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181A -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181A
KR20180097181A KR1020170023303A KR20170023303A KR20180097181A KR 20180097181 A KR20180097181 A KR 20180097181A KR 1020170023303 A KR1020170023303 A KR 1020170023303A KR 20170023303 A KR20170023303 A KR 20170023303A KR 20180097181 A KR20180097181 A KR 20180097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unit
data
wbs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국
최재현
박준일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씨엠씨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씨엠씨,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한국씨엠씨
Priority to KR102017002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181A/ko
Publication of KR2018009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레벨별로 미리 정해진 분류기준이 구성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고, 단위 작업(Activity)을 정의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립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토대로 전체 공사 기간(Duration)을 산정하고,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고, 상기 공사 스케줄을 표현하는 초기 공정표를 확정하는, 스케줄 개발 단계; 및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고, 상기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고,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공정전문가가 아닌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이 전체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파악하기 쉽게 하는 진도보고용 도표가 자동화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for automatically expressing a construction schedule according to its category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간 상호 연관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동시에 WBS 레벨별 분류기준의 이동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용이하면서 WBS간의 상호 연관관계가 파악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사업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업무들 중 하나가 월간 진도보고 회의이다. 월간 진도보고 회의를 통해 발주자와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이 함께 공정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주요 방향을 결정해 나갈 수 있다.
진도보고의 토대가 되는 공정관리의 주요 업무는 프로젝트 공정관리자가 스케쥴을 개발/확정하고, 계획과 실적을 비교ㆍ확인하며, 잔여공정에 대한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공정관리자에 의해 개발된 스케줄을 공정전문가가 아닌 의사결정자들이 이해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의사결정자들도 계획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엑셀 또는 파워포인트 등을 활용하여 별도의 진도보고용 도표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건설공사의 규모가 크고 복잡할수록 더 숙련된 공정관리자가 공정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공정계획을 수행한다.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로는 현재 Oracle사의 Primavera 제품과 Microsoft사의 MS-Project가 전체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특히 Primavera 제품은 강력한 데이터베이스 활용을 통한 공정관리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해외건설시장의 경우 많은 공공/민간 프로젝트에서 이의 사용을 의무 계약사항으로 명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정 소프트웨어를 통해서는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고, 단위 작업(Activity)를 정의하고, 기간(Duration)을 산정하고, 스케줄(Schedule)을 조율/확정한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스케쥴이 확정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작업 수준의 공정표를 공정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인 Primavera로 작성된 단위 작업 수준의 공정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10a) 및 폴더 체계 표시부(20a)를 보면,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공정관리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WBS 레벨별 공정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폴더 체계 표시부(10b)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서와 같이 공정표가 WBS 레벨별로 표시될 경우에,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10b)는 더 이상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나타내지 못한다. 도 1과 같이 단위 작업 수준에서는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알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WBS 레벨별로 공정표가 표시되었을 때 WBS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전혀 파악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WBS 레벨별로 공정표가 표시되었을 때 전체적인 공사 진행 정도를 파악하면서 잔여공정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가 번거롭고, 진도보고용 도표를 작성하는 데에도 공정전문가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진도보고용 도표는 공정전문가가 아닌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이 전체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파악하기 쉽도록 WBS 간의 연관관계와 중요 단위 작업간의 연관관계가 동시에 도출가능하면서 부가적인 관리적 관점의 데이터가 파악가능하게 표시된 것이어야 한다.
엑셀 및/또는 파워포인트와 같은 오피스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여러 단위 작업 간의 선ㆍ후행 및 비용 지출실적들을 파악하고 진도보고용 도표를 작성하는데 약 3일에서 길게는 1주일 정도 걸린다. 이에 따라 공정관리자는 매월 새로 수작업으로 도표를 작성해야하므로 공정관리자의 업무부담이 크고, 업무 처리 효율이 떨어진다.
현재는 공정관리자의 업무 처리 효율 및 신속하고 정확한 건설공사의 일정관리를 위해 정의된 단위 작업들이 주어진 기간 내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법으로서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CPM(Critical Path Method)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정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상용패키지가 많이 개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62417호는 공정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기법을 이용한 전사적 프로젝트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서버(CS) 기반의 Http Remoting을 이용한 스마트 클라이언트(Smart Client) 방식으로 통합적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업에서 시행하고 있거나 시행 계획에 있는 토목분야 건설사업에 대한 공정 공사비를 통합하여 건설공사의 종합적인 관리, 운용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제공되어도 여전히 공정전문가가 아닌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이 전체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WBS 간의 연관관계와 중요 단위 작업간의 연관관계가 동시에 도출가능하면서 부가적인 관리적 관점의 데이터가 파악가능하게 표시된 진도보고용 도표가 수작업으로 작성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는 수작업으로 작성되는 진도보고용 도표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9-0062417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정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전체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적으로 확인해야 할 항목들이 명확하게 가시화 되도록 구성된 공정표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은, 하나 이상의 레벨별로 미리 정해진 분류기준이 구성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고, 단위 작업(Activity)을 정의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립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토대로 전체 공사 기간(Duration)을 산정하고,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고, 상기 공사 스케줄을 표현하는 초기 공정표를 확정하는, 스케줄 개발 단계; 및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고, 상기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고,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정의 단위 작업 간의 간섭 요소를 포함하는 상호 연관 관계 데이터가 상기 WBS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초기 공정표에서 WBS의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은 한 레벨에서 다른 레벨로 이동됨으로써 레벨별로 분류기준이 재설정되어 상기 초기 공정표와 다르게 표현되는 공정표가 작성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류기준이 이동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관련된 비용 정보도 함께 레벨 간에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은 WBS 데이터, 단위 작업 데이터,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 기간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WBS를 분류기준별로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는 분류별 요약 유닛; 및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WBS의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시켜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소정의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파악하고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으로 확인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연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연계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공사가 진행되면서 완수된 단위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소정의 단위 작업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분류별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WBS의 레벨별로 어떤 분류기준이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각각의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을 재배열하고,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으로부터 요약된 WBS의 분류별 단위 작업들의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레벨별로 미리 정해진 분류기준이 구성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고, 단위 작업(Activity)을 정의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립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토대로 전체 공사 기간(Duration)을 산정하고,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고, 상기 공사 스케줄을 표현하는 초기 공정표를 확정하는, 스케줄 개발 단계를 수행하는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호환되고, 확정된 상기 초기 공정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WBS 데이터, 단위 작업 데이터,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 기간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고, 상기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고,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공정전문가가 아닌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이 전체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파악하기 쉽게 하는 진도보고용 도표가 자동화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WBS의 상위 레벨 간의 연관관계가 도출가능하면서 부가적인 관리적 관점의 데이터가 파악가능하게 표시된 진도보고용 도표가 자동화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어, 수작업으로 진도보고용 도표를 작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정전문가의 업무부담이 감소한다.
또한, 계약자별, 건설단계별, 지역별, 발주처 요구조건 등과 같은 WBS의 분류기준에 따른 WBS간의 간섭 관계가 쉽게 파악될 수 있어, 간섭 관계를 고려하여 공정을 관리가 가능하므로 실적 현황과 비교 분석을 통해 공사지연과 원가상승의 원인을 쉽게 규명할 수 있어 공정 관리 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발주자, 설계사, 시공사, 협력업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대부분이 공정관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서로 간의 의사소통이 향상할 수 있으며, 발주자와 계약자 간의 우호적 관계를 증진시킴으로써 기업의 신뢰도 향상을 제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기업의 수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공정관리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단위 작업 수준의 공정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공정관리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WBS 레벨별 공정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에서 스케줄을 개발하는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에서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서 분류기준을 레벨 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된 마스터 스케줄 공정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서 WBS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WBS 레벨별 분류기준"에서 "분류기준"은 예를 들면, 공종별, 계약자별, 건설 단계별, 건설 분야별, 공구별, 지역별, 이외의 발주처 요구조건별, 및/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이 단위 작업이 그룹핑될 수 있는 어떠한 기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레벨"은 상기와 같은 분류기준을 상하위 개념으로 정의하여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레벨은 WBS에서 가장 상위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분류기준으로서 프로젝트별로 구분될 수 있는 레벨일 수 있으며, 제2 레벨은 그 하위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분류기준으로서 단계별로 구분될 수 있는 레벨일 수 있다.
즉, 제1 레벨인 어떠한 프로젝트(예를 들면 병원 시공 프로젝트)에서 제2 레벨인 여러 가지 단계들(예를 들면 일반(General), 설계(Engineering), 구매(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이 있고, 각각의 단계는 제3 레벨일 수 있는 공구별(예를 들면 제1 병동, 제2 병동 등)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공구별로는 제4 레벨일 수 있는 분야별(예를 들면, Civil, Architecture, Electric, Mechanic)로 또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진도보고용 도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이 사용되어 작성된 공정표의 용도에 따른 예시적인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의 전체 및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에서 스케줄을 개발하는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개발 단계(S100) 및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S200)를 포함한다.
스케줄 개발 단계(S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는 단계(S110), 단위 작업(Activity)을 정의하는 단계(S120),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립하는 단계(S130),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토대로 전체 공사 기간(Duration)을 산정하는 단계(S140),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는 단계(S150), 및 초기 공정표를 확정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는 단계(S150)에서는 각 부서의 설계책임자, 구매책임자, 시공담당자 등의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의 협의하에 기간 산정 단계(S140)에서 산정된 공사 기간이 조정된다. 이와 같이 최적화된 공사 스케줄은 초기 공정표로 작성되어 초기 공정표 확정 단계(S160)에서 확정된다.
이와 같은 스케줄 개발 단계(S100)는 종래의 Pert/CPM (Project Evaluation & Review Technique/Critical Path Method) 기반의 공정관리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Oracle사의 Primavera 제품과 Microsoft사의 MS-Project와 같은 제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은 강력한 데이터베이스 활용을 통한 공정관리 기능을 갖는 것으로, 모든 단위 작업의 선후행 관계에 따른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끝까지 순서(Sequence)에 의해 초기 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의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S200)는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S200)는 확정된 공정표를 불러오는 단계(S210), WBS를 분류별로 요약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220), WBS의 레벨 간에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조정하는 단계(S230), 및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특히,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S200)는 종래의 Pert/CPM 기반의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호환되는 본원 발명에 의한 신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신규 소프트웨어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된 것으로, 종래의 Pert/CPM 기반의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에 마스터 스케줄 출력 기능이 추가되는 형식(Add-on 형식)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으나,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S200)가 수행되는 형식은 어느 한 가지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 의한 신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확정된 공정표를 불러오는 단계(S210)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확정된 공정표의 데이터가 신규 소프트웨어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입력된 데이터는 WBS 데이터(1010), 단위 작업 데이터(1020),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1030), 기간 데이터(1040), 및 비용 데이터(1050)로 저장될 수 있다(도 7 참조).
WBS 데이터(1010)는 프로젝트의 관리 대상이 되는 작업들을 분류하는 작업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인 단위 작업(Main Activity)와 서브 단위 작업(Sub Activity) 및 공종, 계약자, 건설 단계, 건설 분야, 공구, 지역, 발주처 요구조건, 등과 같은 다양한 분류기준들을 정의하고 제공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작업 데이터(1020)는 목표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작업들, 예를 들면 가설공사,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 등 각각의 공종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자원과 시간을 소비하는 공정활동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1030)는 단위 작업 간의 간섭 요소, 예를 들면 어떠한 단위 작업이 완수될 때까지 다른 하나 이상의 단위 작업이 발생할 수 없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기의 결정에 가장 중요한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에 대한 데이터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 단위들이 모두 완수되어야 하는데, 어떠한 작업이 착수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단위 작업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단위 작업들의 정보가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1030)에 포함된다.
기간 데이터(1040)는 공기와 관련된 데이터 및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소들, 예를 들면 각각의 단위 작업이 완수되는데에 필요한 시간, 지역에 따른 기상, 지형, 지반 상태, 주변 도로 상태, 기자재 구매 및 운송 상태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 데이터(1050)는 발주자와 합의하여 계획된 금액범위 및 전체 공사를 위해 실제로 사용된 비용과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면 단위 작업별 직접비 및 간접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BS를 분류별로 요약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220)에서는, 각각의 WBS 분류기준에서 공기의 결정에 가장 중요한 단위 작업들로 구성된 주요 완료시점이 표기되도록, 분류별로 단위 작업들이 구분되고 이 중에서도 중요도가 높은 단위 작업들의 완료시점이 식별되어 분류별로 구분된다. 이때, 전체 공사를 구성하는 단위 작업들이 모두 공정표에 표시되지 않되,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1030)에 포함된 단위 작업 간의 간섭 요소가 WBS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단위 작업 중에서도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대상의 목표 달성 여부가 확인될 수 있도록 WBS가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종별로 WBS가 요약된 경우에는 어느 한 공종에 포함된 단위 작업이 완수됨으로써 다른 하나 이상의 공종의 단위 작업을 착수할 수 있는지가 확인될 수 있도록, 공종별 WBS의 단위 작업들은 화살표와 같은 요소로 연결되어 그 공종 간의 상호 연관관계가 표현될 수 있다(도 8 참조).
WBS의 레벨 간에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조정하는 단계(S230)는 WBS를 분류별로 요약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후, 실질적으로 작성하고자 하는 공정표의 형식을 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WBS가 상하위 관계에 있는 제1 레벨, 제2 레벨, 제3 레벨 및 제4 레벨로 체계적으로 분류될 경우에, 제1 레벨이 가장 상위 개념으로서 트리형식의 분류 체계에서 제4 레벨로 갈수록 가지 수가 많아지는 형식으로 레벨들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은 초기에 미리 정해진 디폴트 상태로 제1 레벨이 '프로젝트', 제2 레벨이 '단계별', 제3 레벨이 '공구별', 및 제4 레벨이 '분야별'로 설정될 수 있으나, WBS의 레벨 간에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조정하는 단계(S230)를 통해 제3 레벨이 '분야별'로 재설정되고 제4 레벨이 '공구별'로 재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떠한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이 달라짐으로써 출력되는 공정표가 기존의 디폴트 상태와 다르게 작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도 6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서 분류기준을 레벨 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조정하는 단계(S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레벨 간에 분류기준에서 제4 레벨이 '분야별'이고, 이후에 분류기준이 이동되어 재설정된 제4 레벨이 '공구별'이면, 이동 전에 공정표를 작성한다면 '분야별'로 공정 현황을 유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동 후에 공정표를 작성한다면 '공구별'로 공정 현황을 유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이동 전에 공정표를 작성한다면 제4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이 '분야별'이고, '분야별'에서 분야로서는 Civil 분야, Architecture 분야, Electric 분야, 및 Mechanic 분야가 있되, 제3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인 '공구별'에 따라 1동에서의 Civil, Architecture, Electric, 및 Mechanic 각각의 진행상황, 및 2동에서의 Civil, Architecture, Electric, 및 Mechanic 각각의 진행상황이 표시되도록 자동으로 분류되어 공정표가 작성된다.
한편, 이동 후에 공정표를 작성한다면 제4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이 '공구별'이 되고, '공구별'에서 공구로서는 1동 및 2동이 있되, 제3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인 '분야별'에 따라 Civil 분야에서의 1동 및 2동의 진행상황, Architecture 분야에서의 1동 및 2동의 진행상황, Electric 분야에서의 1동 및 2동의 진행상황, 및 Mechanic 분야에서의 1동 및 2동의 진행상황이 표시되도록 자동으로 분류되어 공정표가 작성된다.
이때 분류기준이 이동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관련된 비용 정보도 함께 레벨 간에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조정한 후 공정표를 출력할 경우에 출력되는 마스터 스케줄에는 분류기준별 공사의 진행상황뿐만 아니라 관련 비용 정보도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단계(S240)에서는 공정표의 목적에 맞게 WBS의 레벨별로 분류기준이 설정되어 작성된 공정표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효과적인 관리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조정된 공정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진도보고용 도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정전문가가 아닌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이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WBS의 제4 레벨을 공구별로 설정하여 공정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WBS는 공구별로 요약되어 공구별로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대상인 단위 작업의 목표 달성 여부 및 한 공구가 다른 공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1000)은 연계 유닛(1100), 분류별 요약 유닛(1200), 조정 유닛(1300), 및 출력 유닛(1400)을 포함하며, 각각의 유닛(1100, 1200, 1300, 1400)은 WBS 데이터(1010), 단위 작업 데이터(1020),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1030), 기간 데이터(1040), 및 비용 데이터(105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호작용하여 공정표를 작성하고 출력한다.
연계 유닛(1100)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작업 단위의 진행률, 완수 여부, 등을 확인하여 단위 작업들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파악하고 분류별 요약 유닛(1200)으로 확인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분류별 요약 유닛(1200)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분류기준별로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중요도가 높은 단위 작업들의 완료시점을 식별하고, 연계 유닛(1100)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분류별로 단위 작업들의 연관관계를 파악한다. 이와 같이 WBS를 분류별로 요약함으로써 WBS의 레벨 간에 분류기준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기반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분류별 요약 유닛(1200)은 공사가 진행되면서 완수된 단위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 작업들 중 중요도가 높은 단위 작업들의 완료시점을 식별하고, 연계 유닛(1100)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분류별로 파악함으로써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더 신속하고 간단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남은 공사의 진행상황을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공정표가 작성가능하다.
조정 유닛(1300)은 WBS의 레벨별로 어떤 분류기준이 설정되었는지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반영하여 각각의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을 재배열하고 이에 따라 WBS가 공정표에 다르게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조정 유닛(1300)은 분류별 요약 유닛(1200)에 요약된 WBS의 분류별 단위 작업들의 연관관계 데이터를 요청하고, 분류별 요약 유닛(1200)으로부터 받은 요약된 WBS의 분류별 단위 작업들의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는 WBS 간의 연관관계를 공정표에 표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출력 유닛(1400)은 단말기로부터 WBS의 공정표를 출력하라는 명령을 받으면 조정 유닛(1300)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제공된 WBS의 레벨별 분류기준에 따라 표현된 공정표를 단말기로 출력한다. 이때 공정표에는 분류별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한 단위 작업들의 연관관계가 화살표와 같은 요소로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된 마스터 스케줄 공정표 및 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된 마스터 스케줄 공정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서 WBS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 스케줄 공정표(100)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된 신규 소프트웨어를 통해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어 작성된 일 예시일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스케줄 공정표(100)는 WBS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110), WBS의 레벨별 분류기준 조정부(120), 및 실적관리 확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110)는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 뿐만 아니라, WBS가 어떤 분류기준으로 표현되었는지 상관없이 분류별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한 단위 작업들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 WBS(WBS1, WBS2, WBS3) 간의 상호 연관관계가 표현될 수 있다. 제1 WBS(WBS1)와 제2 WBS(WBS2) 간의 상호 연관관계는 제1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110a)로 표현되고, 제2 WBS(WBS2)와 제3 WBS(WBS3) 간의 상호 연관관계는 제2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110b)로 표현된다. WBS 간의 상호 연관관계는 하나 이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호 연관관계는 각각의 화살표와 같은 요소로 연결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BS의 레벨별 분류기준 조정부(120)는 각각의 레벨 및 레벨별 분류기준을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WBS의 레벨별 분류기준의 레벨 간 이동에 따라 전체 공정표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실적관리 확인부(130)는 비용 데이터에 포함된 계획된 비용과 실행된 비용을 WBS의 분류기준에 따라 파악할 수 있도록 표현될 수 있다. 실적관리 확인부(130)는 공사 기간 월별로 계획된 비용과 실행된 비용을 각각 월별 계획 비용 표시부(131) 및 월별 실행 비용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WBS 간의 상호 연관관계가 파악 가능하도록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공정전문가가 아닌 발주처 및 여러 계약자의 의사결정자들 공사의 진행상황 및 실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특정 레벨의 WBS를 특정 분류별로 설정하여 공정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WBS는 특정 분류별로 자동으로 요약 및 표현되어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대상인 단위 작업의 목표 달성 여부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단위 작업 레벨의 공정표를 상위 레벨의 공정표(Master schedule)로 변환하여 WBS의 레벨별, 공종별, 계약자별, 건설단계별(EPC단계), 지역별 등으로 공정표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에서 전체 공사의 진행 상황 및 실적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a, 10b, 110: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
20a, 20b: 폴더 체계 표시부
100: 마스터 스케줄 공정표
110a: 제1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
110b: 제2 상호 연관관계 표시부
120: WBS의 레벨별 분류기준 조정부
130: 실적관리 확인부
131: 월별 계획 비용 표시부
132: 월별 실행 비용 표시부

Claims (9)

  1. (a) 하나 이상의 레벨별로 미리 정해진 분류기준이 구성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고, 단위 작업(Activity)을 정의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립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토대로 전체 공사 기간(Duration)을 산정하고,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고, 상기 공사 스케줄을 표현하는 초기 공정표를 확정하는, 스케줄 개발 단계; 및
    (b)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고, 상기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고,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정의 단위 작업 간의 간섭 요소를 포함하는 상호 연관 관계 데이터가 상기 WBS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초기 공정표에서 WBS의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은 한 레벨에서 다른 레벨로 이동됨으로써 레벨별로 분류기준이 재설정되어 상기 초기 공정표와 다르게 표현되는 공정표가 작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류기준이 이동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관련된 비용 정보도 함께 레벨 간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5. WBS 데이터, 단위 작업 데이터,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 기간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WBS를 분류기준별로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는 분류별 요약 유닛; 및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WBS의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시켜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소정의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파악하고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으로 확인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연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연계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토대로 공사가 진행되면서 완수된 단위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소정의 단위 작업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분류별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WBS의 레벨별로 어떤 분류기준이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각각의 레벨을 구성하는 분류기준을 재배열하고, 상기 분류별 요약 유닛으로부터 요약된 WBS의 분류별 단위 작업들의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시스템.
  9. 하나 이상의 레벨별로 미리 정해진 분류기준이 구성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고, 단위 작업(Activity)을 정의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립하고, 상기 단위 작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토대로 전체 공사 기간(Duration)을 산정하고, 공사 스케줄을 최적화하고, 상기 공사 스케줄을 표현하는 초기 공정표를 확정하는, 스케줄 개발 단계를 수행하는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호환되고,
    확정된 상기 초기 공정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WBS 데이터, 단위 작업 데이터, 상호 연관관계 데이터, 기간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단위 작업 중에서 공기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판단된 소정의 단위 작업의 완료시점을 식별하여 상기 WBS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요약하고, 상기 레벨 간에 상기 분류기준을 이동하여 상기 초기 공정표를 조정하고, 조정된 공정표를 출력하는, 마스터 스케줄 출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소프트웨어.

KR1020170023303A 2017-02-22 2017-02-22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7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303A KR20180097181A (ko) 2017-02-22 2017-02-22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303A KR20180097181A (ko) 2017-02-22 2017-02-22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181A true KR20180097181A (ko) 2018-08-31

Family

ID=6340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303A KR20180097181A (ko) 2017-02-22 2017-02-22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1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58A1 (ko) 2018-08-21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 디바이스를 이용한 고상 추출 방법
KR20200033663A (ko) * 2018-09-20 2020-03-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정 관리 방법
CN112052992A (zh) * 2020-08-26 2020-12-08 杭州新中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建筑工程项目进度预测系统及方法
CN112418650A (zh) * 2020-11-19 2021-02-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石油钻井施工进度的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417A (ko) 2007-12-13 2009-06-17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기법을 이용한 전사적 프로젝트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417A (ko) 2007-12-13 2009-06-17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기법을 이용한 전사적 프로젝트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58A1 (ko) 2018-08-21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 디바이스를 이용한 고상 추출 방법
KR20200033663A (ko) * 2018-09-20 2020-03-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정 관리 방법
CN112052992A (zh) * 2020-08-26 2020-12-08 杭州新中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建筑工程项目进度预测系统及方法
CN112052992B (zh) * 2020-08-26 2023-07-25 杭州新中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建筑工程项目进度预测系统及方法
CN112418650A (zh) * 2020-11-19 2021-02-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石油钻井施工进度的确定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101964A4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US8275653B2 (en) Industrial status viewer system and method
US20200034766A1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productivity
US7849438B1 (en) Enterpris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for outsourced developers
US20160070258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work performance of a manufacturing executing system (mes) and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erp)
US7559049B1 (en) Integrated advance scheduling of indeterminate projects in an integrated development process
US11138006B2 (en) Hybrid develop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80097181A (ko) 자동화된 분류별 공정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Ghiyasinasab et al. Production planning and project scheduling for engineer-to-order systems-case study for engineered wood production
JP2023524043A (ja) 大規模資本プロジェクトのモデル、コストおよびスケジュールのマッピングシステム
US200600046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lution design and recording medium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Enhancement of off-site manufacturing productivity via a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Tillmann Using the Last Planner System to tackle the social aspects of BIM-enabled MEP coordination
KR102529138B1 (ko) 프로세스 별 라이브러리 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84094B1 (ko) 템플릿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05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 Process
Mohammad DevOps Automation Advances IT Sectors with the Strategy of Release Management
Safa et al. Front End Planning Tool (FEPT) based on an electronic process management
Jesus et al. A Framework for a BPM Center of Excellence
Maserang Project management: Tools & techniques
Kang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to reduce the effect of uncertainties on project planning
JP2014016805A (ja) 生産計画調整支援装置、生産計画調整支援方法、および生産計画調整支援プログラム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Action Research Study on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to Enhance Offsite Manufacturing (Osm) Productivity
KR102236978B1 (ko) 건설 시공비용 견적 산출 방법
Bopalia Iterative Integrated Planning and Scheduling Model in Projec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