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964A - Fold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old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964A
KR20180101964A KR1020170028575A KR20170028575A KR20180101964A KR 20180101964 A KR20180101964 A KR 20180101964A KR 1020170028575 A KR1020170028575 A KR 1020170028575A KR 20170028575 A KR20170028575 A KR 20170028575A KR 20180101964 A KR20180101964 A KR 20180101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gion
screen
fold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4143B1 (en
Inventor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미
Priority to KR102017002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4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display unit (110) logically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11) and a second region (112), wherein the display unit corresponds to a display region facing outward when a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folded in half; a sensor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display area expressed on the outer side of the device.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oldable display device}Foldable display device < RTI ID = 0.0 >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 디바이스의 외측면으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in which, during execution of a content provided by an application while a foldable display device is unfolded, To a folder-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display device us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 electronically wet display device and the like is mainly applied to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television or a monitor.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도 큰 화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큰 화면의 표시부를 구현한 장치가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점을 이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는 휴대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큰 화면의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분야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수첩, 전자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demand for a large screen has increa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 device that realizes a large screen display unit by connect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Particularly, the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advantag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which can be bent or folde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technology of the display field because it can provide a large screen display unit while maintaining the convenience of carrying . Such a foldable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lectronic notebook, an electronic book,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 Ultra Mobile PC (UMPC),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television and a monitor.

한편,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구부러지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접히는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폴디드(folded) 상태 또는 언폴디드(unfolded)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386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폴딩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컨텐츠를 변경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폴딩축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만큼 접힌 상태에서 내측으로 표출되도록 분할되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 및 펼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만 나타내고 있으며, 디바이스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앞면과 뒷면 또는 상면과 하면 등 외부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어가 미흡한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using a bent material or folding it to improve portability. In such a foldable display device, the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contents according to a folded state or an unfolded state is changed. In the conventional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29386 "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discloses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adaptively change conten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isplay area is folded. Howeve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foldable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rol of the display area displayed on the outside such as the front surface, the back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device is completely folded .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 따른 앞면과 뒷면 또는 상면과 하면 등 디바이스의 외측면으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such as a game device, And a display area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vice such as a back surface or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면 또는 앞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하면 또는 뒷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is folded into a half-fold stat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device, the display area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is displayed as a main screen Or the display area located on the back side has another purpose to operate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하여 상면 또는 앞면이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하면 또는 뒷면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면 또는 뒷면을 주 화면의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하면 또는 뒷면의 현재 상태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 상태를 주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폴더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nable or disable the bottom or back side when the device is folded in half during execu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application and the content is running on the top or front side of the main screen Thus, it is possible to use or not to use the under or screen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need, or to change the current state of the under or the back and the operation state by the user to the main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foldabl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면과 하면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면 디바이스가 상기 위치를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제어동작의 고정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점을 이용한 다영한 동작에 의해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evice to recognize the position as a fixed point of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a device or a content when the device is grasped together with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folded state in half, There is another purpose of controlling a device or a content by an opera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본체가 반으로 접힌(folded) 상태일 때에 외측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 또는 위치에 따른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상하 위치관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facing outward whe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s folded in half, ; Depending on the movement or position of the device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sensing a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respectively, by designa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part, respectively; / RTI >

상기 본체가 펼쳐진(unfolded)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본체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기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상기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영역은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ain body is folded into a half-fold state during execution of a content provided by an application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is unfolded, the first area located on the top surface is a main screen showing content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second area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is operated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tents of the main screen.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가 반으로 접힌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main body is folded in half.

또한, 상기 센서부는 안면 인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디바이스의 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본체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앞면과 뒷면으로 각각 지정하되, 상기 안면 인식 수단에 의해 안면을 향하는 쪽으로 인식되는 면을 상기 앞면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앞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주 화면으로, 상기 뒷면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은 상기 보조 화면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ain body is folded in half while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s unfolded an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while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s unfolded, The first area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is designated as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area is designated as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is recognized as the front surface by the facial recognition means, And the second area located on the back surface is executed as the sub screen.

또한, 상기 본체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는 제2 영역 활성화 버튼을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주 화면의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is folded in half and the content is being executed from the first area to the main screen, a second area activation button capable of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second area is used or not used as a sub screen for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need.

또한, 상기 본체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에서 터치 등으로 조작한 내용이나 상태를 상기 제1 영역의 소정 위치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econd region is functioning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the first region when the main body is being folded in half and contents are being executed in the main region in the first region, And displays a content or state operated by a touch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to inform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면 디바이스가 상기 위치를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제어동작의 고정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ody is folded in half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grasped together, the device displays the position as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device or the content And the device or the content is controlled by using the fixed point.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인식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점을 터치 드래그 방식을 포함하여 소정 패턴으로 이동함으로써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ice or the content may be controlled by moving the fixed point including the touch drag metho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int is grasped by grasp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gether .

또한, 한 손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소정 동작으로 움직이거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ice may be moved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a tou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first area while holding the fixed point by grasp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ith one hand, Thereby controlling the device or the content.

또한, 한 손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제1 영역의 터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그림, 사진,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포함하는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gripped together with one hand and the fixed point is held, the image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 And control including enlargement or reduction of an image is possible.

또한, 한 손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제1 영역의 터치 드래그를 통한 패턴 압력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lock the device with the pattern pressure through the touch dragging of the first area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fixed point by grasp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ith one hand, And the screen is turned on / off.

또한, 양손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동시에 좌우 또는 상하로 터치 드래그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wo fixed points are held by gripping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gether with both hands so that two fixed points are simultaneously touch-dragged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The device is unlocked or the screen is turned on / off.

또한, 양손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소정의 압력으로 함께 터치함으로써 압력 세기 또는 방향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int is held by grasp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gether with both hands, the two fixed points are touched togeth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device is unlocked or the screen is turned on / off.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패닝(panning)하거나 회전 중심을 만들어 로테이팅(rotating) 하면, 상기 제1 영역에 표현되는 지도, 그림, 영상, 카메라 프리뷰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제공 화면이 패닝 또는 로테이팅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evice is panned or rotated and rotated to hold the fixed point by grasp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gether and rotating the device, A content providing screen of an application including a map, a picture, an image, and a camera preview displayed in the area is panned or rotated.

따라서,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 따른 앞면과 뒷면 또는 상면과 하면 등 디바이스의 외측면으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evice such as a front cover, a back cover, a top cover, and a bottom cover according to a state held by a user when the device is folded in half during execution of content provided by an applic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evice is unfold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area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면 또는 앞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하면 또는 뒷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작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is folded into a half-fold stat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device, the display area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is displayed as a main screen Or the display area located on the back side has an effect of operating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하여 상면 또는 앞면이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하면 또는 뒷면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면 또는 뒷면을 주 화면의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하면 또는 뒷면의 현재 상태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 상태를 주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폴더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nable or disable the bottom or back side when the device is folded in half during execu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application and the content is running on the top or front side of the main screen Thus, it is possible to use or not to use the under or screen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need, or to change the current state of the under or the back and the operation state by the user to the main scree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f the foldable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면과 하면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면 디바이스가 상기 위치를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제어동작의 고정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점을 이용한 다양한 동작에 의해 디바이스 또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evice to recognize the position as a fixed point of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a device or a content when the device is held in a half-folded state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re grasped together, There are other effects that the device or content can be controlled by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반으로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3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4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5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6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7 실시예를 표현한 그림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of the display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f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x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반으로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본체(10)가 반으로 접힌(folded) 상태일 때에 외측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111) 및 제2 영역(112)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또는 위치에 따른 상기 제1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상하 위치관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120); 및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역(111) 및 상기 제2 영역(112)을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 영역(111) 및 상기 제2 영역(112)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100)의 본체(10)가 펼쳐진(unfolded)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기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11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상기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영역(112)은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를 위한 입력 장치 또는 보조 화면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 and 2 (b) are views each showing a 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of a display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 and 2, a foldab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devices 100, 100, 100, 200, 300, A display unit 110 logically divided into a first area 111 and a second area 112; Depending on the movement or position of the device 100, A sensor unit 120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sensing a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nd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20, and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12; When the main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folded in half while the main body 10 is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during execu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The first area 111 is a main screen showing content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second area 112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is operated as an input device or a sub screen for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

또한,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면 디바이스(100)가 상기 위치를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제어동작의 고정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점을 이용한 다양한 동작에 의해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The position is recognized as a fixed point of the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and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is controlled by various operations using the fixed point.

디스플레이부(110)는 본체(10)가 접힌 상태에서는 외측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111) 및 제2 영역(112)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며, 디스플레이부(110)는 본체(10)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면(또는 하기의 앞면)의 제1 영역(11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하면(또는 하기의 뒷면)의 제2 영역(112)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제1 영역(111)을 가리지 않도록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Play, pause, stop, fast forward rewind, 음성 제어, 밝기 제어 등)를 위한 입력 장치 또는 보조 화면으로 지정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is logically divided into a first area 111 and a second area 112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facing outward in a folded state of the main body 10, The first area 111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front surface) is a main screen showing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second area 112 of the lower surface (or the back surface) , An input device for a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play, pause, stop, fast forward rewind, voice control, brightness control, etc.) or a sub screen so as not to cover the first area 111 with the first area 111. [

이때, 제2 영역(112)이 제1 영역(111)에 대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제2 영역(112)에서 터치 등으로 조작한 내용이나 상태를 제1 영역(111)의 소정 위치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second area 112 functions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the first area 111, the content or state operated by a touch or the like in the second area 112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111 And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inform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111)에서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제2 영역(11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는 제2 영역 활성화 버튼을 제1 영역(111)의 일부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2 영역(112)을 주 화면의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ntent is being executed from the first area 111 to the main screen in the state where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the second area activation button 112, which can activate or deactivate the second area 112, May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first area 111 so that the second area 112 can be used or not used as a sub screen for controlling the main screen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user.

예를 들어, 통화중 화면에서 제2 영역 활성화 버튼을 접촉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뒷면을 드래그하여 올리거나 내려서 볼륨의 증가 또는 감소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이러한 방법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2 영역 활성화 버튼을 제1 화면에 표시하여 주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통화중 사용할 수 있는 '종료', '녹음' 등의 키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영상 재생, 게임 화면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양 손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에 의해 스마트폰이 얼굴에 인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화면 표시 및 터치 입력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by touching the second area activation button on the busy screen and dragging the back side with another finger to raise or lower the volume, Butt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Such a method can display keys such as 'end' and 'recording' that can be used during a call.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ideo playback and game screen. It can be useful when both hands can not be used.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at the smartphone is adjacent to the face, the display and touch input functions are disabled.

또한, 제2 영역(112)을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제1 영역(111)을 가리지 않도록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Play, pause, stop, fast forward rewind, 음성 제어, 밝기 제어 등)를 위한 입력 장치 또는 보조 화면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영역(112)의 현재 상태(화면 ON/OFF 상태 등) 및 사용자에 의한 제2 영역(112)의 조작 상태를 제1 영역(111)의 주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The second area 112 may be an input device for content control (play, pause, stop, fast forward rewind, voice control, brightness control, etc.) of the main screen so as not to cover the first area 111 with the user's finger, (The screen ON / OFF state and the like) of the second area 112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area 112 by the user ar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first area 111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user operation of the folder-type display device.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본체(10)가 펼쳐진 일반의 사용 상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나타내어, 터치 동작 등을 통하여 콘텐츠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rmal us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unfolded,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a full screen, and the content is controlled through a touch operation or the like.

센서부(120)는 디바이스(10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 간의 상하 위치관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 지자기 센서(미도시) 및 디바이스(10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a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of the display unit 110 when the device 100 is folded in half, , A geomagnetic sensor (not shown), and a gyro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the rotation of the device 100.

또한, 센서부(120)는 디바이스(100)가 반으로 접힐 때에 내측에 해당하게 되는 본체의 일면에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인지를 감지하도록 하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whether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inside when the device 100 is folded in half have.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터치 화면의 미세한 터치 압력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not shown) capable of sensing a fine touch pressure level of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area.

또한,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도록 하는 안면 인식 수단(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하며, 안면 인식 수단으로는 카메라 또는 본체(10)의 외측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홍체 인식 센서 등의 별도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ace recogni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ace recognizing means (not shown) for recognizing the face of the user while the body 10 is folded in half. The face recognizing mean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mera or the body 10 A separate sensor such as an iris recognition sensor may be used.

제어부(130)는 디바이스(100)의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면과 하면에 제1 영역(111) 및 제2 영역(112)을 각각 지정하고, 제1 영역(111)에 표시된 제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2 영역(112)에 표시된 제2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거나,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을 연동하여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1 영역(111)을 주 화면으로 지정하고 제2 영역(112)은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지정함으로써 보조 화면을 통해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 및 애플리케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main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unfolded and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whil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while the main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unfolded,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respectively desig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irst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1 or the second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12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Or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interlocked to designate the first area 111 as a main screen and the second area 112 as a sub screen or input By designating it as a device,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and control of the application are enabled through the sub screen.

또한, 제어부(130)는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 안면 인식 수단에 의해 안면을 향하는 쪽으로 인식되는 면을 앞면으로, 반대 면을 뒷면으로 인식하여 앞면과 뒷면에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을 각각 지정하되, 앞면에 위치하는 제1 영역(111)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뒷면에 위치하는 제2 영역(112)은 보조 화면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화면을 통해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 및 애플리케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while the main body 10 is being folded whil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while the main body 10 is being unfolded, a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zing means toward the face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designa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respectively, and the first area 111 located on the front side is used to designat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The second area 112 located on the back side is executed as a sub screen, so that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and control of the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ub screen.

도 3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다양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디바이스(100)의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면 상기 위치를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제어동작을 하기 위한 고정점(또는 후속의 제어동작의 시작점 또는 개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고정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한다. 3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ntrol method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of the device 100 are covered with one hand or two hands while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as shown in Figs. 3 (a) and 3 (b)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as a fixed point (or a start point or a start operation of a subsequent control operation)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100) or the cont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디바이스(100)가 고정점을 인식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점을 터치 드래그 방식을 포함하여 소정 패턴으로 이동함으로써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4,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to allow the device 100 to recognize the fixed point , The fixed point is mov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ncluding the touch drag method so that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can be controlled.

또한, 도 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디바이스(100)가 고정점을 인식하도록 하고, 파지한 상태로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를 약속된 소정 동작으로 움직여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영역(111)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제2 영역(112)에 대한 터치 동작에 의해,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그림, 사진,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등)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5 to 9, when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grasped at the same time, The device 100 may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motion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nd / or the gyro sensor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device 100 or the touch operation or the movement of the first region 111 may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enlargement or reduction of pictures, pictures, images, and the like) by the touch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ea 112. [

도 5 내지 도 6는 한 손으로 디바이스(100)를 파지한 경우에 대한 그림으로, 한 손으로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제1 영역(111)의 터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그림, 사진,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포함하는 제어가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한 손으로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제1 영역(111)의 터치 드래그를 통한 패턴 압력으로 디바이스(100)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FIGS. 5 to 6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device 100 is held with one hand. In FIG. 5 to FIG. 6,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is gripped together with one hand, The user can perform control including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picture, the picture and the image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by the touch operation of the first area 111 with the other hand. Similarly, the first area 111 ) And the second area 112 are held together to hold the fixed point, the device 100 is unlocked with the pattern pressure through the touch dragging of the first area 111 with the other hand The screen can be turned ON / OFF.

한편, 주머니 속에서 손에 의해 오작동하는 등 일상적인 움직임에 의해 원하지 않게 디바이스(10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제스처 또는 터치 드래그 등이 합치된 경우에만 디바이스(100)가 작동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100 is operated only when various gestures or touch draggings are matched to prevent the device 100 from being operated undesirably due to a usual movement such as a malfunction in the pocket.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소정의 압력으로 함께 터치함으로써 압력 정도에 따라 디바이스(100)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도록 하거나, 또는 터치 압력의의 세기, 방향 등에 따라 사진 등을 표시하는 화면을 줌-인/아웃 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both hands to hold the fixed point, It is possible to unlock the device 100 or turn the screen ON / OFF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by touching the fixed points togeth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to zoom-in the screen for displaying photographs etc. according to the intensity, / Out.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동시에 좌우 또는 상하로 터치 드래그하여, 디바이스(100)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a state in which two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both hands to hold the two fixed points, The device 100 can be unlocked or the screen can be turned on / off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fixed point at the same tim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인식한 상태 또는 상기 고정점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를 패닝(panning)하거나 회전 중심을 만들어 로테이팅(rotating) 하게 되면,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 의한 쿼터니언 백터의 방향값의 변화에 따라 제1 영역(111)에 표현되는 지도, 그림, 영상, 카메라 프리뷰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제공 화면이 패닝 또는 로테이팅 되도록 한다.9,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int is recognized by grasping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or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int is maintained, the device 100 The map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rection value of the quaternary vector by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eomagnetic sensor and the gyro sensor, , The content providing screen of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image and the camera preview is panned or rotated.

예를 들어, 지도 화면에서는 자신이 있는 중심에서 주변의 지리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고정점응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중심에 놓고 디바이스(100)를 회전 또는 상하 동작시킴으로써 지도의 위치를 보여주기에 편리하다.For example, in a map screen, it is very important to easily find the surrounding geography from the center of the map. By positioning the device 100 in the center of the desired area and rotating the device 100, It is convenient to show.

또한, 디바이스(100)를 상하 좌우로 슬라이딩하거나 ㄱ, ㄴ 등의 일정 모양을 취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스처에 의하여,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끄거나, 잠금을 해제하거나, 음량을 조정하는 등의 디바이스(1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gesture includes sliding the device 100 up, down, left, and right, or taking a predetermined shape such as a, b, etc.,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device 100, releasing the lock, adjusting the volume So that the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이러한 구성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및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을 실현하는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가상 현실의 경우에, 사용자가 프리뷰 화면(가상 현실 화면)에서 자신의 위치한 곳의 주변을 360도 살피다가, 고정점의 압력을 세게 하면 줌-인(Zoom-in)되고 약하게 하면 줌-아웃(Zoom-out)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a tool for realizing a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virtual reality, when a user looks at 360 degrees around his / her location on a preview screen (virtual reality screen) and presses the pressure of the fixed point to zoom in, (Zoom-out) imag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110: display unit 120: sensor unit
130:

Claims (13)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00)의 본체(10)가 반으로 접힌(folded) 상태일 때에 외측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111) 및 제2 영역(112)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또는 위치에 따른 상기 제1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상하 위치관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120); 및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역(111) 및 상기 제2 영역(112)을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 영역(111) 및 상기 제2 영역(112)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가 펼쳐진(unfolded)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기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11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주 화면으로, 상기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영역(112)은 주 화면의 콘텐츠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ortion logically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11 and a second region 112 corresponding to an outwardly directed display region when the main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folded in half 110);
Depending on the movement or position of the device 100, A sensor unit 120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sensing a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nd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respectively designated 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part 120.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30; / RTI >
When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to half-folded state during executio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n the unfolded state, the first area 111 located on the top surface is moved Wherein the second area (112)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is operated as a sub screen or an input device for content control of the main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120) further comprise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는 안면 인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디바이스(100)의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로 변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을 앞면과 뒷면으로 각각 지정하되, 상기 안면 인식 수단에 의해 안면을 향하는 쪽으로 인식되는 면을 상기 앞면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앞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11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주 화면으로, 상기 뒷면에 위치하는 제2 영역(112)은 상기 보조 화면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face recognizing unit and the body 10 may be folded in half while the main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unfolded whil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The control unit 130 designates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s the front and back sides respectively and the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toward the fac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face The first area 111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is the main screen indicating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second area 112 located on the rear surface is executed as the sub screen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111)에서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상기 제2 영역(11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는 제2 영역 활성화 버튼을 상기 제1 영역(111)의 일부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영역(112)을 상기 주 화면의 제어를 위한 보조 화면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n a content is being executed from the first area 111 to the main screen while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a second area activation button, which can activate or deactivate the second area 112, The second area 112 is used as a sub screen for control of the main screen or is not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111)에서 주 화면으로 콘텐츠가 실행중일 때에, 상기 제2 영역(112)이 상기 제1 영역(111)에 대한 보조 화면 또는 입력 장치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112)에서 터치 등으로 조작한 내용이나 상태를 상기 제1 영역(111)의 소정 위치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n the content is being executed from the first area 111 to the main screen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the second area 112 is divided into a sub screen for the first area 111, The second area 112 displays a content or a state operated by a touch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111 to inform the user.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00)의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일 때에 외측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111) 및 제2 영역(112)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또는 위치에 따른 상기 제1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상하 위치관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운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120); 및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역(111) 및 상기 제2 영역(112)을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 영역(111) 및 상기 제2 영역(112)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면 디바이스(100)가 상기 위치를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제어동작의 고정점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110 logically divided into a first area 111 and a second area 112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facing outward when the main body 10 of the device 100 is folded in half;
Depending on the movement or position of the device 100, A sensor unit 120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sensing a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nd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respectively designated 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part 120.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30; / RTI >
When the main body 10 is folded in half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is grasped together, the device 10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 And controls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by using the fixed poi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인식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점을 터치 드래그 방식을 포함하여 소정 패턴으로 이동함으로써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tate where the fixed point is recognized by holding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region 112 together to move the fixed point to a predetermined pattern including the touch drag method, ) Or the contents of the folder.
제6항에 있어서,
한 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100)를 소정 동작으로 움직이거나 상기 제1 영역(111)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 또는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evice 100 is moved in a predetermined motion or the first region 111 is held in a state where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one hand to hold the fixed point, To control the device (100) or the content using a touch operation to the device (111).
제6항에 있어서,
한 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의 터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그림, 사진,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포함하는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one hand to hold the fixed point and the second area 112 is held by the other hand with the touch operation of the first area 111 Wherein control is possible including enlargement or reduction of pictures, pictures and images of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제6항에 있어서,
한 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의 터치 드래그를 통한 패턴 압력으로 상기 디바이스(100)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while holding the fixed point with one h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100) is unlocked or the screen is turned on / off by the pattern pressure.
제6항에 있어서,
양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동시에 좌우 또는 상하로 터치 드래그하여, 상기 디바이스(100)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a state in which two fixed points of the first region 111 and the second region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both hands to hold the two fixed points, To unlock the device (100) or to turn the screen on / off.
제6항에 있어서,
양손으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두 곳의 상기 고정점을 소정의 압력으로 함께 터치함으로써 압력 세기 또는 방향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100)를 잠금 해제하거나 화면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1 and 112 are grasped together with both hands so as to hold the fixed point and the two fixed points are touched togeth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so as to measure the pressure Or unlocks the device (100) or turns the screen on / off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2)의 소정 위치를 함께 파지하여 상기 고정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100)를 패닝(panning)하거나 회전 중심을 만들어 로테이팅(rotating) 하면, 상기 제1 영역(111)에 표현되는 지도, 그림, 영상, 카메라 프리뷰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제공 화면이 패닝 또는 로테이팅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evice 100 is panned or rotated to form a rotation center in a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area 111 and the second area 112 are held together to hold the fixed point,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screen of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map, picture, image, and camera preview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1) is panned or rotated.

KR1020170028575A 2017-03-06 2017-03-06 Foldable display device KR101904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75A KR101904143B1 (en) 2017-03-06 2017-03-06 Fold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75A KR101904143B1 (en) 2017-03-06 2017-03-06 Fold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64A true KR20180101964A (en) 2018-09-14
KR101904143B1 KR101904143B1 (en) 2018-10-24

Family

ID=6359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75A KR101904143B1 (en) 2017-03-06 2017-03-06 Fold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4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5704A (en) * 2018-09-21 2019-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0278298A (en) * 2019-06-19 2019-09-24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olding terminal device, Fold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WO2020085704A1 (en) * 2018-10-22 2020-04-30 삼성전자 주식회사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multi-stage display method therefor
CN111128030A (en) * 2020-01-02 2020-05-08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WO2020171591A1 (en) * 2019-02-19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14988A1 (en)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WO2022080990A1 (en)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n basis of shape of sam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926A (en)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9298B2 (en) * 2013-03-27 2018-05-09 日本電気株式会社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5704A (en) * 2018-09-21 2019-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0085704A1 (en) * 2018-10-22 2020-04-30 삼성전자 주식회사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multi-stage display method therefor
US11455925B2 (en) 2018-10-22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multi-stage display method therefor
WO2020171591A1 (en) * 2019-02-19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1409488B2 (en) 2019-02-19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1868671B2 (en) 2019-02-19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CN110278298A (en) * 2019-06-19 2019-09-24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olding terminal device, Fold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11128030A (en) * 2020-01-02 2020-05-08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11128030B (en) * 2020-01-02 2021-11-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WO2022014988A1 (en)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US11762428B2 (en) 2020-07-13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he same
WO2022080990A1 (en)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n basis of shape of sam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43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143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317198B2 (en) Multi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213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KR10209116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05282313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097496B1 (en)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24927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5749043B2 (en) Electronics
KR10168536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70357473A1 (en) Mobile device with touch scree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14891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 by reflecting grip of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221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2541852C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vements
JP6157885B2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13235588A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based on spatial interaction, and corresponding terminal
US9164614B2 (en) Electronic device that invalidates touch input when relative movement between display screens is detected
KR10140423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04360813B (en) A kind of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302859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ollable Illumination Device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CN106796484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8662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389704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switching input mode thereof
CN103353827A (en) Display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JP6027182B2 (en)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