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457A -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457A
KR20180093457A KR1020170019581A KR20170019581A KR20180093457A KR 20180093457 A KR20180093457 A KR 20180093457A KR 1020170019581 A KR1020170019581 A KR 1020170019581A KR 20170019581 A KR20170019581 A KR 20170019581A KR 20180093457 A KR20180093457 A KR 2018009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content
user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영
Original Assignee
조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영 filed Critical 조동영
Priority to KR102017001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457A/ko
Publication of KR2018009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여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다수의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를 기초로 알람음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알람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알람 수행시 디바이스 내 저장된 데이터 외 다양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SYSTEM FOR PROVIDING ALAR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설정한 날짜나 시간을 알리는 알람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부가 기능으로 제공되고 있다.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종래의 알람 장치에 따르면,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벨소리나 음원을 출력하여 알람을 수행하는 것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Sound Data)에 제한이 있다.
현재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알람음으로 지정하거나 시간대나 요일별로 서로 다른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은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사운드 풀(Pool)에서 원하는 사운드를 선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운드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알람 수행시 디바이스 내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여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다수의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를 기초로 알람음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알람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의 시작, 끝, 및 중간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기설정된 음을 삽입하여 상기 알람음을 생성하거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의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알람음을 생성하거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2곡 이상의 상기 음악 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알람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될 예정에 있는 음악 선택,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된 음악 선택, 음악 테마, 장르, 작곡가, 작사가, 가수, 및 음악 발매날짜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따른 상기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로 선택할 상기 음악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을 때에는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웹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세부정보를 기초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부정보는,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된 음악에 관한 정보나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될 예정에 있는 음악에 관한 스케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따른 음악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재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여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선택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를 기초로 알람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알람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알람 수행시 디바이스 내 저장된 데이터 외 다양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알람음을 변경할 때마다 변경을 위한 정보를 반복적으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원하는 음악을 알람음으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이 표시된 화면의 일 예;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음악 콘텐츠를 기초로 알람음을 생성하여 사용자 설정 시간에 맞춰 알람음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하여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수의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 구성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옵션제공부(110), 통신부(120), 알람음 생성부(130), 및 알람음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옵션제공부(110)는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다. 음악 선택 기준정보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다수의 음악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에서 적어도 일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기준이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도 3은 옵션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이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옵션제공부(110)는 곡명, 음악 테마, 장르, 작곡가, 작사가, 가수, 음악 발매날짜, 소정 프로그램, 공연이나 장소에서 나올 예정 또는 나왔던 음악 선택 등의 항목에 관한 옵션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항목에 대한 보기를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옵션들은 동시에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음악 테마 옵션(A)을 선택하면, 그 하위 옵션으로서 연인과 함께 듣는 음악, 여행갈 때 인기있는 음악, 프로포즈 음악, 이별을 위로받고 싶을 때 듣는 음악 등 구체적인 음악 테마에 따른 분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악 장르 옵션(B)을 선택하면, 그 하위 옵션으로 발라드, 댄스, 랩/힙합, R&B/Soul, 인디음악, 록/메탈, 트로트, 포크/블루스/컨트리, 팝, OST, 클래식, 재즈, 뉴에이지, CCM, 어린이/태교, 종교음악, 국악 등을 제공하고, 이 중 사용자가 CCM을 선택하였을 때, 국내CCM, 국외CCM, 워십, 찬송가, 성가, 연주곡, 어린이CCM 등이 그 하위 옵션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옵션은 상위/하위 옵션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에 따라 해당 옵션에 속하는 하위 옵션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작사가, 작곡가, 가수 옵션(C)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음악의 작사가나 작곡가, 가수 등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또는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작사가나 작곡가, 가수 등의 이름을 쉽게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프로그램, 공연, 장소에서 나올 예정 또는 나왔던 음악 선택에 관한 옵션(D1, D2)은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이나 공연, 장소 등에서 접했지만 해당 음악에 관한 정보가 부족할 때나 특정 프로그램이나 장소에서 나올 예정인 음악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성당에서는 미사에서 화답송(Graduale)을 부르고, 일마다 다른 화답송을 부른다. 사용자는 해당일 또는 해당 주일 미사에서 부를 화답송을 선택하고 싶을 때에는 음악 장르 옵션(B)에서 성가-화답송을 선택하고, 소정 프로그램, 공연, 장소에서 나올 예정인 음악을 선택하는 옵션(D2)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 프로그램이나 장소에서 나올 예정이거나 나왔던 음악을 선택하는 옵션(D1, D2)을 선택하면 그 이후에 해당 프로그램(TV, 라디오 등), 공연(뮤지컬, 공연, 연극, 콘서트 등), 장소(교회, 성당 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로서 프로그램명이나 공연명, 구체적인 장소, 해당 음악이 나왔거나 나올 예정날짜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옵션제공부(110)는 옵션을 통하여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정보뿐 아니라, 콘텐츠 변경여부, 변경주기 등 콘텐츠 변경에 관한 옵션도 제공할 수 있으며, 알람 시간대별로 각각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옵션제공부(110)는 입력된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이 복수여서 그 중의 일부를 선택해야 할 때나,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이 존재하지 않아 차선으로 음악을 선택해야 할 때 활용될 수 있도록 옵션별 우선순위를 입력받거나 복수 개의 선택후보 중 임의로 선택, 모두 선택, 최신 음악 선택, 선택후보 음악을 변경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라는 등으로 추가 선택 기준정보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Wi-Fi, LTE 등 다양한 유무선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옵션을 통해 입력된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고, 선택된 음악 콘텐츠를 수신한다. 이 밖에도 사용자 식별정보, 서비스 요금 결제정보 등 알람 제공 시스템(1)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알람음 생성부(13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여 알람음을 생성한다. 알람음 생성부(130)는 음악 콘텐츠의 시작, 끝, 중간 부분 등에 기설정된 음을 삽입하여 알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음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효과음일 수 있다.
또는, 알람음 생성부(130)는 음악 콘텐츠의 일부를 추출하여 알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악 전체를 모두 알람음으로 이용하기에는 지나치게 길고, 전주부분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메인부분을 추출하여 알람음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알람음 생성부(130)는 2곡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결합하여 알람음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알람음 생성방법은 2곡의 음악 콘텐츠에서 각각 일부를 추출하고, 이를 결합하여 알람음을 생성하는 등으로 서로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알람음 출력부(140)는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에 맞춰 알람음 생성부(130)를 통해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하여 알람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음악을 알람음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통신부(210), 콘텐츠 저장부(220), 및 콘텐츠 선택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 서비스 이용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정보, 옵션을 통해 입력된 음악 선택 기준정보 등을 수신하고,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전송한다.
콘텐츠 저장부(220)는 다수의 음악 콘텐츠를 저장한다. 콘텐츠 저장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옵션에 대응하여 음악 테마, 장르, 작곡가, 작사가, 가수, 곡명, 음악 발매날짜 등의 카테고리별로 음악 콘텐츠를 저장 관리한다.
콘텐츠 선택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음악 콘텐츠를 검색하고 콘텐츠 저장부(220)에 저장된 다수의 음악 콘텐츠 중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한다. 예컨대, 구체적인 곡명이 주어졌을 때에는 해당 곡명에 대응하는 음악을 선택하면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테마, 장르, 작곡가, 가수 등이 선택 기준정보로서 주어졌을 때에는 해당 테마, 장르에 속하고, 해당 작곡가가 작곡하고 해당 가수가 부른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이 1개 일 때에는 해당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면 되며, 선택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이 복수 개일 때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음악 콘텐츠를 모두 선택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옵션별 우선순위를 적용하거나 최신음악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등의 선택기준을 적용하여 그 중 일부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선택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옵션별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옵션을 제외하되 최대한 많은 옵션을 만족하는 음악 콘텐츠를 찾아 선택한다.
한편, 콘텐츠 선택부(23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악 선택 기준정보로만 음악을 선택할 수 없는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정 프로그램, 공연, 장소 등에서 이용될 예정 또는 이용된 음악 옵션을 선택하면 특정 프로그램명, 장소명만 가지고서는 음악 콘텐츠를 선택할 수 없고, 해당 프로그램이나, 장소, 공연 등에서 어떤 음악이 이용될 예정인지 혹은 이용되었는지에 관한 추가정보가 필요하다.
이처럼, 음악 선택 기준정보로만 선택할 음악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을 때에는 콘텐츠 선택부(230)는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웹 검색을 수행하여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세부정보를 이용하여 음악 콘텐츠를 선택한다.
세부정보로는 이용된 음악의 곡명 등 소정 프로그램, 공연, 장소 등에서 이용된 음악에 관한 정보 또는 이용될 예정에 있는 음악에 관한 스케줄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라디오 프로그램, TV 프로그램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공연은 뮤지컬, 연극, 콘서트, 음악회 등을 포함한다. 장소는 성당, 교회를 비롯하여 음악이 공연되거나 연주되는 각종 공연장소, 연주장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사이트에서는 미사에서 이용된 화답송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와 이용할 예정에 있는 화답송에 관한 스케줄 정보를 미리 업로드하며, 뮤지컬이나 음악회에서도 이미 공연한 음악 히스토리 정보나 앞으로 공연할 음악에 관한 스케줄 정보를 관련 사이트에 업로드하고 있다.
또는 이처럼 관련 사이트에서 히스토리나 스케줄 정보를 업로드하지 않더라도, 뉴스 기사나 블로그 등에 관련 정보가 게시되어 있는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웹 검색을 통하여 히스토리 정보나 스케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필요한 정보를 파싱(Parsing)하거나 추출해 내는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을 내장할 수 있다.
콘텐츠 선택부(230)는 획득된 세부정보를 기초로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부합하는 음악 컨텐츠를 선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성당 금주 미사에서 부를 화답송을 선택 기준정보로 입력하였을 때, 콘텐츠 선택부(230)는 화답송 스케줄 정보를 획득하고 스케줄 정보에서 금주의 화답송 곡명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금주 화답송에 대응하는 곡명이나 타이틀을 가지는 음악 콘텐츠가 작곡가별로 여러 개 존재할 때, 콘텐츠 선택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작곡가가 작곡한 화답송을 택일하거나 또는 입력된 정보가 없을 때에는 임의의 기준을 적용하여 택일하거나 모든 작곡가의 화답송 콘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선택부(230)는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따른 음악이 변경되면,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음악 콘텐츠를 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금주 미사에서 부를 화답송을 선택 기준정보로 입력하면, 주마다 화답송이 변경되므로, 화답송 스케줄 정보에 따라 주마다 음악 콘텐츠를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가수의 최신 음악을 선택 기준정보로 입력하였을 때 해당 가수가 새로운 곡을 발표하면 발표된 곡으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이 변경될 때마다 재차 번거로운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음악을 알람음으로 변경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별로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한번 기준정보를 입력받으면 이후에는 저장된 기준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별 알람음 변경주기에 맞추어 새로운 음악 콘텐츠를 계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제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알람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여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다(S10, S20).
사용자 단말기(100)가 입력된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면(S30),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음악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한다(S40). 이때, 수신된 음악 선택 기준정보로만 선택할 음악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을 때에는 선택 기준정보에 따른 음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련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웹 검색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음악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악 콘텐츠가 선택되면,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50).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한 음악 콘텐츠에 기설정된 음을 삽입하거나, 일부분을 추출하거나, 복수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등 설정된 방법으로 알람음을 생성하고(S60),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한다(S70).
한편, 전술된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추가되거나 변경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수신한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이후부터는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변경주기에 따라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 음악 콘텐츠를 요청하는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위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음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연결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 전 소정 시점에 자체적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1) 및 알람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음악 외에도 다양한 음악을 알람음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음악 변경시마다 반복적으로 선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원하는 음악을 알람음으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간략히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을 변형하고 치환하는 것이 용이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균등범위에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옵션제공부
120: 통신부 130: 알람음 생성부
140: 알람음 출력부 200: 콘텐츠 제공 서버
210: 통신부 220: 콘텐츠 저장부
230: 콘텐츠 선택부

Claims (9)

  1.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여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다수의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를 기초로 알람음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알람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의 시작, 끝, 및 중간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기설정된 음을 삽입하여 상기 알람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의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알람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2곡 이상의 상기 음악 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알람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될 예정에 있는 음악 선택,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된 음악 선택, 음악 테마, 장르, 작곡가, 작사가, 가수, 및 음악 발매날짜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따른 상기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로 선택할 상기 음악 콘텐츠를 특정할 수 없을 때에는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음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웹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세부정보를 기초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정보는,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된 음악에 관한 정보나 소정 프로그램, 공연, 또는 장소에서 이용될 예정에 있는 음악에 관한 스케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에 따른 음악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재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시스템.
  9.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음악 선택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여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선택 기준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선택된 상기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악 콘텐츠를 기초로 알람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상기 알람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제공 방법.
KR1020170019581A 2017-02-13 2017-02-13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KR20180093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81A KR20180093457A (ko) 2017-02-13 2017-02-13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81A KR20180093457A (ko) 2017-02-13 2017-02-13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57A true KR20180093457A (ko) 2018-08-22

Family

ID=6345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81A KR20180093457A (ko) 2017-02-13 2017-02-13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4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47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20150248272A1 (en) Playback control apparatus, playba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5657171B (zh) 来电铃声的设置方法和系统
KR1008053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14821A (ko) 음악 인식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6484856B (zh) 音频播放方法及装置
US20120059493A1 (en) Media playing apparatus and media processing method
CN104038774B (zh)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KR20140054555A (ko) 알람 기능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4199864B (zh) 一种输入过程中按键音提示的方法和装置
JP6261129B2 (ja) 歌唱推奨楽曲報知システム
JP5694898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CN112086082A (zh) 电视k歌的语音交互方法、电视和存储介质
JP5694899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CN104038772A (zh)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JP200527631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13050479A (ja) 楽曲データ処理装置、楽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78307B1 (ko) 실시간 음악 재생 목록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장치
KR20180093457A (ko) 알람 제공 시스템 및 알람 제공 방법
JP20122161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23112A (ja)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140056636A (ko) 플레이리스트 공유를 통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08604238A (zh) 用于媒体引导的方法、系统和介质
US20060150116A1 (en) Data distribution system
JP5580962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