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170A - 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which support beamforming and Apparatuse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which support beamforming and Apparatus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170A
KR20180101170A KR1020180002228A KR20180002228A KR20180101170A KR 20180101170 A KR20180101170 A KR 20180101170A KR 1020180002228 A KR1020180002228 A KR 1020180002228A KR 20180002228 A KR20180002228 A KR 20180002228A KR 20180101170 A KR20180101170 A KR 20180101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information
base station
cells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6256B1 (en
Inventor
김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5/909,89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12911B2/en
Publication of KR2018010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cessing a handover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a beamforming in conjunction with a 5G core network system in a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a handover by a base sta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receiving a plurality of cells and wireless quality measurin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beam of each cell from a terminal; determining necessity of a handover based on the wireless quality measur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a core network entity when determining that the handover is necessary; and receiving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the core network entity.

Description

차세대 무선망에서 빔포밍을 지원하는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which support beamforming and Apparatuses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in a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무선 액세스망(이하, NR[New Radio]라고도 함)에서 5G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handover between a 5G base station supporting beamforming in a 5G core network system in a next generation /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NR (New Radio)).

기존 LTE는 코어 네트워크인 EPC에 연동된 LTE 기지국과의 연동을 위한 베어러 관리를 S1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토콜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The existing LTE supports bearer management for interworking with LTE base stations linked to the EPC core network through the S1 interface and application protocol.

한편, 5G 네트워크가 새로 도입되면서 5G 기지국 간의 이동성(Mobility)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특히 5G의 기지국이 고주파 대역의 mmWave 주파수(ex. 28GHz)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파수의 특성으로 인해 기지국의 coverage가 더욱 작아질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 경우 단말이 기지국을 이동하는 과정의 빈도가 높아지고 이를 위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5G network is newly introduced,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 mobility between the 5G base stations. Especially, when the 5G base station uses the high frequency band mmWave frequency (ex 28GHz),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to be small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Therefore, in this case, the frequency of the process of moving the base station i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the handover procedure is emphasized.

또한, 5G에서 기지국은 대규모로 구축되며 5G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이 필수 사항이 된다. 그리고 5G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 신호를 전송할 때 빔포밍(beamforming)을 지원하기 때문에 빔포밍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하다.In addition, in 5G, base stations are built on a large scale and interworking with 5G core network is essential. In addition, since beamforming is supported when a base station transmits a signal to a terminal in 5G, consideration for beamforming is also required.

따라서, 5G 기지국은 5G 코어 네트워크와 직접 연동되며, 5G 기지국과 5G 코어 네트워크 간 인터페이스(이하, NG로 호칭될 수 있음) 및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한 응용 프로토콜인 NGAP(NG Applic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핸드오버 절차가 필요하다.Therefore, the 5G base st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5G core network and is an efficient (based on NGAP (NG Application Protocol), which is an application protocol for the interface between the 5G base station and the 5G core network A handover procedure is required.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5G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사이를 단말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핸드오버(handover)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erforming a handover that occurs when a mobile station moves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onnected to a 5G core network.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일 실시예는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코어망 개체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 handover of a base station,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from a terminal; A Handover Requir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re network ent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handover is necessary, and a Handover Command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entit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또한, 일 실시예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초로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station, including: transmitt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to a first base station; 2 receiving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instructing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and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또한,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that handles handover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receives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from a terminal and receives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the core network entity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re network ent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necessary based on the reception unit and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o provide.

또한,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초로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to a first base station;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본 실시예를 통해 5G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사이를 단말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5G 무선 네트워크의 구축 및 운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handover occurring when a mobile station moves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onnected to a 5G core network, thereby providing service continuity and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building and operating.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5G의 네트워크 구조 및 NG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5G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코어망 개체 간 송수신되는 핸드오버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품질 측정/보고 과정 및 핸드오버 준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실행 과정 및 핸드오버 완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shows a network structure and NG interface of 5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handover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onnected to a 5G core network in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base station handles hando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UE performs hando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dover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entity in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quality measurement / report process and a handover pr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execution procedure and a handover comple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이하, 본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fers to a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the lik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BS).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user terminal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means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means a mobile station (MS) in GSM, a mobile station (MS) in UT (User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nd the like.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A base station or a cell generally refers to a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includes a Node-B, an evolved Node-B, a gNode-B, a Low Power Node A sector, a site, various types of antennas,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 point (for example,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RRH), a radio unit (RU), and a small cell, as well as a relay cell, a relay node, a megacell, a macrocell, a microcell, a picocell, a femtocell, an RRH,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Since the various cells listed above exist in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each cell, the base station can be interpreted into two meanings. Macro cell, micro cell, picocell, femtocell, small cell, or 2) the wireless region itself i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region. 1), all of the devices that interact to configure the wireless area to be cooperatively controlled by the same entity are all pointed to the base station. A point,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and the like are examples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radio area. 2 may direct the base station to the wireless region itself to receive or transmit signals at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cell refers to a component carrier having a coverage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tself .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a user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re used in a broad sense as two (uplink or downlink)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jects used to implement a technique or a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d are limited by a specific term or word It does not.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ere, an uplink (UL, or uplink) means a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base station by a user terminal, and a downlink (DL or downlink) .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which is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 periods, can be used for the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and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in which different frequencies are used, a TDD scheme and an FDD scheme A hybrid method can be used.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configured with reference to one carrier or carrier pair to form a standard.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uplink and the downlink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control channel such as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d the like. The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the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It is composed of the same data channel and transmits data.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A downlink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o a terminal, and an uplink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terminal to a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t this time,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lso,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Hereinafter, a situation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channel such as PUCCH, PUSCH, PDCCH, and PDSCH is expressed as 'PUCCH, PUSCH, PDCCH and PDSCH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High Layer Signaling described below includes RRC signaling for transmitting RRC information including RRC parameters.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The base station performs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UEs. The base station includ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scheduling, required for reception of a downlink data channel, which is a primary physical channel for unicast transmission, 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in an uplink data channel. A control channel can be transmitted. Hereinaf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signal through each channel will be described in a form in which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transmitted / receive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ltiple access schemes appli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Various multiple access schemes such as OFDM-CDMA can be used. Here, the NOMA includes 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and Low Density Spreading (LDS).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allocate resources such as asynchronous radio communication that evolves to LTE / LTE-Advanced, IMT-2020 via GSM, WCDMA, HSPA and synchronous radio communication fields evolving into CDMA, CDMA-2000 and UMB Can be applied.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rminal may mean a terminal supporting low cost (or low complexity) or a terminal supporting coverage enhancement. Alternatively, the MTC terminal may refer to a terminal defined in a specific category for supporting low cost (or low complexity) and / or coverage enhancement.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또는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또는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MTC terminal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newly defined 3GPP Release-13 low cost (or low complexity) UE category / type for performing LTE-based MTC-related operations. In this specification, the MTC terminal supports the enhanced coverage over the existing LTE coverage, or the UE category / type defined in the existing 3GPP Release-12 or lower that supports the low power consumption, or the newly defined Release-13 low cost low complexity UE category / type. Or a further Enhanced MTC terminal defined in Release-14.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terminal means a terminal supporting wireless access for cellular IoT. The objectives of NB-IoT technology include improved indoor coverage, support for large-scale low-rate terminals, low latency sensitivity, ultra-low cost, low power consumption, and optimized network architecture.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and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have been proposed as typical usage scenarios in NR (New Radio), which is under discussion in 3GPP.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frequency, a frame, a subframe, a resource, a resource block, a region, a band, a subband, a control channel, a data channel, a synchronization signal, various reference signals, various signals, May be interpreted as past or presently used meanings or various meanings used in the future.

본 실시예는 5G 코어 네트워크와 5G 기지국의 구조, 5G 코어 네트워크와 5G 기지국 간(이하, CN-RAN 간으로 호칭될 수 있음) NG 연동 인터페이스, NG 응용 프로토콜(NGAP, NG Application Protocol) 기반한 핸드오버 절차, 메시지, 그리고 관련 정보 요소에 관한 내용을 개시한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structure of a 5G core network and a 5G base station, a NG interworking interface between a 5G core network and a 5G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N-RAN), an NG application protocol (NGAP, NG Application Protocol) Procedures, messages, and related information elements.

5G 네트워크는 5G 코어 네트워크(이하 5GC, 5G CN, NGC 등으로 명칭)와 5G 무선액세스 네트워크(이하 NG-RAN, 5G-RAN 등으로 명칭)로 분리, 구성된다. NG-RAN은 1개 이상의 5G 기지국 노드인 5G NB(gNB)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체를 코어망 개체로 호칭할 수 있다. 코어망 개체는 이하 서술할 5GC-C 또는 5GC-U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5GC-C와 하나 이상의 5GC-U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5G network is divided into 5G core networks (5GC, 5G CN, NGC, etc.) and 5G radio access networks (NG-RAN and 5G-RAN). The NG-RAN can be composed of a set of 5G NBs (gNBs), which are one or more 5G base station nodes. The entity constituting the core network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core network entity. The core network entity may mean 5GC-C or 5GC-U,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may mean one or more 5GC-C and one or more sets of 5GC-U.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5G의 네트워크 구조 및 NG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tructure and NG interface of 5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5G 코어네트워크인 5GC(120)는 5GC-C(121)와 5GC-U(1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5GC-U(122)는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130)와 연결될 수 있다. 5GC(120)와 5G-RAN(이하, 5G NB로도 호칭될 수 있음)(110)간 인터페이스는 NG(혹은 N2/N3) 인터페이스로 연동될 수 있으며, 1개의 5GC에 하나 이상의 5G NB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1, the 5GC 120, which is a 5G core network, may be composed of 5GC-C 121 and 5GC-U 122, and the 5GC-U 122 may include an external data network (DN) (Not shown). An interface between a 5GC 120 and a 5G-RAN 110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5G NB) 110 can be interfaced with an NG (or N2 / N3) interface, and one or more 5G NBs Can be connected.

이 때, 5GC의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5GC-C(이하, 5G CN-C, AMF 등으로 호칭될 수 있음)(121)와 5GC의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담당하는 5GC-U(이하, 5G CN-U, UPF, UPGW 등으로 호칭될 수 있음)(122)과 NG-RAN(110)은 각각 NG-C와 NG-U 인터페이스로 연동될 수 있다. 특히 5GC-C(121)는 이동성 제어를 담당한다.In this case, a 5GC-C (hereinafter referred to as 5G CN-C, AMF, etc.) 121 responsible for a control plane of 5GC and a 5GC- U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5G CN-U, UPF, UPGW, etc.) 122 and NG-RAN 110 may be interworked with NG-C and NG-U interfac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5GC-C (121) is responsible for mobility control.

한편, 5G NB는 추가적으로 CU(Central Unit)와 DU(Distributed Unit) 장치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1개의 CU에 대해 1개 이상의 DU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빔포밍이 가능한 송수신 장치를 가진 DU는 복수개의 빔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각 빔은 빔 식별자(BID, Beam ID)를 통해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NG-C 인터페이스는 5GC-C(121)와 5G-RAN(110) 간 연결에 사용될 수 있으며, NG-U 인터페이스는 5GC-U(122)와 5G-RAN(110)간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5G NB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CU (Central Unit) and a DU (Distributed Unit) device, and one or more DUs may be connected to one CU. In addition, a DU having a beamforming capabl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can transmit a plurality of beams, wherein each beam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a beam identifier (BID). The NG-C interface can be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5GC-C 121 and the 5G-RAN 110, and the NG-U interface can be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5GC-U 122 and the 5G- .

5G 단말(UE)(100)은 5G 무선 송수신 장치 및 무선 프로토콜을 모두 탑재하고 있으며, 5G NB(또는 NB를 구성하는 DU)(110)와 5G 무선 인터페이스(5G-Uu)로 연결될 수 있다.The 5G terminal (UE) 100 is equipped with both a 5G wireless transceiver and a wireless protocol and can be connected to a 5G NB (or a DU 110 configuring an NB) and a 5G wireless interface (5G-Uu).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5G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handover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onnected to a 5G core network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5G 단말(UE)(100)은 5G 기지국인 5G NB#1(210)에 연결되어 있다. 5G NB#1(210)은 CU인 5G CU#1(211)과 DU인 5G DU#1(212)를 포함하고 있으며, 5G DU#1(212)는 빔포밍이 가능하여 복수의 빔을 전송할 수 있다. 5G 단말(UE)(100)은 5G DU#1(212)가 전송한 빔 중에서 BID#2를 통해서 5G NB#1(210)과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5G terminal (UE) 100 is connected to a 5G NB # 1 210 which is a 5G base station. The 5G NB # 1 210 includes a 5G CU # 1 211 as a CU and a 5G DU # 1 212 as a DU. The 5G DU # 1 212 is capable of beamforming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beams . The 5G terminal (UE) 100 is connected to the 5G NB # 1 210 through the BID # 2 among the beams transmitted by the 5G DU # 1 (212).

이 때, 5G UE(100)가 5G NB#2(220)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핸드오버가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한다. 5G NB#2(220)은 CU인 5G CU#2(221)과 DU인 5G DU#2(222)를 포함하고 있으며, 5G DU#2(222) 역시 빔포밍이 가능하여 복수의 빔을 전송할 수 있다. 핸드오버가 수행되면 5G UE(100)는 5G NB#1(210)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BID#3를 통해 5G NB#2(220)에 연결된다.At this time, a process of handover occurring when the 5G UE 100 moves to the location of the 5G NB # 2 220 will be described. The 5G NB # 2 220 includes a 5G CU # 2 221 as a CU and a 5G DU # 2 222 as a DU. The 5G DU # 2 222 is also capable of beamforming to transmit a plurality of beams . When the handover is performed, the 5G UE 10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5G NB # 1 210 and is connected to the 5G NB # 2 220 through the BID # 3.

이 때, 5G NB#1(210)과 5G NB#2(220)은 모두 코어 네트워크인 5GC(12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5GC(120)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관리하는 5GC-C와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관리하는 5GC-U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5G NB#1(210)의 5G CU#1(211)과 5G NB#2(220)의 5G CU#2(221)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12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더라도 단말과 5GC(120)와의 연결은 유지된다.In this case, both the 5G NB # 1 210 and the 5G NB # 2 220 can be connected to the 5GC 120 as a core network.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5GC 120 may include a 5GC-C for managing a control plane and a 5GC-U for managing a user plane. The 5G CU # 1 211 of the 5G NB # 1 210 and the 5G CU # 2 221 of the 5G NB # 2 220 may be connected to the 5GC 120 through the NG interface.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5GC 120 is maintained even if the terminal moves and a handover occurs.

즉, 단말이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5GC와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5G 기지국이 변경되면서 서빙 CU, 서빙 DU 및 서빙 빔이 변경되게 된다. (5G NB#1 -> 5G NB#2, 5G CU#1 -> 5G CU#2, 5G DU#1 -> 5G DU#2, BID#2 -> BID#3)That is, when the UE moves and a handover occurs, the connection with the 5GC remains unchanged, and the serving CU, serving DU, and serving beam are changed as the 5G base station is changed. (5G NB # 1 -> 5G NB # 2, 5G CU # 1 -> 5G CU # 2, 5GDI # 1 -> 5GDI # 2, BID # 2 -> BID # 3)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모든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단말, 기지국, 코어망 개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 이동통신(5G 이동통신, New-RAT) 단말, 기지국,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a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entity using all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New-RAT)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n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

이하에서 기지국은 CU(Central Unit)와 DU(Distributed Unit)가 분리된 5G 무선망에서 기지국(CU, DU, 또는 CU와 DU가 하나의 논리적인 개체로 구현된 개체), gNB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망 개체는 5G의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로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5GC-C 또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담당하는 5GC-U를 나타낼 수 있다.Hereinafter, a base station may represent a base station (CU, DU, or an entity implemented by a logical entity such as a CU and a DU) and a gNB in a 5G wireless network in which a CU (Central Unit) and a DU (Distributed Unit) are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re network entity may represent a 5GC-C that is responsible for a control plane as a component of a 5G core network or a 5GC-U that is responsible for a user plane.

그리고 NGAP(NG Application protocol) 메시지는 NGAP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And NGAP (NG Application protocol) message means a message sent and received through NGAP.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base station handles hando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10). Referring to FIG. 3, the base station can receiv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of each cell from the terminal (S310).

빔포밍을 지원하는 복수의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단말은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셀 및 각 셀에 대한 빔의 무선 품질 정보를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 terminal moving betwee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an receive signals for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of each cell. The UE can measure the radio qual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ell and the beam for each cell to generat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이 때, 일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빔의 신호 세기는 빔 단위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BRSRP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와 간섭 빔의 수신 신호의 세기의 비율로 정의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는 각 셀에 대한 RSRP도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In this cas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m can be defined as BRSRP, which is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beam unit. As anothe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f the interference beam. Meanwhi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RSRP for each cell.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여러 개의 셀 및 각 셀에 대한 빔에 대한 정보 중에서, 각 셀마다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하나의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can transmit information on one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to each cell amo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for each cell.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신호 품질이 높은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N의 값은 1 이상의 양수로서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N beams with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selects upper N beams in order of higher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each cell for each cell,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N beams to the BS. At this time, the value of N may be a preset value as a positive value of 1 or more, or it may be indicated from the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임계 신호 품질의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each cell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critical signal quality can be indicated from the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의 모든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별도의 조건 없이 모든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ll beams of each cell. That is, the UE can select all the beams without any condition for each cell,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base station.

이 때, 기지국은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될 빔의 개수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빔의 개수만큼의 빔에 대한 정보만을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can instruct the terminal to the number of beams to be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UE can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beam as many as the number of beams indica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 전송할 수 있다(S320).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necessity of handover based o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re network ent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handover is required (S320 ).

이 때,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는 핸드오버의 원인(Caus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ause (Cause) of the handover.

코어망 개체가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를 수신하면 코어망 개체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고, 이후 타겟 기지국이 핸드오버에 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할 실시예에서 해당 절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When the core network entity receives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the core network entity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target base station, and then the target base station can perform a handover procedure. Details of the procedur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그리고 기지국은 전술한 코어망 개체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S330).The base station can receive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the core network entity at step S330.

전술한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타입 정보,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정보, 상기 단말에 대한 QoS 플로우 식별자 및 QoS 플로우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or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andover type information,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a QoS flow identifier for the terminal, and a QoS flow parameter. have.

핸드오버 타입은 핸드 오버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인자로서 5G에서는 "Intra5G" 타입을 사용한다.The handover type is a parameter for describing the type of handover. In 5G, "Intra5G" type is used.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 정보는 핸드오버 시에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말의 무선 정보 요소를 의미한다.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 정보는 코어망 개체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되는데, 코어망 개체는 이 정보를 열람하지 않고 그대로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The source-to-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refers to a wireless information element of a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base station to the target base station at the time of handover. The source-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ource base station to the target base station via the core network entity. The core network entity forwards the information to the target base station without browsing the information.

단말에 대한 QoS 플로우 식별자는 5G에서 지원하는 QoS 플로우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며, 관련된 5G RAB(Radio Access Bearer) ID를 포함할 수 있다.The QoS flow identifier for the UE represents a unique identifier for a QoS flow supported by 5G and may include an associated 5G Radio Access Bearer (RAB) ID.

QoS 플로우 파라미터는 5G의 QoS 플로우에 적용되는 QoS 관련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이 때, QoS 플로우에 대한 파라미터로는 QoS 플로우의 식별자, QoS 플로우의 전송률(최소값/보장값/최대값), QoS의 특성(특정 대역폭을 보장하는지 여부에 따른 GBR(Guaranteed Bit Rate)/Non-GBR(Non Guaranteed Bit Rate) 타입, 우선 순위, 패킷 지연도, 패킷 에러율 등)에 관한 정보,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QoS flow parameter means a QoS-related parameter applied to the 5G QoS flow. In this case, the parameters for the QoS flow include an identifier of the QoS flow, a transmission rate (minimum value / guarantee value / maximum value) of the QoS flow, characteristics of the QoS (Guaranteed Bit Rate / Non- (Non-Guaranteed Bit Rate) type, priority, packet delay, packet error rate, etc.), ARP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UE performs hando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을 측정하고, 해당 셀 및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410). 제1 기지국은 현재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을 의미하며 소스 기지국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가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E measures radio quality of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and transmits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ell and the beam to the first base station (S410). The first base station means a base station connected to a current terminal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ource base station. The first base station can determine whether handover is necessary based o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이 때, 일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빔의 신호 세기는 빔 단위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BRSRP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와 간섭 빔의 수신 신호의 세기의 비율로 정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In this cas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m can be defined as BRSRP, which is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beam unit. As anothe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f the interference beam.

이 때,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여러 개의 셀 및 각 셀에 대한 빔에 대한 정보 중에서, 각 셀마다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하나의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can transmit information on one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to each cell amo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for each cell to the first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신호 품질이 높은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N의 값은 1 이상의 양수가 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N beams with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upper N beams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N beams to the first base station in the order of higher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each cell for each cell. At this time, the value of N may be a positive value of 1 or more and may be a preset value or may be indica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임계 신호 품질의 값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each cell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first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critical signal quality can be indica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의 모든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별도의 조건 없이 모든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ll beams of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all the beams without any condition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first base station.

이 때, 제1 기지국은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될 빔의 개수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1 기지국이 지시한 빔의 개수만큼의 빔에 대한 정보만을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해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ase station can instruct the terminal to the number of beams to be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UE can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beam of the number of beams indica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그리고 단말은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20).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시에 단말이 새로 연결을 수행할 타겟 기지국을 의미한다.The MS may receive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from the first BS to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BS and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S in step S42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means a target base station to which the mobile station will newly perform a connection at the time of handover.

그리고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초로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430). 즉, 단말은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 새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n, the MS can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 (S430). That is, the terminal can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base station and perform a new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5G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보다 다양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a process for handling a handover between a 5G base station supporting beamforming interworking with a 5G core network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individually or in any combination.

실시예Example 1 : 무선 품질 측정/보고 과정 1: Wireless Quality Measurement / Reporting Process

5G 단말은 서빙 5G NB(이하 소스 5G NB라고도 호칭할 수 있음), 즉 현재 연결된 기지국으로 이웃 5G NB들로부터 수신되는 셀 및 셀 내 빔들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5G Radio Measurement Report 메시지 전송을 통해 보고할 수 있다. The 5G terminal transmits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cells and intra-cell beams received from the neighboring 5G NBs to the serving 5G NB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source 5G NB hereinafter) Can be reported.

이 때, 5G 단말은 각 셀마다 최상의 신호 품질을 가지는 1개의 후보 빔, 복수 개의 후보 빔, 혹은 전체 빔들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결과를 보낼 수 있다. 이 때, 5G 단말은 셀 품질에 대한 측정 결과(ex. RSRP)도 함께 보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5G terminal can send a radio quality measurement result for one candidate beam, a plurality of candidate beams, or all beams having the best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At this time, the 5G terminal may also report measurement results (e.g., RSRP) on the cell quality.

또한, 서빙 5G NB는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보고할 것을 단말에 요청할 때 보고할 빔의 수를 지정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빔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단위의 일 예로서 Beam 단위의 RSRP인 BRSRP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rving 5G NB requests the terminal to report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he serving 5G NB may designate the number of beams to be reported and instruct the terminal. In this case, as an example of a unit for measuring the signal quality of the beam, BRSRP, which is a Beam-based RSRP, may be used.

실시예Example 2 :  2 : 핸드오버Handover 준비 과정 Preparation course

서빙 5G NB는 보고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바탕으로 핸드오버가 필요한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Serving 5G NB may determine whether handover is required based on the report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서빙 5G NB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코어망 개체인 5G CN-C에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전송하여 타겟 5G NB, 즉 단말이 새로 연결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The serving 5G NB transmits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re network entity 5G CN-C responsible for the control plane, and transmits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target 5G NB, that is, Lt; RTI ID = 0.0 > handover. ≪ / RTI >

이 때,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에는 타겟 5G NB의 CGI(Cell Group ID)가 또는 핸드오버 원인을 지시하는 정보인 Cause IE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may include a CGI (Cell Group ID) of the target 5G NB or a Cause IE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a handover cause.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코어망 개체 간 송수신되는 핸드오버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dover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entity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5G의 기지국인 NB(501)와 5G의 코어망 객체인 CN(502) 간에는 5G 코어 네트워크-NB 간 연동 인터페이스인 NG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NGAP(NG Application Protocol) 제어 메시지와 정보가 양방향으로 교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NB 501, which is a 5G base station, and the CN 502, which is a core network object of 5G, are connected by a NG interface that is an interworking interface between a 5G core network and a NB. Protocol control messages and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idirectionally.

NB(501)는 핸드 오버 필요 메시지를 CN(502)로 전송하고(S511), CN(502)는 핸드오버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고 NB(501)에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NB 501 transmits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N 502 (S511), and the CN 502 performs handover related processing and transmits a handover command message to the NB 501. [

5G CN-C는 서빙 5G NB로부터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타겟 5G NB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고, 타겟 5G NB가 이를 수신하면 타겟 5G NB에서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담당하는 코어망 개체인5G CN-U로의 터널인 NG 베어러 또는 NG QoS 플로우가 생성될 수 있다. 특히 NG QoS 플로우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무선 베어러를 QoS 플로우로 매핑 또는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무선 베어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는 무선 베어러 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QoS 플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는 플로우 ID가 사용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from the serving 5G NB,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target 5G NB to the target 5G NB. When the target 5G NB receives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from the target 5G NB, The NG bearer or the NG QoS flow can be generated, which is a tunnel to the core network entity 5G CN-U that is responsible for the Plane. In particular, when an NG QoS flow is to be used, the radio bearer can be generated by mapping or converting into a QoS flow. A radio bearer ID may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radio bearer, and a flow ID may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QoS flow.

타겟 5G NB는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5G CN-C로 보내고, 5G CN-C는 5G CN-U로 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 메시지를 NG11 인터페이스(5G CN-C와 5G CN-U 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5G CN-U에서 타겟 5G NB로의 NG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The target 5G NB sends a Handover Request Acknowledge Message to the 5G CN-C, and the 5G CN-C sends a 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 message to the NG 11 interface 5G CN-C and 5G CN- CN-U interface) to create an NG tunnel from the 5G CN-U to the target 5G NB.

이후 5G CN-C는 소스 5G NB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보내어 소스 5G NB와 5G CN-U 간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The 5G CN-C can then generate a tunnel between the source 5G NB and the 5G CN-U by sending a handover command message to the source 5G NB.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품질 측정/보고 과정 및 핸드오버 준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quality measurement / report process and a handover pr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5G 단말인 UE(601)가 서빙 5G NB(소스 NB)인 NB#1(602)에 연결되어 있다(S611). UE(601)는 측정된 셀 및 셀 내 빔들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5G Radio Measurement Report 메시지 전송을 통해 보고한다(S612). Referring to FIG. 6, a UE 601 serving as a 5G terminal is connected to NB # 1 602 serving as a serving 5G NB (source NB) (S611). The UE 601 reports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measured cell and the in-cell beams through a 5G Radio Measurement Report message transmission (S612).

NB#1(602)가 UE(601)로부터 수신한 무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NB#1(602)은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코어망 개체인 CN-C(604)로 전송한다(S613). CN-C(604)는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겟 5G NB, 즉 단말이 새로 연결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기지국인 NB#2(603)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게 된다.When the NB # 1 602 determines that handover is necessary based on the ataxia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E 601, the NB # 1 602 transmits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ntrol plane C 604, which is the core network entity responsible for the control plane (S613). Upon receiving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the CN-C 604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target 5G NB, that is, the NB # 2 603, which is a base station to which the UE is to perform a new connection do.

NB#2(6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NG QoS 플로우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무선 베어러를 QoS 플로우로 매핑 또는 변환할 수 있다(S615).The NB # 2 603 may map or convert the radio bearer to the QoS flow when the NG QoS flow is to be used as described above (S615).

그리고 NB#2(603)에서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담당하는 코어망 개체인 CN-U(605)로의 터널이 생성된다(S616).In step S616, a tunnel is created from the NB # 2 603 to the CN-U 605, which is the core network entity responsible for the user plane.

그리고 NB#2(603)는 CN-C(604)로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전송한다(S617). 이후 NB#2(603)과 CN-U(605)로의 터널이 생성된다(S618).Then, the NB # 2 603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CN-C 604 (S617). Thereafter, a tunnel to the NB # 2 603 and the CN-U 605 is generated (S618).

그리고, CN-C(604)는 NB#1(602)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전송한다(S619). 이후에 NB#1(602)와 CN-U(605) 사이의 터널이 생성된다(S620).Then, the CN-C 604 transmits a handover command message to the NB # 1 602 (S619). Thereafter, a tunnel between the NB # 1 602 and the CN-U 605 is generated (S620).

실시예Example 3 :  3: 핸드오버Handover 실행 과정 Execution Process

소스 5G NB는 단말에게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송하여 타겟 NB로의 연결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소스 5G NB와 연결을 해제(Detach)한 후 타겟 5G NB와 새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source 5G NB may send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to the UE to indicate its connection to the target NB. The terminal may detach the source 5G NB and perform a new connection with the target 5G NB.

실시예Example 4 :  4 : 핸드오버Handover 완료 과정 Completion process

타겟 5G NB는 5G CN-C에게 핸드오버 알림 메시지(Handover Notify Message)를 전송하여 핸드오버가 성공했음을 통지할 수 있다.The target 5G NB may notify the 5G CN-C that the handover is successful by transmitting a Handover Notify Message.

그리고 5G CN-C는 5G CN-U로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5G CN-U에서 타겟 5G NB로 데이터가 바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5G CN-C transmits the Modify Bearer Request message to the 5G CN-U, so that the data can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5G CN-U to the target 5G NB.

이후 소스 5G NB와 5G CN-U 간 터널은 필요없게 되므로, 해제하기 위해 5G CN-C는 5G NB로 단말 컨텍스트 해제 명령 메시지(UE Context Release Command Message)를 전송한다. 한편, 핸드오버의 취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스 5G NB는 5G CN-C로 HANDOVER CANCEL 메시지를 전송하여 핸드오버 준비 과정을 취소할 수 있다.Since the tunnel between the source 5G NB and the 5G CN-U is no longer needed, the 5G CN-C transmits a UE Context Release Command message to the 5G NB to release it.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over is required to be canceled, the source 5G NB can cancel the handover preparation process by transmitting a HANDOVER CANCEL message to the 5G CN-C.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실행 과정 및 핸드오버 완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과정이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execution procedure and a handover comple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7 may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of FIG. 6 is completed.

도 7을 참조하면, 서빙 5G NB(소스 NB)인 NB#1(602)은 5G 단말인 UE(601)에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송한다(S711). UE(601)는 소스 5G NB인 NB#1(602)과 연결을 해제(Detach)한 후 타겟 5G NB인 NB#2(603)와 새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NB # 1 602 serving as a serving 5G NB (source NB) transmits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to the UE 601 serving as a 5G terminal (S711). The UE 601 may detach the NB # 1 602 that is the source 5G NB and perform a new connection with the NB # 2 603 that is the target 5G NB.

이후, NB#2(603)은 CN-C(604)에 핸드오버 알림 메시지(Handover Notify Message)를 전송하여 핸드오버가 성공했음을 통지한다(S712). 그리고 UE(601)는 NB#2(603)에 연결된다(S713).Then, the NB # 2 603 transmits a Handover Notify message to the CN-C 604 to notify that the handover is successful (S712). Then, the UE 601 is connected to the NB # 2 603 (S713).

이후, 소스 NB와 CN-U 간 터널을 해제하기 위해서 CN-C(604)는 NB#1(602)로 단말 컨텍스트 해제 명령 메시지(UE Context Release Command Message)를 전송한다(S714). Then, in order to release the tunnel between the source NB and the CN-U, the CN-C 604 transmits a UE Context Release Command message to the NB # 1 602 (S714).

이 때, 도 6 및 도 7에서 사용되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메시지, 즉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핸드오버 명령 승인 메시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핸드오버 알림 메시지 또는 단말 컨텍스트 해제 명령 메시지는 NGAP(NG Application Protocol) 메시지일 수 있다.At this time, messages relating to handover used in FIGS. 6 and 7, i.e., a handover required message, a handover command message, a handover command acknowledge message, a handover command message, a handover notification message, NG Application Protocol (NGAP) message.

NGAPNGAP IEIE (Information Element)(Information Element)

NG 기반의 핸드오버 절차에 사용되는 정보 요소인 IE(Information Element)는 LTE의 S1AP에서 사용되는 IE를 대부분 준용하여 사용하되, 이하의 타입(또는 값)이 추가 또는 수정되어 핸드오버 시에 사용되는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이하의 타입(또는 값)에 대한 조합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각 타입(또는 값)은 특정한 NGAP 메시지에 대해서 필수적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element (IE) used in the NG-based handover procedure is used in most of the IEs used in the S1AP of the LTE, and the following types (or values) are added or modified to be used at the time of handover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types (or value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essage, and each type (or value) may be mandatory or optional for a particular NGAP message.)

1) Handover Type: "Intra5G" 타입을 사용한다.1) Handover Type: Use "Intra5G" type.

2) Cause: "NG 5G Handover" 타입을 사용한다.2) Cause: Use "NG 5G Handover" type.

3) 5G CGI(Cell Group ID) 또는 5G BGI(Beam Group ID): 이는 PLMN ID, 셀 ID(CID)와 빔 ID(BID)로 구성된다. BID의 크기는 지원하는 빔 개수에 따라 고정 혹은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만약 5G NB가 빔포밍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엔 BID 정보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PLMN ID 없이 셀 ID(CID)와 빔 ID(BID)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3) 5G CGI (Cell Group ID) or 5G BGI (Beam Group ID): It consists of PLMN ID, Cell ID (CID) and Beam ID (BID). The size of the BID can be fixed or dynamically alloc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ams supported. If the 5G NB does not support beamforming, the BID information is not us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only with a cell ID (CID) and a beam ID (BID) without a PLMN ID.

4)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혹은 Source 5G NB to Target 5G NB Transparent Container): 사용되는 Target Cell ID는 5G CGI로 나타낸다.4)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or Source 5G NB to Target 5G NB Transparent Container): The Target Cell ID used is indicated by 5G CGI.

5) UE 무선 캐퍼빌리티(Radio Capability): "5G 주파수" 타입이 추가될 수 있다.(ex. 28 GHz 밴드)5) UE Radio Capability: "5G frequency" type can be added (eg 28 GHz band)

6) RAT-type: 사용하는 무선 접속기술로 "5G" 타입 사용. 빔포밍 무선기술 지원 여부에 따라 5G BF/5G Non-BF 값의 사용도 가능하다.6) RAT-type: Use "5G" type as the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y to use. 5G BF / 5G Non-BF values can also be used depending on beamforming wireless technology support.

7) Global 5G NB ID: 5G NB의 글로벌 식별자를 의미한다. CU와 DU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CU 장치 ID(CU ID)와 DU 장치 ID(DU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lobal CU ID 및 Global DU ID가 별도로 정의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PLMN ID, 5G NB ID 및 CU/DU ID로 구성될 수 있다.7) Global 5G NB ID: 5G This is the global identifier of the NB. If the CU and DU are separate, they may include a CU Device ID (CU ID) and a DU Device ID (DU ID). In addition, a Global CU ID and a Global DU ID may be separately defined and used. In this case, a PLMN ID, a 5G NB ID, and a CU / DU ID may be configured.

8) 5GCN-C UE NGAP ID: 5G CN-C내 NG 인터페이스를 통한 UE 연결의 고유 식별자를 의미한다.8) 5GCN-C UE NGAP ID: 5G This is a unique identifier of the UE connection via the NG interface in CN-C.

9) 5GNB UE NGAP ID: 5G NB 내 NG 인터페이스를 통한 UE 연결의 고유 식별자를 의미한다. 또한, CU 내 NG 인터페이스를 통한 UE 연결의 고유 식별자 및 DU 내 NG 인터페이스를 통한 UE 연결의 고유 식별자는 각각 CU UE NGAP ID 및 DU UE NGAP ID를 이용할 수도 있다.9) 5GNB UE NGAP ID: 5G This i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UE connection through the NG interface in the NB. In addition,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UE connection via the NG interface in the CU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UE connection via the NG interface in the DU may use the CU UE NGAP ID and the DU UE NGAP ID, respectively.

10) 5GNB TEID: 5G NB의 GTP Tunnel Endpoint ID(GTP-TEID)를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CU 및 DU의 GTP Tunnel Endpoint ID인 CU TEID 및 DU TEID가 사용될 수 있다.10) 5GNB TEID: GTP Tunnel Endpoint ID of 5G NB (GTP-TEID). In addition, CU TEID and DU TEID, which are GTP Tunnel Endpoint IDs of CU and DU, can be used.

11) 5G RAB ID: 특정 단말에 대한 무선 액세스 베어러의 고유 식별자(E-RAB ID와 유사)를 의미한다.11) 5G RAB ID: A unique identifier (similar to E-RAB ID) of a radio access bearer for a specific terminal.

12) 5G Flow ID: 특정 단말에 대한 QoS Flow의 고유 식별자를 의미한다. 여기서 5G Flow ID는 관련된 5G RAB ID를 포함할 수 있다.12) 5G Flow ID: It is a unique identifier of QoS Flow for a specific UE. Where the 5G Flow ID may include the associated 5G RAB ID.

13) 5G Flow Level QoS Parameters: 5G Flow에 적용되는 QoS 관련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서로 다른 QoS 특성을 갖는 Flow를 분류하고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QoS Flow ID가 포함될 수 있다.13) 5G Flow Level QoS Parameters: QoS related parameters applied to 5G Flow. A QoS Flow ID used for classifying and identifying flows having different QoS characteristics may be included.

14) TAI: Tracking Area 식별자를 의미한다. PLMN ID, TAC(Tracking Area Code) 및 RAN-TAC(RAN-level TAC)로 구성되며, RAN-TAC는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14) TAI: Tracking Area Identifier. PLMN ID, Tracking Area Code (TAC), and RAN-TAC (RAN-TAC). RAN-TAC can be optionally added.

15) 5G UE Type: 연결된 5G 단말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Standalone 단말, Standalone 기반 Interworking 단말, Non-standalone 기반 Interworking 단말, LTE-only 단말 등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15) 5G UE Type: Can be used to identify the type of 5G terminal connected. That is,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standalone terminal, a standalone-based interworking terminal, a non-standalone-based interworking terminal, and an LTE-only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NG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5G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 이동성을 지원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5G 무선 네트워크 구축 및 운용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 continuity by supporting handover mobility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in cooperation with a 5G core network system using the NG interfa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 .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800)은 제어부(810), 송신부(820) 및 수신부(830)를 포함한다.8, the base station 800 includes a controller 810, a transmitter 820, and a receiver 830.

제어부(810)는 전술한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5G CN에 연결된 빔포밍을 지원하는 5G 기지국 사이를 단말이 이동할 때 발생되는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8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to support handover generated when the mobile station moves between 5G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onnected to the 5G CN required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송신부(820)와 수신부(8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The transmitting unit 820 and the receiving unit 830 ar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messages, and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and from the terminal.

구체적으로, 송신부(82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nsmitter 820 determines the necessity of handover based o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re network entity .

빔포밍을 지원하는 복수의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단말은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셀 및 각 셀에 대한 빔의 무선 품질 정보를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 terminal moving betwee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can receive signals for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of each cell. The UE can measure the radio qual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ell and the beam for each cell to generat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이 때, 일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빔의 신호 세기는 빔 단위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BRSRP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와 간섭 빔의 수신 신호의 세기의 비율로 정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In this cas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m can be defined as BRSRP, which is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beam unit. As anothe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f the interference beam.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여러 개의 셀 및 각 셀에 대한 빔에 대한 정보 중에서, 각 셀마다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하나의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can transmit information on one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to each cell amo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for each cell.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신호 품질이 높은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N의 값은 1 이상의 양수가 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N beams with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the upper N beams in order of higher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the respective cells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N beams to the BS. At this time, the value of N may be a positive value of 1 or more and may be a preset value or may be indicated from the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임계 신호 품질의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each cell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critical signal quality can be indicated from the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의 모든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별도의 조건 없이 모든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ll beams of each cell. That is, the UE can select all the beams without any condition for each cell,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base station.

이 때, 기지국은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될 빔의 개수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한 빔의 개수만큼의 빔에 대한 정보만을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can instruct the terminal to the number of beams to be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UE can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beam as many as the number of beams indica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이 때,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는 단말이 새로 연결을 수행할 대상이 되는 타겟 기지국의 CGI(Cell Group ID) 또는 핸드오버의 원인(Caus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may include a cell group ID (CGI) of the target base station to which the mobile station is newly connected, or a cause of handover (Cause).

코어망 개체가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를 수신하면 코어망 개체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하고, 이후 타겟 기지국이 핸드오버에 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ore network entity receives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the core network entity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target base station, and then the target base station can perform a handover procedure.

수신부(830)는 단말이 측정한 복수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830 receives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beams measured by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nd receives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the core network entity.

이 때,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타입 정보,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정보, 단말에 대한 QoS 플로우 식별자 및 QoS 플로우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over required message or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andover type information,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QoS flow identifier for the terminal, and QoS flow parameters. have.

핸드오버 타입은 핸드 오버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인자로서 5G에서는 "Intra5G" 타입을 사용한다.The handover type is a parameter for describing the type of handover. In 5G, "Intra5G" type is used.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 정보는 핸드오버 시에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말의 무선 정보 요소를 의미한다.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 정보는 코어망 개체를 경유하여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되는데, 코어망 개체는 이 정보를 열람하지 않고 그대로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The source-to-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refers to a wireless information element of a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base station to the target base station at the time of handover. The source-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ource base station to the target base station via the core network entity. The core network entity forwards the information to the target base station without browsing the information.

단말에 대한 QoS 플로우 식별자는 5G에서 지원하는 QoS 플로우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며, 관련된 5G RAB ID를 포함할 수 있다.The QoS flow identifier for the UE represents a unique identifier for a QoS flow supported by 5G and may include an associated 5G RAB ID.

QoS 플로우 파라미터는 5G의 QoS 플로우에 적용되는 QoS 관련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이 때, QoS 플로우에 대한 파라미터로는 QoS 플로우의 식별자, QoS 플로우의 전송률(최소값/보장값/최대값), QoS의 특성(특정 대역폭을 보장하는지 여부에 따른 GBR(Guaranteed Bit Rate)/Non-GBR(Non Guaranteed Bit Rate) 타입, 우선 순위, 패킷 지연도, 패킷 에러율 등)에 관한 정보,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QoS flow parameter means a QoS-related parameter applied to the 5G QoS flow. In this case, the parameters for the QoS flow include an identifier of the QoS flow, a transmission rate (minimum value / guarantee value / maximum value) of the QoS flow, characteristics of the QoS (Guaranteed Bit Rate / Non- (Non-Guaranteed Bit Rate) type, priority, packet delay, packet error rate, etc.), ARP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900)은 수신부(910), 제어부(920) 및 송신부(930)를 포함한다.9, the user terminal 900 includes a receiving unit 910, a controller 920, and a transmitting unit 930.

수신부(910)는 현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910 may receive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base station current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o instruct the second base station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송신부(920)는 무선 품질이 측정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920 may transmit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cells and the beam of each cell in which the radio quality is measured to the first base station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이 때, 일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빔의 신호 세기는 빔 단위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BRSRP로 정의될 수 있다.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In this cas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m can be defined as BRSRP, which is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beam unit.

다른 예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빔의 신호 세기와 간섭 빔의 수신 신호의 세기의 비율로 정의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to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of the interference beam.

이 때,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여러 개의 셀 및 각 셀에 대한 빔에 대한 정보 중에서, 각 셀마다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하나의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can transmit information on one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to each cell amo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beams for each cell to the first base station.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신호 품질이 높은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N의 값은 1 이상의 양수가 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N beams with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the upper N beams in order of higher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the respective cells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N beams to the first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value of N may be a positive value of 1 or more and may be a preset value or may be indica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각 셀의 빔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임계 신호 품질의 값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signal quality for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signal quality among the beams of each cell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first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critical signal quality can be indica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또는, 전술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셀 각각의 모든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각 셀마다 별도의 조건 없이 모든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ll beams of each cell. That is, the UE may select all the beams without any condition for each cell,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eam to the first base station.

이 때, 제1 기지국은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될 빔의 개수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1 기지국이 지시한 빔의 개수만큼의 빔에 대한 정보만을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해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ase station can instruct the terminal to the number of beams to be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UE can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beam of the number of beams indica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제어부(930)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초로 전술한 제2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30 may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실시예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tandard content or standard documents referred to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of the above standard contents and portions of the standard documents are added to or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개시된 내용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망 개체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for a base station to process a handover,
Receiv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from a terminal;
Determining a necessity of handover based o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re network ent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handover is necessary; And
And receiving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the core network ent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또는 상기 셀 각각의 모든 빔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N beams having a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of at least a threshold signal quality preset for each of the cells, ≪ / RTI > information of all beams in each ce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되는 빔의 개수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station comprises:
And the number of beams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s indicated to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는,
핸드오버의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ncludes:
And information on the cause of the hando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타입 정보,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정보, 상기 단말에 대한 QoS 플로우 식별자 및 QoS 플로우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or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includes:
A handover type information, a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a QoS flow identifier for the terminal, and a QoS flow parameter.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for a handover of a terminal,
Transmitt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to a first base station;
Receiving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indicating termination of a connection with the first base station and connection with a second base station; And
And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또는 상기 셀 각각의 모든 빔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N beams having a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of at least a threshold signal quality preset for each of the cells, ≪ / RTI > information of all beams in each cel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되는 빔의 개수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beams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s &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s instruc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Handover Required Message)를 코어망 개체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A base station for handling handover,
A receiver for receiv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from a terminal and receiving a handover command message from a core network entity; And
And a transmitter for determining a handover necessity based o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handover required message to the core network ent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handover is necessar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또는 상기 셀 각각의 모든 빔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N beams having a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of at least a threshold signal quality preset for each of the cells, And information of all beams of each of the cell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될 빔의 개수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instructs the terminal to determine the number of beams to be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는,
핸드오버의 원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ncludes:
And information on the cause of the handov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필요 메시지 또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타입 정보, 소스-타겟 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정보, 상기 단말에 대한 QoS 플로우 식별자 및 QoS 플로우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or the handover command message includes:
A handover type information, a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a QoS flow identifier for the terminal, and a QoS flow parameter.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셀 및 각 셀의 빔에 대한 무선 품질 측정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제2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제2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In a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ells and a beam of each cell to a first base station;
A receiver for receiving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h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instructing to terminate a connection with the first base station and perform a connection with a second base sta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는,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신호 품질이 높은 N개의 빔의 정보, 상기 셀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임계 신호 품질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진 빔의 정보 또는 상기 셀 각각의 모든 빔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the highest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N beams having a high signal quality for each of the cells, information of a beam having a signal quality of at least a threshold signal quality preset for each of the cells, And information of all beams of each cel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 측정 정보에 포함되는 빔의 개수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number of beams included in the radio quality measurement information is &
The second base station being instructed by the first base station.
KR1020180002228A 2017-03-03 2018-01-08 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which support beamforming and Apparatuses thereof KR102056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09,898 US11012911B2 (en) 2017-03-03 2018-03-01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19 2017-03-03
KR20170027919 2017-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170A true KR20180101170A (en) 2018-09-12
KR102056256B1 KR102056256B1 (en) 2019-12-16

Family

ID=6359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28A KR102056256B1 (en) 2017-03-03 2018-01-08 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which support beamforming and Apparatus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25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256B1 (en)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0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US11012911B2 (en)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supporting beamforming and apparatus thereof
US11057814B2 (en) Seamless mobility for 5G and LTE systems and devices
KR102183826B1 (en) Methods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of UE and Apparatuses thereof
KR102125786B1 (en) Handover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equipment
KR101871620B1 (en) Methods for operating a mobile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thereof
KR101870832B1 (en) Methods for operating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base st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first base station and second base station thereof
EP28664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018057B1 (en) Coo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 overlaid cell environment
US10772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DU session between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10191991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86923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ity of terminal in heterogeneous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JP2023112178A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60004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KR101879557B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measurement of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US11096091B2 (en)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radio access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106365A (en) Methods of control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101957087B1 (en) Methods for managing PDU Session between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for new radio and Apparatuses thereof
KR102056256B1 (en) Methods for process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which support beamforming and Apparatuses thereof
WO20171222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20190015665A (en) Methods for controlling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in a CU-DU base station separation structure.
KR2018001140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R node change procedure in DC
KR201801370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integrated split bearer for nr-lte co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