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450A - Linear compressor - Google Patents

Linea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450A
KR20180091450A KR1020170016649A KR20170016649A KR20180091450A KR 20180091450 A KR20180091450 A KR 20180091450A KR 1020170016649 A KR1020170016649 A KR 1020170016649A KR 20170016649 A KR20170016649 A KR 20170016649A KR 20180091450 A KR20180091450 A KR 2018009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agnet
stator
mover
dea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석
정상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450A/en
Publication of KR2018009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6Mobile combin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02K41/03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with armature and magnets on one member, the other member being a flux distribu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compressor. The linear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a cylinder provided in the case and forming a compression space; a discharge valve for opening/closing the compression space; a piston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and compressing a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a reciprocating motor including a stator, a coil to be held by the stator, a mover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connected to the piston, and a magnet provided to the stator or the mover; and a support unit. The support unit is connected to the piston or the mover. The support unit also provides reaction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the piston or the mover in a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in the first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valve.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0001] Linear compressor [0002]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compressor.

모터(Motor)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력 또는 왕복동력을 얻는 장치로서, 이러한 모터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서 교류 모터와 직류 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A motor is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to obtain a rotational force or a reciprocating power. Such a motor can be divided into an AC motor and a DC motor according to an applied power source.

모터는 고정자(Stator)와 가동자(Mover 또는 Rotor)를 포함하며, 고정자에 구비되는 권선(Coil)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속(Flux)의 방향에 따라 마그네트(Magnet)가 구비된 가동자가 회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The motor includes a stator and a mover or a rotor. The motor includes a magnet having a magnet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magnetic flux generated when a current flows in a coil provided in the stator Thereby making a rotary motion or a reciprocating motion.

모터는 가동자의 운동 양태에 따라 회전 모터 또는 왕복동 모터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 모터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고정자에 자속이 형성되고 이 자속에 의해 가동자가 고정자에 대해 회전운동을 한다. 반면,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고정자에 대해 직선으로 왕복 운동한다. The motor can be divided into a rotary motor or a reciprocating motor depending on the mode of motion of the mover. In the rotary motor, a magnetic flux is formed in the stator by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coil, and the movable elemen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tator by the magnetic flux. On the other hand, the reciprocating motor reciprocates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stator.

최근에는 고정자가 내측 고정자(Inner stator)와 외측 고정자(Outer stator)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고정자와 외측 고정자 중 어느 한쪽에 유도자기를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권취되는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가 소개되고 있다. Recently, a reciprocating motor for a compressor in which a stator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stator and an outer stator, and a coil for generating an induction magnetic field is wound on either the inner stator or the outer stator is introduced have.

또한, 상기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의 경우, 자극(Magnet pole)이 고정자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마그네트(Magnet)가 가동자에 구비되어 그 가동자가 내측 고정자와 외측고정자 사이의 공극(Air gap)에서 왕복운동을 한다. Also, in the case of the reciprocating motor for the compressor, a magnet having magnets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ator is provided on the mover, and the mover is disposed on the air gap between the inner stator and the outer stator. Reciprocating.

이러한 압축기용 왕복동 모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2612호(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9813호(이하, 선행기술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Such reciprocating motors for compressor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4926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Korean Patent No. 10-05398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선행기술 1과 선행기술 2에는 모두 박판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철심 코어를 환형으로 형성된 코일에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원통형으로 된 외측 고정자 또는 내측 고정자를 형성하고 있다. In the prior art 1 and the prior art 2, a plurality of iron core cores formed of thin plates are radially laminated on a coil formed in an annular shape to form a cylindrical outer or inner stator.

상기와 같은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가동자의 왕복방향 양쪽에 각각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된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The reciprocating motor is provided with mechanical resonance springs formed of compression coil springs on both sides of the mover in order to stably reciprocate the mover.

이에 따라, 가동자가 코일에 인가된 전원의 자속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할 때 그 가동자가 이동하는 방향에 구비된 기계적 공진스프링은 압축되면서 반발력을 축척한다. 이어서 가동자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반발력을 축적했던 기계적 공진스프링은 가동자를 밀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over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magnetic flux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coil, the mechanical resonance spring prov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r moves compresses the repulsive force. Then, when the mover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echanical resonance spring that accumulated the repulsive force repeats a series of processes of pushing the mover.

그러나,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가동자가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나, 압축코일 스프링은 특성상 발생하는 자체 공진 때문에 일정 구간의 운전주파수 안에서도 특정 구간은 운전주파수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ciprocating motor, the mover is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bu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has a problem in that a specific section can not be used at the operation frequency even in the operation frequency of a certain section due to the self resonance, which occurs in nature.

또한,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가동자를 지지함에 따라서,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특성상 기계적 응력 한계 및 진동 거리 등의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공진 스프링은 일정한 선경과 길이 등을 확보해야 하므로 왕복동 모터의 횡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reciprocating motor, as the compression coil spring supports the mover, a mechanical stress limit and a vibration distance are restri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As a result, the resonance spring has to secure a constant diameter and length, and thus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lateral length of the reciprocating motor.

또한, 종래의 왕복동 모터는,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마그네트 프레임의 두께가 커서 전체 가동자의 무게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력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ciprocating motor ha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magnet frame supporting the magnet is large and the weight of the entire mover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자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가동자를 위치시키되, 가동자를 자기적 공진 스프링으로 공진시키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compressor in which a mover is placed in a region formed by a stator, and the mover is resonated by a magnetic resonance spr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동자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자가 정상 이동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compressor in which a mover is prevented from escaping within a normal moving range in a process of reciprocating mover.

본 발명의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을 왕복 운동 시키기 위한 왕복동 모터가,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권치되는 코일과,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 또는 가동자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왕복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motor for reciprocating the piston includes a stator, a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a mover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connected to the piston, And a reciprocating motor including a magnet to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와 반대 극인 제2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극부와 상기 제2극부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가동자가 자기적 공진 스프링 방식으로 공진될 수 있다. The magnet includes a first pole portion and a second pole por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pole portion,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second pole portion are arranged in a line in a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piston, It can be resonated by a magnetic resonance spr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가동자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토출 밸브와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가동자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iston connected to the piston or the mover and adapted to move the piston or the mov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piston moves in a first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valve, And a support unit for providing a reaction force in two directions.

본 발명의 지지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가스를 압축시키는 가스 스프링이다. In the suppor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is a gas spring that compresses gas inside the piston in the first direction.

또는, 본 발명의 지지 유닛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은 동일한 극을 가진다. Alternatively, the suppor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magnet disposed to move with the piston; and a second magnet fixed to the cas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Two magnets have the same pole.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왕복동 모터를 구성하는 마그네트가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와 반대 극인 제2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극부와 상기 제2극부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됨에 따라서, 가동자가 자기적 공진 스프링 방식으로 공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constituting the reciprocating motor includes a first pole portion and a second pole por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second pole portion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piston As arranged, the mover can be resonated in a magnetically resonant spring manner.

따라서, 피스톤의 공진을 위한 기구적인 공진 스프링이 없어도 되므로, 리니어 압축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운전 주파수 내에서 사용 주파수가 제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mechanical resonance spring for resonating the piston, the struc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is simplified, and the use frequency is prevented from being limited within the operation frequ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유닛이 상기 피스톤이 토출 밸브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스톤으로 반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가동자가 정상 이동 범위 내에서 벗어나, 운전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unit provides the reaction force to the piston when the piston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valve, the mover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normal movement range and becoming inoperable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자를 구성하는 코어 블럭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
도 6은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리니어 압축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리니어 압축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도 9에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피스톤이 상사점이 위치한 상태가 도시된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ciprocating mo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e block constituting a stator which is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iprocating mo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linear compressor when the piston is positio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7 is a view showing a linear compressor when the pisto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is positioned at a bottom dead center, and FIG. 10 shows a state where a piston top dead center is loca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자를 구성하는 코어 블럭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ciprocating mo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e block constituting a stato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1)는,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linear compress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ase 10 having an outer shape and having an inner space.

상기 리니어 압축기(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가동 코어(400)가 왕복 운동을 하는 왕복동 모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ar compressor 1 may further include a reciprocating motor 90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10 and reciprocatingly moving the movable core 400.

상기 리니어 압축기(1)는, 상기 왕복동 모터(90)의 가동자(400, 402)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400, 402)와 함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40)과, 상기 피스톤(40)이 삽입되며,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 공간(31)을 형성하는 실린더(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ar compressor 1 includes a piston 40 connected to the mover 400 or 402 of the reciprocating motor 90 and reciprocating together with the mover 400 or 402, And a cylinder 30 which is inserted and forms a compression space 31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또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1)는, 상기 압축 공간(31)의 흡입 측을 개폐하는 흡입 밸브(41)와, 및 상기 압축 공간(31)의 토출측을 개폐하는 토출 밸브(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ar compressor 1 further includes a suction valve 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31 and a discharge valve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31 .

그리고, 밀폐된 케이스(10)에 흡입관(11)과 토출관(12)이 연결된다. Then, the suction pipe (11) and the discharge pipe (12) are connected to the sealed case (10).

이로써,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은 흡입되는 냉매가 채워져 흡입압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 공간(31)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토출관(12)을 통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space 3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 .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왕복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40)의 공진 운동을 유도하는 왕복동 모터(90)가 고정 결합된다. A reciprocating motor 90 for generating a reciprocating force and inducing a resonance motion of the piston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20, Respectively.

상기 왕복동 모터(90)의 내측에서 상기 실린더(30)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30)에는 상기 압축 공간(31)의 체적을 가변시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상기 피스톤(40)이 수용된다. The cylinder 30 is coupled to the frame 20 at the inside of the reciprocating motor 90 and the piston 30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space 31 is disposed in the cylinder 30. [ ).

상기 프레임(20)에는 토출 커버(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버(50) 내에는 상기 토출 밸브(32)가 수용되고, 상기 토출 밸브(32)는 밸브 스프링(33)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A discharge cover 5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20. The discharge valve (32) is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cover (50), and the discharge valve (32) can be supported by a valve spring (33).

상기 토출 밸브(32)는 상기 밸브 스프링(33)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공간(31)을 개폐할 수 있다. The discharge valve (32) can open and close the compression space (31)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valve spring (33).

상기 토출 커버(50)에는 토출 공간(51)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 공간(51)으로 배출된 냉매 가스 중 일부는 상기 실린더(30)와 상기 피스톤(40) 사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discharge cover (5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space (51). Some of the refrigerant ga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space 51 may be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cylinder 30 and the piston 40.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20)에는 가스 연통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30)에는 상기 가스 연통로(21)를 지난 냉매 가스가 통과하는 복수의 가스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A gas communication passage 21 is formed in the frame 20 and a plurality of gas holes 2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communication passage 2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cylinder 30. [ have.

상기 왕복동 모터(90)는, 고정자(100)와, 상기 고정자(100)에 설치되는 마그네트(300)와, 상기 고정자(100)에 대해서 이동하는 가동자(400, 4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motor 90 may include a stator 100, a magnet 300 installed on the stator 100, and mover 400 or 402 mov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100.

상기 가동자(400, 402)는, 상기 피스톤(40)과 연결되는 연결부(402)와, 상기 연결부(402)에 설치되는 가동 코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er 400 or 402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402 connected to the piston 40 and a movable core 400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402.

따라서,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고정자(100) 및 상기 마그네트(300)에 대해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30)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40)이 상기 가동 코어(400)와 함께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movable core 400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stator 100 and the magnet 300, the piston 40 inserted into the cylinder 30 reciprocates with the movable core 400, Exercise.

상기 리니어 압축기(1)는, 상기 가동자(400, 402)가 정상 이동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자(400, 42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ar compressor 1 further includes a support unit 500 for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ing the mover 400 or 420 in order to prevent the mover 400 or 402 from deviating from the normal range of movement can do.

이하에서는 먼저, 상기 왕복동 모터(9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reciprocating motor 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고정자(100)는, 내측 고정자(110)와, 외측 고정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or 100 may include an inner stator 110 and an outer stator 120.

상기 외측 고정자(120)는, 일측이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내측 고정자(110)의 타측과 공극(130)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고정자(1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stator 120 is radially outwardly spaced from the inner stator 110 so that one side of the inner stator 110 is connected to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tator 110 forms a gap 130 with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tator 110 .

이때,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외측 고정자(120)는 자성체 또는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r a conductive material.

본 실시예에서, 내측 코어 블럭(110a)을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상기 내측 고정자(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코어 블럭(120a)을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상기 외측 고정자(120)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stator 110 can be formed by radially laminating the inner core block 110a. In addition, the outer stator 120 can be formed by radially stacking the outer core block 120a.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코어 블럭(110a) 및 외측 코어 블럭(120a)은 일측이 서로 연결되고 타측이 이격되어 공극(130a)을 형성하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inner core block 110a and the outer core block 120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spaced to form a cavity 130a.

상기와 같이 내측 코어 블럭(110a)과 외측 코어 블럭(120a)이 방사상으로 적층되면, 상기 내측 고정자(110) 및 외측 고정자(120)는 축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전체적으로는 중공(101)을 가지는 원통형 형태(또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inner core block 110a and the outer core block 120a are radially stacked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ring shape).

이 경우,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상기 외측 고정자(120) 사이에 형성된 공극(130) 역시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ap 130 formed between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may also be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본 실 시예에서, 상기 내측 코어 블럭(110a) 및 외측 코어 블럭(12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ㅡ'자 또는 'ㄱ'자 또는 'ㄷ'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inner core block 110a and the outer core block 120a may be formed of '?', '?', Or '?' .

일례로, 일체로 연결된 내측 코어 블럭(110a)과 외측 코어 블럭(120a)은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grally connected inner core block 110a and the outer core block 120a may have a 'C' shape.

한편,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상기 외측 고정자(120) 사이에는 상기 코일(200)이 권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il 200 may be wound between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일례로, 상기 코일(200)이 상기 내측 고정자(110)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자(120)가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 stator 12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tator 110 in a state where the coil 200 is wound on the inner stator 110.

또는, 미리 링 형태로 권취된 코일(200)이 상기 내측 고정자(110)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자(120)가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결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uter stator 120 may be coupled with the inner stator 110 in a state where the coil 200 wound in a ring shape surrounds the inner stator 110.

다른 예로, 내측 코어 블럭(110a)과 외측 코어 블럭(120a)이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100)로 제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100)의 일부가 미리 링 형태로 권취된 코일(20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inner core block 110a and the outer core block 120a are integrally formed to have a "C" shape and are manufactured with the stator 100, a part of the stator 100 is pr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coil 200 into the coil 200 wound on the coil.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외측 고정자(120) 사이에는 상기 공극(130)과 연통되며 상기 코일(200)을 수용하는 공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2, a space 140 communicating with the gap 130 and accommodating the coil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나아가,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상기 외측 고정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공간부(140)가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권취홈(111, 121)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t least one of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may be formed with the winding grooves 111 and 121 recessed inwardly to form the space 140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

이때, 상기 공간부(140) 또는 권취홈(111, 121)의 크기는 권취된 코일(200)의 양에 비례해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pace 140 or the winding grooves 111 and 121 may be form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wound coil 200.

일례로,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외측 고정자(120) 양측 모두에 권취홈(111, 121)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inding grooves 111 and 121 may be formed on both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상기와 같이 권취홈(111, 121)이 형성되면, 상기 코일(200)이 수용되는 공간부(140)가 제공되어 상기 코일(200)과 내,외측 고정자(110, 120)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winding grooves 111 and 121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a space 140 in which the coil 200 is accommodated is provided to facilitate connection between the coil 200 and the inner and outer stator 110 and 120 .

또한, 상기 권취홈(121)에 의해 내측 고정자(110) 및 외측 고정자(120)에는 마그네트(300)가 고정되는 폴부(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요크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yoke 123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an be formed in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by the winding groove 121 in comparison with the pole portion 124 to which the magnet 300 is fixed .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고정자(110) 또는 외측 고정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로를 이루는 요크부(123) 및 상기 요크부(123)의 폭보다 확장되고 상기 마그네트(300)가 고정되는 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is extended beyond the width of the yoke portion 123 and the yoke portion 123 forming the magnetic path and the magnet 300 is fixed (Not shown).

이때, 상기 폴부(124)는 고정되는 마그네트(3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le portion 124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ed magnet 300.

상기와 같은 요크부(123) 및 폴부(124)의 조합에 의해 자기적 스프링의 강성, 알파값(모터의 추력상수), 알파값 변동율 등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요크부(123) 및 폴부(124)는 해당 왕복동 모터(90)가 적용되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길이나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The stiffness of the magnetic spring, the alpha value (thrust constant of the motor), the alpha value variation rate, and the like can b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yoke portion 123 and the claw portion 124 as described above. The yoke part 123 and the pole part 124 can be determined in length and shape in various range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product to which the reciprocating motor 90 is applied.

한편, 상기 내측 고정자(110)의 외주면 또는 외측 고정자(120)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마그네트(30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gnet 30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tator 110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0.

이때, 상기 가동 코어(400)의 왕복 운동 방향(또는 축 방향)으로, 상기 마그네트(300)는 상기 코일(20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네트(300)와 코일(200)은 상기 고정자(100)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200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r axial direction) of the movable core 400. That is, the magnets 300 and the coils 20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ator 100.

종래의 경우, 상기 마그네트(300)와 상기 코일(200)이 상기 고정자(100)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모터의 직경이 커질 수 밖에 없었다. Conventionally, the magnet 300 and the coil 200 have to overlap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ator 100, and the diameter of the motor has to be increased accordingly.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마그네트(300)와 상기 코일(200)이 가동 코어(400)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종래 대비 왕복동 모터(90)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In contrast, since the magnet 300 and the coil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re 400, the diameter of the reciprocating motor 90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마그네트(300)는 일례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마그네트(300)는 축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마그네트(300)가 상기 내측 고정자(110)의 외주면이나, 상기 외측 고정자(120)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 3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s another example, the magnet 300 may have an arc-shaped cross-section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In this case, a plurality of magnets 3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tator 110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상기 마그네트(300)는 상기 공극(130)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magnet 30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gap 130.

이를 위해, 상기 공극(130)을 형성하는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상기 외측 고정자(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마그네트(300)가 고정되는 마그네트 고정면(125)이 형성될 수 있다. A magnet fixing surface 125 on which the magnet 300 is fixed is formed on one of surfaces of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forming the gap 130, .

도 2에는 일 예로 상기 마그네트(300)가 상기 외측 고정자(120)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 고정자(120)에 마그네트 고정면(125)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2, the magnet 300 is installed on the outer stator 120, and the magnet fixing surface 125 is formed on the outer stator 120.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마그네트(300)가 노출되는 공극(130)에 위치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100) 및 상기 마그네트(300)에 대해 왕복 운동을 한다. The movable core 400 is disposed on the gap 130 where the magnet 300 is exposed and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stator 100 and the magnet 300.

이때, 상기 가동 코어(400)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코일(20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가동 코어(400)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코일(200)과 상기 가동 코어(400)의 간격이 가변된다. The movable core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il 200 in the direction of reciprocation of the movable core 400. The movable core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il 200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able core 400, The interval of the movable core 400 is variable.

즉, 상기 가동 코어(400)와 상기 코일(200)은 상기 고정자(100)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coils 20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ator 100.

종래의 경우, 상기 가동 코어(400)와 상기 코일(200)이 상기 고정자(100)의 반경 방향으로 중첩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모터의 직경이 커질 수 밖에 없었다. Conventionally,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coil 200 have to overlap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ator 100, and the diameter of the motor has to be increased accordingly.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가동 코어(400)와 상기 코일(200)이 가동 코어의 왕복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종래 대비 모터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coil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re, the diameter of the motor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related a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코어(400)는, 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movable core 40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즉, 상기 가동 코어(400)는 링 형태의 공극(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가동 코어(400)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movable core 40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ing-shaped cavity 130, or a plurality of movable cores 400 having arc-shaped cross sections may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연결부(40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402)의 일부는 상기 공극(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402)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연결부(402)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3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movable core 400 may be suppor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402. At this time,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402 may be located in the gap 130. Accordingly,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40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movable core 4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magnet 30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402.

일 예로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연결부(40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고정자(120)의 내주면에 설치된 마그네트(300)와 마주볼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vable core 4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402 and may face the magnet 300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0.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공극(130)으로 노출된 상기 내측 고정자(110) 또는 상기 외측 고정자(120)의 외측 표면 및 상기 마그네트(300)와 간격을 두고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 코어(400)의 두께는 상기 공극(130)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The movable core 400 is inserted at a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tator 110 or the outer stator 120 exposed to the gap 130 and the magnet 300. For this, the thickness of the movable core 40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ap 130.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자(400, 402)의 제1면은 상기 마그네트(3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400, 402)의 제2면(제1면의 반대면임)은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of the mover (400, 402) is disposed to face the magnet (300), and the second surfac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mover (400, 402) And is arranged to face the stator 110.

일례로, 상기 가동자(400, 402)의 제1면은 상기 마그네트(300)의 외주면이고, 상기 가동자(400, 402)의 제2면은 상기 연결부(402)의 내주면이다.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mover 400 is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 300,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over 400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402.

이때, 상기 가동자(400, 402)의 제1면과 상기 마그네트(300)는 이격되고, 상기 가동자(400, 402)의 제2면과 상기 내측 고정자(110)는 이격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of the mover (400, 402) and the magnet (3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over (400, 402)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tator (110).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트(300)의 길이는, 상기 가동 코어(400)의 최대 스트로크(stroke)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magnet 300 may be two or more times the maximum stroke of the movable core 400.

이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300)의 길이를 한정하는 이유는 모터 스프링 강성의 변곡을 고려해서이다. 따라서, 상기 가동 코어(400)의 최대 스트로크(stroke) 보다 상기 마그네트(3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In this way, the reason for limiting the length of the magnet 300 i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flection of the stiffness of the motor sp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length of the magnet 300 longer than the maximum stroke of the movable core 400.

일례로, 상기 가동 코어(400)의 최대 스트로크가 11mm라면, 상기 마그네트(300)의 길이는 모터 스프링 강성의 변곡을 고려하여 1mm정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상기 마그네트(300)의 축 방향 길이는 24mm로 설계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maximum stroke of the movable core 400 is 11 mm, the length of the magnet 300 needs to be designed to be 1 mm or so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of the motor spring rigidity. Therefore,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magnet 300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designed to be 24 m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 코어(400)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마그네트(300)의 절반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스프링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al length of the movable core 400 may be long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magnet 300. In this case, rigidity of the motor spring can be secured.

한편, 상기 마그네트(300)는 상기 가동 코어(400)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gnet 300 may be formed so that different magnetic poles are arranged in the reciprocating motion direction of the movable core 400.

즉, 상기 마그네트(300)는 제1극부(302)와, 제2극부(304)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극부(302)와 상기 제2극부(304)는 상기 피스톤(40)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That is, the magnet 300 includes a first pole portion 302 and a second pole portion 304, and the first pole portion 302 and the second pole portion 3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0 Lt; / RTI >

그리고, 상기 제1극부(302)가 상기 제2극부(304) 보다 상기 코일(200) 또는 압축 공간(31)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pole portion 302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coil 200 or the compression space 31 than the second pole portion 304.

이하에서는 제1극부(302)가 N극이고, 제2극부(304)가 S극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pole portion 302 is an N pole and the second pole portion 304 is an S pole, for example, and the opposite case is also possi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코어(400)는, 상기 코일(200)이 구비된 고정자(100)와 마그네트(300), 및 상기 가동 코어(4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왕복 방향 중심력(centering force)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The movable core 400 is rotated by a reciprocating centering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tator 100 having the coil 200 and the magnet 300 and the movable core 400, And a reciprocating motion is performed.

왕복 방향 중심력이란 상기 가동 코어(400)가 자기장 안에서 이동을 할 때 자기적 에너지(자기적 위치 에너지, 자기저항)가 낮은 쪽으로 저장하는 힘을 말하며, 이 힘은 자기적 스프링(magnetic spring)으로 작용한다. The reciprocating direction center force refers to a force that stores magnetic energy (magnetic position energy, magnetoresistance) to a lower level when the movable core 400 moves within a magnetic field, and this force acts as a magnetic spring do.

따라서,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코일(200) 및 마그네트(300)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할 때, 상기 가동 코어(400)는 자기적 스프링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축적한다. 그리고, 이 자기적 스프링에 축적된 힘으로 인해 상기 가동 코어(400)가 공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vable core 400 reciprocates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200 and the magnet 300, the movable core 400 accumulates the force to return toward the center by the magnetic springs. do. The movable core 400 reciprocates continuously while resonating due to the force accumulated in the magnetic spring.

다음으로, 상기 지지 유닛(5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support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지지 유닛(500)은, 상기 피스톤(400)이 상기 토출 밸브(32)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가스(일 예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스 스프링 역할한다. The support unit 500 serves as a gas spring for compressing the internal gas (for example, refrigeran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400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valve 32.

상기 지지 유닛(500)은,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부재(520, 530)와, 상기 고정 부재(520, 530)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는 가동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unit 500 may include fixing members 520 and 530 fixed in position and a movable member 510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s 520 and 530.

상기 고정 부재(520, 530)와 상기 가동 부재(510)는 냉매가 수용되는 가스 챔버(540)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부재(510)는 왕복 운동 과정에서 상기 가스 챔버(540)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520 and the movable member 510 form a gas chamber 540 in which the refrigerant is received and the movable member 510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gas chamber 540 in a reciprocating motion process. can do.

상기 가동 부재(510)는 상기 가동자(400, 402) 또는 상기 피스톤(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510)는 상기 피스톤(40)과 함께 왕복 운동한다. The movable member 510 may be connected to the mover 400 or 402 or the piston 40. Therefore, the movable member 510 reciprocally moves together with the piston 40.

상기 가동 부재(510)는, 중공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바디(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511)는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511)의 중공은 상기 피스톤(40)의 내부와 연통된다. The movable member 510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511 having a hollow shape. The body 511 may include a flow hole 512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The hollow of the body (511)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piston (40).

상기 가동 부재(510)는, 상기 바디(511)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40) 또는 상기 가동자(400, 402)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member 51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511 and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513 for coupling to the piston 40 or the mover 400 or 402.

상기 체결부(513)는 일 예로 상기 피스톤(40) 또는 연결부(402)에 일 예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부(513)는 상기 피스톤(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513 may be screwed to the piston 40 or the coupling part 402 as an example. Or the coupling portion 513 may be fitted to the piston 40. [

상기 가동 부재(510)는, 상기 바디(511)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플런져(5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member 51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511 and may include a plunger 513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상기 플런져(513)는 상기 고정 부재(520, 5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The plunger 513 may be received in the fixing members 520 and 530.

상기 지지 유닛(5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바디(511)의 직경은 상기 플런져(513)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support unit 50, the diameter of the body 51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lunger 513.

상기 고정 부재(520, 530)는, 상기 가스 챔버(540)를 형성하는 챔버 바디(520)와, 상기 가스 챔버(540)를 커버하는 챔버 커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s 520 and 530 may include a chamber body 520 forming the gas chamber 540 and a chamber cover 530 covering the gas chamber 540.

상기 챔버 바디(520)는 일 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져(5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 바디(520)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플런져(513)의 축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hamber body 5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the plunger 513 may be inserted therein. In this case, the axial length of the chamber body 520 may be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plunger 513.

상기 챔버 커버(530)에는 흡입홀(532)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 바디(520)에는 배출홀(522)이 형성된다. A suction hole 532 is formed in the chamber cover 530 and a discharge hole 522 is formed in the chamber body 520.

상기 챔버 커버(530)에는 상기 흡입홀(532)을 개폐하기 위한 흡입 밸브(534)가 구비된다. The chamber cover 530 is provided with a suction valve 53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 53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챔버 바디(520)와 상기 챔버 커버(530)가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챔버 바디(520)와 상기 챔버 커버(5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mber body 520 and the chamber cover 530 may be manufactured as separate articles and coupled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chamber body 520 and the chamber cover 530 may be integrally formed It is also possible.

상기 케이스(10)에는 고정 브라켓(55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520, 530)는 상기 고정 브라켓(550)에 체결 부재(552)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550 and the fixing members 520 and 530 can be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550 by fastening members 552.

일 예로 상기 체결 부재(552)가 상기 챔버 바디(520) 및 상기 챔버 커버(530)를 관통한 후에 상기 고정 브라켓(550)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552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bracket 550 after passing through the chamber body 520 and the chamber cover 530.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 에 따른 왕복동 모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eciprocat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이다. 4 and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ciprocating mo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왕복동 모터(90)의 상기 코일(200)에 교번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내측 고정자(110)와 상기 외측 고정자(120) 사이에는 교번 자속이 형성된다. 2 to 5,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00 of the reciprocating motor 90, an alternating magnetic flux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tator 110 and the outer stator 120.

이 경우 상기 가동 코어(400)는 자속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movable core 400 continuously reciprocates while moving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magnetic flux direction.

이때, 상기 가동 코어(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 자기적 스프링(Magnetic Resonance Spring)이 형성되어, 가동 코어(400)의 공진 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At this time, a magnetic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stator 100 and the magnet 300 to induce a resonance motion of the movable core 400.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300)가 외측 고정자(120)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300)에 의한 자속이 도면 상의 시계 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200)에 교번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magnet 300 is fixed to the outer stator 120 and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magnet 300 flow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

그러면, 상기 코일(200)에 의한 자속이 일 예로 도면 상의 시계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상기 코일(200)에 의한 자속과 상기 마그네트(300)의 자속이 증자되는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상기 가동 코어(400)가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M1 참조).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oil 200 flow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oil 200 and the magnet 300 are increas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See arrow M1).

이때, 상기 가동 코어(400)와 상기 고정자(100) 및 상기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즉, 자기적 위치 에너지 또는 자기적 저항)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 중심력(Centering force)(F1)이 축적된다.At this time, between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stator 100 and the magnet 300, a reciprocating center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eciprocating center force " Centering force (F1) is accumulated.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코일(2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상기 코일(200)에 의한 자속이 도면 상의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코일(200)에 의한 자속과 상기 마그네트(300)의 자속은 이전과 반대 방향, 즉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증자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00 is changed as shown in FIG. 5,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oil 200 flow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n, the magnetic flux of the coil 200 and the magnetic flux of the magnet 300 are increas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vious direction, that is, leftward in the drawing.

이때, 축적된 왕복 중심력(Centering force)(F1)과, 상기 코일(200) 및 마그네트(30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상기 가동 코어(400)가 이동하게 하게 된다(화살표 M2 참조). At this time, the movable core 400 is caused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by the accumulated centering force F1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fluxes of the coil 200 and the magnet 300 M2).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 코어(40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300)의 중심(제1극부(302)와 제2극부(304)의 경계선)을 지나 도면의 좌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movable core 400 moves further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gnet 300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pole portion 302 and the second pole portion 304) by the inertia force and the magnetic force .

이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가동 코어(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 중심력(Centering force)(F2)이 축적된다. At this time as well, a centering force F2 is accumulated between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stator 100 and between the magnet 300 and the magnet 300 to return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with the lower magnetic energy.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코일(2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축적된 왕복 중심력(Centering force)(F2)과, 코일(200) 및 마그네트(300)의 자속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동 코어(4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00 is changed as shown in FIG. 4, the accumulated centering force F2 and the magnetic force due to the magnetic fluxes of the coil 200 and the magnet 300 The movable core 400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이때도 역시, 상기 가동 코어(400)는 관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300)의 중심을 지나 도면의 우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too, the movable core 400 moves further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gnet 300 by inertial force and magnetic force.

그리고, 상기 가동 코어(400)와 고정자(100) 및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자기적 에너지가 낮은 쪽인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왕복 중심력(Centering force)(F1)이 축적된다. A centering force F1 for returning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is accumulated between the movable core 400 and the stator 100 and the magnet 300.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가동 코어(400)는 기계적 공진 스프링이 구비된 것과 같이 도면 상 우측과 좌측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movable core 400 continuously repeats the reciprocating motion in which the right and left sides alternately move, as in the case where the mechanical resonance spring is provided.

도 6은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리니어 압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리니어 압축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linear compressor when the piston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linear compressor when the pisto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 코어(400)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40)도 왕복 운동하게 된다. 4 to 7, when the movable core 400 reciprocates right and left, the piston 40 also reciprocates.

상기 피스톤(40)은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The piston 40 can reciprocat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 공간(31)으로 냉매가 흡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피스톤(40)이 상기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40)이 상기 압축 공간(31)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can be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31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40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Meanwhile, the piston 40 can compress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31 dur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40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먼저 도 6과 같이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관(11)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냉매는 상기 가동 부재(510)의 유동홀(512)을 통하여 냉매가 상기 가동 부재(510) 내부로 유입된다. 6,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1 flows through the flow hole (not shown) of the movable member 510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movable member 510 through the openings 512.

상기 가동 부재(51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피스톤(4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압축 공간(31)으로 유입된다.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movable member 510 flows into the compression space 31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iston 40.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피스톤(40)과 상기 실린더(30)의 토출측 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40)과 상기 토출 밸브(32)와의 거리를 상기 피스톤(40)의 최대 변위(D1)라 한다. 상기 최대 변위(D1)는 일 예로 상기 상사점과 상기 하사점 간의 거리일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iston 40 and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cylinder 30 or between the piston 40 and the discharge valve 32 when the piston 4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iston 40 (D1) " The maximum displacement D1 may be, for example, a dista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그리고,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런져(513)는 상기 가스 챔버(540)의 냉매를 압축한다. Dur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40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plunger 513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gas chamber 540.

상기 플런져(513)가 상기 가스 챔버(540)의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 챔버(540)의 압력이 증가되고, 상기 가스 챔버(540)의 증가된 압력은 상기 플런져(513)에 반력(F3)으로 작용한다. The pressure of the gas chamber 540 is increased while the plunger 513 compresses the refrigerant of the gas chamber 540 and the increased pressure of the gas chamber 540 is applied to the plunger 513 And acts as a reaction force F3.

이때, 상기 플런져(513)에 작용하는 반력(F3)은 상기 가스 챔버(540)의 압력이 증가될 수록 커진다. 그리고, 상기 플런져(513)에 작용하는 반력(F3)은 상기 피스톤(40)에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At this time, the reaction force F3 acting on the plunger 513 increases as the pressure of the gas chamber 540 increases. The reaction force F3 acting on the plunger 513 acts on the piston 40 as well.

따라서,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40)으로 작용하는 반력이 커진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piston 40 increase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40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Thus, the phenomenon that the piston 40 is deviated from the bottom dead center can be prevented.

즉, 상기 피스톤(40)이 상기 토출 밸브(32)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유닛(500)은 상기 피스톤(40) 또는 상기 가동자(400, 402)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한다. Tha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40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valve 32, the support unit 50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piston 40 or the mover 400, And a reaction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피스톤(40)은 상기 가동자(400, 40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고정자(100)가 형성하는 영역에서 벗어나거나, 상기 피스톤(40)이 구조물과 충돌하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piston 40 is connected to the mover 400 or 402, when the piston 40 is displaced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he movable core 400 is moved out of the region formed by the stator 10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ston (40) collides with the structure.

만약,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고정자(100)가 형성하는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즉, 정상 이동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리니어 압축기(1)는 운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If the movable core 400 deviates from the region formed by the stator 100, that is, deviates from the normal moving range, the linear compressor 1 becomes inoperable stat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유닛(500)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40) 및 상기 가동자(400, 402)로 반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고정자(100)가 형성하는 영역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40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point, a reaction force acts on the piston 40 and the mover 400, 402 by the support unit 5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core 400 from deviating from the region formed by the stator 100.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 챔버(540)의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 챔버(540) 내의 냉매의 일부는 상기 배출홀(522)을 통해 상기 가스 챔버(540)에서 배출될 수 있다. A part of the refrigerant in the gas chamber 540 may be discharged from the gas chamber 540 through the discharge hole 522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n the gas chamber 540. [

이는, 상기 피스톤(40)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piston 40 can not move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point due to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piston 40.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40)는 상기 압축 공간(31)의 냉매를 압축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piston 40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31 dur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40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그리고, 상기 플런져(513)는 상기 챔버 커버(5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가스 챔버(540)가 팽창되어 상기 가스 챔버(540)로 냉매가 유입된다. The plunger 513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hamber cover 530 so that the gas chamber 540 expands and refrigerant flows into the gas chamber 540.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플런져(513)와 상기 챔버 커버(530) 간의 거리를 상기 플런져(513)의 최대 변위(D2)라 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lunger 513 and the chamber cover 530 when the piston 40 is positioned at the top dead center is referred to as the maximum displacement D2 of the plunger 513.

상기 피스톤(40)와 상기 플런져(513)가 함께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런져(513)가 상기 챔버 커버(530)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플런져(513)의 최대 변위(D2)는 상기 피스톤(40)의 최대 변위(D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maximum displacement of the plunger 513 is controlled such that the plunger 513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chamber cover 530 in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40 and the plunger 513. [ (D2)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displacement (D1) of the piston (40).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왕복동 모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e other parts, but differs in the reciprocating motor.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왕복동 모터는, 고정자(410)와, 상기 고정자(410)의 내측 영역에 권취되는 코일(200)과, 상기 고정자(410)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는 가동자(420, 424)를 포함할 수 있다. 8, the reciprocating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ator 410, a coil 200 wound around an inner region of the stator 410, and a movable member 410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410. [ (420, 424).

상기 가동자(420, 424)는, 가동자 코어(420)와, 상기 가동자 코어(4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422)와, 상기 가동자 코어(420)를 상기 피스톤(40)에 연결하는 연결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er 420 or 424 includes a mover core 420 and a magnet 42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er core 420. The mover 422 and the mover core 420 are connected to the piston 40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424 for connection.

상기 가동자 코어(42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422)는 상기 가동자 코어(420)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mover 422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er core 420. The mover 42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마그네트(422)의 제1극부 및 제2극부의 배열과 상기 가동자(420, 424)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원리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inciple of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er 422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second pole portion of the magnet 422 and the mover 420 or 42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

본 실시 예에서도 지지 유닛(500)이 상기 피스톤(40) 또는 상기 가동자(420, 424)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420, 424)가 정상 이동 범위 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piston 40 or the mover 420 or 424 to prevent the mover 420 or 424 from falling out of the normal range of movement.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도 9에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피스톤이 상사점이 위치한 상태가 도시된다. 9 and 10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state where a piston is positioned at a bottom dead center, and FIG. 10 shows a state where a piston top dead center is located.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 또는 제 2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지지 유닛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in other parts, but differs in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 및 도 10에는 일 예로 제 1 실시 예의 리니어 압축기의 구조에 적용된 지지 유닛이 개시되나, 제 2 실시 예의 리니어 압축기의 구조에 본 실시 예의 지지 유닛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9 and 10 show a support unit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of the first embodiment as an example,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pport unit o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linear compressor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 유닛은, 상기 피스톤(40) 또는 상기 가동자(400, 402)에 설치되는 제 1 자석(602)과,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제 2 자석(604)을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th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agnet 602 installed on the piston 40 or the mover 400, 402, And a second magnet 604 that is magnetically coupled.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는 일 예로 동일한 자극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 각각이 N극이거나 S극일 수 있다.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may have the same stimulus as an example. That is,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may be N poles or S poles, respectively.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일 예로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11)을 통해 흡입된 냉매가 상기 제 2 자석(604) 및 상기 제 1 자석(602)을 통과한 후에 상기 피스톤(4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refore,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11 can be drawn into the piston 40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magnet 604 and the first magnet 602.

다른 예로서, 복수의 제 1 자석(602) 각각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4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s 602 may be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piston 4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복수의 제 2 자석(604)도 각각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604 may also be formed in arc shapes, and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9와 같이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관(11)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냉매는 상기 피스톤(40)의 내부를 지나 상기 압축 공간(31)으로 유입된다. 9, when the piston 40 move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1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iston 40, And flows into the space 31.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피스톤(40)과 상기 실린더(30)의 토출측 단부 또는 상기 피스톤(40)과 상기 토출 밸브(32)와의 거리를 상기 피스톤(40)의 최대 변위(D3)라 한다. 상기 최대 변위(D3)는 이상적으로는 상기 상사점과 상기 하사점 간의 거리일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iston 40 and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cylinder 30 or between the piston 40 and the discharge valve 32 when the piston 4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iston 40 (D3). The maximum displacement D3 may ideally be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그리고,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 간의 척력이 증가된다.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increases as the piston 40 move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따라서,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 간의 척력은 상기 피스톤(40)에 반력(F4)으로 작용한다. Therefore,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acts on the piston 40 as a reaction force F4.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40)으로 작용하는 반력은 커져,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piston 4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40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point becomes large so that the piston 40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bottom dead center.

상기 피스톤(40)은 상기 가동자(400, 40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고정자(10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서 벗어나게 된다. Since the piston 40 is connected to the mover 400 and 402, when the piston 40 is displaced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he movable core 400 moves out of the region formed by the stator 100 do.

만약, 상기 가동 코어(400)가 정상 이동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리니어 압축기(1)는 운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If the movable core 400 deviates from the normal moving range, the linear compressor 1 becomes inoperable stat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의 척력이 가동자(400, 402)의 반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코어(400)가 상기 고정자(100)가 형성하는 영역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iston 40 move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point, the repulsive force of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is transmitted to the movable member 400, Lt; / RTI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core 400 from deviating from the region formed by the stator 100.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40)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40)는 상기 압축 공간(31)의 냉매를 압축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piston 40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31 dur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40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스톤(40)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제 1 자석(602)과 상기 제 2 자석(604) 간의 거리를 상기 제 1 자석(602)의 최대 변위(D4)라 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 602 and the second magnet 604 when the piston 40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can be defined as the maximum displacement D4 of the first magnet 602 have.

이때, 상기 피스톤(40)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상기 제 1 자석(602)이 상기 제 2 자석(604)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1 자석(602)의 최대 변위(D4)는 상기 피스톤(40)의 최대 변위(D3)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ximum displacement D4 of the first magnet 602 is set so that the maximum displacement D4 of the first magnet 602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splacement D4 of the first magnet 602 so that the first magnet 602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second magnet 604 dur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0. [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displacement (D3) of the movable member (40).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가동자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자가 정상 이동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r from deviating from the normal moving range in the process of reciprocating the mover by the simple structure.

10: 케이스 30: 실린더
40: 피스톤 90: 왕복동 모터
100: 가동자 400: 가동 코어
402: 연결부 500: 지지 유닛
10: Case 30: Cylinder
40: piston 90: reciprocating motor
100: mover 400: movable core
402: connection part 500: support unit

Claims (12)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압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 공간을 개폐하는 토출 밸브;
상기 실린더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압축 공간의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피스톤;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가 형성하는 영역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 또는 가동자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왕복동 모터; 및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가동자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토출 밸브와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가동자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와 반대 극인 제2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극부와 상기 제2극부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리니어 압축기.
case;
A cylinder provided in the case to form a compression space;
A discharg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pression space;
A piston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and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A reciprocating motor including a stator, a coil wound around a region formed by the stator, a mover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connected to the piston, and a magnet provided on the stator or the mover; And
A piston connected to the piston or the mover and adapted to provide a reaction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the piston or the mover in a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in a first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valve, / RTI >
Wherein the magnet includes a first pole portion and a second pole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pole portion,
Wherein the first pole portion and the second pole portion are arranged in a line in a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pist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가스를 압축시키는 가스 스프링인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unit is a gas spring that compresses ga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iston in the first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왕복 운동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 함께 가스 챔버를 형성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tationary member fixed in position and a movable member reciprocating with the piston and forming a gas chamber together with the stationary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상기 가스 챔버로 유입시키는 흡입홀과, 상기 흡입홀을 개폐하는 흡입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상기 가스 챔버 내의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구비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uction hole for allow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ase into the gas chamber and a sucti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
Wherein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n the gas chamber is discharg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과 연통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가동자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가스 챔버의 가스를 압축하는 플런져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able member includes a body having an inlet hole into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communicating with the piston,
A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fastened to the piston or the mover,
And a plung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accommodated in the fixing member to compress gas in the gas cha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냉매를 압축하는 위치인 상사점과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위치인 하사점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출 밸브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플런져와 상기 흡입 밸브 간의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iston reciprocates between a top dead center point at which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and a bottom dead center point at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piston and the discharge valve when the piston is at the bottom dead center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plunger and the suction valve when the pisto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배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 챔버를 형성하는 챔버 바디와,
상기 챔버 바디와 체결되고, 상기 가스 챔버를 커버하며 상기 유입홀을 구비하는 챔버 커버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chamber body having the discharge hole and forming the gas chamber,
And a chamber cover coupled to the chamber body, the chamber cover covering the gas chamber and having the inlet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ase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And th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by a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은 동일한 극을 가지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unit comprising: a first magnet disposed to move with the piston;
And a second magnet fixed to the cas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Where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have the same po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제 1 자석 및 제 2 자석을 통과하는 리니어 압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re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리니어 압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and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st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냉매를 압축하는 위치인 상사점과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위치인 하사점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출 밸브의 거리는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상기 제 1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 간의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되는 리니어 압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iston reciprocates between a top dead center point at which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and a bottom dead center point at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piston and the discharge valve when the piston is positio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is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when the pisto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KR1020170016649A 2017-02-07 2017-02-07 Linear compressor KR201800914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49A KR20180091450A (en) 2017-02-07 2017-02-07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49A KR20180091450A (en) 2017-02-07 2017-02-07 Linear compr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50A true KR20180091450A (en) 2018-08-16

Family

ID=6344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49A KR20180091450A (en) 2017-02-07 2017-02-07 Linea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4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039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9261088B2 (en) Linear compressor
KR101386486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EP2966301B1 (en) Linear compressor and linear motor
CN211481129U (en) Transverse flux 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10784734B2 (en)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a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CN210246582U (en) Movable core type reciprocating motor and compressor
KR20160010984A (en) Linear compressor and linear motor
KR20170004136A (en) A linear compressor
KR101982850B1 (en) moving core type recyprocating motor and recy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EP3261226B1 (en)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20180093412A (en) transvers flux type recyprocating motor and recy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101983050B1 (en) Linear motor and linear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20180091450A (en) Linear compressor
KR20210120658A (en) Linear motor and a linear compressor using the same
KR20180093432A (en) Linear compressor
KR20180093411A (en) Linear compressor
KR102060469B1 (en)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100836330B1 (en) Linear motor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070075891A (en) Linear motor mounting for linear compressor
KR20180094291A (en) Linear compressor
KR20040091360A (en)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