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20A -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20A
KR20180097020A KR1020170023575A KR20170023575A KR20180097020A KR 20180097020 A KR20180097020 A KR 20180097020A KR 1020170023575 A KR1020170023575 A KR 1020170023575A KR 20170023575 A KR20170023575 A KR 20170023575A KR 20180097020 A KR20180097020 A KR 2018009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ain body
hole
insertion hole
ex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윤
Original Assignee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020A/ko
Publication of KR2018009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구를 구멍에 미리 끼워놓는 본체와 이 본체에 확장 부재를 끼워서 본체가 벌어지면서 구멍 안에서 고정이 되게 하고, 특히 상기 확장 부재에 체결 구멍을 형성하여 스크루나 비스 등을 자유롭게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확장 부재로 본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장착 간격에 따라 원하는 높이나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고, 게다가 때에 따라 스크루나 비스를 이완하여 반복적으로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 부재가 본체에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형상, 예를 들어서 단면을 다각형이나 타원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므로, 비스나 스크루를 체결할 때 확장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FIXTURE CAPABLE OF ADJUSTING GAPS}
본 발명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 등에 뚫은 구멍에 끼우는 본체와 이 본체에 끼워서 본체를 확장하게 하는 확장 부재로 구분하고, 특히 확장 부재에 스크루 등을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두께가 얇거나 연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스크루 체결로 변형이 이루어지는 창호 프레임과 같은 장착물의 경우에도 반복해서 스크루를 확장 부재에 체결하거나 이완하더라도 본체의 변형이나 파손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대로 쉽게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 블록(Wall Plug)은 콘크리트 등에 스크루나 나사 등을 체결할 때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그 사용방법은, 보통 벽이나 콘크리트 등에 미리 구멍을 뚫고, 뚫은 구멍에 칼 블록을 끼운 다음 칼 블록에 스크루나 나사 또는 앵커를 체결함에 따라 구멍 안에 끼워진 칼 블록의 안쪽 끝이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구멍과 견고하게 밀착하여 벽체 등에 직접 체결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한편, 이러한 칼 블록은 나사나 스크루의 풀림 방지나 작업 효율 등을 개선하려고,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8545호
고정 플러그 슬리브와 익스팬더 나사가 있는 확장 가능한 고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익스팬더 나사에 있는 나사산의 (나사를 조여 고정하는 방향의) 뒷 플랭크를 익스팬더 나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약 9°의 작은 각도로 정렬시키고 긴 나사산 피치의 나사산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익스팬더 나사가 당겨 빠지는 방향으로 응력을 받는 경우에는, 상기 뒷 플랭크는 축 방향으로 서로 앞뒤로 배열된 익스팬더 콘 모양으로 작용하여 상기 고정 플러그 슬리브를 확장시킨다. 상기 확장 가능한 고정 플러그는 상기 드릴 구멍이 넓어지는 경우에 계속된 후속 확장 거동을 보인다. 상기 고정 플러그 슬리브로부터의 상기 익스팬더 나사의 풀림을 막기 위하여, 상기 나사산에 있는 길이방향의 그리고 방사방향으로 정렬된 나사 풀림 방지 플랭크를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 플랭크는 확장하는 동안 상기 고정 플러그 슬리브 안으로 눌려 상기 고정 플러그 슬리브에서 익스팬더 나사의 풀림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0602484호
확장 나사를 구비하는 확장가능 고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확장 나사는 확장가능 고정 플러그 슬리브 내에 위치된다. 나사산은 톱니 형상이고, 고정 플러그 슬리브의 후방 부분은 축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확장가능 고정 플러그가 축 방향으로 하중(loading)을 받으면, 확장 나사는 고정 플러그 슬리브 내에서 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나사산은 고정 플러그 슬리브를 확장시킨다. 그러므로 확장가능 고정 플러그는 뚫린 구멍이 확대되면 후속적인 확장 거동을 갖는다. 또 다른 장점은 확장 나사를 돌리지 않고 박음으로써 확장가능 고정 플러그를 장착하는 것이다. 나사산의 코어 직경은 횡단 하중을 견디도록 확장 나사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확대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8722호
본 발명은 나사(미도시)를 도입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는 2개의 확장 림들을 포함하는 확장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확장 림들은 외주 영역에서 구부러진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는 확장 림들과 하나의 부품을 형성한다. 커넥터는 2개의 가상 평면에서 확장 플러그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아치형이 되며, 이들 커넥터는 쉽게 신장이 될 수 있고, 확장 림들의 확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기존 칼 블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칼 블록을 이용하여 스크루나 나사 등을 체결할 때 시공하는 힘 조절이 어렵다. 특히, 스크루나 나사 체결은 수 공구로 체결할 때도 있으나, 전동 공구로 체결할 때 이런 체결하는 힘 조절에 한계가 있다.
(2) 특히, 창호 프레임과 같이 칼 블록을 이용하여 고정할 때, 너무 강한 힘으로 창호 프레임을 고정하면 창호 프레임이 바깥으로 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이처럼 창호 프레임이 휘면 창짝을 달지 못하고, 특히 수직으로 시공해야 할 창호 프레임이 기울어지게 시공이 되므로, 칼 블록을 제거한 다음 다시 창호 프레임을 시공해야 할 수도 있다.
(3) 이때, 박아놓은 칼 블록을 빼서 새 칼 블록으로 교체하려면 기존 칼 블록을 제거할 때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칼 블록 제거에도 어려움이 있다. 즉, 칼 블록은 벽체 등에 뚫은 구멍에 끼우고, 그 위에 창호 프레임이나 브래킷 등을 올려놓은 다음 스크루 등을 칼 블록에 체결하여 창호 프레임이나 브래킷을 고정하므로, 칼 블록을 빼내려면 창호 프레임이나 브래킷을 분리하거나 옆으로 옮겨야 하는 등 다른 칼 블록으로 교체하여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4) 이처럼 뚫은 구멍에 끼워서 스크루 등으로 체결한 칼 블록은, 위치 조정 등을 위해 칼 블록에서 스크루 등을 이완하면 칼 블록의 내부가 파손되어 다시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새로운 칼 블록을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처럼 칼 블록을 교체하는 데 따른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
(5) 또한, 이처럼 한번 체결한 칼 블록은 다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창호 프레임을 시공할 때 스크루 등을 너무 강하게 체결하면 다시 스크루를 이완할 수 없으므로 간격 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18545호 (공개일 : 2004.03.03) 한국등록특허 제0602484호 (등록일 : 2006.07.11)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8722호 (공개일 : 2009.03.1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고정구를 구멍에 미리 끼워놓는 본체와 이 본체에 확장 부재를 끼워서 본체가 벌어지면서 구멍 안에서 고정이 되게 하고, 특히 상기 확장 부재에 체결 구멍을 형성하여 스크루나 비스 등을 자유롭게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확장 부재로 본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장착 간격에 따라 원하는 높이나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고, 게다가 때에 따라 스크루나 비스를 이완하여 반복적으로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를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쉽게 변형되게 하여 구멍과 확장 부재 사이를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력을 높이고, 확장 부재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비스나 스크루 등을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이완할 수 있게 한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 부재가 본체에 그 안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형상, 예를 들어서 단면을 다각형이나 타원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므로, 비스나 스크루를 체결할 때 확장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는, 벽체 등에 미리 뚫은 구멍(H)에 미리 끼우고, 스크루(S)를 체결함에 따라서 벌어지는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에서, 한쪽에는 끝에 플랜지(111)가 형성된 삽입 구멍(1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로 절개되어 벌어질 수 있게 확장 부분(120)이 형성된 본체(100); 및 한쪽이 상기 삽입 구멍(110)에 회전하지 못하게 끼워짐에 따라 확장 부분(120)이 벌어지도록 나사 부분(220)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 스크루(S)를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 확장 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 부재(2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 구멍(110)과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 확장 부재(200) 한쪽의 폭 단면이, 각각, 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원주에는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112, 2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삽입 구멍(110)과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 확장 부재(200) 한쪽의 폭 단면이, 각각, 정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멍에 끼운 본체에 확장 부재를 끼워서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이 확장 부재에 스크루를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스크루를 이완하여 쉽고 편리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2) 특히, 이러한 간격 조절은 창호 프레임과 같이 강한 힘으로 스크루를 체결함에 따라 창호 프레임과 같이 휘어져서 비틀림이 생기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을 때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스크루를 이완하여 안전하고 정확하게 창호 프레임을 시공할 수 있게 한다.
(3) 확장 부재에 스크루를 이완과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스크루를 너무 깊게 또는 덜 체결하더라도 언제든지 스크루를 이완 또는 체결을 통해 원하는 간격만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숙련되지 않은 기술자도 쉽게 스크루를 확장 부재에 체결하여 창호 프레임의 시공 등을 할 수 있고, 특히 잘못 시공되더라도 스크루의 이완과 체결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창호 프레임의 비틀림이나 수평 수직 시공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5) 확장 부재에 스크루를 체결 방식으로 체결하여 창호 프레임 등을 체결하므로, 스크루를 돌리는 양만큼 미세 조정을 할 수 있어 정밀 시공을 할 수 있다.
(6) 창호 프레임 등을 시공한 상태에서 다시 스크루를 이완하더라도 본체가 파손되지 않아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이상 현상을 수정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창호를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잘못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본체(100)와 이 본체(200)에 끼워지는 확장 부재(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확장 부재(200)는 구멍(H)에 끼워진 본체(100) 안에 끼워서 이 본체(100)가 구멍(H)과 확장 부재(200) 사이에서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게 하고, 또한 확장 부재(200)에 형성한 체결 구멍(210)에 스크루(S)를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게 구성하여 본체(100)나 확장 부재(200)의 파손 없이 임의로 원하는 대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는 벽이나 바닥 등 창호 프레임과 같은 구조물을 고정하려고 뚫어놓은 구멍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물로 창호 프레임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한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 구멍(110)을 형성한다. 삽입 구멍(110)은 후술할 확장 부재(200)를 끼우기 위한 구멍으로, 그 입구 부분에 플랜지(111)를 형성하여 [도 3]과 같이 본체(100)를 구멍(H)에 끼울 때 이 플랜지(111)에 걸려 본체(100)가 구멍(H)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구멍(110)은 확장 부재(200)를 끼웠을 때, 이 확장 부재(200)가 회전하지 않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확장 부재(200)에는 [도 5]와 같이 스크루(S)를 체결하여 창호 프레임(F) 등을 체결 고정하는 데, 이 스크루(S)는 확장 부재(200)에 체결이 되므로 체결을 위해 스크루(S)를 돌리더라도 확장 부재(200)가 회전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 구멍(110)은 폭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확장 부재(200)를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원형 폭 단면에서 원주에 [도 1]과 같이 회전 방지 돌기(112)를 형성하거나, 폭 단면을 다각형 또는 정다각형으로 형성하거나, 다각형에 회전 방지 돌기를 추가로 구성한 폭 단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삽입 구멍(110)에 확장 부재(200)를 끼움에 따라 다른 한쪽이 확장할 수 있게 확장 부분(120)을 형성한다. 확장 부분(120)은, [도 1]과 같이, 본체(100)의 다른 한쪽(플랜지의 반대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삽입 구멍(110)까지 관통하여 적어도 두 개로 절개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확장 부분(120)은 외주에 주름이나 돌기를 형성하거나 바깥쪽 끝을 좁은 형태로 형성하여 본체(100)를 구멍(H)에 쉽게 끼울 수 있게 하면서도 [도 4]와 같이 확장 부재(200)가 삽입 구멍(110)에 끼워짐에 따라 이 확장 부분(120)이 본체(100)와 확장 부재(200) 사이에 견고하게 끼여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 부분(120)은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는 두 개 또는 4개가 서로 마주하게 형성하여 삽입 구멍(110)에 확장 부재(200)를 끼움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바깥으로 벌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확장 부분(120)은 삽입 구멍(110)에 확장 부재(200)가 끼워짐에 따라 이 확장 부재(200)와의 간섭을 받아 바깥으로 벌어진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체(100)는, [도 2]와 같이 벽체 등에 미리 뚫어놓은 구멍(H)에 [도 3]과 같이 플랜지(111)가 입구에 걸쳐지도록 끼워서 삽입한다. 이때, 구멍(H)은 본체(10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뚫는 데, 이때 확장 부재(200)를 본체(100)에 끼웠을 때 이 본체(100)의 변형량을 고려하여 구멍(H)의 지름을 결정해야 함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확장 부재(200)를 삽입 구멍(110)에 삽입함에 따라 확장 부분(120)이 벌어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재질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쉽게 파손되거나 상하지 않고, 특히 이처럼 확장 부재(200)의 삽입으로 쉽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부재(200)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한쪽에 나사 부분(220)을 형성한다. 나사 부분(220)은 상술한 삽입 구멍(11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이 확장 부재(200)를 삽입 구멍(110)에 끼워서 삽입할 때 확장 부분(120)의 안까지 들어가서 이들 부분이 바깥으로 벌어지게 하여 확장 부분(120)이 본체(100)와 확장 부재(200) 사이에 긴밀하게 압착되어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특히, 상기 확장 부재(200)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다른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다. 체결 구멍(210)에는 스크루(S)를 체결하거나 이완하여 창호 프레임(F)과 같이, 고정 대상물을 고정하게 하기 위한 구멍을 말한다. [도 5]에서, 창호 프레임(F)은 창호를 시공하는 개구부에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춰서 고정한 상태로 개구부의 바닥과 창호 사이에는 충전재 등을 시공하게 되며, 이때 스크루(S)는 [도 6]과 같이 너무 강하게 체결하여 창호 프레임(F')의 바닥이 아래로 볼록하게 튀어나오지 않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6]과 같이 과다하게 스크루(S)를 체결한 경우, 이 스크루(S)를 이완하여 창호 프레임(F')이 휘지 않고 수직 수평을 맞춰서 고정할 수 있게 조절하여 시공하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확장 부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구멍(11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이 삽입 구멍(110)의 단면 형상과 같은 단면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다각형 형상에 회전 방지 돌기(230)를 돌출 성형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확장 부재(200)는 상술한 본체(100)와 같은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제작하여 확장 부분(120)의 변형이 잘 이루어지게 하면서 스크루(S)를 안정적으로 체결 이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 부재(200)는 상술한 삽입 구멍(110)에 완전히 끼웠을 때 그 바깥으로 돌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삽입 구멍(110)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길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벽체나 바닥 등에 뚫은 구멍에 끼울 수 있는 본체, 그리고 이 본체에 끼워서 고정하면서 특히 스크루를 체결과 이완할 수 있도록 확장 부재로 구성하므로, 스크루를 임의의 길이로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어 고정 대상물을 잘못 체결하거나 너무 과하게 체결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간격을 다시 조정하여 체결할 수 있다. 게다가, 이처럼 스크루를 체결하거나 이완하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본체나 확장 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
110 : 삽입 구멍
111 : 플랜지
120 : 확장 부분
200 : 확장 부재
210 : 체결 구멍
220 : 나사 부분
230 : 회전 방지 돌기
H : 구멍
S : 스크루

Claims (4)

  1. 벽체 등에 미리 뚫은 구멍(H)에 미리 끼우고, 스크루(S)를 체결함에 따라서 벌어지는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에서,
    한쪽에는 끝에 플랜지(111)가 형성된 삽입 구멍(1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로 절개되어 벌어질 수 있게 확장 부분(120)이 형성된 본체(100); 및
    한쪽이 상기 삽입 구멍(110)에 회전하지 못하게 끼워짐에 따라 확장 부분(120)이 벌어지도록 나사 부분(220)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 스크루(S)를 체결하거나 이완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 확장 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
  2. 제1 항에서,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 부재(2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
  3. 제1 항에서,
    상기 삽입 구멍(110)과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 확장 부재(200) 한쪽의 폭 단면이, 각각,
    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원주에는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회전 방지 돌기(112, 2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삽입 구멍(110)과 체결 구멍(210)을 형성한 확장 부재(200) 한쪽의 폭 단면이, 각각,
    정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구.
KR1020170023575A 2017-02-22 2017-02-22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KR20180097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75A KR20180097020A (ko) 2017-02-22 2017-02-22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75A KR20180097020A (ko) 2017-02-22 2017-02-22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20A true KR20180097020A (ko) 2018-08-30

Family

ID=6345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75A KR20180097020A (ko) 2017-02-22 2017-02-22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7265A1 (de) * 2021-02-22 2022-08-24 Johannes Jungel-Schmid Abhängevorrichtung zum abhängen von gegenständ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45A (ko) 2001-08-04 2004-03-03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확장가능한 고정 플러그
KR100602484B1 (ko) 2000-03-09 2006-07-19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확장가능한 고정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벽돌 벽체의 목재고정부
KR20090028722A (ko) 2006-06-27 2009-03-19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확장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84B1 (ko) 2000-03-09 2006-07-19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확장가능한 고정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벽돌 벽체의 목재고정부
KR20040018545A (ko) 2001-08-04 2004-03-03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확장가능한 고정 플러그
KR20090028722A (ko) 2006-06-27 2009-03-19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확장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7265A1 (de) * 2021-02-22 2022-08-24 Johannes Jungel-Schmid Abhängevorrichtung zum abhängen von gegenständen
WO2022175922A1 (de) * 2021-02-22 2022-08-25 Jungel Schmid Johannes Abhängevorrichtung zum abhängen von gegenständen sowie raumdec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6684B2 (ja) 自動的に穿孔する中空壁用アンカー
EP3115627B1 (en) Expansion anchor
KR101467929B1 (ko) 앵커 볼트
JP2017502225A (ja) 回転止めを備えた拡張アンカ
US10495131B2 (en) Blind nut, a blind nut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US3437004A (en) Sheet metal expandable fastener
TR201812975T4 (tr) Genişleyen dübel ve genişleyen dübelin montaj yöntemi.
US7517182B2 (en) Screw anchor
KR101404938B1 (ko) 펀칭작업이 필요없는 개선된 세트 앵커볼트
RU2666935C2 (ru) Дюбель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ля креп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20180097020A (ko) 쉽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고정용 고정구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RU2642720C2 (ru) Дюбель и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слоя материала
US10690165B2 (en) Toggle fixing
KR101168164B1 (ko) 앵커볼트
KR20120105129A (ko) 확장형 앵커볼트
KR20150103491A (ko) 슬리브의 길이를 크게 줄인 개량형 세트 앵커볼트
KR101966705B1 (ko) 가림판 장착용 싱크대 다리
US10344790B2 (en) Masonry anchor of the expansion type
GB2028950A (en) Anchoring Assemblies
KR20190026349A (ko) 앙카볼트
US11056867B2 (en) Installation apparatus consisting of a wall plug and a holder which can be screwed therein for installing flush-mounted devices
JP2017166687A (ja) 拡張アンカー装置
JP2021025276A (ja) 後施工アンカー及び後施工アンカー用ブッシュ
GB2199914A (en) Blind fasten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