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866A -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866A
KR20180101866A KR1020170028365A KR20170028365A KR20180101866A KR 20180101866 A KR20180101866 A KR 20180101866A KR 1020170028365 A KR1020170028365 A KR 1020170028365A KR 20170028365 A KR20170028365 A KR 20170028365A KR 20180101866 A KR20180101866 A KR 2018010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risk
information
server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7425B1 (en
Inventor
김형준
박민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2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25B1/en
Publication of KR2018010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1W1/06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giving a combined indication of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ap display method for a risk of a road section on a map according to a weather, performed in a map service system, the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a web server used therein. The map display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enabling the web server to analyze a map search reques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enabling the web server to transmit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search posi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reduced scale information from a background map database (DB) server and a risk DB server; and enabling the web server to generate map information to mesh up risk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isk DB server and a background image received from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map to make a user easily recognize the risk.

Description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p service system, a map service system, and a web server used in the map service. }

본 발명은 전자 지도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 정보를 전자 지도에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ap displa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displaying weather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map.

최근 유무선 통신 기술, 위성 측위 기술, 지도 정보 기술, 검색 엔진 기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 지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자 지도는 표시 방법에 따라, 2D(2 dimension), 2.5D, 3D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지도는 표시 대상의 종류에 따라 실내 지도, 지형 지도, 교통 지도, 도심지도, 날씨 지도, 테마 지도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형태의 지도는 사용 목적에 맞게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현될 수 있다.Recently, a variety of electronic map services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atellite positioning technology, map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arch engine technology have been provided. The electronic map can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2D (2 dimension), 2.5D, and 3D depending on the display method. In addition, the electronic map can be variously classified into an indoor map, a topographic map, a traffic map, a city map, a weather map, and a theme map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object. The various types of map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최근 들어 전자 지도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전자 지도에는 지도 고유의 지형지물 정보뿐만 아니라, 상세 정보로서 관심 지점(points of interest; POI), 광고, 뉴스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지도에는 교통 정보와 같은 오버레이(overlay) 정보들이 기존 지도 정보 위에 덧붙여 표시될 수 있다. In recent year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using electronic maps have appeared. The electronic map may display points of interest (POI), advertisements, news, etc., as detailed information, as well as map-specific feature information. In addition, overlay information such as traffic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map in addition to existing map information.

그러나 너무 많은 정보의 표시나 정보의 나열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찾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한된 크기의 화면상에서 표시된 정보가 너무 많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 원하는 위치 또는 정보를 찾기 위해 사용자는 확대 등의 추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However, the display of too much information or the listing of information can make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immediately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Also, if there are too many pieces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having a limited siz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a desired position or information. In order to find a desired position or information, the user must perform additional tasks such as enlargement.

또한, 종래 지도서비스는 눈이나 비가 오거나 흐리거나 맑거나 하는 등의 날씨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게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기상에 따른 도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87486호는 위험도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위험도 표시는 다양한 아이콘 및 텍스트들이 제공되는 지도에서 사용자가 위험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ap service does not provide the user with easy to recognize map data indicating the road section risk due to weather such as snow, rain, cloudiness, or clearness. Thi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road situation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can not appropriately cope with the situa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7486 discloses a method of indicating a risk by an icon. However, this type of risk display ha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easily recognize the risk in the map provided with various icons and texts.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74881호는 기상정보를 배경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구간별로 위험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미리 원하는 위치의 도로 전반에 걸친 위험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74881 discloses a method of displaying weather information on a background scree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level is displayed for each road section so that the user can not easily grasp the risk across the road at a desired location in advance.

따라서, 다양한 정보 중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 정보 같은 중요한 정보를 지도상에서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표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appropriately display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road section risk information according to weather among various information on a map to a user.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87486(2011.11.28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7486 (published on Nov.28, 201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74881(2009.07.08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74881 (published on July 8, 2009)

본 발명은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도를 제공할 때 도로구간별 위험도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게 표시한 지도를 제공하는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weather, which provides a map in which a user can easily recognize risk information for each road section when providing a map of a location to be viewed by a user in a map service system To provide a map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은 웹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배경지도 DB(Database) 서버 및 위험도 DB 서버로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배경지도 DB 서버로부터 수신한 배경지도 이미지와 상기 위험도 DB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험도 정보를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displaying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weather, which is performed in a map service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alyzing a map search reques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of a web server, And transmitting th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rch position, the screen center coordinate, and the scale information to the risk DB server, and transmitting th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the background map image received from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and the risk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isk DB server And generating map-up (MESH-UP) map information.

상기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 정보의 공간정보 값을 이용하여 도형객체를 표출하고, 상기 위험도 정보의 위험도 등급 값을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선두께,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도형객체에 적용하여 위험도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지도 이미지의 레이어 위에 상기 위험도 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메쉬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MESH-UP map inform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Pattern is applied to the graphic object to generate a risk layer, and the risk layer is overlaid on the layer of the background map image to mesh up.

상기 지도 표출 방법은 상기 웹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도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메쉬업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p disp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map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from the web server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을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여, 배경지도 DB(Database) 서버 및 위험도 DB 서버로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배경지도 이미지와 위험도 정보를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서버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p service system that performs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weather condition analyzes a map search reques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searches a background map database server and a risk database server , A screen center coordinate, and scal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background map image and the map information (MESH-UP) of the risk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메쉬업하는 것은 상기 위험도 정보의 공간정보 값을 이용하여 도형객체를 표출하고, 상기 위험도 정보의 위험도 등급 값을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선두께,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도형객체에 적용하여 위험도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지도 이미지의 레이어 위에 상기 위험도 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메쉬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sh-up may include displaying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applying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head tack, color, and pattern to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risk grade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Creating a risk layer, and overlaying the risk layer on the layer of the background map image to mesh up.

상기 지도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에 해당하는 배경지도 타일을 추출하여, 추출된 배경지도 타일의 레스터 이미지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배경지도 DB 서버, 및 상기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에 해당하는 위험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험도 정보를 벡터 구조로 변환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위험도 DB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p service system includes a background map database server for extracting a background map tile corresponding to the search posi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raster image of the extracted background map tile to the web server, A risk DB server that extracts ri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converts the extracted risk information into a vector structure, and transmits the vector structure to the web server.

상기 지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 요청을 입력하고 지도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p servi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including a screen on which a user can input a search request and inquire a ma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을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웹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여, 배경지도 DB(Database) 서버 및 위험도 DB 서버로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배경지도 이미지와 위험도 정보를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eb server used in a map service system that performs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wea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map search reques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 background map DB server and a risk map Transmits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search location, a screen center coordinate, and scale information to a DB server, and transmits map information on the received background map image and the risk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MESH-UP) .

본 발명의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웹 서버는 기상 등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를 위험요인 및 위험 등급에 따라 모양, 색상 등을 달리하여 배경지도(레스터) 레이어에 위험도(벡터) 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험도를 인지하기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행 경로 수정, 차량 장비 점검 등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를 미리 할 수 있다. The map display method, the map service system, and the web server according to the w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risk map and a risk map according to a risk level and a risk level, (Vector) layer overl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risk. It also allows the user to remediate risk situations, such as correcting travel routes and inspecting vehicl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지도 레이어와 위험도 레이어의 메쉬업(MESH-UP)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조회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지도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erforming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of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h-up (MESH-UP) of a background map layer and a risk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examples of a map display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flowcharts of a background mapp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을 포함하는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the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entry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entry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includes " Or "have." ,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Quot; or " an " or < / RTI >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p service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도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통신망(200), 웹서버(300), 배경지도 DB 서버(400) 및 위험도 DB 서버(500)를 포함한다.The map service system 10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communication network 200, a web server 300, a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and a risk DB server 500.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지도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설치하여 지도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nd may b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a notebook,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navigation devic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 A user can use a map providing service by accessing a web site providing a map providing appli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100 or installing an application (or APP (APP)) on the user terminal 100. [

상기 지도 제공 서비스 이용 시 현재 위치 또는 마지막으로 검색한 위치에 관한 지도가 자동으로 시작 화면에 조회될 수 있다. A map of the current position or the last searched position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when using the map providing servic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지도를 조회하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조회하고자 하는 위치로 어느 한 지점의 명칭(예를 들어, 도/시/군/구 등의 행정구역 명칭, 도로명, 건물명, 지번 등)을 입력하여 그 지점을 중심으로 한 지도를 조회하거나 출발지 및 도착지를 입력하여 해당 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조회할 수 있다. The user inputs a position at which the map is to be inquir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inputs a name of a certain point (for example, a name of an administrative area such as a city / city / county / district, a road name, a building name, a lot number, etc.)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can be inputted and the map including the route can be inquired.

사용자는 조회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도 제공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GPS 기능이 내장된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현재 위치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the position to be searched directly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map providing application or automatically input the current position when using the terminal with the built-in GPS function.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조회한 지도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볼 수 있도록 축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축척의 조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한쪽에 축척 조절 바를 두거나, 레벨 등의 수치를 직접 입력하거나, 확대 및 축소 제스처 등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adjust the scale to enlarge or reduce the displayed map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scale can be adjusted by placing a scale adjustment bar on one sid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by directly inputting numerical values such as a level, or by using an enlarging and reducing gesture.

사용자가 지도를 조회하고자 하는 위치(또는 경로)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접속한 통신망(200)을 통해 웹서버(300)로 입력된 위치(경로), 화면 중심 좌표(경위도 좌표 (x, y)) 및 축척(표출 레벨)을 포함한 지도 검색 요청을 전송한다.When the user inputs a position (or a path) for searching a map,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position (path), screen center coordinates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x , y)) and a scale (display level).

통신망(2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00)들과 웹서버(3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들이 웹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망(200)은 LAN(Local Area Networks), WAN(Wide Area Networks), MAN(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can connect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to the web server 300. That is, the user terminals 100 can access the web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a LAN (Local Area Networks), a WAN (Wide Area Networks), a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s), an 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or a wireless LAN, CDMA, Bluetooth, But is not limited to, a wireless network.

웹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지도 검색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지도 검색 요청에 포함된 위치(또는 경로), 화면 중심좌표, 축척 등을 분석하여 배경지도 DB 서버(400)와 위험도 DB 서버(500)로 검색정보를 전송한다. After receiving the map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web server 300 analyzes the location (or path), screen center coordinates, scale,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map search request, And transmits search information to the DB server 500.

또한 웹서버(300)는 배경지도 DB 서버(400)와 위험도 DB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배경지도 타일(레스터 이미지) 정보 및 위험도(벡터) 정보를 메쉬업(MESH-UP)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Also, the web server 300 meshes up the background map tile (raster image) information and the risk information (vect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and the risk DB server 500, 100).

배경지도 DB 서버(400)는 축척 레벨에 따른 배경지도 타일 셋을 저장하는 서버로 외부에서 제공하는 배경지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서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이버, 다음 등에서는 OPEN API로 배경지도를 제공하고 있어, 이러한 외부 서버로부터 배경지도를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출 레벨별 배경지도 타일 셋을 직접 제작하여 내부 서버에 저장하고 이용할 수도 있다.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may be an external server when a background map provided from the outside is used as a server for storing a background map tile set according to the scale level. For example, in Naver, next, etc., the background map is provided by the OPEN API, and a background map can be retrieved from such an external server and used. Also, it is possible to directly create a set of background map tiles for each display level and store them in an internal server.

위험도 DB 서버(500)는 해당 구간(링크)별 강우, 강설 등의 기상 조건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위험도는 강우, 강설뿐만 아니라 다른 기상 조건에 따른 위험도(예를 들어, 눈부심, 풍속, 안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위험도는 다양한 위험도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위험 등급을 산출한 결과일 수 있다. The risk DB server 500 is a server for storing the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fall and snowfall for each section (link). This risk may be not only rainfall, snowfall, but also the risk (for example, glare, wind speed, fog, etc.) due to other weather conditions. In addition, this risk may be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risk level through various risk analysis algorithms.

상기 지도 서비스 시스템(10)에서 웹서버(300), 배경지도 DB 서버(400) 및 위험도 DB 서버(500)는 적어도 둘 이상이 한 장치로 구성되거나 각각 다른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map service system 10, the web server 300,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and the risk DB server 50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devic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2 is a flow chart of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지도 검색 화면을 통해 지도를 검색하고자 하는 위치(또는 경로)를 입력한다(S1). 상기 위치는 사용자가 지도 검색 화면에 직접 검색하고자 하는 위치를 도/시/군/구/동 등의 행정구역명, 건물명, 도로명, 지번 등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GPS 기능이 내장된 사용자 단말의 경우 현재 위치에 대한 지도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현재 위치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를 입력하여 경로를 포함한 지도를 검색할 수도 있다. GPS 기능이 내장된 사용자 단말의 경우에는 경로 검색시 현재 위치가 자동적으로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입력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a user inputs a location (or route) to search for a map through a map sear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S1). The location may be a location to which a user wants to search directly on a map search screen, such as a city name, a city / county / city / province, a building name, a street name, If you want to view the map for the current location, the current location can be automatically entered. Also,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map including the route by input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user terminal having a built-in GPS function, the current position may be automatically input as a start point or a destination point when a route is searched.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된 위치(또는 경로)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지도 검색 요청을 웹서버(300)로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전송한다(S2).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map search request including the input location (or route) information and the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web server 3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0 (S2).

웹서버(300)는 지도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여 입력된 위치(또는 경로)정보, 화면 중심 좌표 및 축척 정보를 추출한다(S3). 추출한 입력된 위치(또는 경로)정보, 화면 중심 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각각 배경지도 DB 서버(400)와 위험도 DB 서버(500)로 전송한다(S4 및 S5). The web server 300 receives the map search request, analyzes the received map search request, and extracts the inputted location (or path) informa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S3). And transmits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the extracted input location (or route) informa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to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and the risk DB server 500, respectively (S4 and S5).

배경지도 DB 서버(400)에는 배경지도 DB 서버(400)에는 표출 레벨별로 제작된 배경지도 타일 셋이 저장된다. 즉, 배경지도는 WMTS(Web Map Tile Service)방식으로 제공되며 각 표출 레벨별로 배경 데이터 셋을 배경지도 DB 서버(400)에 저장하여 이용한다. In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a background map tile set produced for each expression level is stored in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That is, the background map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eb Map Tile Service (WMTS), and a background data set is stored in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for each presentation level.

배경지도는 네이버, 다음 등이 open API로 제공하는 배경지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background map may be a background map provided by the open API such as Naver or the like.

배경지도 DB 서버(400)는 검색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위치(또는 경로), 화면 중심 좌표 및 축척에 해당하는 지도 타일 셋을 추출한다. 표 1은 배경지도에 표출되는 정보 구성의 일 예로 소축척에서 대축척으로 갈수록 67번 정보부터 1번 정보까지의 정보들이 배경지도에 표출된다. 예를 들어, 국가 인터넷 지도의 경우 6레벨(소축척)에서 19레벨(대축척)으로 갈수록 67번 정보부터 1번 정보까지의 정보들이 배경지도에 표출된다. 따라서, 배경지도 DB 서버(400)는 검색 정보에 포함된 화면 중심 좌표 및 축척에 해당하는 표출레벨 배경지도 셋을 추출한다.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receives the search information and extracts a map tile se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position (or path), the screen center coordinate, and the scale. Table 1 shows an example of the composition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ackground map. From the small scale to the large scale,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No. 67 to information No. 1 i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map.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national Internet map, information from the 6th level (small scale) to 19th level (large scale) i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map from information 67 to 1. Therefore,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extracts a set of background level maps corresponding to the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cluded in the search information.

번호number 정보 항목Information item 번호number 정보 항목Information item 1One 건물출입구Building entrance 3636 레저/스포츠Leisure sports 22 새주소건물번호New address building number 3737 택지개발구역Land development area 33 지하철편의시설Subway Facilities 3838 교육기관
(대학교)
Educational Institutions
(University)
44 도로통행시설Road traffic facilities 3939 행정기관
(시, 군청)
Administrative agency
(City, County)
55 새주소도로명New address road name 4040 행정기관
(도청 및 광역시청)
Administrative agenc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66 음식점restaurant 4141 관광명소Attractions 77 고가차도A highway driveway 4242 행정구역면명Administrative area name 88 구역내건물In-Zone Building 4343 행정구역읍명Administrative District Name 99 종교시설Religious facilities 4444 IC명IC name 1010 지하철입구번호Subway entrance number 4545 행정구역구명Administrative district name 1111 대로명칭Name 4646 자연물Nature 1212 교차로명Intersection name 4747 주요도로Main road 1313 지하차도명Underground driveway name 4848 JC명JC name 1414 시장market 4949 교량Bridge 1515 산업시설Industrial facility 5050 국도National road 1616 주요금융Main finance 5151 국도번호National Route Number 1717 특화거리Specialized Street 5252 도립공원Provincial Park 1818 고가차도A highway driveway 5353 공항airport 1919 행정기관
(동사무소)
Administrative agency
(Government office)
5454 고속도로명Highway name
2020 교육기관
(초중고)
Educational Institutions
(Middle and high school)
5555 고속도로번호Expressway number
2121 주거시설Residential facility 5656 국립공원A national park 2222 문화생활시설Cultural living facility 5757 도시고속도로City highway 2323 터널명칭Tunnel name 5858 페리항로Ferry Route 2424 공원명칭Name of the park 5959 행정구역군명칭Administrative District Name 2525 행정구역리명Administrative district renamed 6060 행정구역시명칭Administrative District also name 2626 행정구역동명Administrative district name 6161 도명Name 2727 등산로Hiking trail 6262 고속도로highway 2828 교통시설Traffic facilities 6363 시도경계Trial boundary 2929 숙박시설Accommodation 6464 국가경계National boundaries 3030 의료시설Medical Facilities 6565 주요도시Major cities 3131 지하철역명Subway station name 6666 국가간바다명Intermarriage 3232 지하철노선Subway line 6767 국가명Country 3333 교량Bridge 3434 교량명Bridge name 3535 국철역명National Railway Station Name

위험도 서버(500)는 검색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영역의 위험도 정보를 추출한다. The risk server 500 receives the search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ris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위험도 정보는 도로 구간(링크)별 강우 또는 강설에 따른 위험 등급일 수 있다. 즉, 도로 구간을 구분한 링크별로 강우 또는 강설에 따른 도로 위험 등급(예를 들어, 상, 중, 하로 분류)을 다양한 위험도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한 정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information may be a degree of danger due to rainfall or snowfall by road section (link). That is, it may be information obtained by various risk analysis algorithms based on the road hazard class (for example, upper, middle, and lower classes) according to rainfall or snowfall for each link classified as the road section.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도로 위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먼저, 특정 기간에 대해 1분 단위 기상자료를 각 링크(시작 진입위치에서 종료 진출위치까지의 도로 중심선)별로 5분 단위로 집계하고, 5분 단위 강수량을 일 누적강수량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5분 단위로 기상정보를 가공한다. 그런 다음 동일한 기간에 대해 1분 단위 교통자료를 링크별로 5분 단위로 집계하고 차량 속도는 산술평균으로 작성하고 교통량은 각 시간별 자료를 합계하여 5분 단위로 교통정보를 가공한다. 마지막으로 사고 주변 링크에 대하여 상기 기상정보, 상기 교통정보 및 기하구조 정보를 융합하여 강우/강설 등의 기상정보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등급을 모델계산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ad hazard class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First, the 1-minute meteorological data for a specific period is aggregated in 5-minute increments for each link (the road center line from the start entry point to the exit entry point), and the 5-minute precipitation amount is calculated using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amount for 5 minutes Weather information is processed in units. Then, the traffic information is processed in units of 5 minutes for each link in the same period, and the traffic speed is calculated as an arithmetic average. Finally, the danger zone of the road section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such as rainfall / snowfall can be calculated by a model calculation formula by merging the weather inform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geometry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accident surrounding link.

표 2는 위험도 DB 서버(500)에 저장되는 위험도 정보 테이블의 예이다.Table 2 is an example of a risk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risk DB server 500.

링크
ID
link
ID
도로
정보
road
Information
강우
위험도 등급
rainfall
Risk rating
공간
정보
space
Information
001001 경부고속도로Gyeongbu Expressway Priz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002002 경부고속도로Gyeongbu Expressway medium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003003 중앙고속도로Central highway Ha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 ... ...

표 2와 같이 도로 구간을 구별한 링크 ID별로 위험도 등급 정보와 공간 정보(링크 좌표)를 위험도 DB 서버(500)에 저장한다. 배경지도 DB 서버(400)는 추출된 이미지 파일(예를 들어, PNG) 형태의 배경지도 타일들을 웹서버(300)로 전송한다(S8).As shown in Table 2, the risk level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link coordinates) are stored in the risk DB server 500 for each link ID that distinguishes the road section.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transmits background map tiles in the form of an extracted image file (e.g., PNG) to the web server 300 (S8).

위험도 DB 서버(500)는 저장된 위험도 정보 중 사용자가 요청한 위치에 해당되는 위험도 정보를 벡터 형식으로 웹서버(300)로 전송한다(S9). The risk DB server 500 transmits the ri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requested by the user among the stored risk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300 in a vector format (S9).

웹서버(300)는 1차적으로 DB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위험도 정보의 공간정보 값을 이용하여 도형객체를 표출하고 위험도 등급 값을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두께(예를 들어, 선두께), 색상(예를 들어, 빨강, 노랑, 녹색 등), 패턴(예를 들어, 솔리드, 스트라이프 등) 등의 디자인을 적용하여 위험도 레이어(벡터 레이어)를 생성한다. 이후 2차적으로 수신된 배경지도 이미지 레이어(레스터 레이어) 위에 위험도 레이어(벡터 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메쉬업(MESH-UP)한다(S10). The web server 300 firstly displays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B server 500 and displays the graphic object us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leading edge) A risk layer (vector layer) is created by applying a design such as color (e.g., red, yellow, green), pattern (e.g., solid, Then, the risk layer (vector layer) is overlaid on the secondarily received background map image layer (raster layer) to mesh up (MESH-UP) (S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지도 레이어와 위험도 레이어의 메쉬업(MESH-UP)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지도 이미지 타일 레이어(레스터 레이어)(600)위에 수신한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된 위험도 레이어(벡터 레이어)(700)를 오버레이하여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를 생성한다. 이때, 위험도는 위험요인에 따라 모양을 달리하거나 위험등급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요인이 강우인 경우에는 솔리드(solid)형태로 해당 링크를 표시하고, 위험요인이 강설인 경우에는 스트라이프(stripe)형태로 해당 링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험 등급이 '상'인 경우에는 빨강(R), '중'인 경우에는 노랑(Y), 그리고 '하'인 경우에는 초록(G) 색으로 해당 링크를 표시할 수 있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h-up (MESH-UP) of a background map layer and a risk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risk map is generated by overlaying a risk layer (vector layer) 700 displayed using the received vector information on a background map image tile layer (laster layer) 600. At this time, the risk can be displayed on the map by changing the shape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or the color depending on the risk level. For example, if the risk factor is rainfall, the link can be displayed in a solid form, and if the risk factor is snowfall, the link can be displayed in a stripe form. In addition, when the risk level is 'Up', the corresponding link can be displayed in red (R), 'Medium', and Yellow (Y).

웹서버(300)는 메쉬업된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한다(S11).The web server 300 transmits a map indicating the risk of the mesh-up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0 (S11).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조회한 지도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볼 수 있도록 축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축척의 조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한쪽에 축척 조절 바를 두거나, 레벨 등의 수치를 직접 입력하거나, 확대 및 축소 제스처 등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a map indicating the received risk on the screen. The user can adjust the scale so that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enlarged or reduced. The scale can be adjusted by placing a scale adjustment bar on one sid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by directly inputting numerical values such as a level, or by using an enlarging and reducing gestur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조회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을 지도영역(110)과 범례영역(120)으로 분할하여 위험도를 포함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4A to 4C are examples of a map display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the map service application may divi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into a map area 110 and a legend area 120 to provide a map including a risk.

지도영역(11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다. The map area 110 is an area for displaying a map indicating the degree of risk as shown in FIG. 4B.

범례영역(120)은 표시대상 위험요인 및 모양/색깔에 따른 위험등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다. 위험요인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toggle) 스위치 등의 형태로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The legend area 120 is an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risk level to be displayed and a risk level according to a shape / color. The risk factor can be selected in the form of a toggle switch or the like as shown in FIG. 4B.

지도영역(110)과 범례영역(12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될 수도 있으나 상하, 대각선 등으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각 영역의 크기 또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범례영역(120)을 숨기고 지도영역(110)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The map area 110 and the legend area 120 may be divide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S. 4A to 4C, but they may be divided vertically and diagonally, and the size of each area is also adjustable. In addition, the legend area 120 may be hidden and only the map area 110 may be displayed.

도 4c에서는 강우 위험도를 표시한 지도영역과 범례영역을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4c-1), 지도영역만 디스플레이하는 화면(4c-2), 강우 위험도 표시를 선택한 화면(4c-3) 및 강우 위험도 표시를 선택하지 않은 화면(4c-4)의 예를 도시한다. In FIG. 4C, a screen 4c-1 for displaying both the map area and the legend area showing the risk of rainfall, a screen 4c-2 for displaying only the map area, a screen 4c-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4c-4 on which no display is select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에서는 외부에서 제공하는 배경 지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배경 지도를 자체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the weather,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ground map provided from the outside may be used, but the background map may be produced by itself.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지도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배경지도 제작 방법은 배경 데이터 가공 단계(S100), 맵 디자인 정책 수립 단계(S200), 표출 레벨별 데이터 셋 구성 단계(S300), MXD 파일 생성 및 검증 단계(S400), 맵 타일 생성 단계(S500), 타일 검수 및 보완 단계(S600), 및 타일 변환 및 압축 단계(S700)를 포함한다. 5A is a flowchart of a background map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a background map generation method includes a background data processing step S100, a map design policy establishment step S200, a data set configuration step S300, an MXD file creation and verification step S400, A creation step S500, a tile ver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step S600, and a tile conversion and compression step S700.

배경 데이터 가공 단계(S100)에서는 국가기본지도, 새주소, 연속지적도 등의 원천자료를 대상으로 기반 및 별도 DB 레이어 셋을 구성하고 가독성 향상 등을 위해 배경 데이터를 가공한다. 또한, 대중교통 레이어, 레저 레이어 등 별도 구축 데이터를 선정하여 데이터를 구축한다.In the background data processing step (S100), the base data and the separate DB layer set are configured for the source data such as the country base map, the new address, and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and the background data is processed to improve the readability. In addition, data is constructed by selecting separate construction data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layer and leisure layer.

맵 디자인 정책 수립 단계(S200)에서는 배경 레이어별, LOD (Level Of Detail)별 색상 정책을 수립하고, 데이터 타입별 가이드(선, 면)를 수립한다. 또한, 아이콘 파일을 구축하고 폰트를 개발한다. In the map design policy establishment step (S200), a color policy for each background layer and LOD (level of detail) is established, and a guide (line, face) for each data type is established. Also build icon files and develop fonts.

표출 레벨별 데이터 셋 구성 단계(S300)에서는 축척 레벨을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각 표출 레벨별로 표출할 정보를 표시한 레이어 셋을 구축한다. 또한, 레벨별 표출 주기셋을 구축하며 레벨별 특성에 따른 주기 및 폰트 크기를 선정할 수 있다.In the data set configuration step (S300) for each expression level, a layer set in which the scale level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steps and information to be displayed for each expression level is displayed is constructed. Al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et of display periods for each level, and to select a period and a font size according to level-specific characteristics.

MXD 파일 생성 및 검증 단계(S400)에서는 MXD 파일 생성 및 검증 단계(S400)에서는 표출 레벨별 데이터 셋에 적용할 레이어 색상, 아이콘, 주기, 폰트의 색상 및 크기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MXD(Map Document)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샘플 타일링을 실시하여 맵디자인, LOD, 주기 중첩, 위계 순서 등 육안 사전 검수를 진행한다. 타일 생성 단계(S500)에서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표준을 준용하고, 우리나라 지도에 맞는 서비스를 하기 위한 축척레벨까지 렌더링한 맵 타일(map tile)을 생성한다. In the MXD file creation and verification step S400, an MXD (Map Document (MXD) file)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layer color, icon, cycle, font color and size to be applied to the data set for each expression level ) File. In addition, sample tiling is carried out to carry out preliminary visual inspection such as map design, LOD, cycle overlap, and hierarchical order. In the tile generation step (S500), a map tile is generated which is based on the Open Geospatial Consortium (OGC) standard and rendered to a scale level for service matching the Korean map.

타일 검수 및 보완 단계(S600)에서는 자체 개발 프로그램(예를 들어, 빈 타일 검수기 등) 등을 이용하여 자동 검수를 실시한다. 또한, 타일 뷰어를 통해 육안 검수를 실시하고 검수표 작성 등을 통해 오류 자료를 보완한다.In the tile inspection and supplementation step (S600), automatic inspection is performed using a self-developed program (for example, a bin tile inspection machine). In addition, visual inspec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tile viewer and the error data is supplemented by writing a check.

타일 변환 및 압축 단계(S700)에서는 타일 파일 변환기를 이용하여 파일 유형을 변경한다. 또한 업로드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을 압축한다.In the tile conversion and compression step (S700), the tile file converter is used to change the file type. It also compresses the file to improve upload speed.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생성된 배경지도 타일을 배경지도 DB 서버(400)에 저장하여 지도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The background map tiles generated through the step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400 and used for the map service.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 예가 기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들이 또한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술된 단계들의 일부는 순서 독립적이므로 기술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A number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Nevertheles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other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some of the step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described, since they are order independent.

100: 사용자 단말
110: 지도 영역 120: 범례 영역
200: 통신망 300: 웹서버
400: 배경지도 DB 서버 500: 위험도 DB 서버
600: 배경지도 레이어 700: 위험도 레이어
100: user terminal
110: map area 120: legend area
200: Network 300: Web server
400: background map DB server 500: risk DB server
600: Background map layer 700: Risk layer

Claims (8)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에 있어서,
웹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배경지도 DB(Database) 서버 및 위험도 DB 서버로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배경지도 DB 서버로부터 수신한 배경지도 이미지와 상기 위험도 DB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험도 정보를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meteorological operation performed in a map service system,
Analyzing the map retrieval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by the web server;
Transmitting, by the web server,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search location, a screen center coordinate, and scale information to a background map DB server and a risk DB server; And
(MESH-UP) map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map image received from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and the risk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isk DB server,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 정보의 공간정보 값을 이용하여 도형객체를 표출하고, 상기 위험도 정보의 위험도 등급 값을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선두께,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도형객체에 적용하여 위험도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지도 이미지의 레이어 위에 상기 위험도 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메쉬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MESH-UP map inform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Pattern is applied to the graphic object to generate a risk layer, and the risk layer is overlaid on the layer of the background map image to mesh up the road section ri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도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메쉬업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b server receiving a map search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y the web server.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을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여, 배경지도 DB(Database) 서버 및 위험도 DB 서버로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배경지도 이미지와 위험도 정보를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
1. A map service system for carrying out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weather,
Analyzes the map retrieval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retrieval information including retrieval posi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to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and the risk DB server, and transmits the retrieved background map image and the risk information And a web server for transmitting map-up MESH-UP map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업하는 것은 상기 위험도 정보의 공간정보 값을 이용하여 도형객체를 표출하고, 상기 위험도 정보의 위험도 등급 값을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된 선두께,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도형객체에 적용하여 위험도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지도 이미지의 레이어 위에 상기 위험도 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메쉬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esh-up may include displaying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applying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head tack, color, and pattern to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risk grade value of the risk information Creating a risk layer and overlaying the risk layer over the layer of the background map image to mesh u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에 해당하는 배경지도 타일을 추출하여, 추출된 배경지도 타일의 레스터 이미지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배경지도 DB 서버; 및
상기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에 해당하는 위험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험도 정보를 벡터 구조로 변환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위험도 DB 서버를 더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background map DB server extracting a background map tile corresponding to the search posi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raster image of the extracted background map tile to the web server; And
Further comprising: a risk DB server for extracting the ri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al position, the screen center coordinate, and the scale information, converting the extracted risk information into a vector structure, and transmitting the vector structure to the web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 요청을 입력하고 지도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including a screen in which a user can input a search request and display a map.
기상에 따른 도로구간 위험도의 지도 표출 방법을 수행하는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웹서버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지도 검색 요청을 분석하여, 배경지도 DB(Database) 서버 및 위험도 DB 서버로 검색 위치, 화면 중심좌표 및 축척 정보를 포함한 검색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한 배경지도 이미지와 위험도 정보를 메쉬업(MESH-UP)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A web server used in a map service system that performs a map display method of a road section risk according to a weather,
Analyzes the map retrieval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ransmits retrieval information including retrieval position, screen center coordinates, and scale information to the background map DB server and the risk DB server, and transmits the retrieved background map image and the risk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ESH-UP map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KR1020170028365A 2017-03-06 2017-03-06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KR102367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65A KR102367425B1 (en) 2017-03-06 2017-03-06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65A KR102367425B1 (en) 2017-03-06 2017-03-06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66A true KR20180101866A (en) 2018-09-14
KR102367425B1 KR102367425B1 (en) 2022-02-24

Family

ID=6359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365A KR102367425B1 (en) 2017-03-06 2017-03-06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881A (en) 2008-01-03 2009-07-08 (주)엠앤소프트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using of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and car navigation system of that
KR101087486B1 (en) 2004-12-16 2011-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ngerous area in navigation system
KR101335924B1 (en) * 2012-08-30 2013-12-0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serving information of dangerous district forecast based on natural disaster dangerous district data
KR101394861B1 (en) * 2012-12-26 2014-05-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detection of flooding risk roads in real time using the weather center information and offering its service based on the we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86B1 (en) 2004-12-16 2011-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ngerous area in navigation system
KR20090074881A (en) 2008-01-03 2009-07-08 (주)엠앤소프트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using of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and car navigation system of that
KR101335924B1 (en) * 2012-08-30 2013-12-0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serving information of dangerous district forecast based on natural disaster dangerous district data
KR101394861B1 (en) * 2012-12-26 2014-05-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detection of flooding risk roads in real time using the weather center information and offering its service based on the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25B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3337B1 (en) Generating a graphic model of a geographic object and systems thereof
US9404753B2 (en) Navigating on images
US8442767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route guidance
US9146126B2 (en) Interactive geographic feature
EP2290323A1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route guidance
US7737987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rast of map elements for navigation system
EP2393076A2 (en) Navigable topological maps
JP2007226688A (en) Position search apparatus, position search method and program
US8301641B2 (en)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database for use with a navigation system
US20110167065A1 (en) Data genera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genera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ata generat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367425B1 (en)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JP4124789B2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map distribution server
Bartelm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JP3673504B2 (en)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program
JP65745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drawing method
JP4822556B2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map distribution server
JP4883615B2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DEVICE, MAP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PROGRAM, AND MAP DISPLAY METHOD
Ojiako et al. Application of GIS and remote sensing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Asaba Urban Street Network of Delta State, Nigeria
Riokka et al. Mapping of Restaurant Distribution in The Wonokromo District Area Using Google Platform
JP7189798B2 (en) Map display device, method and program
Zeeb et al. Development of landmark based routing system for in-car GPS navigation
Garba et al. The use of GIS and Google Earth images for mapping of Taraba State University Campus
Haunert et al. Using a gis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driving simulator scenes
Kumar et 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
Emeribeole et al. Digital mapping techniques: A vital tool for updating topographic maps in Nigeria (A case study of Okigwe Local Government Area in Imo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