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569A - decoration sheet - Google Patents

decoration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569A
KR20180093569A KR1020170019838A KR20170019838A KR20180093569A KR 20180093569 A KR20180093569 A KR 20180093569A KR 1020170019838 A KR1020170019838 A KR 1020170019838A KR 20170019838 A KR20170019838 A KR 20170019838A KR 20180093569 A KR20180093569 A KR 2018009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mer layer
thickness
primer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0368B1 (en
Inventor
임거혁
류무선
이승훈
조애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1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68B1/en
Publication of KR2018009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on sheet. Since the occurrence of air gaps due to emboss formation can be prevent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eep embo compared to conventional inventions. S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eep embo can be implemented to greatly highlight a 3D pattern by the embo. The decoration sheet includes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a treatment layer; an upper primer layer; a deposition layer; a lower primer layer; an adhesion layer; and a base film.

Description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decoration sheet}A decorative sheet capable of implementing a deep emboss {decoration sheet}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엠보 형성에 따른 에어 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전에 비해 깊은 엠보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엠보에 의한 입체무늬가 더욱 부각될 수 있도록 하는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sheet, more particularly, to a decorative sheet,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ir gaps due to embossing, thereby enabling a deeper emboss to be realized than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on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 내외장재 등의 상당 부분이 합성수지 성형물로 형성되고 있다.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nd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home appliances are formed of synthetic resin molding.

합성수지 성형물은 사출 공법 등에 의해 간단히 제조되므로 제조 효율이 우수한 반면, 컬러가 단조롭고, 질감 등이 조악하여 장식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The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 is easily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the like, so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excellent, but the color is monotonous, the texture is poor, and the decorative effect is poor.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7900호(공고일 : 2013. 07. 19.)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데코레이션 시트'로 합성수지 성형물의 표면을 감싸는 가식 성형을 실시하고 있다.For this reason, decorative molding in which the surface of the molded resin article is wrapped with a "decoration shee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7900 (Publication Date: Mar. 19, 2013. 07. 19)

이때, 데코레이션 시트는 컬러 및 무늬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질감 등이 고급스러우므로 합성수지 성형물이 직접 노출되는 것에 비해 장식 효과가 향상된다.At this time, the decorating sheet is not only various in color and pattern, but also has a high quality of texture, so that decoration effect is improved compared to direct exposure of a synthetic resin molding.

한편, 최근 데코레이션 시트에 1-20㎛ 깊이의 엠보를 형성하여 입체무늬가 부각되도록 함으로써 장식 효과를 높이고 있다.On the other hand, embossing of 1-20 탆 depth is recently formed on the decoration sheet to increas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thereby enhancing the decoration effect.

이때, 엠보는 그 깊이가 깊을수록 입체무늬가 더욱 부각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depth of the emboss becomes deepe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can be more remarkable.

그러나,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엠보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하는 경우, 에어 갭의 발생이 심화되어 제품 제조 과정에서 기재 필름과의 부착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에어 갭에 의한 기포 발생이 상당하여 가식 성형이 완료된 내외장재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embossing depth is relatively deep in the decorative sheet, the occurrence of air gaps is intensified so that the adhesive force with the base film is reduc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duct. So that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interior / exterior material having been subjected to the decorative molding has deteriorated.

즉, 종래 데코레이션 시트(A')에서 입체 패턴이 각인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 하부로는 처리제층(20'), 상측 프라이머층(30'), 증착층(40'), 하측 프라이머층(50'), 기재 필름(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바, 처리제층(20'), 상측 프라이머층(30'), 증착층(40'), 하측 프라이머층(50')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의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형태의 엠보, 다시 말해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하측 프라이머층(50')과 기재 필름(70') 사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로 인한 에어 갭(100) 발생이 따르게 되므로 엠보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하는 경우, 에어 갭(100) 발생이 심화되어 제품 제조 과정에서 기재 필름(70')과의 부착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에어 갭(100)에 의한 기포 발생이 상당하여 가식 성형이 완료된 내외장재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a processing agent layer 20 ', an upper primer layer 30', a deposition layer 40 ', a lower primer layer 30', and a lower primer layer 30 'are formed unde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The upper primer layer 30 ', the deposition layer 40', and the lower primer layer 50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substrate 50', the base film 50 ', and the base film 70' Embossing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of the curable resin layer 10 ', that is, embossing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rimer layer 50' and the base film 70 ' When the emboss depth is relatively deep, the generation of the air gap 100 is increased, so that the adherence of the air gap 100 to the base film 70 'is reduc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duct, The bubbles generated by the air gap 100 during the process are considerable, so that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interior / There was a problem.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엠보 형성에 따른 에어 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전에 비해 깊은 엠보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엠보에 의한 입체무늬가 더욱 부각될 수 있도록 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is reason, in the related fiel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ir gaps due to emboss for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mboss a deeper emboss than before, thereby attempting to develop a decorative sheet which allows the emboss pattern to be more emphasized However, up to the present time,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엠보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할 때 에어 갭 발생이 심화되어 제품 제조 과정에서 기재 필름과의 부착력이 저하되었던 문제 및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에어 갭에 의한 기포 발생이 상당하여 가식 성형이 완료된 내외장재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bossing method and a embossing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of a embossing film to a base fil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orative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ing which is capable of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bubble formation due to an air gap during molding is significant and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having undergone edible molding is lower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는, 이형 시트 하부에 형성되되, 저면에 입체 패턴이 각인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하부에 형성되어 제품의 강성 및 물성을 높이는 처리제층; 상기 처리제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제층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상측 프라이머층;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 하부에 형성되어 금속 고유의 광택을 부여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하측 프라이머층;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 저면의 요철을 메우는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하부에 부착되어 그 상부의 층들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corative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ing, the decorative sheet compris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formed on a bottom of a release sheet and having a three- A treatment agent layer formed unde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to enhance rigid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An upper primer lay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eatment agent lay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treatment agent layer; A deposition layer formed under the upper primer layer and giving a luster inherent to the metal; A lower primer layer form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deposition layer; A hot-melt type adhesive layer formed below the lower primer layer to fill the uneven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rimer layer; And a base film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support the upper layers.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은 상기 이형 시트 저면에 도포된 이후 돌출 패턴이 형성된 롤 사이를 통과하며 경화됨에 따라 저면에 상기 입체 패턴이 각인된다.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passes through between the rolls having the protruding pattern formed thereon, and is hardened, thereby engrav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은 그 두께가 1-50㎛로 형성될 수 있다.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50 mu m.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은 상기 기재 필름의 부착 이후 상기 이형 시트와 함께 제거된다.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removed together with the release sheet after attachment of the base film.

상기 처리제층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저면에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상기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엠보가 형성된다.As the treatment agent layer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UV curable resin layer and cured, an emboss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상기 처리제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eatment agent layer may be formed of an acrylic resin.

상기 처리제층은 그 두께가 5-50㎛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eatment agent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5-50 mu m.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imer layer may be formed of an acrylic primer.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imer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5 占 퐉.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은 하단에 금속 입자의 밀착성을 높이는 증착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primer layer may further include a deposition primer layer for enhancing adhesion of the metal particles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rimer layer.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primer layer may be formed of an acrylic primer.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primer layer may be 1-5 占 퐉.

상기 증착층은 주석 또는 인듐 입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of tin or indium particles.

상기 증착층은 그 두께가 10-100nm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0-100 nm.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터계 프라이머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rimer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ester primer or an acrylic primer.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rimer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5 占 퐉.

상기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crylic adhesive or a polyurethane adhesive.

상기 접착제층은 그 두께가 10-50㎛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0-50 mu m.

상기 기재 필름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수지,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film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MMA (Polymethly Methacrylate) resin, PVC (Polyvinyl Chloride) resin,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and PETG (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

상기 기재 필름은 그 두께가 10-500㎛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10-500 탆.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는 하측 프라이머층과 기재 필름 사이에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층이 형성되는바, 접착제층에 의해 하측 프라이층 저면의 요철이 메워지므로 이에 의해 하측 프라이머층과 기재 필름 사이에서의 에어 갭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 에어 갭 발생으로 인한 부착력 저하 및 기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decorating sheet capable of embodying the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t-melt type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lower primer layer and the substrate film, the uneven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ying layer is filled with the adhesive layer, The occurrence of an air gap between the base film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adhesion force due to the occurrence of an air gap and the generation of bubble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처리제층의 엠보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상측 프라이머층에 증착 프라이머층이 더 형성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접착제층에 의한 하측 프라이머층의 요철 메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이 제거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종래 데코레이션 시트에서의 에어 갭 발생을 보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decoration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emboss formation of a treatment agent layer in a decoration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eposition primer layer is further formed on an upper primer layer in a decoration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uneven filling of the lower primer layer by the adhesive layer in the decoration sheet capable of embodying the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V-curable resin layer is removed from a decoration sheet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ccurrence of an air gap in a conventional decoration sheet.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A)는, 이형 시트(11),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 처리제층(20), 상측 프라이머층(30), 증착층(40), 하측 프라이머층(50), 접착제층(60), 기재 필름(70)을 포함한다.1, a decoration sheet A capable of embodying a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lease sheet 11,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a treatment agent layer 20, an upper primer layer 30, A vapor deposition layer 40, a lower primer layer 50, an adhesive layer 60, and a base film 70.

상기 이형 시트(1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도포면을 제공한다.The release sheet 11 provides the application surface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described below.

이와 같은 상기 이형 시트(11)는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TT(Poly 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lease sheet 11 may be formed of a resin known in the art, and may be formed of PET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이형 시트(11) 하부에 형성되되, 저면에 입체 패턴(도면부호 미표시)이 각인된다.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is formed under the release sheet 11, and a three-dimensional pattern (not shown) is impress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자외선 경화셩 수지층(10)의 저면에 입체 패턴이 각인됨으로써 상기 입체 패턴에 의해 그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처리제층(20) 표면에 엠보가 형성된다.The embossing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form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by engrav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ltraviolet hardening resin layer 10.

이와 같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그 두께가 1-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layer 10 is preferably 1-50 占 퐉.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상기 입체 패턴의 각인이 미미하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그 두께가 1-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layer 10 is less than 1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layer 10 is more than 50 占 퐉, But also the moldability in the subsequent decorative molding process is low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layer 1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50 탆.

그리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재 필름(70) 부착 이후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is preferably removed after attaching the base film 70 as shown in FIG.

상기 이형 시트(11)를 포함하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타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율이 낮아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상기 기재 필름(70)의 부착 이후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including the release sheet 11 has a relatively low elongation percentage as compared with the other layers so that the moldability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is reduced during subsequent decorative molding. Is preferably removed after attachment of the film (70).

한편,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에서 상기 입체 패턴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이 상기 이형 시트(11) 저면에 도포된 이후 돌출 패턴(도면상 미도시)이 형성된 롤(도면상 미도시) 사이를 통과하며 경화됨에 따라 각인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a roll (not shown) having a protruding pattern (not shown in the figure) formed after the UV curable resin layer 10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11 Hour) and is imprinted as it is cured.

상기 처리제층(20)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 하부에 형성되어 제품의 강성 및 물성을 높인다.The treatment layer 20 is formed unde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to enhance rigid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이와 같은 상기 처리제층(20)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eating agent layer 20 is preferably formed of an acrylic resin.

아크릴계 수지는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처리제층(20)에 의해 제품의 강성 및 물성이 향상된다.Since the acrylic resin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improves the rigid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그리고 상기 처리제층(20)은 그 두께가 5-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is preferably 5-50 mu m.

상기 처리제층(20)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제품의 강성 및 물성 향상이 미미하고, 상기 처리제층(20)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처리제층(20)은 그 두께가 5-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is less than 5 占 퐉, the rigid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are in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thickness of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exceeds 50 占 퐉, It is preferable that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has a thickness of 5-50 탆.

한편, 상기 처리제층(20)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 저면에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상기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엠보(도면부호 미표시)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agent layer 20 is co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and cured to form an embossment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not shown).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은 상기 처리제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제층(20)과의 밀착성을 높인다.The upper primer layer 30 is formed under the processing layer 20 to enhance the adhesion with the processing layer 20.

이와 같은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은 상기 처리제층(20)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imer layer 3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as long as the upper primer layer 30 can improve adhesion with the treatment layer 20, and may be formed of an acrylic primer.

그리고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upper primer layer 30 is preferably 1-5 占 퐉.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상기 처리제층(20)과의 밀착성 개선이 미미하고,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의 두께가 5㎛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은 그 두께가 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primer layer 30 is less than 1 탆, the improvement in adhesion with the treatment layer 20 is insignificant. 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primer layer 30 exceeds 5 탆,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rimer layer 30 has a thickness of 5 탆.

한편,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증착 프라이머층(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pper primer layer 30 may further include a deposition primer layer 31 at the lower end.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은 금속 입자의 밀착성을 높이는바,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에 의해 상기 증착층(40)의 형성이 원활해진다.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enhances the adhesion of the metal particles, and 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smoothly forms the deposition layer 40.

이때,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은 금속 입자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may be formed of any ordinary material as long as it can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metal particles, and may be preferably formed of an acrylic primer.

그리고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is preferably 1-5 占 퐉.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금속 입자의 밀착성 개선이 미미하고,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의 두께가 5㎛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31)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is less than 1 탆, the improvement of the adhesion of the metal particles is insignificant. When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exceeds 5 탆,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primer layer 31 is formed to be 1-5 占 퐉.

상기 증착층(40)은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 하부에 형성되어 금속 고유의 광택을 부여한다.The deposition layer 40 is formed under the upper primer layer 30 to impart a specific luster to the metal.

이와 같은 상기 증착층(40)은 주석 또는 인듐 입자로 형성됨으로써 주석 또는 인듐 고유의 광택으로 인한 장식 효과의 연출이 가능하다.Since the deposition layer 40 is formed of tin or indium particle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ecorative effect due to inherent gloss of tin or indium.

그리고 상기 증착층(40) 그 두께가 10-100n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40 is preferably 10-100 nm.

상기 증착층(40)의 두께가 10nm 미만인 경우, 금속 고유의 광택 부여가 미미하고, 상기 증착층(40)의 두께가 100nm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증착층(40)은 그 두께가 10-100n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40 is less than 10 nm, the inherent luster of the metal is insignificant. When the thickness of the deposition layer 40 is more than 100 nm, The deposition layer 40 may have a thickness of 10-100 nm.

한편, 상기 증착층(40)의 형성을 위한 금속 입자의 증착은 통상의 어떠한 증착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한바, 상기 증착층(40)의 형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deposition of the metal particles for forming the deposition layer 40 may be performed by any conventional deposition metho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rmation of the deposition layer 40 is omitted.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은 상기 증착층(4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40)과의 밀착성을 높인다.The lower primer layer 50 is form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40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deposition layer 40.

이와 같은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은 상기 증착층(40)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계 프라이머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rimer layer 5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as long as it can improve adhesion with the deposition layer 40. The lower primer layer 50 may be formed of a polyester primer or an acrylic primer .

그리고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is preferably 1-5 占 퐉.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상기 증착층(40)과의 밀착성 개선이 미미하고,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의 두께가 5㎛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is less than 1 탆, the improvement in adhesion with the deposition layer 40 is insignificant. When the thickness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exceeds 5 탆,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rimer layer 5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5 탆.

상기 접착제층(60)은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저면의 요철(도면부호 미표시)을 메운다.The adhesive layer 60 is formed under the lower primer layer 50 to fill the unevenness (not show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이와 같은 상기 접착제층(60)은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저면의 요철을 메울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타입의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6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as long as it can fill the uneven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60 may be formed of a hot-melt type acrylic adhesive or a polyurethane- have.

그리고 상기 접착제층(60)은 그 두께가 10-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60 is preferably 10-50 mu m.

상기 접착제층(60)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저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메움이 곤란하고, 상기 접착제층(60)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접착제층(60)은 그 두께가 10-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60 is less than 10 mu m, it is difficult to fill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60 exceeds 50 mu m, The moldability is deteriorated in the subsequent decorative mold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60 has a thickness of 10-50 mu m.

상기 기재 필름(70)은 상기 접착제층(60) 하부에 부착되어 그 상부의 층들을 지지한다.The base film 7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60 to support the upper layers.

이와 같은 상기 기재 필름(70)은 통상의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가급적 ABS 수지, PMMA 수지, PVC 수지, TPU 수지, PETG 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film 70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material. Preferably, the base film 70 is formed of any one of ABS resin, PMMA resin, PVC resin, TPU resin, and PETG resin.

ABS 수지, PMMA 수지, PVC 수지, TPU 수지, PETG 수지는 비교적 신율이 우수하므로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 대상물의 감쌈이 원활하다.ABS resin, PMMA resin, PVC resin, TPU resin, and PETG resin have relatively high elongation, so that the object can be easily wrapp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그리고 상기 기재 필름(70)은 그 두께가 10-5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film 7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10-500 탆.

상기 기재 필름(70)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상부 층들의 지지가 불안정하고, 상기 기재 필름(70)의 두께가 500㎛를 초과하는 경우, 그 두께로 인하여 차후 가식 성형 과정에서 성형성이 저하되는바, 상기 기재 필름(70)은 그 두께가 10-5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70 is less than 10 탆, the support of the upper layers is unstable,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70 is more than 500 탆,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ilm 70 has a thickness of 10-500 탆.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A)에서 에어 갭 발생 방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air gaps in the decorative sheet (A) capable of embodying the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은 상기 이형 시트(11) 저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도포된 이후 돌출 패턴이 형성된 롤 사이를 통과하며 경화됨에 따라 저면에 상기 입체 패턴이 각인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violet-curing resin layer 10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11, and after the ultraviolet curing resin is applied, passes through between the rolls having the protrusion pattern and is hardened,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engraved on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10) 하부에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처리제층(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상기 엠보가 형성되며, 상기 처리제층(20) 하부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30), 증착층(40), 하측 프라이머층(50) 각각에는 상기 엠보 형성에 따른 요철이 형성된다.2, the embossment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the processing layer 20 formed by being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0 and then cured, 20, the upper primer layer 30, the deposition layer 40, and the lower primer layer 50 are form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ccording to the embossing.

한편, 상기 엠보 형성에 따른 요철이 형성된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하부로 상기 기재 필름(70)을 직접 적층하게 되면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에 형성된 요철로 인하여 상기 기재 필름(70)과의 사이에 에어 갭의 발생이 따를 수 있다.When the base film 70 is directly lamin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rimer layer 50 formed by the embossing, the lower primer layer 50 is formed by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lower primer layer 50, The occurrence of an air gap can be followed.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하부로는 핫멜트 타입의 상기 접착제층(60)이 형성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층(60)에 의해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 하부의 요철이 메워지므로 요철이 메워진 상태에서 상기 기재 필름(70)을 부착함에 따라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과 상기 기재 필름(70) 사이에 에어 갭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 에어 갭 발생으로 인한 부착력 저하 및 기포 발생이 방지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melt type adhesive layer 60 is formed under the lower primer layer 50, and the lower primer layer 50 is formed by the adhesive layer 60 as shown in FIG. The air ga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lower primer layer 50 and the base film 70 as the base film 70 is adhered to the base film 70, And the occurrence of bubbles is prevented.

따라서, 상기 처리제층(20)에 형성되는 상기 엠보의 깊이를 20-30㎛로 이전에 비해 깊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깊어진 상기 엠보에 의해 입체무늬가 더욱 부각될 수 있어 장식 효과가 향상된다.Therefore, since the depth of the emboss formed in the treatment layer 20 can be 20 to 30 占 퐉 more than before, the embossing can be more emphasized by the embossing which is relatively deep, and the decorative effect is improved .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A)는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과 상기 기재 필름(70) 사이에 핫멜트 타입의 상기 접착제층(60)이 형성되는바, 상기 접착제층(60)에 의해 상기 하측 프라이층(50) 저면의 요철이 메워지므로 이에 의해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50)과 상기 기재 필름(70) 사이에서의 에어 갭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 에어 갭 발생으로 인한 부착력 저하 및 기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ive sheet (A) capable of embodying the deep emb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ot-melt type adhesive layer (60) formed between the lower primer layer (50) and the base film (70) The air gap between the lower primer layer 50 and the base film 70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uneven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ying layer 50 is filled with the adhesive layer 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on force from being generated and the occurrence of bubbl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10, 10' :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11 : 이형 시트
20, 20' : 처리제층 30, 30' : 상측 프라이머
31: 증착 프라이머 40, 40' : 증착층
50, 50' : 하측 프라이머 60 : 접착제층
70, 70' : 기재 필름 100 : 에어 갭
A, A' : 데코레이션 시트
10, 10 ':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11: release sheet
20, 20 ': treatment agent layer 30, 30': upper primer
31: deposition primer 40, 40 ': deposition layer
50, 50 ': lower primer 60: adhesive layer
70, 70 ': base film 100: air gap
A, A ': Decoration sheet

Claims (20)

이형 시트 하부에 형성되되, 저면에 입체 패턴이 각인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하부에 형성되어 제품의 강성 및 물성을 높이는 처리제층;
상기 처리제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제층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상측 프라이머층;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 하부에 형성되어 금속 고유의 광택을 부여하는 증착층;
상기 증착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착층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하측 프라이머층;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 저면에 형성되는 요철을 메우는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하부에 부착되어 그 상부의 층들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lease sheet and having a bottom surface stamped with a three-dimensional pattern;
A treatment agent layer formed under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to enhance rigid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An upper primer lay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eatment agent lay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treatment agent layer;
A deposition layer formed under the upper primer layer and giving a luster inherent to the metal;
A lower primer layer form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deposition layer;
A hot-melt type adhesive layer formed below the lower primer layer to fill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rimer layer;
And a substrate film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support layers there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은 상기 이형 시트 저면에 도포된 이후 돌출 패턴이 형성된 롤 사이를 통과하며 경화됨에 따라 저면에 상기 입체 패턴이 각인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sheet, and passes through between the rolls having the protrusion pattern formed thereon, and is hardened, thereby embossing the embossed pattern on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은 그 두께가 1-50㎛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5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은 상기 기재 필름의 부착 이후 상기 이형 시트와 함께 제거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is removed together with the release sheet after attachment of the bas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제층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층 저면에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상기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엠보가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ing layer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layer and then cured to form an emboss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제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eatment layer is formed of an acryl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제층은 그 두께가 5-50㎛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eatment agent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5-5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rimer layer is formed of an acrylic pri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rimer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5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라이머층은 하단에 금속 입자의 밀착성을 높이는 증착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rimer layer further comprises a deposition primer layer for enhancing the adhesion of the metal particles to the lower end of the decorative primer lay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position primer layer is formed of an acrylic prim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프라이머층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position primer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5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주석 또는 인듐 입자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osition layer is formed of tin or indium 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그 두께가 10-100nm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por deposition layer has a thickness of 10-1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터계 프라이머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rimer layer is formed of a polyester-based primer or an acrylic-based pri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라이머층은 그 두께가 1-5㎛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rimer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5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n acrylic adhesive or a polyurethane-based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그 두께가 10-50㎛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10-5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수지,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수지, PETG(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MMA (Polymethly Methacrylate) resin, PVC (Polyvinyl Chloride) resin,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and PETG (Poly 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A decorative sheet that can embody deep embos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그 두께가 10-500㎛로 형성되는 것인 깊은 엠보를 구현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film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500 占 퐉.
KR1020170019838A 2017-02-14 2017-02-14 decoration sheet KR102110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38A KR102110368B1 (en) 2017-02-14 2017-02-14 decoration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38A KR102110368B1 (en) 2017-02-14 2017-02-14 decoration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69A true KR20180093569A (en) 2018-08-22
KR102110368B1 KR102110368B1 (en) 2020-05-13

Family

ID=6345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38A KR102110368B1 (en) 2017-02-14 2017-02-14 decoration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728A (en) * 2008-09-18 2010-04-02 Okamoto Ind Inc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20048870A (en) * 2010-11-08 2012-05-16 (주)엘지하우시스 Interior decor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4642A (en) * 2012-12-10 2014-06-18 (주)엘지하우시스 Films expressing metallic appearance using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60138147A (en) * 2014-03-26 2016-12-0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Transfer film for three-dimensional mo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728A (en) * 2008-09-18 2010-04-02 Okamoto Ind Inc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20048870A (en) * 2010-11-08 2012-05-16 (주)엘지하우시스 Interior decor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4642A (en) * 2012-12-10 2014-06-18 (주)엘지하우시스 Films expressing metallic appearance using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60138147A (en) * 2014-03-26 2016-12-0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Transfer film for three-dimensional m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368B1 (en)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799B1 (en) Embossed decorative injection-molded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75721B1 (en) Mirror surface sheet for decorat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8036690A3 (en) In-mold lamination of decorative products
KR20120075755A (en) Vacuum mold having three dimensional design pattern of reverse direction and vacuum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72782A (en) Insert mold transcription film including three-dimentional patter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0267790A (en) Produce the method for the improved plastics structural shape with decorated surface and the improved plastics structural shape with decorated surface
JP6438590B2 (en) Decorative sheet for vacuum thermoforming, article forme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on sheet for vacuum thermoforming
JP2013199001A (en) In-mold transfer foil, decorative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molded article
JP7183528B2 (en) Decorative sheets and decorative resin moldings
JP6972527B2 (en) Decorative sheets,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se
JP3588057B2 (en) Resin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80093569A (en) decoration sheet
JP2017177729A (en) Decorat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resin molding
KR101262444B1 (en) Molding sheet having three dimensional emboss effect
KR20150069676A (en) The flooring having the effect of hologram scattered reflec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236574A (en) Resin-made ornament
KR10129439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 sheet having excellent embossing maintanance
CN102712166A (en) Decoration film and method of application
KR20100030927A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terior panel having solid pattern and interior panel
KR102111277B1 (en) Plate-shaped member with a realistic wood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40358B2 (en) Irregular decorative injection molded product
KR10206463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lic decoration film and metallic decoration film
KR20100025639A (en) Decoration sheet for insert molding having three dimensional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888874B2 (en) Resin decoration
JP6386890B2 (en) Laminated decorative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ecorativ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