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03A -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803A
KR20180102803A KR1020170029408A KR20170029408A KR20180102803A KR 20180102803 A KR20180102803 A KR 20180102803A KR 1020170029408 A KR1020170029408 A KR 1020170029408A KR 20170029408 A KR20170029408 A KR 20170029408A KR 20180102803 A KR20180102803 A KR 2018010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ngle
position change
chang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0492B1 (en
Inventor
곽필재
강재모
최창호
이현동
박상혁
김진영
박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49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which comprises: an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00) provided at one side (11) of waterworks (10), and detecting an angle change; and a control unit (200) generating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of a position change point (12) of the waterworks (1) with angle information (a) generated in the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ngle of the waterworks is changed, a position change degree of the waterworks can be accurately measured.

Description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detection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and a risk detection method for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누수, 파괴, 탈락 또는 위치 변화 등의 위험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수도관의 각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수도관의 위치변화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detection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that can detect dangerous information such as leakage, breakage, dropout or position change of a water supply pipe, and a risk sensing method for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detection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and a risk sensing method for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ensor to detec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using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angle of the water supply pipe.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송유관, 가스관 등의 원격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관로)들은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짧게는 수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십 킬로미터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Generally, pipes (pipes) for supplying fluid to remote places such as water pipes, oil pipelines, and gas pipes are installed underground or exposed to the ground, extending from several hundred meters to several tens of kilometers long.

이러한 관로들은 부식, 외부로부터의 충격, 온도 등의 외부 환경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관로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These ducts are subject to cracking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due to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corrosion, external shock, temperature, etc.,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leakag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line to the outside or severance of pipeline do.

이러한 관로의 훼손 및 노화 또는 그 밖의 원인들에 의해 관로로부터 유체가 누수될 경우에, 관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면 유체의 누수지점이나 누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관로의 보수를 비교적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If the pipe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ipeline leaks from the pipelin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pipeline, aging or other causes,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leakage point of the fluid or the degree of leaking,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pipeline can be performed relatively quickly have.

그러나 관로가 지하 또는 벽체 내에 매립되어 외부와 시각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로의 이상 발생을 조기에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관로의 파손으로 인해 내부의 유체가 누수되면, 상당량의 유체가 누수된 후에야 비로소 관로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경제적 손실의 발생과 함께, 유체가 누수된 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없어 관로를 보수함에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nduit i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or the wall and is visually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occurrence of the conduit abnormality is often not recognized early, and when the internal fluid leaks due to the breakage of the conduit,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pipeline only after a lot of economic loss occurs and the point where the fluid leaks can not be accurately known. Thus,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repair the pipeline.

이와 같이 매립 관로의 누수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저항을 측정하여 관로의 파손(유체누수)지점을 파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관로는 관로 내에 금속재질의 센서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압 출성형해야 하므로, 관로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lthough a method of measuring the resistance (leakage) point of the pipeline by measuring the resistance of the pipeline in order to grasp the leakage point of the buried pipeline is widely used, the conventional pipeline for measuring the resistance has a problem in that a metal sensor wire is inserte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pipe line.

특허등록번호 제10-1167264호에는 관로(10)의 본체(11)에 안테나부(12)와 다수의 센서노드(13)를 설치하여 누수, 오염, 유수량 등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노드(13)가 장착된 위치의 관로 상태를 감지하여 안테나부(12)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수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Patent Document No. 10-1167264 discloses an antenna unit 12 and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3 installed in a main body 11 of a pipeline 10 to detect leak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anagement unit at the remote site through the antenna unit 12.

그러나 관로(10)가 지중에 매설되어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전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hannel 10 is buried in the ground, data transmiss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has a problem that transmission is difficul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관로는 지중에 매립된 이후 센서노드(13)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과, 상기 센서노드(13)의 오동작 또는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경우 수리 등의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ipel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difficult to perform maintenance such as repairing the location of the sensor node 13 after being buried in the ground and repairing the sensor node 13 when the sensor node 13 is malfunctioned or damaged .

이에 더하여 관로의 누수 현상이 발생하여 주변 토사의 유출이 지속되면 관로의 기울기 또는 위치가 변화될 수 있어,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저해하고 심각한 누출 현상이나 지반 붕괴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leakage of the surrounding soil is continued due to the leakage of the pipeline, the slope or position of the pipeline may be changed,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tructure and cause serious leaks or ground collapse.

그러나 종래의 관로 누수 감시 시스템은 단순히 관로 내의 누수음만을 감지하여 누수 가능 지역을 감지하므로 관로의 기울기 변화나 위치 변화로 인한 구조적 위험성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ipe leakage monitoring system,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structural risk due to the change of the tilt of the pipe or the change of the position because the pipe leakage detection only detects the leakage sound in the pipe.

본 발명은 상술된 상수도관의 누수 측정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도관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상수도관이 위치 변화 정도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water leakage measuring apparatus of the water pip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which can clearly measure a degree of position change of a water pipe when an angle change of the water pipe occurs. And a method of detecting a risk of a water pipe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도관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변화 각도에 따라 발생된 위험의 정도가 단순 변화인지 관의 이탈까지 발생되었는지 여부 등의 상세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sk monitoring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deriving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degree of danger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change when the angle change of the water supply pipe occurs is a simple chang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risk of a water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수도관(10)의 일측(11)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도변화 감지부(100); 및 상기 각도변화 감지부(100)에서 생성된 각도정보(a)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관(1)의 위치변화 지점(12)의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provided at one side (11) of a water pipe (10) and sensing an angle change; And a controller 200 for generating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of the water supply pipe 1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generated by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각도정보(a) 및 상기 일측(11)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거리정보(c)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1]을 통해 상기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a) and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c)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c between the one side 11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b) of the water supply pipe.

[식 1][Formula 1]

위치변화정보(b) = tan(a) × c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 tan (a) x c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변화정보(b)가 소정의 안전값(d1) 이하인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변화정보(b)가 소정의 안전값(d1) 이상인 경우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when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When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And the water pipe system may be a water pipe hazard detection system.

또한, 상기 소정의 안전값(d1)은 상기 위치변화지점(12)의 변화 임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Also,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may be a change threshold value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면 상수도관(10)의 일측(11)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각도변화 감지부(110); 상기 상수도관(10)의 타측(13)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각도변화 감지부(120); 및 상기 제1 각도변화 감지부(110)에서 생성된 제1 각도정보(a1) 및 상기 제2 각도변화 감지부(120)에서 생성된 제2 각도정보(a2)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제2 위치변화정보(b2)를 생성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A first angle change sensing unit 110 provided on one side 11 of the surface water pipe 1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nsing an angle change; A second angle change sensing unit 1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13 of the water pipe 10 for sensing an angle change; And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a2 generated by the first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10 and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generated by the first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a2 generated by the second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20. [ And a controller (200) for generating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of the water pipe (12).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각도정보(a1), 상기 제2 각도정보, 상기 일측(11)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1 거리정보(c1) 및 상기 타측(13)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2 거리정보(c2)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2]을 통해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calculates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c1 of the one side 11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gener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2 by using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c2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c2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Which can be a hazard detection system of a water supply pipe.

[식 2][Formula 2]

제1 위치변화정보(b1) = tan(a1) × c1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 tan (a1) x c1

제2 위치변화정보(b2) = tan(a2) × c2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 tan (a2) x c2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가 소정의 안전값(d1) 이하인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 중 어느 하나라도 소정의 안전값(d1) 이상인 경우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when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the risk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와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소정의 이탈값(d)보다 큰 경우 이탈확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departure value d,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the departure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water supply system may be a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화 감지부(100)에서 상기 각도정보(a)를 생성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각도정보(a)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및 모니터링부(300)에서 상기 안전정보 또는 상기 위험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cting a risk of a water supply pipe using a water supply pipe risk sensing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S100) of generating the angle information (a) in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A second step (S200) of generating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in the controller (200); And a third step (S300) of outputting the safety information or the danger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unit (300) (S300).

이 경우 상기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은 상기 각도정보(a)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하는 송수신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ipe risk sens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ransceiver 400 for transmitting the angle information 'a' to the controller 200.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관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상수도관이 위치 변화 정도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gle of the water pipe is changed, the water pipe can clearly measure the degree of the position change.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관의 각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지반의 변형 정도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ground can be clearly measured by measuring the angle change of the water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관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변화 각도에 따라 발생된 위험의 정도가 단순 변화인지 관의 이탈까지 발생되었는지 여부 등의 상세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gle of the water pipe changes vertically or horizontally,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degree of risk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change is simple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관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각도변화의 정도에 따른 지반변형의 위험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derive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the degree of danger of the ground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angle change when the angle of the water pipe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용 각도변화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변화 감지부가 상수도관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변화 감지부가 상수도관의 각도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에 의한 위치변화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2 개의 각도변화 감지부가 상수도관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각도변화 감지부가 상수도관의 각도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에 의한 위치변화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각도변화 감지부가 상수도관의 각도정보를 추출하여 이탈확정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ngle change sensing unit for a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gle change sens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for extracting angle information of a water supply pipe and deriving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y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angle change sensing unit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a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wo angle change sensing uni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angle information of a water supply pipe and deriv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y a controller.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wo angle change sensing uni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angle information of a water supply pipe and derive release confirmation informa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상수도관용 안전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안전감시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safety monitoring apparatus for a water supply pipe and a safety monitoring method for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sensing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and a risk sensing method for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risk monitoring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수도관의 경우 지반의 침식, 지진, 외부의 충격, 노후화 등의 이유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상수도관(10a)은 이웃하는 상수도관(10b)과 밸브 등의 이음부를 형성하며 연결되어 있으나, 위치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주로 이음부를 기준으로 양 상수도관(10a, 10b)의 각도가 변화한다. In the case of water pipes, the location may change due to erosion of the ground, earthquake, external impact, aging, etc. The water supply pipe 10a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water supply pipe 10b to form a joint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10a and the water supply pipe 10b. However, when the position change occurs, the angle of the water supply pipes 10a and 10b is changed.

본 발명은 이러한 각도변화를 감지하여 상수도관(10)의 위치가 얼마나 변화되었는지 및 각도변화가 이루어진 경우 이음부에서의 이탈이 발생되었는지 여부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such a change in angle and thereby obtains information such as how the position of the water pipe 10 has changed and whether or not a departure from the joint has occurred when the angle is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수도관(10)의 일측(11)에 구비되어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도변화 감지부(100) 및 각도변화 감지부(100)에서 생성된 각도정보(a)를 이용하여 상수도관(1)의 위치변화 지점(12)의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도 1). The risk detection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00 and an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00 provided at one side 11 of a water supply pipe 10 to detect an angle change, (B)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of the water supply pipe 1 by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generated by the angle change information (FIG. 1).

각도변화 감지부(100)는 상수도관(10)의 각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며, 일예로서 3축 가속센서 또는 3축 자이로센서를 활용한 각도변화 감지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각도변화 감지부(100)는 상수도관(10)에 직접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angular change sensing unit 100 may be any means capable of sensing a change in angle of the water pipe 10, and may be an angle change sensing device using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or a three-axis gyro sensor . In this case,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water pipe 10 and used.

각도변화 감지부(100)는 상수도관(10)의 각도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각도정보(a)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generates angle information a when the angle of the water pipe 10 is changed and transmits the angle information a to the controller 200.

각도변화 감지부(100)와 제어부(200)는 유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송수신부(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angle change detection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ransceiver unit 400 includ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200)는 각도정보(a) 및 일측(11)과 위치변화 지점(12)의 거리정보(c)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1]을 통해 상기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한다(도 2, 도 3).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by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c between the side 11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2 and 3).

[식 1][Formula 1]

위치변화정보(b) = tan(a) × c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 tan (a) x c

이 경우 제어부(200)는 위치변화정보(b)가 소정의 안전값(d1) 이하인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위치변화정보(b)가 소정의 안전값(d1) 이상인 경우 위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when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and generates danger information when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is not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

소정의 안전값(d1)은 위치변화지점(12)의 변화 임계값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l may be a change threshold value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예를 들어 위치변화지점(12)이 탄성부재로 형성된 이음부인 경우에는 재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연한 임계값을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변화지점(12)이 강부재 또는 콘크리트재로 형성된 이음부인 경우에는 엄격한 임계값을 적용하여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is a joint portion formed of an elastic member, a flexible threshold value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is a joint member formed of a steel member or a concrete material, it is desirable to generate a risk information by applying a strict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2 이상의 각도변화 감지부(110, 120)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ore accurat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using two or more angle change sensing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은 상수도관(10)의 일측(11)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각도변화 감지부(110), 상수도관(10)의 타측(13)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각도변화 감지부(120) 및 제1 각도변화 감지부(110)에서 생성된 제1 각도정보(a1)와 제2 각도변화 감지부(120)에서 생성된 제2 각도정보(a2)를 이용하여 위치변화 지점(12)의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제2 위치변화정보(b2)를 생성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도 4, 도 5).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sk monitoring system for a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angle change sensing unit 110 provided at one side 11 of a water supply pipe 10 for sensing an angle change, a water pipe 10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and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generated by the first angle change sensing unit 110 and the second angle change sensing unit 1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13 of the second angle change sensing unit 120, (B1) and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using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a2) generated by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120) (Figs. 4 and 5).

이 경우 제어부(200)는 제1 각도정보(a1), 제2 각도정보, 일측(11)과 위치변화 지점(12)의 제1 거리정보(c1) 및 타측(13)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2 거리정보(c2)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2]을 통해 제1 위치변화정보(b1)와 제2 위치변화정보(b2)를 생성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calculates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c1 of one side 11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and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c1 of the other side 13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gener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2 by using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c2 of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c2.

[식 2][Formula 2]

제1 위치변화정보(b1) = tan(a1) × c1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 tan (a1) x c1

제2 위치변화정보(b2) = tan(a2) × c2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 tan (a2) x c2

제어부(200)는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제2 위치변화정보(b2)가 소정의 안전값(d1) 이하인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제2 위치변화정보(b2) 중 어느 하나라도 소정의 안전값(d1) 이상인 경우 위험정보를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when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and outputs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The risk information is generated when any one of the change information b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소정의 안전값(d1)은 위치변화지점(12)의 변화 임계값인 것은 상술된 바와 같다.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is the change threshold value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as described above.

제어부(200)는 제1 위치변화정보(b1)와 제2 위치변화정보(b2)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소정의 이탈값(d2) 보다 큰 경우 이탈확정정보를 생성한다. 즉, 이웃하는 상수관로의 위치변화의 차이가 양 상수관로의 안전범위인 소정의 이탈값(d2)을 벗어낫다는 것은 양 상수관로(10a, 10b)의 이음부의 연결이 끊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도 5).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the departure confirmation informa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departure value d2. That is,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neighboring water pipes deviates from the predetermined departure value d2, which is the safety range of the positive water pipe, means that the connection of the joints of the positive water pipes 10a and 10b is disconnected 5).

이에 따라 감독자는 안정정보, 위험정보 및 이탈확정정보를 출력하는 별도의 모니터링부(300)를 통해 확인하고 상수도관의 유지관리를 위한 최선의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ervisor can check the stability information, the risk information, and the release confirmation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monitoring unit 300 and take the best measures for maintenance of the water supply pipe.

제1 위치변화정보(b1)와 제2 위치변화정보(b2)의 부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각각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구한다. When the signs of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difference value is obtained using each absolute value.

상술된 안전값(d1)과 이탈값(d2)은 환경조건에 따라 시스템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safety value d1 and the deviation value d2 can be set by the system us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tecting a risk of a water supply pipe using a water supply pipe risk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은 각도변화 감지부(100)에서 각도정보(a)를 생성하는 제1 단계(S100), 제어부(200)에서 각도정보(a)를 이용하여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및 모니터링부(300)에서 안전정보 또는 위험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한다. The risk sensing method of the water supply pipe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generating angle information (a) in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a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nd a third step S300 of outputting safety information or risk information in the monitoring unit 300 and a second step S200 of generating the safety information or the danger information.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상수도관
20 : 이음부
100 : 각도변화 감지부
200 : 제어부
300 : 모니터링부
400 : 송수신부
10: Water supply pipe
20: joint
100: Angle change detection unit
200:
300: Monitoring section
400: Transmitting /

Claims (10)

상수도관(10)의 일측(11)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도변화 감지부(100); 및
상기 각도변화 감지부(100)에서 생성된 각도정보(a)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관(1)의 위치변화 지점(12)의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An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provided at one side (11) of the water pipe (10) and sensing an angle change; And
A controller 200 for generating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of the water supply pipe 1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generated by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Wherein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각도정보(a) 및 상기 일측(11)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거리정보(c)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1]을 통해 상기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식 1]
위치변화정보(b) = tan(a) × c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c between the one side 11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Wherein the system generates the hazard signal of the water pipe.

[Formula 1]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 tan (a) x c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변화정보(b)가 소정의 안전값(d1) 이하인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변화정보(b)가 소정의 안전값(d1) 이상인 경우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when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And generates the danger information when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안전값(d)은 상기 위치변화지점(12)의 변화 임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 is a change threshold value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상수도관(10)의 일측(11)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각도변화 감지부(110);
상기 상수도관(10)의 타측(13)에 구비되며,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각도변화 감지부(120); 및
상기 제1 각도변화 감지부(110)에서 생성된 제1 각도정보(a1) 및 상기 제2 각도변화 감지부(120)에서 생성된 제2 각도정보(a2)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제2 위치변화정보(b2)를 생성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A first angle change sensing unit 110 provided at one side 11 of the water supply pipe 10 and sensing an angle change;
A second angle change sensing unit 1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13 of the water pipe 10 for sensing an angle change; And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generated by the first angle change sensing unit 110 and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a2 generated by the second angle change sensing unit 120 are used to calculate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B1) and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of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Wherein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각도정보(a1), 상기 제2 각도정보, 상기 일측(11)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1 거리정보(c1) 및 상기 타측(13)과 상기 위치변화 지점(12)의 제2 거리정보(c2)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 2]을 통해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식 2]
제1 위치변화정보(b1) = tan(a1) × c1
제2 위치변화정보(b2) = tan(a2) × c2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and the second angl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angle information a1 and the first distance information c1 between the one side 11 and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generated by using the second distance information c2 of the position change point 12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2: A hazard detection system for a water pipe.

[Formula 2]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 tan (a1) x c1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 tan (a2) x c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가 소정의 안전값(d1) 이하인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 및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 중 어느 하나라도 소정의 안전값(d1) 이상인 경우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when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a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Wherein the risk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danger information when any one of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value d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위치변화정보(b1)와 상기 제2 위치변화정보(b2)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소정의 이탈값(d2) 보다 큰 경우 이탈확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200
And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1)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2)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departure value (d2), the departur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system.
제4항의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화 감지부(100)에서 상기 각도정보(a)를 생성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각도정보(a)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변화정보(b)를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및
모니터링부(300)에서 상기 안전정보 또는 상기 위험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a risk of a water supply pipe using the water supply pipe ris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step (S100) of generating the angle information (a) in the angle change sensing unit (100);
A second step (S200) of generating th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b) using the angle information (a) in the controller (200); And
A third step (S300) of outputting the safety information or the danger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unit 30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 위험 감지 시스템은
상기 각도정보(a)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하는 송수신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pipe hazard detection system
A transceiver 400 for transmitting the angle information a to the controller 200;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70029408A 2017-03-08 2017-03-08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KR101910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08A KR101910492B1 (en) 2017-03-08 2017-03-08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08A KR101910492B1 (en) 2017-03-08 2017-03-08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03A true KR20180102803A (en) 2018-09-18
KR101910492B1 KR101910492B1 (en) 2019-01-04

Family

ID=6371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408A KR101910492B1 (en) 2017-03-08 2017-03-08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492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64B1 (en) * 2012-01-26 2012-07-23 (주)파이브텍 Smartpipe and underground facilities manegement scada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492B1 (en)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212Y1 (en) Displacement measure device for expansion joint
US20170059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hydrocarbon leakage from an underwater pipeline in a body of water and hydrocarbon extraction unit
JP6639423B2 (en) Behavior exploration apparatus and behavior exploration method for telescopic flexible pipe joint
KR101762614B1 (en) Monitoring Equipment for water supply pipe
JP2011169705A (en) Clinometer device
KR101562625B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of specipic position of underground pipe and method thereof
KR20160131518A (en) A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having a length displacement measuring
JP7227170B2 (en) Monitoring systems for sections or components of pipelines for the transport of hydrocarbons installed at hazardous sites
KR20160080354A (e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ireless between inside of manhole and outside of manhole
KR101855162B1 (en) Pipe connect structure and pipe water leak sensing method for watertightness check
KR102060075B1 (en) Method of leakage detection and location from pressurized pipeline
KR20200073563A (en) Water leak detecting system of water pipe network
JP2000131179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position of conduct
KR101910492B1 (en) Waterworks Hazard Detection System
KR20140086507A (en) Method and exploration system for drainage pipe
CN211737214U (en) Shield tunnel segment settlement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CN111102011A (en) Shield tunnel segment settlement monitoring and alarming system and monitoring and alarming method
KR101796078B1 (en) Vertical displacement monitor for harbor facility
WO2021005468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physical parameters related to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f an external element to be monitored
KR101759200B1 (en) 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underground pipe
CN109357648A (en) Array displacement sensor and settlement measuring device
KR20160141574A (en) A route detection equipment for underground utilities and server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Kindree et al. Defect localization using free-floating unconventional ILI tools without AGMs
KR20190000232A (en) Leakage checking hole for gas leakage of the underground buried gas-pipelines
KR100553410B1 (en) 3 axial displacement measurement apparatus for pipe and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