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930A -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930A
KR20180099930A KR1020187024783A KR20187024783A KR20180099930A KR 20180099930 A KR20180099930 A KR 20180099930A KR 1020187024783 A KR1020187024783 A KR 1020187024783A KR 20187024783 A KR20187024783 A KR 20187024783A KR 20180099930 A KR20180099930 A KR 2018009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illing
trigger
service layer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훙쿤 리
광 루
칭 리
데일 엔. 시드
리쥔 둥
충강 왕
윌리엄 로버트 4세 플린
쉬 리
필립 브라운
카탈리나 엠. 믈라딘
Original Assignee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9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6Policy and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L12/1407Policy-and-charging control [PCC]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9Connection to several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1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the servi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2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trigge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4On-line charging system [O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메커니즘들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서비스 도메인 과금 상관 기능(SD-CCF)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은 기본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고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정보를 상관시킬 책임이 있다. 과금 상관 정보는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RVICE LAYER CHARGING CORRELATION WITH UNDERLYING NETWORK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0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069,46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것의 개시내용은 본원에 전체적으로 참조로 포함된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는 무선 액세스, 코어 전송 네트워크, 및 서비스 능력들을 포함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 기술들을 커버한다. 무선 통신들을 위한 최신 버전의 3GPP 이동 코어 네트워크(mobile core network)(MCN) 아키텍처는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EPC)로 언급된다. 진화된 패킷 코어(EPC)는 성능 및 비용 관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플랫 아키텍처(flat architecture)"를 갖는다. EPC는 또한 EPC 스케일을 독립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또한 사용자 평면으로 공지됨) 및 시그널링(또한 제어 평면으로 공지됨)을 분리한다.
3GPP 네트워크 정책 및 과금 제어(Policy and Charging Control)(PCC) 시스템은 가입자 당 그리고 IP 데이터 흐름 당 정책 및 과금의 동적 제어를 제공한다. 그것은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전달되는 서비스들을 위해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 및 과금 정책들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더 우수한 QoS 제어를 지원한다.
도 1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다수의 기능들로 구성되는 PCC 아키텍처(100)를 그들 사이에 예시하는 도해이다.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102)은 IP-CAN 세션들, IP-CAN 베어러들 또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들(Service Data Flows)(SDFs)에 대한 정책 및 과금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정책 및 과금 집행 기능(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PCEF)(104)은 서비스 데이터 흐름 검출, 정책 집행 및 흐름 기반 과금 기능성들을 포함한다. 3GPP 네트워크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과금 둘 다를 지원한다. 오프라인 과금 시스템(Offline Charging System)(OFCS)(106)은 과금 정보가 실시간으로, 렌더링되는 서비스, 예컨대 후불제 가입자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커니즘이다. OFCS(106)는 과금 데이터 기능(Charging Data Function)(CDF) 및 과금 게이트웨이 기능(Charging Gateway Function)(CGF)을 포함한다. CDF는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Charging Data Records)(CDRs)을 구성하기 위해 과금 트리거 기능(Charging Trigger Function)(CTF)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사용한다. CGF는 CDR들을 전송하기 위해 3GPP 네트워크와 빌링 도메인 사이에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하여, 온라인 과금 시스템(Online Charging System)(OCS)(108)은 과금 기능들, 예를 들어 신용 제어를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이것은 OCS(108)가 전형적으로 선불제 가입자들을 위해, 실시간으로 서비스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허용한다. 다양한 과금 모델들, 예컨대 볼륨 기반, 시간 기반, 볼륨 및 시간 기반, 이벤트 기반, 및 무과금은 3GPP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된다.
프로토콜 스택 관점에서, 서비스 계층들은 전형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계층보다 위에 위치되고 부가 가치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한다. 그러므로, 서비스 계층들은 종종 '미들웨어' 서비스들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도 2는 IP 네트워크 스택(204)과 애플리케이션들(206) 사이에 예시적 서비스 계층(202)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M2M/IoT 서비스 계층은 M2M/IoT 타입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부가 가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향해 구체적으로 타깃팅되는 서비스 계층의 일 타입의 일 예이다. 최근에, 수개의 산업 표준 보디들(예를 들어, oneM2M)은 전개들 예컨대 인터넷/웹, 셀룰러, 기업, 및 홈 네트워크에 M2M/IoT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통합과 연관되는 도전들을 처리하기 위해 M2M/IoT 서비스 계층들을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M2M 서비스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및 디바이스 액세스를 서비스 계층에 의해 지원되는 M2M 지향 능력들의 집합에 제공할 수 있다. 수개의 예들은 보안, 과금, 데이터 관리, 디바이스 관리, 발견, 프로비저닝, 및 연결성 관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능력들은 M2M 서비스 계층에 의해 정의되는 메시지 포맷들, 자원 구조들 및 자원 표현들을 이용하는 API들을 통해 애플리케이션들에 이용가능해진다.
oneM2M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내에 용이하게 내장되고, 본 분야의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전 세계의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들과 연결하기 위해 의존될 수 있는 공통 M2M 서비스 계층에 대한 요구를 처리하는 기술적 사양들을 개발하는 새로운 표준이다.
도 3은 공통 서비스 기능들(Common Service Functions)(CSFs)(즉, 서비스 능력들)의 세트를 지원하는 oneM2M 공통 서비스 계층(302)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하나 이상의 특정 타입들의 CSF들의 세트의 인스턴스화는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노드, 중간 노드, 애플리케이션 특정 노드) 상에 호스팅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ommon Services Entity)(CSE)(304)로 언급된다.
oneM2M은 2개의 아키텍처 접근법들에서 서비스 계층을 개발하고 있다. 도 4는 oneM2M에 대한 자원 지향 아키텍처(Resource Oriented Architecture)(RoA)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자원은 레스트풀(RESTful) 방법들을 통해 조작될 수 있는 표현 예컨대 생성, 검색, 갱신, 및 삭제를 갖는 아키텍처에서의 고유 어드레스가능 요소이다. 이러한 자원들은 범용 자원 식별자들(Universal Resource Identifiers)(URIs)을 사용하여 어드레스가능해진다. 자원은 차일드 자원(child resource)(들) 및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일드 자원은 페어런트 자원(parent resource)과 제약 관계를 갖는 자원이다. 페어런트 자원 표현은 그것의 차일드 자원들(들)에 대한 참조들을 포함한다. 차일드 자원의 수명은 페어런트의 자원 수명에 의해 제한된다. 각각의 자원은 자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속성들"의 세트를 지원한다.
도 5는 oneM2M에 대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SoA)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SoA 아키텍처는 레스트풀 기반이 아닌 레거시 전개를 고려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그것은 주로 동일한 서비스 계층 기능 아키텍처를 재사용한다. 서비스 계층은 다양한 M2M 서비스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서비스들은 서비스 구성요소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기존 참조 포인트들에 더하여, 그것은 인터 서비스 참조 포인트(Msc)를 도입했다. Msc 참조 포인트를 무시하는 M2M 서비스 구성요소들 사이의 통신은 웹 서비스들 접근법, 예를 들어 웹 서비스 메시지 교환 패턴들(Message Exchange Patterns)(MEP)을 이용한다.
도 3을 다시 검토하면, Mcn 참조 포인트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304)와 기본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Network Services Entity)(NSE)(306) 사이의 통신 흐름들을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흐름들은 CSE(304)가 기본 NSE(306)에 의해 제공되는 지원된 서비스들(전송 및 연결성 서비스들 외에)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Mcn 참조 포인트에 걸쳐 CSE들(304)과 NSE들(306) 사이의 통신들은 이하를 포함한다:
● CSE(들)가 기본 네트워크들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들에 액세스하는 것; 및
● 기본 네트워크들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를 최적화하는 것.
그러한 서비스들은 통상 일반 전송 서비스들 이상의 것이다.
Mcn 참조 포인트를 통해 기본 네트워크들에 전달되는 통신들은 이하를 포함한다:
● 다수의 기존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들 및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전개되는 메시징 서비스들.
● 다른 SDO들(예를 들어, OMA 및 GSMA)에 의해 정의되는 네트워크 API들은 그들의 서비스들을 위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사용된다.
● 머신 타입 통신들(Machine Type Communications)(MTC)을 위한 서비스들 및 보안 양태들에 대한 상호 연동은 3GPP 네트워크에 의해 정의되었다.
oneM2M에 의해 정의되는 서비스 과금 및 회계(Service Charging and Accounting)(SCA) CSF(308)는 모든 과금 및 회계 문제들을 처리할 책임이 있다. 표 1은 과금 상관과 관련되는 과금 요건들을 제시하지만, 이러한 요건들은 현재의 oneM2M 사양들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않는다.
[표 1]
과금 상관에 대한 oneM2M 요건들
Figure pat00001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메커니즘들이 개시된다. 예시적 메커니즘들은 서비스 계층이 과금 상관 정보에 관한 기본 네트워크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및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법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은 서비스 도메인 과금 상관 기능(Service Domain Charging Correlation Function)(SD-CCF)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은 기본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고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정보를 상관시킬 책임이 있다. 과금 상관 정보는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D-CCF에 대한 절차들은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상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본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oneM2M 실시예는 제안된 SD-CCF가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3GPP 네트워크와 어떻게 동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기존 서비스 계층 과금은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기존 서비스 계층 과금은 기본 네트워크로부터 상관을 위한 과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메커니즘 및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법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 더 후출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간략한 형태로 도입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개요는 청구된 발명 대상의 중요한 특징들 또는 필수적 특징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청구된 발명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더 상세한 이해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예로서 주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3GPP 네트워크 정책 및 과금 제어(PCC)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2는 IP 네트워크 스택과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 예시적 서비스 계층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3은 공통 서비스 기능들(CSFs)(즉, 서비스 능력들)의 세트를 지원하는 oneM2M 공통 서비스 계층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4는 oneM2M에 대한 자원 지향 아키텍처(RoA)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5는 oneM2M에 대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6은 서비스 도메인 과금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도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3GPP 네트워크와 서비스 계층 사이에 예시적 메시지 교환 절차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8은 <eventConfig> 자원 및 <statsCollect> 자원을 예시하는 도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예시적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도해이다.
도 10은 이전 과금 시스템들이 갖는 문제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M2M 서비스 계층 인스턴스 내에서 호스팅될 수 있는 서비스 도메인 과금 상관 기능(SD-CCF)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하는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과금 정책 상관에 대한 메시지 교환의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과금 정보 상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메시지 교환의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예시적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oneM2M 기능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서비스 과금 & 회계(SCA) CSF의 일부로 제안된 SD-CCF를 구현하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17은 <과금상관규칙> 자원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18은 <과금상관트리거> 자원을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19는 3GPP 네트워크와의 oneM2M 과금 정책 상관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20은 3GPP 네트워크 사용 경우와 oneM2M 과금 정보 상관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21은 oneM2M SoA 아키텍처에 제안된 SD-CCF(1102)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22a는 IoT 이벤트 관리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머신 투 머신(machine-to machine)(M2M) 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통신 시스템의 도해이다.
도 22b는 도 22a에 예시되는 M2M/IoT 통신 시스템 내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아키텍처의 시스템 도해이다.
도 22c는 도 22a에 예시되는 통신 시스템 내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M2M / IoT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의 시스템 도해이다.
도 22d는 도 22a의 통신 시스템의 양태들이 구체화될 수 있는 예시적 컴퓨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일 실시예의 예시적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하는 도해들이다.
도 6은 서비스 도메인 과금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도해이며, 이 과금 시스템은 서비스 계층이 기본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서비스 계층 과금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도메인 과금 관리(Service Domain Charging Management)(SD-CM)(604)는 서비스 도메인 과금 시스템(Service Domain Charging System)(SD-CS)(602)의 중심이다. SD-CM(604)은 과금 정책들을 관리하고 유지하며, 과금 정보의 애그리게이터 및 디스패처의 역할을 하고, 상이한 노드들에서 SD-CS 간의 상호작용들의 앵커 포인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서비스 도메인 오프라인 과금 시스템(Service Domain Offline Charging System)(SD-OFCS)(606)은 SD-CM(604)으로부터 오프라인 과금 이벤트들을 수신하고 서비스 도메인 과금 데이터 레코드들(Service Domain Charging Data Records)(SD-CDRs)을 발생시킨다. 서비스 도메인 온라인 과금 시스템(Service Domain Online Charging System)(SD-OCS)(608)은 서비스 요청들을 수신하고, 신용을 체크하고 서비스들을 승인한다. SD-OCS(608)는 상이한 서비스 가입자들에 대한 신용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3GPP 네트워크와 서비스 계층(즉, 도 6에 도시된 SD-CS(602)) 사이에 예시적 메시지 교환 절차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면에 도시된 절차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퀀스로 발생할 필요가 없다. 그러한 상호작용들은 3GPP 네트워크와 서비스 도메인 사이에 더 통합된 과금을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7b의 단계(1) 내지 단계(4)에서, 하나의 전개 시나리오에 있어서, 3GPP 네트워크 과금 시스템은 SD-CS(602)를 제어하고 있을 수 있다. 3GPP 네트워크 과금 정책 엔티티 PCRF(702)는 Rx 참조 포인트를 통해 SD-CS(602)에 대한 과금 정책 구성을 송신한다. SD-CS(602)는 3GPP 네트워크 과금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그것의 과금 정책을 구성한다.
도 7a 내지 도 7b의 단계(5) 내지 단계(8)는 MTC-IWF(704)가 3GPP 네트워크 과금 정보를 Tsp 참조 포인트를 통해 SD-CS(602)에 송신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MTC-IWF(704)는 3GPP 가입자 정보를 갖고 SD-CS(602)는 3GPP 네트워크 ID를 서비스 도메인 ID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의 단계(9) 내지 단계(12)에서, PCRF(702)는 3GPP 네트워크 과금 관련 정보를 SD-CS(602), 예컨대 세션 상태에 전달할 수 있다. SD-CS(602)는 그것의 정책들에 따라 액션들을 취한다. 예를 들어, SD-CS(602)는 3GPP 네트워크 세션이 다른 액세스 기술로 핸드오버되었을 때 상이한 레이트들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의 단계(13) 내지 단계(15)에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SD-CS(602)는 메시지 교환의 제어에 있을 수 있으며, SD-CS(602)는 서비스 도메인 동작 메시지들 내의 서비스 도메인 과금 정보를 사용자 평면 참조 포인트(Gi/SGi)를 통해 PCEF(706)에 첨부할 수 있다. 과금은 PCEF(706)에서 수행되고 정보는 사용자 평면을 통해 SD-CS(602)에 다시 송신되고, PCRF(702)는 필요하면 PCEF(706)에 의해 적절히 갱신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노드,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7a 내지 도 7b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7a 내지 도 7b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b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행된다. 게다가, 현재 oneM2M 사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금 정책 및 과금 레코드 정보 각각을 기록하고 유지하기 위해 <eventConfig> 자원(802) 및 <statsCollect> 자원(804)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eventConfig> 자원(802)은 상세한 정보를 갖는 과금가능 이벤트들을 유지하고; <statsCollect> 자원(804)은 과금 정책의 성질들을 표시하는 속성들을 갖는 특정 과금 정책을 유지한다.
3GPP 네트워크는 일부 사양들에서 과금 상관의 개념을 도입한다. 일 실시예에서, 과금 데이터 상관은 동일한 베어러/세션/서비스 자원 사용에 속하면서 과금 트리거 기능(CTF)에 의해 발생되는 과금 이벤트들을 조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관은 이동 가입자의 자원 사용을 위해 과금 정보의 연관을 제공한다. 게다가, 오퍼레이터간 식별(Inter Operator Identification)(IOI) 개념은 IMS 세션들에 수반되는 상이한 오퍼레이터들이 서로 식별할 수 있게 하도록 네트워크간 상관에 대해 도입된다.
다른 사양에서, 과금 상관은 3GPP 코어 네트워크와 IMS 사이에서 논의된다. 그러나, 상관은 그 점에서 2개의 네트워크들에 걸친 ID 매핑/연관에만 집중된다.
오픈 모바일 연합(Open Mobile Alliance)(OMA)은 과금 상관의 개념을 정의한다: 상관은 단일 서비스를 협력적으로 제공하면서 상이한 엔티티들에 의해 발생되는 과금 이벤트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상관 기능은 과금되는 사용자/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이벤트들의 연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관은 네트워크간 상관 대신에 OMA 관점 내에서 과금 운영들에 집중된다.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은 기본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과금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계층 동작들(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판독, 데이터 검색)과 관련되는 트랜잭션들에 기초하여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금하는 반면에; 기본 네트워크는 데이터 흐름의 전송에 기초하여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금한다. 2개의 계층들에서의 동작들은 상관되며, 예를 들어 서비스 계층에서의 데이터 검색 동작은 또한 기본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반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계층 및 기본 네트워크는 동일한 과금 관련 정보를 상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 제공자, 즉 회사 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서비스 계층 플랫폼(904)을 통해 홈 감시 서비스(902)를 제공한다. 서비스 가입자는 여행에서 돌아올 때, 집 내부 및 외부에 고정되는 카메라들(908)을 통해, 자신의 집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906), 예컨대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원한다. 서비스 가입자가 이미지/비디오 송신을 위해 자신의 휴대 전화(906)를 통해 카메라(908)를 요청하는 경우에, 카메라(908)는 카메라(908)에 의해 캡처되는 이미지들/비디오의 송신을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카메라(908)는 또한 오디오/비디오 호출을 개시하거나 카메라에 의해 캡처되는 비정상(예를 들어, 침입자) 이미지들이 있는 경우에 경보 어드레싱을 위한 메시지들을 서비스 가입자의 휴대 전화(906)에 송신가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즉, 회사 A)는 기본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는 과금을 수행하는 것을 원한다. 서비스 가입자는 월 서비스 가입비를 지불하며, 가입비는 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910)를 통한 이미지들/비디오의 송신을 위해 무료 1Gbyte 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3GPP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의 협정에 기초하여 3GPP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해 지불한다. 데이터 볼륨이 1Gbytes를 초과하면, 서비스 제공자는 추가 요금을 3GPP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게 지불하고, 추가 요금을 서비스 가입자에게 대응적으로 청구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과금 모델은 최신 3GPP 릴리스에 포함되는 후원된 데이터 연결성으로 칭해진다. 후원자(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에 대해 지불한다. 이러한 새로운 모델(후원된 데이터 연결성)은 서비스 제공자들 및 3GPP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 둘 다를 위해 부가 수익 기회들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3GPP 네트워크(910)는 데이터 흐름 기반 과금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상이한 가격들은 QoS(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전송률들)에 기초하여 적용되며, 즉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 흐름은 더 낮은 데이터 전송률 흐름이 초래하는 것보다 더 높은 가격을 초래한다. 3GPP 네트워크(910)는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서비스 계층 과금 가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송신 데이터 전송률의 동적 변경들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보고한다.
이러한 경우에, 3GPP 네트워크(910)는 서비스 제공자가 추가 요금을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금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가입자가 데이터 볼륨 임계값에 도달할 때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해야 한다. 게다가, 3GPP 네트워크(910)는 서비스 가입자가 서비스에 액세스하도록 흐름 데이터 전송률의 변경들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 불행하게도, 기본 네트워크(9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들에 따라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을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904)에 대해 정의되는 메커니즘은 없다. 이러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는 임계값이 도달될 때 인식하지 않으므로 서비스 가입자 추가 요금을 과금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서비스 제공자는 동적 과금 보고/구성의 결핍으로 인해 기본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데이터 전송률의 변경을 알게 될 수 없으므로, 동일한 가격을 기본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전송률에 관한 서비스 가입자에게 항상 적용할 것이다. 3GPP 네트워크(910) 내의 정책 및 과금 집행 기능(PCEF)(912)은 이러한 활동들을 감시하는 메인 엔티티이며; 그것은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CRF)(914)과 접촉한 다음에, 서비스 계층 엔티티에 보고한다는 점을 주목한다.
도 10은 이전 과금 시스템들이 갖는 문제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문제 1에서, 흐름 데이터 전송률이 변경된 후에, 서비스 계층 과금을 위해 이벤트를 보고하는 메커니즘은 없다. 문제 2에서,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이 도달된 후에, 서비스 계층 과금을 위해 이벤트를 보고하는 메커니즘은 없다.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계층 동작들(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판독, 데이터 검색)과 관련되는 트랜잭션들에 기초하여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금하는 반면에; 기본 네트워크(910)는 데이터 흐름의 전송에 기초하여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금한다. 2개의 계층들에서의 동작들은 상관되며, 예를 들어 서비스 계층에서의 데이터 검색 동작은 또한 기본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반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계층 및 기본 네트워크는 동일한 과금 관련 정보를 상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더 구체적으로, 과금 상관은 서비스 제공자 및 기본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상이한 사업 단위들일 때 요구된다. 그들이 동일한 사업 단위에 속하지만, 2개의 과금 시스템들, 즉 기본 네트워크(91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의 과금 시스템, 및 서비스 계층 트랜잭션들을 위한 다른 과금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 이것은 서비스가 상이한 기본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인 반면에; 기본 네트워크(910)는 상이한 서비스 계층 플랫폼들(즉,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네트워크의 타입에 관계없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계층 과금 레코드를 수집한다. 게다가, 아래에 도입되는 사용 경우는 서비스 제공자가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과금을 달성할 수 있도록, 3GPP 네트워크(910)로부터의 과금 관련 정보에 의해, 서비스 계층(904)이 3GPP 네트워크(910)에서 발생되는 과금 정책 변경 또는 일부 특정 트리거링 이벤트들에 따라 과금 운영들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서비스 계층(904)이 기본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임의의 과금 상관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계층(904)에서 과금을 수행하는 기본 네트워크(910)(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910) 내의 PCRF(914), 브로드밴드 포럼(Broadband Forum)(BBF) 고정 네트워크 내의 정책 집행 포인트(Policy Enforcement Point)(PEP))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층 행동을 조정하는 일반 메커니즘은 없다. 더욱이, 기존 서비스 계층들은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정보(즉, 나중에 정의되는 과금 상관 정보)를 상관시키는 지원이 결핍된다. 이러한 기능성의 결핍은 일부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 과금은 정확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과금 정책 변경 또는 트리거링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예를 들어, 새로운 과금가능 이벤트를 캡처하는 것, 새로운 과금 레이트를 적용하는 것)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서비스 계층(904)은 기본 네트워크(910)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과금 행동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것은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소 청구 또는 과다 청구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사용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가 3GPP 네트워크(910)로부터 데이터 볼륨 임계값에 도달하는 통지를 얻지 못하면, 그것은 월 사용료에 더하여 서비스 가입자에게 추가 요금을 과금하는 것을 시작할 수 없다.
이전 시스템들은 정확한 서비스 계층 과금에 대한 정보 교환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서비스 계층(904)에서 과금 상관 메커니즘 없이,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를 기본 네트워크(910)에 이르기까지 전달함으로써 기본 네트워크 과금 시스템에 의존해야 한다. 이것은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904)과 기본 네트워크 사이에서 빈번한 통신들을 필요로 하며, 특히 M2M 전개의 경우 서비스 계층(904) 상에 실행하는 엄청난 수의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계층 과금 레코드를 기본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계층(904)은 서비스 계층 CDR들을 기본 네트워크에 끊임없이 전달할 필요가 있다. 기본 네트워크(910)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상관된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서비스 계층 CDR들을 조화/처리하고, 그 다음에 이러한 서비스 계층 CDR들을 빌링 시스템에 전달한다. 이것은 기본 네트워크가 서비스 계층에서 수행되는 상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과금 관련 정보만을 송신하는 동작들과 비교하여, 기본 네트워크와 서비스 계층(904) 사이에서 더 많은 메시지 교환 오버헤드를 생성한다.
추가의 복잡성을 기본 네트워크(910)에 부가한다. 기본 네트워크(910)는 그것에 전달되는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다양한 타입들의 과금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는 기본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며, 특히 서비스 계층(904)에서 실행하는 엄청난 수의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있을 수 있다. 과금을 수행하고 그 다음에 결과들을 기본 네트워크(910)에 이르기까지 전달하는 서비스 계층(904)을 가짐으로써, 기본 네트워크 과금 기능성은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들,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 서비스 계층 CDR의 포맷 등과 같은 것들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
현재 솔루션들은 기본 네트워크(910)(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가 과금 운영들을 지배하는 것(즉, 서비스 계층(904)이 과금 관련 정보를 기본 네트워크에 전달하며, 기본 네트워크가 서비스 계층 및 기본 네트워크 둘 다에 과금 정보를 통합/조화시킬 책임이 있는 것)을 주로 가정한다. 현재 서비스 계층 표준 개발 기관들(Standards Developing Organizations)(SDOs)(예를 들어, oneM2M)은 기본 네트워크(910)로부터 과금 정보를 상관시킴으로써 서비스 계층(904) 과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메커니즘을 정의하지 않는다. 서비스 계층에서 수행되는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과금을 위해 기본 네트워크(910)(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로부터 과금 정보를 상관시킬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정의되는 메커니즘은 없다. 기존 서비스 계층 과금 솔루션들(예를 들어,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b)은 기본 네트워크와 서비스 계층 사이에 일부 상호작용들을 정의하지만; 기본 네트워크로부터 특정 과금 정보를 얻을 때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정보를 상관시키는 동작을 처리하는 메커니즘은 없다.
이하는 기본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과금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동작들로 서비스 도메인 과금 상관을 개시한다.
동적 과금 운영들을 지원하기 위해, 서비스 도메인 과금 상관 기능(SD-CCF)(1102)은 이하의 타입들의 기능성, 즉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 규칙들을 관리하는 것, 기본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것, 및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것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 규칙들을 관리(생성, 갱신 및 삭제)하는 것은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D-CCF(1102)는 엔티티들(예를 들어, 과금 서비스 능력, 애플리케이션)로부터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갱신/삭제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원하는 동작들을 수행한다.
기본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서비스 계층 과금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과금 상관 트리거를 구성할 수 있다. 나중에 정의되는 바와 같이, 과금 상관 트리거는 기본 네트워크(1106)에서 발생하고, 기본 네트워크(1106)에서 과금 정책 또는 과금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SD-CCF(1102)와 기본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SD-CCF(1102)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책 및 정보에 관한 일부 트리거들을 구성할 수 있다. 기본 네트워크(1106)로부터 발생 통지를 수신하면, SD-CCF(1102)는 액션들의 시퀀스, 예컨대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구성하는 것, 과금 운영들을 갱신하는 다른 과금 관련 엔티티(예를 들어, CTF 및 과금 SC)에 통지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것은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갱신하고, 과금 운영 및 서비스 계층 CDR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D-CCF는 기본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된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개의 액션들을 수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면, 일부 새로운 타입의 과금가능 이벤트를 캡처할 필요가 있는 등등이면 작업 흐름을 따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도메인 과금 상관 기능(SD-CCF)(1102)은 M2M 서비스 계층 인스턴스(1104) 내에 호스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M2M 서비스 계층 인스턴스(1104) 내의 개별 서비스 능력으로서 호스팅될 수 있다. SD-CCF(1102)는 또한 기존 과금 SC 내의 부기능일 수 있다.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은 기본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과금 상관 정보에 따라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로 정의된다. 과금 상관의 일 예는 이하일 수 있다: 서비스 가입자는 서비스 계층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검색할 때 기본 네트워크(1106)에서 잔고를 써버린다. 서비스 제공자는 기본 네트워크(1106)로부터 통지를 얻고, 데이터 검색의 동일한 QoS를 유지하기 위해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계층 신용 계정으로부터 추가 요금을 과금하는 것을 시작한다.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 규칙은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규칙들을 정의할 수 있다. 과금 상관 규칙은 서비스 특정되고, 사전 구성되거나 동적인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규칙은 이하의 콘텐츠: 인에이블먼트 표시, 상관 스케줄, 네트워크 과금 상관 트리거링 세트, 및 기본 네트워크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인에이블먼트 표시는 과금 상관이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는지, 즉 그것이 서비스를 위해 과금 정책, 과금 정보 또는 둘 다를 상관시키기 위해 허용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관 규칙이 서비스 특정되며, 즉 규칙 당 서비스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주목한다. 다시 말하면, 상이한 서비스들은 상이한 과금 상관 규칙들을 가질 수 있다.
상관 스케줄은 과금 상관이 얼마나 자주 수행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과금 상관 트리거링 세트는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는 기본 네트워크로부터의 트리거들의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기본 네트워크의 타입은 기본 네트워크의 어떤 타입이 과금 상관에 수반되는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과금 상관 트리거는 서비스 계층(1104)에서 과금 상관 동작을 트리거하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트리거링 이벤트를 정의할 수 있다. 그 다음, 과금 상관 트리거들은 2개의 타입들로 분류될 수 있다:
과금 정책 트리거는 서비스 계층(1104)이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기본 네트워크(1106)에서 과금 정책이 변경되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기본 네트워크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전송하는 그것의 과금 정책을 변경하며, 서비스 계층은 또한 과금 정책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과금 정책 트리거는 이하, 즉 QoS 파라미터들 변경, 과금 레이트 변경, 과금 측정 파라미터 변경,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네트워크 가입 변경, 및 기본 네트워크 과금 할인 또는 보너스의 변경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다.
QoS 파라미터 변경 트리거는 기본 네트워크 과금 정책에 결합되는 QoS 파라미터가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전송하기 위해 변경되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비스 계층(1104)은 과금 정책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전송하는 동일한 과금 레이트에 의해 10Mbps에서 5Mbps까지 보장된 데이터 전송률을 변경한다. 후원된 데이터 연결성 모델 하에, 서비스 제공자는 3GPP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해 지불하고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과금하며, 서비스 제공자는 동일한 과금 레이트를 갖는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에 결합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감소시키거나, 원래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하는 더 높은 과금 레이트를 적용할 수 있다.
과금 레이트 변경 트리거는 과금 레이트가 기본 네트워크에서 변경되며, 따라서 서비스 계층 과금 레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과금 측정 파라미터 변경 트리거는 과금 측정 방법이 기본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계층 데이터 흐름에 대해 변경되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금 측정은 M2M 애플리케이션(1108)이 매우 큰 수의 디바이스들을 전개할 수 있으므로, 센서 검색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볼륨 기반 과금으로부터 트랜잭션 기반으로 변경되고, 각각의 트랜잭션에 대해 소량의 데이터 볼륨을 필요로 한다.
서비스 가입자 트리거의 기본 네트워크 가입 변경은 서비스 가입자가 기본 네트워크에서 그것의 월별 데이터 계획을 변경할 때 발생하며, 그것은 사용자가 서비스 계층에서의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더 많은 대역폭(예를 들어,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얻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기본 네트워크 과금 할인 또는 보너스 트리거의 변경은 서비스 계층(1104)이 서비스 계층 정책을 변경하는 것 또는 지정된 시간 동안 발생하도록 그것의 트래픽을 지연/스케줄링하는 할인된 비율로 서비스 가입자에 대해 다른 정책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과금 이벤트 트리거는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 레코드(예를 들어, CDR)를 갱신하거나 과금 운영들을 갱신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을 트리거하는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에 대해, 기본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이한 이벤트들의 경우, 서비스 계층은 상이한 과금 정책들을 동적으로 적용하고 상이한 과금가능 이벤트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는 이하, 즉 도달 후원 데이터 볼륨 임계값, 서비스 시작/정지, 한도 초과, 서비스 데이터 흐름 오프로드, 및 기본 네트워크에서의 할인 대역폭의 가용성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달 후원 데이터 볼륨 임계값 트리거는 서비스 가입자가 기본 네트워크에서 후원된 데이터 링크의 데이터 볼륨 임계값에 도달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것은 통상 장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증 요금을 서비스 가입자에게 초래한다.
서비스 시작/정지 트리거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이 특정 기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시작/정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한도 초과 트리거는 기본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의 신용이 현재 QoS를 갖는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서비스 계층이 1)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정지시키거나 QoS 레벨을 저하시키고; 2) 서비스 계층에서 사용자에게 더 많이 과금함으로써 동일한 QoS를 유지하는 것을 트리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옵션 1은 상이한 QoS 파라미터들을 갖는 새로운 과금 정책을 적용하는 반면에; 옵션 2는 더 높은 과금 레이트를 갖는 새로운 과금 정책을 적용한다. 일 예로서, 이러한 정보는 3GPP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액션 속성 값 쌍(Attribute Value Pair)(AVP) 및 최종 유닛 액션 AVP를 통해 표현되고 교환될 수 있다.
서비스 데이터 흐름 오프로드 트리거에 대해, 기본 네트워크(1106)는 서비스 계층(1104)이 새로운 기본 네트워크에 대해 과금 운영들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다른 기본 네트워크에 오프로딩하는 것을 표시한다. 오프로드, 예를 들어 원래 기본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및 이동성으로 인한 더 좋은 송신 품질을 트리거할 수 있는 다수의 이유들이 있다.
기본 네트워크 트리거에서의 할인 대역폭의 가용성은 서비스 가입자가 할인으로 과금되면서 서비스 계층에서 더 높은 서비스 품질을 수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은 이러한 시나리오 하에 서비스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정책을 조정할 수 있다.
규칙은 정책과 동등할 수 있고, 트리거는 특수 타입의 이벤트일 수 있으며, 그것은 이벤트의 발생 시에 부가 동작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혼동을 회피하기 위해, 용어 "과금 상관 규칙"은 "과금 정책"의 종래의 개념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어 "과금 상관 트리거"는 "과금가능 이벤트"의 개념과 구별하기 위해 적용된다.
SD-CCF(1102)는 서비스들에 대한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하고, 갱신하고 삭제할 책임이 있을 수 있다. 과금 상관 규칙은 SD-CCF(1102)와 서비스 계층 과금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통한 서비스를 위해 사전 구성되거나 동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하는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단계(1)는 과금 서비스 능력(1202)이 새로운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하기 위해 요청(생성)을 SD-CCF(1102)에 우선 발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과금 SC(1202)에 의해 발행되는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는 수개의 이벤트들이 있다.
새로운 서비스는 서비스 플랫폼에 추가되며, 서비스 제공자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하기를 원한다.
새로운 버전의 기존 서비스에는 새로운 기능성이 제공되며, 새로운 기능성은 기본 네트워크와의 더 많은 과금 상관 동작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는 기존 규칙이 오래된 버전에 대해 적용되므로, 기존 규칙들을 갱신하는 대신에 새로운 규칙을 생성하기를 원한다.
기본 네트워크(1106)는 그것의 과금 능력 정보를 서비스 계층(1104),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가 서비스 계층에 송신할 수 있고/송신하도록 허용되는 어떤 이벤트들 또는 트리거들과 공유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계층은 과금 상관 규칙을 적절히 생성/갱신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에서, 과금 SC(1202)는 새로운 규칙에 관한 상세들, 예컨대 기본 네트워크(1106)의 어떤 타입(들)이 상관을 위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지, 어떤 트리거들이 과금 상관을 위해 인에이블되는지, 및 새로운 규칙이 생성되는 서비스를 지정할 것이다. SD-CCF(1102)는 요청에 의해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할 것이다. 예시적 비제한 과금 상관 규칙은 홈 감시 서비스를 언급하는 표 2에 제시된다.
[표 2]
홈 감시 서비스에 대한 과금 상관 규칙의 일 예
Figure pat00002
과금 SC(1202), 예를 들어 도 6의 SD-CS(610)는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할 책임이 있는 엔티티를 언급한다. 더욱이, 리퀘스터는 서비스 능력 엔티티일 필요는 없다. 그것은 과금 상관 규칙을 정의하는 임의의 엔티티, 심지어 기본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정의한다.
도 12의 단계(2)는 SD-CCF(1102)가 새로운 상관 규칙을 생성하는 요청으로 더 많은 상세들 또는 분실 정보를 위해 과금 SC(1202)와 접촉하는 경우에 임의적 단계이다.
도 12의 단계(3)에서, 새로운 규칙을 생성한 후에, SD-CCF(1102)는 과금 SC(1202)가 장래에 과금 상관 규칙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달가능 어드레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과금 SC(1202)에 반환한다.
기본 네트워크(1106)로부터의 과금 상관 트리거는 또한 새로운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생성하는 SD-CCF(1102)를 필요로 할 수 있으며, 그것은 다음 부분에서 논의될 것이다.
유사한 절차는 요청에서 생성을 대체함으로써 기존 과금 상관 규칙을 갱신하거나 삭제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하는 과금 상관을 위해 서비스 계층과 기본 네트워크 사이에 일부 예시적 메시지 교환 절차들을 정의한다. SD-CCF(1102)는 이러한 소구분에서의 예시를 위해 과금 SC(1202)의 일부로 도시된다. 대안으로, SD-CCF(1102)는 독립 기능이거나 서비스 계층에서 다른 SC의 일부로 추가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12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2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12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과금 정책 상관에 대한 메시지 교환의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의 단계(0)에서, 기본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책 트리거를 구성하기 전에, SD-CCF(1102)는 기본 네트워크(1106)에서 구성될 수 있는 과금 정책 트리거를 얻기 위해 CTF들(130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들은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것은 온 디맨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TF(1302)는 그러한 원하는 과금가능 이벤트들 및 이러한 이벤트들에 포함되는 정보를 체크하고, 임의의 그러한 트리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과금 정책 갱신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정보가 있으면, CTF(1302)는 과금 상관을 위해 요구되는 과금 정책 트리거를 지정하기 위해 SD-CCF(1102)와 접촉할 것이다. 메시지에서, 이하의 정보, 즉 서비스 정보, 과금 정책 ID 및 과금가능 이벤트 ID, 및 과금 속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에서, SD-CCF(1102)는 어떤 서비스에 대한 과금 상관 트리거 작업들을 이해할 수 있다.
과금 정책 ID 및 과금가능 이벤트 ID에 대해, SD-CCF(1102)는 어떤 과금 상관 트리거가 구성되도록 요구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더 상세한 과금 정책 및 과금가능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도록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과금 속성 정보,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률 또는 과금 측정 방법에 대해, SD-CCF(1102)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구성하기 위해 트리거의 타입을 알아낼 수 있다.
그 결과, SD-CCF(1102)는 모든 CTF들과 하나씩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그것은 CTF가 지정된 과금 정책 트리거와의 상호작용을 개시할 때에만 과금 정책 트리거를 구성한다.
도 13의 단계(1)에서, SD-CCF(1102)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일부 과금 정책 트리거들을 구성한다. 기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트리거들은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성 메시지에서, SD-CCF(1102)는 정책 트리거들의 리스트를 지정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은 구성 정보/서비스/트리거를 유지하면, 즉 서비스 계층은 어느 서비스가 어느 트리거를 필요로 하는지를 기록한다.
기본 네트워크는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를 인식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본 네트워크(1106)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트리거 정보만을 포함한다. 게다가, 서비스 계층(1104)은 또한 개인 또는 서비스 가입자들의 그룹에 대한 트리거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본 네트워크는 구성된 트리거가 특정 사용자들에 대해 발생할 때에만 서비스 계층(1104)에 통지한다. 이것은 서비스 계층(1104)과 기본 네트워크(1106) 사이에서 통신 오버 헤드를 감소시킨다.
SD-CCF(1102)는 상이한 정책 트리거들에 관한 다수의 구성들을 집합할 수 있으며, 그것의 각각은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응한다.
동일한 트리거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비스들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SD-CCF(1102)는 홈 감시 서비스에 대한 과금 상관 규칙을 생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은 과금 상관이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는지, 트리거들의 어떤 세트가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구성되는지, 어떤 과금 정책 및 과금가능 이벤트이 트리거에 영향을 받을 것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트리거/과금 정책/과금가능 이벤트가 그들의 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일 예로서, 서비스 계층(1104)은 사전 프로비저닝을 통해 기본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어드레스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2)에서, 기본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 내의 PCRF/PCEF, BBF 고정 네트워크 내의 정책 집행 포인트(PEP))가 가입된 트리거의 발생을 검출하면, 그것은 어떤 트리거가 발생하는지를 표시하는 통지를 SD-CCF(1102)에 송신한다. 게다가, 기본 네트워크는 변경되는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지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 기존 과금 정책에 결합되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률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적절히 생성/갱신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1104)을 위해 요구된다.
도 13의 단계(3)에서, 기본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면, SD-CCF(1102)는 동일한 트리거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비스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서비스(들)가 과금 정책 트리거를 구성하는지(예를 들어, 트리거 ID 및 서비스 ID를 어떤 서비스가 어떤 트리거를 구성하는지의 유지된 정보와 비교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보고된 트리거가 특정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는지를 검증한다. 그리고, 어떤 과금 정책 및 과금가능 이벤트가 보고된 트리거에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정보를 체크한다.
그 다음, SD-CCF(1102)는 통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과금 정책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SD-CCF(1102)는 이하의 액션들, 즉 새로운 과금 정책을 생성하는 것 또는 기존 과금 정책에서 속성(들)을 갱신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새로운 과금 정책을 생성하는 것은 기본 네트워크(1106)가 그것의 과금 정책을 변경하는 것을 암시하는 반면에, 서비스 계층은 그러한 변경에 대응하는 기존 과금 정책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1106)는 볼륨 기반에서 트랜잭션 기반까지의 에어 품질 센서 데이터 판독을 위해 과금 측정으로 변경되며, 서비스 계층(1104)은 센서 데이터 판독 서비스에 대한 트랜잭션 기반 과금 정책을 설정하고 다른 타입들의 기본 네트워크(110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이전 데이터 볼륨 기반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기존 과금 정책 내의 갱신 속성(들)은 기본 네트워크(1106) 내의 과금 정책 변경이 기존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 계층(1104)이 정책 내의 일부 속성들, 예를 들어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 과금 레이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암시한다.
도 13의 단계(4)는 SD-CCF가 본 네트워크로부터 특정 타입들의 트리거들을 수신할 때 기존 서비스 계층 CDR을 갱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임의적 단계(1102)이다.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는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위해 과금 레이트를 증가시키며, SD-CCF(1102)는 서비스 계층 과금 데이터 레코더(Charging Data Recorder)(CDR)에서 과금 레이트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본 네트워크(1106)는 할인된 레이트를 시간 기간 동안 모든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을 결정하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또한 그러한 기간에 더 낮은 서비스 계층 과금 가격을 적용할 수 있다.
CDR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SD-CCF(1102), CTF 및 과금 SC(1202)는 상이한 이유들로 CDR에 액세스하고 CDR을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SD-CCF(1102)는 상관 동작들로 인해 CDR을 갱신하고; CTF는 일부 새로운 과금가능 이벤트들을 캡처하기 때문에 CDR을 갱신하고; 과금 SC(1202)는 CDR 파일들을 빌링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CDR을 갱신/처리한다.
도 13의 단계(5)에서, SD-CCF(1102)는 새로운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 행동을 변경하도록 다른 서비스 능력 내의 과금 트리거 기능(CTF)(1302)에 통지한다. 통지에서, SD-CCF(1102)는 CTF(1302)가 수집할 필요가 있는 이벤트 ID에 의해 지정되는 과금가능 이벤트들을 표시한다.
그 다음, CTF(1302)는 어떤 정보가 과금가능 이벤트를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이벤트 ID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는 데이터 검색 서비스를 위해 트랜잭션 기반에서 데이터 볼륨 기반까지 과금 측정 방법을 변경하며, 따라서 SD-CCF(1102)는 데이터 검색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데이터 흐름의 데이터 볼륨을 수집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세션 관리 SC 내의 CTF(1302)에 통지한다.
SD-CCF(1102)는 등록 절차 동안 그러한 CTF들(1302)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oneM2M에서, <CSEbase>, <remoteCSE> 및 <AE> 자원들이 있으며, SD-CCF는 이러한 자원들을 체크함으로써 CTF(1302)가 접촉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6)는 임의적 단계이다. CTF(1302)는 과금 행동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을 SD-CCF(1102)에 송신할 수 있다.
기본 네트워크(1106)에 완전히 의존하는 것 외에,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자체는 또한 기본 네트워크로부터 일부 자동 메시지들(예를 들어, 데이터 사용 리마인더들)을 수신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상관을 수행하기 위해 그러한 정보를 SD-CCF(1102)에 능동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본 네트워크는 우선 클라이언트에 통지할 것이고, 그 다음에 클라이언트는 SD-CCF(1102)에 과금 정책 트리거를 통지한다. 과금 이벤트 트리거는 이러한 시나리오를 갖는 유사한 경우를 갖는다.
도 13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13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3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13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 14는 과금 정보 상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메시지 교환의 절차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단계(1)에서, SD-CCF(1102)는 우선 기본 네트워크에서 일부 과금 이벤트 트리거들을 구성한다. 과금 정책 트리거와 유사하게, 이러한 트리거들은 서비스 계층 과금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부 이벤트들을 암시한다. 과금 정책 상관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CTF(1302)는 SD-CCF(1102)가 기본 네트워크에서 트리거를 구성할 수 있도록, 온 디맨드 방식으로 원하는 과금 상관 트리거들에 관한 SD-CCF(1102)와 접촉한다. 더 많은 상세들은 도 13에 도시된 단계(0)의 설명에서 논의된다.
도 14의 단계(2)는 도 13의 단계(2)와 유사하다.
도 14의 단계(3)에서, SD-CCF(1102)는 트리거의 타입 및 트리거를 구성하는 서비스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 트리거들을 기록하고 추가 액션들(예를 들어, 서비스를 위해 새로운 과금 레이트를 적용하는 것, 데이터 볼륨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하는 것)을 결정한다. SD-CCF(1102)는 또한 보고된 트리거가 특정 서비스에 대해 인에이블되는지를 검증하고 어떤 과금 정책 및 과금가능 이벤트가 보고된 트리거에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도 14의 단계(4)에서, SD-CCF(1102)는 트리거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새로운 과금 액션들을 다른 SC 내의 CTF(1302)에 통지한다. SD-CCF(1102)는 등록 절차의 결과들을 체크함으로써 그러한 CTF들(1302)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CCF(1102)는 홈 감시 서비스에 가입하고 데이터 볼륨 임계값에 도달하는 서비스 가입자를 위해 데이터 볼륨을 수집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세션 관리 SC 내의 CTF(1302)에 통지한다.
도 14의 단계(5)에서, SD-CCF(1102)로부터 구성을 수신하면, 과금 트리거 기능(CTF)(1302)은 과금가능 이벤트/서비스의 리스트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CTF(1302)는 어떤 과금가능 이벤트가 어떤 서비스를 위해 수집되도록 요구되는지, 및 어떤 정보가 각각의 과금가능 이벤트를 위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일부 정보를 유지한다. 일부 새로운 타입들의 과금가능 이벤트가 수집되도록 요구되면, CTF(1302)는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벤트 ID에 따라 이벤트 정보를 체크하고, 새로운 이벤트를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4의 단계(6)에서, 임의적 단계로서, CTF(1302)는 과금 행동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을 SD-CCF(1102)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본 네트워크(1106)는 또한 서비스 계층(1104)과 통신함으로써 과금 상관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1106)(예를 들어, 3GPP 네트워크)는 일부 이유(예를 들어, 네트워크 혼잡, 더 좋은 통신 품질)로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다른 타입의 기본 네트워크(1106)(예를 들어, WiFi)에 오프로딩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기본 네트워크(1106)는 구성 단계(즉, 도 14의 단계(1)) 없이 트리거의 발생을 SD-CCF에 직접 보고할 것이다.
도 14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노드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14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4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14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 15는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예시적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관 동작은 기본 네트워크에 의해 캡처되는 과금 정책 트리거 및 과금 이벤트 트리거 둘 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의 단계(1)에서, 과금 상관 방법은 SD-CCF(1102)가 기본 네트워크(1106)에서 구성된 트리거의 발생을 표시하는 통지를 수신할 때 트리거링된다. 통지는 트리거 ID, 및 통지를 발생시키는 기본 네트워크 ID를 지정한다. SD-CCF(1102)는 상관 트리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트리거 I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트리거는 정책 관련되거나 과금 정보 관련되고, 어떤 이벤트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발생한다.
도 15의 단계(2)에서, SD-CCF(1102)는 과금 상관이 보고된 트리거에 관하여 인에이블되고/허용되는지, 즉 보고된 트리거가 이전에 SD-CCF(1102)에 의해 구성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과금 상관 규칙을 체크한다. 기본 네트워크가 일부 경우들에서 트리거 보고를 개시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계층은 보고된 트리거가 어느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SD-CCF(1102)는 또한 기본 네트워크가 서비스 정보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고, 다수의 서비스들이 동일한 트리거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어느 서비스들이 보고된 트리거를 구성했는지를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SD-CCF(1102)는 과금 상관 동작이 서비스에 의해 인에이블되면, 어떤 서비스(들)가 트리거에 가입하는지와 같은 것들의 커플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체크가 아니오로 복귀하면, 수행되는 과금 상관 동작은 없다. 이러한 단계는 SD-CCF(1102)에 의해 생성되고 유지되는 정보를 체크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D-CCF(1102)는 상관 트리거가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거나 허용되면, 기본 네트워크에서 어떤 서비스(들)에 대해 구성되는 어떤 트리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할 것이다. 실시예 부분은 oneM2M에 대해 상관 규칙 및 트리거들에 관한 이러한 정보의 구조를 지정할 것이다.
도 15의 단계(3)에서, 도 15의 단계(2)에서의 액션들에 기초하여, 과금 상관 및 보고된 트리거가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면, SD-CCF(1102)는 상이한 동작들이 2 타입들의 트리거들에 대해 수행되도록, 트리거가 과금 정책 또는 과금 정보와 관련되는지를 계속 체크한다.
그것이 과금 상관을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으면, SD-CCF(1102)는 트리거 정보를 체크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보고된 트리거를 서비스를 위한 상관 규칙에 추가하는지를 판단한다. 트리거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SD-CCF(1102)는 보고된 트리거의 정보를 필요로 할 것이다.
도 15의 단계(4) 내지 단계(10)는 과금 정책 트리거에 대해 수행된다.
도 15의 단계(4)에서, 트리거가 과금 정책과 관련되는 경우에, SD-CCF(1102)는 우선 기본 네트워크로부터의 트리거에 대응하는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SD-CCF(1102)는 새로운 과금 정책을 생성하거나 기존 과금 정책에서 속성(들)을 갱신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5)에서, SD-CCF(1102)는 CTF(1302)가 과금가능 이벤트를 수집하는 방식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갱신된 과금 정책을 다른 SC 내의 CTF(1302)에 통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더 체크한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 기반에서 데이터 볼륨까지의 과금 정책 변경은 CTF(1302)가 수집된 과금 레코드에 데이터 볼륨 정보를 삽입하고 트랜잭션 기반 과금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일부 새로운 과금가능 이벤트들을 가능하게 수집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그것은 과금 정책 변경이 CDR 처리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CTF(1302)와 통신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과금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은 CTF가 수집된 과금 레코드에서 과금가능 이벤트 및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임의의 행동을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결정을 하기 위해, SD-CCF(1102)는 CTF(1302)와 접촉할 필요가 있는지 및 필요하면 CTF(1302)가 어느 엔티티에서 통지받을 필요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에서 유지되는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정보는 이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o 어떤 기능성(예를 들어, 세션 관리)이 CTF(1302)를 포함하기 위해 oneM2M에 정의되는 <CSEBase>, <remoteCSE> 및 <AE> 자원들.
o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포함하기 위해 oneM2M에 정의되는 자원 <statsCollect>. 과금 정책이 영향을 받으면, 즉 보고된 트리거가 과금 정책 자원에서 일부 속성들을 변경하면, 그것은 CTF(1302)에 통지하도록 요구된다.
o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계층 과금가능 이벤트를 포함하기 위해 oneM2M에 정의되는 자원 < eventConfig >. 과금 정책과 유사하게, SD-CCF(1102)는 기본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된 트리거에 기초하여 CTF(1302)에 통지하도록 요구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러한 자원을 조사한다.
도 15의 단계(6)에서, SD-CCF(1102)는 과금 정책 및 예상된 과금가능 이벤트의 변경을 관련 SC 내의 과금 SC(1202) 및 CTF(1302)에 통지한다. 메시지는 새로운 과금 정책, 예상된 과금가능 이벤트, 서비스 ID를 포함한다. 과금 SC(1202) 및 CTF(1302)는 과금가능 이벤트를 수집하는 방식을 조정하는 정보 및 과금가능 이벤트를 위해 수집되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7)에서, SD-CCF(1102)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도록 특정 SC에 통지할 필요가 있는지의 체크를 한다.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 과금 정책에 결합되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데이터 검색 서비스를 위해 변경되며; SD-CCF(1102)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적절히 조정하도록 세션 관리 SC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도 15의 단계(8)에서, SD-CCF(1102)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파라미터들의 변경을 관련 SC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SD-CCF(1102)는 변경되는 파라미터들 및 새로운 값들을 표시한다.
도 15의 단계(9)에서, SD-CCF(1102)는 과금 정책이 갱신되는 서비스를 위해 기존 CDR을 재처리할 필요가 있는지를 더 체크한다. 예를 들어, 기본 네트워크는 서비스 계층이 기존 CDR로부터 데이터 볼륨 값을 제거할 필요가 있도록, 이전에 데이터 볼륨 기반인 센서 데이터 판독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 흐름을 위해 트랜잭션 기반 과금을 적용한다.
도 15의 단계(10)에서, SD-CCF(1102)는 기존 서비스 계층 CDR을 갱신하도록 과금 SC(1202)에 통지한다. 통지는 CDR을 갱신하는 법에 관한 특정 안내(예를 들어, 데이터 볼륨 정보를 제거하는 것, 과금 레이트를 갱신하는 것)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CDR을 갱신하는 법은 SD-CCF(1102)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 과금 SC(1202)의 책임이다.
도 15의 단계(11) 내지 단계(14)는 과금 이벤트 트리거에 대해 수행된다.
도 15의 단계(11)에서, 과금 이벤트 트리거를 수신하면, SD-CCF(1102)는 기본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트리거에 대응하는 다른 과금 정책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과금 정보 트리거는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의 임의의 갱신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서비스를 위해 다른 정책을 적용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볼륨 임계값이 도달되는 트리거는 서비스 계층이 장래의 데이터 볼륨을 위해 추가 요금을 서비스 가입자에게 과금하기 시작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도 15의 단계(12)는 도 15의 단계(6)와 유사하다. SD-CCF(1102)는 적용된 과금 정책의 변경을 관련 SC 내의 과금 SC(1202) 및 CTF(1302)에 통지한다.
도 15의 단계(13) 내지 단계(14)는 도 15의 단계(7) 및 단계(8)와 유사하다. SD-CCF(1102)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도록 특정 SC에 통지할 필요가 있는지의 체크를 하고 필요하면 서비스 프로비저닝 파라미터들의 변경을 관련 SC에 통지한다.
또한 서비스 계층(1104)은 기본 네트워크(1106)가 과금 행동/사용자 또는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일부 정보를 기본 네트워크(1106)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자는 그것의 서비스 계층 가입을 프리미엄 계정으로 업그레이드하며, 이 계정은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3GPP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가입자 비제한 무료 데이터를 제공한다. 서비스 계층(1104)은 3GPP 네트워크에 통지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은 그러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의 데이터 볼륨을 그것의 3GPP 네트워크 월별 데이터 계획에 카운트하지 않을 것이다.
도 15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노드,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15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5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15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 16은 oneM2M 기능 아키텍처(1600)에 기초하여 서비스 과금 & 회계(SCA) CSF(1604)의 일부로 제안된 SD-CCF(1102)를 구현하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제안된 SD-CCF는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NSSE) CSF(1606)의 부기능으로 추가될 수 있으며, 이 CSF는 Mcn 참조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통신들을 관리할 책임이 주로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이러한 부분은 SCA CSF(1604)에 대한 과금 상관 기능성을 지원하기 위해 oneM2M 자원 구조 향상들을 개시한다.
자원 구조들을 설명하는 oneM2M 정의 그래픽 표현은 이하이며, 사각형 박스들은 자원들 및 차일드 자원들을 위해 사용된다. 원형 코너들은 사각형 박스들은 속성들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주목한다.
도 17은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 규칙을 반영하는 <과금상관규칙> 자원(1702)을 예시하는 도해이며, 그것은 표 3에 설명된다.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한 다수의 과금 상관 규칙들이 있을 수 있으며, 즉 과금 상관 규칙은 규칙 ID(1704) 및 서비스 ID(1714) 속성들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명세이다. 제안된 <과금상관규칙> 자원(1702)은 <CSEBase>, <remoteCSE> 및 <AE> 자원의 부자원으로 추가될 수 있다.
[표 3]
<과금상관규칙> 자원에 대한 속성들
Figure pat00003
도 18은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 규칙을 반영하는 <과금상관트리거> 자원(1802)을 예시하는 도해이며, 그것은 표 4에 설명된다.
[표 4]
<과금상관트리거> 자원에 대한 속성들
Figure pat00004
SD-CCF(1102)가 과금 상관을 위해 기본 네트워크(1106)와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한 더 많은 상세들을 제시하기 위해, 3GPP 네트워크는 예시를 위한 일 예로 사용된다.
도 19는 제안된 oneM2M SD-CCF(1102)가 3GPP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책 변경을 상관시키기 위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증명하는 3GPP 네트워크와의 oneM2M 과금 정책 상관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이러한 경우에,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은 oneM2M 서비스 계층에 통지하는 3GPP 네트워크에서 변경된다. 따라서, oneM2M 서비스 계층 플랫폼은 서비스 계층 과금 정책을 갱신하고 SD-CTF(1902)에 새로운 과금 정책을 적용하도록 통지한다.
도 19의 단계(1)에서, SD-CCF(1102)는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 변경의 과금 정책 트리거가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과금상관규칙> 자원을 체크한다. 이러한 단계는 CTF로부터 일부 과금 정책 트리거들을 검색함으로써 트리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D-CTF(1902)는 수집되는 과금가능 이벤트 및 그 안의 정보를 체크함으로써 과금 정책 트리거를 발견하고, 그 다음에 통지를 SD-CCF(11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CTF(1902)는 센서 데이터 판독에 대한 데이터 송신(서비스 계층 세션 관리 기능)의 시작을 표시하는 과금가능 이벤트를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률 정보가 요구되는 것을 발견한다. SD-CTF(1902)는 3GPP 네트워크 내의 서비스 데이터 흐름에 관한 데이터 전송률의 임의의 변경이 서비스 계층(1104)에 보고되도록, SD-CCF(1102)가 기본 3GPP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책 트리거를 구성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도 19의 단계(2)에서, SD-CCF(1102)는 가입 메시지를 Mcn/Rx 참조 포인트를 통해 3GPP 네트워크(1906) 내의 PCRF(1908)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트리거 ID 및 디바이스의 기본 네트워크 ID(예를 들어, 트리거를 가입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표시하는 3GPP 네트워크(1906)에 대한 외부 ID)를 포함한다.
도 19의 단계(3)에서, 3GPP 네트워크(1906)가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을 변경하면, PCRF(1908)는 트리거 ID, 트리거 가입 ID 및 발생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통지를 Mcn 참조 포인트를 통해 SD-CCF(1102)에 송신한다. 이러한 예에서,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이 변경되므로, 3GPP 네트워크(1906)는 다이터미터 프로토콜이 3GPP 네트워크(1906) 및 oneM2M 서비스 계층 플랫폼(1904)에 걸쳐 사용되는 것을 가정하면 새로운 데이터 볼륨 임계값(예를 들어, 승인된 서비스 유닛 속성 값 쌍(AVP))을 송신한다.
도 19의 단계(4)에서, 3GPP 네트워크(1906)로부터 트리거 통지를 수신하면, oneM2M 서비스 계층(1904)은 <과금상관트리거> 자원 내의 관련된 과금 정책 ID 속성에 따라 과금 정책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oneM2M 서비스 계층(1904)은 데이터 검색 서비스를 위해 과금 정책에 결합되는 데이터 전송률들을 변경할 수 있거나, 홈 감시 서비스를 위해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변경은 oneM2M 자원들(<statsCollect> 및 <eventConfig>) 상에 이루어질 것이며, 이 자원들은 과금 정책 및 과금가능 이벤트 정보 각각을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도 19의 단계(5)에서, SD-CCF(1902)는 이때 과금 정책의 변경을 다른 CSF들 내의 SD-CTF(1902)에 통지하며, 즉 새로운 임계값에서 서비스 가입자 추가 요금을 과금하는 것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통지는 서비스 ID, 새롭게 적용된 과금 정책 ID 및 관련된 과금가능 이벤트들 ID를 포함한다.
도 19의 단계(6)에서, SD-CTF(1902)는 과금 정책 ID 및 이벤트 ID에 의해 과금 레코드를 수집하는 더 많은 상세들을 위해 자원들(<statsCollect> 및 <eventConfig>)에 액세스할 것이다.
도 19의 단계(7)에서, 임의적 단계로, SD-CTF(1902)는 과금 행동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을 SD-CCF(1102)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9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된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19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19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19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도 20은 제안된 oneM2M SD-CCF(1102)가 3GPP 네트워크(1906)에 의해 제공되는 과금 정보를 상관시키기 위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증명하는 3GPP 네트워크 사용 경우와의 oneM2M 과금 정보 상관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구체적으로,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은 3GPP 네트워크에 도달된다. 따라서, SD-CCF(1102)는 새로운 과금 레이트를 장래의 서비스 데이터 흐름에 적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서비스를 위해 과금가능 이벤트를 수집할 때 데이터 볼륨을 포함하도록 SD-CTF(1902)에 통지한다.
도 20의 단계(1)는 도 19의 단계(1)와 유사하다. SD-CCF(1102)는 후원된 데이터 볼륨 임계값에 도달하는 과금 정보 트리거가 서비스를 위해 인에이블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과금상관규칙> 자원을 체크한다. 게다가, SD-CCF(1102)는 CTF로부터 일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러한 단계를 개시할 것이다. 더 많은 상세들은 도 19의 단계(1)의 설명에서 발견될 수 있다. 유일한 차이는 CTF가 그곳에서 과금 정책 트리거 대신에 과금 이벤트 트리거를 보고한다는 것이다.
도 20의 단계(2)는 도 19의 단계(2)와 유사하다. SD-CCF(1102)는 가입 메시지를 Mcn 참조 포인트를 통해 3GPP 네트워크 내의 PCRF(1908)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트리거 ID 및 서비스 제공자 ID(트리거를 가입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표시하는 3GPP 네트워크에 대한 외부 ID)를 포함한다. 그 다음, PCRF(1908)는 이벤트 트리거 AVP를 통해 트리거를 가입하도록 PCEF(2002)에 통지한다.
도 20의 단계(3)에서, PCEF(2002)는 임계값이 도달되는 것을 한 번 파악하고, 그 다음에 사용 측정 볼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서비스 유닛 AVP를 통해 데이터 볼륨 임계값에 도달하는 이벤트를 보고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PCEF(2002)는 우선 PCRF(1908)에 보고하고, PCRF(1908)는 이벤트 통지를 Mcn/Rx 참조 포인트를 통해 SD-CCF(1102)에 송신한다.
도 20의 단계(4)에서, SD-CCF(1102)는 추가의 데이터 볼륨을 위해 새로운 과금 레이트를 적용하고 SD-CTF(1902)가 과금 레코드에 데이터 볼륨을 포함하라고 요청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것은 자원들(<statsCollect> 및 <eventConfig>) 상에 과금 정책 및 과금가능 이벤트를 갱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의 단계(5) 내지 단계(7)는 도 19의 단계(5) 내지 단계(7)와 유사하다.
도 20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엔티티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의 프로세서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논리 엔티티들인 점이 이해된다. 즉, 도 20에 예시되는 방법(들)은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즉,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20에 예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한다. 또한 도 20에 예시되는 임의의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은 노드의 프로세서 및 그것이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제어 하에 노드의 통신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oneM2M은 oneM2M 서비스 계층에 의해 지원되는 능력들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능력들은 능력 서비스 기능들(Capability Service Functions)(CSFs)로 언급된다. oneM2M 서비스 계층은 능력 서비스 엔티티(Capability Services Entity)(CSE)로 언급된다.
도 21은 oneM2M SoA 아키텍처(2100)에서 제안된 SD-CCF(1102)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해이며, SD-CCF(1102)는 회계(Accounting)(ACC) 서비스 구성요소(2102)의 일부로 삽입된다. 다른 서비스 구성요소들은 Msc 참조 포인트를 통해 과금 상관 문제들에 관한 SD-CCF(1102)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SD-CCF(1102)는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의 일부일 수 있으며, SD-CCF(1102)는 다른 서비스 구성요소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공통 기능으로 취급된다.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Graphical User Interfaces)(GUIs)은 사용자가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과 관련되는 기능성들을 제어하고 및/또는 구성하는 것을 원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들은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또는 서버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과금가능 이벤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트리거될 때, 및 과금 레코드들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게다가, API 동작들, 예컨대 M2M 서버와 기본 네트워크 서버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들이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3a는 사용자가 과금 상관 규칙들 및 트리거들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과금 상관 규칙들 및 트리거들을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인터페이스(2302)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23b는 사용자 장비에서 소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2304)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이러한 예에서, 인터페이스(2304)는 후원된 흐름의 나머지 대역폭을 디스플레이한다.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은 아래에 설명되는 도 22c 내지 도 22d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디스플레이들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 M2M/IoT/WoT 통신 시스템
도 22a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머신 투 머신(M2M), 사물 인터넷(IoT), 또는 사물 웹(Web of Things)(WoT) 통신 시스템(10)의 도해이다. 일반적으로, M2M 기술들은 IoT/WoT를 위해 빌딩 블록들을 제공하고, 임의의 M2M 디바이스, M2M 게이트웨이, M2M 서버, 또는 M2M 서비스 플랫폼은 IoT/WoT 서비스 계층 등뿐만 아니라 IoT/WoT의 구성요소 또는 노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기능성 및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IoT/WoT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네트워크(12)를 포함한다. 통신 네트워크(12)는 고정 네트워크(예를 들어, 이더넷, 파이버, ISDN, PLC 등) 또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WLAN, 셀룰러 등) 또는 이종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2)는 콘텐츠 예컨대 보이스, 데이터, 비디오,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을 다수의 사용자들에 제공하는 다수의 액세스 네트워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2)는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방법들, 예컨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 직교 FDMA(orthogonal FDMA)(OFDMA), 단일 캐리어 FDMA(single-carrier FDMA)(SC-FDM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통신 네트워크(12)는 예를 들어 다른 네트워크들 예컨대 코어 네트워크, 인터넷, 센서 네트워크, 산업 제어 네트워크, 개인 영역 네트워크, 융합된 개인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또는 기업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IoT/WoT 통신 시스템(10)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 및 필드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은 엔드 투 엔드 M2M 전개의 네트워크 측을 언급하고, 필드 도메인은 통상 M2M 게이트웨이의 뒤에 있는 영역 네트워크들을 언급한다. 필드 도메인 및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은 여러 가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서버들, 게이트웨이들, 디바이스 등)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드 도메인은 M2M 게이트웨이들(14) 및 단말 디바이스들(18)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M2M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4) 및 M2M 단말 디바이스들(18)은 원하는 대로 M2M/ IoT/WoT 통신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M2M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4) 및 M2M 단말 디바이스들(18) 각각은 신호들을, 통신 회로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12) 또는 직접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M2M 게이트웨이(14)는 고정 네트워크 M2M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PLC)뿐만 아니라 무선 M2M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셀룰러 및 비셀룰러)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12) 또는 직접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M2M 단말 디바이스들(18)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12) 또는 직접 무선 링크를 통해 M2M 애플리케이션(20) 또는 다른 M2M 디바이스들(18)에 송신할 수 있다. M2M 단말 디바이스들(18)는 또한 M2M 애플리케이션(20) 또는 M2M 단말 디바이스(1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 및 신호들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M2M 서비스 계층(22)을 통해 M2M 애플리케이션(20)에 송신되고 M2M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M2M 단말 디바이스들(18) 및 게이트웨이들(14)은 예를 들어 셀룰러, WLAN, WPAN(예를 들어, 지그비, 6LoWPAN, 블루투스), 직접 무선 링크, 및 와이어라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 M2M 단말 디바이스들(18)은 태블릿들, 스마트폰들, 의료 디바이스들, 온도 및 날씨 모니터들, 커넥티드 카들, 스마트 미터들, 게임 콘솔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헬스 및 피트니스 모니터들, 라이트들, 서모스탯들, 기기들, 차고 도어들 및 다른 액추에이터 기반 디바이스들, 보안 디바이스들, 및 스마트 아울렛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2b를 참조하면, 필드 도메인 내의 예시된 M2M 서비스 계층(22)은 M2M 애플리케이션(20), M2M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4), 및 M2M 단말 디바이스들(18) 및 통신 네트워크(12)를 위해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통신 네트워크(12)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기능성 및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예를 들어 아래에 설명되는 도 22c 및 도 22d에 예시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들, 컴퓨터들, 디바이스들, 가상 머신들(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팜들 등)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원하는 대로 임의의 수의 M2M 애플리케이션들, M2M 게이트웨이들(14), M2M 단말 디바이스들(18), 및 통신 네트워크들(12)과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노드들은 서버들, 컴퓨터들,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M2M 단말 디바이스들(18), M2M 게이트웨이들(14), 및 M2M 애플리케이션들(20)에 적용하는 서비스 능력들을 제공한다. M2M 서비스 계층(22)의 기능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웹 서버로서,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에서, 클라우드에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된 M2M 서비스 계층(22)과 유사하게,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에 M2M 서비스 계층(22')이 있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인프라스트럭처 도메인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20') 및 기본 통신 네트워크(12')를 위해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또한 필드 도메인 내의 M2M 게이트웨이들(14) 및 M2M 단말 디바이스들(18)을 위해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임의의 수의 M2M 애플리케이션들, M2M 게이트웨이들 및 M2M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 계층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M2M 서비스 계층(22')은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에 의한 것이며, 이 노드들은 서버들, 컴퓨터들, 디바이스들, 가상 머신들(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스토리지 팜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2b를 참조하면, M2M 서비스 계층들(22 및 22')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버티컬들이 강화할 수 있는 서비스 전달 능력들의 코어 세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능력들은 M2M 애플리케이션들(20 및 20')이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고 기능들 예컨대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디바이스 관리, 보안, 빌링, 서비스/디바이스 발견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서비스 능력들은 이러한 기능성들을 구현하는 부담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없애고,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단순화화고 마케팅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킨다. 서비스 계층들(22 및 22')은 또한 서비스 계층들(22 및 22')이 제공하는 서비스들과 관련하여 M2M 애플리케이션들(20 및 20')이 다양한 네트워크들(12 및 12')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 출원의 방법들은 서비스 계층(22 및 22')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계층(22 및 22')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APIs) 및 기본 네트워킹 인터페이스들의 세트를 통해 부가 가치 서비스 능력들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계층이다. ETSI M2M 및 oneM2M 둘 다는 본 출원의 연결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는 서비스 계층을 사용한다. ETSI M2M's 서비스 계층은 서비스 능력 계층(Service Capability Layer)(SCL)으로 언급된다. SCL은 M2M 디바이스(디바이스 SCL(device SCL)(DSCL)로 언급됨), 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 SCL(gateway SCL)(GSCL)로 언급됨)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네트워크 SCL(network SCL)(NSCL)로 언급됨)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oneM2M 서비스 계층은 공통 서비스 기능들(CSFs)(즉, 서비스 능력들)의 세트를 지원한다. 하나 이상의 특정 타입들의 CSF들의 세트의 인스턴스화는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노드, 중간 노드, 애플리케이션 특정 노드) 상에 호스팅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로 언급된다. 게다가, 본 출원의 연결 방법들은 서비스들 예컨대 본 출원의 연결 방법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및/또는 자원 지향 아키텍처(ROA)를 사용하는 M2M 네트워크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2M 애플리케이션들(20 및 20')은 개시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M2M 애플리케이션들(20 및 20')은 UE 또는 게이트웨이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개시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 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노드, 예컨대 M2M 서버, M2M 게이트웨이, 또는 M2M 디바이스에 의해 호스팅되는 M2M 서비스 계층 인스턴스 내에 호스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은 개별 서비스 능력을 M2M 서비스 계층 인스턴스 내에 또는 기존 서비스 능력 내의 부기능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M2M 애플리케이션들(20 및 20')은 제한 없이, 수송, 헬스 및 웰니스, 커넥티드 홈, 에너지 관리, 자산 추적, 및 보안 및 감시와 같은 다양한 산업들에서의 응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디바이스들, 게이트웨이들, 서버들 및 다른 노드들에 걸쳐 실행하는 M2M 서비스 계층은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 관리, 보안, 빌링, 위치 추적/지오펜싱, 디바이스/서비스 발견, 및 레거시 시스템 통합과 같은 기능들을 지원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서비스들로서 M2M 애플리케이션들(20 및 20')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계층들(22 및 22')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APIs) 및 기본 네트워킹 인터페이스들의 세트를 통해 부가 가치 서비스 능력들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계층을 정의한다. ETSI M2M 및 oneM2M 아키텍처들 둘 다는 서비스 계층을 정의한다. ETSI M2M의 서비스 계층은 서비스 능력 계층(SCL)으로 언급된다. SCL은 ETSI M2M 아키텍처의 여러 가지 상이한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계층의 인스턴스는 M2M 디바이스(디바이스 SCL(DSCL)로 언급됨), 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 SCL(GSCL)로 언급됨)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네트워크 SCL(NSCL)로 언급됨)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oneM2M 서비스 계층은 공통 서비스 기능들(CSFs)(즉, 서비스 능력들)의 세트를 지원한다. 하나 이상의 특정 타입들의 CSF들의 세트의 인스턴스화는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노드, 중간 노드, 애플리케이션 특정 노드) 상에 호스팅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엔티티(CSE)로 언급된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는 또한 머신 타입 통신들(machine-type communications)(MTC)에 대한 아키텍처를 정의했다. 그러한 아키텍처에서, 서비스 계층, 및 그것이 제공하는 서비스 능력들은 서비스 능력 서버(SCS)의 일부로 구현된다. ETSI M2M 아키텍처의 DSCL, GSCL, 또는 NSCL, 3GPP MTC 아키텍처의 서비스 능력 서버(SCS), oneM2M 아키텍처의 CSF 또는 CSE,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 다른 노드에서 구현되든지, 서비스 계층의 인스턴스는 서버들, 컴퓨터들, 및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독립형 노드들 상에 실행하는 논리 엔티티(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등)로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기존 노드들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비스 계층 또는 그것의 구성요소의 인스턴스는 아래에 설명되는 도 22c 또는 도 22d에 예시되는 일반 아키텍처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서버, 컴퓨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등) 상에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은 본 출원의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및/또는 자원 지향 아키텍처(ROA)를 사용하는 M2M 네트워크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2c는 M2M 네트워크 노드(30), 예컨대 M2M 디바이스(18), M2M 게이트웨이(14), M2M 서버 등의 예시적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블록도이다. 노드(30)는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을 실행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30)는 도 22a 내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비-M2M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노드(30)는 프로세서(32), 비제거식 메모리(44), 제거식 메모리(46), 스피커/마이크로폰(38), 키패드(40),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및/또는 표시기들(42), 전력 소스(48),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GPS) 칩셋(50), 및 다른 주변 장치들(52)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30)는 또한 통신 회로, 예컨대 송수신기(34) 및 송신/수신 요소(36)를 포함할 수 있다. M2M 노드(30)는 일 실시예와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상술한 요소들의 임의의 부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노드는 본원에 설명되는 SMSF 기능성을 구현하는 노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일반 목적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집적 회로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s),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s) 회로들, 임의의 다른 타입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상태 머신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32)는 노드의 다양하게 요구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노드의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44) 및/또는 메모리(46))에 저장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는 M2M 노드(30)가 무선 또는 유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신호 코딩, 데이터 처리, 전력 제어, 입력/출력 처리, 및/또는 임의의 다른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브라우저들) 및/또는 무선 액세스 계층(radio access-layer)(RAN) 프로그램들 및/또는 다른 통신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또한 예를 들어 보안 동작들 예컨대 인증, 보안 키 합의, 및/또는 암호 동작들, 예컨대 액세스 계층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2)는 그것의 통신 회로(예를 들어, 송수신기(34) 및 송신/수신 요소(36))에 결합된다. 프로세서(32)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실행을 통해, 노드(30)로 하여금 노드가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게 하기 위해 통신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32)는 본원 및 청구항들에 설명되는 송신 및 수신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c가 그것의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프로세서(32) 및 송수신기(34)를 도시하지만, 프로세서(32) 및 송수신기(34)는 전자 패키지 또는 칩에 함께 통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송신/수신 요소(36)는 M2M 서버들, 게이트웨이들,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다른 M2M 노드들에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다른 M2M 노드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36)는 RF 신호들을 송신하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송신/수신 요소(36)는 다양한 네트워크들 및 에어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WLAN, WPAN, 셀룰러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36)는 예를 들어 IR, UV, 또는 가시 광 신호들을 송신하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이미터/검출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수신 요소(36)는 RF 및 광 신호들 둘 다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수신 요소(36)는 무선 또는 유선 신호들의 임의의 조합을 송신하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송신/수신 요소(36)이 단일 요소로서 도 22c에 도시되지만, M2M 노드(30)는 임의의 수의 송신/수신 요소들(36)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M2M 노드(30)는 MIMO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M2M 노드(30)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2개 이상의 송신/수신 요소들(36)(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34)는 송신/수신 요소(36)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변조하고 송신/수신 요소(36)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M2M 노드(30)는 멀티 모드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34)는 예를 들어 M2M 노드(30)가 다수의 RAT들, 예컨대 UTRA 및 IEEE 802.11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메모리, 예컨대 비제거식 메모리(44) 및/또는 제거식 메모리(46)로부터 정보에 액세스하고, 이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것의 메모리에 세션 맥락을 저장할 수 있다. 비제거식 메모리(44)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식 메모리(46)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SIM) 카드, 메모리 스틱,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SD)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2)는 M2M 노드(30), 예컨대 서버 또는 홈 컴퓨터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액세스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M2M 서비스 계층 세션 이송 또는 공유의 상태를 반영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거나 노드의 세션 이송 또는 공유 능력들 또는 설정들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기들(42) 상에서 조명 패턴들, 이미지들, 또는 컬러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세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 개시내용은 oneM2M 실시예에서 레스트풀 사용자/애플리케이션 API를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본원에 설명되는 기본 서비스 계층 세션 기능성을 통해, E2E 세션, 또는 그것의 이송 또는 공유를 상호작용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API의 위에 계층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전력 소스(48)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전력을 M2M 노드(30)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분배하고 및/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소스(48)는 M2M 노드(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스(48)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 셀 배터리들(예를 들어, 니켈-카드뮴(NiCd), 니켈-아연(NiZn), 니켈 금속 수소화물(NiMH), 리튬-이온(Li-ion) 등), 태양 전지들, 연료 전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또한 GPS 칩셋(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칩셋은 M2M 노드(3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경도 및 위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M2M 노드(30)는 일 실시예와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임의의 적절한 위치 결정 방법을 통해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프로세서(32)는 다른 주변 장치들(52)에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주변 장치들은 부가 특징들, 기능성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들(52)은 가속도계, 전자 나침반, 위성 송수신기, 센서, 디지털 카메라(사진들 또는 비디오를 위함),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포트, 진동 디바이스, 텔레비전 송수신기, 핸즈 프리 헤드셋, Bluetooth® 모듈,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ed)(FM) 무선 유닛,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d는 또한 M2M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 예컨대 M2M 서버,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또는 다른 노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컴퓨팅 시스템(90)의 블록도이다. 컴퓨팅 시스템(90)은 컴퓨터 또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 명령어들은 소프트웨어가 어디에, 또는 어떤 수단에 의해 저장되거나 액세스되는 간에, 소프트웨어의 형태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90)은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을 실행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90)은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게이트웨이, UE/GW 또는 모바일 케어 네트워크의 노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노드들, 서비스 계층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제공자, 단말 디바이스(18) 또는 M2M 게이트웨이 디바이스(14)일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은 컴퓨팅 시스템(90)이 작업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 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91) 내에 실행될 수 있다. 많은 공지된 워크스테이션들, 서버들, 및 개인용 컴퓨터들에서, 중앙 처리 유닛(91)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칭해지는 단일 칩 CPU에 의해 구현된다. 다른 머신들에서, 중앙 처리 유닛(91)은 다수의 프로세서들 포함할 수 있다. 코프로세서(81)는 부가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CPU(91)를 원조하는, 메인 CPU(91)와 구별되는 임의적 프로세서이다. CPU(91) 및/또는 코프로세서(81)는 세션 크리덴셜들을 수신하거나 세션 크리덴셜들에 기초하여 인증하는 것과 같이, E2E M2M 서비스 계층 세션들에 대한 개시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발생시키고, 처리할 수 있다.
동작에서, CPU(91)는 명령어들을 인출하고, 디코딩하고, 실행하며, 컴퓨터의 메인 데이터 전송 경로, 즉 시스템 버스(80)를 통해 다른 자원들로 그리고 이 자원들로부터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한 시스템 버스는 컴퓨팅 시스템(90) 내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데이터 교환을 위한 매체를 정의한다. 시스템 버스(80)는 전형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라인들, 어드레스를 송신하는 어드레스 라인들, 및 인터럽트들을 송신하고 시스템 버스를 동작시키는 제어 라인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시스템 버스(80)의 일 예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PCI) 버스이다.
시스템 버스(80)에 결합되는 메모리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82) 및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ROM)(93)를 포함한다. 그러한 메모리들은 정보가 저장되고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ROM들(93)은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수정될 수 없는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RAM(82)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CPU(91) 또는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판독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RAM(82) 및/또는 ROM(93)에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9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92)는 명령어들이 실행됨에 따라 가상 어드레스들을 물리 어드레스들로 변환하는 어드레스 변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92)는 또한 시스템 내에서 프로세스들을 분리하고 사용자 프로세스들로부터 시스템 프로세스들을 분리하는 메모리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그 자체의 프로세스 가상 어드레스 공간에 의해 매핑되는 메모리에만 액세스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들 간에 메모리 공유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다른 프로세스의 가상 어드레스 공간 내의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없다.
게다가, 컴퓨팅 시스템(90)은 명령어들을 CPU(91)로부터 주변 장치들, 예컨대 프린터(94), 키보드(84), 마우스(95), 및 디스크 드라이브(85)로 전달할 책임이 있는 주변 장치 컨트롤러(8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96)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86)는 컴퓨팅 시스템(90)에 발생되는 시각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시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스, 애니메이션된 그래픽스, 및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는 CRT 기반 비디어 디스플레이, LCD 기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가스 플라즈마 기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96)는 디스플레이(86)에 송신되는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요구되는 전자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컴퓨팅 시스템(90)은 컴퓨팅 시스템(90)가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컴퓨팅 시스템(90)을 외부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도 22a 및 도 22b의 네트워크(12)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97)와 같은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는 최종 사용자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것으 핸드헬드 전화, 이동 광대역 어댑터가 구비된 랩톱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도 22a 내지 도 22b의 M2M 단말 디바이스(18) 또는 도 22c의 디바이스(30)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 중 어느 것 또는 모든 것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즉,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M2M 서버,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여, M2M 네트워크의 노드와 같은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본원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고 및/또는 구현한다는 점이 이해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 UE, UE/GW, 또는 이동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들, 서비스 계층 또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제공자 중 어느 것의 동작들을 포함하여, 본원에 설명되는 중 단계들, 동작들 또는 기능들 중 어느 것은 그러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논리 엔티티들 예컨대 PCRF(702, 914 및 1908), MTC-IWF(704), PCEF(706, 912 및 2002), 과금 엔티티(916), 3GPP CN(910), SD-CS(602), SD-ODS(608), SD-OFCS(606), SD-CTF(610, 1302 및 1902), SD-CCF(1102), M2M 애플리케이션(1108), 과금 SC(1202), 서비스 과금 및 회계 CSF(1604),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CSF(1606), 3GPP CN(1906), 서비스 계층(904, 1600, 1904), ACC(2104), 서비스 노출 구성요소(2104), UE(906)에서의 로직 및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인터페이스들(2302 및 2304)을 생성하는 로직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정보의 저장을 위해 임의의 비일시적(즉, 유형 또는 물리)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제거식 및 비제거식 매체들 둘 다를 포함하지만,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신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들(digital versatile disks)(DVD)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 또는 물리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발명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시에, 특정 전문용어는 명료성을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청구된 발명 대상은 그렇게 선택된 특정 전문용어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각각의 특정 요소는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적 균등물들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기재된 설명은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개시하고, 또한 본 기술분야의 임의의 통상의 기술자가 임의의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을 제조하고 이용하는 것 및 임의의 통합된 방법들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가능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떠오르는 다른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예들은 청구항들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다르지 않은 요소들을 가지면, 또는 청구항들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실질적인 차이들이 없는 등가 요소들을 포함하면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Claims (17)

  1.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계층 내의 노드에서, 상관 이벤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의 결과로서 상관 이벤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계층에서 과금 운영들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과금 정책 트리거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과금 이벤트 트리거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이벤트 트리거는 상기 서비스 계층이 상기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 레코드를 갱신하거나 서비스 계층 과금 운영들을 갱신하는 표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설정은 과금 상관 규칙에 대응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도메인 - 과금 상관 기능(SD- CCF)은 상기 트리거의 설정을 개시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D-CCF는 과금 상관 규칙을 관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상관 규칙은 상기 트리거의 설정 및 상기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법을 표시하는, 방법.
  9. 장치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계층 내의 과금 운영들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메모리; 및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상관 이벤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를 제공하고,
    상기 트리거의 결과로서 상기 상관 이벤트들을 수신하며,
    상기 상관 이벤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계층에서 상기 과금 운영들을 갱신하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일시적인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됨 - 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과금 정책 트리거인,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과금 이벤트 트리거인, 노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이벤트 트리거는 상기 서비스 계층이 상기 서비스 계층 과금 정보 레코드를 갱신하거나 서비스 계층 과금 운영들을 갱신하는 표시인, 노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설정은 과금 상관 규칙에 대응하는, 노드.
  14. 제9항에 있어서,
    서비스 도메인 - 과금 상관 기능(SD- CCF)은 상기 트리거의 설정을 개시하는, 노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D-CCF는 과금 상관 규칙을 관리하는, 노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상관 규칙은 상기 트리거의 설정 및 상기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수행하는 법을 표시하는, 노드.
  17. 장치로서,
    상관 이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메모리; 및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에 위치한 트리거를 식별하고,
    상기 트리거를 이용하여 상기 상관 이벤트들을 생성하며,
    상기 트리거의 결과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서비스 계층에 상기 상관 이벤트들을 송신하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일시적인 메모리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됨 - 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87024783A 2014-10-28 2015-10-27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20180099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9464P 2014-10-28 2014-10-28
US62/069,464 2014-10-28
PCT/US2015/057528 WO2016069571A1 (en) 2014-10-28 2015-10-27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rvice layer charging correlation with underlying network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137A Division KR101894919B1 (ko) 2014-10-28 2015-10-27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30A true KR20180099930A (ko) 2018-09-05

Family

ID=54541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783A KR20180099930A (ko) 2014-10-28 2015-10-27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77014137A KR101894919B1 (ko) 2014-10-28 2015-10-27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137A KR101894919B1 (ko) 2014-10-28 2015-10-27 기본 네트워크들과의 서비스 계층 과금 상관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992820B2 (ko)
EP (2) EP3883181A1 (ko)
JP (1) JP6511520B2 (ko)
KR (2) KR20180099930A (ko)
CN (2) CN107969169B (ko)
WO (1) WO2016069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0450B2 (en) * 2016-06-30 2021-11-30 Intel Corporation System to monitor and control data in a network
CN107819590B (zh) * 2016-09-14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计费的方法、装置和系统
CN109997334B (zh) * 2016-10-06 2022-08-09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具有用于3gpp网络中物联网应用的间接连接的中继和收费的会话管理
CN113037513B (zh) 2017-01-05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计费管理方法、用户面功能实体以及控制面功能实体
CN109391915B (zh) * 2017-08-14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cups协议的离线计费话单阈值控制方法及系统
US10797894B2 (en) * 2017-12-28 2020-10-06 Ofinno, Llc Service type and device type-based policy and charging control
CN110417560B (zh) * 2018-04-28 2023-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计费的方法、装置及系统
US11039018B2 (en) 2018-09-13 2021-06-15 Ofinno, Llc Charging control with SMF and PCF
CN111148076B (zh) 2018-11-05 2023-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api发布方法及装置
CN111367199B (zh) * 2018-12-26 2021-04-06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基于rest函数封装的数字量仪表组态方法
EP4122159A4 (en) * 2020-03-17 2023-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LOADING USING MANAGEMENT INFORMATION
JP7242954B1 (ja) 2022-09-27 2023-03-20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242953B1 (ja) 2022-09-27 2023-03-20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3732B2 (en) * 2002-07-10 2014-12-16 Blake Bookstaff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rectory assistance to erroneous telephone calls via wearable devices
CN1303781C (zh) * 2004-04-01 2007-03-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组数据业务的计费控制方法
CN1260910C (zh) * 2004-08-11 2006-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分组数据流计费触发事件和重授权事件的处理方法
CN100395983C (zh) * 2006-02-27 2008-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计费系统和计费方法
CN101455064B (zh) 2006-05-26 2015-04-15 特尔科迪亚许可公司有限公司 在用于电信网络的实时收费系统中实现的灵活定费规则和日历规则
CN101453339B (zh) * 2006-11-20 201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融合策略计费控制架构的系统及处理方法
CN101360004B (zh) * 2007-07-30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融合策略与计费控制构架的服务质量映射方法、系统及设备
US10248996B2 (en) * 2009-01-28 2019-04-02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end-user device mobile payment agent
CN101945368A (zh) * 2009-07-06 2011-01-12 华为技术有限公司 群组计费方法、计费处理装置以及通信系统
CN101945367A (zh) * 2009-07-08 2011-0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演进分组系统的计费方法及装置
CN102006185A (zh) 2010-11-15 2011-04-0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物联网终端计费查询方法和物联网终端计费查询系统
WO2012145902A1 (en) 2011-04-27 2012-11-01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qos and/or policy and charging control of a guest user
US8989091B2 (en) * 2011-07-15 2015-03-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enablement of M2M services over 3GPP access networks
KR20130016613A (ko) * 2011-08-08 2013-02-18 주식회사 케이티 Ims 네트워크에서 mtc 디바이스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338306B2 (en) 2011-10-28 2016-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cessing usage information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KR20130049130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케이티 기계 형태 통신 단말의 트리거링을 위한 서버 및 방법
EP2608567A1 (en) * 2011-12-13 2013-06-26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triggering and congestion control
US20130265937A1 (en) * 2012-04-09 2013-10-10 Puneet Ja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via non-access stratum layer
CN103428666A (zh) * 2012-05-24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计费的方法及装置
GB2503056A (en) * 2012-06-15 2013-12-18 Aquamw Llp Technical platform
US9490990B2 (en) 2012-06-22 2016-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event data recording
WO2014018425A2 (en) * 2012-07-21 2014-01-30 Headwater Partners I Llc Virtualized policy & charging system
EP2701414B1 (en) * 2012-08-22 2015-10-07 BlackBerry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s-based soft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9392571B2 (en) * 2013-06-12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in M2M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883400B2 (en) * 2013-11-08 2018-0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in M2M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50063906A (ko) * 2013-11-29 2015-06-10 주식회사 케이티 M2m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796922B (zh) * 2014-01-22 2019-07-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se的触发管理方法及装置、cse、承载网网元
US10194469B2 (en) * 2014-02-10 2019-01-29 Zte Corporation Enabling different device triggering aspects in a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CN104104713B (zh) * 2014-02-24 2018-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触发消息处理方法、承载网网元、m2m节点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919B1 (ko) 2018-09-05
EP3883181A1 (en) 2021-09-22
EP3213535A1 (en) 2017-09-06
WO2016069571A1 (en) 2016-05-06
EP3213535B1 (en) 2021-07-21
CN113691949A (zh) 2021-11-23
CN107969169A (zh) 2018-04-27
US20210258431A1 (en) 2021-08-19
US20170339282A1 (en) 2017-11-23
US10992820B2 (en) 2021-04-27
KR20170077172A (ko) 2017-07-05
CN107969169B (zh) 2021-09-10
JP6511520B2 (ja) 2019-05-15
JP2017538332A (ja) 2017-12-21
US11601555B2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55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rvice layer charging correlation with underlying networks
US11277522B2 (en) Service domain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EP3085165B1 (en) Selection of a radio network for toll-free applications
KR20170094333A (ko) Iswn(integrated small cell/wi-fi networks)에서의 과금
US11503442B2 (en) Methods of enabling flexible charging in M2M IoT service layer
OA18002A (en) Application based selection of a radio network for toll-free applications.
OA18992A (en) Method to push toll-free applications to a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