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50A - 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50A
KR20180100950A KR1020170027503A KR20170027503A KR20180100950A KR 20180100950 A KR20180100950 A KR 20180100950A KR 1020170027503 A KR1020170027503 A KR 1020170027503A KR 20170027503 A KR20170027503 A KR 20170027503A KR 20180100950 A KR20180100950 A KR 2018010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container
filt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1772B1 (en
Inventor
경미연
전정재
박응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7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Abstract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detachable container is disclosed. The disclose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supplied water; a main body unit on which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 extract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and extracting the water filtered in the filter unit; a container unit including a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to contain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 user can check the freshness of the water by display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to inform the user of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0001] WATER TREATMENT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음용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dicat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water contained in a container.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기 등과 같이 음용 가능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탄산수기 등과 같이 기능수를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such as a water purifier for filtering water and providing the water to a user, and includ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al water such as carbonated water.

정수기로 통칭되는 음용용 수처리 장치는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물을 내부에 수용된 물을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물탱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A drinking water treatment devic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ater purifier is configured to store the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in a storage portion (water tank) provided therein.

그러나, 저장부에 수용된 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고 물때나 이물질의 생성으로 인하여 위생상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orage portion is likely to be contaminated by bacteria or the like over time, and is hygienically vulnerable due to the generation of water or foreign matt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취수를 원하는 경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곧바로 추출부에서 추출되도록 하는 직수식 정수기(수처리 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irect water purifier (water treatment apparatus) has been proposed in which, when the user desires to take water without stor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filter unit, the filtered water is directly extracted from the extracting unit .

그러나,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와 같이 추출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정량의 정수를 취수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직수 방식을 채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reverse osmotic membrane filter requires a long time for the user to take a certain amount of water when the extraction flow rate is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dopt the direct water system in the case of us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또한,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여과된 물을 저장부 등에 수용시키는 경우 필터부에서 여과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물을 음용할 가능성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when the filtered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r the lik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how much time has elapsed after being filtered in the filter unit,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may drink water with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용기에 수용된 물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onfirming freshness of water contained in a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위생성이 향상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improved hygiene.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one aspect, aim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compact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suited to a user's taste.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수 개의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aspect, provid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a plurality of contain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supplied water;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 extract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And a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이때, 상기 표시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표시방법이 달라지는 표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유닛은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과 점멸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in which the display metho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in which at least one of an illumination color and a blinking method changes according to a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또한,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may be provided, and the contain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iners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and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each contain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valv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supply water to the filter unit or to block water supp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추출부에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a container is mounted on the extracting unit, Can be controll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수감지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 용기에 공급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a container is fully filled with wat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full-water detec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eight sensor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 flow rate sensor for sens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ontainer,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hav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는 여과된 물을 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추출밸브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만수위가 된 용기에 연결된 추출밸브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supply filtered water to a plurality of vessels through the extracting unit by a sensing signal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 and the full-water sensing unit. Here, the plurality of extractors each include an extraction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the filtered water to the vessel,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lose the extraction valve connected to the container having the full water level.

한편, 상기 용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용기의 청결상태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cleaned and the contaminated state of the water contained therein can be confirmed, and a capsule mounting unit in which the capsule is mounted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교체감지시기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필터교체시기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a user of a replacement detection timing of the filter provided in the filter unit.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은 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therein, so that the water filtered in the filter unit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torage unit.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지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unit may include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e extracting units, and a pedestal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a support to place a plurality of containers.

이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벽면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includes a body provided with the extracting unit and a cradl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so that the cradle can be mounted on the wall. The cradle detaches the supporting fram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Lt; / RTI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물공급원과 상기 몸체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od connects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a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filter portion And a connecting channel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몸체에는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수 생성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unit for supplying a functional additive to the filtered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는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 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body having the filter unit, and a pedestal having a plurality of the extracting units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At this time, the pedestal may be hinged to the body and stored in a folded state toward the body.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comprising: a filter portion for filtering supplied water;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 extract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And a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lter unit or cutting off the supply of water, wherein a plurality of the extraction units are provided, and the contain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ine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upplying filtered water to a plurality of vessels through an extraction unit is provid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물의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한 물을 사용자가 음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inform the user of the storage time of the water, thereby not only verifying the freshness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sum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수처리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고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직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어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opt a direct water system in which the filtered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user without stor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의 외부에 복수 개의 용기를 설치하고 여과된 물을 용기에 저장함으로써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방식에서도 사용자에게 직접 정수를 공급하는 직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provided outside the body and the filtered water is stored in a container, so that a direct water system for directly supplying water to the user is adopted in the filtration system hav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So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ygien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부의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main body is minimiz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separated, thereby provid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a compact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에 다양한 물맛을 낼 수 있는 캡슐을 장착하거나 탄산과 같은 기능성 첨가물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 capsule capable of giving various tastes to the container or to provide a functional additive such as carbonic acid, thereby providing various kinds of drinking wat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투명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청결상태나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오염상태 등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user can directly confirm the clean state of the container or the contamination state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can be managed in a clean stat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용기에 만수위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용기를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ater can be supplied to a plurality of containers up to a full water level, a user can conveniently use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various purpo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a)는 용기가 장착되기 전의 단면도이고, (b)는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9는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용기에서 용기캡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유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수배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용기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받침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용기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서 필터부 덮개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체부의 내부 및 후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에 용기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 설명도로서, (a)는 용기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추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c)는 용기로 추출부의 눌림부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d)는 용기를 추출부에 완전히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a) is a sectional view before the container is mounted, and (b) is a sectional view when the container is mounte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FIG.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ainer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or FIG. 6;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cap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of FIG. 9;
Fig. 11 is a water pip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low path structur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6. Fig.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2; FIG.
Fig.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iner from a different angle after separating the container from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2; Fig.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2;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destal is extend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in FIG. 19; FIG.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cover is open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8;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and rear structure of the main body;
Fig. 2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tainer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8, wherei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part, (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extraction sec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reference signs allotted in the same reference notation or the lik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에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11,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apparatus 100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본체부(110)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130)와, 상기 추출부(130)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B1, B2, B3)를 구비하는 용기부(150)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5 and 11, a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filter 120 for filtering water, A container unit 150 having an extraction unit 130 for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extraction unit 130 and containers B1, B2 and B3 for receiving the water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130; B2, and B3, and a display unit 140 that display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상기 본체부(110)는 필터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추출부(130)가 구비된다. The main body 110 houses the filter unit 120 therein and includes an extraction unit 130.

일 예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추출부(130)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에 지지대(1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용기(B1, B2, B3)가 놓여지는 받침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5,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body 111 having an extraction unit 130 and a body 113 coupled to the body 111 through a support 113 And a pedestal 115 on which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placed.

또한, 몸체(11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부(1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필터부(120)를 덮기 위한 필터커버(112)를 구비될 수 있다.A filter cover 112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filter unit 120. The filter cover 120 may include a filter unit 12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그리고, 본체부(110)의 몸체(111)에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필터부(12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필터부(1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유입구(PP1)와, 필터부(1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필터부(1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PP2)와, 표시부(140)나 각종 밸브나 센서, 제어부(C) 등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구(PC)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dy 111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PP1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20 through a flow path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er unit 120, A drain port PP2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20 through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unfiltered water through the flow path and a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140, various valves, sensors, PC) may be provided.

또한, 몸체(111)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B1, B2, B3)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1)의 하면과 받침대(1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111 may include an extracting unit 130 for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20 as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containers B1, B2, and B3 may b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1 and the pedestal 115 as shown in FIGS. 1, 3, and 4.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는 바닥면에 받침대(115)가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to 5 can be used with the pedestal 115 placed on the floor surface.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벽면 거치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6 to 8,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wall-mounted type.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에서 지지대(113)와 받침대(115)를 분리한 후 몸체(111)에 벽면 거치를 위한 거치대(116)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6 to 8,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to 5 separates the support table 113 from the support table 115, And a cradle 116 for the cradle.

이와 같이, 지지대(113)와 받침대(115)를 분리하고 벽면 거치를 위한 거치대(116)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가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tand 113 and the pedestal 11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edestal 116 for mounting the pedestal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variously install the pedestal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use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거치형의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하면 본체부(110) 부분만이 남게 되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6 to 8, whe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separated from the wall-mounted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only th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is left and the volume is minimized. Structure can be provid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받침대(115)에는 용기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하여 열전소자와 같은 온도변화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pedestal 115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hanging member such as a thermoelectric element to heat or cool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또한, 상기 필터부(120)는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필터(F1, F2, F3)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F1, F2, and F3 for filtering water.

이때, 상기 필터부(120)는 제1 필터(F1), 제2 필터(F2), 제3 필터(F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필터의 개수 및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처리 장치(100)에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filter F1, a second filter F2 and a third filter F3. The number and type of filters included in the filter unit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quired for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일 예로서, 상기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필터(F1, F2, F3)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through third filters F1, F2, and F3 provided in the filter unit 120 may hav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제1 필터(F1)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필터는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 필터의 복합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세디먼트 필터는 5미크론 정도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먼지, 찌꺼기, 각종 부유 물질을 제거하며, 프리카본 필터는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 등을 제거한다.The first filter F1 may function as a pre-filter. Such a prefilter may consist of a composite filter of a sediment filter and a free carbon fil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sediment filter removes dirt, debris and various suspended substances through a fine filter of about 5 microns, and the free carbon filter removes harmful substances such as carcinogens (THM), synthetic detergents and insecticides Remove chemicals and residual chlorine.

또한, 제2 필터(F2)는 미세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메인필터로서 기능하며, 통상적으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트랩(nano fiber) 필터 등 여과력이 높은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역삼투막 멤브레인 필터(RO 필터)는 미세한 기공을 갖는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걸러줄 수 있으며, 중공사막 필터(한외여과 필터, UF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나노트랩 필터는 박테리아, 미세 바이러스 및 유해물질을 정전기력으로 흡착시켜 제거하는 필터이다. 다만, 제2 필터(F2)에 사용되는 필터는 전술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트랩 필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filter F2 functions as a main filter for removing fine contaminants, and a filter having high filtering power such as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a nano fiber filter may be us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RO filter) is composed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fine pores to filter heavy metals such as lead and arsenic as well as sodium and various pathogens. The hollow fiber filter (ultrafiltration filter, UF filter) It is a porous filter with pores of several hundred nanometers (nm) in size, which removes contaminants from the water through numerous micropores distributed on the membrane surface. Nanotrap filters are filters that adsorb and remove bacteria, micro viruses, and harmful substances by electrostatic forces. However, the filter used in the second filter F2 is not limited to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the nanotrap filter described above, and various filters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can remove fine contaminants.

그리고, 제3 필터(F3)는 후처리 필터로서 제2 필터(F2)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filter F3 may be configured as a post-treatment filter including a post-carbon filter for removing unpleasant taste, smell, pigment, etc. contained in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F2.

이외에도 상기 필터부(120)는 항균 필터나 각종 기능성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n antibacterial filter or various functional filters.

또한, 필터부(120)에 구비되는 각각의 필터(F1, F2, F3)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연결부(121, 122)에 의해 이웃하는 필터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에 형성된 입수구(PP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부(120)를 거친 후 추출부(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필터(F1, F2, F3)의 내부에는 입수구(PP1), 인접한 다른 필터 또는 추출부(130)와 연결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5, the filters F1, F2, and F3 provided in the filter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neighboring filters by the filter connection units 121 and 122, respectively . The filters F1, F2 and F3 are disposed inside the filters F1, F2 and F3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P1 form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unit 120 and then through the extracting unit 130. [ A flow path for connection to the inlet port PP1, another adjacent filter or the extraction section 130 may be formed.

이에 따라, 외부의 물공급원으로부터 입수구(PP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 필터(F1), 제2 필터(F2), 제3 필터(F3)를 통해 순차적으로 여과된 후 추출부(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rough the inlet PP1 is sequentially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 F1, the second filter F2 and the third filter F3, Lt; / RTI >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필터(F2)에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제3 필터(F3)로 공급되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생활용수가 본체부(110)의 드레인 포트(PP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제2 필터(F2)는 제3 필터(F3) 및 드레인 포트(PP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attached to the second filter F2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supplied to the third filter F3, The second filter F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filter F3 and the drain port PP2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PP2 of the main body 110. [

그리고, 상기 필터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필터(F1, F2, F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필터부(12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일체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교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를 일체로 교체하기 위하여 각각의 필터(F1, F2, F3)의 용량은 수명이 서로 비슷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F1, F2, and F3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tends to replace the filter unit 120, the user can replace the filter unit 120 in one piec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Further, in order to replace the filter unit 120 integrally, the capacities of the filters F1, F2, and F3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ir lifetimes are similar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추출부(130)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필터부(120)의 제3 필터(F3)와 유로로 연결되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도록 용기(B1, B2, B3)와 연결되는 출수단(131)을 갖는다. The extraction unit 13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filter F3 of the filter unit 120 through a flow path so as to extract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20, , B2, B3).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추출부(130)는 필터부(120)가 구비되는 몸체(11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추출부(130)의 위치는 용기(B1, B2, B3)의 형상이나 본체부(110)의 유로 구조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1 to 5, the extraction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1 having the filter unit 120. However, the extraction unit 130 may be located at any one of the vessels B1, B2, and B3 And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30)는 용기(B1, B2, B3)의 상단에 구비된 용기입구(155)에 대응하도록 몸체(111)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이 추출되는 출수단(131)을 구비할 수 있다.3 and 4, the extracting unit 13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tainer inlet 155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nd may have outlet means 131 for extracting water.

이때, 상기 출수단(131)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1)에는 출수단(131)이 설치된 영역의 개구(135a)를 덮도록 추출구 커버(135)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추출구 커버(135)는 용기(B1, B2, B3)가 장착됨에 따라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discharging means 13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contaminated, the body 111 may be provided with an extracting opening cover 135 so as to cover the opening 135a provided with the discharging means 131 It is possible. The extractor cover 13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xtractor cover 135 elastically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135 'as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mounted.

또한, 추출구 커버(135)가 회전할 때 몸체(111)와 간섭되지 않도록 본체부(110)의 몸체(111)에는 함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A depression 136 may be formed in the body 111 of the main body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dy 111 when the extraction port cover 135 rotates.

다음으로,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용기부(150)에 대해 살펴본다.Next, the container unit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9 and 10. Fig.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용기부(1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을 수용하는 용기몸체(151)와, 상기 용기몸체(151)를 덮는 용기캡(152)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ainer unit 150 shown in FIGS. 4, 9, and 10 includes a container body 151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receive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20, A container cap 152 may be provided.

또한, 용기캡(152)은 추출부(130)와 연결되는 연결구(15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구(153)에는 추출부(130)의 출수단(131)과 연결되는 용기입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cap 152 may have a connection port 153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130 and a container inlet 155 connected to the outlet unit 131 of the extraction unit 130, Can be formed.

이러한 연결구(153)는 걸림부(153a)를 구비하여, 추출부(130)에 형성된 개구(135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153 includes a latch 153a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35a formed in the extractor 130. [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거치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B1, B2, B3)가 개구(135a)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추출부(130)에 형성된 개구(135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1, B2, B3)의 연결구(153)를 초기 삽입할 때 용기(B1, B2, B3)가 접촉하는 양측부(133b)와, 상기 양측부(133b)보다 좁은 폭을 가져 용기(B1, B2, B3)의 걸림부(153a)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33a)를 구비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6 to 8, in order to use a wall-mounted type, the containers B1, B2, and B3 need to be stably installed in the opening 135a. The opening 135a formed in the extracting part 130 is formed by the containers B1, B2 and B3 when the connecting port 153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is initially inserted, as shown in FIG. And a supporting portion 133a for supporting the engaging portions 153a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with a narrower width than the both side portions 133b so as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s B1, B2 and B3.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1, B2, B3)는 용기입구(155)를 탄성부재(156)에 의해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캡 커버(154)를 구비할 수 있다.4A, the containers B1, B2, and B3 may have a cap cover 154 that elastically closes the container inlet 155 by an elastic member 156 .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50)를 추출부(130)에 결합하면 출수단(131)이 캡 커버(154)를 후퇴시켜 출수단(131)으로부터 용기입구(155) 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4 (b), when the container unit 150 is coupled to the extracting unit 130, the discharging unit 131 retracts the cap cover 154 from the discharging unit 131 to the container inlet 155,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구비되는 용기(B1, B2, B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1, B2, B3)의 내부, 예를 들어 용기캡(152) 부분에 캡슐(159)의 장착을 위한 캡슐 장착부(158)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캡슐(159)은 캡슐 장착부(158)에 구비된 돌기(158a)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vessels B1, B2 and B3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vessels B1, B2 and B3, for example, A capsule mounting portion 158 for mounting the capsule 159 may be provided in the cap 152 portion. At this time, the capsule 159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58a provided in the capsule mounting portion 158.

이와 같이, 캡슐(159)이 설치된 경우 용기입구(155)를 통해 유입된 정수는 유입구(157)를 통해 캡슐(159) 내부를 거친 후 용기몸체(151)에 수용된다.In this way, when the capsule 159 is installed,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ntainer inlet 155 is received in the container body 151 after passing through the capsule 159 through the inlet 157.

이때, 캡슐(159)의 내부에는 각종 차(tea), 커피, 비타민 제재 등 맛이나 향을 첨가한 다양한 물질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정수의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apsule 159 can accommodate various substances including flavors and fragrances such as various tea, coffee, and vitamins, and thus the user can drink the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

한편, 용기(B1, B2, B3)에 물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용기(B1, B2, B3)의 물을 컵에 따라 음용한 후 추출부(130)에 다시 장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출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소용량의 휴대용기(미도시)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용기는 전술한 용기캡(152)의 호환이 가능한 용기몸체와 밀폐용 뚜껑을 갖도록 구성되어, 용기캡(152)을 이용하여 추출부(130)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은 후 외출시 용기캡(152) 대신에 밀폐용 뚜껑을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 user can separate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nd store them in the refrigerator, or drink the water in the containers B1, B2, And may be mounted on the post-extractor 130 again. At this time, a small-capacity portable container (not shown)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convenience of carrying. The portable unit is configured to have a container body and a sealing lid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container cap 152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unit 152 receives the purified water from the extraction unit 130 using the container cap 152, ) May be used instead with a sealing lid.

또한, 상기 용기(B1, B2, B3)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물탱크)와는 달리 사용자가 용기(B1, B2, B3)의 청결상태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이 오염상태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d therein can be confirmed. Accordingly, unlike the storage unit (water tank)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when the user confirms the clean state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or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140 that display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이러한 표시부(140)의 구성을 통하여, 추출부(130)에 장착된 용기(B1, B2, B3)에 물이 채워진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신선도가 높은 물을 음용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장시간이 경과하여 세균 번식 등의 가능성이 있는 물을 버리고 재정수하도록 알려줄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140, the user can be informed of how much time has elapsed since the containers B1, B2, and B3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130 are filled with wat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drink the fresh wat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long time has elapsed, so that the water having the possibility of the propagation of the germ can be abandoned and the water can be financed.

이러한 사용자 안내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140)는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표시방법이 달라지는 표시유닛(D1, D2, D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유닛(D1, D2, D3)은 본체부(110)의 몸체(111)에 구비될 수 있으나, 받침대(115) 등 다른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the user guidance,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display units D1, D2, and D3 that change display methods according to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 display units D1, D2, and D3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11 of the main body 110, but may be provided on other portions such as the pedestal 115.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유닛(D1, D2, D3)은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과 점멸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units D1, D2, and D3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llumination color and the blinking method changes according to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일 예로서, 표시유닛(D1, D2, D3)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등으로 색상이 변화하는 조명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유닛에 빨간색이 점등된 경우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이 크므로 사용자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을 음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s D1, D2, and D3 may be configured as illumination units whose colors change in blue, yellow, red, etc. a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vessels B1, B2,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user not to drink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B3) because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B3) It becomes.

이외에도,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이 큰 경우 표시유닛(D1, D2, D3)이 점멸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elapsed storage time of water by repeating blinking of the display units D1, D2, D3 when the storage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B3 is large.

한편, 도 1, 도 3, 도 6,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추출부(13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1, 3, 6, 8, and 11,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130 .

이 경우, 복수의 추출부(130)에 각각 용기(B1, B2, B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40)는 추출부(130)에 장착된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도록 각각의 용기(B1, B2, B3)에 대응하는 표시유닛(D1, D2, D3)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containers B 1, B 2, and B 3 may b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130, and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containers B 1, B 2, and B 3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130,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iners B1, B2, and B3 so as to display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s D1, D2, and D3.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추출부(130)에 3개의 용기(B1, B2, B3)가 설치된 경우 3개의 용기(B1, B2, B3)에 물이 순차적으로 물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40)는 각각의 용기(B1, B2, B3)에 물이 채워진 이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표시하기 위하여 3개의 표시유닛(D1, D2, D3)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8, when thre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provided in the extracting unit 130, water is supplied to three containers B1, B2, and B3 And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ree display units D1, D2, and D3 to indicate how much time has elapsed since each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has been filled with water. .

이때, 상기 표시부(140)는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상기 표시유닛(D1, D2, D3) 이외에, 전원공급의 여부나 작동상태 등을 별도의 표시유닛(D0)을 구비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D0 for indicating the elapsed time of storage of water in addition to the display units D1, D2, and D3, whether or not power is supplied, and an operation state.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의 유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수배관도이다.Next, a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s a water pip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shown in Figs. 1 and 6. Fig.

도 1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는 제2 필터(F2)로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설치되고 추출부(130)에 3개의 용기(B1, B2, B3)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shown in FIG. 11 shows a structure in which an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installed as a second filter F2 and three containers B1, B2, and B3 can be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130 For example.

본체에 구비된 입수구(PP1)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필터부(120)로 공급되어 여과된다. 이때, 필터부(120)는 일 예로서 제1 필터(F1), 제2 필터(F2) 및 제3 필터(F3)를 포함하는 3개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3개의 필터를 거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은 추출부(130)를 통해 용기부(15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필터(F2)로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 제2 필터(F2)를 통과하지 못한 생활용수가 배출되도록 제2 필터(F2)는 드레인 포트(PP2)와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P1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20 and is filtered. Here, 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three filters including a first filter F1, a second filter F2, and a third filter F3 as an example. The three filters may be sequentially The filter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unit 150 through the extraction unit 13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used as the second filter F2, the second filter F2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PP2 so as to discharge the domestic 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F2 .

이때, 필터부(120)와 연결된 유로 상에는 필터부(12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밸브(V)는 입수구(PP1)에 구비될 수 있으나, 필터부(120)로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면 그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 supply valve (V) may be installed on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20) to supply water to the filter unit (120) or to open or close the supply of water. The supply valve V may be provided in the inlet port PP1,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if the supply of water to the filter unit 120 can be blocked.

이러한 공급밸브(V)는 추출부(130)에 용기(B1, B2, B3)가 장착되고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예를 들어, 만수)가 되지 않은 경우 추출부(130)에 장착된 용기(B1, B2, B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C)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vessels B1, B2, and B3 are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130 and the water level of the vessels B1, B2, and B3 is not at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for example, full water level) B2, and B3 mounted on the container 130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s B1, B2, and B3.

이와 같이 추출부(130)에 용기(B1, B2, B3)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감지부(S1, S2, S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감지부(S1, S2, S3)는 용기(B1, B2, B3)가 추출부(130)에 장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용기(B1, B2, B3)와 접촉하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용기감지부(S1, S2, S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B1, B2, B3)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센서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iner sensing unit S1, S2, and S3 so that the containers B1, B2, and B3 may be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130 . The container sensing units S1, S2, and S3 generate signals whe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contact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o detect the state of the containers B1, B2, A contact type switch or the lik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s S1, S2, and S3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sensors and switche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can detect the mounting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따라서, 제어부(C)는 용기감지부(S1, S2, S3)의 감지 신호에 따라 용기(B1, B2, B3)가 장착된 추출구(P1, P2, P3)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밸브(V)를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supply valves P1, P2, and P3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equipped with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s S1, S2, (V) can be opened.

한편,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됨에 따라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예를 들어, 만수)가 되는 경우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 water level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rises and the water level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reaches a predetermined water level (for example, ),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containers B1, B2, and B3.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C)는 용기감지부(S1, S2, S3) 및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밸브(V)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C)는 용기감지부(S1, S2, S3)에 의해 용기(B1, B2, B3)가 추출부(130)에 장착되는 것이 감지되면 공급밸브(V)가 개방되도록 하여 추출부(130)의 추출구(P1, P2, P3)를 통하여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용기(B1, B2, B3)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만수위)가 되면 공급밸브(V)를 차단하여 추가적인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For thi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B3 is full, Closing of the supply valve V is controlled by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units S1, S2, and S3 and the full-water detection unit. That is, when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S1, S2, S3 detects that the containers B1, B2, B3 are mounted on the extracting unit 130, the control unit C opens the supply valve V, B2 and B3 are supplied to the vessels B1, B2 and B3 via th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of the supply valve 130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vessels B1, B2 and B3 reaches a predetermined water level (V) to block the supply of additional purified water.

이러한 만수감지부는 일 예로서,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WS1, WS2, WS3), 용기(B1, B2, B3)에 공급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FS), 및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센서(WS1, WS2, WS3)는 용기(B1, B2, B3)의 중량과 물이 수용되는 부피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중량이 감지되면 용기(B1, B2, B3)의 만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센서(WS1, WS2, WS3)는 받침대(115)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벽면 거치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추출부(1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유량센서(FS)는 추출부(130)를 통하여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며, 제어부는 용기(B1, B2, B3)의 부피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부피에 해당하는 물이 흐르는 것을 감지하면 용기(B1, B2, B3)의 만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위센서(미도시)는 용기(B1, B2, B3)에 플로트를 설치하고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본체부(110)에 설치하여 용기(B1, B2, B3) 수위의 상승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트가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플로트 방식이나, 용기(B1, B2, B3)에 빛을 투사하고 수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광학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수감지부는 전술한 센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중량센서(WS1, WS2, WS3)와 유량센서(FS)가 모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어느 하나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유량센서(FS)와 수위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As an example,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includes a weight sensor WS1, WS2, and WS3 for sensing the w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 flow rate sensor for sensing a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containers B1, A sensor FS and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 weight sensors WS1, WS2 and WS3 judge that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full when the preset weight is sens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nd the volume of water received . The weight sensors WS1, WS2, and WS3 may be installed on the pedestal 115. However, when used as a wall-mounted type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6 to 8, have. The flow rate sensor FS senses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unit 130. The controller senses the flow of water corresponding to a preset volume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the containers B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containers B1, B2, and B3 is full. The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float on the vessels B1, B2, and B3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loa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to raise the water level of the vessels B1, B2, A float system that detects the rising float at a certain height or an optical system that projects light to the vessels B1, B2, and B3 and detects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using informa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water surface Can be used. However, the full water sensing par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ensors, and various known sensors may be used. 11 shows a state in which both the weight sensors WS1, WS2 and WS3 and the flow sensor FS are used. However, any one of them may be used. In the case where the flow sensor FS and the water level sensor are use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as well.

한편, 도 11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30)에 3개의 추출구(P1, P2, P3)가 구비되고, 이러한 추출구(P1, P2, P3)에 각각 용기(B1, B2, B3)가 장착될 수 있다. 11, the extraction unit 130 is provided with thre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Th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are provided with containers B1, B2, , B3) can be mounted.

이와 같이, 추출부(130)에 여러 개의 용기(B1, B2, B3)가 장착된 경우에는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추출밸브(VA1, VA2, VA3)가 각각의 추출구(P1, P2, P3)에 구비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vessels B1, B2, and B3 are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130, the extraction valves 130, 130, and 130 are provided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respective vessels B1, B2, and B3, VA1, VA2, and VA3 may be provided in the respectiv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예를 들어, 제1 추출구(P1)와 제2 추출구(P2)에 각각 제1 용기(B1)와 제2 용기(B2)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경우, 제어부(C)는 제1 용기감지부(S1)에 의해 제1 용기(B1)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고, 공급밸브(V)와 제1 추출밸브(VA1)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용기(B1)에 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수위감지부에 의해 제1 용기(B1)의 만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1 추출밸브(VA1)를 차단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ainer B1 and the second container B2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first extraction port P1 and the second extraction port P2, It is sensed that the first container B1 is mounted by the portion S1 and the supply valve V and the first extraction valve VA1 are opened so that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the first container B1 Lt; / RTI >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C senses that the first container B1 is full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the first extraction valve VA1 is shut off.

한편, 제1 용기(B1)를 장착한 후에 제2 용기(B2)의 장착이 이루어지면 제어부(C)는 제1 용기(B1)와 제2 용기(B2)가 장착된 것을 감지하고, 먼저 장착된 제1 용기(B1)에 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제1 추출밸브(VA1)를 차단하고, 제2 추출밸브(VA2)를 개방하여 제2 용기(B2)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ontainer B2 is mounted after the first container B1 is mounted, the controller C senses that the first container B1 and the second container B2 are mounted, The first extraction valve VA1 is shut off after the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first container B1 is completed and the second extraction valve VA2 is opened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second container B2.

이와 같이, 각각의 추출구(P1, P2, P3)에 추출밸브(VA1, VA2, VA3)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용기(B1, B2, B3)에 순차적으로 정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추출구(P3)에 제3 용기(B3)가 장착된 경우에도 제어부(C)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밸브(V)와 제3 추출밸브(VA3)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extraction valves VA1, VA2, and VA3 in the respectiv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plurality of containers B1, B2, and B3. Even when the third container B3 is attached to the third extraction port P3,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V and the third extraction valve VA3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다만, 추출밸브(VA1, VA2, VA3)의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용기가 만수가 된 후 다음 용기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가 장착된 추출구(P1, P2, P3)에 구비된 추출밸브(VA1, VA2, VA3)를 동시에 개방하여 여러 개의 용기(B1, B2, B3)에 동시에 정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용기(B1, B2, B3)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WS1, WS2, WS3)를 이용하면, 여러 개의 용기(B1, B2, B3)에 동시에 정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용기(B1, B2, B3)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용기를 분리하여 정수를 사용한 후 용기를 다시 추출부(130)에 결합하는 경우와 같이 초기 수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용기의 만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중량센서(WS1, WS2, WS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용기에 정수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용기가 분리될 때, 추출부(130)를 통한 물의 공급을 즉시 중단할 수 있도록 추출구(P1, P2, P3) 또는 추출밸브(VA1, VA2, VA3)에는 용기가 장착될 때에만 개방되는 기계식 액츄에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 control of the extraction valves VA1, VA2 and VA3 is not limited to the sequential opening and closing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next container after one container becomes full as described above, The extraction valves VA1, VA2 and VA3 provided in the openings P1, P2 and P3 can be simultaneously opened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plurality of containers B1, B2 and B3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when the weight sensors WS1, WS2, and WS3 that sense the weights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used, even when the purified wat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tainers B1, B2, and B3 Not only the water level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can be checked, but also when the initial water level is not constant, such as when the user separates the containers and uses the purified water,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Further, even when the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each container is used, the same function as the weight sensors WS1, WS2, and WS3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The extraction ports P1, P2, and P3 or the extraction valves VA1, VA2, and VA3 may be configured to immediately stop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extraction unit 130 when the vessel is separated from the vessel, A mechanical actua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which is opened only when the container is mounted.

이와 같이, 추출부(13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용기(B1, B2, B3)에 정수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C)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유닛(140)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게 된다.When the constants are stored in the plurality of containers B1, B2, and B3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C controls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 display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display unit 140 to the user.

즉,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일정 수준의 물이 수용되면, 시간측정부(T)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 제어부(C)는 시간측정부(T)의 측정시간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하여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게 된다.That is, when a certain level of water is received in each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 time measuring unit T count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each of the containers, T,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each container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용기에 대응하는 표시유닛(D1, D2, D3)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용기에 수용된 물이 어느 정도의 신선도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received water through the display units D1,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s, Of the freshnes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장치 내부에 저장부(물탱크)를 구비하지 않으며, 따라서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물은 별도의 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추출부(130)를 통하여 추출되어 용기(B1, B2, B3)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명 재질 용기(B1, B2, B3)의 청결상태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이 오염상태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torage unit (water tank) inside the apparatus, so that the water filtered in the filter unit 120 is discharged to the extraction unit 130 and stored in the containers B1, B2, B3.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confirm the clean stat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containers B1, B2, and B3 or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용기(B1, B2, B3)의 수위가 일정 수준이 될 때까지 용기에 정수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용기에 저장된 정수를 음용하게 되므로 여과 유량이 작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도 직수 방식과 유사하게 장치 내부의 저장부(물탱크) 없이도 사용자가 정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onstants in the containers until the water level of the containers B1, B2, B3 becomes a certain level, Therefore, even i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having a small filtration flow rate is used, the user can use the purified water without using the storage unit (water tank) inside the apparatus similarly to the direct water system.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복수 개의 용기(B1, B2, B3)를 사용함으로써 대용량의 정수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 저장이 완료된 용기(B1, B2, B3)를 냉장고 등에 별도 보관함으로써 용기(B1, B2, B3)에 저장된 물의 세균번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large-capacity water storage fun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B1, B2, and B3, B2, and B3 are separately stored in a refrigerator or the like,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propagation of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reby enabling hygienic us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필터부(130)에 구비되는 필터(F1, F2, F3)의 교체감지시기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필터교체시기 알림부(F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교체시기는 필터부(130)를 통과한 물의 양(통수량), 필터부(130)의 사용시간 등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제어부(C)에서 판단될 수 있으며, 제어부(C)는 필터교체시기가 된 경우 필터교체시기 알림부(FD)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필터교체시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교체시기 알림부(FD)는 전술한 표시부(140)와 같이, 조명유닛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게 필터교체시기 도래를 안내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터교환 주문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안내하거나 스마트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안내하는 통신수단(예를 들어, NFC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필터교체시기가 된 경우 사용자의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 (FD) for informing a user of a replacement detection timing of the filters F1, F2, F3 provided in the filter unit 130 have. The filter replacement period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C through a known method such as the amount of water (the quantity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30 and the use time of the filter unit 130, When the replacement time comes,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e filter replacement timing through the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FD. Such a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 FD may be a lighting unit like the above-described display unit 140. However, the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 FD may notify the user of the arrival of a filter replacement time, Or a communication means (e.g., NFC, etc.) for guiding to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ccordingly, when the filter replacement period is reached, the user can respond quickly.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에 대해 살펴 본다.Next, a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7. FIG.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의 경우에도, 본체부(210)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220)와, 상기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230)와, 상기 추출부(230)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B1, B2, B3, B4)를 구비하는 용기부(250)와, 용기(B1, B2, B3, B4)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는 본체부(210)의 구체적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의 숫자로 표기하고,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the body portion 210, the filter portion 220 for filtering water, A container unit 250 having an extraction unit 230 for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220 and containers B1, B2, B3 and B4 for receiving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230, And a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B3, and B4.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ody 210. [ Therefore,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s denoted by a numeral of 200 number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duplication.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200)에서 본체부(210)는 필터부(220)를 내부에 수용하며, 본체부(210)에 추출부(230)가 구비된다.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shown in FIGS. 12 to 17, the main body 210 accommodates the filter unit 220 therein, and the extractor 23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일 예로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는 추출부(230)가 구비되는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에 지지대(2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용기(B1, B2, B3)가 놓여지는 받침대(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2 to 17,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body 211 having an extraction unit 230 and a body 213 connected to the body 211 through a support 213 And a pedestal 215 on which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placed.

이러한 지지대(213)는 몸체(211)의 중앙부와 받침대(215)의 중앙부를 연결하게 된다. The support base 213 connects the center of the body 211 and the center of the base 215.

또한, 본체부(210)의 받침대(215)에는 필터부(2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PP1)와, 필터부(2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필터부(2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PP2)와, 표시부(240)나 각종 밸브나 센서, 제어부(C) 등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구(PC)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edestal 215 of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PP1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lter unit 220 and an outlet PP1 for discharging un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220 A drain port PP2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220 through a flow path and a power connection port PC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240, various valves, sensors, and the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그리고, 지지대(213)의 내부에는 받침대(215)에 구비된 유입구(PP1) 및 드레인 포트(PP2)를 몸체(211)에 구비된 필터부(220)에 연결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에서 몸체(21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본체부(210)에는 버튼(211b) 및 버튼 노출구멍(211a)가 설치될 수 있다. A channel for connecting the inlet port PP1 and the drain port PP2 provided in the pedestal 215 to the filter section 220 provided in the body 211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table 213. [ A button 211b and a button exposure hole 211a may be formed in the body 210 so that the body 211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210. [

그리고, 몸체(21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부(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필터부(220)를 덮는 필터커버(212)를 구비할 수 있다.A filter cover 212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filter unit 220 so as to receive the filter unit 220 by forming a predetermined size space in the body 211.

또한, 몸체(211)의 하면에는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B1, B2, B3, B4)는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1)의 하면과 받침대(2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추출부(230)의 출수단(231)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용기(B1, B2, B3, B4)는 추출부(230) 및 출수단(231)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xtraction unit 2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1 to extract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220. 12, 13, and 16, the containers B1, B2, B3, and B4 ar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1 and the pedestal 215, Means (231). The containers B1, B2, B3, and B4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ing unit 230 and the extracting unit 231.

이와 같이,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200)는 바닥면에 받침대(215)가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shown in Figs. 12 to 17 can be used with the pedestal 215 placed on the floor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는 용기부(250)에 4개의 용기(B1, B2, B3, B4)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용기(B1, B2, B3, B4)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위하여 표시부(240)는 4개의 표시유닛(D1, D2, D3, D4)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containers B1, B2, B3, and B4 may be provided in the container unit 250,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four display units D1, D2, D3, and D4 for display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display units B4, B4.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는 본체부(210)의 몸체(211) 내부에 필터부(220)에서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수 생성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수 생성부(270)는 탄산수 생성을 위한 탄산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산소수 생성을 위한 산소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기능수 생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water producing unit for supplying a functional additive to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220 in the body 211 of the body unit 210 270 may be provided. The function generating unit 270 may include a carbonic acid cylinder for generating carbonated water, an oxygen cylinder for generating oxygenated water,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for producing various functional water.

전술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의 구성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배관의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water pipe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pipe, an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마지막으로,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Finally, referring to Figs. 18 to 23,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의 경우에도, 본체부(310)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320)와, 상기 필터부(3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330)와, 상기 추출부(330)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B1, B2, B3)를 구비하는 용기부(350)와,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는 본체부(310), 추출부(330), 용기부(350)의 구체적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의 숫자로 표기하고,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in the cas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body portion 310, the filter portion 320 for filtering water, A container unit 350 having an extraction unit 330 for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320 and containers B1, B2 and B3 for receiving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330, And a display unit 340 that display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body 310, (100). Therefore,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s denoted by a numeral of 300.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redundanc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300)에서 본체부(310)는 필터부(320)를 내부에 수용하며, 본체부(310)에 추출부(330)가 구비된다.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shown in FIGS. 18 to 23, the main body part 310 houses the filter part 320 therein, and the extraction part 33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310.

일 예로서,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10)는 필터부(320)를 수용하는 몸체(311)와, 복수 개의 추출부(330)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용기(B1, B2, B3)가 놓여지는 받침대(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8 to 23, the main body 310 includes a body 311 for receiving the filter unit 320, a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330, B1, B2, and B3) are placed.

본체부(210)의 몸체(311)에는 필터부(3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PP1)와, 필터부(3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필터부(320)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PP2)와, 표시부(340)나 각종 밸브나 센서, 제어부(C) 등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구(PC)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311 of the body 210 has an inlet port PP1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lter unit 320 and an inlet port PP1 for discharging the un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320. [ A drain port PP2 connected to the unit 320 through a flow path and a power connection port PC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340 and various valves and sensors and the control unit C may be provided.

그리고, 필터부(3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 덮개(317)에 장착되어 필터부 덮개(317)를 여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21, when the filter unit cover 317 is mounted on the filter unit cover 317, the filter unit 320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받침대(315)에는 필터부(320)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받침대(315)의 내부에는 필터부(320)와 추출부(330)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15)에는 각각의 용기(B1, B2, B3)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D1, D2, D3)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315 may include an extracting unit 330 for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320. For this purpose, a filter unit 320 and an extracting unit 330 ) Can be formed. Display units D1, D2 and D3 for indicat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each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may be arranged on the pedestal 315.

그리고, 용기(B1, B2, B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15)의 추출부(330)에 장착되어 출수단(33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된다.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mounted on the extracting unit 330 of the pedestal 315 and receive water from the discharging means 331 as shown in Fig.

도 23을 참조하면, 용기부(350)에 구비되는 각각의 용기(B1, B2, B3)는 용기몸체(351)의 하부에 구비된 탈착부(357)에 출수단(33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용기입구(355)가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입구(355)는 출수단(331)과 결합된 상태에서만 개방되고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쇄되는 밸브 또는 기계식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23, each of the containers B1, B2, and B3 provided in the container unit 350 supplies water from the discharging unit 331 to the detachable unit 357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351 A receiving container inlet 355 is provided. Such a container inlet 355 may have the structure of a valve or mechanical actuator that is closed in an open and unjoined state only in conjunction with the outlet means 331. [

즉, 용기부(350)에 구비되는 각각의 용기(B1, B2, B3)는 추출부(3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330)로부터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부(3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가지므로 사용자가 용기(B1, B2, B3)를 분리하더라도 용기 내부의 물이 용기입구(355)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방지의 용기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 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ainers B1, B2, and B3 provided in the container unit 350 ar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extraction unit 33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330 and are separated from the extraction unit 330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iner inlet 355 even if the user detaches the containers B1, B2, and B3. Such a leakage preventing container structure can also be a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용기부(350)에 구비되는 용기(B1, B2, B3)는 하부에 용기입구(355)가 형성되므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351)의 상부에는 밀폐형의 용기캡(352)이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containers B1, B2 and B3 provided in the container unit 350 are provided with the container inlet 355 at the bottom thereof, the container body 351 has a closed container cap 352 ) Can be installed.

또한, 추출부(330)는 용기가 장착되었을 때 탄성적으로 눌려져 출수단(331)의 개구(331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눌림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The extracting unit 330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resilient member 331 when the container is mounted so that the opening 331a of the discharging unit 331 i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도 23(a)에 도시된 용기몸체(351)의 하부에 형성된 탈착부(357)로 도 23(b)에 도시된 추출부(330)의 눌림부(335)를 도 23(c)와 같이 누르면 추출부(330)의 개구(331a)가 노출되어 용기몸체(351)의 용기입구(355)와 결합되며, 이 상태에서 도 23(d)와 같이 용기몸체(351)를 회전시키면 용기몸체(351) 하면에 형성된 걸림부(356)가 눌림부(335) 측면에 형성된 부분에 끼워져 용기의 이탈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23 (c), the depressed portion 335 of the extraction portion 330 shown in FIG. 23 (b) is connected to the depressed portion 357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351 shown in FIG. 23 (a) The opening 331a of the extracting unit 330 is exposed and coupled with the container inlet 355 of the container body 351. When the container body 351 is rotated as shown in Figure 23 (d) The engaging portion 356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51 is fitted to the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335, thereby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351. Accordingly, stable extraction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받침대(315)가 놓여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the pedestal 315 plac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받침대(315)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한 상태에서 몸체(311)에 힌지부(312)를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311) 측으로 접혀져 도 18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는 용기(B1, B2, B3)를 분리하면 받침대(315)가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315)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받침대(315)에는 손잡이(315a)가 구비될 수 있다.The pedestal 315 is hinged to the body 311 with respect to the hinge 312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separated and folded toward the body 311, Lt; / RTI > Accordingly,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fold the pedestal 315 when the containers B1, B2, and B3 are separated, so that the volume is minimized during storage and a compact structure . ≪ / RTI > For easy rotation of the pedestal 315, a pedestal 315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315a.

전술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3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의 구성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배관의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Except for th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water pipe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water pipe, an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Bu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200, 300... 수처리 장치
110, 210, 310... 본체부 111, 211, 311... 몸체
112, 212... 필터커버 113, 213... 지지대
115, 215, 315... 받침대 116... 거치대
120, 220, 320... 필터부 121, 122... 필터 연결부
130, 230, 330... 추출부 131, 231, 331... 출수단
133a... 지지부 133b... 양측부
135... 추출구커버 135a... 개구
136... 함몰부 140, 240, 340... 표시부
150, 250, 350... 용기부 151... 용기몸체
152... 용기캡 153... 연결구
153a... 걸림부 154... 캡 커버
155, 355... 용기입구 156... 탄성부재
157... 유입구 158... 캡슐 장착부
158a... 돌기 159... 캡슐
270... 기능수 생성부 312... 힌지부
317... 필터부 덮개 331a... 개구
335... 눌림부 355... 용기입구
356... 걸림부 357... 탈착부
B1, B2, B3, B4... 용기 C... 제어부
D0, D1, D2, D3, D4... 표시유닛 F1, F2, F3... 필터
FD... 필터교체시기 알림부 FS... 유량센서
P1, P2, P3... 추출구 PC... 전원연결구
PP1... 입수구 PP2... 드레인 포트
S1, S2, S3... 용기감지부 T... 시간측정부
V... 공급밸브 VA1, VA2, VA3... 추출밸브
WS1, WS2, WS3... 중량센서
100, 200, 300 ... water treatment device
110, 210, 310 ... body portion 111, 211, 311 ... body
112, 212 ... filter cover 113, 213 ... support
115, 215, 315 ... pedestal 116 ... pedestal
120, 220, 320 ... filter parts 121, 122 ... filter connection parts
130, 230, 330 ... Extraction unit 131, 231, 331 ... output unit
133a ... support portion 133b ... both sides
135 ... extraction port cover 135a ... opening
136 ... depressed portions 140, 240, 340 ... display portion
150, 250, 350 ... container part 151 ... container body
152 ... container cap 153 ... connector
153a ... engaging portion 154 ... cap cover
155, 355 ... container inlet 156 ... elastic member
157 ... inlet 158 ... capsule mount
158a ... protrusion 159 ... capsule
270 ... function number generation unit 312 ... hinge unit
317 ... filter cover 331a ... aperture
335 ... pressing part 355 ... container inlet
356 ... engaging portion 357 ... detachable portion
B1, B2, B3, B4 ... container C ... control section
D0, D1, D2, D3, D4 ... display unit F1, F2, F3 ... filter
FD ...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FS ... Flow sensor
P1, P2, P3 ... Extractor PC ... Power connector
PP1 ... inlet PP2 ... drain port
S1, S2, S3 ... Vessel sensing part T ... Time measuring part
V ... supply valve VA1, VA2, VA3 ... extraction valve
WS1, WS2, WS3 ... Weight sensor

Claims (28)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용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supplied water;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 extract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And a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a detachable container including a detachabl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표시방법이 달라지는 표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comprises a display unit in which the display metho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은 물의 저장경과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과 점멸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unit comprises an illumination unit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llumination color and the flashing manner changes according to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된 물의 저장경과시간을 표시하는 수처리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are provided,
Wherein the contain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ine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torage elapsed time of the water contained in each of the contain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supply valv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supply water to the filter unit or shut off supply of w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container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container is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by a sensing signal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용기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water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full;
,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by a sensing signal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 and the full-water sens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감지부는 용기에 수용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 용기에 공급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weight sensor for sensing the w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 flow rate sensor for sensing a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container,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supplies the filtered water to a plurality of containers through the extraction unit by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 and the full-water sens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는 여과된 물을 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추출밸브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만수위가 된 용기에 연결된 추출밸브를 폐쇄하는 수처리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extracting sections each have an extraction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the filtered water to the vessel,
Wherein the control unit closes the extraction valve connected to the container with the full water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 장착부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ainer has a capsule mounting portion in which a capsule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has a plurality of filters,
Wherein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integrally form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lter unit comprises an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은 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추출부를 통하여 추출되는 수처리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is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torage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교체감지시기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필터교체시기 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ilter replacement timing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a user of a replacement detection timing of the filter provided in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지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e extracting portions, and a pedestal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a support to place a plurality of container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추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벽면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수처리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main body includes a body provided with the extracting unit and a cradl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so as to be able to mount on the wall,
Wherein the cradl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after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물공급원과 상기 몸체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upport base conne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 channel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the filter unit provided in the body is provided in the suppor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여과된 물에 기능성 첨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수 생성부가 구비되는 수처리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body is provided with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unit for supplying a functional additive to the filtered wa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body having the filter unit, and a pedestal having a plurality of the extraction units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placed there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 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 가능한 수처리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pedestal is hinged to the body so as to be folded toward the body.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추출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는 복수의 상기 추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supplied water;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 extract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extra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And a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wat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A controll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lter unit or cutting off supply of water;
/ RTI >
A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are provided,
Wherein the contain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ine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the filtered water to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hrough the extraction uni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물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공급밸브;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A supply valv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supply water to the filter unit or shut off supply of water;
,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및
용기에 수용된 물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감지부 및 상기 만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처리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A container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container is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And
A water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full;
,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valve by a sensing signal of the container sensing unit and the full-water sensing uni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부를 통해 복수 개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용기가 모두 만수위가 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supplies the filtered water to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hrough the extraction unit so that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re all at the full water level.
제2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추출부는 여과된 물을 용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추출밸브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만수위가 된 용기에 연결된 추출밸브를 폐쇄하는 수처리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plurality of extracting sections each have an extraction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ly the filtered water to the vessel,
Wherein the control unit closes the extraction valve connected to the container with the full water level.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추출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로부터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는 용기 입구를 통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수처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extracting unit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extracting unit and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tainer inlet connected to the extracting unit in a state where the water is separated from the extracting unit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0170027503A 2017-03-03 2017-03-03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411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03A KR102411772B1 (en) 2017-03-03 2017-03-03 Wate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03A KR102411772B1 (en) 2017-03-03 2017-03-03 Wate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50A true KR20180100950A (en) 2018-09-12
KR102411772B1 KR102411772B1 (en) 2022-06-23

Family

ID=6359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03A KR102411772B1 (en) 2017-03-03 2017-03-03 Water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7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74A (en) * 1996-03-27 1997-10-13 이영서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water storage time of a water purifier
JP2004188875A (en) * 2002-12-12 2004-07-08 Max Co Ltd Cooling water filtration system for concrete drill
KR20150019666A (en)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에스피아이 Bottle cap of leakage prevention
KR20160077360A (en) * 2014-12-22 2016-07-04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discharging structur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74A (en) * 1996-03-27 1997-10-13 이영서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water storage time of a water purifier
JP2004188875A (en) * 2002-12-12 2004-07-08 Max Co Ltd Cooling water filtration system for concrete drill
KR20150019666A (en)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에스피아이 Bottle cap of leakage prevention
KR20160077360A (en) * 2014-12-22 2016-07-04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discharging structur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72B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2564A1 (en)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EP2089322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0847208B1 (en) Portable water filtration device
KR101669911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DK2198222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treatment of water in a water cooler
US20070209984A1 (en) Water Purifier
KR101705529B1 (en) Water purifier with self cleaning means and cleaning method for a water furifier using the same
KR101734194B1 (en) Steriliz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471864B1 (en) Water Purifier
JP2011522756A (en) Fluid processing and dispensing apparatus, system, article, and method
KR19980087057A (en) Crystallizer and associated filter cartridge
ES2308269T3 (en) REPLACABLE CARTRIDGE FILTER JAR.
KR20180100950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ES2603574T3 (en) Water purifier cleaning procedure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JPH06292483A (en) Apparatus for breeding aquarium fish
KR20140024259A (en) Drinkable water server
KR200472378Y1 (en) a faucet of smart type
KR101825089B1 (en) Portable water purifier
KR102656807B1 (en) Water purifier
KR102401191B1 (en) Water discharging apparatus
KR20190000115A (en) Non powered portable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JP2019122924A (en) Contain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the same
KR20170142434A (en) Water purifier
JPH08131345A (en) Electric hot water storing vessel with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