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32A -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 Google Patents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32A
KR20180096132A KR1020170022410A KR20170022410A KR20180096132A KR 20180096132 A KR20180096132 A KR 20180096132A KR 1020170022410 A KR1020170022410 A KR 1020170022410A KR 20170022410 A KR20170022410 A KR 20170022410A KR 20180096132 A KR20180096132 A KR 20180096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hest
coupled
vertical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엘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132A/ko
Publication of KR2018009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6Powe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환자의 상체가 얹혀질 수 있는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부에 결합된 모터와
모터의 일단부에 연결된 수직 링크와, 수직 링크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결합된 수평 링크와, 수평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한편 받침판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직 프레임과, 제1 수직 프레임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양단에 일단부가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들의 링크 작동에 의해 타단부에가 반복 승하강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받침판은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사이로 환자의 머리가 삽입되어 어깨가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견착식 심폐소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견착식 심폐소생장치{SHOULDER MOUN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장박동이 정지된 환자에게 혈류의 인공순환을 유발시키는 견착식 심폐소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심박동이 정지된 환자에게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하여 온몸에 산소화된 혈류를 공급하는 것이며,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이 포함된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중에 자발적으로 혈류의 순환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동맥의 혈류압이 20 mmHg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흉골만을 반복적으로 압박하는 방법에 의하면 정상적인 심장 혈류량의 약 10~20% 정도만 유발되므로 자발적인 혈류의 순환이 일어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심폐소생술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 한 예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270596호가 있다.
상기 특허 제270596호는 흉골을 압박하는 심장펌프의 기능과 흉곽을 수축시키는 흉곽펌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압박 및 수축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심폐소생술 장치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박 및 수축수단(1)은, 시술대상자(2)의 흉골(4)을 압박하는 피스톤(6)과, 양단이 다수의 롤러(8)에 감겨 피스톤(6)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6)의 승강에 따라 시술대상자(2)의 흉곽을 감싸서 조여 주거나 이완시키는 흉곽띠(10)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허 제270596호에서, 피스톤(6)이 하강하면 피스톤(6)이 흉골을 압박하여 심장펌프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피스톤(6)에 양단이 고정된 흉곽띠(10)가 흉곽을 조여 흉곽펌프의 기능을 하게 되어, 혈류량을 많게 하여 심폐소생술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13009호
그런데, 환자의 체격이 다르면 흉곽띠의 길이를 조정하여야 흉곽펌프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는데, 종래 특허 제270596호는 흉곽띠의 길이를 맞추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빠른 시간내에 심폐소생술을 수행하지 못하여 환자의 생명을 잃게 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스톤이 승하강하면서 환자의 흉골을 압박할 시에 흉골 양측의 흉부가 동시에 압착되지 못하므로 신체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체격에 따라 흉곽띠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흉골을 압박할 시에 흉부를 보호하는 심폐소쟁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심폐소생술 장치는, 흉골을 압박하는 피스톤을 가진 압박수단과, 상기 압박수단이 흉골을 압박할 때에 흉곽을 조여 수축시키는 흉곽띠를 가진 흉곽수축수단을 가진 심폐소생술 장치에 있어서, 환자 흉곽의 크기에 따라 상기 흉곽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흉곽띠가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축에 끼워져 고정된 제1래칫휠과, 상기 보빈의 역회전을 막도록 상기 제1래칫휠에 물리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한편 그 일측에 제2래칫휠이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축에 회전자유롭게 끼워진 핸들 브라켓과, 상기 제2래칫휠에 물리어 핸들 브라켓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와,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주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흉곽수축수단은 상기 흉곽띠의 조임에 따라 흉부에 밀착하는 보호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하강레벨을 조정하도록 다수의 구속홈이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피스톤이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구속홈에 걸리는 구속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에 환자가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견착식 심폐소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수직 측판(12)(12')이 그 중간부에서 수평 중간판(14)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된 프레임(16)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6)에는, 흉골을 압박하는 압박수단(18)과, 상기 압박수단(18)이 흉골을 압박할 때에 흉곽을 조여 수축시키는 흉곽띠(20)를 가진 흉곽수축수단(22)과, 환자 흉곽의 크기에 따라 상기 흉곽띠(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24)이 결합된다.
상기 압박수단(18)은 상기 수평중간판(14)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피스톤(26)에 매개부재(28)를 매개로 압박 패드(30)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26)은 실린더(32)에 내장되어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압박 패드(30)는 직접 피스톤(2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26)은 전진시(하강시)에는 공압에 의해 동작되고 후진시(상승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동작되도록 실린더(32)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삽입된 구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28)은 특허 제2705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면에 래크를 형성하여,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매개부재(28)는 후술하는 안내로울러가 결합되는 연결판에 고정되고, 매개부재(28)의 하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8a)의 단부에는 상기 압박패드(30)에 끼 워져 걸리는 걸림블록(34)이 결합된다.
상기 압박패드(30)는, 상기 걸림블록(34)이 삽입되는 홈(30a)을 구비하고, 상기 홈(30a)의 상측 일부를 막는 커버(36)에 의해 상기 걸림블록(34)이 걸리게 되어 있다.
상기 흉곽수축수단(22)은, 상기 매개부재(28)에 연결판(38)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38)의 양측 및 수직측판의 하단 양측에는 다수의 롤러가 결합되며, 이 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흉곽띠(20)가 환자의 흉곽을 감싸고, 상기 흉곽띠(20)의 조임에 따라 흉부에 밀착하는 보호패드(40)(40')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흉곽띠(20)를 안내하는 롤러는 상기 연결판(38)의 양측에 결합된 제1안내롤러(42)(42')와, 상기 수직측판(12)(12')의 하단 양측에 결합된 제2안내롤러(44)(44')와, 상기 제1안내롤러(42)(42')와 제2안내롤러(44)(44') 사이에 결합된 아이들 롤러(46)(4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38)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간에 상기 매개부재(28)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38a)가 형성되고, 그 폭방향 양측이 상기 제1안내롤러(42)(42')가 결합되도록 파인 형상이다. 상기 연결판(38)은 상기 매개부재(2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박수단(18)의 피스톤(26)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승하강하게 되어 있으나, 상기 압박수단(18)의 작동에 맞추어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패드(40)(40')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롤러(44)(44')의 축의 양단에 끼워져 상기 수직측판(12)(12')에 고정되는 두개의 패 드로 되어 있으며, 그 저면(40a)(40'a)은 환자의 가슴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곡
률을 가진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호패드(40)는 환자의 키방향 하측 흉부에 밀착하는 패드이고, 상기 보호패드(40')는 환자의 키방향 상측 흉부에 밀착하는 패드로서 하측의 보호패드(40)에 비해 그 밀착면이 넓게 되어 있다. 상기 보호패드(40)(40')는 고무재나 연질의 우레탄 등의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패드(40)(40')은, 그 외측(도4에서 압박패드의 반대측)은 상기 수직측판(12)(12')의 하단 모서리부가 밀착하도록 파여 있고, 그 내측은 상기 연결판(38)의 양측(도6에서 앞 뒤측)이 걸리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파여 있다.
상기 흉곽띠(20)는 직포, 부직포, 가죽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폭은 약 10c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흉곽띠(20)는 상기 길이조절수단(24)의 후술하는 보빈에 감긴 다음, 일측의 제1안내롤러(42)를 거쳐 아이들 롤러(46) 및 제2안내롤러(44)를 순차적으로 거쳐 반대측의 제2안내롤러(44') 및 아이들 롤러(46')를 거쳐 반대측의 제1안내롤러(42')에 고정된다. 상기 흉곽띠(20)는 반대측의 제2안내롤러(44') 하측에서 두개로 분리되어 걸고리부(20a)(20b)에 의해 걸리는 구조이지만, 반대측의 제1안내롤러(42')에 착탈가능케 걸리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24)은 제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측판(12)(12')의 사이에서 상기 아이들 롤러(46)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흉곽띠(20)가 감기는 보빈(48)과, 상기 보빈(48)의 축(50)에 끼워져 고정된 제1래칫휠(52)과, 상기 보빈(48)의 역회전을 막도록 상기 제1래칫휠(52)에 물리는 제1스토퍼(54)와, 상기 제1스토퍼(54)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한편 그 일측에 제2래칫휠(56)이 구비되어 상기 보빈(48)의 축에 회전자유롭게 끼워진 핸들 브라켓(58)과, 상기 제2래칫휠(56)에 물리어 핸들 브라켓(58)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스토퍼(60)와, 상기 보빈(48)에 회전력을 주는 스파이어럴 스프링(6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래칫휠(52)(56)과 스파이어럴 스프링(62)은 상기 축(5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54)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브라켓(58)의 후술하는 안내슬롯홈에 끼워지는 날개(54a)(54a)가 양측에 형성된 수평판부(54b)와,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수평판부(54b)의 일측(날개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수직플랜지부(54c)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플랜지부(54c)의 반대측에는 후술하는 스프링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평판부(54b)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부(54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핸들 브라켓(58)은 상기 제2래칫휠(56)을 포함하는 두개의 래칫판부(58a)가 연결판부(58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제1래칫휠(52)은 래칫판부(58a)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형판으로 되어 있다.
상기 래칫판부(58a)의 일측에는 상기 제2래칫휠(56)을 이루는 톱니가 원호면에 형성되며, 래칫판부(58a)의 중간에는상기 날개(54a)(54a)가 끼워지는 안내슬롯홈(58c)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 슬롯홈(58c)은, 상기 날개(54a)가 상기 제1래칫휠(52)의 톱니에 걸리는 제1홈과 상기 제1래칫휠(52)의 톱니에서 빠져 걸리 는 제2홈이 서로 교차되게 X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래칫휠(56)의 반대측에는 손으로 용이하게 잡도록 원통봉(64 : 도2에 도시)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부(58b)의 우측 중간부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플랜지(58d)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부(54d)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부(58e)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54d)와 걸림부(58e)사이에는 상기 제1스토퍼(54)를 밀도록 스프링(66 : 도2에 도시)이 끼워져 있다.
상기 제2스토퍼(6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역T자 형인데, 상기 수직측판(12)(12')에는 상기 제2스토퍼(60)의 하측 양단을 안내하는 슬롯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측판(12)(12')의 상측에는 상기 제2스토퍼(60)의 중앙 상단을 안내하는 슬롯홈을 가진 상판(68)이 결합된다. 상기 제2스토퍼(60)와 상기 상판(68) 사이에는 탄발력을 주도록 스프링(69)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직측판(12)(12')의 상부에는 두 수직측판 사이를 소정간격으로 지지하여 강성을 높이는 지지봉(70)(7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측판(12)의 중간부에는 상기 후술하는 스토퍼가 회동할 시에 걸리지 않도록 홈(12'a :도5에 도시)이 형성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박수단(18)의 피스톤(26)에 고정된 매개판(72)의 단부에 축부재(74)가 수직으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수평중간판(14)에는 상기 피스톤의 하강레벨을 조정하도록 다수의 구속홈(80a, 80b, 80c : 도8에 도시)이 형성된 스토퍼(76)가 상기 축부재(74)에 끼워져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76)의 상측에는 상기 피스톤이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구속홈(80a, 80b, 80c)에 걸리도록 구속부재(78)가 상기 축부재(74)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76)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에 형성된 플랜지(78)의 상측으로 상기 구속부재(78)를 수용하는 수용부(8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78)의 하측으로 상기 수평중간판(14)에 끼워지는 삽입부(82)가 형성된, 통형태이다.
상기 플랜지(78)에는 후술하는 볼이 하측에서 걸리도록 구멍(78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80)에는 상단에서 서로 다른 깊이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구속홈(80a, 80b, 80c)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구속부재(78)의 후술하는 보스부가 삽입되도록 축부재(74)의 외경보다 큰 중간구멍(80d)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80a, 80b, 80c) 및 구멍(78a)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각 구속홈은 상기 중간구멍(80d)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60도 간격으로 구속홈이 형성된 셈이다.
상기 구속부재(78)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80)의 중간구멍(80d)에 삽입되는 보스부(78a)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홈(80a, 80b, 80c)에 끼워지도록 상기 보스부(78a)의 외면에 180도 방향으로 두개의 플랜지(78b)(78b')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78b)(78b')의 두께(T)는 구속홈(80a, 80b, 80c)의 폭(W)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78b)(78b')의 하측단에는 상기 구속홈(80a, 80b, 80c)에 원할히 들어가도록 챔퍼(78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중간판(14)에는 스프링(84)에 의해 탄발지지된 볼(86)이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일측의 흉곽띠(20)를 길이조절수단(24)의 보빈(48)에 감아 그 단부를 제1안내롤러(42), 아이들 롤러(46) 및 제2안내롤러(44)로 둘러서 걸고리부(20a)를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걸어 놓고, 타측의 흉곽띠를 제1안내롤러(42'), 아이들 롤러(46') 및 제2안내롤러(44')로 둘러서 걸고리부(20b)를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걸어 놓은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할 때는, 제1스토퍼(54)의 수평플랜지부(54c)를 잡고 후측으로 당긴 후, 날개(54a)를 안내슬릿홈(58c)의 제1홈에서 제2홈으로 옮겨 제1래칫휠(52)이 회전자유롭게 한 다음, 흉곽띠(20)의 걸고리부(20a)를 잡고 당겨서 환자의 흉곽을 감싼 후, 걸고리부(20a)와 걸고리부(20b)를 건 다음, 제1스토퍼(54)의 날개(54a)를 다시 안내슬릿홈(58c)의 제1홈으로 옮겨 제1래칫휠(52)의 톱니에 걸고, 제2스토퍼(60)가 제2래칫휠(56)의 톱니에 걸리게 한다. 따라서 환자의 흉곽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흉곽띠가 풀려 환자의 흉곽을 감싸게 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 실린더(32)를 작동하여 피스톤(26)이 하강하면 압박패드(30)가 환자의 흉골을 압박하여 심장펌프의 기능을 한다. 이와 동시에 연결판(38)이 하강하므로 환자의 흉곽을 감고 있는 흉곽띠(20)가 흉곽을 조이게 되어 흉곽펌프의 기능을 한다. 이때 보호패드(40)는 흉부에 밀착하여 흉부를 보호한다. 그리고, 피스톤(26)이 작동하는 중에, 제1스토퍼(54)는 보빈(48)에서 흉곽띠가 더 이상 풀리지 않게 하며, 제2스토퍼(60)는 핸들 브라켓(58)이 회전되지 않게 하여 풀린 흉곽띠가 느슨해지지 않게 한다.
한편, 피스톤(26)이 작동할 시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압박패드(30)가 하강하 는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에는 스토퍼(76)를 회전시키면 소정의 각도에서 볼(86)에 의해 그 스토퍼(76)가 정지하는데, 이에 따라 각 구속홈(80a)(80b)(80c)중의 하나가 구속부재(78)의 플랜지(78b)(78b')에 정렬되어, 피스톤(26)이 하강하면 상기 플랜지(78b)(78b')가 구속홈에 삽입되어 피스톤의 하강 길이가 구속된다.
상기 피스톤(26)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 및 공압회로에 의해 압박과 이완의 비율은 50 : 50으로 유지하고, 압박속도는 분당 80회 또는 100회로 하게 된다. 이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한다. 상기 피스톤(26)은 공압회로에 의해 작동되는데, 환자의 폐에는 산소를 별도로 동시에 공급된다. 산소공급은 상기 피스톤(26)의 작동과 연동되게 한다.
본 고안의 심폐소생술 장치에는, 환자에게 흉곽띠를 감았을 때 그 장력을 확인하고 적정장력을 표시하는 장력확인장치, 흉곽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여성의 유방 등을 보호하는 여성용 보조장치,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 인공호흡을 할 때에 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흡기 산소의 압력을 낮게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장치, 호흡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흡기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호흡량 조절장치를 추가로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Claims (2)

  1. 환자의 상체가 얹혀질 수 있는 받침판;
    받침판의 상부에 결합된 모터;
    모터의 일단부에 연결된 수직 링크;
    수직 링크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결합된 수평 링크;
    수평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한편 받침판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제1 수직 프레임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양단에 일단부가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들의 링크 작동에 의해 타단부에가 반복 승하강하여 환자의 흉부를 압박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받침판은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 사이로 환자의 머리가 삽입되어 어깨가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압박수단의 타단부에는 상부에 마련된 걸림쇠가 탄력적으로 결속되면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압박뭉치가 구비되는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KR1020170022410A 2017-02-20 2017-02-20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KR20180096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10A KR20180096132A (ko) 2017-02-20 2017-02-20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10A KR20180096132A (ko) 2017-02-20 2017-02-20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32A true KR20180096132A (ko) 2018-08-29

Family

ID=6343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10A KR20180096132A (ko) 2017-02-20 2017-02-20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23A1 (ko) * 2022-09-16 2024-03-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심폐소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009B1 (ko) 2001-09-21 2003-12-31 성 오 황 심폐소생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009B1 (ko) 2001-09-21 2003-12-31 성 오 황 심폐소생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23A1 (ko) * 2022-09-16 2024-03-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심폐소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7677B2 (en) CPR gurney
US7938115B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US7214203B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US8092404B2 (en) Chest compression apparatus for cardiac arrest
US6174295B1 (en) Chest mounted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d system
US9107800B2 (en) Front part for support structure for CPR
CA2690666C (en) Mount for a compression control unit
JP2004534574A (ja) 圧力袋体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るcpr補助装置
CN107249544B (zh) 心肺按摩以及/或者复苏用设备
KR20180096132A (ko) 견착식 심폐소생장치
KR100413009B1 (ko) 심폐소생술 장치
KR100448449B1 (ko) 흉곽띠를 가진 심폐소생술 장치
CN113440402A (zh) 心肺脑复苏装置
US202004055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pronation device
CN213723284U (zh) 一种侧卧位手术用腿部支撑保护装置
CN218010090U (zh) 一种颈椎牵引矫正装置
CN213244912U (zh) 一种医疗型颈托
KR20230079931A (ko) 본체 지지대의 신축이 가능한 전동식 심폐소생술기
KR20110048789A (ko)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