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589A -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589A
KR20180094589A KR1020170020912A KR20170020912A KR20180094589A KR 20180094589 A KR20180094589 A KR 20180094589A KR 1020170020912 A KR1020170020912 A KR 1020170020912A KR 20170020912 A KR20170020912 A KR 20170020912A KR 20180094589 A KR20180094589 A KR 20180094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orm
worm shaft
shaft
ge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2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4589A/ko
Publication of KR2018009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는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와, 원통형의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상기 웜 샤프트의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중심축이 상기 웜 샤프트와 비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평판기어와, 상기 평판기어의 중심축에 상기 평판기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GEAR ASSEMBLY AND BRAKE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웜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의 조립각도를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저감을 위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에는 필수적으로 브레이크 장치 즉,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달리고 있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통상적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는 엔진의 흡입압을 사용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브레이크와, 유압을 사용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브레이크가 있다.
진공 브레이크는 진공 부스터에서 차량 엔진의 흡입압과 대기압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페달에 가해진 힘보다 훨씬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브레이크는 진공 형성을 위해서 진공 부스터에 차량 엔진의 흡입압이 공급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연비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량의 정차 시에도 진공 형성을 위해서 엔진을 상시 구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경우 엔진이 없기 때문에 제동 간 운전자의 답력을 증폭시켜주는 기존의 진공 브레이크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연비 향상을 위하여 정차 시 공회전 정지 기능을 구현하여야 하므로 유압 브레이크의 도입이 필요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든 차량에는 연비 향상을 위해 회생 제동 구현이 필요한 바, 유압 브레이크의 도입시 그 기능의 구현이 용이하다.
한편, 유압 브레이크의 한 종류인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전자제어 유닛이 이를 감지하고 유압을 마스터 실린더에 공급함으로써, 각 바퀴의 휠 실린더에 제동유압을 전달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는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스터 실린더, 리저버, 페달 시뮬레이터, 입력 로드 조립체 등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작동 유닛(BAU: Brake Actuation Unit)과, 각 휠의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ABS(Anti-lock Brake System)/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및 모터와 펌프, 제어밸브 등으로 구성된 유압 생성 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각 유닛이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장착 공간의 한정성에 의하여 장착 공간의 확보가 요구됨은 물론,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 필요에 의하여 제동의 안정성 및 차량의 장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을 단순화한 통합형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웜 샤프트와 웜휠이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웜 샤프트와 웜휠이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웜 샤프트와 웜휠이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통합형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웜 샤프트(1), 상기 웜 샤프트(1)의 웜(2)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휠(3)과, 상기 웜휠(3)과 동축상에 형성된 피니언기어(4)를 포함하는 기어 조립체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통합형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기어 조립체는 웜휠(3)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5)가 소정의 각도만큼 비틀리게 형성되고, 웜휠(3)의 중심축과 웜 샤프트(1)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웜휠(3)과 웜 샤프트(1)의 직각 배치에 따른 패키지의 한계가 있었고, 웜휠(3)의 경우 치형 사출 특성 상 기어정도가 떨어져 소음 및 진동 성능이 확보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031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의 조립각도를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어 패키지성이 향상된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는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와, 원통형의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상기 웜 샤프트의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중심축이 상기 웜 샤프트와 비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평판기어와, 상기 평판기어의 중심축에 상기 평판기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평판기어는, 기어치가 중심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기어(spur ge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판기어의 중심축은 상기 웜 샤프트에 형성된 웜의 비틀린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어조립체와, 상기 기어 조립체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펌프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통공을 통해 펌프 하우징 내부로 출입하는 상기 랙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펌프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의 조립각도를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어 패키지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평판기어의 제작 시 기어정도가 유리하여 소음 및 진동이 개선될 수 있으며, 평판기어에서 발생하는 축력이 감소하여 베어링 축소의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웜 샤프트와 웜휠이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웜 샤프트와 웜휠이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웜 샤프트와 웜휠이 맞물려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100)는 입력축으로 제공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웜 샤프트(110)와, 상기 웜샤프트(110)와 비직각으로 교차되는 평판기어(120)와, 피니언기어(130)와, 랙기어(140)를 포함한다.
먼저, 웜 샤프트(110)는 모터 등의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웜 샤프트(110)는 동력원과 동축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웜(111)이 형성된다.
한편, 평판기어(120)는 원판의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상기 웜 샤프트(110)의 웜(111)과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치(1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평판기어(120)는 중심축(122)이 상기 웜 샤프트(110)와 비직각으로 교차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웜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이 비직각으로 교차한다는 의미는, 웜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이 수직으로 교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웜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은 예각(acute angle) 또는 둔각(obtuse angl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판기어(120)에 형성된 기어치(121)는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는 범위에서 비틀리게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30)는 상기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에 상기 평판기어(120)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랙기어(140)는 상기 피니언기어(130)와 맞물리면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종래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해 웜 샤프트와 웜휠의 중심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었으며, 웜 샤프트와 웜휠의 조립각도가 90도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럴 경우, 기어 조립체는 물론 이러한 기어 조립체가 적용된 각종 장치의 조립 자유도 및 패키지성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공간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어 전체적인 체적이 커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웜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이 비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의 조립각도를 각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어 조립체(100)가 적용된 감속기 및 브레이크 장치 등의 패키지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기어(120)의 외주면에는 웜 샤프트(110)의 웜(111)과 맞물리는 기어치(121)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웜 샤프트(110)에는 나선형의 웜(111)이 형성되고, 상기 웜(111)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휠에는 웜(111)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따라서, 웜 샤프트(110)와 웜휠의 중심축이 직교하면서 웜(111)과 웜휠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웜 샤프트(1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121)가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 보다 작은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이 ∠α라고 가정하면, 평판기어(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121)의 비틀린 경사각은 0을 포함하여 ∠α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어치(121)의 비틀린 경사각이 ∠0일 경우, 기어치(121)는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기어로는 평기어(spur gear)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판기어(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121)의 비틀린 각도가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이 웜 샤프트(110)와 비직각으로 교차하더라도, 웜 샤프트(110)의 웜(111)과 평판기어(120)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어, 웜 샤프트(110)의 동력이 평판기어(1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이 웜 샤프트(110)와 비직각으로 교차 가능할 경우, 기존 웜 샤프트(110)와 웜휠 사이에서 발생하는 축력이 감소하여 베어링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판기어(120)는, 기어치(121)가 중심축(122)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기어(spur gear)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판기어(120)에 형성된 기어치(121)의 비틀린 각도는 0이다. 상기와 같이 평판기어(120)가 평기어로 구비될 경우, 무엇보다 평기어의 공급이 용이하고, 평판기어(120)의 치형 사출 시, 웜휠 또는 헬리컬기어(helical gear)에 비해 기어정도가 향상될 수 있어, 진동 및 소음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은 상기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비틀린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판기어(120)가 평기어(spur gear)로 구비된 경우, 평판기어(120)와 웜 샤프트(110)의 맞물림이 불완전하여 동력전달이 제도로 이루어지기 힘들다. 하지만,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을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α) 만큼 기울이게 되면, 평판기어(120)의 기어치(121)와 웜 샤프트(110)의 웜(111)이 안정적으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나아가, 동력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예로, 평판기어(120)에 형성된 기어치(121)의 비틀린 경사각이 0이 아니고,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α)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라면,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 경사각(∠α)과 평판기어(120)에 형성된 기어치(121)의 비틀린 경사각의 차이만큼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을 기울여주면 평판기어(120)의 기어치(121)와 웜 샤프트(110)의 웜(111)이 제대로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상호간에 동력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웜 샤프트(110)에 형성된 웜(111)의 경사각(∠α)과 평판기어(120)에 형성된 기어치(121)의 비틀린 경사각의 차이만큼 평판기어(120)의 중심축(122)을 기울이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웜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의 동력전달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동력에 공급되면, 구동원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결된 웜 샤프트(110)가 구동원과 함께 회전한다. 웜 샤프트(110)가 회전하면, 웜 샤프트(110)와 비직각으로 교차하면서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120)가 회전한다. 이때, 평판기어(120)의 크기 및 기어치 개수와 비례해서 회전 감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판기어(1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평판기어(120)와 동축을 가지며 일체로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130)와 맞물린 랙기어(140)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1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120)의 조립각도를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어 기어 조립체(100)의 패키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평판기어(120)의 제작 시 기어정도가 유리하여 소음 및 진동이 개선될 수 있으며, 평판기어(120)에서 발생하는 축력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조립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회전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어조립체(100)와, 상기 기어조립체(100)를 통해 상기 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펌프(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 기어조립체(100) 및 이후 설명되는 기어조립체(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기어조립체가 해당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들을 참조하면, 후술되는 기어조립체(100)의 구체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터(210)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수명이 길고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3상 교류 모터인 BLAC(Blushless AC)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모터(210)의 후단에는 내부의 3상 코일을 접지코일에 연결하는 3상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고, 모터(210)의 회전축 끝단에는 모터(210)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센서 마그넷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 마그넷은 디지털 신호처리 칩과 함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코더(encoder)와 홀센서(hole sensor)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210)는 기어 조립체(100)를 통해 펌프(22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전자제어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펌프(220)는 기어 조립체(100)를 통해 모터(2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하면서 펌핑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모터(2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펌프(220)로 전달하는 기어조립체(100)는 웜 샤프트(110)와, 평판기어(120)과, 피니언기어(130)와, 랙 기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판기어(120)는 모터(210)의 회전축과 연결된 웜 샤프트(110)와 비직각으로 교차하면서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평판기어(1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평판기어(120)와 동축을 가지며 일체로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130)와 맞물린 랙기어(140)는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랙기어(140)의 한쪽 끝단은 펌프 피스톤(223)과 결합되어, 평판기어(120)의 회전에 따른 랙기어(140)의 직선이동에 따라 펌프 피스톤(223)이 직선운동하면서, 펌핑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펌핑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리저버로부터 오일을 흡입하여 어큐뮬레이터로 토출시킬 수 있고,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마스터 실린더 또는 유압브레이크로 토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펌프(220)는, 일측에 통공(222)이 형성된 펌프 하우징(221)과, 상기 펌프 하우징(221)에 수용되며, 상기 통공(222)을 통해 펌프 하우징(221) 내부로 출입하는 상기 랙기어(14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 하우징(221)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펌프 피스톤(22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210)에 의해 랙기어(140)가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통공(222)을 통해 랙기어(140)가 펌프 하우징(221) 내부로 출입하게 되고, 그 단부에 고정된 펌프 피스톤(223)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펌프 피스톤(223)과 펌프 하우징(221)에 의해 펌프 하우징(221) 내부에서는 브레이크액의 펌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 하우징(221)의 내부에는 펌프 피스톤(223)을 지지하며 탄성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펌프 하우징(221) 내부에서 펌핑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리저버로부터 오일을 흡입하여 어큐뮬레이터로 토출시킬 수 있고,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마스터 실린더 또는 유압브레이크로 토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1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판기어(120)의 조립각도를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어 브레이크장치의 패키지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기어 조립체 110 : 웜 샤프트
111 : 웜 120 : 평판기어
121 : 기어치 122 : 중심축
130 : 피니언기어 140 : 랙기어
210 : 모터 220 : 펌프
221 : 펌프 하우징 222 : 통공
223 : 펌프 피스톤

Claims (5)

  1. 입력축으로 제공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웜 샤프트;
    원통형의 디스크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상기 웜 샤프트의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중심축이 상기 웜 샤프트와 비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평판기어;
    상기 평판기어의 중심축에 상기 평판기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
    를 포함하는 기어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기어는
    기어치가 중심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기어(spur gear)로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기어의 중심축은
    상기 웜 샤프트에 형성된 웜의 비틀린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기어 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어 조립체를 이용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어조립체; 및
    상기 기어 조립체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펌프;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펌프 하우징; 및
    상기 펌프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통공을 통해 펌프 하우징 내부로 출입하는 상기 랙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펌프 피스톤;
    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0170020912A 2017-02-16 2017-02-16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KR20180094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12A KR20180094589A (ko) 2017-02-16 2017-02-16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12A KR20180094589A (ko) 2017-02-16 2017-02-16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89A true KR20180094589A (ko) 2018-08-24

Family

ID=6345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912A KR20180094589A (ko) 2017-02-16 2017-02-16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4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107A (ko) * 2019-06-30 2021-06-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제동 부스팅 시스템, 제동 방법 및 전기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107A (ko) * 2019-06-30 2021-06-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제동 부스팅 시스템, 제동 방법 및 전기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6604B2 (en) Integrated brake device for vehicle
CN105523026B (zh) 集成动力制动设备
US9285001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CN107585153B (zh) 用于集成动力制动设备的致动器总成
US20130299288A1 (en) Electronic disc brake
US9180852B2 (en) Electric booster
US10239508B2 (en) Break apparatus having detachable pump housing
US10865842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10661772B2 (en) Electric braking device for vehicle
US20130270047A1 (en) Electric parking brake
CN101058309A (zh) 制动装置的液压调节器
EP2878848A1 (en) Electro-mechanical brake with differential gear
CN104487301A (zh) 用于机动车的主制动缸的操纵装置
JP2007093008A (ja) 組合せ常用及び駐車ブレーキ装置
CN106884913A (zh) 一种电子控制式电动制动卡钳总成
CN106184153A (zh) 一种液压制动系统
KR20160080634A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KR20180094589A (ko)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KR102590734B1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KR20160046736A (ko)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TW200502485A (en) Electrical pump based on carburet with a type of membrane for automatic vehicle
US20190323506A1 (en) Motor vehicle vacuum pump arrangement
KR101738522B1 (ko) Ecm 제동장치
KR20160082443A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CN102085854B (zh) 制动力增大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