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997A -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997A
KR20180091997A KR1020170016840A KR20170016840A KR20180091997A KR 20180091997 A KR20180091997 A KR 20180091997A KR 1020170016840 A KR1020170016840 A KR 1020170016840A KR 20170016840 A KR20170016840 A KR 20170016840A KR 20180091997 A KR20180091997 A KR 2018009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hardware platform
user
powe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221B1 (ko
Inventor
서정욱
임재현
박윤기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04L51/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텍스트,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 본인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한 후, 채팅창을 통해 댁내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토대로 댁내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 릴레이별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OWER RELAY CONTROL BASED ON IoT THROUGH MULTIMEDIA CHATTING}
본 발명은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텍스트,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 본인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한 후, 채팅창을 통해 댁내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토대로 댁내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 릴레이별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었던 PC 기반의 네트워크 기술이 가정 내의 각종 디바이스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술은 가정 내의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가정생활의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와 설비들을 제어, 감시하고 관리하는 지능형 홈 제어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홈뱅킹, 홈쇼핑, 재택근무, 재택의료, 난방의 원격제어 등이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술은 생산현장에서의 자동화를 의미하는 공장자동화(FA, Factory Automation), 사무현장에서의 자동화를 의미하는 사무자동화(OA, Office Automation) 등의 개념과 유사하게 가정에서 여러 가지 전자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주거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실현해 주는 시스템이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술이 실현되면 회사업무도 집에서 처리할 수 있고 물건을 사러 시장에 가거나 금융거래를 위해 은행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되며, 전화로 밖에서 집안의 불을 켜고 끌 수 있으며, 커튼을 열고 닫을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전자제품과 연결하면 전자레인지, 가스, 전기밥솥 등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추운 겨울에 밖에서 전화로 난방을 미리 작동시켜 따뜻한 집에 들어설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기술은 통상적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홈 서버(또는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가정 내의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조명등, 보일러, 센서 등의 각종 전자제품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현된 홈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 노트PC, 태블릿, PC 등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댁내 또는 외부에서 홈 서버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홈 서버와 연결된 다수의 전자제품에 액세스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거나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홈 네트워크 기술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댁내 각 구성원들이 본인이 보유한 스마트폰이나 PC 등의 제어장치에 사업자 측에서 제공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동작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하고, 각 구성원들이 댁내 또는 원격지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나 동작프로그램을 통해 홈 서버에 일대일로 접속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댁내의 각종 전자제품을 모니터링하거나 동작제어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채팅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본인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한 후, 채팅창을 통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카메라 촬영 데이터,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매칭정보 및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를 확인하고, 채팅창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댁내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5-0028175호(2015.03.13.)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의 대화가 표시되는 대화 표시창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문자를 입력받는 대화 입력창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아이콘 선택창과, 대화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를 전송하는 전송버튼이 배치된 채팅 스크린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대화 입력창에 입력된 일괄 제어 명령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일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채팅 스크린에 미리 설정된 명령어를 입력하여 복수 전기기기의 동작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복수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채팅 스크린에 명령어 입력 시, 명령어 자동 완성 기능, 추천 명령어, 유사 명령어 및 아이콘 명령어를 제공함으로써 명령어 입력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채팅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명령을 토대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채팅창을 통해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토대로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전원 릴레이에 접속된 각종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채팅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본인 및 가족, 친구, 지인들이 동시에 채팅창을 통해 대화를 수행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한 후 채팅창을 통해 해당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카메라 촬영 데이터,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매칭정보 및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댁내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특정 사용자와 전자기기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에 의해 제어하는 기술 구성과 비교해 볼 때, 카메라 촬영 데이터를 통해 전원 릴레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나 각종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기술적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524392호(2005.11.01.)는 보일러나 온수기의 온도조절기 및 각종 홈오토메이션기기 등의 룸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룸콘트롤러에 조명제어기능을 내장하고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룸콘트롤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제어기능을 갖는 룸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력선 통신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룸 내의 각종 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를 통해 각종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채팅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본인 및 가족, 친구, 지인들이 동시에 채팅창을 통해 대화를 수행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하고, 채팅창을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한 전원 릴레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한 후, 이를 통해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나 각종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한 기재가 전혀 없으며, 이에 대한 언급이나 암시도 없으므로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명확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본인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한 후 채팅을 통해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카메라 촬영 데이터,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매칭정보 및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댁내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댁내에 구비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사전에 설정하면,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기 설정된 환경정보를 토대로 댁내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환경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채팅 형식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은,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는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SNS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 이후,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의 특정 디바이스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제어를 토대로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이며, 상기 카메라모듈은, 댁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촬영대상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은,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를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비교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상태정보,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댁내 환경정보 설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명령의 수행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정보, 전원제어결과정보를 상기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 통신 모듈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사이의 제어명령 및 제어명령에 대한 처리결과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카메라모듈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사이의 촬영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복수의 센서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환경정보 측정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에서 생성한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PLC, 적외선, 블루투스, 비콘, NF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전원 릴레이로 전송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는 전원 릴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SNS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 이후,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의 특정 디바이스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어결과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제어를 토대로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이며, 댁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는 촬영대상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음향신호와 함께 채팅창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출력하는 환경정보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경정보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을 확인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비교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알림 메시지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본인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채팅 연결한 후, 채팅을 통해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카메라 촬영 데이터,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매칭정보 및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 장치와 달리 카메라로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와 동작정보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 확인된 정보와 텍스트로 제공되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를 토대로 댁내 각종 디바이스의 온오프 동작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 연결된 댁내의 각종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에 대한 선택적인 동작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아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요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댁내에 구비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토대로 댁내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기 설정된 환경정보의 범위를 벗어나면 채팅 형식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환경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한 장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을 이용한 댁내 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사용자와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사이의 채팅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원 릴레이 제어에 있어서 댁내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요청에 따른 처리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원 릴레이 제어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의 온오프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원 릴레이 제어에 있어서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알람 메시지 전송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노트 PC, 태블릿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SNS 서버와 접속한 후, SNS 서버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이용하여 친구, 가족 등의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SNS 서버를 통해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에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가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에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프로그램인 챗봇(chatbot)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댁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통신모듈, 카메라모듈, 각종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홈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댁내의 각종 전원 릴레이 및 디바이스 상호간의 전원제어와 관련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디바이스 상태정보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식하여 카메라모듈에서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접속된 디바이스의 매칭정보와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수집한 전원 온오프 정보와 함께 채팅창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미지 및 텍스트의 다양한 형태로 된 상태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전원 릴레이에 어떠한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지, 디바이스의 구동상태가 어떠한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상태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입력하는 전원 온오프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인식한 제어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동작제어신호를 댁내의 특정 전원 릴레이로 전송하여 전원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멀티미디어 채팅에 따른 각종 영상, 음성,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통상적인 틸트, 줌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댁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제어를 토대로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를 촬영한다.
상기 센서는 조도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센서로서, 댁내의 각종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전원 릴레이와 PLC, 적외선, 블루투스, 비콘, NF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댁내의 다양한 장소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어느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는지에 대한 매칭정보를 테이블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에 따라 댁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측정한 조도,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채팅창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센서에서 측정한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와 비교하고, 비교결과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여 댁내 환경이 어떠한지 사용자가 즉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들은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형태로 멀티미디어 채팅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댁내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가 SNS 서버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동일한 채팅창에 접속된다. 이때 사용자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하기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등의 모든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가 채팅에 참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댁내 디바이스 상태정보요청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댁내 디바이스 상태정보요청 제어명령을 인식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상태정보요청 제어명령은 댁내에 구비된 전체 디바이스에 대한 종류 및 동작여부와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에 대한 상태정보 요청이거나, 특정 디바이스 및 전원 릴레이의 동작여부에 대한 상태정보 요청일 수 있다.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댁내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카메라모듈을 통해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촬영데이터와 함께 기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접속된 디바이스의 매칭정보,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로 수집한 전원 온오프 정보를 채팅창에 제공한다. 이때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와 각각의 전원 릴레이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가 장착되어 있다.
이후, 댁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나 전원 릴레이의 온오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인식한 제어명령에 대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동작제어신호를 특정 전원 릴레이로 전송한다.
그러면 특정 전원 릴레이에서는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동작제어신호를 토대로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며, 전원 온오프에 대한 수행결과를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전원 온오프에 대한 수행결과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원제어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이 된 특정 디바이스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원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사용자와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사이의 채팅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 SNS 서버(200),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 복수의 전원 릴레이(400), 복수의 디바이스(500)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노트 PC, 태블릿 등의 통신기능이 구비된 전자기기이며, SN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친구, 가족 등의 다른 사용자들 및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의 머신과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채팅창을 통해 대화에 참여하는 다른 사용자들과는 일반적인 채팅을 수행하고,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와는 채팅 형식의 제어명령 입력과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응답정보의 표시를 수행하는 것이다.
SNS 서버(200)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댁내의 각종 전원 릴레이 및 디바이스의 전원제어와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는 SN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채팅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댁내의 각종 전원 릴레이 및 디바이스의 전원제어와 관련된 채팅(즉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의 확인,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응답정보나 처리결과의 제공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댁내에 구비된 복수의 전원 릴레이(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온오프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는 통신모듈(310),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 카메라모듈(330), 복수의 센서(340)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모듈(310)은 USB 형태의 와이파이 동글(WiFi dongle) 등의 통신기기로서, SN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 상호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SN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채팅창에 입력하는 상태정보요청 또는 전원 온오프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디바이스(500)의 종류와 전원 온오프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며,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태정보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즉 댁내 디바이스 및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명령을 토대로 카메라모듈(330)에서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330)에서 촬영한 댁내의 디바이스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별로 접속된 디바이스(500)의 매칭정보,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로부터 수집한 전원 온오프 정보와 함께 상기 채팅창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와 전원 릴레이별 전원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상태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전원 온오프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명령을 토대로 댁내의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제어신호를 해당 전원 릴레이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수행한 이후, 카메라모듈(330)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이 된 특정 디바이스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카메라모듈(330)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데이터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원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전원제어결과는 촬영 이미지 그대로 표시하거나, 촬영데이터를 토대로 가공한 그래픽 및 텍스트 형태로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에 따라 센서(340)에서 측정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채팅창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센서(340)에서 측정한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비교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 센서(340)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채팅창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330)은 틸트, 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통신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로서, 댁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의 제어를 토대로 댁내에 구비된 다양한 디바이스(500)를 촬영하며, 촬영데이터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로 전송한다.
상기 카메라모듈(320)은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디바이스(500)를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 천정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나 전원 릴레이(40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320)은 촬영대상 디바이스(5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센서(340)는 댁내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환경센서로서,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측정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센서(340)에서 측정되는 환경정보는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에 따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릴레이(400)는 댁내에 구비된 콘센트나 디바이스(500) 자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의 제어를 토대로 디바이스(500)에서 사용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 통신 인터페이스부(322),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23),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24), 저장부(325), 전원 제어부(326), 제어부(327) 등으로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는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각종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댁내 환경정보 설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는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만을 인식하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은 무시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는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나 각종 디바이스(500)의 전원 온오프에 대한 상태정보, 특정 전원 릴레이(400)나 디바이스(500)에서 수행한 전원 온오프 제어결과를 채팅창 상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2)는 통신 모듈(310)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 사이의 제어명령 및 제어명령에 대한 처리결과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23)는 카메라 직렬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로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과 카메라모듈(330) 사이의 촬영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24)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로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과 복수의 센서(340)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환경정보 측정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저장부(325)는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별로 접속된 디바이스(500)의 매칭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25)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등에 관련된 기준 환경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댁내에 구비된 전원 릴레이(400) 및 디바이스(500)의 전원제어 결과를 저장, 관리한다.
전원 제어부(326)는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에서 생성한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PLC, 적외선, 블루투스, 비콘, NF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전원 릴레이(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27)는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에서의 제어명령 인식, 동작제어신호 생성, 상태정보 및 전원제어결과 제공과, 통신 인터페이스부(322)를 통한 통신모듈(310)과의 데이터 송수신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23)를 통한 각각의 디바이스(500)의 촬영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24)를 통한 복수의 센서(340)에서의 환경정보 측정과, 저장부(325)에서의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별로 접속된 디바이스(500)의 매칭정보, 기준 환경정보 설정정보 및 전원제어결과의 저장과, 전원 제어부(326)에서의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동작제어신호 전송 등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7)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321)에서 수행되는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별 전원 온오프에 대한 상태정보, 특정 전원 릴레이(400)에서 수행한 전원 온오프 제어결과 등의 채팅창 제공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채팅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일대일 또는 일대다로 채팅 연결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다대일 또는 다대다로 채팅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와 같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일대일로 채팅을 수행할 때,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에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사용자는 채팅창을 통해 전원 상태정보 요청, 전원 온오프 제어 등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일대다로 채팅을 수행할 때,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에 사용자 #1 및 사용자 #2의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사용자 #1 및 사용자 #2는 동일한 채팅창을 통해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다대일로 채팅을 수행할 때,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1 및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2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인증된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에서만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의 처리가 가능하다. 이때 도 5의 (a)에서는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1 및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2 모두에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동일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명령 처리가 불가능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각각의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어명령의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다대다로 채팅을 수행할 때,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1에는 사용자 #1이 인증되어 있고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2에는 사용자 #2가 인증되어 있다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1에서는 사용자 #1이 입력하는 제어명령의 처리가 가능하며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2에서는 사용자 #2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의 처리가 가능하다. 이때 도 5의 (b)에서는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1 및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2 모두에 사용자 #1 및 사용자 #2의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동일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명령 처리가 불가능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사용자 #1 및 사용자 #2가 각각의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어명령의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원 릴레이 제어에 있어서 댁내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요청에 따른 처리과정, 전원 제어부의 온오프 제어과정, 환경정보 모니터링과 알람 메시지 전송과정을 각각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가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등의 형태로 SN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채팅서비스를 통해 채팅창에 접속된다(S100).
S100 단계를 통해 채팅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가 참여한 상태에서,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에서는 사용자가 댁내 디바이스 상태정보요청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200). 즉 사용자가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 및 댁내 디바이스(500)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S20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댁내 디바이스 상태정보요청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300)의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 카메라모듈(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디바이스(500)를 촬영하도록 한다(S300).
그리고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S300 단계에서 촬영한 전원 릴레이(400)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디바이스(500)의 종류 및 동작여부에 대한 촬영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별로 접속된 디바이스(500)의 매칭정보와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별로 수집한 전원 온오프 정보와 함께 채팅창을 통해 제공한다(S400). 이때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카메라모듈(330)에 구비된 마이크에서 수집한 촬영대상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촬영데이터와 함께 채팅창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S400 단계를 통해 제공된 상태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500).
S50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채팅창에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제어신호를 해당 전원 릴레이(400)로 전송하여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도록 한다(S600).
이때 해당 전원 릴레이(400)에서는 전원 온오프에 대한 결과정보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은 상기 카메라모듈(330)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의 특정 디바이스(500)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모듈(330)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특정 전원 릴레이(400)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온오프에 대한 결과정보와 함께 채팅창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원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한다(S700).
한편, 상기 S200 내지 S400 단계를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디바이스 상태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 상기 제어명령을 확인한 후 카메라모듈(330)로 촬영을 요청하며, 카메라모듈(330)에서 촬영을 진행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330)로부터 촬영데이터가 입력되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는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는 각 전원 릴레이(400)에 연결된 디바이스(500)의 매칭정보와 각 전원 릴레이(400)로부터 수집한 전원 온오프 정보와 함께 채팅창에 제공하며, 사용자는 채팅창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댁내에 구비된 각각의 전원 릴레이(400) 및 디바이스(500)의 상태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S500 내지 S700 단계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상태정보를 확인한 후,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 상기 제어명령을 확인한 후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특정 전원 릴레이(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해당 전원 릴레이(400)에서 상기 동작제어신호를 토대로 온오프를 수행하고, 전원제어 수행결과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으로 업데이트한다.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는 카메라모듈(330)로 전원제어가 수행된 특정 디바이스(500)의 촬영을 요청하고, 카메라모듈(330)에서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데이터를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로 제공한다. 그러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는 카메라모듈(330)에서 촬영한 데이터와 함께 특정 전원 릴레이(400)에서 수행한 전원제어 결과를 채팅창에 제공하며, 사용자는 채팅창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특정 전원 릴레이(400)의 전원제어결과를 확인한다.
한편,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알람 메시지 전송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댁내 환경정보 설정데이터를 입력하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는 환경정보 설정데이터를 확인한 후, 저장부(325)에 저장, 관리한다. 그리고 센서(340)를 통해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의 측정을 요청하고, 센서(340)로부터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320)에서는 센서(340)로부터 입력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센서(340)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 후, 알림 메시지를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 장치와 달리 카메라로 댁내의 각종 디바이스의 종류와 동작여부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 확인된 정보와 텍스트로 제공되는 각각의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 정보를 토대로 댁내 각종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 연결된 댁내의 각종 전원 릴레이별 전원 온오프에 대한 선택적인 동작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아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요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댁내에 구비된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토대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환경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채팅 형식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환경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한 장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을 이용한 댁내 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SNS 서버
300 : 전원 릴레이 제어장치 310 : 통신모듈
320 :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321 :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
322 : 통신 인터페이스부 323 :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324 :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325 : 저장부
326 : 전원 제어부 327 : 제어부
330 : 카메라모듈 340 : 센서
400 : 전원 릴레이 500 : 디바이스

Claims (11)

  1.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는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SNS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 이후,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의 특정 디바이스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제어를 토대로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이며,
    상기 카메라모듈은, 댁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촬영대상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은,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를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비교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상태정보,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댁내 환경정보 설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명령의 수행에 따른 디바이스 상태정보, 전원제어결과정보를 상기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
    통신 모듈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사이의 제어명령 및 제어명령에 대한 처리결과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카메라모듈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사이의 촬영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복수의 센서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환경정보 측정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 처리부에서 생성한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PLC, 적외선, 블루투스, 비콘, NFC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전원 릴레이로 전송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7.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댁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는 전원 릴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SNS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채팅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전원 릴레이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 이후,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원제어 대상의 특정 디바이스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채팅창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어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어결과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영상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의 제어를 토대로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이며,
    댁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는 촬영대상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와 함께 채팅창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출력하는 환경정보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경정보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댁내 환경정보 요청에 대한 제어명령을 확인한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은,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댁내의 조도, 온도, 습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환경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비교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환경정보를 벗어나면, 상기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채팅창을 통해 제공하는 알림 메시지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방법.
KR1020170016840A 2017-02-07 2017-02-07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40A KR102004221B1 (ko) 2017-02-07 2017-02-07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40A KR102004221B1 (ko) 2017-02-07 2017-02-07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97A true KR20180091997A (ko) 2018-08-17
KR102004221B1 KR102004221B1 (ko) 2019-07-29

Family

ID=6340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840A KR102004221B1 (ko) 2017-02-07 2017-02-07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27A (ko) * 2019-01-29 2020-08-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762B1 (ko) * 2020-06-11 2021-02-25 박정훈 사물인터넷기기를 활용한 스트리밍 방송 후원 시스템
KR102316072B1 (ko) * 2020-07-16 2021-10-21 정규용 인터넷방송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328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9054A (ko) * 2014-08-07 2016-02-18 주식회사 경동원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328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9054A (ko) * 2014-08-07 2016-02-18 주식회사 경동원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27A (ko) * 2019-01-29 2020-08-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221B1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569B1 (ko)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11937051B (zh) 使用增强现实可视化的智能家居设备放置和安装
US105583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US2022023794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Visitor to a Smart Home Environment
US9547980B2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801583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ecurity Questions via Connected Security System
KR101784990B1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Wang et al. Anycontrol--iot based home appliances monitoring and controlling
US2014012178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46162A (zh) 一种智能家居系统以及机器人的智能家居控制方法
KR101272653B1 (ko)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KR102004221B1 (ko)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87109B2 (en) Video integration with home assistant
TW201308087A (zh) 家用電器控制方法及系統
CN103763163A (zh) 基于泛在网的智能家居系统
CN103179297A (zh) 基于手机物联网的远程监控方法及监控装置
US11259076B2 (en) Tactile launching of an asymmetric visual communication session
JP2002247663A (ja) 設備機器の管理システム
WO2019126470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infant bilirubin level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KR101402796B1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Mahadick et al. Home Automation Using Alexa
KR100642302B1 (ko) 원격제어 시스템의 원격 제어 방법
JP727040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940354B1 (ko)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