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26A -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26A
KR20180089926A KR1020170014347A KR20170014347A KR20180089926A KR 20180089926 A KR20180089926 A KR 20180089926A KR 1020170014347 A KR1020170014347 A KR 1020170014347A KR 20170014347 A KR20170014347 A KR 20170014347A KR 20180089926 A KR20180089926 A KR 2018008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imulators
simulator
synchronization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755B1 (ko
Inventor
하수형
김진규
권재우
우상효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1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7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95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with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기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H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이기종의 모의기들(Heterogeneous Simulators)을 마치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 조합하는 기술의 소요 기술 중에 하나인 시간-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An optimized time-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or interpretation}
본 발명은 모의기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이기종의 모의기들(Heterogeneous Simulators)을 마치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 조합하는 기술의 소요 기술 중에 하나인 시간-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개별 모의기의 객체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시간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패킷에 시간-스탬프 데이터를 추가하여 패킷의 시간-스탬프의 시간 순서대로 정렬하여 연동에 참여 하는 각 모의기들에게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시간-동기화를 구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모의기에게 시간-스탬프 순서대로 이벤트를 처리하면, 다른 참여 시뮬레이터들은 그 시간동안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왔다.
즉, 모의기 연동 환경에서 참여 모의기들이 증가할수록 시간 동기화를 위한 대기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1.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54007호(2014.01.14)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이기종의 모의기들을 마치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 조합하는 소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모의기들에 대한 시간-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이기종의 모의기들을 마치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 조합하는 소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은,
다수의 모의기들이 서로 네트워크 패킷들을 주고받는 과정;
모의기 연동 장치가 다수의 모의기들로 인하여 조합되는 시나리오 시간을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단위 시간내에서 일어나는 각 모의기들의 네트워크 패킷들을 시뮬레이션 시간 간격에서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변환하여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에 한번에 전달하는 예비-처리 과정; 및
상기 예비-처리 과정의 동기화 단위 시간만큼 발생한 이벤트들을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참조하여 각 모의기들이 시뮬레이션 객체 상태를 시뮬레이션 진행 시간 기준으로 변환하여 모의기들 사이의 대기 시간을 제거하는 후-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은 공통된 시뮬레이션 시간을 제약적으로 가지고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각 모의기들이 가지고 있는 시뮬레이션 객체들 사이의 이벤트들을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 모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비-처리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을 수집하는 현재 진행 시간과 미리 입력 설정되는 연동 시뮬레이션 전체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을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통합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상기 현재 진행 시간과 미리 설정되는 동기화 단위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동기화 시간을 수행하고 하나의 통합된 패킷들을 상기 다수의 모의기에 브로드케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은 현재 진행 시간을 보여주는 시간-스탬프 할당 영역, 각 모의기 식별 정보를 보여주는 모의기 ID(Identification) 할당영역, 각 모의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내용을 보여주는 이벤트-메시지 할당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처리 과정은, 상기 다수의 모의기가 상기 후-처리 과정내의 배당받은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시작으로 현재 진행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 현재 진행 시간내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 중 해당 패킷 세트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모의기의 객체 상태를 변환하는 단계; 동기화 단위 시간내의 시간 간격 진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진행 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전체 연동 시뮬레이션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전체 연동 시뮬레이션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 중 다음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의 브로드케스팅 활동이 있을 때까지 대기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처리 과정 및 후-처리 과정은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모의기는 이종 모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처리 과정은 상기 동기화 단위 시간 사이마다 대기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다수의 모의기; 상기 다수의 모의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모의기를 연동하는 모의기 연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이 서로 네트워크 패킷들을 주고받으며, 상기 모의기 연동 장치가 다수의 모의기들로 인하여 조합되는 시나리오 시간을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단위 시간내에서 일어나는 각 모의기들의 네트워크 패킷들을 시뮬레이션 시간 간격에서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변환하여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에 한번에 전달하며,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이 예비-처리의 동기화 단위 시간만큼 발생한 이벤트들을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참조하여 각 모의기들이 시뮬레이션 객체 상태를 시뮬레이션 진행 시간 기준으로 변환하여 모의기들 사이의 대기 시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동기화 과정을 예비-처리 과정과 후-처리 과정으로 구분함으로써 모의기 연동 환경에서 참여 모의기들이 증가할수록 시간 동기화를 위한 대기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후-처리 과정에서 예비-처리 과정의 시간 동기화 단위시간만큼 발생한 이벤트들을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참조하여 각 모의기들이 병렬적으로 처리하여 모의기들의 사이의 대기 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예비-처리 과정 및 후-처리 과정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전체 시뮬레이션 시간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기 연동을 위한 시간-동기화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동기화 알고리즘 설명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동기화 최적화 시스템의 수행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예비-처리 알고리즘(310)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패킷 통합 설명을 위한 개념도 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후-처리 알고리즘(320-1 내지 320-n)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기 연동을 위한 시간-동기화 시스템(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간-동기화 시스템(100)은, 모의기 연동 장치(110), 모의기 연동장치(110)에 의해 연동되는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 및 모의기 연동 장치(11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는 모의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다른 모의기 및 모의기 연동 장치에 연결되기 위해, 시간-동기화 모듈이 구성된다. 부연하면, 제 1 모의기(121)에는 제 1 시간-동기화 모듈(121-1)이 구성되고, 제 2 모의기(122)에는 제 2 시간-동기화 모듈(122-1)이 구성되며, 제 3 모의기(123)에는 제 3 시간-동기화 모듈(123-1)이 구성된다.
모의기 연동 장치(110)는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를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모의기 연동 장치(110)에도 시간-동기화 모듈(111)이 구성된다.
네트워크 허브(130)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유선 통신망이 될 수도 있고, 무선 통신망이 될 수 도 있다. 통신망은 공중교환 전화망(PSTN), 공중교환 데이터망(PSDN),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SDN),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LAN: Wide LAN)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 , 블루투쓰(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에서 USART(Universal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DP(user datagram protocol),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1553B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3개 이상이 가능하며 그 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는 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모의기 연동 장치(110)는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122,123)를 연동시키기 위해,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 알고리즘, 신호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이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모의기 연동 장치(110) 내에 구비되는 메모리일 수 있고, 별도의 메모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DR-SDRAM(Double Date Rate-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동기화 알고리즘 설명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모의기(121 내지 123)의 연동은 여러 모의기들이 공통된 시뮬레이션 시간을 제약적으로 가지고 있고, 그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각 모의기들이 가지고 있는 시뮬레이션 객체(211,212,213,221,222)들 사이의 이벤트들을 하나의 시뮬레이션처럼 모의 실험한다.
우선, 주어진 시뮬레이션 시간이 있고, 주어진 시뮬레이션 시간의 시간 간격(t_interval)이 있으며, 모의기 연동은 이 시간 간격 단위로 시간-동기화를 수행한다. 시간 간격은 1초, 0.1초, 0.01초 등과 같이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그 값이 세밀할수록 시뮬레이션의 정밀도는 증가한다. 그러나, 시간-동기화 모듈(111,121-1,122-1,123-1)의 동기화 횟수가 증가하므로 전체 조합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은 증가한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패킷 세트-1"은 이벤트 발생이 없어 비어 있는 패킷 세트로 폐기 대상이 된다. 이와 달리, "패킷 세트-7"은 이벤트 발생이 있는 경우로서 패킷 세트 생성이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동기화 최적화 시스템의 수행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간-동기화 단계는 예비-처리 과정(310)과 후-처리 과정(320)으로 구성된다.
우선, 예비-처리 과정에서는 여러 모의기(121,122,123)들로 인하여 조합된 시나리오 시간을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고, 이 단위 시간 내에서 일어나는 각 시뮬레이터들의 시간 간격들을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도 2의 230)로 변환한다.
후-처리 과정(320)에서는 예비-처리 과정의 시간 동기화 단위시간만큼 발생한 이벤트들을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참조하여 각 모의기들이 병렬적으로 처리(320-1 내지 320-n)하여 모의기들의 사이의 대기 시간을 제거한다.
또한, 예비-처리 과정 및 후-처리 과정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전체 시뮬레이션 시간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부연하면, 예비-처리 과정(310)에서는 각 모의기들(121 내지 123)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들을 동일한 진행 시간(동일한 시간-스탬프)으로 정렬하고, 같은 진행 시간의 네트워크 패킷들을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로 변환하여 전체 모의기들(121 내지 123)에게 한 번에 전달한다. 이러한 작업들을 동기화 단위 시간 (t_synchro_time_unit)에 맞추어 수행한다.
후-처리 과정(320)에서는 예비-처리 과정(310)으로 받은 패킷 세트의 내용을 바탕으로 각 모의기들이 시뮬레이션 객체 상태(o_variable)를 시뮬레이션 진행 시간 기준으로 변환한다. 시간-동기화 모듈(도 1의 121-1,122-1,123-1)은 이러한 일련의 예비-처리 과정 및 후-처리 과정을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예비-처리 알고리즘(310)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간-동기화 모듈(도 1의 111)의 예비-처리 순서를 도식화한 것이다. 우선, 연동 시뮬레이션 전체 시간(T)을 입력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10).
현재 진행 시간(t_present)이 전체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20).
단계 S420에서 판단 결과, 현재 진행 시간이 연동 시뮬레이션 전체 시간(T)을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예비-처리 단계를 종료한다. 이와 달리, 단계 S420에서 판단결과, 현재 진행 시간이 연동 시뮬레이션 전체 시간(T)을 초과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현재 진행 시간(t_present)의 네트워크 패킷들을 수집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30).
이후, 수집된 네트워크 패킷들을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변환하는 활동(140)을 수행한다(단계 S440). 하나의 패킷 세트로 통합하는 활동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통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50). 단계 S450에서, 판단 결과 이벤트가 발생 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합된 패킷 세트를 폐기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60). 이와 달리, 단계 S450에서 만약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현재 진행 시간이 동기화 단위 시간(t_synchro_time_unit)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진행한다(단계 S470).
단계 S470에서, 판단 결과, 현재 진행 시간이 동기화 단위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순히 시뮬레이션 시간(t) 간격을 진행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71). 부연하면, 시뮬레이션 시간을 증가시켜 현재 진행 시간을 증가한다.
이와 달리, 단계 S4710에서, 판단 결과, 현재 진행 시간이 동기화 단위 시간을 초과 하였을 경우에는 동기화 시간을 진행하는 활동을 진행하여 이전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브로드케스팅(Broadcasting)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480,S49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패킷 통합 설명을 위한 개념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모의기로부터 생성되는 제 1 네트워크 패킷, 제 2 모의기로부터 생성되는 제 2 네트워크 패킷, 제 3 모의기로부터 생성되는 제 3 네트워크 패킷 내지 제 N 모의기로부터 생성되는 제 N 네트워크 패킷을 하나의 패킷 세트로 통합된다. 즉,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의 메시지 구조는, 현재 진행 시간을 보여주는 시간-스탬프 할당 영역(510), 각 모의기 식별 정보를 보여주는 모의기 ID(Identification) 할당영역(520), 각 모의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내용을 보여주는 이벤트-메시지 할당영역(5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후-처리 알고리즘(320-1 내지 320-n)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모의기(도 1의 121,122,123)별로 개별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시간-동기화 모듈(121-1,122-1,123-1)이 진행한다.
우선, 모의기 연동 장치(110)의 시간-동기화 모듈(111)이 브로드케스팅한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를 각 모의기(도 1의 121,122,123)가 받으면, 후-처리 내의 배당받은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시작으로 현재 진행 시간을 조정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610).
이후, 해당되는 현재 진행 시간내 패킷 세트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620).
단계 S620에서, 판단 결과,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동기화 단위 시간 내의 시간 간격 진행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640).
이와 달리, 단계 S620에서, 판단 결과,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해당 모의기의 객체 상태(o_variable)를 변환하는 활동을 수행하고, 동기화 단위 시간 내의 시간 간격 진행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630,S640).
또한, 동기화 단위 시간 내의 진행 완료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후-처리 내의 시간 간격을 진행하여 현재 진행 시간을 조정하는 활동을 다시 수행한다(단계 S610).
만약, 단계 S640에서, 동기화 단위 시간 내의 진행 완료되었을 경우, 현재 진행 시간(t_present)이 전체 연동 시뮬레이션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활동을 수행한다(단계 S650).
만약, 단계 S650에서, 현재 진행 시간(t_present)이 초과되었을 경우, 후-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예비-처리 과정의 다음 패킷 세트 브로드케스팅 활동이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대기: wait) 활동(260)을 수행한다(단계 S660). 즉, 후-처리 과정은 동기화 단위 시간사이 마다 대기 활동을 수행한다.
100: 시간-동기화 장치
110: 모의기 연동 장치
111: 시간-동기화 모듈
121: 제 1 모의기 121-1: 제 1 시간-동기화 모듈
122: 제 2 모의기 122-1: 제 2 시간-동기화 모듈
123: 제 3 모의기 123-1: 제 3 시간-동기화 모듈
130: 네트워크 허브

Claims (9)

  1.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모의기들이 서로 네트워크 패킷들을 주고받는 과정;
    모의기 연동 장치가 다수의 모의기들로 인하여 조합되는 시나리오 시간을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단위 시간내에서 일어나는 각 모의기들의 네트워크 패킷들을 시뮬레이션 시간 간격에서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변환하여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에 한번에 전달하는 예비-처리 과정; 및
    상기 예비-처리 과정의 동기화 단위 시간만큼 발생한 이벤트들을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참조하여 각 모의기들이 시뮬레이션 객체 상태를 시뮬레이션 진행 시간 기준으로 변환하여 모의기들 사이의 대기 시간을 제거하는 후-처리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은 공통된 시뮬레이션 시간을 제약적으로 가지고 있고,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각 모의기들이 가지고 있는 시뮬레이션 객체들 사이의 이벤트들을 하나의 시뮬레이션으로 모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처리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을 수집하는 현재 진행 시간과 미리 입력 설정되는 연동 시뮬레이션 전체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패킷들을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통합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상기 현재 진행 시간과 미리 설정되는 동기화 단위 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동기화 시간을 수행하고 하나의 통합된 패킷들을 상기 다수의 모의기에 브로드케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은 현재 진행 시간을 보여주는 시간-스탬프 할당 영역, 각 모의기 식별 정보를 보여주는 모의기 ID(Identification) 할당영역, 각 모의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내용을 보여주는 이벤트-메시지 할당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과정은,
    상기 다수의 모의기가 상기 후-처리 과정내의 배당받은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시작으로 현재 진행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
    현재 진행 시간내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 중 해당 패킷 세트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모의기의 객체 상태를 변환하는 단계;
    동기화 단위 시간내의 시간 간격 진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진행 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전체 연동 시뮬레이션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전체 연동 시뮬레이션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 중 다음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의 브로드케스팅 활동이 있을 때까지 대기 활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처리 과정 및 후-처리 과정은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의기는 이종 모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과정은 상기 동기화 단위 시간 사이마다 대기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9. 다수의 모의기;
    상기 다수의 모의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 및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모의기를 연동하는 모의기 연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이 서로 네트워크 패킷들을 주고받으며, 상기 모의기 연동 장치가 다수의 모의기들로 인하여 조합되는 시나리오 시간을 동기화 단위 시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동기화 단위 시간내에서 일어나는 각 모의기들의 네트워크 패킷들을 시뮬레이션 시간 간격에서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로 변환하여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에 한번에 전달하며,
    상기 다수의 모의기들이 예비-처리의 동기화 단위 시간만큼 발생한 이벤트들을 상기 하나의 통합된 패킷 세트들을 참조하여 각 모의기들이 시뮬레이션 객체 상태를 시뮬레이션 진행 시간 기준으로 변환하여 모의기들 사이의 대기 시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시스템.
KR1020170014347A 2017-02-01 2017-02-01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96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347A KR101964755B1 (ko) 2017-02-01 2017-02-01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347A KR101964755B1 (ko) 2017-02-01 2017-02-01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26A true KR20180089926A (ko) 2018-08-10
KR101964755B1 KR101964755B1 (ko) 2019-04-03

Family

ID=6322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347A KR101964755B1 (ko) 2017-02-01 2017-02-01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42B1 (ko) * 2018-08-28 2019-0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pc 링크를 이용한 해저 생산 시뮬레이터와 해상 공정 시뮬레이터를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6660A (ko) 2019-04-30 2020-11-09 한국전기연구원 일체형 열전소자기판 및 이를 이용한 열전소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02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네트워크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354007B1 (ko) 2012-12-12 2014-01-21 국방과학연구소 시뮬레이션 시간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테스트 시스템의 시간 진행을 동기화하는 시스템 간 연동 구성 및 시뮬레이션 모델 테스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02A (ko) * 2008-08-27 2010-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네트워크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354007B1 (ko) 2012-12-12 2014-01-21 국방과학연구소 시뮬레이션 시간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테스트 시스템의 시간 진행을 동기화하는 시스템 간 연동 구성 및 시뮬레이션 모델 테스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임호철, "노드 밀집도 기반 무선센서 네트워크의 저전력 시간 동기화 스케쥴링 기법"학위논문(학사) 충북대학교 2016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42B1 (ko) * 2018-08-28 2019-0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pc 링크를 이용한 해저 생산 시뮬레이터와 해상 공정 시뮬레이터를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6660A (ko) 2019-04-30 2020-11-09 한국전기연구원 일체형 열전소자기판 및 이를 이용한 열전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755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3115B2 (en) Traffic generator with priority flow control
US8914662B2 (en) Implementing transparent clock by correcting time information carried in data using residence time information
US7769049B2 (en) Traffic generator using parallel coherent transmit engines
US8687483B2 (en) Parallel traffic generator with priority flow control
CN110730449B (zh) 基于多重区块链的无线传感器网络通信方法及系统
US20230179534A1 (en) Data packet schedul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11411865B2 (en) Network resource schedul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10261705A1 (en) Mapping Traffic Classes to Flow Control Groups
KR101964755B1 (ko) 모의기 연동을 위한 최적화된 시간-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JP2021520089A (ja) 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及び端末機器
CN112969168B (zh) 一种避免ble设备的期望发现延迟取得极大值的方法
CN104320328A (zh) 一种消息同步方法、终端和服务器
JP2016225986A (ja) パケット損失検出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EP4270902A1 (en) Data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EP2918113B1 (en) Network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 set of power state parameters
WO2020122782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de-jitter buffer for reducing jitter
CN110098976A (zh) 网络参数的测量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6789723A (zh) 多核网络转发限速的方法和装置
US8243760B2 (en) Scheduler using a plurality of slow timers
CN101137972A (zh) 自适应组播文件传输协议
CN111279729A (zh) 数据传输的方法和ble设备
Hua et al. Control for wireless networked control systems based on 802.11 b
Ashjaei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imulator for switched ethernet networks
Sütő et al. FPGA implemented reduced Ethernet MAC
CN110808909A (zh) 跨虚拟系统的报文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