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948A -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948A
KR20180098948A KR1020170025772A KR20170025772A KR20180098948A KR 20180098948 A KR20180098948 A KR 20180098948A KR 1020170025772 A KR1020170025772 A KR 1020170025772A KR 20170025772 A KR20170025772 A KR 20170025772A KR 20180098948 A KR20180098948 A KR 2018009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illumination
eyeglass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혁
정도희
오현진
Original Assignee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948A/ko
Publication of KR2018009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는,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상기 안경 구조부의 일 영역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조명부; 상기 안경 구조부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부; 및 상기 소리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리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 각각의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부의 소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인은 시각에 의해서만 주위의 상황을 판단하거나, 인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일상 생활 특히, 보행 중 주위에서 들리는 차량의 경적음, 경고음 등의 소리음이 들리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 2000-0063489호 “청각장애인용 피부촉각 음성인식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는 진동 장치를 구비하여, 진동 장치의 진동을 통해 외부 소리의 크기와 방향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진동 장치를 항상 피부와 밀착 유지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소리 데이터를 필터링 하지 않고 수집된 모든 음향에 따라 진동이 이루어져, 위험한 상황의 여부와 상관없이 진동 장치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촉각에 의한 인지는 위험 상황에서 사용자가 빠르게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의 예방에 영향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청각 장애인용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소리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한 정보에 따라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하여, 외부의 소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는,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상기 안경 구조부의 일 영역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조명부; 상기 안경 구조부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부; 및 상기 소리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 각각의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조명부; 및 제 1 방향과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의 상기 소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리 크기의 평균을 계산하고, 기준 소리 크기와 상기 평균을 비교하여 상기 조명부 각각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밝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 구조부는 상기 조명부 각각의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경 구조부 외부로 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감지부는 적어도 2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소리의 방향을 측정하여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방향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소리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소리 크기 이상의 소리의 정보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위험 상황을 사용자가 빠르게 인지하여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소리의 정보를 처리하여 소리의 등급을 나누어 조명의 색 및 밝기를 다르게 구현하여, 사용자가 위험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굴절부를 구비하여 조명부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예시적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굴절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100)는 소리 감지부(110), 조명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감지부(110)는 외부 소리를 집음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리 감지부(110)는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의 소리를 집음하고, 각각의 소리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소리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부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조명부(122) 및 제 1 방향과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조명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방향에 대응하여 조명부(120)를 각각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명부(120)의 구동으로 소리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부(120)는 밝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크기가 클수록 조명부(120)가 밝게 점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조명부(12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의 조명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20)는 각각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상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조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일정 시간 동안 소리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소리 크기의 평균을 계산하고, 이러한 소리 크기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조명부(120) 각각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된 소리의 평균 크기가 기준 소리 크기보다 클 경우, 조명부(120)를 점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상의 낮은 생활 소음에도 조명부(120)가 불필요하게 점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소리의 발생 방향을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조명부(120)를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소리 감지부(120) 중 감지된 소리가 가장 큰 소리 감지부(120) 및 이의 설치 방향을 검출하여 소리의 발생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소리 방향에 대응하는 조명부(120)를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를 통해 제 1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조명부(122)를 점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소리 감지부(110)를 통해 제 2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 2 조명부(124)를 점등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수직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조명부(122) 및 제 2 조명부(124)를 동시에 점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소리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범위 구간을 나누어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등급에 따라 조명부(120)의 색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등급이 클수록 조명부(120)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서 수집된 소리의 등급에 따라 조명부(120)의 색을 상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주변의 소리를 시각적으로 빠르게 인식하여, 위험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예시적 형상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200)는 안경 구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 구조부(210)는 일반적인 안경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안경 구조부(210)는 안경테 및 안경테에서 연장 형성되는 안경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리 감지부(110)는 안경 다리의 일 영역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의 소리의 크기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20)는 각각 안경테의 사용자의 착용 시 대면하는 면의 일 영역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소리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되는 청각 장애인 착용형 장치(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굴절부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300)는 굴절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절부(310)는 안경 구조부(210)의 일 영역에 조명부(120)의 빛을 굴절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굴절부(310)는, 바람직하게는, 조명부(120)의 빛이 사용자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명부(120)에 인접하여 안경테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부(120)의 빛을 안경 구조부(2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빛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굴절부(310)는 거울, 굴절 렌즈의 빛을 굴절시키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S410 단계에서, 소리 감지부(110)는 외부의 소리를 집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소리 감지부(110)가 다양한 각도로 안경 구조부(210)에 이격 형성되어, 복수의 각도에서 유입되는 소리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소리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소리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 및 생성된 외부 소리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소리의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조명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리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120)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주변의 위험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리의 등급을 설정하여, 이를 기초로 조명부(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감지 및 생성된 소리의 크기를 상이한 크기 범위를 갖는 소리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등급에 따라, 조명부(120)의 밝기 및 색을 다르게 구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소리 감지부 120: 조명부
122: 제 1 조명부 124: 제 2 조명부
130: 제어부 210: 안경 구조부
310: 굴절부

Claims (6)

  1.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상기 안경 구조부의 일 영역에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조명부;
    상기 안경 구조부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부; 및
    상기 소리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소리에 기초하여 소리 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리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 각각의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조명부; 및
    제 1 방향과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조명부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의 상기 소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리 크기의 평균을 계산하고,
    기준 소리 크기와 상기 평균을 비교하여 상기 조명부 각각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밝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구조부는 상기 조명부 각각의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경 구조부 외부로 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감지부는 적어도 2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하는,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KR1020170025772A 2017-02-27 2017-02-27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KR20180098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72A KR20180098948A (ko) 2017-02-27 2017-02-27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72A KR20180098948A (ko) 2017-02-27 2017-02-27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948A true KR20180098948A (ko) 2018-09-05

Family

ID=6359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772A KR20180098948A (ko) 2017-02-27 2017-02-27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436A (zh) * 2019-05-31 2019-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头戴式显示设备及头戴式显示设备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436A (zh) * 2019-05-31 2019-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头戴式显示设备及头戴式显示设备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165B1 (ko) 웨어러블 컴퓨팅 시스템상에 사운드 표시들을 디스플레이
US10539788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hands-free configuration of a luminous distribution
US91899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eedback based on the state of an object
US20210312940A1 (en) Glasses with closed captioning, voice recognition, volume of speech detection, and translation capabilities
US10465892B1 (en) Cordless headlight and control thereof
JP2002352229A (ja) 顔部位検出装置
US10867527B2 (en) Process and wearable device equipped with stereoscopic vision for helping the user
CN105554981B (zh) 台灯调节方法和装置
JP2020075596A (ja) 監視システム
KR20180098948A (ko) 청각장애인 착용형 장치
KR102218348B1 (ko) 스마트 조명제어 시스템
KR20160066896A (ko)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KR101394727B1 (ko) 자동차용 워닝 시스템
KR102288753B1 (ko)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36853B1 (ko) 발광형 음향 안내장치
KR101632169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길안내 시스템
KR20120059281A (ko) 시각 지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0991A (ko) 머리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산만/졸음 운전 감시 시스템
TW201703743A (zh) 方向指示穿戴裝置及其方位辨視與控制方法
KR20060022935A (ko) 눈 영상 기반의 졸음 감지방법 및 장치
JP2018116428A (ja) ドライバ状態検出装置
KR20210033731A (ko) 전방위 촬영 및 줌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6145A (ko) 졸음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70133289A (ko) 운전자의 눈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7765275A (zh) 使用ir相机基于模拟接近传感器进行的头上检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