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84A -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84A
KR20180099384A KR1020170026787A KR20170026787A KR20180099384A KR 20180099384 A KR20180099384 A KR 20180099384A KR 1020170026787 A KR1020170026787 A KR 1020170026787A KR 20170026787 A KR20170026787 A KR 20170026787A KR 20180099384 A KR20180099384 A KR 2018009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purchaser
perfume
aroma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729B1 (ko
Inventor
이다영
고가연
고보라
김예지
정세연
조은지
최혜원
김은자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7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1Detecting or monitoring allergy or intolerance reactions to an allergenic agent or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자의 맞춤형으로 아로마 향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밀폐 가능한 공간에 주문자를 수용 가능한 챔버; 선택된 향수원료의 향을 챔버의 공간에 분사하는 분사수단; 분사된 향에 반응하는 주문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분사수단과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주문자에 대한 최적 향을 도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중소규모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벤자롱 아로마 원료를 배합한 샘플을 이용하여 개별 고객의 잠재의식에 맞는 향수 제품으로 생성하므로 관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aroma perfume}
본 발명은 아로마 향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벤자롱 아로마 원료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잠재의식 향을 생성하기 위한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전적으로 아로마는 허브를 채취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가공한 상태를 의미하며, 고대로부터 향기치료의 하나로 사용되어 왔고 오늘날에는 여성의 미용을 위한 화장품은 물론 방향제, 약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아로마의 순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대기업에 의한 고비용 개발과 별도로 소규모 창업자 개발에 의한 대중화가 절실하다. 이는 많은 설비가 소요되는 향수의 원천기술보다는 저비용으로 향수 물질을 활용하는 응용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6015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02160호(선행문헌 2) 등의 선행특허가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향저장부로부터 향액을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향공급부, 분사된 향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향가열부, 향가열부에 의해 기화된 향을 외부로 배출하는 발향챔버 및, 향공급부 및 향가열부를 제어하여 원하는 향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현된다. 이에, 컴퓨터 사용자가 충실한 현실감을 느끼고 내용을 사실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향분사유니트, 공기공급펌프, 데이터베이스, 타이머, 제어기로 구성되고, 향을 만들기 위해 조합해야 할 원인향의 종류, 농도 및 발현조건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이를 토대로 원인향들을 소정량 증발시켜 공기와 혼합한 후 혼합된 기체를 피험자에게 압력차에 따라 밀어내므로써, 원하는 향이 정확한 농도로 피험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소비자의 잠재의식에 부합되는 맞춤형 향수를 생성하기에 한계성을 드러내어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낮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6015호 "컴퓨터용 향발현장치" (공개일자 : 2001.03.05.)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02160호 "향발현 장치 및 방법" (공개일자 : 2000.05.06.)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소규모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벤자롱 아로마 원료를 배합한 샘플을 이용하여 개별 고객의 잠재의식에 맞는 향수 제품으로 생성하기 위한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문자의 맞춤형으로 아로마 향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밀폐 가능한 공간에 주문자를 수용 가능한 챔버; 선택된 향수원료의 향을 챔버의 공간에 분사하는 분사수단; 분사된 향에 반응하는 주문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분사수단과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주문자에 대한 최적 향을 도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사수단은 향수원료의 디퓨저가 복수로 개방되는 경우 댐퍼에서 일시 대기하여 혼합 상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검출수단은 주문자의 알러지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알레르기검출기, 주문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심박검출기, 주문자의 뇌파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뇌파검출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소규모 사업장 등에서 다양한 벤자롱 아로마 원료를 배합한 샘플을 이용하여 개별 고객의 잠재의식에 맞는 향수 제품으로 생성하므로 관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문자의 맞춤형으로 아로마 향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특히 개별 주문자(고객)이 인지하는 향수는 물론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의식에 맞는 향수도 제공한다. 가장 보편적인 아로마 향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가능한 공간에 주문자를 수용 가능한 챔버(10)를 구비한다. 챔버(10)는 한 명의 주문자가 착석할 정도의 밀폐된 공간을 지니면 충분하다. 챔버(10)가 커지면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 소정의 작동에 요하는 시간도 길어진다. 챔버(10) 상에는 급기구(11)와 배기구(12)가 설치되고, 그 중의 적어도 하나에 환기팬(13)이 구비된다. 급기구(11)는 정화시킨 외기에 향을 부가하여 챔버(10)로 공급하는 경로이고, 배기구(12)는 주문자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된 향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이다.
한편, 챔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15)는 현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외에 테스트 중 안정적 심리상태를 유지하도록 영상을 제공한다. 모니터(15)는 터치스크린이 선호되며, 음향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수단이 선택된 향수원료(21)의 향을 챔버(10)의 공간에 분사하는 구조이다. 향수원료(21)의 선택은 후술하는 제어기(42)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된다. 다수의 향수원료(21)는 각각의 용기에 디퓨저(23)와 함께 설치된다. 디퓨저(23)는 제어기(42)의 전기적 신호로 향을 분사하는 전동밸브(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에 디퓨저(23)의 개방으로 발산된 향은 급기구(11)를 통하여 주문자에게 제공된다.
아로마 기반의 향수원료(21)는 레몬(Lemon), 티트리(Tea Tree), 화이트캄포(White Camphor), 카제풋(Cajeput), 불가리안라벤더(Bulgarian Lavender), 카모마일저먼블루(Chamomile German Blue), 카모마일로만(Chamomile Roman), 제라늄(Geranium), 페넬스위트(Fennel Sweet), 로즈마리(Rosemary),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미르(Myrrh), 넛메그(Nutmdg), 패츌리(Patchouli), 리틀아보카드(L-Avocado), 리틀조조바(L-Jojoba), 리틀윗점(L-Wheatgerm), 리틀하이페리쿰(L-St. Jones Wor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향수원료(21)는 챔버(10)의 설정된 공간에서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하도록 통합적 또는 분할적으로 보관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분사수단은 향수원료(21)의 디퓨저(23)가 복수로 개방되는 경우 댐퍼(25)에서 일시 대기하여 혼합 상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판중인 향수원료(21)를 기반으로 새로운 향을 찾고자 한다면 2개 이상을 향을 혼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급기구(11)의 경로 상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복수의 디퓨저(23)를 통하여 분사된 향을 일시 저장한다. 이러한 공간에는 혼합용 팬(도시 생략)을 설치할 수 있으며, 향의 혼합이 완료된 후에는 댐퍼(25)를 개방하여 주문자에게 분사한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급기구(11) 상에 향을 포집하는 지퍼백을 설치하면 다수의 향을 반복적으로 비교하며 판단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수단이 분사된 향에 반응하는 주문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구조이다. 주문자의 잠재의식은 터치스크린 모니터(15) 등을 통한 수동입력으로 판단될 수도 있으나, 주문자가 의식하지 않는 상태라도 별도의 검출수단을 통하여 감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검출수단은 주문자의 알러지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알레르기검출기(32), 주문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심박검출기(34), 주문자의 뇌파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뇌파검출기(36)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레르기검출기(32)는 향수원료(21)의 혼합된 향에서 알레르기 물질을 검출하거나 주문자의 피부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알레르기검출기(32)의 예로서, SAW(surface acoustic wave :표면탄성파) 센서, 진단용 단백질 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심박검출기(34)는 광전용적맥파(photo-plethysmogram :PPG) 센서, 반도체형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주문자의 맥박과 관련된 신호를 검출한다. 전자의 경우 심박수에 더하여 심박변동에 의한 스트레스 감지가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맥박의 강도로 혈압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뇌파검출기(36)는 두피의 전두엽(Fz) 영역에 뇌파센서를 부착하여 쎄타파 신호를 검출한다. 4~8Hz 주파수범위에서 검출되는 세타파로 잠재의식과 관련된 활성도(에너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주문자의 후두엽이나 여타 부위에 대한 신호 검출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검출수단의 알레르기검출기(32), 심박검출기(34), 뇌파검출기(36)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레르기검출기(32)와 심박검출기(34)는 시계 형태로 형성하여 주문자의 팔에 착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이 상기 분사수단과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주문자에 대한 최적 향을 도출하는 구조를 지닌다.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PC 기반의 제어기(42)를 기반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42)의 입력인터페이스에 알레르기검출기(32), 심박검출기(34), 뇌파검출기(36)가 연결되고, 출력인터페이스의 구동기(45)에 환기팬(13), 디퓨저(23), 댐퍼(25)가 연결된다.
작동의 일예로서, 우선 모니터(15) 등을 통하여 주문자가 선호하지 않는 향수(향)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기(42)는 비선호 향을 제외한 나머지 향을 설정된 순서로 생성하여 급기구(11)로 보내고, 이 과정에서 검출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잠재의식 상 최적의 샘플그룹 및 샘플을 선정한다. 물론 제어기(42)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와 연계하여 보편적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샘플그룹을 압축할 수 있다. 알레르기검출기(32)의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샘플그룹을 압축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챔버 11: 급기구
12: 배기구 13: 환기팬
15: 모니터 21: 향수원료
23: 디퓨저 25: 댐퍼
32: 알레르기검출기 34: 심박검출기
36: 뇌파검출기 42: 제어기
45: 구동기

Claims (3)

  1. 주문자의 맞춤형으로 아로마 향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밀폐 가능한 공간에 주문자를 수용 가능한 챔버(10);
    선택된 향수원료(21)의 향을 챔버(10)의 공간에 분사하는 분사수단;
    분사된 향에 반응하는 주문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분사수단과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주문자에 대한 최적 향을 도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향수원료(21)의 디퓨저(23)가 복수로 개방되는 경우 댐퍼(25)에서 일시 대기하여 혼합 상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주문자의 알러지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알레르기검출기(32), 주문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심박검출기(34), 주문자의 뇌파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뇌파검출기(36)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KR1020170026787A 2017-02-28 2017-02-28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KR10191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87A KR101913729B1 (ko) 2017-02-28 2017-02-28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87A KR101913729B1 (ko) 2017-02-28 2017-02-28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84A true KR20180099384A (ko) 2018-09-05
KR101913729B1 KR101913729B1 (ko) 2018-11-01

Family

ID=6359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787A KR101913729B1 (ko) 2017-02-28 2017-02-28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2212A1 (en) 2019-01-03 2020-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ized skin care system
KR20220010087A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센트프로 택시 맞춤형 향기 제공 시스템
KR20220036150A (ko)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센트프로 실시간 향기 조성물 제조 장치
KR102618637B1 (ko) 2023-06-07 2023-12-27 김민성 일관된 블랜딩을 제공하는 디퓨저 조성물을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015A (ko) 2000-09-26 2001-03-05 최중호 컴퓨터용 향발현장치
KR100302160B1 (ko) 1999-10-29 2001-09-22 최중호 향발현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011B1 (ko) 1997-05-13 2000-04-15 김남균 멀티미디어의 향발생 시스템
US20070258849A1 (en) 2006-05-06 2007-11-08 Kent Carl E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aroma delivery instructions and recording over the internet
FR2939000B1 (fr) 2008-11-24 2012-10-26 Oreal Procede de fabrication de parfum au sein d'un systeme comportant un serveur et au moins deux terminaux interactifs de formulation de parfums
US20120315221A1 (en) 2011-06-13 2012-12-13 Tuck Edward F Human sample match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60B1 (ko) 1999-10-29 2001-09-22 최중호 향발현장치 및 방법
KR20010016015A (ko) 2000-09-26 2001-03-05 최중호 컴퓨터용 향발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729B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729B1 (ko) 맞춤형 아로마 향수 제조장치
US1192585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grating scent into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100309434A1 (en) Fragrance dispenser
Schirmer et al. Squeeze me, but don't tease me: Human and mechanical touch enhance visual attention and emotion discrimination
US11351450B2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generating scent
Masaoka et al. Slow breathing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odor-induced autobiographical memories
Carulli et al. Integrating scents simulation in virtual reality multisensory environment for industrial products evaluation
CN108472451A (zh) 投加装置的设计系统、投加系统、投加装置的设计方法、投加装置的设计程序及医疗装置的设计系统
TW201041603A (en) Fragrance composition having good sleep-inducing effect
Jiang et al. Effect of fragrant primula flowers on physiology and psycholog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n empirical study
Amores et al. Development and study of ezzence: a modular scent wearable to improve wellbeing in home sleep environments
Lawless Effects of odors on mood and behavior: aromatherapy and related effects
US11383053B2 (en) Medical device for olfactory stimulation
CA3155286A1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generating scent
US201701279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a subject undergoing an olfactory stmulation
Cheok et al. Digital smell interface
Tillotson Scentsory design: A “holistic” approach to fashion as a vehicle to deliver emotional well-being
Tillotson Emotionally responsive wearable technology and stress detection for affective disorders
Kullberg et al. Defining Fragrance Allergy in the Contact Allergen Management Program
WO2022225011A1 (ja) 腸活動調整装置、腸活動調整システム、及び腸活動調整プログラム
Wu et al. The impact of landscape plant fragrance on emotion and brain responses
WO2019087669A1 (ja) ディスペンサ
Holloman Intelliscents: Towards an Affective Olfactory Display
Carulli et al. A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Odours on the Users’ Evaluation of Industrial Products
Valisetty Designing for Olfactory: Research and Design of an Olfactory Interface, Wearable Notifi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