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24A -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24A
KR20180099324A KR1020170026631A KR20170026631A KR20180099324A KR 20180099324 A KR20180099324 A KR 20180099324A KR 1020170026631 A KR1020170026631 A KR 1020170026631A KR 20170026631 A KR20170026631 A KR 20170026631A KR 20180099324 A KR20180099324 A KR 20180099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information
beacon signal
terminal
scan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4009B1 (en
Inventor
김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텍스
Priority to KR102017002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09B1/en
Publication of KR2018009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1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martphone and comparing the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attendance information to manage atten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student terminal of a student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and a scanning device provided in every classroom to scan the beacon signal, reading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from the detected beacon signal, and managing attendance according to whether pre-stored attendance table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Description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a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비콘 신호를 검출하면,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학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출석부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출석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o a system for managing attendance by comparing information and pre-stored attendance information.

초고속 인터넷 및 무선통신 인프라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공유 및 위치인증이 가능하게 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확대와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교육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formation sharing and location authentication using a network can be made anytime and anywhere. As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the activation of services are increasing,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also required to be changed.

이에 따라 강의실에서는 iCT 기술을 활용하는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기존 호명을 통하여 출석을 체크하던 방식에서 나아가 iCT 기술을 활용하여 출석을 관리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As a result, the classroom is being transformed into an education that utilizes iCT technology, and a method of managing attendance by using iCT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hecking attendance through the existing name is being developed.

웹 기반 출석 시스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Bluetooth/RFID) 기반 출석 시스템 등과 같은 전산화된 출석 관리 서비스는 기존의 구두 출석 확인으로 인해 낭비되는 수업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강사-학생 간 출석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출석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omputerized attendance management services such as web-based attendance system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 RFID) attendance system efficiently manage wasted class time due to existing verbal attendance confirmation and share instructor-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ttendance information.

하지만 기존 출석 관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비콘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출결하는 방식의 경우,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 음영지역 존재 시 출석확인 불가, 중도 이탈에 대한 해결방안 미비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existing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smartphone receives a signal such as a beacon and the lik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smartphone, the attendance can not be confirmed when there is a shadow area,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2818호("와이파이 비콘 시그널을 이용한 출결 시스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42818 ("Wi-Fi beacon signaling system for attend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이 비콘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출결하는 방식의 문제점인 스마트폰이 비콘 신호를 스캐닝 하는 데에 불가피한 높은 배터리 전력 소모, 음영 지역 존재 시 출석확인이 어려운 문제, 중도 이탈에 대한 해결 방안 미비 등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스캐닝하여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출석부 정보와 비교하여 출결을 관리함으로써 출석 관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of a method in which a smartphone receives a signal such as a beacon and arrives and a high battery power consumption inevitably required for a smart phone to scan a beacon signal,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is scanned by a scanning device provided in the classroom to solve the problem of a solution to the sudden departure from the smartphone, and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is checked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And compares it with pre-stored attendance information to manage attendance to improve efficiency of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은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학생의 학생 단말 및 강의실마다 구비되어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고, 검출된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독출하여, 미리 저장된 출석부 테이블 정보와 비교를 통한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한다.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beacon signal for each of a student terminal and a classroom of a student sending a beacon signal,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from the detected beacon signal, And a scanning device for managing the attendan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ored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stored attendee tabl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은,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비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managing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student terminal of a student by scanning a beacon signal in a classroom;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beacon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canning device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and the stud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 기록/관리 출석부를 온라인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강사나 학생이 실시간으로 출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기술은 학생 단말을 통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하는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이 실행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학생 단말의 데이터를 소모해야 하는 비용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학생 단말이 비콘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비콘 신호를 스캐닝 하는 데에 높은 전력 소모가 불가피했으나, 본 발명은 학생 단말이 출석을 위해서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이 매우 높아지고, 학생 단말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소모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line recording / management attendance unit is switched to the online system so that the lecturer or the student can confirm the attendance status in real time. In the existing technology,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has to be performed in a way of directly communicating with a server through a student terminal. In some cases, there has been a cost difficulty in consuming data of the student terminal, High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to scan a beacon signal.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only a beac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student terminal, power efficiency becomes very high and a student terminal needs to establish a direct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There is no need for data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시나리오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학생의 중도 이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of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student's devi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means employ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utlined.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IoT(Internet of Things) 응용 서비스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비콘 기술 기반의 다양한 센싱 정보를 이용한 IoT 서비스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Bluetooth 4.0)을 기반으로 하는 비콘의 경우 인식 거리 약 50m, 측위 오차 5cm 이내의 특성을 가지며,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높아 무선 스마트 단말에 최적화된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Recently, IoT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service technology research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ctively being studied. Especially, IoT service market using various sensing information based on beacon technology is expected to grow rapidly. Beacon based on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4.0) has characteristics of within about 50m of recognition distance and 5cm of positioning error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technology optimized for wireless smart terminal because energy efficiency is very high.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출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 기반의 스마트 수업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스마트 수업 관리 시스템은 학생의 스마트 단말들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 단말들의 비콘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학생의 위치, 학생 단말의 단말식별정보와 같은 단말식별정보를 수집하여 학생 단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한 인증을 통해 학생들의 출결을 관리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eacon-based smart class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an efficient attendance management service. The smart class management system transmits the beacon signal to the smart terminals of the student,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s is detected by scanning the beacon signal in the classroom, and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Such a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and manages the attendance of the students through authentication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또한, 강사 및 학생이 실시간으로 출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스마트 수업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며, 목적 및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강사용과 학생용을 각각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provide students with lectures and students in order to reflect purpose and characteristics by using a smart class management application that enables lecturers and students to check attendance information in real tim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시나리오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enario of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100)은 학생 단말(110) 및 스캐닝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udent terminal 110 and a scanning device 130.

학생 단말(11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출결을 위해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학생 단말(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비콘신호를 송출 가능한 전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태블릿 PC, 학생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The student terminal 110 activates the Bluetooth module to send out a beacon signal for a visi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tudent terminal 110 can be applied to any electronic device that can carry a Bluetooth function and send a beacon signal.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wearable device, a notebook, a tablet PC, and a student terminal, or an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a beacon signal may be employed.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에 하나로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에서 100미터 범위 안의 각종 전자, 정보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는 기술 규격을 말한다. 블루투스 비콘은 비콘 신호를 반경 내에 무작위로 뿌리고, 이때 비콘 신호는 그 비콘의 고유한 메시지를 의미한다.Bluetooth is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refers to a technical standard for wirelessly connecting and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radius of 10 to 100 meters using 2.45 GHz frequency. A Bluetooth beacon randomly sprays a beacon signal within a radius, where the beacon signal is a unique message of the beacon.

학생 단말(110)로서 스마트 폰을 채용한 경우라면,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먼저, 학생 스마트폰이 출결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미리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은 강의 시간표에 따라 수업 시작 시간 전후로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학생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되게 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이후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블루투스를 자동 턴오프시켜 비콘 신호의 송출을 멈출 수도 있다.If a smart phone is employed as the student terminal 110, in order to transmit a beacon signal, the student smartphone first downloads and installs the student applic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nd the student application The beac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student smart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before or after the start time of the class.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beacon signal can be stopped by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tudent application.

이를 위해 학생의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블루투스 턴온/턴오프가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스캐닝 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특정 비콘 신호를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출결 확인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o do this, the student's smartphone includes a Bluetooth modul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can be set to control Bluetooth turn-on / turn-off by the student application, and can emit a specific beacon signal that the scanning device can receive , The Bluetooth function for confirming real-time attendance can be kept active.

본 발명의 학생 단말(110)은 강의에 출석하기 위해 블루투스를 통한 비콘 신호 송출만을 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보다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와이파이, 3G, 4G 등의 연결 불량 또는 통신 음영지역과 무관하게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만으로도 출석을 알릴 수 있다.Since the student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has to transmit a beacon signal via Bluetooth to attend a lecture, battery consumption of the smartphon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connection failure such as Wi-Fi, 3G, It is possible to announce attendance by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beacon signal irrespective of area.

아울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학생 단말(110)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스캐닝 장치(130)가 검출하는 설정을 통해서는 학생 중도 이탈에 대한 해결 방안 미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that the student terminal 110 sends a beacon signal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the scanning device 130 detects the inadequate solution to the student departure can be solved.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강의실마다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캐닝 장치들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스캐닝 장치마다 학생 단말들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어느 학생 단말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 서로 다른 강의실의 스캐닝 장치들로부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학생의 이탈을 확정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세기가 감소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학생의 이탈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scanning devices provided in different classrooms are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each of the scanning devices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s is less than a reference intens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ignal strength of a certain student termina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the order in which the signal strengths are reduced from the scanning apparatuses in different classrooms is determined, and the departure of the studen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Alternative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intensity is decreased may be determined to determine the departure path of the student.

구체적으로, 스캐닝 장치(130)는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110)의 단말식별정보를 학생 단말(110)의 정보로서 수집한다. 즉, 학생 단말(110)의 고유 식별정보로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한다. Specifically, the scanning device 130 collec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as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That i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그리고 학생 식별을 위하여 최초에 학생의 학생 단말(110)의 단말식별정보는 스캐닝 장치(13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학생 개인정보로서 학생의 이름, 성별, 학번, 전화번호 등의 정보와, 단말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tuden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of the student may be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canning device 130 for the first time. At this time, information such as student's name, sex, student number, telephone number,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additionally registered,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as student personal information.

학생의 학생 단말과의 통신 주체가 서버가 아닌 강의실마다 구비된 스캐닝 장치(130)가 됨에 따라, 학생 단말의 통신(와이파이, 3G, 4G 등)이 어려운 음영 지역이나 학생 단말의 데이터 사용 가능 여부에 상관없이 출석 관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communication subject with the student terminal of the student becomes the scanning device 130 provided in the classroom rather than the server, the data availability of the student terminal in the shaded area or the student terminal in which communic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Wi-Fi, 3G, 4G, etc.) Attendance management service can be implemented regardless.

스캐닝 장치(130)와 더불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는 각 강의에 대한 수업명, 수업시간, 담당 강사, 강의 장소, 수강생, 수업 출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각 수업 수강자들의 신상정보, 단말 식별정보, 수업 신청 정보, 수업 출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학생 관련 정보가 저장된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atabase provided together with the scanning device 130 includes a class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a class name for each lecture, a class time, a lecturer, a lecture place, a learner,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A student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stud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lass application information, class attend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is stored.

스캐닝 장치(130)는 미리 학생 단말(110)로부터 수업 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데, 이때 수업 신청 정보는 학생 단말 식별정보, 학생 식별정보, 수업 식별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scanning device 130 receives the class appl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udent terminal 110 in advance and registers it in the database. At this time, the class appl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tud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ud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la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한다. The scanning device 130 manages attendance according to whether the beacon sig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udent terminal 110 matches the stud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이를 위해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 학생이 강의에 출석한 것으로 여긴다. For this, the scanning device 130 has a database stor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by mapping the corresponding student information to the scanning device 130. Whe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130, If the same is compared with the stor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student is considered to have attended the lecture.

특히, 스캐닝 장치(130)는 서로 다른 강의실 마다 구비되고, 서로 다른 강의실마다 구비된 스캐닝 장치들은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스캐닝 장치들은 어느 한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 서로 다른 강의실의 스캐닝 장치로부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이탈을 확정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세기가 감소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학생의 이탈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canning device 13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different lecture rooms, and the scanning devices provided for the different lecture rooms are conn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canning devic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signal intensity of a beacon signal .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signal intensity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the order in which the signal intensity is reduced from the scanning apparatuses in different classrooms can be determined, and the departure of the studen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Alternative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intensity is decreased may be determined to determine the departure path of the student.

아울러, 스캐닝 장치(130)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수업의 수업 시간 및 수강자들을 확인하고, 수업 시작 일정 시간 전후에 수업명, 수업 시간 및 수업 장소를 포함하는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푸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거나 푸시 시스템 미적용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이후,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수업 참석 정보가 수신되면, 학생 단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학생의 수업 참석을 체크한다. In addition, the scanning device 130 confirms the class time and attendance of each class registered in the class information database, and transmits the class information including the class name, the class time, and the class plac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before and after the class start tim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class information to the student terminal using the push system or to transmit the text or voice message when the push system is not used. Thereafter, when the class attend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udent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the scanning device 130 checks the class attendance of the student corresponding to the stud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대해 간략히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가 동일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시스템은 다른 실시 예로서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110)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들을 수집하여 출결을 관리하는 외부의 출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의 시스템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scanning device 130 receives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student terminal 110, collects received beacon signals, To an external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이 경우, 스캐닝 장치(130)와 출결 관리 서버(150)는 유,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은 와이파이,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LTE 중 하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canning device 130 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one of Wi-Fi, Wireless LAN (WLAN), Wireless broadband (Wibro),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LTE.

출결 관리 서버는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학생단말(11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스캐닝 장치 고유번호와 연계된 강의실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수강신청 정보와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한다.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attendance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and whether or not the enrollment appl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lassroom database associated with the scanning device unique number coincides with the enrollment application information.

이를 위해 출결 관리 서버는 학생 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 학생이 강의에 출석한 것으로 여긴다. 여기서, 단말식별정보와 함께 학생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학생의 수업 참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database that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by mapping it to the corresponding student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130, If it is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ent attended the lecture. Her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 is attending classes.

즉, 출결 관리 서버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수업의 수업 시간 및 수강자들을 확인하고, 수업 시작 일정 시간 전후에 수업명, 수업 시간 및 수업 장소를 포함하는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푸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거나 푸시 시스템 미적용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이후, 출결 관리 서버는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학생 단말정보를 포함하는 수업 참석 정보가 수신되면, 학생 단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학생의 수업 참석을 체크한다. 또한, 출결 관리 서버는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학생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가 수업 장소인지를 판단하고, 수업 장소인 경우 학생 단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학생의 강의 참석을 체크한다.That i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confirms the class time and attendance of each class registered in the class information database, and transmits the class information including the class name, the class time, and the class plac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before and after the class start tim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class information to the student terminal using the push system or to transmit the text or voice message when the push system is not used. Thereafter,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tudent termi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13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checks attendance of the student corresponding to the stud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tud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13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the class location, and if the location is the class location, Check attendan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검출한다(S410).First, a scanning device provided in a classroom scans a beacon signal to detect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student terminal of a student (S410).

다음으로, 스캐닝 장치가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한다(S420). Next, the scanning device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S420).

다음으로, 스캐닝 장치가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한다(S430). 구체적으로, 스캐닝 장치가 학생 단말 고유의 단말식별정보와,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식별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출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scann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present or not by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matches the stud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S430). Specifically, the scanning device includes a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and a database that is previously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tudent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matches th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By judging,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attend.

아울러, 본 발명은 초기 출결 이후, 학생이 강의실에서 중도 이탈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스캐닝 장치를 통해 학생들의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업 중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수업 시간 중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 beacon signal of a student's terminal of a student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class through a scanning devic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detect that the student is suddenly departed from the classroom after the initial check-in. T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 is suddenly depar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is detected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or after the set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학생의 중도 이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student's devi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학생의 중도 이탈을 검출하는 방법은 먼저, 서로 다른 강의실마다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캐닝 장치들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S510), 스캐닝 장치마다 학생 단말들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어느 학생 단말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S530), 서로 다른 강의실의 스캐닝 장치들로부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한다(S540).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에 따라 학생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550). 그리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학생의 이탈을 확정할 수 있다(S560). 또는, 기준 세기가 감소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학생의 이탈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method of detecting a student's middle depar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t least two scanning devices provided for different classrooms are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5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gnal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S5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signal strength of a certain student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strength (S530), the order of decreasing the signal strength is determined from the scanning devices in different classrooms (S540).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uden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signal intensity is decreased (S550). Then, the departure of the studen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S560). Alternative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intensity is decreased may be determined to determine the departure path of the studen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학생 단말(110)이 출결용 학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하여 설치 실행함으로써 출결관리 서버에 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생 단말(110)이 단말식별정보를 출결 관리 서버(150)로 전송하면(S710), 출결 관리 서버(150)는 단말식별정보와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연동 저장하고(S720), 해당 수업에 관한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한다(S730). First, the student terminal 110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by downloading and executing the student application for attendance, and the student terminal 110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through the student application (S71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interlocks wit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S720),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class to the student terminal 110 (S730).

즉, 출결 관리 서버(150)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수업의 수업 시간 및 수강자들을 확인하고, 수업 시작 일정 시간 전후에 수업명, 수업 시간 및 수업 장소를 포함하는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푸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거나 푸시 시스템 미 적용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confirms the class time and attendance of each class registered in the class information database, and transmits class information including the class name, class time, and class plac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class information to the student terminal using the push system or to transmit the text or voice message when the push system is not applied.

학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S740).The student-specific application may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or executed by the user (S740).

학생 단말(110)의 학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강의 시간표에 따라 수업 시작 시간 전후로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출결용 학생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되게 한다(S750). The student-dedicated applic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causes the beacon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student application for attend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before and after the class start time according to the lecture schedule (S750).

스캐닝 장치(130)는 강의실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비콘 신호를 실시간으로 스캐닝한다(S760).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를 스캐닝하는 데에는 높은 전력 소모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캐닝 장치(130)는 강의실에 구비하여 상시전원 공급을 통해 충분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The scanning device 130 is provided in the classroom and scans the beacon signal in real time in real time (S760). Generally, since high power consumption is inevitable for scanning a wireless signal, the scanning devic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classroom, and sufficient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a constant power supply.

실시간으로 비콘 신호를 스캐닝중인 스캐닝 장치(130)가 중계장치 고유번호(위치확인용)와 비콘 신호를 검출하면(S770),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고(S780) 이를 출결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S790). 학생 단말 정보는 학생 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한다. When the scanning device 130, which is scanning the beacon signal in real time, detects the relay device specific number (for location confirmation) and the beacon signal (S770),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is collect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S780) To the server 150 (S790). The student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출결 관리 서버(150)는 학생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여부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을 판단한다(S792). 이때, 스캐닝 장치(130) 고유정보와 수신된 비콘 신호 중 단말기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110)의 위치정보도 미리 저장된 수업장소와 스캐닝 장치(130) 고유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해당 강의실 출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결 관리 서버(150)는 해당 학생의 출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794).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has a database that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110 by mapping the corresponding student information to the student terminal 110. Whe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130, In step S79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tudent has arriv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based o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canning device 130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eacon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110 is also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teaching place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canning device 130, You can judge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in the classro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stores the attendance information of the student in the database (S794).

한편, 학생이 수업 중 강의실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스캐닝 장치(130)를 통해 학생 단말(110)의 비콘 신호를 적어도 2회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student from leaving the lecture room during class,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100 detects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110 at least twic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rough the scanning device 130 May be set as follows.

만약, 수업 중 학생 단말(110)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것으로 이동 경로가 파악이 되면, 출결 관리 서버(150)는 이를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로 여길 수 있다. If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110 during the class is detected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or after the set time or when the travel path is grasp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transmits the beacon signal It can be considered as a departure.

출결 관리 서버(150)는 학생 단말(110) 및 강사 단말(115)로 데쉬보드를 통한 실시간 강의 현황 및 휴강/보강 등의 정보 변경에 따른 공지 사항을 푸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50 can provide the student terminal 110 and the instructor terminal 115 with the push notifications of the real-time lecture status through the dashboard and the change of information such as cancel / reinforce.

본 발명의 기술은 전자출결 외에 기숙사 점호관리, 출입통제, 도서관 열람실 좌석배정, 기타 예약관리, 출입통제 시스템 등에 활용 가능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휴대용 학생 단말 등을 본 발명의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dormitory management, entrance control, library reading room seat allocation, other reservation management, access control system, etc.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attendance.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the wearable device and the portable student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cable to management system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 기록/관리 출석부를 온라인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강사나 학생이 실시간으로 출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기술은 학생 단말을 통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하는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이 실행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학생 단말의 데이터를 소모해야 하는 비용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학생 단말이 비콘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비콘 신호를 스캐닝 하는 데에 높은 전력 소모가 불가피했으나, 본 발명은 학생 단말이 출석을 위해서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이 매우 높아지고, 학생 단말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소모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line recording / management attendance unit is switched to the online system so that the lecturer or the student can confirm the attendance status in real time. In the existing technology,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has to be performed in a way of directly communicating with a server through a student terminal. In some cases, there has been a cost difficulty in consuming data of the student terminal, High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to scan a beacon signal.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only a beac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student terminal, power efficiency becomes very high and a student terminal needs to establish a direct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There is no need for data consump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110: 학생 단말
115: 강사 단말 130: 스캐닝 장치
150: 출결 관리 서버
100: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110: Student terminal
115: instructor terminal 130: scanning device
150: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Claims (12)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학생의 학생 단말; 및
강의실마다 구비되어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고, 검출된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독출하여, 미리 저장된 출석부 테이블 정보와 비교를 통한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A student terminal of a student sending a beacon signal; And
And a scanning device that is provided for each classroom to scan a beacon signal,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from the detected beacon signal, and manages attendan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udent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previously stored attendee table information.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는,
스마트폰으로 구비된 경우,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입력된 강의 시간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게 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udent terminal comprising:
Wherein the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executes the student application when the smart-phone is provided, and causes the student-use application to transmit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for a preset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eviously entered lecture time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업 중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검출하기로 설정하고, 수업 시간 중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로 간주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anning device includes: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is set to be det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clas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if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is not detected after the set number of times or after the set time, , Beacon-based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상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 단말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로서 수집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anning device includes:
And acquir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as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상기 학생단말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anning device includes:
And the database, which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tudent information, in advance,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match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비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Detecting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student terminal of a student by scanning a beacon signal in a scanning device provided in a classroom;
The scanning device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And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student is attending by determining whether the scanning device matches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with the stud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학생 단말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attended comprises:
Wherein the database includes a database that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student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tudent information, and confirms wheth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업 중 적어도 2회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수업 시간 중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attended comprises:
Setting a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to be detected at least twice in the class through the scanning devic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tudent is suddenly depar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is detec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after a set time during the class ti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강의실 내에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캐닝 장치들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장치가 어느 한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 상기 서로 다른 강의실들로부터 상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이탈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attended comprises:
At least two or more scanning devices provided in different classrooms are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ntensity of a beacon signal of a student terminal is smaller than a reference intensity;
Determining an order of decreasing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different lecture rooms if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reference strength; And
And determining the departure of the student based on the determination.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비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수집된 학생 단말의 정보를 출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결 관리 서버가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Detecting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student terminal by scanning a beacon signal in a scanning device provided in a classroom;
The scanning device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based on the detected beacon signal;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student terminal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by the scanning devic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of the student is confi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matches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and student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in advan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출결 관리 서버가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학생단말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해당 시간의 수업 장소 정보와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attended comprises:
Wherei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confirms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match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anning device,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udent terminal matches the clas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ime, Wa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업 중 적어도 2회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수업 시간 중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attended comprises:
Setting a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to be detected at least twice in the class through the scanning devic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tudent is suddenly depar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beacon signal of the student terminal is detec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after a set time during the class time.



KR1020170026631A 2017-02-28 2017-02-28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KR101924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31A KR101924009B1 (en) 2017-02-28 2017-02-28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31A KR101924009B1 (en) 2017-02-28 2017-02-28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24A true KR20180099324A (en) 2018-09-05
KR101924009B1 KR101924009B1 (en) 2018-11-30

Family

ID=6359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31A KR101924009B1 (en) 2017-02-28 2017-02-28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0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205A (en) * 2018-09-29 2019-01-15 大连锐进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seat management system
CN113727317A (en) * 2021-08-13 2021-11-30 大匠智联(深圳)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rowd close gathering activity
KR102337150B1 (en) * 2021-07-01 2021-12-10 (주)코아메소드 Student locating system
WO2022114323A1 (en) * 2020-11-30 2022-06-02 (주)헬로팩토리 Control method for lecture providing system using keypad device
KR20230029154A (en) * 2021-08-24 2023-03-03 정희용 On-line education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38A (en)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서우에스앤디 Method for managing students using beac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18B1 (en) 2015-03-24 2016-07-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ttendance system using Wi-Fi beacon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18B1 (en) 2015-03-24 2016-07-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Attendance system using Wi-Fi beacon sign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205A (en) * 2018-09-29 2019-01-15 大连锐进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seat management system
WO2022114323A1 (en) * 2020-11-30 2022-06-02 (주)헬로팩토리 Control method for lecture providing system using keypad device
KR102337150B1 (en) * 2021-07-01 2021-12-10 (주)코아메소드 Student locating system
CN113727317A (en) * 2021-08-13 2021-11-30 大匠智联(深圳)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rowd close gathering activity
CN113727317B (en) * 2021-08-13 2024-03-26 大匠智联(深圳)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rowd close aggregation activities
KR20230029154A (en) * 2021-08-24 2023-03-03 정희용 On-line education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009B1 (en)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009B1 (en)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US11868943B2 (en) Business metric identification from structured communication
KR1013406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attendance using location-based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KR101425345B1 (en)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with smart devices using wi-fi beacon frames
KR101462722B1 (en) Possible with a smartphone attendance check system location
KR20140030707A (en) Seat reservations are smart devices and operating systems using the library
JP2014115936A (en) Lecture support server, lecture support system, and lecture support program
KR20170076193A (en) Commuting management platfor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ting of student thereby
KR20160038542A (en) A smart cooperation system
KR20150094921A (e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s capabilities Xidstory attendance app and check how
Banepal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fi based attendance system using raspberry pi
Anumba et al. Case studies of intelligent context-aware services delivery in AEC/FM
KR101972518B1 (en) 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642818B1 (en) Attendance system using Wi-Fi beacon signal
JP2014179697A (en) Radio terminal and position management system
KR20190068252A (en) Smart Attendance System to identify students who break away
KR101679302B1 (en) Educational Institution Administration System
US2019022314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via a current state of the computing device and signals received by and/or from other computing devices
US2019020031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via a current state of the computing device and signals received by and/or from other computing devices
KR20170119031A (en) A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t the same
KR20180090214A (en) Operating system for call in store and order flatform
US2019021579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via a current state of and signals received by and/or from the computing device
CN104053123A (en) Active instant-information and posi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ecific area
KR20110060766A (en) System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using rfid-aware mobile robots capable of transmitting position change and study result and method thereof
KR20140133157A (en) Smart mobile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