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845A -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 Google Patents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845A
KR20180100845A KR1020170027170A KR20170027170A KR20180100845A KR 20180100845 A KR20180100845 A KR 20180100845A KR 1020170027170 A KR1020170027170 A KR 1020170027170A KR 20170027170 A KR20170027170 A KR 20170027170A KR 20180100845 A KR20180100845 A KR 2018010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crete
separated
cas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1970B1 (en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구일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일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구일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7002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970B1/en
Publication of KR2018010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old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overlap each other. Accordingly, a contact area between each of the panels and a concrete surface is reduced when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o as to enable an adhesive force between each of the panels and the concrete surface to be reduced so that the mold can be easily separated.

Description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0001]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0002]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More specifically, a mold is formed by overlapping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reof,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when the form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panel, thereby reducing the adhesion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thereby facilitating separation of the concrete from the concrete.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벽체,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축물은, 내부 공간이 상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성은 콘크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wall or a colum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various buildings or constructions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n inner space is formed by first forming a mold such as a mold that forms the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n filling and curing the concrete in the mold, The formation of a concrete structure starts with the making of a mold, which is a mold for concrete curing.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위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 표면과 밀착되는 합판과 합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합판을 보강하여 주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종래에는 상기 합판 외에 상기 프레임까지도 각목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 되어 왔으나,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할 때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짧기 때문에 근래에는 상기 목재 프레임을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대체한 금속 거푸집 판넬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unit formwork panel used to make the above-mentioned form is composed of a plywood close to the concrete surface and a frame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plywood to reinforce the plywood. Conventionally, the frame is made of wood However, since the timber diespanpan is often damaged when the dies are broken after concrete curing, the durability of repetitive use is short. Therefore, recently, the timber frame has been replaced with steel or aluminum, Is widely used.

그러나, 상기 거푸집 판넬을 구성하는 합판가지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그 중량이 과다하게 되어 사람이 다루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푸집 판넬의 판재로는 여전히 상기 합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panel is replac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of steel or aluminum constituting the mold panel, the weight of the panel is excessively large and it is very difficult for a person to handle. Therefore, except for a special case, have.

상기와 같이 합판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판넬은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고,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매끄럽게 양생 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a dice panel comprising a plywood and a frame must be able to be reused repeatedl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and be able to cure as smoothly as possible without damaging the concrete surface.

그러나 목재인 합판은 그 특성상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에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을 거칠게 만들게 되고, 양생 중인 콘크리트가 매끄럽지 못한 합판 표면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판넬의 분리 시 합판 표면에 결합된 콘크리트가 합판과 함께 콘크리트 구축물로부터 분리된다.However, since the plywood, which is made of wood, absorbs the water well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absorbs the moisture inside the concrete dur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making the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roughened and the curing concrete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plywood which is not smooth. During the separation, the concrete bonded to the plywood surface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plywood.

따라서,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의 표면은 더욱 거칠게 될 뿐 아니라, 해체된 거푸집 판넬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합판 표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가지 초래되고,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표면이 손상되어 거푸집을 재사용 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not only the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becomes rougher, but also, in order to reuse the disassembled formwork panel, it is troublesome to remove the concrete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plywood and the concrete surface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oncret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reuse the form.

한편, 거푸집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881호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prior art related to formwork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0588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when the form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thereby reducing the adhesion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for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결합하면 콘크리트와 맞닿는 상기 제1패널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the method comprising: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Wherein wh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re combined,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contacting the concrete is completely flat.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얇은 금속판재로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하도록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ld easy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second panel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and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Wherein the first pane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and the second panel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t this time, the second panel is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a spr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for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ation.

이에 더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의 하단과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을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제2패널이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2패널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제1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ld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t this time, if the second panel is pushed dow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irst panel from the first panel while the second panel is pushed backward by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second panel is moved downward.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의 상기 구멍의 상면에 추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추가연장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패널에 형성된 상기 추가홈에 상기 제2패널에 형성된 상기 추가연장편이 결합되어 완전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패널의 상기 구멍의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진퇴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을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진퇴블럭이 하강하면서 상기 제2패널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ld easy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Wherein an additional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e of the first panel and an additional extended piec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of the second panel.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orm a complete plane by joining the additional extension formed on the second panel to the additional groove formed on the first panel, and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by a spring on the lower part of the hole of the first panel When the second panel is pushed downward, the second panel is moved downward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while the advancing / retreating block is lowered.

또한,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가 뒤로 휘어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ld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panel are formed of an elastic body. At this time, the second panel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 spring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an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anel can be separated from concrete while being bent backward.

이에 더하여,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제1패널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은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ld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panel are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by a spring. At this time, the second panel is movable upwar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anel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while being folded inward of the case by the spring.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mold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l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rst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a second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force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formwork.

또한, 거푸집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을 분리할 때 패널의 표면에 콘크리트 조각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부착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거푸집의 패널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the formwork, and when the respective panels of the form are separated, the pieces of concrete are no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anel so that they can be cured with a smooth concrete surface And the concrete pieces do not adhere to the respective panels of the form, so that the panels of the form can be reused many times.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is structur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convey the form.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those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 1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ld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10)은 제1패널(11), 제2패널(12), 케이스(13), 제2패널 후퇴수단(15) 및 지지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mold 1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11, a second panel 12, a case 13, A retracting means 15 and a support table 16.

상기 제1패널(11)에는 복수개의 구멍(1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12)에는 상기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12a)가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holes 11a are formed in the first panel 1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a are formed in the second panel 1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11a.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1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상기 제1패널(11) 및 상기 제2패널(1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11) 및 상기 제2패널(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re combined,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11 contacting the concrete surface becomes perfectly flat. Therefore, the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re engaged, and after the concrete poured is cured,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nd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t this time, while the concrete is curing, the case 13 is fixed in a state buried i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re engaged.

상기 지지대(16)는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이 결합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후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frame 16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supports the support panel 16 from the rear.

상기 제1패널(11) 및 상기 제2패널(1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12)을 후방에서 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1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11)을 분리한다.When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panel 12 is pulled out from the rear to separate the first panel 11 and the second panel 12. After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panel 12 is completed, (11).

상기와 같이 거푸집(1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1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1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1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11, 1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11, 1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When the mold 1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12 are first separated and then the first panel 11 is separated, The area where the panels 11 and 12 ar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panels 11 and 1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and the concret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wall.

따라서, 거푸집(1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10)의 각각의 패널(11, 1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10)의 상기 각각의 패널(11, 1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10)의 상기 각각의 패널(11, 1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work of separating and dismounting the form 10 is convenient,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lso, when the panels 11 and 12 of the mold 10 are separated, the concrete piec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a smooth concrete surface can be cured. 11, 12 are not adhered to concrete pieces, the panels 11, 12 of the form 10 can be reused many times.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ld 2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20)은 제1패널(21), 제2패널(22), 스프링(24), 케이스(23) 및 제2패널 후퇴수단(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mold 2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21, a second panel 22, a spring 24, a case 23, And a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25).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패널(21)에는 복수개의 구멍(2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22)에는 상기 구멍(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2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2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A plurality of holes 21a are formed in the first panel 2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a are formed in the second panel 2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21a. When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21 contacting the concrete surface is perfectly flat.

상기 제1패널(21)은 상기 케이스(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22)은 상기 케이스(2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panel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23 and the second panel 22 is formed inside the case 23.

상기 제2패널(22)과 상기 케이스(23)사이에 상기 스프링(24)이 장착되어 상기 제2패널(22)은 상기 케이스(23) 내부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패널(22)이 상기 케이스(2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2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The spring 24 is mounted between the second panel 22 and the case 23 so that the second panel 22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3, (2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2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the mold (20).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제2패널(22) 또는 케이스(23)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The spring (24)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nel (22) or the case (23).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2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2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22)을 상기 케이스(23)의 후방으로 당겨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25 is formed to pull the second panel 22 to the rear of the case 23 when the second panel 22 is detached from the concrete surface.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2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2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handle or a lever.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2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mold 2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rom the concrete surfac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패널(21) 및 제2패널(2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2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re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After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 At this time, while the concrete is curing, the case 23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case 23 is buri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re engaged.

또한,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21) 및 제2패널(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upport (not shown) is disposed to support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

상기 제1패널(21) 및 상기 제2패널(2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22)을 후방에서 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2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21)을 분리한다.When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panel 22 is pulled out from the rear to separate the first panel 21 and the second panel 22. After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panel 22 is completed, (21).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널(22)을 제2패널 후퇴수단(25)을 이용하여 케이스(2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2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2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계속해서 상기 제2패널(22)을 상기 케이스(2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22)이 상기 케이스(2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2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2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panel 22 is pulled to the rear of the case 23 using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25,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22 are first separated The second panel 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case 23 so that the case 23 is also pulled backward The first panel 21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상기 거푸집(20)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25)을 놓게 되면 상기 제2패널(22)과 상기 케이스(23)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2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2패널(22)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25 is rel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mold 20, the second panel 22 is automatically lifted by the spring 24 formed between the second panel 22 and the case 23, The panel 22 is moved forward.

상기와 같이 상기 거푸집(2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2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2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2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21, 2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21, 2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When the mold 2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2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22 are first separated, and then the first panel 21 is separated As the area of contact of the panels 21 and 22 with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panels 21 and 2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and the concrete panel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wall.

따라서, 상기 거푸집(2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20)의 상기 각각의 패널(21, 2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20)의 상기 각각의 패널(21, 2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20)의 상기 각각의 패널(21, 2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22)이 상기 케이스(2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2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ork for separating and dismounting the mold 20 is convenient,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Further, when the panels (21, 22) of the mold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ieces of concrete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a smooth concrete surface can be cured. It is possible to reuse the panels 21 and 22 of the formwork 20 a plurality of times because the concrete pieces do not adhere to the molds 21 and 22.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2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2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fer the form 20.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3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30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30)은 제1패널(31), 제2패널(32), 케이스(33) 및 제2패널 후퇴수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mold 3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31, a second panel 32, a case 33 and a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35).

상기 제1패널(31)에는 복수개의 구멍(3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32)에는 상기 구멍(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패널(3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31a)의 하단과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2a)의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holes 31a are formed in the first panel 3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a are formed in the second panel 3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31a. At this time,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holes 31a formed in the first panel 31 and at a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a formed in the second panel 32. [

상기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3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 When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coupled,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31 contacting the concrete surface is perfectly flat.

상기 제1패널(31)은 상기 케이스(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32)은 상기 케이스(3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panel 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33 and the second panel 32 is formed inside the case 33.

상기 제2패널(32)이 상기 케이스(3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3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second panel 3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3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fer the form 30.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3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3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제1패널(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35 is formed to slide the second panel 3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anel 31 when the second panel 32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do.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3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3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handle, or in the form of a lever.

상기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제1패널(3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31a) 및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2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holes 31a formed in the first panel 31 and the plurality of holes 31a formed in the second panel 32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coupled,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to prevent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from being separated by the inclined surface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protrusions 32a .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3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mold 3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rom the concrete surfac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3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First,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coupled, and after the concrete poured is cured,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poured into the concrete . At this time, while the concrete is cured, the case 33 is fixed in a state buried i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coupled.

또한,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31) 및 제2패널(3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upport base (not shown) is disposed to support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engaged.

상기 제1패널(31) 및 상기 제2패널(3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제1패널(31)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3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31)을 분리한다.When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separated, the second panel 32 is first sli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anel 31 to separate the second panel 32, The first panel 31 is separate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first panel 32 is completed.

구제적으로, 상기 제2패널(32)을 제2패널 후퇴수단(35)을 이용하여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제2패널(32)이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제1패널(31)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31a) 및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32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제2패널(32)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3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2패널(32)을 상기 케이스(3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32)이 상기 케이스(3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3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3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If the second panel 32 is pushed downward by means of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35, when the second panel 32 is moved downward, a plurality of The second panel 32 is sli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e 31a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32 so that the second panel 32 is pushed rearward, The second panel 3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case 33 by pulling the second panel 32 to the rear of the case 33. Then, So that the first panel 31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while the case 33 is also pulled backward.

상기와 같이 거푸집(3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3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3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31, 3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31, 3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또한, 분리 방향이 수직 방향이 아닌 전단 방향이기 때문에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의 떼어짐이 더욱 감소된다.When the mold 3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32 are first separated and then the first panel 31 is separat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nels 31 and 3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panels 31 and 3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and the concrete panel is easily detached from the cured concrete wall. Further, since the separating direction is not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shearing direction, the detachment of the concrete piece from the concrete surface is further reduced.

따라서, 상기 거푸집(3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30)의 상기 각각의 패널(31, 3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30)의 상기 각각의 패널(31, 3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30)의 상기 각각의 패널(31, 3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32)이 상기 케이스(3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3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ork for separating and unfolding the mold 30 is convenient,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panels (31, 32) of the mold (30) are separated, the concrete piec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a smooth concrete surface can be cured. The concrete pieces do not adhere to the panels 31 and 32, so that the respective panels 31 and 32 of the mold 30 can be reused many times.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3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3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fer the form 30.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4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40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40)은 제1패널(41), 제2패널(42), 케이스(43), 제2패널 후퇴수단(45), 진퇴블럭(46) 및 진퇴스프링(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5, the mold 4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41, a second panel 42, a case 43, a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45, a forward / backward block 46, and a forward / backward spring 47.

상기 제1패널(41)에는 복수개의 구멍(4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42)에는 상기 구멍(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패널(4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41a)의 상면에 추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4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42a)의 상면에 상기 추가홈에 딱 맞는 형태의 추가연장편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holes 41a are formed in the first panel 4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42a are formed in the second panel 4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41a. At this time, additional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41a formed in the first panel 41, and the additional grooves 42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4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42, An additional extension pie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패널(41)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구멍(41a)의 하단에는 상기 진퇴블럭(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퇴블럭(46)은 하부에 형성된 상기 진퇴스프링(4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6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holes 41a formed in the first panel 41. The forward and backward blocks 46 are support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prings 47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제1패널(41) 및 제2패널(4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4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When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are coupled,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41 contacting the concrete surface is perfectly flat.

상기 제1패널(41)은 상기 케이스(4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42)은 상기 케이스(4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panel 4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43 and the second panel 42 is formed inside the case 43.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케이스(4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4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second panel 4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4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convey the form 40. [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4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4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제1패널(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45 is formed to slide the second panel 4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anel 41 when separating the second panel 42 from the concrete surface. do.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4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4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handle, or in a form of a lever.

이하에서는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4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old 4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rom the concrete surfac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패널(41) 및 제2패널(4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4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are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are coupled to each other. After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 At this time, while the concrete is cured, the case 43 is fixed in a state where it is buri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are engaged.

또한,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41) 및 제2패널(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upport base (not shown) is disposed to support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are engaged.

상기 제1패널(41) 및 상기 제2패널(4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제1패널(41)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4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41)을 분리한다.When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are separated, the second panel 42 is first slid and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anel 41, The first panel 41 is separate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first panel 42 is completed.

구제적으로, 상기 제2패널(42)을 제2패널 후퇴수단(45)을 이용하여 아래로 밀어주면 상기 제1패널(41)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41a) 하단에 형성된 진퇴블럭(46)이 진퇴스프링(47)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제1패널(41)에 평행하게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패널(4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42a)에 형성된 추가연장편이 상기 제1패널(41)의 상기 복수개의 구멍(41a)에 형성된 추가홈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제2패널(42)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2패널(42)을 상기 케이스(4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케이스(4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4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4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If the second panel 42 is pushed downward by means of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45, the advancing / retreating block 4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holes 41a formed in the first panel 41, And the second panel 42 is slid downwar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anel 41 while being lower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prings 47. At this time, an additional extension formed on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42a of the second panel 42 is separated from the additional groove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41a of the first panel 41, The second panel 4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case 43 so that the case 43 is separated from the case 43. As a result, The first panel 41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상기와 같이 상기 거푸집(4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42)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42a)들이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4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41, 4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41, 4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Sin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42 are first separated and then the first panel 41 is detached, when the mold 4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nels 41 and 4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panels 41 and 4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and the concrete panel is easily detached from the cured concrete wall.

따라서, 상기 거푸집(4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40)의 상기 각각의 패널(41, 4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40)의 상기 각각의 패널(41, 4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40)의 상기 각각의 패널(41, 4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42)이 상기 케이스(4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4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ork for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the mold 40 is convenient,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When the panels (41, 42) of the mold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crete piec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a smooth concrete surface can be cured. The pieces of concrete 41 are not adhered to the panels 41 and 42, so that the respective panels 41 and 42 of the mold 40 can be reused many times.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4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4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fer the mold 40.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5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ld 5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50)은 제1패널(51), 제2패널(52), 스프링(54), 케이스(53) 및 제2패널 후퇴수단(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6, the mold 5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51, a second panel 52, a spring 54, a case 53, And two panel retracting means (55).

상기 제1패널(51)에는 복수개의 구멍(5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52)에는 상기 구멍(5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51) 및 제2패널(5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5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A plurality of holes 51a are formed in the first panel 5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52a are formed in the second panel 5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51a, When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are combined,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51 abutting the concrete surface is perfectly flat.

상기 제2패널(5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52a)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세팅된 각도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2a of the second panel 52 are formed of an elastic body having a property of being restored to an original set angle by an elastic force.

상기 제1패널(51)은 상기 케이스(5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52)은 상기 케이스(5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panel 5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53 and the second panel 52 is formed inside the case 53.

상기 제2패널(52)과 상기 케이스(53)사이에 상기 스프링(54)이 장착되어 상기 제2패널(52)은 상기 케이스(53) 내부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패널(52)이 상기 케이스(5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5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spring 54 is mounted between the second panel 52 and the case 53 so that the second panel 52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53, (5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5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the mold (50).

상기 스프링(54)은 상기 제2패널(52) 또는 상기 케이스(53)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The spring (54)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nel (52) and the case (53).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5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5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52)을 상기 케이스(53)의 후방으로 당겨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55 is formed to pull the second panel 52 toward the rear of the case 53 when the second panel 52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5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5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handle or a lever.

이하에서는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5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mold 5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rom the concrete surfac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패널(51) 및 제2패널(5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5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First, the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are coupled, and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 At this time, while the concrete is cured, the case 53 is fixed in a state where it is buri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are engaged.

또한,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51) 및 제2패널(5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upport base (not shown) is disposed to support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are engaged.

상기 제1패널(51) 및 상기 제2패널(5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52)을 후방에서 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5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51)을 분리한다.When the first panel (51) and the second panel (52) are separated, the second panel (52) is pulled out from the rear to separate the second panel (52) (51).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널(52)을 제2패널 후퇴수단(55)을 이용하여 케이스(5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탄성체로 형성된 상기 제2패널(52)의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뒤로 휘어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계속해서 상기 제2패널(52)을 상기 케이스(5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제2패널(52)이 상기 케이스(53)의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5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5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panel 52 is pulled to the rear of the case 53 using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55,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2a of the second panel 52,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When the second panel 52 is pulled back to the rear of the case 53, the second panel 52 is moved to the rear of the case 53 The first panel 51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while the case 53 is also pulled backward.

상기 거푸집(50)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55)을 놓게 되면 상기 제2패널(52)과 상기 케이스(53)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5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2패널(52)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탄성체로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게 된다. When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55 is rel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dies 50, the second panels 52 are automatically lifted by the spring 54 formed between the second panel 52 and the case 53, The panel 52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2a formed of the elastic body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hape.

상기와 같이 거푸집(5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5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52a)가 서서히 뒤로 휘어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5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51, 5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51, 5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When the mold 5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52 are gradu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bent back, and then the first panel 51 The area of contact of the panels 51 and 52 with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panels 51 and 5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and the concrete panels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wall .

따라서, 거푸집(5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50)의 상기 각각의 패널(51, 5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50)의 상기 각각의 패널(51, 5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50)의 상기 각각의 패널(51, 5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52)이 상기 케이스(5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5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ork of separating and dismounting the form 50 is convenient,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lso, when the panels (51, 52) of the mold (50) are separated, the pieces of concrete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a smooth concrete surface can be cured. The pieces of concrete 51 do not adhere to the panels 51 and 52, so that the respective panels 51 and 52 of the mold 50 can be reused many times.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5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5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the mold 50.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6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ld 60 that is easy to separate from concret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60)은 제1패널(61), 제2패널(62), 스프링(64), 케이스(63) 및 제2패널 후퇴수단(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7, the mold 6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nel 61, a second panel 62, a spring 64, a case 63, And two panel retracting means (65).

상기 제1패널(61)에는 복수개의 구멍(6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62)에는 상기 구멍(6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61) 및 제2패널(62)을 결합하면 콘크리트면과 맞닿는 상기 제1패널(61)의 표면은 완전 평면이 된다.A plurality of holes 61a are formed in the first panel 6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62a are formed in the second panel 6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61a, When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are combined, the surface of the first panel 61 abutting the concrete surface becomes perfectly flat.

상기 제1패널(61)은 상기 케이스(6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패널(62)은 상기 케이스(6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panel 6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63 and the second panel 62 is formed inside the case 63. A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so that the second panel (62) can move upward through the hole.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는 상기 제1패널(61)과 상기 스프링(64)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상기 스프링(64)에 의해 상기 케이스(63)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2a of the second panel 62 are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61 by the spring 64 so that the second panel 62 moves upwar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62a of the second panel 62 are folded inward of the case 63 by the spring 64. [

여기서,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케이스(6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6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Here, since the second panel 6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6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convey the form 60.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65)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패널(62)을 분리할 때, 상기 제2패널(62)을 위쪽으로 올려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돌출부(62a)를 먼저 분리한 후, 상기 제2패널(62)을 상기 케이스(63)의 후방으로 당겨 상기 제1패널(61)을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65 may raise the second panel 62 upward to separate the protrusion 62a of the second panel 62 from the concrete surface when the second panel 62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The first panel 6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anel 61 by pulling the second panel 62 to the rear of the case 63. [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6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들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렛대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6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as a handle or as a lever.

이하에서는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60)을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mold 60, which is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rom the concrete surfac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패널(61) 및 제2패널(62)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이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63)가 지면에 묻혀진 상태로 고정된다.First,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are coupled, and after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 At this time, while the concrete is curing, the case 63 is fixed in a state buried i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are engaged.

또한,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이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61) 및 제2패널(6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upport (not shown) is disposed to support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when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are engaged.

상기 제1패널(61) 및 상기 제2패널(62)을 분리 시에는 먼저 상기 제2패널(62)을 케이스(63)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시켜 분리하고, 상기 제2패널(62)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1패널(61)을 분리한다.When separating the first panel 61 and the second panel 62, the second panel 62 is first moved upwar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63, The first panel 61 is separate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first panel 62 is complet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패널(62)을 제2패널 후퇴수단(65)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63)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패널(61)과 스프링(64)으로 연결된 상기 제2패널(62)의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상기 케이스(63)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돌출부(62a)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62)을 상기 케이스(63)의 후방으로 당겨주면 상기 케이스(63)도 같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패널(61)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된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panel 62 is moved upwar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63 using the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65, the first panel 61 and the spring 64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2a of the second panel 62 connected to the second panel 62 are first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gradually folding inward of the case 63 as shown in FIG. When the second panel 62 is pulled rearward of the case 63 after the protrusion 62a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ase 63, the first panel 61 is pulled back from the concrete surface Separated.

상기 거푸집(60)의 분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제2패널 후퇴수단(65)을 놓게 되면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와 상기 제1패널(61)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6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제2패널(62)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게 된다.When the second panel retraction means 65 is rel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mold 6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2a of the second panel 62 and the spring 62 formed on the first panel 61,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2a of the second panel 62 are automatic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by the protrusion 64. [

상기와 같이 거푸집(60)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패널(62)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62a)가 서서히 상기 케이스(63)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먼저 분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제1패널(61)이 분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널(61, 62)이 콘크리트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61, 62)과 상기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서 쉽게 이탈이 된다. When the mold 60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2a formed on the second panel 62 are gradu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fol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63, Since the first panel 61 is separated, the area in which the panels 61 and 62 contact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panels 61 and 62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It easily separates from the concrete wall.

따라서, 거푸집(60)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60)의 상기 각각의 패널(61, 62)을 분리할 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조각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상기 거푸집(60)의 상기 각각의 패널(61, 62)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상기 거푸집(60)의 상기 각각의 패널(61, 62)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널(62)이 상기 케이스(63)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60)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ork for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the formwork 60 is convenient,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separating the panels 61 and 62 of the mold 60, the concrete piec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a smooth concrete surface can be cured. (61, 62) of the mold (60) can be reused many times because the concrete pieces do not adhere to the panels (61, 62).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62 is not separated from the case 63,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fer the form 6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10, 20, 30, 40, 50, 60)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 때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각의 패널과 콘크리트면 사이의 부착력이 감소하여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molds 10, 20, 30, 40, 50 and 60, which are easy to separate from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When the molds are formed by overlapping the formed second panels,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when the form is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each panel and the concrete surface is reduced, It is easy.

또한, 거푸집을 분리 해체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을 분리할 때 패널의 표면에 콘크리트 조각이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부착되지 않게 되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을 양생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각각의 패널에 콘크리트 조각이 들러붙지 않아 거푸집의 패널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이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the formwork, and when the respective panels of the form are separated, the pieces of concrete are no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anel so that they can be cured with a smooth concrete surface And the concrete pieces do not adhere to the respective panels of the form, so that the panels of the form can be reused many times.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anel is structur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convey the form.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제1실시예>
10 : 거푸집
11 : 제1패널
11a : 구멍
12 : 제2패널
12a : 돌출부
13 : 케이스
15 : 제2패널 후퇴수단
16 : 지지대
<제2실시예>
20 : 거푸집
21 : 제1패널
21a : 구멍
22 : 제2패널
22a : 돌출부
23 : 케이스
24 : 스프링
25 : 제2패널 후퇴수단
<제3실시예>
30 : 거푸집
31 : 제1패널
31a : 구멍
32 : 제2패널
32a : 돌출부
33 : 케이스
35 : 제2패널 후퇴수단
<제4실시예>
40 : 거푸집
41 : 제1패널
41a : 구멍
42 : 제2패널
42a : 돌출부
43 : 케이스
45 : 제2패널 후퇴수단
46 : 진퇴블럭
47 : 진퇴스프링
<제5실시예>
50 : 거푸집
51 : 제1패널
51a : 구멍
52 : 제2패널
52a : 돌출부
53 : 케이스
54 : 스프링
55 : 제2패널 후퇴수단
<6실시예>
60 : 거푸집
61 : 제1패널
61a : 구멍
62 : 제2패널
62a : 돌출부
63 : 케이스
64 : 스프링
65 : 제2패널 후퇴수단
&Lt; Embodiment 1 >
10: Form
11: First panel
11a: hole
12: second panel
12a:
13: Case
15: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16: Support
&Lt; Embodiment 2 >
20: Form
21: First panel
21a: hole
22: second panel
22a:
23: Case
24: spring
25: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Lt; Third Embodiment >
30: Form
31: First panel
31a: hole
32: second panel
32a:
33: Case
35: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Fourth Embodiment>
40: Form
41: first panel
41a: hole
42: Second panel
42a:
43: Case
45: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46: Advancement block
47:
<Fifth Embodiment>
50: Form
51: First panel
51a: hole
52: second panel
52a:
53: Case
54: spring
55: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Lt; 6 Embodiment &
60: Form
61: first panel
61a: hole
62: second panel
62a:
63: Case
64: spring
65: second panel retracting means

Claims (4)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 RTI &gt;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panel are formed of an elastic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가 뒤로 휘어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nel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a spring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Wherein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panel ar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while being bent backward.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제1패널;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2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제1패널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 secon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 RTI &gt;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panel are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by a sp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은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anel is movable upward through a hol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projections of the second panel ar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by being folded inward of the case by the spring.
KR1020170027170A 2017-03-02 2017-03-02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KR101921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70A KR101921970B1 (en) 2017-03-02 2017-03-02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70A KR101921970B1 (en) 2017-03-02 2017-03-02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845A true KR20180100845A (en) 2018-09-12
KR101921970B1 KR101921970B1 (en) 2018-11-27

Family

ID=6359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170A KR101921970B1 (en) 2017-03-02 2017-03-02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97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366A (en) * 2020-12-31 2021-05-18 武汉联创兴业钢模有限公司 Novel foldable building templates
KR20220000130U (en) 2020-07-06 2022-01-13 김춘성 Insulation Fixture
KR20220000333U (en) 2020-07-29 2022-02-07 김춘성 Easily removable formwork
KR20230128201A (en) 2022-02-25 2023-09-04 윤승배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functional sheet and multifunctional sheet manufactur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919B1 (en) * 2008-08-25 2009-01-13 (주)유진인터내셔날종합건축사사무소 Form pannel having a sock machine
KR100877920B1 (en) * 2008-08-25 2009-01-13 (주)유진인터내셔날종합건축사사무소 Form pannel with an easy detach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30U (en) 2020-07-06 2022-01-13 김춘성 Insulation Fixture
KR20220000333U (en) 2020-07-29 2022-02-07 김춘성 Easily removable formwork
CN112814366A (en) * 2020-12-31 2021-05-18 武汉联创兴业钢模有限公司 Novel foldable building templates
CN112814366B (en) * 2020-12-31 2021-08-03 武汉联创兴业钢模有限公司 Folding building template
KR20230128201A (en) 2022-02-25 2023-09-04 윤승배 Manufacturing method for multifunctional sheet and multifunctional sheet manufactur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970B1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970B1 (en)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KR101921972B1 (en)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US20180290332A1 (en) Portable mold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forming objects using portable molding apparatuses
KR101879810B1 (en) Easily separable form from concrete
RU2015121712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ND LOCKING THE SHELL
TW201609492A (en) Size adjustable combined pallet
US20090108170A1 (en) Concrete forming system
CN105751365A (en) Mold releasing device for concrete impermeability test block
CN210713836U (en) Automatic form removing machine
CN214785906U (en) Concrete building template for civil engineering
CN214246581U (en) Building template
KR20150033110A (en) structure for coupling of form
CN211775481U (en) Building decorative panel rubberizing auxiliary device
CN210101839U (en) Door plaque handrail trim cover extracting tool suitable for car riser switch
CN210659242U (en) Constructional column sleeve mould
CN205497769U (en) Impervious test block shedder of concrete
JP2013129513A (en) Tool for jac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ol for jack
KR200496398Y1 (en) Easily removable formwork
KR200496399Y1 (en) Insulation Fixture
KR101830348B1 (en) Bracket of baseboard form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CN111335639B (en) Device for assisting prefabricated shear wall in separating bi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1418559Y (en) Foldable working bench
CN211082482U (en) Dampproof backing plate convenient to splice
CN215319234U (en) Wood structure repairing tool
JP7164363B2 (en) Detachable architectural ex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detach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