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996A -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996A
KR20180091996A KR1020170016833A KR20170016833A KR20180091996A KR 20180091996 A KR20180091996 A KR 20180091996A KR 1020170016833 A KR1020170016833 A KR 1020170016833A KR 20170016833 A KR20170016833 A KR 20170016833A KR 20180091996 A KR20180091996 A KR 2018009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ot
dis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6370B1 (en
Inventor
서정욱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370B1/en
Publication of KR2018009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n IoT device using the same. Unique identification systems individually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posal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a plurality of IoT devices. Uniqueness with other IoT devices is ensured. At the same time, an IoT device that has been used is processed based on the production and disposal information. So,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 disposed IoT device and to promote recycling or reuse.

Description

식별체계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합관리 시스템{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n IoT device using the IoT device,

본 발명은 식별체계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체계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생산정보와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체계를 각각 부여하여,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상에의 유일성을 보장하고, 이와 동시에 IoT 디바이스의 전주기(Life Cycle)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디바이스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n IoT device us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revocation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IoT devices To an IoT device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ensure uniqueness o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life cycle of the IoT device at the same time.

산업기술의 고도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단말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나 모바일단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인터넷 시대가 도래 했다.Due to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is spreading. Therefor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era of wireless Internet has come to be able to receive various services.

또한 센서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컨버전스(Convergence)라 불리는 IT환경의 변화로 하나의 기기나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 방송통신망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네트워크들이 하나로 연결되고 있으며, 칩(Chip)과 센서를 내장한 다양한 종류의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생산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IT environment called digital convergence,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converging on one device or service. Various kinds of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ing communication networ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hange, and various kinds of objects including a chip and a sensor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produce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users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일반적으로 IoT 기술은 사람, 기기,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과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과 사물사이에서도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기술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In general, IoT technology is an intelligent technology that enables people, devices, space, and data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to exchange data not only between people and objects but also between objects and objects, Service.

이러한 IoT 기술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등과 같이 기존의 정보기기뿐만 아니라 의류, 작업도구,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M2M)기능을 갖춘 IoT 디바이스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These IoT technologies ar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desktop PCs, etc. as well as conventional information devices, such as clothes, work tools and household goods, and IoT devices with machine to machine (M2M) .

따라서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통신네트워크상에서 구별하기 위한 식별체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전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체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importance is attached to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particular, a social interest in a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is increasing.

최근 정보기술연구 및 시장조사 기관인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이러한 IoT 디바이스가 2013년 26억 개에서 2020년 260억 개로 10배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들이 고장이나 수명이 다하였을 때, IoT 디바이스의 폐기와 관리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기 및 전자쓰레기 관점에서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엄청난 재앙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 to Gartner, an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market research firm, these IoT devices are expected to increase more than 10 times, from 2.6 billion in 2013 to 26 billion in 2020. As a result, when the IoT devices are out of service or are out of life, IoT device disposal and management problems are expected to occur. In view of electric and electronic waste,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a great disaster. .

현재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생산 및 폐기는 단순히 제조자에 의해 생산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IoT 디바이스를 수거센터에서 수집하여 폐기하는 기존의 전자제품에 준하는 기준에 따라 수행되고 있으나, IoT 디바이스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사용이 종료된 IoT 디바이스의 폐기 또는 재활용에 대한 체계가 갖춰지지 않으면 최근 가전제품과 스마트폰 폐기 과정에서처럼 환경문제가 대두될 공산이 크다. 이에 따라 향후 수명이 다한 IoT 디바이스의 폐기, 재활용, 재사용 등과 관련해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Currently, production and disposal of IoT devices is performed according to standards that are based on existing electronic products that are simply produced by the manufacturer and collect and dispose of the IoT devices used by the user at the collection center, As the trend continues, if there is no system for discarding or recycling IoT devices that have been discontinued, there will be a great deal of environmental problems as in the recent home appliance and smartphone disposal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disposal, recycling and reuse of IoT devices that have reached the end of their useful lif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IoT 디바이스에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한 식별체계를 통해 통신네트워크상에서 IoT 디바이스의 유일성 또는 고유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생산에서부터 재활용 또는 폐기까지 IoT 디바이스의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is given to the IoT device, and the uniqueness or uniqueness of the IoT device is given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identification system, and from the production to the recycling or disposal, We suggest a plan to systematically manage Jeonju.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ior arts that exis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matters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differentiate from the prior arts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591754호(2016.01.29.)는 댁내 IoT 센서의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IoT 센서의 현황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IoT 센서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홈 실내공간에서 센서들 간의 RSSI 및 비콘 조합에 기초하여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가 IoT 센서의 공간 배치를 3차원적으로 표시함으로써, IoT 센서들의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생애주기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이를 통해 IoT 센서의 폐기관리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 IoT 센서의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IoT 센서의 현황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591754 (Jan. 29, 2016) discloses a cluster-based IoT sensor status display method for life-cycle management of a home IoT senso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Based on the RSSI and beacon combination between sensors in the smart home indoor space, the smart home gateway displays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IoT sensor three-dimensionally, thereby monitoring the status of IoT sensors and managing the life cycle appropriately. Based IoT sensor for life-cycle management of an in-house IoT sensor capable of carrying out disposal management of an IoT sensor through the IoT sensor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의 IoT 센서들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폐기관리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과 일부 유사한 점이 있다.The prior art has some similarities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disposal management can be properly performed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IoT sensors.

반면에 본 발명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 및 재생률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체계를 상기 IoT 디바이스에 부여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상에서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유일성을 보장하고, 더 나아가 상기 IoT 디바이스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체계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IoT 디바이스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 및 재생률 정보를 활용하여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들을 간편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IoT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의 부품들을 재활용 또는 재생산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oT 디바이스에 의한 전자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지 댁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IoT 센서들의 위치와 상태정보를 3차원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만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IoT 센서의 공간배치를 건물의 평면도에 매칭시켜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IoT 센서들의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을 뿐, 본 발명에서와 같이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나, 상기 식별체계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므로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은 서로 다른 기술적 구성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IoT device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includ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or the recycling rate and refresh rate information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thereby ensuring uniqueness of the IoT device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IoT device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by using a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assigned to the IoT device.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IoT device,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fresh rate information for each component are utilized By enabling easy sorting of recyclable or reusable components and thereby facilitating recycling or reproduction of components of the IoT device or IoT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electronic waste by the IoT device I am suggesting.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only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the posi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oT sensors installed in a hous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a user. That is, the prior art merely monitors the current status of IoT sensors by matching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IoT sensors to the floor plan of the building and displaying it three-dimens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re is no technical structure for systematically managing IoT devices us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so that it can be easily confir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5-0062576호(2015.06.08.)는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OID(Object Identifier)부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바이스 제조사, 디바이스 모델, 디바이스의 시리얼번호를 포함한 OID를 디바이스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IoT 및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글로벌(Global) 유일성을 보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62576 (June 5, 2015) discloses a method for providing a device OID (Object Identifier) in an open type M2M system and an appl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is a device manufacturer, a device model, To a device for ensuring global uniqueness in IoT and open M2M systems.

상기 선행기술은 OID를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여 통신네트워크상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일부 유사한 점은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체계를 IoT 디바이스에 적용하여, 개방형 통신네트워크상에서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유일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상기 고유의 식별체계를 통해 IoT 디바이스의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폐기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수명이 다한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 상기 선행기술은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Although the prior art has some similarities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OID can be assigned to an IoT devic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IoT devices on a communications network, Applying a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to the IoT device to ensure uniqueness of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on an open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atically manage pre-order of the IoT devices through the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And maximize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use rate of the IoT device having the end of its useful life. The above prior art is not described or suggested for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언급한 선행기술들은 IoT 디바이스의 단순한 상태 모니터링 및 식별체계에 대한 구성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식별체계 부여하여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방형 네트워크상에서의 유일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That is, whil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provide a simple state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scheme for the Io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identification scheme includ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oT devices in a network system, which is capable of systematically managing IoT devices by utiliz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There is a clear differe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개방형 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체계를 부여하여 상기 각각의 IoT 디바이스가 개방형 통신네트워크에서 유일성을 가져 다른 IoT 디바이스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IoT devices connected to an open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So that the IoT device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IoT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각각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체계에 포함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의 생산 및 폐기에 관한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systematically manages the entire period of production and disposal of IoT devices by us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included in a unique identification scheme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It i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체계를 IoT 디바이스에 부여함으로써, 생산에서 폐기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que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thereby systematically managing production to disposal, thereby improving the recycling rate and reusability of the Io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OID(Object Identifier)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ository for storing an identification scheme of an IoT device, the identification scheme including rev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e rev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recyclability rate Information and reusability r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with an OID (Object Identifier).

또한 상기 식별체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국가 식별번호,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 식별번호, 모델 식별번호, 디바이스 시리얼번호, 상기 IoT 디바이스를 인증한 인증기관 식별번호, 인증번호 및 갱신(revision) 일자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identification system may include a country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oT device, a manufacturer or a recycler identification number,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a device serial number, a certification authority identification number certifying the IoT device, an authentication number and a revision date, And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mbination of the produc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폐기타입(End-Of-Life Treatment Type) 정보 및 상기 각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iscar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iscard type (End-Of-Life Treatment Type) information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and a recycling rate and a reuse rate for each component.

또한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모바일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코드로 부호화되어 RFID 태그에 삽입되거나, QR 코드로 부호화되어 상기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며, 상기 모바일 RFID 코드는 mCode, mini-mCode 또는 micro-mCode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are encoded in a mobil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de and inserted into an RFID tag, or are encoded in a QR code and given to the IoT device. The mobile RFID code is mCode, mini-mCode and a micro-mC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부 및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와 상기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테이블을 생성하는 식별테이블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OID(Object Identifier)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registration unit for collecting and registering an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and an identification table including the registered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and the disposal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with an OID (Object Identifier).

또한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폐기타입(End-Of-Life Treatment Type), 상기 각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포함하며,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에 따라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ar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 end-of-life treatment type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a recycling rate and a re- And the discard information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registered IoT device.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별체계를 등록한 IoT 디바이스가 폐기공정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된 경우, 기존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삭제하고 재활용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기 저장된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식별테이블 업데이트부 및 사용자로부터 특정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IoT 디바이스의 식별테이블로부터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폐기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IoT device registered with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recycled or discarded according to the discarding process,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deletes the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existing IoT device and generates an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recycled IoT device And a disca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discard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table of the specific IoT device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for the disca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방법은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단계 및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와 상기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테이블을 생성하는 식별테이블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OID(Object Identifier)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registration step of collecting and registering an identification scheme of an IoT device, an identification tabl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And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wherein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with an OID (Object Identifier).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방법은, 상기 식별체계를 등록한 IoT 디바이스가 폐기공정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된 경우, 기존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삭제하고 재활용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기 저장된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식별테이블 업데이트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특정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IoT 디바이스의 식별테이블로부터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폐기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s of deleting the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existing IoT device and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recycled IoT device when the IoT device registered with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recycled or discarded according to the discarding process And a discard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extracting discard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table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providing the discard information when the disca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is requested by the user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체계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를 각각 부여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개방형 통신네트워크상에서 고유의 식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vice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IoT devices us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wherein identification systems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IoT devices, It is possible to have a unique discrimination power on an open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체계에 포함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토대로 IoT 디바이스의 생산 및 폐기에 대한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폐기되는 IoT 디바이스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roduction cycle of the IoT device and the discard based on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system assigned to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furthermore, And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usability of the IoT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한 식별체계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체계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생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폐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식별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정보를 mCode로 부호화하여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정보를 mini-mCode로 부호화하여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정보를 micro-mCode로 부호화하여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에 부여된 식별체계를 RFID 태그로부터 추출하여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QR 코드를 통해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n IoT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nd an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production information given to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card information given to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assigned to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Code and assigning the discard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mini-mCode and assigning it to the IoT devic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cro-mCode and assigning it to an IoT devic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an identification scheme assigned to an IoT device from an RFID tag and obtaining revocation information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iv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to an IoT device through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managing an identification scheme for an IoT device performed in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별체계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체계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n IoT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n IoT device us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fo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and all use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The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및 폐기정보를 포함한 식별체계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체계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n IoT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production and disposal information and an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200) 및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등록하여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전주기를 관리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 registers a plurality of IoT devices 200 and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IoT devices 200 to manage IoT devices 200 for the IoT devices 200,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며, 상기 처리 및 분석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능을 가지는 장치로써, 센싱, 네트워킹 및 정보처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전기전자 통신장치를 통칭한다.In addition, the IoT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to generate data 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process and analyze the generated data, and transmit the processed and analyzed data. And all I / T communication devices that provide IoT services to users through sensing, networ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또한 IoT 디바이스(200)는 타 IoT 디바이스(200)와 구별되고 개별적으로 인식되기 위한 식별체계를 가진다. 즉, 상기 식별체계는 IoT 디바이스(200)가 개방형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다른 IoT 디바이스(200)와 구분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가리키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생산한 제조자(미도시) 또는 생산시스템(미도시)에 의해 부여되거나, 또는 상기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관리기관(미도시)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Also, the IoT device 200 has an identification system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IoT devices 200 and to be recognized individually. That is, when the IoT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open network, the identification system is a globally unique value that clearly indicates the IoT device 200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IoT devices 200, (Not shown) or a production system (not shown) that produced the IoT device 200, or may be assign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not shown) that manages the identification system.

상기 식별체계는 oneM2M 표준화에서 고려하고 있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중 하나인 OID(Object Identifier)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IoT 디바이스(200)로 부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별체계는 계층적 이름 구조를 토대로 생성되며, 상기 각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개별적으로 부여된다. 한편 상기 식별체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identification scheme is generated based on an OID (Object Identifier) which is one of the identification systems of the IoT device 200 considered in oneM2M standardization and is given to the IoT device 200. [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generated based on the hierarchical name structure, and is individually given to the IoT device 200 includ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for the respective IoT devices 200. The identif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되는 상기 식별체계는, IoT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저장소(예: 메모리 등)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식별체계는 해당 IoT 디바이스(200)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어 IoT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때, 해당 IoT 디바이스(200)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Also, the identification scheme given to the IoT device 200 is stored in a storage (e.g., memory) provided in the IoT device 200, and the stored identification scheme is set such that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wired / And is used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200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the IoT service.

또한 IoT 디바이스(200)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200)는 자신의 식별체계를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신한 각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해 IoT 디바이스(200)의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lso, when the IoT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oT device 200 transmits its identification system to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And registers and manages an identification scheme for each received IoT device 200. Thus,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entire period of the IoT device 200.

한편 등록은 IoT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정보, 폐기정보 및 상기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gistr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cheme from the IoT device 200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300. Howeve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manufacturer or the user of the IoT device 200, And stor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in the database 300 of the integrated IoT device management server 100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와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폐기정보를 상호 매핑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며, 이를 통해 IoT 디바이스(200)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별테이블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also generates an identification tabl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registered IoT device 200 and the rev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200 are mapped and stores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table in the database 300, So that the IoT device 200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The identification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공정(End-Of-Life Treatment, EoLT) 따라 재활용된 경우에는, 기존의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새로운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로 수정됨으로써, 새로운 식별체계가 상기 재활용품에 부여될 수 있다. 이때 해당 IoT 디바이스(200)를 재활용한 재활용자 또는 폐기공정 시스템(미도시)은 재활용된 기존의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와 상기 재활용품에 부여된 새로운 식별체계를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로 전송하여 재활용된 기존의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삭제하고, 재활용품 또는 재생산품에 대한 식별체계를 업데이트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폐기공정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식별체계를 등록한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에서 폐기까지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IoT device 200 may be reused according to the end-of-life treatment (EoLT) for discarding the IoT device 200,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waste information of the recycled product may be modified into new production information and waste information so that a new identification system can be given to the recycled product. At this time, the recycler or the disposal process system (not shown) recycled the IoT device 200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recycled existing IoT device 200 and a new identification system assigned to the recycled product to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recycled IoT device 200 is deleted, and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recycled or remanufactured product is updated and registered. That is,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entire period from production to disposal of the IoT device 200 that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waste disposal system.

또한 생산정보는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IoT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제조자 식별번호,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모델 식별번호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IoT 디바이스(200)가 폐기공정과정에서 재활용되는 경우, 상기 생산정보는 재활용자에 대한 정보 등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산정보는 재활용정보가 된다. 한편 상기 생산정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IoT device 200 and includes a manufacturer identification number for producing the IoT device,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oT device 200, and the like. Meanwhile, when the IoT device 200 is recycled during the waste process, the production information may be updated with information on the recycler. At this time, the production information becomes recycling information. The produc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품들을 4가지 폐기타입(End-of Life Treatment Type)으로 분류한 정보와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Recycle ability Rate, RCR), 재생률(Recover ability Rate, RVR),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폐기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car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btain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parts constituting the IoT device 200 into four types of discard types (End-of-Life Treatment Type), a recycle ability rate (RCR) ability rate, RVR), information on the recyclability ratio of the IoT device 200 and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discar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본 발명은 현재 oneM2M 표준화에서 고려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식별체계 중 하나인 OID(Object Identifier)를 기반으로, 상기 OID에 생산정보와 폐기정보를 반영하여 새로운 식별체계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generation of a new identification system by reflect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on the OID based on an OID (Object Identifier) which is one of identification systems of object Internet devices currently considered in oneM2M standardization, An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에 반영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사용 종료된 IoT 디바이스(200)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공정에서 매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IoT 디바이스(200)를 생산하는 생산 시스템(미도시)에서 생산한 IoT 디바이스(200)의 PBA(Printed Board Assembly, PBA)에 부착되는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로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RFID 코드 또는 QR 코드에 적합한 규격으로 부호화되며, RFID 리더기 또는 QR 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기 폐기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하여 폐기공정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IoT device 2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iciently used in the discarding process for discarding the IoT device 200 that has been used. To this e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RFID tag or QR code attached to the PBA (Printed Board Assembly) of the IoT device 200 manufactured by the production system (not shown) for producing the IoT device 200 Lt; RTI ID = 0.0 > IoT < / RTI > At this time,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are encoded into a standard conforming to the RFID code or the QR code, and the discard information can be easily acquired through the RFID reader or the QR code reader to be utilized in the disposal process.

이는 IoT 디바이스(200)의 사용이 종료되고, IoT 디바이스(200) 폐기공정에서 상기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생산 및 폐기정보를 간편하게 추출하고, 해당 IoT 디바이스(200)를 재활용 가능률 및 재생 가능률 정보에 따라 IoT 디바이스(200)를 분류하여 상기 분류한 IoT 디바이스(200)를 우선적으로 재활용 또는 재사용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use of the IoT device 200 is terminated and the encoded production and disposal information is easily extracted from the RFID tag or the QR code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IoT device 200 and the IoT device 200 is re- The efficiency of the disposal process can be improved by classifying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and allowing the classified IoT device 200 to be preferentially reused or reused.

즉, 폐기공정에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에 부여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들이거나, 또는 광학장치(예: 카메라)를 구비한 QR 코드 리더기를 통해 IoT 디바이스(200)에 부착된 QR 코드를 읽어 들여, 식별체계에 따라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간편하게 분류하여, 분류한 IoT 디바이스를 재활용, 재생 또는 폐기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IoT device 200 is read through the RFID reader, or the optical tag (for example, a camera) is read by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The IOT device 200 reads the QR code attached to the IoT device 200 through the QR code reader having the IoT device 200 and extracts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ystem. So that the sorted IoT device can be recycled, regenerated or discarded.

이때 상기 폐기공정에서, IoT 디바이스(200)가 재활용된 경우, 기존의 생산정보를 재활용품에 대한 재활용자를 포함하는 재활용정보로 수정하고, 상기 폐기정보는 재활용에 따른 새로운 폐기정보로 대체되며, 상기 수정한 재활용정보 및 폐기정보를 해당 IoT 디바이스(재활용품)의 RFID 태그 또는 QR 코드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IoT device 200 is recycled, the existing production information is modified into recycling information including a recycler for the recycled product, and the discard information is replaced with new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recycling. One recycling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RFID tag or QR code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recycled product).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에서 폐기까지에 대한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이 종료된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또는 재사용을 촉진하여 폐기공정을 통해 폐기되는 IoT 디바이스(200)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 및 전자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entire period of time from production to disposal of the IoT device 2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given to the IoT device 200, Thereby promoting the recycling or reuse of the IoT device 200 so that the generation of electric and electronic waste generated by the IoT device 200 that is discarded through the disposal process can be suppres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생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production information given to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에 포함되는 생산정보는, 제조자 식별번호, IoT 디바이스(200)의 모델 식별번호, 해당 IoT 디바이스의 시리얼번호,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동작 및 사용연한 등을 인증한 인증기관(예: KATS, Korea), 인증번호, 생산정보의 갱신(Revision)일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2, the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includes a manufacturer identification number,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oT device 200, a serial number of the IoT device 200, (For example, KATS, Korea), certification number, date of revision of production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상기 IoT 디바이스가 재활용된 경우에는 상기 생산정보는 재활용정보가 되며, 상기 제조자 식별번호는 재활용자의 식별번호로 대체되며, 상기 인증기관, 인증번호, 갱신일자 또한 재활용에 의해 갱신되거나 변경된 인증기관, 인증번호, 갱신일자로 대체된다.Meanwhile, when the IoT device is recycled,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recycled information, the manufacturer identification number is replaced with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cycler, and the certification authority, the certification number, the renewal date, Certification number, and renewal date.

이러한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가 재활용되어 재활용된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되는 새로운 식별체계는 상기 IoT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등록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IoT device 200 or the new identification system assigned to the IoT device 200 in which the IoT device 200 is recycled and recycled may be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I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폐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card information given to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기정보는 24bits(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로 구성되며, IoT 디바이스(200)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부품의 폐기타입(End-of-Life Treatment, EoLT)을 나타내는 4비트의 EoLT 타입(Type)필드, 상기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또는 소재)을 나타내는 6비트의 부품 또는 소재(Part or Material)필드, 각 부품의 재활용률을 나타내는 7비트의 RCR필드 및 각 부품의 재사용률을 나타내는 7비트의 RVR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iscard information is composed of (but not limited to) 24 bits, and the discard type (End-of-Life Treatment, EoLT A 4 bit EoLT type field indicating a 4 bits of the IoT device, a 6 bit part or material field indicating a part (or material) constituting the IoT device, a 7 bit RCR field indicating a recycling rate of each part And a 7-bit RVR field indicating the reuse rate of each component.

또한 상기 타입필드는 0001에서 0100으로 부호화되어 각 부품에 대한 폐기타입을 나타내며, 상기 폐기타입은 ST(Selective treatment) 타입, SR(Single Recyclable) 타입, DP(Difficult Process) 타입 및 SP(Separation Process) 타입을 포함하여, 상기 각 폐기타입에 따라 부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부품에 대한 상기 타입필드의 비트가 0001이면 상기 특정 부품은 ST 타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The type field indicates a discard type for each part encoded from 0001 to 0100. The discard type may be a Selective Treatment (SR) type, a Single Recyclable (SR) type, a DP (Difficult Process) Type, so that part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each type of disposal. For example, if the bit of the type field for a specific part is 0001, it means that the specific part is ST type.

또한 ST 타입은 환경 유해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해 선별처리가 필요한 부품(예: 배터리, PCB기판, LCD 모듈 등)을 의미하며, SR 타입은 재활용 가능한 단일 소재로 만들어진 부품(예: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을 의미한다. 또한 DP는 부품의 물리적 특성이나 소재 분류 처리과정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특별한 처리과정이 필요한 타입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부품(예: 금속부품이나 특정 플라스틱 등)을 의미하며, SP는 소재 분리 처리가 요구되는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각 폐기타입을 참조하여 폐기공정과정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구성하는 부품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T type refers to components that require screening to reduce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eg battery, PCB substrate, LCD module, etc.), SR type refers to parts made of a single recyclable material (eg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In addition, DP means a part (for example, a metal part or a specific plastic) which is difficult to be processed in a type requiring special processing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 or the inconsistency of the material classification process. Means that the parts constituting the IoT devic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during the disposal process with reference to each of the disposal types.

또한 RCR 및 RVR은 각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생률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퍼센트(%)로 수치화되어 제공된다.Also, RCR and RVR represent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cycling rate for each part, respectively, and they are provided as a percentage (%).

또한 폐기정보는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생 가능률 정보를 포함하며, 폐기공정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생 가능률 정보, 부품별 폐기타입,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생률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200) 또는 IoT 디바이스(200)의 부품을 분류하여, 재활용하거나 재사용 또는 폐기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Also, the discar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cyclability ratio and information on the reproducibility ratio for the IoT device 200. In the discarding process, information on the recyclability rate and the reproducibility rate for the IoT device 200, Components of the IoT device 200 or the IoT device 200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cycling rate for each part so that they can be recycled, reused or discarded.

한편 식별체계에 사용할 수 있는 비트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부품에 대한 재활용율 및 재생률을 삽입할 수 없는 경우, 제품에 대한 재활용 가능률(Rcyc) 정보와 재생 가능률(Rcov) 정보만을 삽입하여 상기 식별체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폐기공정 시스템 또는 관리자는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200)로부터 추출한 식별체계를 제공함으로써,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단위 부품의 폐기정보(즉,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생률)를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bits usable in the identification system is limited, and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production rate for the parts can not be inserted, only the recyclability ratio (Rcyc) inform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rate (Rcov) You can also configure the system. At this time, the disposal process system or the administrator accesses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and provides the identification system extracted from the IoT device 200 to the IoT device integration management server 100 to the IoT device 200 (That is, recycling rate and recycling rate for each part) of the unit parts.

한편 상기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생 가능률 정보는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파라미터를 설명하자면, m(i)은 각 부품의 중량을 나타내며, RCR(i)는 폐기공정에 따른 각 부품의 재활용률, RVR(i)는 폐기공정에 따른 각 부품의 재사용률, mEEE는 전체 IoT 디바이스(200)의 무게를 나타내며, Rcyc 및 Rcov는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각각 나타낸다. Here, m (i) represents the weight of each component, RCR (i) represents the recycling rate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waste process, RVR (i) M EEE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entire IoT device 200, and Rcyc and Rcov represent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IoT 식별체계는 현재 oneM2M 표준화에서 고려되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중 하나로써, ITU-T와 ISO/IEC가 공동 개발한 OID(Object Identifier)를 기반으로 생성 및 정의되어, 상기 OID의 규격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The IoT identification system is generated and defined based on an OID (Object Identifier) developed jointly by ITU-T and ISO / IEC as one of the identification systems of the IoT device 200 currently considered in oneM2M standardization, And can be encoded into the standard of the OID.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OID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200)를 위한 식별체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identification scheme for the Io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generated based on the OI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assigned to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200)를 개방형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상에서 유일성을 보장하고 식별하기 위한 식별체계는 상위 아크와 아크 X, 아크 Y, 아크 Z 및 아크 E를 포함하여 총 5개의 아크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identification scheme for ensuring uniqueness and identifying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open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n upper arc and an arc X, an arc Y, an arc Z, and an arc E And a total of five arcs.

따라서 상기 상위 아크(Higher arc)는 ITU-T 또는 ISO의 회원국을 식별하는 부분으로 IoT 디바이스(200)의 용도로 발급 및 할당 받을 수 있으며, 총 4개의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4개의 필드를 구성하는 상위 아크는 각 국가별로 ITU-T 또는 ISO에 회원국으로 등록된 각 나라별로 할당된 OID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ITU-T에서 대한민국에 할당된 OID는 {ITU-T(0) Administration(2)}, {ITU-T(0) Administration(2) 480}, {ITU-T(0) Administration(2) 481}로 총 3개가 할당되어 있으며, 현재 IoT 디바이스(200)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기관은 한국인터넷 진흥원이다. 또한 상기 상위아크필드의 4번째 필드는 디바이스의 명칭을 나타내는 필드이다.Therefore, the higher arc is a part that identifies a member country of ITU-T or ISO, and can be issued and assigned for the purpose of the IoT device 200, and includes a total of four fields. The upper arcs constituting each of the four fields are allocated to OIDs allocated to each country registered as a member country of ITU-T or ISO in each country. For example, the OID assigned to the Republic of Korea in ITU-T is {ITU-T (0) Administration (2)}, ITU-T (0) Administration (2) 2) 481}, and the organization that registers and manages the current IoT device 200 is Korea Internet Promotion Agency. The fourth field of the upper arc field is a field indicating the name of the device.

즉 상기 상위 아크는 M2M 디바이스 인디케이션 ID(M2M Device Indication ID)를 나타내며, ITU-T 또는 ISO에서 할당한 OID의 상위아크를 활용하여 할당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arc indicates an M2M device indication ID, and can be allocated by utilizing the upper arc of the OID assigned by ITU-T or ISO.

또한 아크 X, 아크 Y, 아크 Z, 아크 E는 IoT 디바이스(200)의 제조자, 재활용자 또는 OID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아크 X는 IoT 디바이스(200)를 제조 및 생산하는 제조자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재활용하여 재생산하는 재활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아크 X는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의 식별번호(ID)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의 식별번호는 상기 상위아크를 관리하는 기관에서 할당 및 관리된다.The arc X, the arc Y, the arc Z, and the arc E may be assigned by the manufacturer, the recycler of the IOT device 200, or the management organization that manages the OID. The arc X is a part for identifying a manufacturer who manufactures and produces the IoT device 200 or a recycler that recycles and reproduces the IoT device 200. That is, the arc X represents th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manufacturer or the recycler,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anufacturer or the recycler is allocated and managed by the institution managing the upper arc.

또한 아크 Y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제품에 대한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부분으로 모델 식별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모델 식별번호 역시 상기 아크 X에 대한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의 식별번호를 할당한 기관에서 관리된다.Also, the arc Y represents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as a part for identifying a model of the product of the IoT device 200. The model identification number is also managed by an organization that assigns a manufacturer or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cycler to the arc X. [

또한 아크 Z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시리얼번호를 식별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시리얼번호 역시 상기 아크 X에 대한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의 식별번호를 할당한 기관에서 관리될 수 있다.The arc Z is a part for identifying the serial number of the IoT device 200. The serial number may also be managed by an organization that has assigned a manufacturer or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cycler to the arc X.

한편 상기 아크 E는 폐기처리 식별번호(End-of Life Treatment ID)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폐기정보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아크 E는 상위 아크의 할당관리기관, 제조사 식별을 위한 아크(아크 X)의 할당관리기관, 모델식별을 위한 아크(아크 Y)의 할당관리기관 또는 아크 E의 할당관리기관이 할당 및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rc E represents an end-of-life treatment ID, and is a portion into which the discard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is inserted. The arc E is allocated and managed by an allocation management agency of the upper arc, an allocation management agency of the arc (arc X) for the manufacturer identification, an allocation management agency of the arc (arc Y) .

즉, 본 발명에서의 OID를 기반으로 하는 IoT 식별체계에 있어서, 상위 아크는 국가 식별번호를 포함하며, X, Y 및 Z 아크는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 E는 IoT 디바이스(200)의 폐기정보를 포함한다.That is, in the OID-based Io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rc includes the country identification number, the X, Y and Z arcs include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And discard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한편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상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식별체계에 포함되는 폐기정보는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IoT device 200 is for identifying the IoT device o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iscar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ystem may be composed of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는 국가 식별번호, IoT 디바이스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 식별번호, IoT 디바이스의 모델 식별번호, IoT 디바이스의 시리얼번호를 포함하는 생산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폐기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IoT 디바이스를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상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suggest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dding not only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ing a country identification number, an IoT device manufacturer or a recycler identification number,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of an IoT device, and a serial number of an IoT device, , Allowing more IoT devices to be identified o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상기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를 설명함에 있어, 국가 식별번호 및 폐기정보, 총 3개의 아크에 삽입되는 생산정보 중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 식별번호, 모델 식별번호, 시리얼번호만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생산정보를 포함하는 각 아크(아크 X, 아크 Y 및 아크 Z)는 국가 식별번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생산정보는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 식별번호, 모델 식별번호, IoT 디바이스(200)의 시리얼번호, IoT 디바이스(200)를 인증한 인증기관 식별번호, 인증번호 및 갱신일자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describing the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only the manufacturer or recycler identification number, the model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erial number amo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nserted in the total of three arcs are described as an example, Each arc (arc X, arc Y, and arc Z) containing information comprises a country identification number,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es a manufacturer or recycler identification number,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an IoT device 200, a certification authority identification number certifying the IoT device 200, an authentication number and an update dat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식별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테이블은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등록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 또는 IoT 디바이스(200)를 관리하는 기관, IoT 디바이스(200) 폐기공정 시스템(미도시) 또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 등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전주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5, the identification table of the IoT device 200 includes a service provider who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and provides the IoT service, an organization that manages the IoT device 200, an IoT device 200, May be used to manage the pre-processor for the IoT device 200 in a waste disposal system (not shown) or an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or the like.

즉, 상기 서비스 업자, 관리기관 또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참조하여 식별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전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ice provider,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r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can manage the preamble to the IoT device 200 by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IoT device 200. [

상기 식별테이블은 각 아크(상위아크, 아크 X, 아크 Y, 아크 Z, 아크 E)로 구성된 각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각 아크별 식별번호) 및 상기 각 아크별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필드로 구성된다.The identification table includes an identification system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arc) of each IoT device configured by each arc (upper arc, arc X, arc Y, arc Z, arc E) Field.

상기 사용자 또는 IoT 디바이스(200)를 폐기하는 폐기업자는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등록된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200)는 상기 식별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요청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who disposes of the user or the IoT device 200 can request production information and revocation information for the registered IoT device 200 by accessing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0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0 may extract the requested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identification table.

한편 도 5에에서 나타낸 아크 E에 대한 설명필드는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아크 E에 대한 설명필드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각 부품에 대한 폐기정보를 포함한다.5 shows only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the description field for the arc E is a description field for each part of the IoT device 200 Includes discard information fo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모바일 RFID 코드 중 하나인 mCode로 부호화하여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mCode, which is one of the mobile RFID codes, and assigning it to the IoT devic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산 시스템(100)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PBA에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즉, 식별체계)를 RFID 태그에 삽입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의 재사용, 재활용 또는 폐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6,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i.e., identification system) are inserted into the RFID tag in the PBA produc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IoT device through the production system 100, and the reuse, Or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prioritizing for disposal.

한편 상기 모바일 RFID 코드는, 대한민국의 모바일 RFID 포럼에서 만들어진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RFID 코드를 이용하며, 상기 모바일 RFID 코드는 mCode, mini-mCode 또는 micro-mCode를 포함하며,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상기 mCode, mini-mCode 또는 micro-mCode 중 하나로 부호화되어 RFID 태그에 삽입될 수 있다.The mobile RFID code includes an mCode, a mini-mCode, or a micro-mCode. The mobile RFID code includes an IoT device 200,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may be encoded into one of mCode, mini-mCode, or micro-mCode and inserted into the RFID tag.

한편 상기 mini-mCode 및 micro-mCode로 부호화하여 RFID 태그에 삽입함으로써, 생산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를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은 도 7 및 도 8을 각각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 method of encoding the mini-mCode and the micro-mCode and inserting the mini-mCode and the micro-mCode into the RFID tag to g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duction and disposal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respectively.

모바일 RFID 코드 체계는 16비트로 각각 구성되어 전송될 정보가 삽입되는 총 7개의 데이터필드, 최상위 기관에 할당되는 12비트의 TLC(Top Level Code) 필드, 상기 TLC를 할당받은 최상위 기관이 하부기관에 코드를 할당할 때, 하부기관의 규모 및 콘텐츠의 수를 고려하여 여러 구조의 코드를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4비트의 Class 필드, 총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필드, 상기 Class의 명칭을 나타내는 Class 명칭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RFID code system is composed of 16 bit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7 data fields in which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inserted, a 12-bit TLC (Top Level Code) field allocated to the highest authority, A 4-bit Class field used for allocating codes of various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ub-organization and the number of contents, a Length field indicating the length of the total data, a Class name field indicating the name of the Class .

예를 들어, 특정기업(제조자 또는 생산자)이 mCode의 TLC 중 하나인 0001H를 할당받았다고 가정하면, 상기 특정기업은 하부 Class인 0H ~ FH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a particular company (manufacturer or producer) is assigned to the received one of the 0001 H of the TLC mCode, the particular company and can use all the sub Class 0 H ~ F H.

따라서 상기 mCode에 삽입되는 생산정보는 TCL 및 Class 필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폐기정보는 16비트의 데이터필드에 삽입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oduction information inserted into the mCode may be inserted into the TCL and Class fields, and the discard informa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16-bit data field.

즉, 상기 모바일 RFID 태그에 삽입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로써, IoT 디바이스(200)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시에 폐기공정에서 IoT 디바이스(200)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상기 mCode의 데이터필드(총 16비트)에 삽입할 수 있다.That is,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inserted in the mobile RFID tag are used to identify the IoT device 200 as an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and to classify the IoT device 200 in the discarding proces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recyclability-rate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r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into the data field (total 16 bits) of the mCode.

이때, 상기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는 각각 7비트로 구성되므로, 상기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의 최상위 비트에 0을 각각 삽입하여 총 16비트로 구성하여 mCode로 부호화된다.Since the recyclability-rate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rate information are each composed of 7 bits, 0 is inserted into the most significant bits of the recyclability-rate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rate information to form a total of 16 bits and encoded into mCode.

한편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 이외에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들을 mCode로 부호화화여 상기 RFID 태그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TLC필드를 001H 내지 EFFH로 세팅하고(한편 000H와 F00H 내지 FFFH는 특수 목적 및 확장을 위해 미리 정의된 예약영역 이므로 사용하지 않음) 상기 클래스 필드를 0H 내지 FH로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필드의 규격에 맞도록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부호화화여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the recyclability ratio and the reusability ratio, all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may be encoded into the mCode and inserted into the RFID tag. In this case, setting the TLC field to 001 H to EFF H and (In 000 H and F00 H to FFF H is not used because it is predefined reserved area for a special purpose and expanding) the class field 0 H to F H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may be encoded so as to conform to the standard of the data fiel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mini-mCode로 부호화하여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Code and assigning the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ni-mCode는 작은 태그 메모리 적용을 위하여 설계된 코드로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21비트의 데이터필드(16비트만 정보가 삽입되고, 나머지 6비트는 예약 비트임), 최상위 기관에 할당되는 8비트의 TLC 필드, 2비트의 Class 필드, 상기 Class 명칭을 나타내는 1비트의 Class 명칭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mini-mCode is a code designed for application of a small tag memory and has a total of 32 bits, and a 21-bit data field (only 16 bits are inserted and the remaining 6 bits are reserved bits) An 8-bit TLC field assigned to the highest-level authority, a 2-bit Class field, and a 1-bit Class name field indicating the Class name.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생산 시스템(100)을 통해 IoT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PBA에 상기 폐기정보 중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와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mini-mCode로 부호화하여, 상기 데이터필드의 16비트만 사용하여 삽입하고, 생산정보는 상기 TLC 및 Class필드에 삽입할 수 있다.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200 are recorded in the PBA produc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IoT device through the production system 100 by setting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to mini- mCode, inserts the data using only 16 bits of the data field, and inserts the production information into the TLC and Class fields.

즉, 상기 mini-mCode로 부호화되어 RFID 태그에 삽입되는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로써, IoT 디바이스(200)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시에 폐기공정에서 IoT 디바이스(200)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된다.That is,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encoded in the mini-mCode and inserted into the RFID tag are used to identify the IoT device 200 as an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and at the same time, ). ≪ / RTI >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폐기업자는, RFID 리더기를 장착한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mini-mCode로 부호화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토대로 상기 IoT 통합관리 서버(100)로부터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부품별 폐기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or the waste disposer can acquire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encoded with the mini-mC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RFID reader, and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acquired IoT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disposal information for each IoT device 200 from the IoT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micro- mCode로 부호화하여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icro-code and assigning it to an IoT device.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는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 시스템 또는 제조자를 통해 IoT 디바이스(200)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PBA에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micro-mCode로 부호화하고, 상기 부호화한 식별체계를 RFID 태그에 삽입할 수 있다.8,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includ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200 through the production system or the manufacturer of the IoT device 200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may be encoded in micro-mCode in the PBA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encoded identification system may be inserted into the RFID tag.

한편 상기 micro-mCode는 2차원 바코드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나 망사업자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코드로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3비트의 TLC필드, 29비트의 데이터필드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micro-mCode is a 32-bit code designed to be used for a service requiring a two-dimensional barcode or a network operator, and consists of a 3-bit TLC field and a 29-bit data field.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상기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16비트로 이진 코드화하여, 이진 코드화한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상기 데이터필드에 설정함으로써, RFID 태그에 삽입하며, 사용자 또는 폐기업자 등이 상기 RFID 태그에 삽입된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획득 할 수 있도록 한다.Also,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are binary-coded into 16 bits through the same process, and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which are binary coded are set in the data field And inserts it into the RFID tag so that a user or a waste disposal company can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recyclability ratio and the reusability ratio of the IoT device 200 inserted in the RFID ta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에 부여된 식별체계를 RFID 태그로부터 추출하여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an identification scheme assigned to an IoT device from an RFID tag and obtaining revocation information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로써, RFID 코드에 IoT 디바이스(200)의 각 부품에 대한 폐기정보(즉, 부품의 재활용률 및 재생률)를 삽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IoT 디바이스(200)의 제조자는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정보,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생 가능률 정보를 포함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를 삽입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및 해당 IoT 디바이스에 대한 부품별 폐기정보를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에 제공하여 등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discard information (i.e.,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production rate of parts) of each component of the IoT device 200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RFID code as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The manufacturer of the IoT device 200 inserts the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and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and the IoT device 200 Can be provided to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and registered.

이후 사용자는 RFID 리더기 및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RFID 태그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미들웨어를 포함한 통신단말을 통해 IoT 디바이스(200)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와 재생 가능률 정보를 포함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추출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와 재생 가능률 정보를 획득한다.The user then uses the RFID reader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middleware for converting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RFID tag into meaningful information through the RFID reader to retrieve the IoT device 200 from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IoT device 200 Extracts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IoT device 200 including the feasibility inform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and acquires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

이후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로 상기 추출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제공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부품별 폐기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IoT device 200 may be provided to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200 may be requested.

이때,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부품별 폐기정보(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를 추출하고, 상기 폐기정보를 요청한 통신단말 혹은 시스템으로 상기 추출한 부품별 폐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refers to the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IoT device 200 and extracts part-by-part information for each IoT device 200 (recycling rate and reuse rate for each part) , And may provide the extracted part-by-par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system that requested the discard information.

한편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부품별 폐기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는 경우, 통신단말이나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IoT 디바이스(200)의 부품별 폐기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생 가능률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의 부품별 폐기정보를 QR코드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네트워크 없이 생산 및 폐기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QR코드를 통해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osal information for each part is acquired through the network using the RFID tag,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ystem can not connect to the network, the disposal information for each part of the IoT device 200 may not be ob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recyclability ratio inform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disposal information of each part of the IoT device through the QR code so that production and dispos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without a separate network. Hereinafter, a method of assign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through the QR code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QR코드를 통해 IoT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giv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to an IoT device through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생산정보(또는 재활용정보) 및 폐기정보를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QR 코드로 부호화화여, 상기 부호화한 QR 코드를 상기 IoT 디바이스에 부착함으로써, 해당 IoT 디바이스의 재사용, 재활용 또는 폐기하기 위한 폐기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production information (or recycling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200 are encoded into a QR code in a matrix format indicating information in a monochrome lattice pattern, and the encoded QR code is converted into the IoT Device so that it can be used in a waste process for reusing, recycling, or discard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또한 사용자 또는 폐기업자는 디지털카메라 또는 전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200)에 부착된 QR 코드를 읽어 들여 식별체계에 따라 해당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생산정보, 폐기정보 및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r the discarder reads the QR code attached to the IoT device 200 using a digital camera or a dedicated scanner, and generates production information, discar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D)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200 You can extract the system.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모바일 RFID 코드 또는 QR 코드로 제공되는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가 사용 종료되어 폐기되는 과정에서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200)가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판단에 따라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IoT 디바이스(200)를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7 to 10,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IoT device 200 provided with the mobile RFID code or the QR cod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200 in the process of being used and discarded by the IoT device 200 200 and the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oT device 200 is recyclable or reusabl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IoT device 200 is reusable or reusab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nd can be used to make classification quickly.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등록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부(110),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와 상기 식별체계에 포함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매핑하여 식별테이블을 생성하는 식별테이블 생성부(120), 상기 등록한 식별체계를 업데이트하는 식별테이블 업데이트부(130) 및 사용자 또는 폐기공정 시스템으로 IoT 디바이스(200)의 폐기정보를 제공하는 폐기정보 제공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1,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includes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registration unit 110 for registering identification systems for a plurality of IoT devices 200, An identification table updating unit 130 for updating the registered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IoT device 200 as a user or a disposal process system, And a disca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for providing discard information of the discard information.

또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부(110)는 개방형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IoT 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된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등록하거나,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200)를 생산한 제조자 또는 생산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등록할 수 있다.Also, the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registration unit 1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system assigned to the IoT device 200 from the IoT device 200 connected to the open network, or registers it with the manufacturer or the manufacturer of the IoT device 200 It can be registered from the production system.

한편 상기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는 OID 형식으로 부호화된 것으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폐기정보는 IoT 디바이스(200)의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생률을 포함하여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부품별 재활용률 및 재생률을 상기 식별체계에 포함할 수 없는 경우에는,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생 가능률 정보를 상기 폐기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해당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부품별 폐기정보는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식별체계와 함께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200)에 등록된다.Meanwhile, the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in OID format and includes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If the recycling rate and the recall rate for each part can not b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system,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ar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oT device 200, Rate information and reproducibility ratio informa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discar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art-by-part discard information for the IoT device 200 is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nd is registered in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system.

또한 식별테이블 생성부(120)는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로부터 IoT 디바이스(200)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 IoT 디바이스(200)의 부품별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등록한 식별체계와 매핑하여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하거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및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부품별 폐기정보를 상호 매핑하여 식별테이블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식별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The identification table generating unit 120 extracts the recyclability rate information and the reusability r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from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registered IoT device 200 and the disposal information for each part of the IoT device 200, And generates an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by mapping with the registered identification system or maps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IoT device 200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disposal information for each part of the IoT device 200 And generates an identification table.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table is stored in the database 300.

또한 식별체계 업데이트(130)부는, 상기 식별체계를 등록한 특정 IoT 디바이스(200)가 폐기공정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폐기되어 새로운 식별체계가 부여되거나 완전 폐기되어 등록된 식별체계를 관리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변경하거나 삭제한다.If the identification system update unit 130 does not need to manage the registered identification system in which the specific IoT device 200 registered with the identification system is recycled or discarded according to the discarding process and a new identification system is given or completely discarded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is changed or deleted.

예를 들어, 폐기공정에 따라 특정 디바이스(200)가 재활용되어 새로운 식별체계가 할당된 경우, 상기 폐기공정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특정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와 함께 새로운 식별체계를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로 제공하며,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공받은 재활용된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등록하고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는 더 이상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삭제한다.For example, when a specific device 200 is recycled and a new identification system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discarding process, a new identification system with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specific device 200 is transferred from the discarding process system to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provided recycled IoT device 200 and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specific device 200 that has been registered in advance, You do not need to manage it, so delete it.

또한 폐기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 또는 IoT 디바이스(200)를 폐기하는 폐기공정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IoT 디바이스(200)의 폐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테이블로부터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또는 폐기공정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The disca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discarding process system for discarding the user or the IoT device 200. When discarding informa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discarding process system for discarding the user or the IoT device 200,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At this tim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200 may also be provid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managing an identification scheme for an IoT device performed in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된 식별체계를 관리함으로써,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에서 폐기까지의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12,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entire period from the production to the disposal of the IoT device 200 by manag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assigned to the IoT device 200 .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절차는 우선, 복수의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체계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여 등록한다(S110).In the procedure for manag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IoT device 200 performed in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an identification scheme for a plurality of IoT devices 200 is collected and register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S110) .

한편 상기 등록은 IoT 디바이스(200)를 생산하는 제조자, IoT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200)로부터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gistration is received from a manufacturer that manufactures the IoT device 200, a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 IoT service using the IoT device 200 or an IoT device 200 connected to the Internet, do.

다음으로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상기 등록한 IoT 식별체계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한다(S120).Next,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registered IoT identification scheme (S120).

상기 식별테이블은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상기 IoT 식별체계에 따라 추출된다. 한편 상기 폐기정보는 제조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identification table includes an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200,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IoT ident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discar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200)가 폐기공정에서 재활용되거나 폐기된 경우(S130),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폐기공정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재활용된 정보 또는 폐기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및 상기 저장한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 한다(S140).Next, when the registered IoT device 200 is recycled or discarded in the waste process (S130),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the recycled information or the discarded information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waste process system , Updates the registered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and the stored identification tabl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S140).

한편 상기 재활용된 정보 또는 폐기된 정보는, 재활용에 사용된 기존의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및 재활용된 새로운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또는 폐기된 기존의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recycled information or the discarded information may be used to identify an existing IoT device 200 used for recycling, an identification system of a recycled new IoT device 200, or an identification system of a revoked existing IoT device 200 .

이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100)는, 재활용된 정보 또는 폐기된 정보에 따라 기존에 등록된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삭제하고, 재활용된 새로운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를 등록함으로써, 상기 IoT 디바이스(200)의 식별체계 및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Accordingly,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00 deletes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Io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reused information or the discarded information,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recycled new IoT device 200 The identification system and the identification table of the IoT device 200 are updated.

이처럼 본 발명은,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계를 IoT 디바이스(200)에 부여함으로써,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상에서 상기 각각의 IoT 디바이스(200)에 대한 유일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IoT device 200 with an identification scheme includ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discard information, thereby ensuring uniqueness of each IoT device 200 on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식별체계를 이용하여 생산에서 폐기까지 상기 IoT 디바이스의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이 종료된 IoT 디바이스의 완전 폐기를 억제하고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률과 재사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ystematically manages the entire period of the IoT device from production to disposal by using the identification scheme given to the IoT device, thereby restricting the complete disposal of the IoT device that has been used and reducing the recycling rate and reusability of the IoT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ximized.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
100 :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서버 110 :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부
120 : 식별테이블 생성부 130 : 식별테이블 업데이트부
140 : 폐기정보 제공부
10: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10: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registration unit
120: Identification table generation unit 130: Identification table update unit
140: Disposal Information Offering

Claims (10)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사용 가능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OID(Object Identifier)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And a storage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IoT device,
Wherein the identification scheme includes discard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Wherein the discard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recyclability of the IoT device; And
And reusability ratio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Wherein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with an OID (Object Identifi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국가 식별번호, 제조자 또는 재활용자 식별번호, 모델 식별번호, 디바이스 시리얼번호, 상기 IoT 디바이스를 인증한 인증기관 식별번호, 인증번호 및 갱신(revision) 일자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untry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oT device, a manufacturer or a recycler identification number, a model identification number, a device serial number, a certification authority identification number certifying the IoT device, an authentication number and a revision date, Lt; RTI ID = 0.0 > IoT < / RTI >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폐기타입(End-Of-Life Treatment Type) 정보; 및
상기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ard information may include,
End-of-life treatment type information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recycling rate and a reuse rate for each of the componen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는,
모바일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코드로 부호화되어 RFID 태그에 삽입되거나, QR 코드로 부호화되어 상기 IoT 디바이스에 부여되며,
상기 모바일 RFID 코드는 mCode, mini-mCode 또는 micro-mCode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discard information are,
A mobile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code, embedded in an RFID tag, encoded with a QR code, and given to the IoT device,
Wherein the mobile RFID code comprises one of mCode, mini-mCode, or micro-mCode.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부; 및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와 상기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테이블을 생성하는 식별테이블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OID(Object Identifier)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registration unit for collecting and register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And
And an identification tabl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including the registered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and the rev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Wherein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into an OID (Object Identifi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폐기타입(End-Of-Life Treatment Type), 상기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포함하며,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에 따라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card information may include,
Recycle rate information and reusability r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 discard type (End-Of-Life Treatment Type)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a recycling rate and a re-
Wherein the revo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registered IoT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별체계를 등록한 IoT 디바이스가 폐기공정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된 경우, 기존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삭제하고 재활용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기 저장된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식별테이블 업데이트부; 및
사용자로부터 특정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IoT 디바이스의 식별테이블로부터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폐기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es:
If the IoT device registered with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recycled or discarded in accordance with the discarding process, the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existing IoT device is deleted and an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recycled IoT device is generated to update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table An identification table updat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disca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extracting discard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table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providing the discard information when the disca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is requested by the user.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 등록단계; 및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 식별체계와 상기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식별테이블을 생성하는 식별테이블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계는 OID(Object Identifier)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방법.
An IoT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registration step of collecting and registering the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IoT device; And
And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table including the registered IoT device identification scheme and the rev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Wherein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encoded into an OID (Object Identifi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재활용 가능률 정보 및 재사용 가능률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폐기타입(End-Of-Life Treatment Type), 상기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률 및 재사용률을 포함하며,
상기 폐기정보는 상기 등록한 IoT 디바이스의 식별체계에 따라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card information may include,
Recycle rate information and reusability r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 discard type (End-Of-Life Treatment Type)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a recycling rate and a re-
Wherein the revo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cheme of the registered IoT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방법은,
상기 식별체계를 등록한 IoT 디바이스가 폐기공정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된 경우, 기존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삭제하고 재활용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기 저장된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식별테이블 업데이트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특정 IoT 디바이스의 폐기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IoT 디바이스의 식별테이블로부터 폐기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폐기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통합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IoT devic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includes:
If the IoT device registered with the identification scheme is recycled or discarded in accordance with the discarding process, the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existing IoT device is deleted and an identification table for the recycled IoT device is generated to update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table An identification table update step; And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discard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table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providing the discard information when the discard informa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is requested by the user.
KR1020170016833A 2017-02-07 2017-02-07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KR102016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33A KR102016370B1 (en) 2017-02-07 2017-02-07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33A KR102016370B1 (en) 2017-02-07 2017-02-07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96A true KR20180091996A (en) 2018-08-17
KR102016370B1 KR102016370B1 (en) 2019-09-02

Family

ID=6340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833A KR102016370B1 (en) 2017-02-07 2017-02-07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37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72074A1 (en) * 2020-02-28 2021-09-02 So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cycling
KR20210149367A (en)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IoT device auto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3190354A1 (en) * 2022-03-28 2023-10-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Laminated plastic film, use of laminated plastic film as recyclable raw material, laminated plastic film for recyclable raw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able plastic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314A (en) * 2001-06-20 2003-01-10 Fuji Xerox Co Ltd Method for managing recycle-oriented device, managing server, program and medium
KR20150005225A (en) * 2013-07-05 2015-0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device
KR20150062576A (en) * 2013-11-29 2015-06-08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Assigning OID in Open M2M System and Appl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097998A (en)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ta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314A (en) * 2001-06-20 2003-01-10 Fuji Xerox Co Ltd Method for managing recycle-oriented device, managing server, program and medium
KR20150005225A (en) * 2013-07-05 2015-0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device
KR20150062576A (en) * 2013-11-29 2015-06-08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Assigning OID in Open M2M System and Appl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097998A (en)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ta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72074A1 (en) * 2020-02-28 2021-09-02 So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cycling
KR20210149367A (en)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IoT device auto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3190354A1 (en) * 2022-03-28 2023-10-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Laminated plastic film, use of laminated plastic film as recyclable raw material, laminated plastic film for recyclable raw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recyclable plastic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370B1 (en)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9569A1 (en) Method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cluster header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secure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80091996A (en) AN IoT DEVICE WITH ITS IDENTIFIER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AME
CN105229986B (en) Cross-domain services layer resource is propagated
US7991871B2 (en) RFID tag for IP address-based RFID service and RFI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CN103348351B (en) Allocation of application identifier
CN105684356A (en) Efficient communication for devices of a home network
KR102071236B1 (en)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IoT PLATFORM FOR SERVICE DEVELOPMENT AND IoT PLATFORM APPARATUS
US201502053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information profile of home based on smart plug
CN112118551B (en) Equipment risk identificat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103501347A (en)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TW201507485A (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18943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devices
EP28970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um spatial clustering
US11039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bjec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571942A (en) Configuration data updating method, client side and server
CN115984031A (en) Industrial internet identification classified collection and rapid analysis method
CN103026661A (en) Device commissioning and replacement
CN111178469A (en) Garbage classification traceability system and method
KR101986853B1 (en) Method for Assigning OID in Open M2M System and Appl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EP1471692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home-state information in a home network
CN104373848A (en) Intelligent LED bulb, user terminal and Cloud processor
KR101076999B1 (en) System for providing resource of sensor node in sensor network
CN106155000A (en) Th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the board warning information of semiconductor board
KR1018748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ND OF LIFE FOR IoT DEVICES USING THEIR IDENTIFIERS
CN107209982A (en) Affiliated partner and the method for user, equipment, object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