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014A - Heat flow cutoff device in computer room - Google Patents
Heat flow cutoff device in computer 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1014A KR20180101014A KR1020170027687A KR20170027687A KR20180101014A KR 20180101014 A KR20180101014 A KR 20180101014A KR 1020170027687 A KR1020170027687 A KR 1020170027687A KR 20170027687 A KR20170027687 A KR 20170027687A KR 20180101014 A KR20180101014 A KR 201801010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guide
- curtain
- roll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산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산실에 설치되는 각종 서버나 랙 장비들에서 발생되는 열이 장비들이 설치되지 않은 통행로를 통해 유동하여 상호 다른 장비끼리 열 영향을 방지하도록 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uter room for public buildings in which heat generated from various servers or rack equipment installed in a computer room flows through a passage where equipment is not installed, It relates to a simple automatic door.
일반적으로 정부, 기업, 금융기관, 학교, 연구소 등에서는 통신장비(네트워크 장비, 서버, 통신교환기 등)와 대용량 컴퓨터와 서버 등이 설치되는 전산실을 운영하고 있다.In general, government, corporations, financial institutions, school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computer room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equipment (network equipment, servers, communication exchanges, etc.) and large-capacity computers and servers.
전산실에 설치되는 컴퓨터나 통신장비 등에 사용되는 전자부품은 고온에서 작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작동중에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냉각시키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BACKGROUND ART Electronic components used in computers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installed in computer rooms are not operated smoothly at high temperatures and require a device for cooling them because a lot of heat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더불어, 대부분의 컴퓨터나 통신장비 등은 랙에 탑재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산실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랙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In addition, since most computers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are installed in a rack, it is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room constant, but it is more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inside the rack constant.
그리고, 전자부품이나 회로의 경우에는 습기가 많은 경우에는 누전의 위험이 있고, 습기가 너무 적은 경우에는 정전기 발생 및 스파크 등에 의한 화재나 전자부품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In the case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circuits, there is a risk of electric leakage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moisture, and problems such as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sparks, and fire or damage to electronic parts are likely to occur.
따라서, 전산실 및 랙에는 냉각 및 항온항습을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설치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755호, 제10-0997045호, 제10-110339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848호, 제10-2010-0013312호, 제10-2011-0095580호, 제10-2012-0000224호 등에는 전산실 및 랙에 설치하는 다양한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Accordingly,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cooling and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s installed in the computer room and the rack,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s. 10-0478755, 10-0997045, 10-1103394, 10-2011-0009848 No. 10-2010-0013312, No. 10-2011-0095580, No. 10-2012-0000224, and the like disclose techniques for various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installed in the computer room and the rack.
그러나, 종래 전산실 및 랙용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여 냉각 작업을 장비의 열이 장비와 장비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유동하여 열이 전산실 전체로 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air conditioner for the computer room and the rack, the heat of the equipment flows through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equipment and the equipment, and the heat spreads to the whole of the computer room.
또한, 종래 전산실 및 랙용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여 냉각 작업을 장비의 열이 장비와 장비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유동하여 열이 전산실의 관리를 위한 관리자의 대기 공간으로 침투하여 근무 환경이 저하되고 피로도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ooling and ventilation devices for computers and racks are used to heat the equipment through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equipment and the equipment, so that the heat penetrates into the manager's waiting space for the management of the computer room, .
이로 인하여, 사용 비용이 최소로 발생하며 설치와 작동이 간단하며 작업시 불편함이 없고 통로의 크기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설치 및 해체, 재사용이 가능한 열 차단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heat shielding device which can minimize installation cost and operation, is easy to operate, and can be installed, disassembled and reused by adjusting th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ssagew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산실에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장비와 장비 사이를 통해 다른 구역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heat generated from various equipment in a computer room from flowing to other areas through equipment and equipment.
이러한, 본 발명은 통로부의 개폐 방식을 자바라 방식이나 블라인드 방식으로 형성하여 설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conditions by 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passage portion by a bellows method or a blin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통로부를 폐쇄하여 열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관리자가 항시 주거하는 관리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by blocking the flow of heat by closing the passageway portion so that the manager does not affect the management space that always resides.
그리고, 본 발명은 통로부의 크기에 따라 설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ssage portion.
더불어, 본 발명은 임시적으로 설치한 후 철거하여 다른 전산실에 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emporarily install and then dismantle and reinstall in another computer room.
아울러, 본 발명은 전산실의 관리자의 출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자동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perate using automatic detection mean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ccess of the administrator of the computer room.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면적이 통로부의 개방 면적을 소모하지 않아 작업상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the installation area from consuming the opening area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us affecting the movement in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은 전산실의 랙본체나 서버 같은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통로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 유동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장비가 이격 설치되어 형성하는 통로부를 개폐하도록 자바라 방식을 이용하여 접힘과 펼침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열차단장치를 형성하거나 브라인드 방식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며 통로부를 개폐하는 제2열차단장치를 형성하거나, 자바라 방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접힘과 펼침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제3열차단장치를 구성한다.A simplified automatic door for a public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flow apparatus for preventing heat generated from equipment such as a rack body or a server of a computer room from flowing through a passage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first heat shielding unit that oper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folding and unfolding by using a bellows method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way, or by forming a second heat shielding unit that operates in a vertical direction by using a blind method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way, To thereby constitute a third heat shielding device which ope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manual folding and unfolding.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1열차단장치는 한 쌍의 장비 상부면에 설치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하는 렉기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로 자바라의 상부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부, 상기 롤러부 중 최외측 롤러부가 연결되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블록, 상기 안내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며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모터로 구성한다.The first heat shi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installed on a top surface of a pair of equipment, a gear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a plurality of guide rods And a motor which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block and rotates to move along the guide gear. The guide block includes a roller portion, an outermost roller portion of the roller portion, and a guide block that moves along the guide.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자바라의 양 끝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자석을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magne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bellows.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안내부는 통로부의 양 측단을 전후방향으로 클램핑하도록 나사 조임 형태의 잠금수단이 끝단에 형성된 클램핑단, 상기 클램핑단의 타 끝단에는 커튼부를 안내하며 통로부의 양 끝단 전면에 위치하는 안내단을 구성한다.The gui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amping end having a locking means formed at an end of a screw-tightening type so as to clamp both side ends of the passage por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curtained portion guiding the curtain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end, And constitute a guide stage.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드럼부는 상부면에 가이드가 형성된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커튼부가 권취된 제1드럼을 형성하는 제1드럼부,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가이드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제2케이스의 내부에는 커튼부가 권취된 제2드럼을 형성하는 제2드럼부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drum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drum portion formed with a curtain-wound first drum inside a first case having a guid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drum portion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drum forms a second drum in which a curtain is wound around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커튼부는 드럼부의 제1드럼에 권취되는 제1커튼, 상기 커튼부는 드럼부의 제2드럼에 권취되는 제2커튼, 상기 제1,2커튼의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중량체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curt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urtain wound around a first drum of a drum portion, a second curtain wound around a second drum of the drum portion, and a weigh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urtains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동부는 드럼부의 제1드럼부 상부면에 설치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통로부의 전후방에 설치하는 감지수단, 상기 모터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축과 제1드럼을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모터의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2축이 제2드럼부 제2드럼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키(Key)연결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2드럼부는 모터의 제2축이 내부로 삽입, 인출되며 제1드럼부의 상부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모터의 제1,2드럼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한다.The oper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oto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um portion of the drum portion, a sensing mean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ssage por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to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drum second drum and connected in a key connection manner in which the drum is sli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rum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shaft of the motor is inserted and drawn inward and horizontally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rum por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ums of the motor rotate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드럼부와 통로부의 상부 사이에는 커튼부를 통로부의 전방에 밀착시키기 위한 안내롤러부를 구성하는 것이다.Meanwhile, a guide roller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drum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ass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here the curtain portion to the front of the passag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산실에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장비와 장비 사이를 통해 다른 구역으로 유동하여 다른 장비의 열 상승을 방지하여 고장이나 이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generated from various equipments in the computer room flows to other areas through the equipment and the equipment, thereby preventing heat rise of other equipments, thereby preventing a failure or an abnormality.
이러한, 통로부의 면적이나 개폐 방식을 자바라 방식이나 블라인드 방식으로 형성하여 설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범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area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manner of the passage portion can be formed by the bellows type or the blind type, and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in use.
또한, 통로부를 폐쇄하여 열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관리자가 항시 주거하는 관리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여 관리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blocking the flow of heat by closing the passage portion, the manager does not influence the management space that always resides, thereby maintaining a comfortable state and reducing the fatigue of the manager.
그리고, 통로부의 크기에 따라 설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installation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ssage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applicability.
더불어, 임시적으로 설치한 후 철거하여 다른 전산실에 재 설치할 수 있어 재활용성이 증대되어 장치의 재구입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temporarily installed and then dismantled and reinstalled in another computer room, the recyclability is increased, and the re-purchase cost of the apparatus is not generated.
아울러, 전산실의 관리자의 출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자동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작동하여 출입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utomatic detection means is oper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ntrance of the manager of the computer room,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access.
또한, 설치 면적이 통로부의 개방 면적을 소모하지 않아 작업상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area does not consume the open area of the passage portion,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movement in th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차단장치(100A)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차단장치(100A)가 장비에 설치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의 설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의 사시도 및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부, 커튼부, 구동부, 안내롤러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의 결합 정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드럼부의 분해 배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드럼부의 간격조절을 나타낸 작동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이 개구부에 설치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가 통로부를 폐쇄하는 작동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가 통로부를 개방하는 작동 정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열차단장치(100B)의 커튼부가 개방되는 과정과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 과정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열차단장치(100C)의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열차단장치(100C)의 자바라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 과정 예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G. 2 is a side view of the firs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simple automatic door for public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nd operation diagram of a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um portion, the curtain portion, the driving portion, and the guide roll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automatic door for a public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dru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u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door for a public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front view of the bellows of the first
13 is an operation front view of the bellows of the first
FIGS. 14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curtain portion of the second thermal-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17 and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closing the bellows of the thir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전산실의 랙본체나 서버 같은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통로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 유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장비(200)가 이격 설치되어 형성하는 통로부(201)를 개폐하도록 자바라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접힘과 펼침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열차단장치(100A)를 형성하거나, 브라인드 방식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며 통로부(201)를 개폐하는 제2열차단장치(100B)를 형성하거나, 자바라 방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접힘과 펼침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제3열차단장치(100C)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irs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는 한 쌍의 장비(200) 상부면에 설치하는 가이드(1)를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1)의 상부면 및 일측면에는 각각 사다리꼴 형상의 레일돌기(1a)를 형성한다.1 to 4, the first
상기 가이드(1)의 하부면에는 단면으로 투영시 'T'형태의 롤러홀(1b)이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A 'T'
상기 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로 자바라(3)의 상부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부(4)를 형성하는데, 상기 롤러부(4)는 제1롤러(4a)~제n롤러(4n)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상기 롤러부(4)의 제1롤러(4a)~제n롤러(4n)는 각각 'T'형태로의 프레임(5)의 수평프레임(5a) 양 끝단에 바퀴(5b)가 형성되며, 세로프레임(5c)의 하부에는 자바라(3)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5d)을 형성한다.The
상기 롤러부(4) 중 최외측 롤러부(4)가 연결되며 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블록(6)을 형성하는데, 상기 안내블록(6)은 기억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면과 내측면에는 레일돌기(1a)가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돌기홀(6b)을 각각 형성한다.The
상기 안내블록(6)과 고정되는 롤러부(4)의 제n롤러(4n)는 세로프레임(5c)에 니은자 형태로 가이드(1)에 간섭되지 않는 연결대(6a)를 이용하여 볼트나 용접방식으로 결합하여 형성한다.The n-
상기 롤러부(4)의 제1롤러(4a)는 롤러홀(1b)에 삽입된 후 전방과 후방에 스톱퍼(8)를 롤러홀(1b)에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자바라(3)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구성한다.The
상기 안내블록(6)의 상부에 고정되며 렉기어(2)를 따라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이송모터(7)를 형성하는데, 상기 이송모터(7)는 렉기어(2)와 기어 연결되는 기어(7a)가 결합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자바라(3)의 양 끝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자석(9)을 다수개로 형성하여, 자바라(3)는 접힘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비닐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자바라(3)의 자석(9)은 무게의 경감을 위하여 금속자석보다는 고무자석을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고 대부분 금속재질로 제작된 장비(200)의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어 밀폐성이 증대되도록 구성한다.A plurality of
상기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안내블록(6)의 전방면이나 렉기어(2)의 후방면에 감지수단(42)을 형성하며 감지수단(42)은 별도의 제어부나 제어부가 내장된 이송모터(7)로 연결하여 구성한다.The sensing means 4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열차단장치(100B)의 안내부(10)는 장비(200)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장비(200)의 양 측면을 상하방향으로 클램핑하도록 나사 조임 형태의 잠금수단(11)이 상부 끝단에 형성된 클램핑단(12)을 형성한다.5 to 11, the
상기 클램핑단(12)의 하부에는 커튼부(30)를 안내하며 통로부(201)의 양 끝단 전면에 위치하는 안내단(13)을 구성한다.A guiding end (13) guiding the curtain part (30) and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assage part (201) is formed below the clamping end (12).
상기 안내부(10)의 클램핑단(12)은 안내단(13)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꺽임단(14)의 끝에 장비(200)의 상부면을 지지도록 잠금수단(11)이 형성된다.The clamping
상기 잠금수단(11)은 꺽임단(14)을 관통하는 나선축(11a)의 일 끝단에는장비(20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1b)과 타 끝단에는 나선축(11a)을 회전시키는 레버(11c)로 형성한다.The locking means 11 has a supporting
상기 안내단(13)은 평면에서 투영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디귿자 공간을 따라 커튼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 장비(20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안내단(13)의 하부 끝단에 장비(200)의 바닥면에 지지하는 지지단(15)을 형성하는데, 상기 지지단(15)은 장비(200)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장비(200)의 바닥의 틈새로 삽입되는 판 형태로 구성된다.A
그리고, 상기 통로부(201)의 상부측에 설치하며 통로부(201)의 폭에 따라 간격이 조절가능한 드럼부(20)는 제1,2드럼부(24)(27)로 형성한다.The
상기 드럼부(20)의 제1드럼부(24)는 상부면에 가이드홀(21)이 형성된 제1케이스(22)의 내부에는 커튼부(30)가 권취된 제1드럼(23)을 형성하며, 상기 제1드럼(23)의 일측에는 스프라킷이 결합된다.The
상기 가이드홀(21)은 제1케이스(22)의 제1덮개(22d)와 측벽(22e)에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22d)의 일측에는 관통홀(22f)를 형성한다.The
상기 드럼부(20)의 제2드럼부(27)는 제1케이스(22)의 상부에 위치하여 가이드홀(21)에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제2케이스(25)의 내부에는 커튼부(30)가 권취된 제2드럼(26)을 형성하며, 제2케이스(25)의 하부에는 롤러부 형태의 가이드홀(2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구(29)를 형성한다.The
상기 제2케이스(25)의 상부에는 제2덮개(25d)가 결합되도록 형성한다.And a
상기 가이드구(29)는 제1케이스(22)의 제1덮개(22d)와 측벽(22e)에 형성된 가이드홀(21)에 삽입되어 제2케이스(25)가 제1케이스(22)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한다.The
상기 가이드홀(21)은 제1,2케이스(22)(25)의 이동 기능수행과 제1,2드럼부(24)(27)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제1,2케이스(22)(25)는 바깥쪽단만이 장비(200)의 상부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제1,2케이스(22)(25)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은 가이드홀(21)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The guide holes 21 perform the function of moving the first and
상기 제1,2드럼부(24)(27)의 제1,2드럼(23)(26)은 각각 제1,2케이스(22)(25)의 내부에서 회전되게 베어링 결합되는 원통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제1,2드럼(23)(26)의 외면에 커튼부(30)가 각각 감겨지며 풀리도록 형성한다.The first and
상기 제1,2드럼(23)(26)은 각각 제1,2케이스(22)(25)의 내부에서 해체할 수 있어 커튼부(30)를 감거나 풀어 낼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and
상기 제1,2드럼부(24)(27)의 제1,2케이스(22)(25)는 하부면에는 커튼부(30)가 통과하는 제1,2커튼홀(22a)(25a)을 각각 형성하는데, 상기 제1,2커튼홀(22a)(25a)은 통로부(201)의 중앙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하여 커튼부(30)가 통로부(201)의 전면에서 최소로 이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상기 제2드럼부(27)의 제2드럼(26) 내면에는 원통형인 키홈(26a)이 형성된 키브라켓(26b)이 형성된다.A
그리고, 상기 드럼부(20)의 제1,2케이스(22)(25)에 형성되는 제1,2커튼홀(22a)(25a) 하부면에는 커튼부(30)를 밀착시키기 위한 안내롤러부(50)를 구성한다.A
상기 안내롤러부(50)는 드럼부(20)의 제1,2케이스(22)(25)에서 인출되는 커튼부(30)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안내해주며 커튼부(30)의 상하 이동시 드럼부(2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The
아울러, 상기 드럼부(20)에 권취되며 통로부(201)를 분할하여 개폐하도록 안내부(10)를 따라 상하 작동하는 커튼부(30)를 형성한다.The
상기 커튼부(30)는 드럼부(20)의 제1드럼(23)에 권취되는 제1커튼(31)을 형성한다.The
상기 커튼부(30)는 드럼부(20)의 제2드럼(26)에 권취되는 제2커튼(32)을 형성한다.The
상기 제1,2커튼(31)(32)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열천이나 투명한 비닐 재질 중 투명한 비닐 재질로 형성하여 통로부(201)를 기준으로 외부와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first and
상기 제1,2커튼(31)(32)의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중량체(33)를 구성하는데, 상기 중량체(33)는 길이가 긴 봉 형태로써 커튼부(30)가 하부로 하강할 때 중량체(33)의 중량으로 인해 텐션을 받아 펴진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중량체(33)의 양 끝단이 안내단(13)에 삽입되어 커튼부(30)가 흔들리지 않고 승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한편, 상기 커튼부(30)의 상하 작동을 위해 드럼부(20)에 회전작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를 형성한다.Meanwhile, a driving
상기 구동부(40)는 드럼부(20)의 제1드럼부(24) 상부면에 설치하는 모터(41)를 형성하는데, 상기 모터(41)는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방향이 변화되는 정역모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상기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드럼부(20)의 전후방에 설치하는 감지수단(42)을 형성한다.Detection means (42)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um unit (2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상기 감지수단(42)은 일 예로 통로부(201)의 천정에 설치되어 관리자가 감지수단(42)의 설정된 감지 범위내로 접근하면 신호를 별도의 제어부나 모터(41)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커튼부(30)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모터(41)를 작동시키고, 감지 범위를 벗어나면 커튼부(30)를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모터(41)를 작동시키도록 작동신호를 감지 및 전달하도록 구성한다.The sensing means 4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상기 모터(41)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축(43)과 제1드럼(23)을 벨트나 체인으로 제1케이스(22)를 관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모터(41)의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2축(44)이 제2드럼부(27) 제2드럼(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키(Key)연결 방식으로 연결한다.A
상기 제1축(43)과 제1드럼(23)의 일 끝단에는 모터(41)의 구동력을 전달을 위해 벨트로 연결될 경우 풀리가 결합되고, 체인(41a)으로 연결될 경우 스프라킷(41b)이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체인(41a)과 스프라킷(41b)을 일 예로 설명하며, 상기 체인(41a)는 제1덮개(22d)의 관통홀(22f)를 통해 제1드럼(23)에 결합된 스프라킷에 연결된다.A pulley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상기 모터(41)의 제1,2축(43)(44)은 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써 제1축(43)은 외부로 노출되고, 제2축(44)은 제2드럼부(27)의 제2드럼(26)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축(44)의 외면에 형성된 키(44a)가 제2드럼(26)의 키브라켓(26b) 키홈(26a)에 끼움되도록 형성한다.The
상기 제2축(44)은 제1,2드럼부(24)(27)를 설치하기 전단계에서 통로부(201)의 폭에 맞게 제1,2드럼부(24)(27)의 간격을 조정시 제2드럼부(27)의 키브라켓(26b)과 제2축(44)이 슬라이드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즉, 상기 제2드럼부(27)는 모터(41)의 제2축(44)이 내부로 삽입, 인출되며 제1드럼부(24)의 상부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모터(41)의 제1,2드럼(23)(26)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한다.That is, th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열차단장치(100C)는 한 쌍의 장비(200) 상부면에 설치하는 가이드(1)를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1)의 하부면에는 단면으로 투영시 'T'형태의 롤러홀(1b)이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17, the third
상기 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로 자바라(3)의 상부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부(4)를 형성하는데, 상기 롤러부(4)는 제1롤러(4a)~제n롤러(4n)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상기 롤러부(4)의 제1롤러(4a)~제n롤러(4n)는 각각 'T'형태로의 프레임(5)의 수평프레임(5a) 양 끝단에 바퀴(5b)가 형성되며, 세로프레임(5c)의 하부에는 자바라(3)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5d)을 형성한다.The
상기 롤러부(4)의 제n롤러(4n)는 롤러홀(1b)에 삽입된 후 전방과 후방에 볼트와 같은 스톱퍼 기능을 하는 부재를 이용하여 롤러홀(1b)에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자바라(3)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구성한다.The n-
상기 자바라(3)의 양 끝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자석(9)을 다수개로 형성하여, 자바라(3)는 접힘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비닐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자바라(3)의 자석(9)은 무게의 경감을 위하여 금속자석보다는 고무자석을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고 대부분 금속재질로 제작된 장비(200)의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어 밀폐성이 증대되도록 구성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door for public building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4,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는 가이드(1)의 상부 일측에 렉기어(2)를 볼트나 용접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한다.As shown in FIGS. 1, 4, 12 and 13, the first
이후, 상기 가이드(1)의 레일돌기(1a)를 안내블록(6)의 레일홀(6a)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안내블록(6)의 상부에 이송모터(7)를 고정하고 기어(7a)를 렉기어(2)와 기어 연결한다.Thereafter, the rail projection 1a of the
이후, 상기 가이드(1)의 롤러홀(1b)을 통해 롤러부(4)의 제n롤러(4n)부터 제7롤러(4g)~제1롤러(4a)의 순으로 삽입하여 바퀴(5b)가 롤러홀(1b)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제n롤러(4n)는 안내블록(6)과 연결하는데 세로프레임(5c)과 안내블록(6)을 연결대(6a)를 이용하여 일 예로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n-
그리고, 상기 롤러부(4)의 제1롤러(4a)의 전후방으로 롤러홀(1b)을 통해 스톱퍼(8)를 결합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결합하는데, 본 발명에서 스톱퍼(8)는 일 예로 볼트를 롤러홀(1b)에 체결한다.The
이후, 상기 롤러부(4)의 제1롤러(4a)~제n롤러(4n)의 프레임(5)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5c)에 형성된 결합홈(5d)에 자바라(3)의 상부 끝단을 삽입하여 나사나 접착 방식,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한다.The upper end of the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1)를 장비(200)들이 이격 설치되어 형성되는 통로부(201)을 가로질러 가이드(1)를 한 쌍의 장비(200)의 상부면에 올려놓은 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Next, the
이때, 상기 가이드(1)와 장비(200)의 결합시 볼트를 이용하면 장비(200)가 파손될 수도 있어 자석이나 접착제를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bolts are used to join the
상기 이송모터(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가이드(1)의 전후방에 감지수단(42)을 설치한다.Detection means (42)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guide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eed motor (7).
아울러, 상기 이송모터(7)와 감지수단(42)은 전원제어와 작동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제어부에 연결하며, 이송모터(7)에 연결하는 케이블은 이동하는 이송모터(7)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파손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설치를 완료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작동을 살펴보기 위한 조건은 자바라(3)가 통로부(20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통로부(201)를 개방시키는 과정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dition for exam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이때,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3)가 통로부(201)를 폐쇄시키기 위한 작동은 통로부(201)의 외부와 내부측에서 관리자가 감지수단(42)의 설정된 감지 범위내로 접근하면 신호를 별도의 제어부나 이송모터(7)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자바라(3)가 펼쳐지게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7)가 작동하면 기어(7a) -> 기어(7a)가 렉기어(2)를 따라 회전 -> 이송모터(7)와 함께 안내블록(6)이 이동 -> 안내블록(6)과 연결대(6a)에 연결된 제n롤러(4n)가 이동 -> 제n롤러(4n)의 이동으로 자바라(3)가 함께 이동 -> 지속적인 이송모터(7)의 이송으로 롤러부(4)의 제n롤러(4n)과 제7롤러(4g)~제1롤러(4a)의 순으로 당겨지면서 자바라(3)가 펼쳐진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for closing the
이때, 상기 제1롤러(4a)는 스톱퍼(8)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이송모터(7)가 이송력에 의해 접혀진 상태의 자바라(3)가 펼쳐져 통로부(201)를 폐쇄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상기 자바라(3)의 양 끝단 중 제1롤러(4a)에 근접한 일 끝단은 장비(200)의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n롤러(4n)에 근접한 타 끝단은 펼쳐지는 자바라(3)에 형성된 자석(9)은 장비(200)에 근접하면 자력으로 장비(200)에 부착되어 통로부(201)를 폐쇄하는 밀폐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One end of each end of the
반대로,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3)에 의해 폐쇄된 통로부(201)를 개방시키기 위한 작동은 통로부(201)의 외부와 내부측에서 관리자가 감지수단(42)의 설정된 감지 범위내로 접근하면 신호를 별도의 제어부나 이송모터(7)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자바라(3)가 접혀지게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7)가 작동하면 기어(7a) -> 기어(7a)가 렉기어(2)를 따라 회전 -> 이송모터(7)와 함께 안내블록(6)이 제1롤러(4a)측으로 이동 -> 안내블록(6)과 연결대(6a)에 연결된 제n롤러(4n)가 이동 -> 제n롤러(4n)의 이동으로 자바라(3)가 함께 이동 -> 지속적인 이송모터(7)의 이송으로 롤러부(4)의 제n롤러(4n)과 제7롤러(4g)~제1롤러(4a)의 순으로 밀려져 자바라(3)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진다.Conversely, an operation for opening the
이때, 상기 제1롤러(4a)는 스톱퍼(8)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이송모터(7)가 이송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의 자바라(3)가 밀려지며 접혀져 통로부(201)를 개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상기 자바라(3)의 양 끝단 중 제1롤러(4a)에 근접한 일 끝단은 장비(200)의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n롤러(4n)에 근접한 타 끝단의 자석(9)이 장비(200)에서 부착이 해제되는 것이다.One end of the both ends of the
더불어,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는 이송모터(7)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공회전이 가능하여 관리자가 자바라(3)를 직접 당겨 접어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통로부(201)를 개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도 5 내지 도 11,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열차단장치(100B)는 별도로 제작된 안내부(10)의 안내단(13)은 장비(200)의 측면에 밀착하고 지지단(15)은 장비(200)의 바닥면에 지지시키고 꺽임단(14)은 장비(200)의 상부면에 밀착하도록 설치한다.As shown in FIGS. 5 to 11 and FIGS. 14 to 16, the
이때, 상기 안내부(10)의 설치가 완료되면 레버(11c)를 회전시켜 나선축(11a)의 회전으로 밀착단(11b)이 장치(200)의 상부면을 밀착 가압하는 동시에 지지단(15)이 장치(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면서 안내부(10)를 견고하게 고정한하여 설치를 완료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이후, 상기 장치(200)의 상부면에 드럼부(20)를 설치하기 전단계에서 구동부(40)의 모터(41)는 제1케이스(22)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모터(41)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축(43)과 제1드럼(23)의 스프라킷과 체인(41a)으로 제1케이스(22)의 관통홀(22f)을 통과하여 연결하고, 상기 제2축(44)은 제2드럼부(27)의 키브라켓(26b) 키홈(26a)과 제2축(44)의 키(44a)를 연결한다.The
다음으로, 상기 드럼부(20)를 통로부(201)의 폭에 맞게 제1,2드럼부(24)(27)의 간격을 조정시, 상기 제1,2드럼부(24)(27)를 가이드홀(21)을 따라 좁히거나 늘려서 간격을 조절하는데 이때, 상기 제2축(44)은 제2드럼부(27)의 키브라켓(26b) 키홈(26a)과 제2축(44)의 키(44a)가 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여 통로부(20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first and
이때, 상기 제1,2드럼(23)(26)은 각각 제1,2커튼(31)(32)을 감은 상태로 끝단은 각각 제1,2커튼홀(22a)(25a)을 통해 끝단이 노출되도록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이렇게, 상기 드럼부(20)의 제1,2드럼부(24)(27)의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통로부(201)의 상부면에 제1,2케이스(22)(25)의 외측 끝단에 각각 형성된 제1,2체결단(22b)(25b)의 제1,2앵커홀(22c)(25c)을 통해 볼트(28)를 장치(200)의 상부면에 고정한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즉, 상기 드럼부(20)는 가이드홀(21)에 삽입되는 가이드구(29)에 의해 제1,2드럼부(24)(27)를 연결하는 동시에 제1,2케이스(22)(25)는 바깥쪽단만 장치(200)의 상부면에 볼트(28)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That is, the
이후, 상기 커튼부(30)의 제1,2커튼(31)(32)의 끝단에는 동시에 중량체(33)를 연결한 상태에서 중량체(33)의 양끝단을 안내단(13)의 디귿자홈에 삽입한다.The ends of the
다음으로, 상기 드럼부(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튼부(30)의 제1,2커튼(31)(32)의 전면에 안내롤러부(50)를 위치시켜 통로부(201)의 전방면에 고정한다.Next, the
그 다음으로, 상기 감지수단(42)을 통로부(201)의 전방과 후방면에 각각 고정하고 모터(41)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하여 제2열차단장치(100B)의 설치를 완료한다.Next, the sensing means 42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이러한, 상기 제2열차단장치(100B)의 작동을 살펴보면 통로부(201)의 외부와 내부측에서 관리자가 감지수단(42)의 설정된 감지 범위내로 접근하면 신호를 별도의 제어부나 모터(41)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커튼부(30)를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모터(41)가 작동하면 제1,2축(43)(44)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력은 제1축 -> 제1축(43)의 스프라킷(41b) -> 체인(41a) -> 제2드럼(26)의 스프라킷(41b)으로 전달되어 제1드럼(23)이 정 회전하고, 동시에 제2축(44) -> 키(44a) -> 키브라켓(26b) -> 제2드럼(26)이 정 회전하면서 제1,2커튼(31)(32)이 제1,2드럼(23)(26)에 감겨서 중량체(33)가 안내단(1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커튼부(30)에 의해 폐쇄된 통로부(201)가 개방되는 것이다.When the manager approaches the sensing range of the sensing means 42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반대로, 상기 통로부(201)의 외부와 내부측에서 관리자가 감지수단(42)의 설정된 감지 거리범위에서 벗어나면 신호를 별도의 제어부나 모터(41)내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커튼부(30)를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모터(41)가 작동하면 제1,2축(43)(44)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력은 제1축 -> 제1축(43)의 스프라킷(41b) -> 체인(41a) -> 제2드럼(26)의 스프라킷(41b)으로 전달되어 제1드럼(23)이 역 회전하고, 동시에 제2축(44) -> 키(44a) -> 키브라켓(26b) -> 제2드럼(26)이 역 회전하면서 제1,2커튼(31)(32)이 제1,2드럼(23)(26)에 감겨서 중량체(33)가 안내단(13)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커튼부(30)에 의해 개방된 통로부(201)가 폐쇄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manager is out of the sensing distance range set by the sensing means 42, the controller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in the separate control unit or the
여기서, 상기 모터(41)의 회전수는 통로부(201)의 높이에 따라 커튼부(30)에 의한 통로부(201)의 개폐 지점을 회전수로 환선 설정하여 조정할 수도 있으며, 안내단(13)에 커튼부(30)의 최대 상승거리 및 하강거리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상하끝단에 각각 설치하여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이때, 상기 커튼부(30)는 안내롤러부(50)에 의해 통로부(201)의 전방면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커튼부(30)의 상하 이동시 드럼부(2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통로부(201)의 폐쇄력을 증진시키는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이로써, 상기 제2열차단장치(100B)를 이용하여 장비(200)의 열기가 통로부(201)를 통해 손실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하며 작업을 위한 출입에 방해가 되지 않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of the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열차단장치(100C)는 가이드(1)의 롤러홀(1b)을 통해 롤러부(4)의 제n롤러(4n)부터 제7롤러(4g)~제1롤러(4a)의 순으로 삽입하여 바퀴(5b)가 롤러홀(1b)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한다.17 to 19, the third
그리고, 상기 롤러부(4)의 제n롤러(4n)의 전후방으로 롤러홀(1b)을 통해 도면상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결합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결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볼트를 롤러홀(1b)에 돌출하도록 체결한다.A bolt (not shown)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n-
이후, 상기 롤러부(4)의 제1롤러(4a)~제n롤러(4n)의 프레임(5)을 구성하는 세로프레임(5c)에 형성된 결합홈(5d)에 자바라(3)의 상부 끝단을 삽입하여 나사나 접착 방식,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한다.The upper end of the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1)를 장비(200)들이 이격 설치되어 형성되는 통로부(201)을 가로질러 가이드(1)를 한 쌍의 장비(200)의 상부면에 올려놓은 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Next, the
이때, 상기 가이드(1)와 장비(200)의 결합시 볼트를 이용하면 장비(200)가 파손될 수도 있어 자석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At this time, when the bolts are used for coupling the
이러한, 상기 제3열차단장치(100C)의 작동을 살펴보기 위한 조건은 자바라(3)가 통로부(20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통로부(201)를 개방시키는 과정 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dition for examin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이때, 상기 제1열차단장치(100A)의 자바라(3)가 통로부(201)를 폐쇄시키기 위한 작동은 통로부(201)의 외부와 내부측에서 관리자가 개방된 자바라(3)의 끝단을 파지 한 상태로 폐쇄를 위한 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제1롤러(4a)의 순서로 제7롤러(4g)가 순차적으로 따라서 이동하며 당겨져서 펼쳐진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for closing the
이때, 상기 제n롤러(4n)는 고정되어 있어 이송력에 의해 접혀진 상태의 자바라(3)가 펼쳐져 통로부(201)를 폐쇄하게되며 자바라(3)의 개방동작은 폐쇄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n-
아울러, 상기 자바라(3)의 양 끝단 중 제1롤러(4a)에 근접한 일 끝단은 장비(200)의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n롤러(4n)에 근접한 타 끝단은 펼쳐지는 자바라(3)에 형성된 자석(9)은 장비(200)에 근접하면 자력으로 장비(200)에 부착되어 통로부(201)를 폐쇄하는 밀폐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One end of each end of the
이러한, 상기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는 전산실에 각종 장비(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장비(200)와 장비(200)의 통로부(201)를 통해 다른 구역으로 유동하여 다른 장비(200)의 열 상승을 방지하여 고장이나 이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이러한, 상기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는 통로부(201)의 면적이나 개폐 방식을 자바라(3) 방식이나 커튼부(30) 방식으로 형성하여 설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범용성을 증진시키는 특징이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또한, 상기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는 통로부(201)를 폐쇄하여 열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관리자가 항시 주거하는 관리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여 관리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그리고, 상기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는 통로부(201)의 크기에 따라 설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더불어, 상기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는 임시적으로 설치한 후 철거하여 다른 전산실에 재 설치할 수 있어 재 활용성이 증대되어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의 재구입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아울러, 상기 제1,2열차단장치(100A)(100B)는 전산실의 관리자의 출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감지수단(42)을 이용하여 작동하여 출입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상기 제1,2,3열차단장치(100A)(100B)(100C)는 설치 면적이 통로부(201)의 개방 면적을 소모하지 않아 작업상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construction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100A : 제1열차단장치
1 : 가이드
1a : 레일돌기
1b : 롤러홀
2 : 렉기어
3 : 자바라
4 : 롤러부
4a : 제1롤러
4g : 제7롤러
4n : 제n롤러
5 : 프레임
5a : 수평프레임
5b : 바퀴
5c : 세로프레임
5d : 결합홈
6 : 안내블록
6a : 연결대
6b : 결합홈
7 : 이송모터
7a : 기어
8 : 스톱퍼
100B : 제2열차단장치
10 : 안내부
11 : 잠금수단
11a : 나선축
11b : 지지판
11c : 레버
12 : 클램핑단
13 : 안내단
14 : 꺽임단
15 : 지지수단
20 : 드럼부
21 : 가이드
22 : 제1케이스
22a : 제1커튼홀
22b : 제1체결단
22c : 제1앵커홀
23 : 제1드럼
24 : 제1드럼부
25 : 제2케이스
25a : 제2커튼홀
25b : 제2체결단
25c : 제2앵커홀
26 : 제2드럼
26a : 키홈
26b : 키브라켓
27 : 제2드럼부
28 : 앵커볼트
29 : 가이드구
30 : 커튼부
31 : 제1커튼
32 : 제2커튼
33 : 중량체
40 : 구동부
41 : 모터
41a : 체인
41b : 스프라킷
42 : 감지수단
43 : 제1축
44 : 제2축
44a : 키
100B : 제2열차단장치
200 : 장비 201 : 통로부
100A: First heat shield unit
1: Guide 1a: Rail protrusion
1b: roller hole 2:
3: Bellows 4: Roller
4a:
4n: Control roller 5: Frame
5a:
5c:
6:
6b: coupling groove 7: feed motor
7a: Gear 8: Stopper
100B: second heat shielding unit 10: guide unit
11: Locking means 11a: Spiral shaft
11b:
12: Clamping end 13: Guide end
14: Fold 15: Support means
20: drum portion 21: guide
22:
22b: first fastening
23: first drum 24: first drum portion
25:
25b:
26:
26b: key bracket 27: second drum portion
28: Anchor bolt 29: Guide hole
30: curtain 31: first curtain
32: second curtain 33: weight
40: driving part 41: motor
41a:
42: sensing means
43: first axis 44: second axis
44a: key
100B: Second heat shield unit
200: Equipment 201:
Claims (10)
다수의 장비(200)가 이격 설치되어 형성하는 통로부(201)를 개폐하도록 자바라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접힘과 펼침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열차단장치(100A)를 형성하거나, 브라인드 방식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며 통로부(201)를 개폐하는 제2열차단장치(100B)를 형성하거나, 자바라 방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접힘과 펼침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제3열차단장치(100C)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실의 열 유동 차단장치.1. A heat flow apparatus for preventing heat generated in equipment such as a rack body or a server of an computer room from flowing through a passage portion,
The first heat shielding unit 100A which automatically ope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folding and unfolding can be formed by using a bellows method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part 201 formed by a plurality of equipments 200, A second heat shielding unit 100B which ope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ich opens and closes the passageway 201 or a third heat shielding unit 100B which is op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manual folding and unfolding 100C). ≪ / RTI >
상기 가이드(1)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하는 렉기어(2),
상기 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로 자바라(3)의 상부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부(4),
상기 롤러부(4) 중 최외측 롤러부(4)가 연결되며 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블록(6),
상기 안내블록(6)의 상부에 형성되며 렉기어(2)를 따라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이송모터(7)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실의 열 유동 차단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shielding unit (100A) comprises guides (1),
(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1)
A plurality of roller portions 4 that move along the guide 1 and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bellows 3 is coupled,
A guide block 6 connected to the outermost roller portion 4 of the roller portion 4 and moving along the guide 1,
And a feed motor (7) formed on the guide block (6) and rotated to move along the feed gear (2).
상기 장비(200)의 상부측에 설치하며 통로부(201)의 폭에 따라 간격이 조절가능한 드럼부(20),
상기 드럼부(20)에 권취되며 통로부(201)를 분할하여 개폐하도록 안내부(10)를 따라 상하 작동하는 커튼부(30),
상기 커튼부(30)의 상하 작동을 위해 드럼부(20)에 회전작용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heat shielding unit (100B) comprises guide units (10) installed at both ends of a pair of opposite equipment (200)
A drum unit 2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pparatus 200 and having a variable interval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assage unit 201,
A curtain portion 30 which is wound up on the drum portion 2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ortion 10 so as to divide and open the passage portion 201,
And a driving unit (40)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drum unit (20) for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curtain unit (30).
상기 클램핑단(12)이 상부 끝단에 형성되고 커튼부(30)를 안내하도록 장비(200)의 측면에 설치하는 안내단(13),
상기 안내단(13)의 하부 끝단에 장비(200)의 바닥면에 지지하는 지지단(1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uide part (10) comprises a clamping step (12) in which a locking means (11) of a screw tightening type is formed at an end to clamp both side ends of the passage part (201)
A guide end 1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lamping end 12 and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pparatus 200 to guide the curtain part 30,
And a support end (15)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quipment (200)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end (13).
상기 제1케이스(22)의 상부에 위치하여 가이드홀(21)에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제2케이스(25)의 내부에는 커튼부(30)가 권취된 제2드럼(26)을 형성하는 제2드럼부(2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um part (20) has a guide hole (21) formed in its upper surface, and a first drum (23) in which a curtain part (30) 1, a drum portion 24,
The second case 25 is located above the first case 22 and connected to the guide hole 21 to move horizontally. The second case 25 forms a second drum 26 on which the curtain 30 is wound. (27) for the public buildings.
상기 커튼부(30)는 드럼부(20)의 제2드럼(26)에 권취되는 제2커튼(32),
상기 제1,2커튼(31)(32)의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중량체(3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The curtain part (30)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the curtain part (30) comprises a first curtain (31) wound on the first drum (23) of the drum part (20)
The curtain portion 30 includes a second curtain 32 wound around the second drum 26 of the drum portion 20,
And a weight body (33)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urtains (31, 32).
상기 모터(4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통로부(201)의 전후방에 설치하는 감지수단(42),
상기 모터(41)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축(43)과 제1드럼(23)을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모터(41)의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2축(44)이 제2드럼부(27) 제2드럼(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키(Key)연결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2드럼부(27)는 모터(41)의 제2축(44)이 내부로 삽입, 인출되며 제1드럼부(24)의 상부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모터(41)의 제1,2드럼(23)(26)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건축물용 간이 자동문.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iving unit (40) comprises a motor (4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um unit (24) of the drum unit (20)
Sensing means 42 installed a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ssage portion 20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A first shaft 4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tor 41 and a first drum 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or a chain and a second shaft 44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tor 41 is connected to a second shaft The drum 2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drum 26 and connected to the drum 27 by a key connection method in which the drum 27 is sli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econd drum portion 27 is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of the second shaft 44 of the motor 41 and horizontally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rum portion 24, And the two drums (23) and (26)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상기 가이드(1)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로 자바라(3)의 상부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부(4),
상기 자바라(3)의 양 끝단에는 세로 방향으로 자석(9)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실의 열 유동 차단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heat shielding unit (100C) comprises guides (1),
A plurality of roller portions 4 that move along the guide 1 and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bellows 3 is coupled,
And a magnet (9)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ellows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687A KR101965894B1 (en) | 2017-03-03 | 2017-03-03 | Heat flow cutoff device in computer 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687A KR101965894B1 (en) | 2017-03-03 | 2017-03-03 | Heat flow cutoff device in computer roo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1014A true KR20180101014A (en) | 2018-09-12 |
KR101965894B1 KR101965894B1 (en) | 2019-08-13 |
Family
ID=6359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687A KR101965894B1 (en) | 2017-03-03 | 2017-03-03 | Heat flow cutoff device in computer 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58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338A (en) * | 2020-07-10 | 2022-01-18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Multi function curtain box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197B1 (en) | 2019-07-19 | 2020-10-30 | 허성민 | Telecommunication equipment rack for server room temperature management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44806A (en) * | 2003-02-10 | 2004-09-02 | Nikken Sekkei Ltd | Screen device |
JP2005336804A (en) * | 2004-05-26 | 2005-12-08 | Nabtesco Corp | Self-propelled automatic door |
JP2007002607A (en) * | 2005-06-27 | 2007-01-11 | C T Mach Kk | Hinge device and automatic collapsible lifting gate with the same |
JP2010025451A (en) * | 2008-07-18 | 2010-02-04 | Ntt Facilit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
JP2010190474A (en) * | 2009-02-17 | 2010-09-02 | Ntt Facilit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
KR101176440B1 (en) | 2012-05-08 | 2012-08-30 | (주)한경아이넷 | Air-conditioning system for rack of computer room |
KR101307156B1 (en) * | 2013-05-15 | 2013-09-10 | 유상원 | Roll screen device |
JP2014052820A (en) * | 2012-09-06 | 2014-03-20 | Ntt Facilit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
KR20170006383A (en) | 2015-07-08 | 2017-01-18 | 유종이 | A Airconditioner for Communication Device Rack in Computer Room and A Cooling System |
-
2017
- 2017-03-03 KR KR1020170027687A patent/KR1019658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44806A (en) * | 2003-02-10 | 2004-09-02 | Nikken Sekkei Ltd | Screen device |
JP2005336804A (en) * | 2004-05-26 | 2005-12-08 | Nabtesco Corp | Self-propelled automatic door |
JP2007002607A (en) * | 2005-06-27 | 2007-01-11 | C T Mach Kk | Hinge device and automatic collapsible lifting gate with the same |
JP2010025451A (en) * | 2008-07-18 | 2010-02-04 | Ntt Facilit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
JP2010190474A (en) * | 2009-02-17 | 2010-09-02 | Ntt Facilit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
KR101176440B1 (en) | 2012-05-08 | 2012-08-30 | (주)한경아이넷 | Air-conditioning system for rack of computer room |
JP2014052820A (en) * | 2012-09-06 | 2014-03-20 | Ntt Facilit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uter room |
KR101307156B1 (en) * | 2013-05-15 | 2013-09-10 | 유상원 | Roll screen device |
KR20170006383A (en) | 2015-07-08 | 2017-01-18 | 유종이 | A Airconditioner for Communication Device Rack in Computer Room and A Cooling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338A (en) * | 2020-07-10 | 2022-01-18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Multi function curtain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5894B1 (en) | 2019-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53152A (en) | Screen projection apparatus | |
KR20180101014A (en) | Heat flow cutoff device in computer room | |
JP5977639B2 (en) | Switchgear | |
CN104896707A (en) | Air outlet device of air duct machine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JP6190161B2 (en) | Waterproof device for opening | |
JP6895801B2 (en) | Shutter device structure | |
JP3135825U (en) | Two-layer curtain device for greenhouse | |
JP2002038841A (en) | Opening and closing equipment | |
KR20130022178A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roof | |
WO2009100504A1 (en) | Roller blind system and bracket | |
JP2014227808A (en) | Waterproof device for opening | |
WO2014025043A1 (en) | Rack aisle isolation structure | |
KR102186400B1 (en) | Window Structure with Controllable Closeness by Window's Opening and Closing Degree | |
JP6836339B2 (en) | Variable air volume device | |
KR20110094652A (en) | Double vent system blind window | |
JP3085580B2 (en) | Screen device | |
JP7253783B2 (en) | roll screen | |
JP6342630B2 (en) | Opening / closing body storage case | |
JP6454134B2 (en) | Shutter box mounting structure | |
JP7486326B2 (en) | Blind installation device | |
KR20230039323A (en) | External wind inflow guide equipment | |
JP2001349149A (en) | Ventilating apparatus and door | |
JP2001295567A (en) |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winding shaft of shutter device for building | |
EP1953323B1 (en) | Actuation assembly for moving doors or windows | |
WO2017175357A1 (en) | Equipment attachment device, equipment attachment method, and elevator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