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65A -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65A
KR20180096165A KR1020170022492A KR20170022492A KR20180096165A KR 20180096165 A KR20180096165 A KR 20180096165A KR 1020170022492 A KR1020170022492 A KR 1020170022492A KR 20170022492 A KR20170022492 A KR 20170022492A KR 20180096165 A KR20180096165 A KR 2018009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on
space
layer
space mode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454B1 (ko
Inventor
윤창옥
윤태수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 및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인텔리전스 환경에서의 스마트 인터랙션를 정의하고 인터랙션 속성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현실 스페이스, 가상 스페이스로 2개로 구분하여 스페이스에서의 다양한 인터랙션 기법들을 제공하고,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각 구성되는 요소들을 레이어별로 나눠서 레이어별 속성과 분류를 통해 인터랙션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여러 대의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대규모 디스플레이 관리, 효율적 콘텐츠 관리 모듈,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모듈, 주변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드웨어 설계를 위한 환경 및 다양한 장치 설계를 통해 인터랙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젝터 기반 대규모 디스플레이, 불규칙 곡면 디스플레이, LCD 및 CRT 기반 반투영 미러 디스플레이, LED array bar를 통한 스페이스 인식 디스플레이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INTERACTION SPACE MODEL SYSTEM FOR AMBIENT INTELLIGENCE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텔리전스 환경에서의 스마트 인터랙션를 정의하고 인터랙션 속성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을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HCI(Human-Centric Interaction)는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이하,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HCI 연구는 자연적으로 물리적 세계에서의 수명 기간 동안 개발된 인간의 기술과 능력을 활용한다.
인간과 컴퓨터간의 인터랙션은 기술발전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랙션 패러다임은 디바이스, 컴퓨팅 환경, 인간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패러다임은 출발점이 인터랙션 스페이스 환경이라기보다 기술발전에 의해 운용(구동)된다. 즉, 인터랙션 입력 디바이스에 따라 인터랙션 환경이 결정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마트라는 의미는“정보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로서, 현재까지 기대할 수 없었던 정보의 처리 능력을 가진 지능화된 또는 지능형(intelligent)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상술한 인터랙션과 스마트를 결합한 스마트 인터랙션은 업계나 학계에서 그 정의가 명확하게 합의된 용어는 아니다. 보편적으로 정의되는 의미에서 스마트 인터랙션은 기기와 인터랙션을 하는데 있어 음성, 동작 등 보다 인간 친화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관련 분야로 음성인식, 동작인식, 얼굴인식, 감성인식, 마인드인식(BCI) 등을 꼽을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발달로 이러한 지능화된 지능형 인터랙션을 스마트 인터랙션이라고 지칭하고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원하는 정보를 얻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변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즉 스마트 인터랙션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의 스마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인터랙션 기법들이 기술발달로 인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텐저블 인터페이스는 현실 세계의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가상세계의 디지털 정보를 제어하는 직관적인 상호 작용을 지원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프로젝터 기반의 디지털 데스크(Digital Desk), ARTable 환경에서 퍽(Puck)이나 물리적인 객체를 사용하여 인터랙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접촉식 멀티 인터랙션 기법을 통해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인 MS Surface, Smart Skin 등의 연구와 영상 센서와 모션 인식 센서들을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한 스페이스 인터랙션 기법들도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또한 프로젝터나 LCD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터페이스 연구로 HoloWall, iRoom, GossipWall 등의 다양한 연구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들은 사용자가 입력, 디스플레이에 제한되거나 접근에 대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랙션 장치 기술들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장치 중심 접근법과는 달리 스페이스 중심으로 인터랙션을 설계하여 현실과 가상을 나누어 인터랙션 생태계 모델링에 대한 접근 방법을 스페이스 중심의 스마트 인터랙션을 제시함으로서, 스페이스 중심의 스마트 인터랙션을 통해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원하는 정보를 얻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작이나 주변 디바이스를 활용한 지능형 인터랙션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79519호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구축 및 요구분석의 구조적 통합서비스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99317호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구현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을 통해 스페이스 중심의 인터랙션을 설계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랙션 설계자가 패턴들을 기반으로 인터랙션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페이스중심의 인터랙션 생태계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콘텐츠 적용을 위해 인터랙션 스마트 콘텐츠 미들웨어(스마트 콘텐츠 플랫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실 스페이스, 가상 스페이스로 2개로 구분하여 스페이스에서의 다양한 인터랙션 기법들을 제공하고,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각 구성되는 요소들을 레이어별로 나눠서 레이어별 속성과 분류를 통해 인터랙션을 설계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어별 분류를 스페이스, 입력, 출력이 되는 속성으로 나누고, 레이어별 선택한 후 선택된 속성별로 만들고자 하는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은,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 및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은,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현실 스페이스(1-1)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설계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은,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가상 스페이스(1-2)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설계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은,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현실 스페이스(1-1)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제 1 단계에서 설계된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가상 스페이스(1-2)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제 1 단계에서 설계된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텔리전스 환경에서의 스마트 인터랙션를 정의하고 인터션 랙속성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현실 스페이스, 가상 스페이스로 2개로 구분하여 스페이스에서의 다양한 인터랙션 기법들을 제공하고, 인터랙션 생태계를 분석함으로써 각 구성되는 요소들을 레이어별로 나눠서 레이어별 속성과 분류를 통해 인터랙션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여러 대의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대규모 디스플레이 관리, 효율적 콘텐츠 관리 모듈,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모듈, 주변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드웨어 설계를 위한 환경 및 다양한 장치 설계를 통해 인터랙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프로젝터 기반 대규모 디스플레이, 불규칙 곡면 디스플레이, LCD 및 CRT 기반 반투영 미러 디스플레이, LED array bar를 통한 스페이스 인식 디스플레이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제공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설계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제공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적용 환경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 생태계 분석기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적용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각각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 그룹핑된 현실 스페이스 모델 및 가상 스페이스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형성된 가상 스페이스 패턴 및 현실스페이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제공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110), 제어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며, 제어부(120)는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서버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단말 또는 시스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도 1과 같은 구성을 통해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상에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도 2와 같은 스페이스(스페이스) 중심의 인터랙션 생태계 분석 및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인터랙션을 기기와 인터랙션을 하는데 있어 음성, 동작 등 보다 인간 친화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며, 본 발명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랙션들에 대해서 분석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레이어별로 나눠진 속성과 분류를 통해 생태계의 특성들을 기반으로 인터랙션을 설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의 제어부(12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은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은 레이어 라벨별 선택을 하고 선택된 속성별로 만들고자 하는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표 1과 같은 레이어별 인터랙션 분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 1과 같이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제공된 각 레이어(Layer)는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되는 속성으로 나눠서 분류하고, 레이어별로 분류코드를 정의하여 상세 분류값들을 제공되는 것이다.
레이어 분류 설명 상세 분류
S Layer
(1)
인터랙션 스페이스
(Space)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는 스페이스
(현실, 증강현실, 가상)
현실 스페이스
(Real Space)
(1-1)
가상 스페이스
(Virtual Space)
(1-2)
인터랙티브 테이블, 벽면 디스플레이, 스마트디바이스 등 증강현실 어항,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일반 컴퓨터 환경
D Layer
(2)
인터랙션 출력
(Display)
인터랙션 결과가 출력되는 방식
(평면, 곡면 프로젝터, FPD)
평면(Planar)
(2-1)
비평면(Non-Planar)
(2-2)
모니터,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기반 곡면 디스플레이, 불규칙 곡면 디스플레이
I Layer
(3)
인터랙션 주체
(Input)
인터랙션을 하는 입력하는 방식
(물체, 디바이스, 손, 머리)
오브젝트(Object)
(3-1)
사람(Person)
(3-2)
카드, 스틱, 퍽 마우스, 키보드, 스마트 입력 장치 손, 머리 등
A Layer
(4)
인터랙션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인터랙션 콘텐츠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공개 정보 콘텐츠
(4-1)
개인화된 콘텐츠
(4-2)
광고, 날씨정보, 사진찍기, 게시판, 그림판, 단체 게임 SNS, Email, 일정관리, 개인 게임
상기 표 1의 각 레이어별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S Layer(1)는 스페이스 레이어(Space Layer)를 지칭하며, 인터랙션이 일어나는 스페이스를 현실 스페이스(1-1), 가상 스페이스(1-2)로 2개로 나눠서 분류하는 레이어이다. S Layer(1)는 인터랙션 설계시 입력을 통해 일어날 수 있는 실제 인터랙션 환경을 설계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제 터치를 통해 반응이 일어나는 현실 스페이스 인터랙션과 물체나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가상스페이스 인터랙션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D Layer(2)"는 디스플레이(Display Layer)를 지칭하며, 인터랙션의 입력에 따른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로서 입력되어진 내용이 어떻게 반응되어 출력되는 방식을 분류하는 레이어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FPD(Flat-Panel Display) 등을 이용한 평면 방식(2-1)과 프로젝터 등과 같은 것을 이용한 비평면 방식(2-2)으로 나눠지며, 사용자에게 인터랙션에 대한 반응값을 보여준다. 인터랙션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매질을 기준으로 평면 디스플레이 인터랙션이과 불규칙 곡면 디스플레이 인터랙션으로 나눌 수 있다.
"I Layer(3)"는 입력 레이어(Input Layer)를 지칭하며, 인터랙션을 일으키는 주체로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분류하는 레이어이다. 단순한 물체나 디바이스를 통한 입력방식, 사람이 직접 터치를 통한 입력 방식으로 나누게 된다. 인터랙션이 가능한 물체(스틱, 공, 디바이스)를 통한 오브젝트 인터랙션(3-1)과 사람의 직접 터치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3-2), 그 밖의 비접촉식 인터랙션으로 나눌 수 있다.
"A Layer(4)"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를 지칭하며, 인터랙션을 적용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입력되어진 정보를 다양한 콘텐츠로의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어이다. 콘텐츠는 크게 공개 정보 콘텐츠(4-1)와 개인화된 콘텐츠(4-2)로서, 공개 정보 콘텐츠(4-1)는 다수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형태이며, 개인화된 콘텐츠(4-2)는 개인화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형태이다.
한편,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은 특별한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표 1의 이러한 속성이 물리적 이동의 범위를 추가로 고려하여야 한다.
즉,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은 표 1의 속성을 기반으로 기존 인터랙션들의 속성을 분류하고 분류된 속성별로 스페이스에 대해서 상세 구분하기 위하여 표 2와 같은 스페이스별 상세 구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스페이스별 인터랙션 속성 분류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분류
속성
스페이스별 상세 구분
현실 스페이스(1-1) 가상 스페이스(1-2)
인터랙션 스페이스
(Space)
참여자(인원) 1인 이상 참여자 1인 참여자
참여도(현실감) 현실감이 크고 체감성이 높음 현실감은 작고 체감성도 적음
하지만 몰입도가 높음
인터랙션 출력
(Display)
크기 대체적으로 크고, 대규모임 대체적으로 작고 개인화됨
모양 평면, 곡면, 불규칙표면 등 다양 평면
방식 프로젝터, LCD 다양하게 사용하나 대규모 형태 프로젝터, LCD 다양하게 사용하나 소형화 형태
인터랙션 주체
(Input)
정확도(감) 정확도가 낮음
(손, 머리 등 신체 입력 기반)
정확도가 중간(스마트 입력 장치)
정확도가 높음
(키보드, 마우스 등 개인 입력장치
휴대성 자연스럽고 자유롭게 휴대가능 자연스럽게 사용가능하나 유무선이 공존
사용빈도 다수 사용으로 사용빈도 제한 참여자의 성향에 따라 빈도가 다양
인터랙션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콘텐츠 공개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개인화된 콘텐츠
형태 광고, 날씨정보, 사진찍기, 게시판, 그림판, 단체 게임 SNS, Email, 일정관리, 개인 게임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한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설계 이후에,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은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한 인터랙션 생태계에서 분류된 레이어들을 기반으로 인터랙션 속성들의 상관관계를 레이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즉,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통해서 요소들을 분류하고 유기적인 관계들을 정리하고 스페이스별로 정리함으로써, 추후에 스페이스별 패턴들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기존의 상황 스페이스 모델이 "사용자 중심"의 상황들을 기반으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사용자 상황에 따른 모델에서 "스페이스 중심"으로 인터랙션 모델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기존 모델을 단순화함으로써 설계자가 쉽게 인터랙션 스페이스를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 패턴에 대한 개념 정리 및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통해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을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설계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제공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적용 환경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설계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의 요소는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각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내에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에 대한 각 정의와 분류된 내용을 모델링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한 생태계에 맞는 중심 인터랙션 패턴으로 2가지를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 각각 제시(현실 중심, 가상 중심으로의 인터랙션 설계 패턴)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모델링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의 각 요소별로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는 인터랙션이 일어나는 세계에서 바라보는 관점으로 환경을 구성한다. 즉, 일반적으로 현실 스페이스(1-1)와 가상 스페이스(1-2)로의 세계로 구분한다. 이러한 스페이스는 사용자의 목적 및 상황에 따라 변하며,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중심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첫 단계가 된다.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는 사용자가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랙션 입력장치(10b-1)와 인터랙션 출력장치(10-2)가 구비되어 있는 스페이스로써,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지기 위한 동작대기 스페이스이다. 이를 다시 인터랙션의 적용되고 이루어지는 목적에 개인 스페이스, 공용 스페이스 등으로 인터랙션이 일어나는 상황에 따라 방안, 벽면, 컴퓨터라는 스페이스로도 나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의 사용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스페이스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는 인터랙션에 대한 입력값이 출력되는 스페이스로서, 단순히 결과값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스페이스이다. 결과값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프로젝터(200) 기반 디스플레이와, LCD 및 FPD(Flat-Panel Display) 기반 디스플레이로 나뉘며, 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나 참여자의 수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단면적인 평면 외에 대규모 곡면 디스플레이, 불규칙 곡면 디스플레이 형태로도 나뉠 수 있다.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은 인터랙션이 실제로 일어나는 영역을 지칭하며,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비접촉을 통해 인터랙션이 일어나는 스페이스이다. 즉, 사용자가 실제 접촉을 통해 인터랙션이 일어나는 터치방식 기술들이 적용되며, 사용자의 스페이스 터치를 통해 카메라로 영역을 추출하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나뉜다. 여기서, 접촉식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인터랙션을 위해 터치면을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인터랙션이 일어난다. 반면, 비접촉식 방식은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위해 터치면을 접촉하지 않고 다양한 센서기반의 인식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나 제스쳐 정보를 인식하여 인터랙션이 일어난다.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은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실제로 하기 위한 입력장치들의 셋이다. 즉, 인터랙션을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신체적용 방식, 디바이스 기반 방식, 물리적 오브젝트 기반 방식으로 나눈다.
디바이스 기반 방식은 일반적인 입력장치로서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기본 입력 장치, 스마트 디바이스 등이 있다. 신체(손, 머리)적용 방식은 보편적인 인터랙션 수단인 손과 머리를 이용한 입력방식이 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인 오브젝트(Object)는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입력장치로써 카드, 스틱 등이 있다.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은 인터랙션 환경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영역이다. 다양한 콘텐츠들이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게임, 포토, 동영상, 메시지, 광고, 페인터, 내비게이션, 날씨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기본 어플리케이션들이 적용된다. 이는 단순히 한 가지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랙션의 방식이나 환경에 따라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실질적인 인터랙션을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부분이다. 즉, 교육, 오락, 정보 등의 목적에 맞는 콘텐츠들이 제공되는 곳으로써 인터랙션 설계시에 중요한 영역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 생태계 분석기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적용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을 적용한 패턴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인터랙션 생태계 분석을 통해 인터랙션의 스페이스별 속성들(표 2 참조)에서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에 적용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2가지 패턴으로 도출하며, 이러한 패턴 분류는 인터랙션 생태계 분석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생성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Space Layer(Sn)를 기반으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는 현실과 가상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준으로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를 분류한다. 즉,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현실 스페이스(1-1)를 대규모의 공유 스페이스(Public Space)와 사무 스페이스(Office Space)로 분류하고, 가상 스페이스(1-2)를 소규모의 개인 스페이스(Private Space)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Display Layer(Dn)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영역이 프로젝터(200) 기반 디스플레이와 FPD 기반 디스플레이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또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Input Layer(In)를 기반으로 인터랙션 영역의 조작 셋 입력 기법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은 Application Layer(An)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 각각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 그룹핑된 현실 스페이스 모델 및 가상 스페이스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도 5와 같이 1차적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에 따라 모델링된 인터랙션 속성들을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서 도 6과 같은 현실 스페이스(1-1), 도 7과 같은 가상 스페이스(1-2) 별로 그룹핑이 수행된다.
즉,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은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현실 스페이스(1-1)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설계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한다.
한편,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은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가상 스페이스(1-2)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설계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 각각은 도 6의 현실 스페이스(1-1)와 도 7의 가상 스페이스(1-2)로 분류하여 각 인터랙션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유기적인 관계들을 녹색부분(Reality)과 빨간색부분(Virtual)으로 패턴화하여 표현한 뒤,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한편, 도 6의 현실 스페이스(1-1)와 도 7의 가상 스페이스(1-2)에서 각 인터랙션 속성들은 하위관계들로 종속이 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와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은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표 2의 스페이스별 인터랙션 속성 분류에서 입력(Input)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은 인터랙션의 형태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다.
1차적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에 모델링된 인터랙션 속성들은 도 5와 같이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에 의해 분류되고 정리되어,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 각 스페이스별로 그룹핑을 진행한다. 즉,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 각각은 현실 스페이스(1-1)와 가상 스페이스(1-2)로 분류하여 각 요소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유기적인 관계들을 도 6과 도 7로 표현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에서의 형성된 가상 스페이스 패턴 및 현실스페이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현실 스페이스(1-1) 및 가상 스페이스(1-2)의 각 패턴을 기반으로 도 8과 도 9와 같이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이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뒤, 요청에 따라 독출 또는 출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및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된 각 패턴들을 중심으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설계시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인터랙션 생태계 분석을 통해 인터랙션에서 각 구성별 속성들을 통해 스마트 인터랙션 설계를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며, 모델에서는 각 분류별 모델링을 통해 도 8 및 도 9와 같이 2가지 스페이스 인터랙션에 대한 패턴들을 도출하여 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S11).
단계(S11) 이후,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한다(S12).
단계(S12) 이후,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100)는 단계(S12)에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현실 스페이스(1-1)와 가상 스페이스(1-2)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단계(S11)에서 설계된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한다(S13).
인터랙션이 일어날 스페이스에 대해서 설계하고, 스페이스에서 적용가능한 인터랙션 입력 방식을 적용하고, 입력을 통한 결과값이 사용자가 원하는 스페이스에서 출력함으로써, 스마트 인터랙션은 스페이스, 입력, 출력을 캡슐화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에 맞는 환경을 제공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은 이러한 원리들에 기초하여 제안되었으며, 스페이스 설계와 더불어 입력, 출력이 연계되어 설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S Layer
2 : D Layer
3 : I Layer
4 : A Layer
10a :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
10b :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
20 :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
30 :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
30a : 조작 셋(Manipulated Set)
40 :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
100 :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서버
110 : I/O 인터페이스
120 : 제어부
120a :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
120b :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
120c :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
120d :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
1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 및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 모듈(120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현실 스페이스(1-1)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설계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현실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c);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가상 스페이스(1-2)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랙션 레이어 설정 모듈(120a)에 의해 설계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가상 스페이스 그룹핑 모듈(120d);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4. S Layer(1), D Layer(2), I Layer(3), A Layer(4)의 레이어로 구분한 뒤, 인터랙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Layer)에 대한 스페이스(Space), 출력(Display), 입력(Inpu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 속성 분류들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S Layer(1)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 액션 스페이스(Action Space)(10b), D Layer(2)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디스플레이 스페이스(Display Space)(20), I Layer(3)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인터랙션 영역(Interaction Zone)(30), 인터랙션 조작 셋(Manipulated Set)(30a), 그리고 A Layer(4)의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구조 요소로 어플리케이션 셋(Application Set)(40)으로 구분하여 각 인터랙션 요소들을 적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현실 스페이스(1-1)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제 1 단계에서 설계된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월드 스페이스(World Space)(10a)에서 분류된 속성인 가상 스페이스(1-2)를 기준으로 하위 관계의 각 속성들을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스페이스별 인터랙션의 속성인 제 1 단계에서 설계된 입력, 출력, 어플리케이션들의 관계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130)에 템플릿 형태로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방법.
KR1020170022492A 2017-02-20 2017-02-20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92A KR101894454B1 (ko) 2017-02-20 2017-02-20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92A KR101894454B1 (ko) 2017-02-20 2017-02-20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65A true KR20180096165A (ko) 2018-08-29
KR101894454B1 KR101894454B1 (ko) 2018-09-04

Family

ID=6343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92A KR101894454B1 (ko) 2017-02-20 2017-02-20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19B1 (ko) 2008-05-19 2010-09-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구축 및 요구분석의 구조적 통합서비스 방법
KR20100109420A (ko) * 2009-03-31 2010-10-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터치 기반의 대형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7692A (ko) * 2010-03-25 2011-10-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간 멀티 인터랙션 기반 3차원 입체 인터랙티브 비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9317A (ko) 2012-02-29 2013-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19B1 (ko) 2008-05-19 2010-09-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구축 및 요구분석의 구조적 통합서비스 방법
KR20100109420A (ko) * 2009-03-31 2010-10-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터치 기반의 대형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7692A (ko) * 2010-03-25 2011-10-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간 멀티 인터랙션 기반 3차원 입체 인터랙티브 비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9317A (ko) 2012-02-29 2013-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54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rouzi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convergence of augmented reality, intelligent virtual agents, and the internet of things
Maclntyre et al. Thoughts on the Future of WebXR and the Immersive Web
Wang et al. A comprehensive survey of AR/MR-based co-design in manufacturing
CN108885521B (zh) 跨环境共享
Lee et al. Towards augmented reality driven human-city interaction: Current research on mobile headsets and future challenges
Bragdon et al. Code space: touch+ air gesture hybrid interactions for supporting developer meetings
JP2023540874A (ja) 人工現実協働作業環境
Aghajan et al. Human-centric interfaces for ambient intelligence
Jewitt et al. Manifesto for digital social touch in crisis
Rodriguez et al. Gesture elicitation study on how to opt-in & opt-out from interactions with public displays
CN102541256A (zh) 具有视觉反馈的位置知晓姿势作为输入方法
Bhowmik Interactive Displays: Natural Human-Interface Technologies
Kjeldsen et al. Dynamically reconfigurable vision-based user interfaces
CN107079065A (zh) 电话平板装置
Wu et al. Influence of cultural factors on freehand gesture design
Fikkert et al. Interacting with visualizations
Zhou et al. Innovative wearable interfaces: an exploratory analysis of paper-based interfaces with camera-glasses device unit
KR101894454B1 (ko) 앰비언트 인텔리전스 환경을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모델 시스템 및 그 방법
Lee et al. Towards augmented reality-driven human-city interaction: Current research and future challenges
Liu et al. A tabletop-centric smart space for emergency response
KR101950408B1 (ko) 스마트 인터랙션 스페이스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Zhou et al. Design Paradigms of 3D User Interfaces for VR Exhibitions
Sharma et al. Multi-Person Spatial Interaction in a Large Immersive Display Using Smartphones as Touchpads
Stephanidis HCI International 2013-Posters' Extended Abstracts: International Conference, HCI International 2013, Las Vegas, NV, USA, July 21-26, 2013, Proceedings, Part I
Gawande Effective Use of HCI in e-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