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16A -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 Google Patents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16A
KR20180097016A KR1020170023561A KR20170023561A KR20180097016A KR 20180097016 A KR20180097016 A KR 20180097016A KR 1020170023561 A KR1020170023561 A KR 1020170023561A KR 20170023561 A KR20170023561 A KR 20170023561A KR 20180097016 A KR20180097016 A KR 2018009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unit
hard disk
smart phon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1045B1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찬 filed Critical 박종찬
Priority to KR102017002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0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9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uxiliary device, which allows an optical lens to be mounted on a smartphone, and includes a large capacity storage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operated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to be mounted on smartphones of various sizes so as to easily take a photo or record a video using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unit (100) having a smartphone mounting unit (110) formed with a smartphone mounting hole for inserting a smartphone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 lens hole (141)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martphone observing window (143) to check a captured image through a screen of the smartphone on a rear surface thereof; a guide unit (190) including a connector pin unit (193)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a connector of the smartphone, and coupled to a data connector terminal unit of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mounting unit (110) to be mounted in the smartphone mounting unit (110) to support the smartphone; a photographing switch unit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smartphone mounting ho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unit (100)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f the smartphone; and a flash unit (130) installed i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unit (100) to provide illumination for the photographing.

Description

스마트폰 보조장치{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광학렌즈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용량 저장장치와 보조 전원으로 작동하는 충전장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uxilia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capable of mounting an optical lens on a smartphone and equipped with a mass storage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that operates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martphone auxiliary apparatus which can easily perform photographing or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using a smartphone.

현재의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 이외에 고기능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향상된 카메라의 기능을 구비한다.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e current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camera and has a camera function that is improved enough to replace a general camera device.

그러나,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디지털 줌 기능 이외의 렌즈를 통한 전문적 촬영및 광학렌즈에 의한 줌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원거리 시야에 대한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professional photographing through a lens other than the digital zoom function and a zoom function by an optical lens, which has limitations in photography and moving picture shooting for a long-distance view.

또한,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를 위하여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크기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장시간의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을 위한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battery must be minimized in order to keep the size of the smartphone compact for carrying, there is a problem that sufficient power can not be supplied for a long time photographing or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또한, 스마트폰은 내부적으로 손떨림 보정기능이 있으나 이하의 본 발명은 외형이 카메라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 진및 동영상 촬영시 안정된 형태로 촬영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mart phone has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nternal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mera shap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possible to take a photograph in a stable form when taking pictures and moving pictur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광학렌즈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용량 저장장치와 보조배터리부를 구비하여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시 저장 공간이나 전원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며,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which can easily apply an optical lens to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a smartphone having various sizes so that photographing or movie shooting using a smart phon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convenience of carrying is avoided by not having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auxiliary device for providing a smartpho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조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에 스마트폰을 삽입하는 스마트폰 장착구멍이 형성된 스마트폰 장착부(110)가 형성되고, 정면으로는 렌즈구멍(141)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관측창(143)이 형성된 케이스부(100);A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having a smartphone mounting hole for inserting a smartphon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lens hole 14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A case part 100 having a smartphone viewing window 143 formed therein;

스마트폰의 커넥터에 삽입 접속되는 커넥터핀부(193)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에 삽입된 스마트폰의 데이터 커넥터 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부(190);And a connector pin portion 193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smartphone. The connector pin portion 193 is coupled to the data connector terminal portion of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A guide part 190 mounted on the guide part 190;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부면 중 상기 스마트폰 장착구멍의 일 측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스위치부(120); 및A photographing switch part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part 100 to control photographing of the smartphone; And

촬영을 위한 조명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스부(100)의 정면에 설치되는 플래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lash unit 13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unit 100 to perform illumination for photographing.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상기 렌즈구멍(141)의 외측면의 위치에 형성되어 광학렌즈가 탈장착되는 광학렌즈장착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n optical lens mounting part 140 formed at a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e 141 and adapted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optical lens.

상기 가이드부(190)는 서로 다른 길이의 스마트폰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unit 190 may be mounted mova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mounting part 110 so as to be coupled with smartphones having different lengths.

상기 가이드부(190)는.The guide portion 190 is formed of a metal plate.

상기 스마트폰의 지지를 위해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관측창(143)으로 노출되는 가이드 손잡이(1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guide knob 191 exposed to the smartphone observation window 143 so as to be moved for supporting the smartphone.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가 탈장착되는 하드디스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hard disk unit 150 in which a hard disk for storing photographs or moving picture data photographed using a camera of a smart phone installed therein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171)가 탈장착되는 충전배터리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in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171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is detached and attached.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하드디스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칩(181)이 탈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메모리칩장착부(180);A memory chip mounting part 180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part 100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memory chip 181 for storing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he hard disk part 150;

외부전원의 공급 또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단자부(170); 및A USB terminal unit 170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or communicat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And

커넥터핀부(193)와 스마트폰의 접속을 감지한 후, 상기 촬영스위치부(120)의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과 하드디스크부(150)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와의 데이터를 통신을 제어하며, USB단자부를 통한 전원 공급 및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고, 충전배터리부(160)의 충방전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장치제어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fter sensing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pin part 193 and the smartphone, the switch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switch part 120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mart phone and the hard disk mounted on the hard disk part 150 And an auxiliary device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data,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a USB terminal unit,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charging / discharging and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battery unit Lt; / RTI >

상기 하드디스크부(150)는, The hard disk unit 150 includes:

스마트폰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내장 메모리, 하드디스크(151) 또는 메모리칩(181)에 저장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스위치(154)가 형성된다.A selection switch 154 is formed to allow selection of whether to store the photograph or video data photographed by the smart phone in the built-in memory, the hard disk 151 or the memory chip 181 of the smart phone.

상기 케이스부(100)는,The case 100 includes:

상기 플래쉬부(130)의 플래쉬 기능을 온오프시키는 플래쉬부 온오프 스위치(131)가 형성된다.Off switch 131 for turning on and off the flash function of the flash unit 130 is formed.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조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광학렌즈의 탈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대용량 저장 공간 및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시의 저장 공간이나 전원의 부족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의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스마트폰 자체의 사용성 또한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nables a smartphone of various sizes to be easily mounted, thereby enabling the optical lens for photographing or movie shooting using a smart phone to be removed, And power supply, it solves the problem of storage space and power shortage when taking pictures and movies using smart phone,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function of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using smart phone, an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smart phone itself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정면사시도.
도 2는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FIG.
3 i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Fig.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s of disclosure, an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uxiliary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auxiliary apparatus 1.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도록 케이스부(100)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촬영스위치부(120), 스마트폰의 촬영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도록 케이스부(100)의 정면에 형성되는 플래쉬부(140), 광학렌즈가 탈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광학렌즈장착부(140), 케이스부(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드디스크(151)가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부(150), 충전배터리(161)가 탈장착되도록 케이스부(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충전배터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includes a case 100 in which a smartphone is inserted, a camera 100 for controlling the camera shooting of the smartphone installed in the case 100, A flash unit 140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unit 100 to provide illumination for photographing a smartphone, a lens unit 140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optical lens to the camera unit 100, A hard disc unit 15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unit 100 and having the hard disc 151 mounted thereon and a case body 100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unit 100 for removably attach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61, And a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formed therein.

상기 케이스부(100)는 스마트폰이 내부로 장착되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스마트폰 장착구멍으로 되는 스마트폰 장착부(110)가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하는 정면의 위치에는 렌즈구멍(141)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폰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촬영 영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관측창(143)이 형성된다.The case part 100 is formed as a hexahedron in which a smartphone mounting part 110 is formed in which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is mounted inside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form a smartphone mounting hole. In addition, a lens hole 141 is formed at a fron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lens of the smartphone, and a smartphone installed in the inside can be identified. A smartphone viewing window 143 is formed.

또한,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의 내측에는 스마트폰의 데이터 커넥터 단자부에 삽입 접속되는 커넥터핀부(193)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에 삽입된 스마트폰의 데이터 커넥터 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가이드부(19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onnector pin 193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a data connector terminal of the smartphon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mounting part 110, and is coupled to a data connector terminal part of a smartphone inserted in the smartphone mounting part 110, A guide portion 190 for supporting the smartphone is formed.

상기 가이드부(190)는 서로 다른 길이의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보조장치(1)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스마트폰을 장착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190)에는 스마트폰의 지지를 위해 가이드부(19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 관측창(143)으로 노출되는 가이드 손잡이(191)가 구비된다.The guide unit 19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movab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smartphone mounting unit 110 so that the smartphone having different lengths can be mounted on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Size smart phone and fix it. To this end, the guide part 190 is provided with a guide knob 191 which is exposed to the smartphone observation window 143 so that the guide part 190 can be moved to support the smart phone.

상기 케이스부(100)의 측면에는 외부전원의 공급 또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단자부(170)와, 메모리칩(181)이 탈장착되는 메모리칩장착부(180)가 형성된다.A USB terminal unit 170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or for communicat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memory chip mounting unit 180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memory chip 181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unit 100.

상기 광학렌즈장착부(14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광학렌즈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렌즈구멍(141)이 형성된 위치의 케이스부(100)의 정면에 형성된다.The optical lens mounting part 1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part 100 at a position where the lens hole 141 is formed so that various optical lenses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s required.

또한, 상기 케이스부(100)의 배면에는 플래쉬부(130)의 플래쉬 기능을 온오프시키는 플래쉬부 온오프 스위치(131)가 형성된다.A flash unit ON / OFF switch 131 for turning on / off the flash function of the flash unit 1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unit 100.

도 3은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3 i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martphone auxiliary apparatus 1. As shown in FIG.

도 3과 같이,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 외부의 전원을 스마트폰 보조장치(1)는 촬영스위치부(120), 플래쉬부(130), 메모리칩장착부(180), 하드디스크부(150), 충전배터리부(160)의 구동을 제어하고, USB 단자부(170)를 구성하는 USB 드라이버를 통한 외부전원의 입력 또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며, 커넥터핀부(193)의 스마트폰과의 접속을 인식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보조장치제어부(200)와 상기 각 구성들로 외부에서 입력된 전원을 필요에 따라 전압과 전류를 가변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0)와 외부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부(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may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through the photographing switch unit 120, the flash unit 130, the memory chip mounting unit 180, the hard disk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to control the input of external power or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USB driver constituting the USB terminal unit 170, And a power supply unit 210 for varying a voltage and an electric current according to need, and a power supply unit 210 for supplying powe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20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상기 하드디스크부(150)에는 하드디스크(151)의 구동을 제어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부(153)가 구비된다. 상기 하드디스크부(150)의 측면에는 스마트폰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내장 메모리, 하드디스크(151) 또는 메모리칩(181)에 저장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스위치(154)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하드디스크부(150)에는 노트북용 하드디스크 또는 PC용 하드디스크 등의 하드디스크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뚜껑이 구비된다. 보조장치제어부(200)는 선택스위치(154)를 감지하여 사용될 저장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게 된다.The hard disk unit 150 is provided with a hard disk drive unit 15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rd disk 151. A selection switch 154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ard disk unit 150 to select whether to store the photo or moving picture data photographed by the smart phone in a built-in memory, a hard disk 151 or a memory chip 181 of the smart phone. . In addition, a hard disk unit 15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lid on one side thereof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hard disk such as a notebook hard disk or a PC hard disk. The auxiliary device control unit 200 senses the selection switch 154 and selectively drives the storage device to be used.

상기 충전배터리부(160)는 내부에 충전배터리(161)가 장착되며, 전원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전우너을 이용하여 충전배터리(161)를 충전하는 충전제어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은 후 충전된 후, 스마트폰 보조장치(1)와 스마트폰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161 and a charge control unit 163 that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161 using a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supplies power to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and the smartphone after being charged after receiving external power.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210)는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충전배터리부(160)의 충전전원을 스마트폰 보조장치(1)와 스마트폰으로 공급하도록 동작한다.For this, the power supply unit 210 operates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to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and the smartphone when no external power is supplied.

상기 근거리통신부(220)는 NFC,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The local communication unit 220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NFC, Bluetooth, WIFI, and the like.

상술한 구성의 스마트폰 보조장치(1)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스마트폰장착부(110)의 스마트폰 장착구멍을 통해 스마트폰을 스마트폰장착부(110)에 삽입한다. 이후, 가이드손잡이(193)를 이용하여 가이드부(190)를 스마트폰의 길이에 따라 수평 이동시킨 후, 커넥터핀부(193)를 스마트폰의 커넥터핀 단자부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보조장치(1)에 장착시킨다. 커넥터핀부(193)가 스마트폰의 커넥터핀 단자부에 결합되면, 보조장치제어부(200)가 이를 인식하여, 플래쉬부(130)와 하드디스크부(150), 충전배터리부(160), USB장착부(170) 및 메모리칩장착부(180)가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동작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auxiliary apparatus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user inserts his or her smartphone into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through the smartphone mounting hole of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 Thereafter, the guide portion 190 is horizontally mov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martphone using the guide knob 193, and then the connector pin portion 193 is coupled to the connector pin terminal portion of the smart phone, And is mounted on the apparatus 1. When the connector pin portion 193 is coupled to the connector pin terminal portion of the smartphone, the auxiliary device control unit 200 recognizes the connection pin portion 193 and connects the flash unit 130 to the hard disk unit 150,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170 and the memory chip mounting unit 180 are operat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이 후, 촬영스위치부(120)를 통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가 커넥터핀부(193)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인가되어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구동하여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플래쉬부(130)의 플래쉬 구동이 설정된 경우에는 플래쉬가 사진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중 조명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switching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switch unit 120, the correspond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mart phone through the connector pin unit 193, and the camera of the smart phone is driven to perform photographing or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At this time, when the flash drive of the flash unit 130 is set, the flash performs illumination during photographing or moving picture shooting.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은 선택스위치(154)의 스위치 상태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하드디스크부(150)의 하드디스크(151) 또는 메모리칩장착부(180)의 메모리칩(1810에 저장된다.The photograph or moving picture photographed by the smartphone can be displayed on the hard disk 151 of the smartphone or hard disk unit 150 or on the memory chip of the memory chip mounting unit 180 according to the switch state of the select switch 154. [ (1810).

이러한 동작 과정 중 필요한 전원은 충전배터리부(160)에 의해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보조장치(1)로 공급된다.During this operation, the necessary power is supplied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by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스마트폰 보조장치 100: 케이스부
110: 스마트폰장착부 120: 촬영스위치부
131: 플래쉬부 온오프 스위치 130: 플레쉬부
140: 광학렌즈장착부 141: 렌즈구멍
143: 스마트폰관측창 150: 하드디스크부
154: 선택스위치 160: 충전배터리부
161: 충전배터리 163: 충전제어부
170: USB 단자부 180: 메모리칩장착부
190: 가이드부 191: 가이드 손잡이
193: 커넥터핀부
1: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00: case part
110: smartphone mounting part 120: photographing switch part
131: flash unit on-off switch 130: flash unit
140: Optical lens mounting part 141: Lens hole
143: Smartphone observation window 150: Hard disk part
154: selection switch 160: charging battery section
161: Rechargeable battery 163:
170: USB terminal part 180: Memory chip mounting part
190: guide portion 191: guide handle
193: Connector pin section

Claims (9)

상부에 스마트폰을 삽입하는 스마트폰 장착구멍이 형성된 스마트폰 장착부(110)가 형성되고, 정면으로는 렌즈구멍(141)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관측창(143)이 형성된 케이스부(100);
스마트폰의 커넥터에 삽입 접속되는 커넥터핀부(193)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에 삽입된 스마트폰의 데이터 커넥터 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부(190);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부면 중 상기 스마트폰 장착구멍의 일 측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스위치부(120); 및
촬영을 위한 조명을 수행하도록 상기 케이스부(100)의 정면에 설치되는 플래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A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having a smartphone mounting hole for inserting a smartphon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lens hole 14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A case part 100 having a smartphone viewing window 143 formed therein;
And a connector pin portion 193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smartphone. The connector pin portion 193 is coupled to the data connector terminal portion of the smartphone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mounting portion 110, A guide part 190 mounted on the guide part 190;
A photographing switch part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part 100 to control photographing of the smartphone; And
And a flash unit (13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part (100) to perform illumination for photograph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멍(141)의 외측면의 위치에 형성되어 광학렌즈가 탈장착되는 광학렌즈장착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tical lens attaching part (140) formed at a posi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hole (141) and adapted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optical le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90)는,
서로 다른 길이의 스마트폰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장착부(110)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 auxiliary unit being configured to be movably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smartphone mounting unit (11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smartphone having different length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90)는.
상기 스마트폰의 지지를 위해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관측창(143)으로 노출되는 가이드 손잡이(1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portion (190)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guide handle (191) exposed to the smartphone viewing window (143)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moved to support the smart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가 탈장착되는 하드디스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ard disk unit (150) on which a hard disk for storing photographs or moving picture data photographed by using a camera of a smart phone installed therein is detachably moun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171)가 탈장착되는 충전배터리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for re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71)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가 탈장착되는 하드디스크부(150);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 보조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171)가 탈장착되는 충전배터리부(160);
외부전원의 공급 또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USB단자부(170);
스마트폰과 상기 하드디스크부(15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칩(181)이 탈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메모리칩장착부(180);및
상기 커넥터핀부(193)와 스마트폰의 접속을 감지한 후, 상기 촬영스위치부(120)의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과 하드디스크부(150)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와의 데이터를 통신을 제어하며, 상기 USB단자부(170)를 통한 전원 공급 및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고, 충전배터리부(160)의 충방전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장치제어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rd disk unit 150 for loading or unloading a hard disk for storing photographic or moving image data photographed using a camera of a smart phone installed therein;
A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for re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71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1;
A USB terminal unit 170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or communicat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chip mounting part 180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part 100 so that a memory chip 181 for storing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 phone and the hard disk part 150 is detachably attached;
After sensing the connection of the smartphone with the connector pin 193, the switch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switch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and the smart phone is connected to the hard disk mounted on the hard disk unit 150 An auxiliary device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data,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the USB terminal unit 170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charge / discharge and power suppl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60; The smartphone auxiliary device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스마트폰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내장 메모리, 하드디스크(151) 또는 메모리칩(181)에 저장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스위치(1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election switch (154)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whether to store the photo or video data photographed by the smartphone in the built-in memory, the hard disk (151) or the memory chip (181) of the smart phon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부(130)의 플래쉬 기능을 온오프시키는 플래쉬부 온오프 스위치(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ash unit on / off switch (131) for turning on / off the flash function of the flash unit (130).
KR1020170023561A 2017-02-22 2017-02-22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KR102021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61A KR102021045B1 (en) 2017-02-22 2017-02-22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61A KR102021045B1 (en) 2017-02-22 2017-02-22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16A true KR20180097016A (en) 2018-08-30
KR102021045B1 KR102021045B1 (en) 2019-09-11

Family

ID=6345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61A KR102021045B1 (en) 2017-02-22 2017-02-22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0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45478A1 (en) * 2022-08-05 2024-02-08 Tilta Inc. Expansion device for built-in hard dis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327A (en) * 2004-09-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uxiliary device for mobile phone
KR101461355B1 (en) * 2013-09-26 2014-11-13 우영찬 radioactivity pollution photo detector with smart device
KR20150089652A (en) * 2014-01-28 2015-08-05 송재훈 Portable Memory Drive of Multi-purpose
US9369615B1 (en) * 2010-08-03 2016-06-14 Drake R. Rice Camera for handheld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327A (en) * 2004-09-16 200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uxiliary device for mobile phone
US9369615B1 (en) * 2010-08-03 2016-06-14 Drake R. Rice Camera for handheld device
KR101461355B1 (en) * 2013-09-26 2014-11-13 우영찬 radioactivity pollution photo detector with smart device
KR20150089652A (en) * 2014-01-28 2015-08-05 송재훈 Portable Memory Drive of Multi-purp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45478A1 (en) * 2022-08-05 2024-02-08 Tilta Inc. Expansion device for built-in hard di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045B1 (en)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41516A1 (en) Attachable smartphone camera
JP4797750B2 (en) Camera and camera system
US20050122416A1 (en) Camcorder having detachable display part
KR20100106804A (en) Structure for battery cove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130135512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docking station thereof
US20050200335A1 (en) Apparatus
JP2009058921A (en) Tray for battery, electronic apparatus, and vertical position grip device
CN108965672A (en) Second camera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97016A (en) Assist apparatus for smart phone
KR20190002768U (en) Detachable grip for mobile phone
KR20110002823A (en) Removable device in integrated case for portable rechargeable power supply of auxiliary function and optical zoom of digital camera funtion
JP2005244633A (en) Cradle
JP2007271923A (en) Camera and camera system
KR20120040824A (en) Accessories for bar type cellular phone
KR20200071524A (en) Self photographing stick having function for wireless charging of smart device
CN209089076U (en) Second camera device
WO2020034995A1 (en) Auxiliary camer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070495B2 (en) Cradle for digital camera
JP4425483B2 (en) Electronic equipment system
JP4065740B2 (en) Cradle device
JP2007060720A (en) Camera accessory device
JP4129159B2 (en) Camera accessories
JP2007209055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harg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83859B1 (en) A shield case fo smart device or its method
JP4541103B2 (en)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