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12A -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12A
KR20180099312A KR1020170026603A KR20170026603A KR20180099312A KR 20180099312 A KR20180099312 A KR 20180099312A KR 1020170026603 A KR1020170026603 A KR 1020170026603A KR 20170026603 A KR20170026603 A KR 20170026603A KR 20180099312 A KR20180099312 A KR 2018009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lot
communication device
fram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애
김현
김현종
이용귀
손지연
이학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312A/ko
Publication of KR2018009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개시된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프레임 전송 방법은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채널과 구별되는(different)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며, 제1 채널을 통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채널(예컨대, 주 채널)을 통한 프레임 전송이 실패된 경우, 제2 채널(예컨대, DSR(Dedicated Slot for Reality) 채널)을 통해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단일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 중인 채널에서 전송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 이러한 사유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케이스(예컨대, 스마트 공장 네트워크 등)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입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높은 신뢰성과 함께 네트워크의 확장, 재구성, 유연성, 이동성을 확보하면서도 네트워크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무선 네트워크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 채널에서 전송 실패된 데이터 프레임이 추가적인 채널에서 재전송되도록 동일한 전용 슬롯을 추가적인 채널 상에 할당함으로써, 기본 채널에서 전송 실패된 데이터 프레임을 추가적인 채널에서 전송함과 동시에 기본 채널에서는 다음 전용 슬롯을 통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프레임 전송 방법은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채널과 구별되는(different)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채널을 통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과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contention) 없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SR PHY 채널 넘버 필드(DSR PHY Channel Number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은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통신 장치로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DSR 요청 프레임(DSR request frame)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SR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SR 응답 프레임(DSR response frame)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DSR 요청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MAC 짧은 주소(Short Address)를 나타내는 요청 짧은 주소 필드(Request Short Address Field), 기본 슬롯 길이에 기초한 슬롯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DSR 길이 필드(DSR Length Field) 및 DSR 할당 또는 DSR 해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특징 타입 필드(Characteristics Type Fi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DSR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MAC 짧은 주소를 나타내는 요청 짧은 주소 필드, 할당된 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할당 DSR 시작 슬롯 필드(Allocated DSR Starting Slot) 및 할당된 슬롯의 길이를 나타내는 할당 DSR 길이 필드(Allocated DSR Length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하나의 PHY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1 채널에 포함된 마지막 슬롯은, 상기 마지막 슬롯의 이전 슬롯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의 프레임 전송 방법은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통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때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 없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PHY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하나의 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제1 채널을 통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 없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과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채널에서 전송 실패된 데이터 프레임이 추가적인 채널에서 재전송되도록 동일한 전용 슬롯을 추가적인 채널 상에 할당함으로써, 기본 채널에서 전송 실패된 데이터 프레임을 추가적인 채널에서 전송함과 동시에 기본 채널에서는 다음 전용 슬롯을 통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 채널인 제1 채널 외에 DSR 채널인 제2 채널을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고 스마트 공장의 생산라인 규모와 서비스 특성에 최적화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산라인의 공정 셀들의 이동성이 향상되고, 교체 시간이 감소되며, 가변적으로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장치(예컨대, 서버)와 사용자 단말들(예컨대, 공정 셀들)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스타 토폴로지로 구성할 경우, 신뢰성 높은 통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산라인 환경과 장비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데이터 등을 높은 신뢰성으로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슈퍼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DSR 슬롯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 할당된 DSR 슬롯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 프레임의 DSR Specification IE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DSR 요청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DSR 응답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비콘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타 장치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장치 등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11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이 도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1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코디네이터(coordinato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상위 계층(upper layer), 하나의 MAC 계층(Media Access Control Layer)(111) 및 두 개 이상의 PHY 계층들(113, 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AC 계층(111)의 일부와 PHY 계층들(113, 115)은 칩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PHY 계층들(113, 115) 각각에는 1개의 물리적인 채널들이 제공될 수 있다. MAC 계층(111)의 다른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각각의 물리 계층에 매핑되는 2개 이상의 물리적인 채널들(p_ch1, p_ch2)을 관리할 수 있다. 물리적인 채널 각각에는 특정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채널 값이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스캔 과정을 통해 2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2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주 채널(Primary channel)(ch1)로 결정하고, 이 통신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값을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p_ch1)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선택된 2개의 채널 중 다른 하나를 DSR(Dedicated Slot for Reality) 채널(ch2)로 결정하고, 이 통신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값을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p_ch2)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물리적인 채널(p_ch1)에서 주 채널(ch1)을 통해 DSR 채널(ch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 각각은 상위 계층(upper layer), 하나의 MAC 계층(121, 131, 141) 및 하나의 PHY 계층(123, 133, 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 각각은 1개의 물리적인 채널(p_ch1))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일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 각각은 물리적인 채널 상에서 주 채널(ch1)에서 DSR 채널(ch2)로 채널을 변경하여 통신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은 스캔 과정을 통해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은 비콘 프레임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의 주 채널(ch1)을 선택하고 DSR 채널(ch2)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 장치(110)는 주 채널(ch1)로만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은 주 채널(ch1)로만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프레임은 1차적으로 주 채널(ch1)을 통해 송수신되고, 만약 주 채널(ch1)을 통한 전송이 실패된 데이터 프레임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는 동일 물리적인 채널 상에서 DSR 채널(ch2)로 채널을 변경하여 재전송이 시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통신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슈퍼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슈퍼 프레임(210)은 비콘 프레임(211), CAP(Contention Access Period)(213), CFP(Contention Free Period)(215)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프레임(211)은 통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전송되는 프레임으로서, 주 채널인 제1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비콘 프레임(211)은 슈퍼 프레임의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CAP(213)는 비콘 프레임(211) 이후 경쟁(contention)을 통해 프레임 송수신이 발생하는 기간으로서, 경쟁을 통해 커맨드 프레임이나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커맨드 프레임이나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은 제1 채널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CFP(215)는 경쟁 없이 전용 슬롯을 이용하여 프레임 송수신이 발생하는 기간으로서, 각 사용자 단말은 고유하게 할당된 전용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CFP(215)의 슬롯들(220, 221, 223, 225)은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할당된 전용 슬롯으로, DSR 슬롯이라 지칭될 수 있다. 슬롯들(220, 221, 223, 225)은 기본 슬롯(aBaseSlotDuration)(예컨대, 60 심볼)의 배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널의 마지막 슬롯인 Idle 슬롯(225)을 제외한 슬롯들(220, 221, 223)은 DSR 슬롯에 해당될 수 있다. Idle 슬롯(225)은 Idle 슬롯(225)의 이전 슬롯(223)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dle 슬롯(225)은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비롯한 어떤 장치에도 할당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의 제2 채널은 제1 채널과 달리, CFP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채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 없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230, 231, 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의 슬롯들(230, 231, 233) 각각은 제1 채널의 슬롯들(220, 221, 223)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채널의 슬롯 1(230)은 제1 채널의 슬롯 1(22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제2 채널의 슬롯 n(233)은 제1 채널의 슬롯 n(223)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채널의 슬롯 1(230)은 제1 채널의 슬롯 1(220) 직후에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채널의 슬롯 1(230)의 시작 시점과 제1 채널의 슬롯 1(220)의 종료 시점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채널의 슬롯 1(220)에 대응되는 제2 채널 상의 위치에는 어떠한 슬롯도 할당되지 않으며, 이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제2 채널 상의 점선 박스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채널의 슬롯 n(233)은 제1 채널의 슬롯 n(223) 직후에 할당됨으로써, 제2 채널의 슬롯 n(233)의 시작 시점은 제1 채널의 슬롯 n(223)의 종료 시점과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이 일치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이 미리 결정된 근소한 시간 차 내에 포함되는 것도 포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채널의 슬롯들은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제1 채널의 끝에서부터 슬롯 n(223)의 길이만큼 Idle 슬롯(225)이 설정되고, 그 다음 미리 결정된 길이로 슬롯 n(223)이 할당되며, 그 후 순차적으로 슬롯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채널의 슬롯들은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제2 채널의 끝에서부터 슬롯 n(233)이 제1 채널의 슬롯 n(223)의 길이만큼 할당되고, 그 다음 슬롯 n(233)이 제1 채널의 슬롯 n(223)의 길이로 할당되며, 그 후 순차적으로 슬롯들이 할당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DSR 슬롯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DSR 슬롯이 해제되는 예시가 도시된다. 제1 채널의 슬롯 2(310)과 제2 채널의 슬롯 2(320)가 해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슬롯 2가 해제된 결과가 도시된다. 제1 채널의 슬롯 2과 제2 채널의 슬롯 2의 해제가 완료되면, 해제된 슬롯 2의 길이만큼 CAP(410)가 확장되고, CFP의 DSR 슬롯들이 CFP의 끝에서부터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CAP(410)의 길이는 도 3에서 CAP의 길이(411) 및 슬롯 2(310)의 길이(413)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사이에 할당된 DSR 슬롯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51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520, 530, 540) 사이에 할당된 DSR 슬롯의 예시가 도시된다.
통신 장치(510)는 제1 채널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520, 530, 540)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510)는 CAP 동안 경쟁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520, 530, 540)과 제1 채널을 통해 프레임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CFP에서는 전용 슬롯들이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510)의 슬롯 1(511, 512)은 각각 제1 사용자 단말(520)의 슬롯 1(521, 523)에 해당되고, 통신 장치(510)와 제1 사용자 단말(5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 장치(510)에서 제1 채널의 슬롯 1(511)은 제1 사용자 단말(520)에서 제1 채널의 슬롯 1(521)에 해당하고, 통신 장치(510)에서 제2 채널의 슬롯 1(512)은 제1 사용자 단말(520)에서 제2 채널의 슬롯 1(523)에 해당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신 장치(510)의 슬롯 2(513, 514)는 제2 사용자 단말(530)의 슬롯 2(531, 533)에 해당되고, 통신 장치(510)와 제2 사용자 단말(5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510)의 슬롯 n(515, 516)은 제3 사용자 단말(530)의 슬롯 n(541, 543)에 해당되고, 통신 장치(510)와 제3 사용자 단말(5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 프레임의 DSR Specification IE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비콘 프레임에 포함되는 DSR Specification IE 필드(600)가 도시된다.
DSR Specification IE 필드(600)는 DSR PHY 채널 넘버 필드(DSR PHY Channel Number Field)(610)를 포함할 수 있다.
DSR PHY 채널 넘버 필드(610)는 제1 채널(예컨대, 주 채널) 외에 추가적으로 사용할 제2 채널(예컨대, DSR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로서, 여기서 제2 채널은 신뢰성 보장을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SR PHY 채널 넘버 필드(610)는 1 바이트(byte)(다시 말해, 1 옥텟(octet))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DSR 요청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DSR 요청 프레임(700)은 IEEE 802.15.4 MAC 프레임의 MHR(MAC Header) 필드(710), 명령 프레임 식별자 필드(Command Frame Identifier Field)(720) 및 DSR 요청 정보 필드(DSR Request Information Field)(730)를 포함할 수 있다.
DSR 요청 정보 필드(730)는 요청 짧은 주소 필드(Request Short Address Field)(731), DSR 길이 필드(DSR Length Field)(733), 예약 필드(Reserved Field)(735), 특징 타입 필드(Characteristic Type Field)(737)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짧은 주소 필드(731)는 DSR을 요청하는 단말의 MAC 짧은 주소(Short Address)를 나타내고, 2 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DSR 길이 필드(733)는 기본 슬롯 길이(예컨대, 60 심볼)에 기초한 슬롯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1 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징 타입 필드(737)는 DSR 할당 또는 DSR 해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1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타입 필드(737)에 '1'이 설정된 경우, DSR 할당 요청을 나타내고, 특징 타입 필드(737)에 '0'이 설정된 경우, DSR 해제 요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DSR 응답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DSR 응답 프레임(800)은 IEEE 802.15.4 MAC 프레임의 MHR(MAC Header) 필드(810), 명령 프레임 식별자 필드(820) 및 DSR 응답 정보 필드(DSR Request Information Field)(830)를 포함할 수 있다.
DSR 응답 정보 필드(830)는 요청 짧은 주소 필드(Request Short Address Field)(831), 할당 DSR 시작 슬롯 필드(Allocated DSR Starting Slot)(833) 및 할당 DSR 길이 필드(Allocated DSR Length Field)(835)를 포함할 수 있다. DSR 응답 정보 필드(830)는 DSR 슬롯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짧은 주소 필드(831)는 DSR를 요청한 단말의 MAC 짧은 주소를 나타내고, 2 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할당 DSR 시작 슬롯 필드(833)는 DSR를 요청한 단말에 할당된 DSR 슬롯이 CFP의 종료 시점, 즉 슈퍼프레임의 끝을 기점으로 기본 슬롯 길이(예컨대, 60 심볼) 단위로 몇 번째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고, 1 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할당 DSR 길이 필드(835)는 할당된 슬롯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할당된 슬롯의 길이가 기본 슬롯 길이(예컨대, 60 심볼)의 몇 배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할당 DSR 길이 필드(835)는 1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가 도시된다.
단계(950)는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스캔(scan)과 결합(association) 절차를 완료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960)에서, 통신 장치 MLME(MAC Layer Management Entity)(920)는 제1 채널(예컨대, 주 채널)로 사용자 단말 MLME(930)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비콘 프레임은 도 6에서 설명한 DSR Specification IE 필드(60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MLME(930)는 사용자 단말 다음 상위 계층(940)으로 IEEE 802.15.4의 MLME-BEACON-NOTIFY.indication 프리미티브(primitive)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다음 상위 계층(940)은 MLME-DSR.request를 사용자 단말 MLME(9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MLME-DSR.request는 RequestShortDeviceAddress, RequestType, DSRLength, SecurityLevel, KeyIdMode, KeySource, KeyIndex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MLME(930)는 도 7에서 설명한 DSR 요청 프레임(700)을 생성하고, 통신 장치 MLME(9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DSR 요청 프레임은 DSR 슬롯의 할당을 요청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통신 장치 MLME(920)는 DSR 요청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 MLME(93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 MLME(920)는 MLME-DSR.indication을 통신 장치 다음 상위 계층(9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장치 다음 상위 계층(910)은 MLME-DSR.response 프리미티브를 통신 장치 MLME(920)로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 MLME(920)는 DSR 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MLME-DSR.indication 프리미티브는 RequestShortDeviceAddress, RequestType, DBSLength, SecurityLevel, KeyIdMode, KeySource, KeyIndex로 구성될 수 있다.
MLME-DSR.response 프리미티브는 RequestShortDeviceAddress, AllocatedDSRStartingSlot, AllocatedDSRLength, SecurityLevel, KeyIdMode, KeySource, KeyIndex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970)에서, 사용자 단말 MLME(930)는 통신 장치 MLME(920)로부터 수신한 비콘 프레임을 분석함으로써, DSR 응답 프레임이 준비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MLME(930)는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통신 장치 MLME(92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장치 MLME(920)는 데이터 요청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 MLME(9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장치 MLME(920)는 DSR 응답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 MLME(93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MLME(930)는 DSR 응답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 MLME(9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 MLME(920)는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IEEE 802.15.4의 MLME-COMM-STATUS.indication(성공(SUCCESS)) 프리미티브를 통신 장치 다음 상위 계층(9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MLME(930)는 확인응답 프레임을 전송한 후 MLME-DSR.confirm 프리미티브를 사용자 단말 다음 상위 계층(9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MLME-DSR.confirm 프리미티브는 RequestShortDeviceAddress, AllocatedDSRStartingSlot, AllocatedDSRLength, StatusStatus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의 예시가 도시된다.
단계(1050)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 DSR 슬롯을 할당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50)에서, 통신 장치는 제1 채널을 통해 비콘 프레임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0, 1030, 104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06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20)은 제1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통신 장치(1010)로 전송하는 것을 시도하였으나, 전송이 실패된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1020)은 도 5에 도시된 제1 채널의 슬롯 1(521)를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단계(107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20)이 제1 채널에서 슬롯 1(521)의 종료 시점에서 통신 채널을 제2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108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20)은 도 5에 도시된 제2 채널의 슬롯 1(523)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러한 전송은 성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1030)은 도 5에 도시된 제1 채널의 슬롯 2(531)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080)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20)과 제2 사용자 단말(1030)은 서로 다른 채널들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90)에서, 제3 사용자 단말(1040)은 제1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DSR 슬롯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단계(1130)에서, 사용자 단말(1120)이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1110)로 3개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하였으나, 제2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만이 실패될 수 있다.
단계(1140)에서, 사용자 단말(1120)은 통신 채널을 제1 채널에서 제2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1150)에서, 사용자 단말(1120)은 제2 채널을 통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할 수 있고, 제2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은 성공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이 도시된다.
단계(12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채널과 구별되는(different)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단계(12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비콘 프레임은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SR PHY 채널 넘버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채널을 통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은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채널의 슬롯과 제2 채널의 슬롯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채널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 없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이 통신 장치로 전송될 때,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단계(1210)가 수행된 이후 및 단계(1220)가 수행되기 전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후, 통신 장치로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DSR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DSR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통신 장치로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SR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11을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이 도시된다.
단계(1310)에서, 통신 장치는 제1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단계(1320)에서, 통신 장치는 제1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한다.
단계(1330)에서, 통신 장치는 제1 채널을 통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제2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통신 장치는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때 제1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때 제1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12을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0)는 메모리(1410), 프로세서(1420) 및 통신부(1430)를 포함한다. 메모리(1410), 프로세서(1420) 및 통신부(1430)는 버스(144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등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10)는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메모리(1410)에 저장된 명령어가 프로세서(1420)에서 실행됨에 따라 앞서 언급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1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명령어들, 혹은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거나, 전자 장치(140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GPU(Graphic 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도 1 내지 도 1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20)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채널을 통해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며, 제1 채널을 통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1420)는 제1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고, 제1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하며, 제1 채널을 통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제2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통신부(1430)는 프로세서(14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30)는 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4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에는 도 1 내지 도 13을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Processor), 컨트롤러 (Controll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Programmable Logic Element), 다른 전자 기기들 및 이것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hardware componest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functions) 또는 프로세스들(processes)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프레임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채널과 구별되는(different)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채널을 통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과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contention) 없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SR PHY 채널 넘버 필드(DSR PHY Channel Number Field)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통신 장치로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DSR 요청 프레임(DSR request frame)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SR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후,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SR 응답 프레임(DSR response frame)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SR 요청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MAC 짧은 주소(Short Address)를 나타내는 요청 짧은 주소 필드(Request Short Address Field), 기본 슬롯 길이에 기초한 슬롯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DSR 길이 필드(DSR Length Field) 및 DSR 할당 또는 DSR 해제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특징 타입 필드(Characteristics Type Filed)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SR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2 채널의 슬롯 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MAC 짧은 주소를 나타내는 요청 짧은 주소 필드, 할당된 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할당 DSR 시작 슬롯 필드(Allocated DSR Starting Slot) 및 할당된 슬롯의 길이를 나타내는 할당 DSR 길이 필드(Allocated DSR Length Field)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하나의 PHY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PHY 계층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에 포함된 마지막 슬롯은,
    상기 마지막 슬롯의 이전 슬롯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되지 않는, 프레임 전송 방법.
  12.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의 프레임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을 통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될 때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구별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제2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 없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PHY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하나의 PHY 계층을 포함하는 프레임 전송 방법.
  17.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채널과 구별되는 제2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제1 채널을 통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의 경쟁 없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미리 할당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의 시작 시점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도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의 슬롯과 상기 제2 채널의 슬롯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
KR1020170026603A 2017-02-28 2017-02-28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20180099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03A KR20180099312A (ko) 2017-02-28 2017-02-28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03A KR20180099312A (ko) 2017-02-28 2017-02-28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12A true KR20180099312A (ko) 2018-09-05

Family

ID=6359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03A KR20180099312A (ko) 2017-02-28 2017-02-28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3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800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調整装置、ステーション、送信方法及び送受信方法
US20210377805A1 (en) Mapping method, nod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065446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CN109842946A (zh) 抢占资源进行数据传输的方法
JP7030797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情報の受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EP2092690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over wireless network
KR20120085864A (ko)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초기화 방법
CN110326262B (zh) 将无线设备抽象为虚拟以太网接口
US20140162715A1 (en)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database server, and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2233358B1 (ko) 멀티 레이트 전송을 위한 블록 애크 기법과 링크 어댑테이션을 지원하는 코디네이터 및 노드의 동작 방법
CN111935726B (zh) 通信处理方法、主节点、从节点、存储介质及系统
CN109803272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24067687A1 (zh) 信息传输方法、第一通信节点、第二通信节点及存储介质
EP3139562A1 (en) Network protocol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8406165B2 (en)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ultiple nodes
KR20180099312A (ko)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US109932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multiple channels in sensor network
CN111901803B (zh) 通信交互方法、主节点、从节点、室内分布系统及介质
CN111935725B (zh) 通信时序规划方法、装置、相关设备、存储介质及系统
CN110034898A (zh) 一种参考信号传输方法及装置
CN111836333B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终端设备
CN108633082B (zh) 上行数据调度请求方法及装置
US2024010737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ime-sensitive network
CN111107046B (zh) 一种数据流的传输方法及装置
KR20200116245A (ko)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주기적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