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894A - Smart multi-tap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multi-tap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894A
KR20180101894A KR1020170028427A KR20170028427A KR20180101894A KR 20180101894 A KR20180101894 A KR 20180101894A KR 1020170028427 A KR1020170028427 A KR 1020170028427A KR 20170028427 A KR20170028427 A KR 20170028427A KR 20180101894 A KR20180101894 A KR 2018010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power
outlet
contro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만테크
김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만테크, 김병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만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894A/en
Publication of KR2018010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6Induction meters, e.g. Ferraris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ulti-tap system, which includes an FND for displaying power consumption with respect to each outlet of a multi-tap aggregat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and can remotely control on/off of individual outlets. The multi-tap including a plurality of outlets of the preset invention comprises: an outlet control unit (10) including a power sensor (CT) for sensing power consumption for individual outlets of a multi-tap, a relay (RY) for turning on/off power supply for the individual outlets, and a display (FND) for numerically displaying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individual outlets; an overcurrent sensor (20) for detecting overcurrent of the multi-tap; a temperature sensor (30) for detecting an abnormal increase in a temperature of the multi-tap;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having the outlet control units (10), and controlling the multi-tap through the overcurrent sensor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30); and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and a regulator including a Wi-Fi module (5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tate of a microcomputer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a control request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microcomputer.

Description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Smart multi-tap system}Smart multi-tap system [0002]

본 발명은 멀티 탭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콘센트를 집합시킨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표시하는 FND와 원격지에서 개별 콘센트를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ap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tap system including an FND for displaying power consumption for each outlet of a multi-tap assembly and a smart multi-tap system for controlling on / .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부하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용도에는 부하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콘센트가 공지되어 있다.Generally, in an application where an electrical load is connected to an outlet, there is known an outlet for inserting a plug of a load and mechanically fixing the electrical load.

이러한 콘센트는 벽면 매립, 노출, 외부로 노출되며 여러 개의 콘센트를 형성한 멀티 탭 등이 알려져 있다.Such receptacles are known to be embedded in a wall, exposed, exposed to the outside, and formed with multiple receptacles.

멀티 탭의 경우에는 개별 콘센트를 수동 스위치로 온/ 오프하거나 전체 콘센트에 대하여 누전차단, 온/ 오프 등이 가능하도록 제안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multi-tap, it is proposed that an individual socket can be turned on / off by a manual switch or an electric leakage can be cut off, on / off, etc. for the entire socket.

이러한 멀티 탭에는 다수의 전기적인 부하가 접속됨에 의해 각 부하의 감시와 온/ 오프 등의 제어 대상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일종의 스마트 멀티 탭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In this multi-tap, various types of smart multi-tabs are known in order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and to control it from a remote place as a plurality of electric loads are connected, have.

원격지에서의 제어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조합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예로써 전용 리모콘에 의한 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NFC), 와이파이(Wifi)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루고 있다.Remote control is performed by combin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remote controller, NFC, WiFi, and the like are implemented.

그러나 멀티 탭에 접근하지 아니하고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외부에서 멀티 탭을 제어하는 기술들은 멀티 탭의 개별 콘센트에서 소비 전력을 가시적으로 표시하지 못하고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부하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여 통상 익숙하게 사용하던 멀티 탭과는 다르게 별도의 전용 장치들을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익숙함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echnologies that control multi-tap from near or far outside without accessing the multi-tap can not visibly display power consumption from the individual outlet of the multi-tap and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load only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ulti-tap system, which has a complex system configuration, since separate dedicated devices are config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familiarity can not be reflected.

KRKR 00010001 AA KRKR 00020002 B1B1 KRKR 00030003 B1B1 KRKR 00040004 AA KRKR 00050005 AA KRKR 00060006 B1B1 KRKR 00070007 B1B1 KRKR 00080008 AA KRKR 00090009 B1B1 KRKR 00100010 AA KRKR 00110011 B1B1 KRKR 00120012 AA KRKR 00130013 AA

본 발명은 종래 멀티 탭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ulti-tap system.

본 발명은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소비 전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개별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 각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에 대하여 사용자 인지도를 높이고 과도하거나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관리가 용이한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power consumption of each outlet of a multi-tap in real time and display it as an individual display, thereby enhancing user's awareness of the load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blocking excessive or wasted power, .

본 발명은 멀티 탭에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실장하여 원격지에서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에의한 제어를 가능하게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multi-tap system that enables a smart phone or a computer to be controlled at a remote location by mounting a Wi-Fi communication module in a multi-tap.

본 발명의 원격지에서의 제어는 각 콘센트에 대하여 실시간 소비전력의 통보와 각 콘센트의 온/ 오프 제어에 의한 부하 전력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remot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ulti-tap system that enables notification of real-time power consumption for each outlet and opening / closing of load power by on / off control of each outle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수의 콘센트를 이루는 멀티 탭과, 멀티 탭의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센서,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공급 전력을 온/ 오프하는 릴레이,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제어부와, 멀티 탭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센서와, 멀티 탭의 이상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과전류 센서 및 온도센서를 통해 멀티 탭을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와, 마이컴의 제어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의 제어 요구를 수신하여 마이컴에 전달하는 와이파이 모듈로 이루고 마이컴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ockets, a power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power consumption of individual sockets of the sockets, a relay for turning on / An over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of the multi-tap;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n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multi-tap;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of the overcurrent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microcomputer,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ulti-tap through the microcomputer, a WiFi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tate of the microcomputer to the outside, And a regulator.

상기 마이컴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탭은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실내의 와이파이 공유기에 접속을 설정하여 연결을 이루고 실내의 와이파이 공유기와 연결한 모뎀을 통해 이더넷으로 원격에서의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원격에서의 접속은 PC 또는 스마트폰에 멀티 탭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연동하도록 네트워크 구성을 이룬다.The multi-tap including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establishes a connection to a Wi-Fi router in a room through a Wi-Fi module and establishes a remote connection to the Ethernet through a modem connected to a Wi-Fi router in the room. Establishes a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a multi-tap control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PC or a smartphone to be interlocked.

상기 마이컴 제어부는 주 전원이 연결되면 초기화 실행한 후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해당 콘센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원격지인 외부에서 멀티 탭 제어를 요구를 판단하는 외부제어 단계와, 상기 각 전력감지 센서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의 전력소모를 대기 전력으로 판단하고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콘센트에 대하여 해당 릴레이를 오프 시키는 단계와 과전류 센서에 검출 결과 과전류로 판단되면 모든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든 콘센트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와, 온도 센서 검출 결과 과상승된 온도로 판단되면 모든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든 콘센트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로 제어를 이루는 것과, 원격지의 PC 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제어 요구가 검출되면 외부제어 단계로 인터럽트되어 특정 콘센트 선택 요구를 식별하여 제어 대상 콘센트를 확인하는 단계와, 해당 콘센트에 대하여 온/ 오프 또는 실시간 소모전력 측정요구를 구분하는 제어 요구 식별단계와, 특정 콘센트 온/ 오프 요구에 따라 해당 릴레이를 온/ 오프 제어하는 단계, 제어 결과를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단계와, 특정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실시간 소모 전력을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단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한다.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may include a step of displaying a measured value of a power sensing sensor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each socket of the multi-tap on the display of the socket when the main power is connected, Determining an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as a standby power through each of the power sensing sensors and turning off the relay for an outlet where standby power is consumed; A step of turning off all the receptacle power supplies by turning off all the relays and a step of turning off all the receptacle power supplies by turning off all the relays when the detected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ascended temperature are detected, Or when an external control request is detected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 step of discriminating a control target socket by identifying a specific socket selection request interrupted by a sub control step, a control request identifying step of discriminating a on / off or a real time consumption power measurement request for the socket,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relay on / off, transmitting the control result to the Wi-Fi,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specific socket, controlling the measured real-time consumed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Wi- And.

상기 원격지의 외부 제어를 위하여 외부의 PC 또는 스마트폰에는 마이컴 제어부와 연동을 이루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이 애플리케이션에는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접속하여둔 부하를 식별하도록 접속장치 네이밍 필드와 각 콘센트마다 실시간 소비 전력을 표시하는 필드와, 각 콘센트에 대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클릭(터치) 반전을 이루는 온/ 오프 스위칭 필드와 멀티 탭의 온도 표시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or the external control of the remote site, an external PC or a smart phone include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interfacing with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The application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naming field for identifying the load connected to each outlet of the multi- A field for displaying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and an on / off switching field and a temperature display field for the multi-tap which constitute a click (touch) reversal indicating the on or off state of each outle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소비 전력을 실시간 측정하여 개별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 각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에 대하여 사용자 인지도를 높이고 과도하거나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멀티 탭에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실장하여 원격지에서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므로 제어의 편의성이 높은 동시에 원격지에서의 제어는 각 콘센트에 대하여 실시간 소비전력의 통보와 각 콘센트의 온/ 오프 제어에 의한 부하 전력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므로 외출 후 전력 차단 및 차단상태 확인과, 귀가 전 전력 공급 및 공급상태 확인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outlet of the multi-tap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as an individual display,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awareness of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each outlet and blocking excessive or wasted power It is easy to manage and it can be controlled by a smartphone or a computer by remote control of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multi tap. Therefore, the control is easy and the control at the remote place is informed of the real time power consumption for each outle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wer cut-off and shut-off state after going out, and to check the power supply and supply state before returning, so that convenience is maximized.

또한, 멀티 탭에 연결된 각 부하에 대하여 일정 이하의 대기전력 소모시 해당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멀티 탭의 과전류 및 과도한 온도상승이 발생하면 모든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 사고를 방지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it cuts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socket when the standby power consumed less than a certain amount for each load connected to the multi-tap is prevented, and when the overturrent of the multi tap or the excessive temperature rise occur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컴 제어부의 제어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컴 제어부가 원격지인 외부 제어에 의한 제어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컴 제어부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 제어화면.
1 is a system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step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step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remote control by a remote control.
4 is an application control screen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수의 콘센트를 이루는 멀티 탭에 있어서, 멀티 탭의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센서(CT),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공급 전력을 온/ 오프하는 릴레이(RY),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FND)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제어부(10)와, 멀티 탭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센서(20)와, 멀티 탭의 이상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온도센서(30)와, 상기 콘센트 제어부(10)를 복수로 이루고, 과전류 센서(20) 및 온도센서(30)를 통해 멀티 탭을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40)와, 마이컴의 제어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의 제어 요구를 수신하여 마이컴에 전달하는 와이파이 모듈(50)로 이루고 마이컴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tap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comprising: a power sensing sensor (CT) for sensing power consumption of individual receptacles of the multi-tap; a relay (RY) An overcurrent sensor 20 for detecting the overcurrent of the multi-tap; a temperature sensor 30 for detecting an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multi-tap;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multi-tap through the overcurrent sensor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30 in a plurality of the socket control units 10, And a WiFi module 50 for receiving the control request and delivering the control request to the microcomputer, and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microcomputer and a regulator.

상기 마이컴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멀티 탭은 와이파이 모듈(50)을 통해 실내의 와이파이 공유기에 접속을 설정하여 연결을 이루고 실내의 와이파이 공유기와 연결한 모뎀을 통해 이더넷으로 원격에서의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원격에서의 접속은 PC 또는 스마트폰에 멀티 탭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연동하도록 네트워크 구성을 이룬다.The multi-tap including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establishes a connection to a Wi-Fi router in a room through a Wi-Fi module 50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through a modem connected to the indoor Wi- And the remote connection establishes a network configuration by installing a multi-tap control application on a PC or a smart phone.

상기 마이컴 제어부(40)는 주 전원이 연결되면 초기화 실행한 후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감지 센서(CT)의 측정값을 해당 콘센트의 디스플레이(FND)에 표시하는 단계(100)와, 원격지인 외부에서 멀티 탭 제어를 요구를 판단하는 외부제어 단계(200)와, 상기 각 전력감지 센서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의 전력소모를 대기 전력으로 판단하고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콘센트에 대하여 해당 릴레이를 오프 시키는 단계(110, 120)와 과전류 센서에 검출 결과 과전류로 판단되면 모든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든 콘센트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130, 140)와, 온도 센서로 멀티 탭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150)와 온도 측정 결과 과 상승 된 온도로 판단되면 모든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든 콘센트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160, 170)로 제어를 이루는 것과, 원격지의 PC 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제어 요구가 검출되면 외부제어 단계(200)로 인터럽트되어 특정 콘센트 선택 요구를 식별하여 제어 대상 콘센트를 확인하는 단계(210)와, 해당 콘센트에 대하여 온/ 오프 또는 실시간 소모전력 측정요구를 구분하는 제어 요구 식별단계(220)와, 특정 콘센트 온/ 오프 요구에 따라 해당 릴레이를 온/ 오프 제어하는 단계(230), 온/ 오프 제어 결과를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단계(240)와, 특정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를 측정하는 단계(250), 측정된 실시간 소모 전력을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단계(260)로 제어하는 것에 의한다.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displays the measured value of the power sensing sensor CT for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socket of the multi-tap on the display (FND) of the socket outlet after initialization is executed when the main power is connected An external control step (200) for judging a request for multi-tap control from a remote place or an external location, and a controller for judging power consumption below a certain level as standby power through each of the power detection sensors, (110, 120) for turning off the corresponding relays and turning off all the receptacle power supplies by turning off all the relay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sensor detects the overcurrent,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ulti- (150), and a step (160, 170) for turning off all the outlet power supply by turning off all the relays wh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and the ascended temperature are determined (210), when an external control request is detecte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remote PC or a smart phone, to be interrupted by an external control step (200) to identify a specific outlet selection request to identify the outlet to be controlled; A control request identification step (220) for distinguishing on / off or real-tim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requests; a step (230) for controlling on / off the relays according to a specific receptacle on / off request; (250)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specific outlet, and transmitting (260) the measured real time consumption power to the Wi-Fi.

상기 원격지인 외부에서의 멀티 탭 제어를 위하여 외부의 PC 또는 스마트폰에는 마이컴 제어부(40)와 연동을 이루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이 애플리케이션(300)에는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접속하여둔 부하를 식별하도록 접속장치 네이밍 필드(310)와 각 콘센트마다 실시간 소비 전력을 표시하는 필드(320)와, 각 콘센트에 대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며 클릭(터치) 반전을 이루는 온/ 오프 스위칭 필드(330)와 멀티 탭의 온도 표시 필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xternal PC or smart phone include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interlocking with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for the external multi-tap control. The application 300 has a load connected to each outlet of the multi- A field 320 for displaying real-time power consumption for each outlet, an on / off switching field 330 for displaying on / off states and making a click (touch) inversion for each outlet, And a temperature display field 340 of the multi-tap.

상기 각 콘센트의 소모전력은 각 콘센트 마다 구성한 전력감지센서(CT)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 검출되는 값으로 부하가 정격 소비전력을 하회하면서 작은 대기전력 소모상태(1W 이하)로 검출, 판단될 때 불필요한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콘센트의 릴레이(RY)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대기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지고 작용한다.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receptacles is measured and detected in real time by the power detection sensor (CT) configured for each outlet. When the load is detected and judged as a small standby power consumption state (1W or less) while the load is below the rated power consump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power is consumed, and the relay RY of the corresponding socket is turned off to interrupt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또한, 상기 각 콘센트의 릴레이(RY)를 통해 검출되는 소모 전력이 일정 값을 상회할 때 과전류 소모 상태로 판단하여 전체 릴레이(RY)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과전류에 따른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Further, when the consumed electric power detected through the relay RY of each outlet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consumption state is satisfied and the entire relay RY is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fire due to the overcurrent .

과전류 설정 값은 대략 10KW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멀티 탭의 전기적 구조에 따라 가변 설정하여 제작될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과 과전류 값의 한정은 특별히 제한될 필요은 없다.The overcurrent setting value can be set to approximately 10 kW, which can b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setting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multi-tap, so that the limitation of the standby power and the overcurrent value need not be particularly limited.

온도 설정 값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대략 80℃를 상한 경계값으로 하여 설정하여 두면 안전한 멀티 탭 사용이 가능하고 이 온도를 상회하는 검출이 있을 때 본 발명의 모든 릴레이(RY)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리셋되지 아니하면 전력공급 차단상태를 유지한다.The temperature set valu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use a safety multi-tap if it is set at about 80 DEG C as an upper limit threshold value. When there is detection exceeding this temperature, all the relays R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urned off And if not reset, maintains the power supply cutoff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탭 내부에 와이파이 모듈(50)을 내장하여 실내의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이더넷, 와이파이 및 LTE 망을 경유하여 원격지의 PC 또는 스마트폰과 네트워킹을 이루고 원격지 디바이스에 설치한 멀티 탭 제어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콘센트에 접속한 부하의 명칭을 기록하고 해당 부하의 콘센트에 대하여 실시간 소비전력의 전송과 수신, 해당 콘센트 부하에 대하여 원격지에서의 온/ 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작용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Fi module 50 is built in the multi-tap and networked with a remote PC or smart phone via Ethernet, Wi-Fi or LTE network through an Internet router in the room, The name of the load connected to each outlet is record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eal-time power consumption are performed for the socket of the load, and on / off control of the socket outlet is performed at a remote location.

10: 콘센트 제어부 20: 과전류 센서
30: 온도 센서 40: 마이컴 제어부
50: 와이파이 모듈 RY: 릴레이
CT: 전력 감지센서 FND: 디스플레이
10: outlet control unit 20: overcurrent sensor
30: Temperature sensor 40: Microcomputer control unit
50: WiFi module RY: Relay
CT: Power Sensing Sensor FND: Display

Claims (5)

다수의 콘센트를 이루는 멀티 탭에 있어서,
멀티 탭의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센서(CT),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공급 전력을 온/ 오프하는 릴레이(RY), 개별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전력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FND)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제어부(10)와,
멀티 탭의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 센서(20)와,
멀티 탭의 이상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온도센서(30)와,
상기 콘센트 제어부(10)를 복수로 이루고, 과전류 센서(20) 및 온도센서(30)를 통해 멀티 탭을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40)와,
마이컴의 제어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의 제어 요구를 수신하여 마이컴에 전달하는 와이파이 모듈(50)로 이루고 마이컴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
In a multi-tap comprising a plurality of outlets,
(CT) for detec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dividual receptacles of the multi-tap, a relay (RY)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to the individual outlet, a display (FND) for displaying the power consumption value for the individual outlet, An outlet control unit 10,
An overcurrent sensor 20 for detecting the overcurrent of the multi-tap,
A temperature sensor 30 for detecting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multi-tap,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multi-tap through the overcurrent sensor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30 in a plurality of the socket control units 10,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microcomputer, and a regulator, which is composed of a WiFi module (5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tate of the microcomputer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the control request from the outside and delivering it to the microcomputer Smart multi-tap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멀티 탭은 와이파이 모듈(50)을 통해 실내의 와이파이 공유기에 접속을 설정하여 연결을 이루고 실내의 와이파이 공유기와 연결한 모뎀을 통해 이더넷으로 원격에서의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원격에서의 접속은 PC 또는 스마트폰에 멀티 탭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연동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tap including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establishes a connection to a Wi-Fi router in a room through a Wi-Fi module 50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through a modem connected to the indoor Wi- And a remote tap connection is established by connecting a multi-tap control application to a PC or a smart 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 제어부(40)는 주 전원이 연결되면 초기화 실행한 후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대하여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감지 센서(CT)의 측정값을 해당 콘센트의 디스플레이(FND)에 표시하는 단계(100)와,
원격지인 외부에서 멀티 탭 제어를 요구를 판단하는 외부제어 단계(200)와,
상기 각 전력감지 센서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의 전력소모를 대기 전력으로 판단하고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콘센트에 대하여 해당 릴레이를 오프 시키는 단계(110, 120)와
과전류 센서에 검출 결과 과전류로 판단되면 모든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든 콘센트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130, 140)와,
온도 센서로 멀티 탭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150)와 온도 측정 결과 과 상승 된 온도로 판단되면 모든 릴레이를 오프시켜 모든 콘센트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160, 170)로 제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displays the measured value of the power sensing sensor CT for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socket of the multi-tap on the display (FND) of the socket outlet after initialization is executed when the main power is connected 100,
An external control step (200) for judging a request for multi-tap control from a remote site,
(110, 120) for determining that power consumption below a predetermined level is a standby power through each of the power sensing sensors and turning off the relay for an outlet where standby power is consumed
(130, 140) for turning off all the receptacle power supplies by turning off all the relay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vercurrent sensor is detected as an overcurrent,
(15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multi-tap with the temperature sensor, and a step (160, 170) for turning off all the outlet power supply by turning off all the relays whe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and the ascended temperature are determined Smart multi-tap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어 단계(200)는 원격지의 PC 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제어 요구가 검출되면 인터럽트되어 특정 콘센트 선택 요구를 식별하여 제어 대상 콘센트를 확인하는 단계(210)와,
해당 콘센트에 대하여 온/ 오프 또는 실시간 소모전력 측정요구를 구분하는 제어 요구 식별단계(220)와,
특정 콘센트 온/ 오프 요구에 따라 해당 릴레이를 온/ 오프 제어하는 단계(230), 온/ 오프 제어 결과를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단계(240)와,
특정 콘센트에 연결된 부하의 전력 소모를 측정하는 단계(250), 측정된 실시간 소모 전력을 와이파이로 송신하는 단계(260)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xternal control step (200) includes a step (210) of identifying an outlet to be controlled by identifying a specific outlet selection request when an external control request is detecte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remote PC or a smart phone,
A control request identification step (220) for distinguishing an on / off or real time consumption power measurement request for the socket,
A step 230 of on / off controlling the relays according to a specific receptacle on / off request, a step 240 of transmitting on / off control results to the Wi-Fi,
Measuring a power consumption of a load connected to a specific socket, and controlling the measured real-time power consump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Wi-Fi (26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 제어부(40)와 원격지인 외부에서의 멀티 탭 제어를 위하여 외부의 PC 또는 스마트폰에는 마이컴 제어부(40)와 연동을 이루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며 이 애플리케이션(300)에는 멀티 탭의 각 콘센트에 접속하여둔 부하를 식별하도록 접속장치 네이밍 필드(310)와 각 콘센트마다 실시간 소비 전력을 표시하는 필드(320)와, 각 콘센트에 대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며 클릭(터치) 반전을 이루는 온/ 오프 스위칭 필드(330)와 멀티 탭의 온도 표시 필드(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멀티 탭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PC or smartphone include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interlocking with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for multi-tap control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40 and an external device at a remote place. In the application 300, A field 320 for displaying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for each outlet, a display device 320 for displaying an on-state or an off-state for each outlet, / Off switching field 330 and a temperature display field 340 of the multi-tap.
KR1020170028427A 2017-03-06 2017-03-06 Smart multi-tap system KR201801018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27A KR20180101894A (en) 2017-03-06 2017-03-06 Smart multi-tap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27A KR20180101894A (en) 2017-03-06 2017-03-06 Smart multi-tap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94A true KR20180101894A (en) 2018-09-14

Family

ID=6359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27A KR20180101894A (en) 2017-03-06 2017-03-06 Smart multi-tap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894A (en)

Non-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0001) KR 0001 A
(특허문헌 0002) KR 0002 B1
(특허문헌 0003) KR 0003 B1
(특허문헌 0004) KR 0004 A
(특허문헌 0005) KR 0005 A
(특허문헌 0006) KR 0006 B1
(특허문헌 0007) KR 0007 B1
(특허문헌 0008) KR 0008 A
(특허문헌 0009) KR 0009 B1
(특허문헌 0010) KR 0010 A
(특허문헌 0011) KR 0011 B1
(특허문헌 0012) KR 0012 A
(특허문헌 0013) KR 0013 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3097B1 (en) Thermostat for a HVAC
JP6440064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CN107534312B (en) Remote power control and monitoring of vehicle power systems
EP3827402B1 (en) Well management system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IES20050580A2 (en) A control apparatus
JP4528207B2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houses
US20150303693A1 (e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7221643A (en) Server and program therefor
EP3101775A1 (en)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KR101794580B1 (en) Apparatus for Control Smart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Method thereof
WO2016025998A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JP6811418B2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content sett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101894A (en) Smart multi-tap system
WO2014191722A1 (en) Boiler control system
KR101708762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power monitoring device
JP2017017776A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272665B1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al-time electric power
CN111029825B (en) Socket, electrical appliance, power prot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10140901A1 (en) Point-of-use status indicator
JP2013156193A (en) Emergency power shutoff system
NZ730125A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NZ730125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KR20190063981A (en) R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loads of electric multi outlets
JP2018055291A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method and notific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