되는 플런저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상기 노브 쪽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헤드와,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를 각각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 헤드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양측부에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플런저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fixing portion fix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contact connecting portion disposed apart from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for connect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contact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plunger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contact therewith,
And a movable contact coupled to the contact connecting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contact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The plunger,
A plunger body movably supported by a plunger guide provided on the switch frame,
A plunger head protruding from the plunger body toward the knob,
And a pair of plunger arm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lunger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lunger head to press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And a micro switch for a vehicle power window switch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 상의 상기 한 쌍의 플런저 암이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를 각각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t)이 상기 노브가 상기 플런저 헤드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점(Pf)으로부터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 쪽으로 각각 편심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int of action (Pt) of a pressing force by which the pair of plunger arms on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 portions press the pair of contact elastic supports, respectively, is changed from the action point (Pf) of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plunger head And the movable contact is located eccentrically toward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한 쌍의 접점 탄성 지지부를 가압할 때 탄성 변형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결합부에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연결 단자에 지지되는 탄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resilient piece coupled to the contact-engaging part and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so that the plunger elastically deforms when the plunger presses the resilient resilient supporting part, The micro switch of the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a vehic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 바디와,
상기 연결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면에 상기 가동 단자의 단자 고정부가 걸려 지지되는 제 1 노치부가 마련된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과,
상기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과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1 가동 단자 지지 기둥을 등지는 일면에 상기 가동 단자의 탄지편이 걸려 지지되는 제 2 노치부가 마련된 제 2 가동 단자 지지 기둥과,
상기 연결 단자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단자 외측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bod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pillar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and provided with a first notch portion on one side thereof for holding a terminal fixing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A second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 which is protrud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 and has a second notch portion to which the resilient piece of the movable terminal is caught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support column, ,
And a connection terminal external extens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body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frame.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스위치 프레임과,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플런저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단자 바디와,
상기 고정 단자 바디의 일측에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돌출 지지부와,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접점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점 돌출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단자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A housing disposed in the vehicle;
A circuit board mount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terminal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 plunger movabl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to the switch frame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 micro switch having a fixed terminal fixed to a frame, and a movable terminal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of the plung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And
And a knob movabl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be operated by a user to press the plunger of the microswitch,
The fixed terminal includes:
A fixed terminal body coupled to the switch frame,
A contact protrusion suppor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ed terminal body on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body;
And a stationary contact fixed to the contac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spaced from the stationary terminal body so that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terminal contacts the contact terminal.
KR1020170029421A 2017-03-08 2017-03-08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3131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21A KR102313183B1 (en) 2017-03-08 2017-03-08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21A KR102313183B1 (en) 2017-03-08 2017-03-08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11A true KR20180102811A (en) 2018-09-18
KR102313183B1 KR102313183B1 (en) 2021-10-14

Family

ID=6371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421A KR102313183B1 (en) 2017-03-08 2017-03-08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1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52U (en) * 1991-10-02 1993-04-23 株式会社ヒロセチエリープレシジヨン Switch structure
KR0134340Y1 (en) * 1995-09-15 1999-01-15 여무남 Microswitch
KR100591303B1 (en) 2004-08-31 2006-06-19 주식회사 신창전기 Power window switch device
KR20160040585A (en) * 2013-08-06 2016-04-14 가부시키가이샤 토쿠리키 혼텐 Electric contact point and contact 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52U (en) * 1991-10-02 1993-04-23 株式会社ヒロセチエリープレシジヨン Switch structure
KR0134340Y1 (en) * 1995-09-15 1999-01-15 여무남 Microswitch
KR100591303B1 (en) 2004-08-31 2006-06-19 주식회사 신창전기 Power window switch device
KR20160040585A (en) * 2013-08-06 2016-04-14 가부시키가이샤 토쿠리키 혼텐 Electric contact point and contact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183B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JP3951485B2 (en) Rotating / 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parts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452651B1 (en)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CN105489429B (en) Switching device
JP2012186067A (en) Push button switch device
KR20180102809A (en)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JP3425832B2 (en) Switch pol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02548B1 (en) Switch device
US6339200B1 (en) Electrostatic insulation for an operating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180102810A (en)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JP2005032556A (en) Switching device
EP2267741A1 (en) Slide operation type switch
KR101514121B1 (en) Switch device
KR101300200B1 (en) Microswitch device
KR20180102811A (en) Micro-switch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80102812A (en) Plate-type resistance for power window switch uni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wer window switch unit for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30270078A1 (en) Switch device
JP2001345031A (en) Composite operating type electronic parts
EP1363301B1 (en) Power-supply switch device with detection switch
CN216528538U (en) Light touch switch
KR20080015996A (en) Structure for switch of automotive seat
JP3991491B2 (en) Rotating / 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parts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JP6009823B2 (en) Switch structure and measuring instrument
JP2018014280A (en) Assembling structure of operation unit
KR101149798B1 (en) Side key module for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