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11A -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 Google Patents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11A
KR20180094211A KR1020170020152A KR20170020152A KR20180094211A KR 20180094211 A KR20180094211 A KR 20180094211A KR 1020170020152 A KR1020170020152 A KR 1020170020152A KR 20170020152 A KR20170020152 A KR 20170020152A KR 20180094211 A KR20180094211 A KR 20180094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supply unit
electromagne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3749B1 (en
Inventor
국윤상
이상석
장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팩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팩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49B1/en
Publication of KR2018009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H02M2003/1586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dundant controller of a power circuit unit applying an interleaved method for a magnetic driving unit to improv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magnetic levitation system by normally operating a magnetic driving unit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power controllers included in the magnetic driving unit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Description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및 안내 제어시스템의 이중화 방안{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itation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및 안내 제어시스템의 이중화 방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undancy scheme of a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자기부상열차(magnetic levitation train)는 전기로 발생된 자기력으로 레일에서 낮은 높이로 부상해서 바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차량을 추진시켜 달리는 열차를 말한다.A magnetic levitation train is a train that rises to a low level on a rail with magnetic force generated by electricity and propels the vehicle directly without using the wheels.

자기부상열차용 부상안내 제어시스템인 자기 구동부(magnet drive; MD)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부상용 전자석(magnet)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한다. 이러한 자기부상열차용 자기 구동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중 하나가 자기 구동부의 무게와 크기이다. 자기 구동부의 무게와 크기는 자기 구동부의 전력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 magnetic drive (MD), which is a floatation control system for a magnetic levitation train, receives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controls the lifting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by supplying the necessary current to the floating magnet. One of the problems of the self-floating train magnetic drive is the weight and size of the magnetic drive. The weight and size of the magnetic drive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power density of the magnetic drive.

종래의 자기부상시스템은 전자석 하나에 하나의 초퍼(chopper)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하나의 초퍼에 고장이 발생하면, 그 초퍼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석에 정상적인 전류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자기부상시스템의 자기부상 성능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즉, 종래의 자기부상시스템은 한 대의 자기부상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초퍼 중 하나의 고장에 의해서도 자기부상열차의 운행 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퍼의 수량을 늘리고 전자석의 수량을 줄이는 방안이 제안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초퍼의 용량 증가와 시스템의 증대를 초래하였다.The conventional magnetic levitation system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chopper is connected to one electromagnet. Therefore,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chopper, normal current can not be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connected to the chopper. As a result, the magnetic levitation performance of the magnetic levitation system becomes problematic. That is, the conventional magnetic levitation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tself can not be performed even if one of the plurality of choppers installed in on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fail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has been propo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hoppers and to reduce the number of electromagnets, but as a result, the capacity of the chopper has been increased and the system has been increased.

따라서 초퍼와 전자석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자기부상시스템의 신뢰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및 안내 제어시스템의 이중화 방안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dundancy of the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magnetic levitation system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choppers and electromagne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기부상시스템의 전력 제어부를 이중화하여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자기부상 시스템의 신뢰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및 안내 제어시스템의 이중화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uplication of a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that enables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levitation system to be improved without duplicating the power control unit of the levitation system to increase production cost There is a main purpose 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값을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값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ulse-width modulation; PWM)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가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시간에 제 2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및 안내 제어시스템의 이중화 방안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control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collecting at least one sensor value for grasping a current state of a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an interleaved scheme;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ulse-width-modulated (PWM) control signal based on the at least one sensor value;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powe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second power at a time wh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does not supply power; And an electromagne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To provide redunda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부상열차의 자기 구동부에 포함된 전력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자기 구동부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제어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llowing a magnetic driving unit to operate normally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ny of the power controllers included in the magnetic driving unit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초퍼가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출력 전류의 리플을 대략 절반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전력 제어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power controller capable of reducing the ripple of the output current to about half by allowing a plurality of choppers to operate in an interleaved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 포함된 하나의 전력 공급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입출력 파형 계산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 포함된 하나의 전력 공급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입출력 파형 계산 결과를 도시한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an interleave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an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power supply unit included i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input / output waveform calculation results whe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normally.
FIG. 5 shows a result of input / output waveform calcula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power supply unit included i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ⅰ),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first, second, i), ii), a), b), etc.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de is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f the constituent element, the order or the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do.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an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an interleave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 제어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를 이중화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회로(master circuit)인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슬레이브 회로(slave circuit)인 제 2 전력 공급부(120)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는 물론, 제어부(130) 및 센서부(140)에 이르는 부분까지 이중화되어야 한다.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a controller 130, and a sensor unit 140, . The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which is a master circu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which is a slave circuit, are provided for redundancy of the power supply unit redundant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sensor unit 140, as shown in FIG.

전력 공급부에 포함된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제 2 전력 공급부(120)는 정상 동작하는 경우, 서로 교번되어 동작한다. 전력 공급부에 포함된 두 개의 전력 공급부 중 하나의 전력 공급부에 고장이 발생하면, 예컨대, 제 1 전력 공급부(11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 1 전력 공급부(110)는 동작을 멈추고, 제 2 전력 공급부(120)만 동작하여, 전자석(MAGNET)에 전류를 공급한다.Wh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unit operate normally, they operate alternately.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of the two power supply units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unit, for exampl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stops operating, Only the supply part 120 operates to supply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MAGNET.

제어부(130)는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제 2 전력 공급부(120)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타측 제어기와 연동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onitors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and may be interlocked with the other controller.

센서부(140)는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 모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The sensor unit 140 must collect status information for bot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라인 컨택터(line contactor; LK), 충전 컨택터(charging contactor; CHK), 충전 저항(charging registor; CHR), 초퍼 모듈 퓨즈(chopper module fuse; CMF), 방전 저항(discharging resistor; DSR), 필터 캐패시터(filter capacitor; FC), 클램프 캐패시터(clamp capacitor; CC), 출력 컨택터(output contactor; OUTK), 복수의 DC 전위 트랜스듀서(DC potential transducer; DCPT1, DCPT2), DC 전류 트랜스듀서(DC current transducer; DCCT), 제 1 전력 공급부(110), 제 2 전력 공급부(120), 제어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부하로서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 contactor (LK), a charging contactor (CHK), a charging resistor (CHR), a chopper module A chopper module fuse (CMF), a discharging resistor (DSR), a filter capacitor (FC), a clamp capacitor (CC), an output contactor (OUTK) transducers (DC potential transducer; DC PT1, DC PT2), DC current transducer (DC current transducer; DC CT), a first power supply unit 110, the second power supply 120, a controller 130 and a sensor unit (140). On the other hand,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preferably includes an electromagnet as a lo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제품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전력밀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자기 컨택터를 두 개만 추가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only two magnetic contactors to increase power density while maintaining compatibility with prior art products.

DC 입력전원은 충전 컨택터(CHK) 및 충전 저항(CHR)과 직렬로 연결되고, 라인 컨택터(LK)와 병렬로 연결된다. 라인 컨택터(LK)가 온(on)되면, 충전 컨택터(CHK)와 충전 저항(CHR)을 거쳐서 DC 입력전압을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에 공급한다.The DC input power source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harge contactor (CHK) and the charge resistor (CHR), and in parallel with the line contactor (LK). When the line contactor LK is turned on, the DC input voltage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via the charge contactor CHK and the charging resistor CHR.

초퍼 모듈 퓨즈(CMF)는 라인 컨택터(LK)와 제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과전류로부터 전체 회로를 보호한다.The chopper module fuse CMF is connected between the line contactor LK and the first power supply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120 to protect the entire circuit from the overcurrent.

필터 캐패시터(FC) 및 방전 저항(DSR)은 초퍼 모듈 퓨즈(CMF)와 방전 저항(DSR) 사이에 연결되어 전자석(MAGNET)에 흐르는 전류를 충전하며, 필터 캐패시터(FC)가 방전하여 흐르게 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한한다.The filter capacitor FC and the discharge resistor DSR are connected between the chopper module fuse CMF and the discharging resistor DSR to charg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MAGNET and to cause the filter capacitor FC to discharge Lt; / RTI >

제어부(13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부상용 전자석에 필요한 전류를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로 하여금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causes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to supply the current required for the magnetic levitation electromagne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40, .

제어부(13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제어기의 현재 상태, 예컨대, 전력 제어기가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로서 동작하는지, 또는 이외의 형태로 동작하는지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제 1 전력 공급부(110)가 동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제 2 전력 공급부(120)만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40,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controller, for example, whether the power controller operates as a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scheme or operates in a different form do.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operates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can not operate.

마스터 모드에서는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제 2 전력 공급부(120)를 통해 전류가 전달되며, 슬레이브 모드에서는 제 2 전력 공급부(120)만을 통하여 전류가 전달된다.In the master mode, the curr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120, and in the slave mode, the current i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second power supply 120.

제어부(130)는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각 전력 공급부의 이상 여부를 파악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이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제 2 전력 공급부(120)의 이상 여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이상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이상검출부를 이용하여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제 2 전력 공급부(120)에 포함된 스위치의 개방(open-circuited)과 단락(short-circuited)에 대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power supply unit is abnormal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40. For example, when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operates in the master mod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are abnormal.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An open-circuited and short-circuited error can be detected.

제어부(130)는 이상검출부의 이상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부상용 전자석에 필요한 전류가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를 통해 번갈아(interleaved)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펄스폭 변조(pulse-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한 신호이며,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에 포함된 스위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110 and 120 to supply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so that the current required for the floating electromagnet can be interleaved based on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 Here,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based on a pulse-width modulation signal, which means a control signal for a switch included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센서부(14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ACC), 갭 센서(gap sensor; GAP), DC 전위 트랜스듀서(DCPT) 및 DC 전류 트랜스듀서(DCCT) 등을 포함하며, 이들로부터의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The sensor unit 14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CC), a gap sensor (GAP), a DC potential transducer (DC PT ), and a DC current transducer (DC CT ) To the controller (130).

제 1 전력 공급부(110)는 제 1 자기 컨택터(OUTK1), 제 2 자기 컨택터(OUTK2), 마스터 스위치(QM), 제 1 클램프 캐패시터(CC1), 마스터 다이오드(DM) 및 마스터 인덕터(LM)를 포함한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ncludes a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 master switch Q M , a first clamp capacitor CC 1 , a master diode D M , And an inductor L M.

제 1 전력 공급부(110)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DC 입력전원의 전류를 제 1 주기로 전자석(MAGNET)에 공급한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the current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to the electromagnet MAGNET in a first cycle while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operates in the master mode.

제 2 전력 공급부(120)는 슬레이브 스위치(QS), 제 2 클램프 캐패시터(CC2), 슬레이브 다이오드(DS) 및 슬레이브 인덕터(LS)를 포함한다. 제 2 전력 공급부(120)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DC 입력전원의 전류를 제 2 주기로 전자석(MAGNET)에 공급한다.The second power supply 120 includes a slave switch Q S , a second clamp capacitor CC 2 , a slave diode D s and a slave inductor L S.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supplies the current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to the electromagnet MAGNET in a second cycle while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operates in the master mode.

한편, 펄스폭 변조 신호는 신호의 크기, 주기(또는 주파수) 및 듀티비(duty ratio)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서의 제 1 주기는 제 2 주기와 동일하며, 듀티비는 0.4이지만, 주기 및 듀티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can be defined as a signal size, a period (or frequency), and a duty ratio. The first period i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econd period, and the duty ratio is 0.4, but the period and the duty ratio are not limited thereto.

제 2 전력 공급부(120)가 정상적으로 즉,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번갈아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한다. 제 2 전력 공급부(120)는 제 1 전력 공급부(110)가 고장으로 판단되어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즉,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없어 슬레이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DC 입력전원의 전류를 단독으로 전자석에 공급한다.And alternately supplies current to the electromagnets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whil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normally operates in the master mod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can not operate in the slave mode wh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can not operate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has failed, that is,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can not operate in the master mode. , The current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upplied solely to the electromagnet.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마스터 전력 스위치(QM)는 온(on)되어 DC 입력전원의 전류가 제 1 전력 공급부(110)를 거쳐 마스터 전력 스위치(Q3)와 전자석에 제공된다. 또한, 마스터 전력 스위치(QM)가 온(on)되면, DC 입력전원에서 제공된 에너지가 마스터 인덕터(LM)에 저장된다.The master power switch Q M is turned on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input power is supplied to the master power switch 110 via the first power supply 110 Q 3 ) and the electromagnet. Further, when the master power switch Q M is turned on, the energy supplied from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tored in the master inductor L M.

마스터 전력 스위치(Q3)가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될 때,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전원으로 회생하거나 제 1 전력 공급부(110)에 포함된 제 1 클램프 캐패시터(CC1)로 전달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전력 스위치(QM)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마스터 인덕터(LM)는 마스터 인덕터(LM)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를 방출하여,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가 천천히 감소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석(MAGNET)에 연결된 환류 다이오드인 마스터 다이오드(DM)를 이용하여 전류를 소모시킬 수 있다.The master power switch (Q 3) is turned on (on) the first clamp capacitor (CC 1) with time is switched from the off (off), the regenerativ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as a power source or to a first power supply (110)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Further, when the master power switch Q M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master inductor L M emits the energy stored in the master inductor L M so that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is slowly reduced. In addition, a current can be consumed by using a master diode (D M ) which is a reflux diode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 (MAGNET).

제 2 전력 공급부(120)가 슬레이브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는 온(on)되어 DC 입력전원의 전류가 제 2 전력 공급부(120)를 거쳐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와 전자석에 제공된다. 또한,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가 온(on)되면, DC 입력전원에서 제공된 에너지가 슬레이브 인덕터(LS)에 저장된다.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turned on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slave power switch Q S via the second power supply 120. [ And the electromagnet. Further, when 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turned on, the energy supplied from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tored in the slave inductor L S.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전자석(MAGNET)에 흐르는 전류를 전원으로 회생하거나 제 2 전력 공급부(120)에 포함된 제 2 클램프 캐패시터(CC2)로 전달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면, 슬레이브 인덕터(LS)는 슬레이브 인덕터(LS)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를 방출하여,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가 천천히 감소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석(MAGNET)에 연결된 환류 다이오드인 슬레이브 다이오드(DS)를 이용하여 전류를 소모시킬 수 있다.The current flowing in the electromagnet MAGNET is regenerated as a power source or transferred to the second clamp capacitor CC 2 included 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when 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switched from ON to OFF, Consumption can be reduced. Further, when 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slave inductor L S releases the energy stored in the slave inductor L S , so that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is slowly reduced. In addition, current can be consumed by using a slave diode (D S ) which is a reflux diod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an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정상 동작은 제 1 전력 공급부(110)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는 제 1 전력 공급부(110) 및 제 2 전력 공급부(120)가 상호 교번하여 전자석(MAGNET)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제 1 전력 공급부(110)와 제 2 전력 공급부(120)가 상호 교번하여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전자석(MAGNET)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의 리플이 대략 절반의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Power circuit section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uplication controller means that the first power supply section 110 does not generate a failure and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operates in the master mode. The power circuit unit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When the dual controller operates in the master mod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alternately supply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MAGNET. Sinc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alternately supply current, the rippl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can be reduced to approximately half.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DC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마스터 전력 스위치(QM), 제 2 자기 컨택터(OUTK2), 마스터 인덕터(LM), 전류 트랜스듀서(DCCT), 출력 컨택터(OUTK) 및 전자석(MAGNET)으로 이어지는 제 1 전류 경로를 통해 흐른다. 또한, 제 1 전류 경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 동안, DC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 슬레이브 인덕터(LS), 전류 트랜스듀서(DCCT), 출력 컨택터(OUTK) 및 전자석(MAGNET)으로 이어지는 제 2 전류 경로를 통해 흐른다. The power from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the master power switch Q M ,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when the redundant controller in the interleaved mode operates in the master mode. , The master inductor (L M ), the current transducer (DC CT ), the output contactor (OUTK) and the electromagnet (MAGNET). The current from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slave power switch Q S , the slave inductor L S , the current transducer DC CT , the output contactor OUTK, And a second current path leading to the electromagnet (MAGNET).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DC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전자석(MAGNET)에 공급된다.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및 제 2 자기 컨택터(OUTK2)는 온(on)되어, 마스터 전력 스위치(QM) 쪽으로 전류 경로를 열어준다.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및 제 2 자기 컨택터(OUTK2)가 온(on)되면, 마스터 전력 스위치(QM)의 게이트(gate) 단자에 펄스폭 변조(PWM) 신호가 인가된다.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에 기초하여 DC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스위칭하여 전자석(MAGNET)에 전류를 공급한다.Power circuit part employing interleaved method When the redundant controller operates in the master mode, current from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re turned on to open the current path toward the master power switch Q M. When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re turned o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master power switch Q M. Interleaved Power Circuitry The redundant controller switches the power from the DC input power supply based o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o provide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MAGNE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 포함된 하나의 전력 공급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power supply unit included i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 포함된 제 1 전력 공급부(11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한다. 슬레이브 모드는 전력 공급부의 제 1 전력 공급부(110)는 동작을 하지 않고, 제 2 전력 공급부(120)만 동작하는 경우를 말한다.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ncluded in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operates in the slave mode . The slave mode refers to a case wher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of the power supply unit does not operate and only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operates.

제 1 전력 공급부(11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및 제 2 자기 컨택터(OUTK2)를 오프(off)시켜, 제 1 전력 공급부(110)로의 전력 공급을 끊는다. 이와 동시에, DC 입력전원은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가 있는 제 2 전력 공급부(120) 쪽으로만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이 경우,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더 이상 인터리브드 모드로 동작하지 않게 된다.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re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s interrupted. At the same time, the DC input power supply only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power supply 120 with the slave power switch Q S. In this case,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scheme is no longer in the interleaved mode . ≪ / RTI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입출력 파형 계산 결과를 도시한다.FIG. 4 shows the input / output waveform calculation results whe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normally.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입출력 파형 계산을 위해, DC 입력전원의 전압은 350 V로 설정하고, 듀티비는 0.4로 설정하였다. Vrec, QM_PWM, QS_PWM, I_T1 및 V_T1은 각각 DC 입력전원의 전압, 마스터 전력 스위치(QM)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전자석(MAGNET)에 흐르는 부하 전류 및 전자석(MAGNET)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을 나타낸다.Power circuit part employing interleaved method In order to calculate the input and output waveform of the redundant controller, the voltage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et to 350 V and the duty ratio is set to 0.4. Vrec, Q M _PWM, Q S _PWM, I_T1 and V_T1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control signal, 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a voltage, the master power switch (Q M) of the DC input power, respectively A control signal, a loa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MAGNET), and a load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도 4를 참조하면, DC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고, 마스터 전력 스위치(QM) 및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인 QM_PWM 및 QS_PWM가 인가되기 시작하면서, 전자석(MAGNET)에도 일정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QM_PWM 및 QS_PWM은 제 1 주기 및 제 2 주기를 갖고 상호 교번되도록 인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QM_PWM 및 QS_PWM 각각의 펄스 주기인 제 1 주기 및 제 2 주기는 같다.4, when a voltage from a DC input power source is applied and Q M _PWM and Q S _PWM, which are control signals for driving the master power switch Q M and the slave power switch Q S , A constant current is also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Here, it can be seen that Q M _PWM and Q S _PWM are applied so as to alternate with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Here,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which are pulse periods of Q M _PWM and Q S _PWM, are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제 1 전력 공급부(110)는 DC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전압(Vrec)을 전자석(MAGNET)에 공급한다.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및 제 2 자기 컨택터(OUTK2)는 온(on)된다.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및 제 2 자기 컨택터(OUTK2)가 온(on)되면,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마스터 전력 스위치(QM)의 게이트에 0.4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인 QM _PWM을 인가한다.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입력되는 QM _PWM 신호에 따라 DC 입력전압인 Vrec를 스위칭하여 전자석(MAGNET)에 부하 전류(I_T1) 및 부하 전압(V_T1)을 공급한다.When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normally,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supplies the voltage Vrec from the DC input power source to the electromagnet MAGNET.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re turned on. When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OUTK2 are turned o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scheme sets a duty ratio of 0.4 to the gate of the master power switch Q M which applies a pulse width modulated (PWM) signal is the Q M _ PWM. The power circuit section redundancy controller adopting the interleaved scheme switches the DC input voltage Vrec according to the input Q M _ PWM signal and supplies the load current I_T 1 and the load voltage V_T 1 to the electromagnet MAGNE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 포함된 하나의 전력 공급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입출력 파형 계산 결과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result of input / output waveform calcula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power supply unit included in the power circu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입출력 파형 계산을 위해, DC 입력전원의 전압은 350 V로 설정하고, 듀티비는 0.4로 설정하였다. Vrec, QM_PWM, QS_PWM, I_T1 및 V_T1은 각각 DC 입력전원의 전압, 마스터 전력 스위치(QM)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 전자석(MAGNET)에 흐르는 부하 전류 및 전자석(MAGNET)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을 나타낸다.Power circuit part employing interleaved method In order to calculate the input and output waveform of the redundant controller, the voltage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is set to 350 V and the duty ratio is set to 0.4. Vrec, Q M _PWM, Q S _PWM, I_T1 and V_T1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control signal, 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a voltage, the master power switch (Q M) of the DC input power, respectively A control signal, a loa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magnet (MAGNET), and a load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수 중 하나인 제 1 전력 공급부(11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제 1 자기 컨택터(OUTK1) 및 제2 자기 컨택터(OUTK2)는 오프(off)되어 제 1 전력 공급부(110)는 동작을 멈추고, 제 2 전력 공급부(120)로만 전력이 공급된다. 이 경우, 제 2 전력 공급부(120)가 전자석(MAGNET)에 전력을 공급한다.Considering the case where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which is one of the number of failures in the power supply circuit redundancy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scheme,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OUTK1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s turned off and th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 In this cas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magnet MAGNET.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마스터 모드에서 슬레이브 모드로 전환되면,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는 더 이상 인터리브드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 경우, 마스터 전력 스위치(QM)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더 이상 인가되지 않고,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만 인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전력 공급부(120)에 의해서만 전자석(MAGNET)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Power Circuitry with Interleaved Mode When the redundant controller is switched from the master mode to the slave mode, the power circuitry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scheme no longer operates in the interleaved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master power switch Q M is no longer applied, and only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lave power switch Q S is applied.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confirmed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only by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가 슬레이브 모드에서 동작하면,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 비해 전자석(MAGNET)에 공급되는 전력이 줄어든다. 이 경우, 제 2 전력 공급부(120)의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QS)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주기를 절반으로 줄이면, 마스터 모드에서 동작할 때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Power Circuitry with Interleaved Mode When the redundant controller operates in the slave mode,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MAGNET) is reduced compared to when operating in the master mode. In this case, if the period of the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lave power switch Q S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0 is halved, the same effect as that in operating in the master mode can be achiev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 1 전력 공급부 120: 제 2 전력 공급부
130: 제어부 140: 센서부
DM: 마스터 다이오드 DS: 슬레이브 다이오드
QM: 마스터 전력 스위치 QS: 슬레이브 전력 스위치
OUTK1: 제 1 스위치 OUTK2: 제 2 스위치
MAGNET: 전자석
110: first power supply unit 120: second power supply unit
130: control unit 140:
D M : Master diode D S : Slave diode
Q M : Master power switch Q S : Slave power switch
OUTK1: first switch OUTK2: second switch
MAGNET: Electromagnetism

Claims (9)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값을 수집하는 센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값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ulse-width modulation; PWM)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가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시간에 제 2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A power circuit unit employing an interleaved method; a sensor unit for collecting at least one sensor value for grasping a current state of the redundant controller;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ulse-width-modulated (PWM) control signal based on the at least one sensor value;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powe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second power at a time wh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does not supply power; And
And an electromagne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갭 센서(gap sensor), 전위 트랜스듀서(potential transducer) 및 전류 트랜스듀서(current transducer) 중에서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센서값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Wherein sensor values are collected from some or all selected from an acceleration sensor, a gap sensor, a potential transducer, and a current transducer. Power circuit part duplication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는,
제 1 주기로 제 1 전류를 공급받고,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는,
제 2 주기로 제 2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ncludes:
Receiving a first current in a first period,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ncludes:
And a second current is supplied in a second period.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기와 상기 제 2 주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are the same, and the power circuit unit duplication controller employing the interleaved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로 제공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 1 전력 스위치;
상기 제 1 전력 스위치의 제 1 단자와 연결되어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전력 스위치의 제 2 단자와 연결되어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제 1 전력 스위치의 제 2 단자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 2 스위치의 타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 1 인덕터;
상기 제 1 전력 스위치의 제 1 단자와 일단이 연결되고 DC 입력전원의 음의 단자와 타단이 연결되어 회생 전류를 충전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전자석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의 역기전력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전자석로 환류시키는 제 1 환류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power switch for controlling a current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witch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witch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 first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not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witch;
A first capacitor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witch and connected to a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and the other terminal to charge a regenerative current; And
A first returning diod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and refluxing a current flowing by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electromagnet to the electromagnet,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로 제공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 2 전력 스위치;
상기 제 2 전력 스위치의 제 1 단자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DC 입력전원의 음의 단자와 타단이 연결되어 회생 전류를 충전하는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단자와 직렬 연결되는 제 2 인덕터; 및
상기 전자석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의 역기전력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전자석로 환류시키는 제 2 환류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second power switch for controlling a current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switch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charge the regenerative current;
A second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terminal; And
And a second returning diod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for refluxing a current flowing by the electromagnet's back electromotive force to the electromagnet,
And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s faulty based on the at least one sensor valu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s faulty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is a dual-mode power controller that uses an interleaved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동작을 끊어(OFF), 상기 제 1 전력 공급부를 동작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turned OFF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s not opera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제 2 전력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만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드 방식을 채용한 전력회로부 이중화 제어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omagnet comprises:
Wherein the power supply circuit is driven only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KR1020170020152A 2017-02-14 2017-02-14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KR101973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52A KR101973749B1 (en) 2017-02-14 2017-02-14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52A KR101973749B1 (en) 2017-02-14 2017-02-14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11A true KR20180094211A (en) 2018-08-23
KR101973749B1 KR101973749B1 (en) 2019-04-30

Family

ID=6345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152A KR101973749B1 (en) 2017-02-14 2017-02-14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1786A (en) * 2021-08-26 2021-10-29 同济大学 Suspension redundancy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rail state monitoring
CN114056107A (en) * 2020-07-30 2022-02-18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Centralized control type magnetic suspension traction contro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201A (en) * 1997-07-29 1999-02-25 윤문수 DC switching chopper circuit with soft switching
KR20080056988A (en) * 2006-12-19 2008-06-24 한국전기연구원 Duplex levitation controller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KR20090012544A (en) * 2007-07-30 2009-02-04 한국전기연구원 Dual fault-tolerant chopper circuit for driving magnetic levitation electromagn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201A (en) * 1997-07-29 1999-02-25 윤문수 DC switching chopper circuit with soft switching
KR20080056988A (en) * 2006-12-19 2008-06-24 한국전기연구원 Duplex levitation controller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KR20090012544A (en) * 2007-07-30 2009-02-04 한국전기연구원 Dual fault-tolerant chopper circuit for driving magnetic levitation electromagn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6107A (en) * 2020-07-30 2022-02-18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Centralized control type magnetic suspension traction control system
CN113561786A (en) * 2021-08-26 2021-10-29 同济大学 Suspension redundancy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rail state monitoring
CN113561786B (en) * 2021-08-26 2024-01-12 同济大学 Suspension redundancy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rail state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749B1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535B2 (en) Fault diagnos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fault diagnosing method for vehicle
JP5244653B2 (en) Power converter
JP6757503B2 (en) Power system and electric vehicle
JP58867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contact diagnosis of electric vehicle
US20160156258A1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abnormality
WO2013073612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20160018446A1 (en) Gate drive under-voltage detection
US8929113B2 (en) Capacitor discharger for power conversion system
US200301460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il-safe motor operation
US20150054517A1 (en) Diagnosis apparatus and diagnosis method for relay circuit
KR101973749B1 (en) Redundant Scheme of Levitation and Guidance Control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WO2015141449A1 (en) Working machine
JP2002191102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ling device thereof
JP7398620B2 (en) Breaking circuit diagnostic device
KR101867845B1 (en) Duplicated Power System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JP7432033B2 (en) crane
US9118178B2 (en) Traction motor drive system for a locomotive
JP2014165979A (en) Power unit
JP7207044B2 (en) motor drive
JP2013255297A (en) Vehicular inverter device
CN113949252A (en) Suspension controller switch fault tolerance circuit, method and system
CN111987965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ulti-channel motor circuits
KR20210000598A (en) Battery system
GB2623134A (en) Fault detection in an electric drive train of a vehicle
WO2024100419A1 (en) Fault detection in an electric drive train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