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19A -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19A
KR20180089919A KR1020170014295A KR20170014295A KR20180089919A KR 20180089919 A KR20180089919 A KR 20180089919A KR 1020170014295 A KR1020170014295 A KR 1020170014295A KR 20170014295 A KR20170014295 A KR 20170014295A KR 20180089919 A KR20180089919 A KR 2018008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ance
information
route
area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희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919A/ko
Publication of KR2018008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노선차량을 이용한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노선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노선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의 안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1영역으로 분류되는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2영역-상기 제2영역은 상기 노선의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적지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임-으로 분류되는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신한 제2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urpose limited savings associated with loan}
본 발명은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예컨대, 통학용 스쿨버스, 직장 출퇴근 버스 등) 내에서 해당 노선차량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의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안내 컨텐츠(예컨대, 안내방송 등)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목적지를 주기적으로 그리고 미리 정해진 노선대로 운행하는 다양한 노선 및 노선차량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선차량에도 안내 컨텐츠(예컨대, 안내방송 등)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미리 저장된 안내 컨텐츠가 반복적으로 제공될 뿐이었고, 정차장별 또는 전체 안내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특히 노선차량의 경우에는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를 위해 반복적으로 운행되므로, 특정 목적지로 가는 상기 노선차량의 탑승자에게 상기 특정 목적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반영한 안내 컨텐츠가 제공될 수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466089 "버스 정류장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노선차량의 목적지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상기 노선 차량에서 제공되는 안내 컨텐츠를 적응적으로 제공하여 노선차량의 탑승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목적지에서도 노선차량의 탑승자가 해당 상황에 잘 협조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통제 및 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노선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노선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의 안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1영역으로 분류되는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2영역-상기 제2영역은 상기 노선의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적지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임-으로 분류되는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신한 제2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에 포함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정차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대상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2정차장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안내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안내정보들 중에서 어떤 제2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출력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제2영역에 진입하는 진입경로에 위치한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2안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노선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노선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의 안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안내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안내 컨텐츠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1영역으로 분류되는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2영역-상기 제2영역은 상기 노선의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적지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임-으로 분류되는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시스템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2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정차장을 결정하며, 결정된 대상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안내정보 특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노선차량의 목적지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상기 노선 차량에서 제공되는 안내 컨텐츠를 적응적으로 제공하여 노선차량의 탑승자가 목적지 내에서 발생한 상황에 따라 또는 목적지의 특정 정차장과 관련되어 탑승자(하차자)가 알아야할 정보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고가 있다.
또한, 노선차량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의 운영주체의 입장에서도 상기 노선차량의 탑승자에게 미리 목적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또는 탑승자가 알 필요가 있는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필요한 관리 및 통제 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을 위한 노선 및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의 저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을 위한 노선 및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노선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노선차량은 소정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를 운행하는 차량(예컨대, 버스, 승합차, 자가용 등)일 수 있다. 노선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노선(예컨대, 제10. 20)을 따라 운행할 수 있다.
각각의 노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정차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선은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선은 상기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인 목적지 영역(30)과 그 외의 영역(이하,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노선(10)은 목적지 영역(30) 및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목적지 영역(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30, 31, 32, 3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영역(30)에는 목적지의 사정이나 크기에 따라 하나의 정차장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영역(30)에 복수의 정차장들이 포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영역에도 역시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11, 12, 13, 14)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노선(20) 역시 목적지 영역(30) 및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노선(20)의 목적지 영역(30)은 제1노선(10)의 목적지 영역(30)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노선(10)의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과 제2노선(20)의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은 도 1에서는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각 노선의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들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2노선(20)의 기타영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21, 22, 23, 24, 25)이 존재할 수 있다.
목적지에 따라 더 다양한 노선들이 존재할 수 있고, 정차장들의 숫자 및 위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적어도 노선차량이 상기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들(이하, 목적지 정차장이라 함)(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예컨대, 안내방송 또는 안내화면 등)를 제공할때에는 상기 목적지 영역(30)에서의 상황(예컨대, 이벤트 발생 또는 목적지에서 노선차량의 탑승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적응적인 안내 컨텐츠가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목적지 정차장들(예컨대, 30, 31, 32, 33) 각각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각 목적지 정차장들(예컨대, 30, 31, 32, 33)에 노선차량이 정차하기 전 소정의 시점 또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또는 노선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노선차량의 통신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운영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상기 목적지의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목적지를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주체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이 운영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목적지 영역(30) 외부에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이 위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노선차량 내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노선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목적지의 운영주체(예컨대, 학교의 직원 또는 직장의 담당자)가 입력하는 정보(예컨대, 안내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면 족하다.
상기 기타영역에 포함된 정차장의 안내 컨텐츠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기타영역에 포함된 정차장 즉, 기타영역 정차장의 안내 컨텐츠는 목적지 외에 위치하므로 실시간으로 기타영역 정차장의 상황을 파악하여 안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어도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 즉,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 각각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목적지의 운영주체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노선차량의 탑승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적어도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목적지 영역(30) 내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도 노선차량의 외부(예컨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지만, 상기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미리 고정된 안내 컨텐츠로써 상기 노선차량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 또는 모니텅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저장매체(예컨대, 자기적 저장매체, 하드디스크, CD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컨텐츠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별도의 저장매체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와 별개로 상기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매체의 종류(예컨대, 테이프, CD,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SDD 등)가 다를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정차장별로 출력할 안내 컨텐츠를 서로 다른 저장매체에서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노선차량의 위치에 따라 저장매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저장매체에서 정차할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선택하여 소정의 방식(예컨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노선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가 목적지 영역(30)인지 아니면 기타영역인지에 따라 안내 컨텐츠를 추출할 저장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 노선차량의 위치는 상기 노선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위치판단장치(예컨대, GPS 장치 등)를 통해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이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와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가 반드시 별개의 저장매체에 저장될 필요는 없다. 동일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라도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정차할 정차장에 따라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적어도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으면 족하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의 구현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노선차량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적응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노선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소정의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고, 업로드된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가 상기 노선차량에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면 족하고, 설치 위치는 목적지 영역(30) 내이거나 외부일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이용하는 단말기가 상기 노선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과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이용하는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의 일부로 정의될 수도 있고,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과는 별개의 외부의 구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노선차량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을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으로 정의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출력부(120) 및 안내정보 특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 상기 컨텐츠 출력부(120), 상기 통신부(130), 및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 각각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110), 상기 컨텐츠 출력부(120), 상기 통신부(130), 및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구성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정차장별로 출력할 안내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안내 컨텐츠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안내정보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등의 형식으로 출력된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컨텐츠를 결정한다고 함은, 안내 컨텐츠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결정된 안내 컨텐츠는 컨텐츠 출력부(12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노선차량에 구비된 컨텐츠 출력부(120)를 통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등의 형식으로 안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120)는 안내 컨텐츠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 및/또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노선차량에 기 설치된 컨텐츠 출력부(120)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비하기 위해 새로운 컨텐츠 출력부(120)가 노선차량에 설치될 수도 있다. 노선차량의 환경에 따라 상기 컨텐츠 출력부(12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안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는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결정할 정보일 수 있다.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이 복수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안내정보는 복수의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들 모두를 위한 안내정보일 수도 있고, 일부만에 상응하는 안내정보일 수도 있다. 안내정보는 디지털화된 정보로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표현 방식이 상기 안내정보를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안내정보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내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와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는 별개의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저장매체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미리 지정된 위치 또는 시간에서 정차할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소정의 제1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1안내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안내정보를 선택하여 소정의 방식(예컨대, 디코딩, 재생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의 저장위치(저장매체 및 저장매체에서의 위치)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안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소정의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 중 어느 하나인 제2정차장에 상응하는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2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안내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안내정보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노선차량이 목적지 영역(30)에 진입했는지 또는 목적지 영역(30)에서 외부로 진출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노선차량에 포함된 위치판단장치로부터 노선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노선차량이 목적지 영역(30)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를 안내정보를 추출할 저장매체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노선차량이 목적지 영역(30) 외 즉, 기타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를 안내정보를 추출할 저장매체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정보와 기타영역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별개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저장매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안내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의 저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매체는 기타영역 정차장 각각에 상응하는 안내정보(예컨대, 41, 42 등)가 저장되는 제1저장영역(40) 및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 각각에 상응하는 안내정보(예컨대, 51, 52 등)가 저장되는 제2저장영역(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안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된 안내정보에는 대응되는 정차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안내정보를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안내정보가 어떤 정차장에 해당하는 안내정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어부(110)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안내정보를 해당하는 정차장에 상응하는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되는 안내정보가 제1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1)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제1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1)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저장될 제1위치(예컨대, 51)에 저장된 정보가 수신된 상기 안내정보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신되는 안내정보가 제2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2)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제2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2)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저장될 제2위치(예컨대, 52)에 저장된 정보가 수신된 상기 안내정보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수신되는 안내정보는 복수의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들 전부에 대응할 수도 있고, 그 중 일부에만 대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 상응하는 안내정보가 업데이트되는 시점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안내정보가 있을때마다 상기 통신부(130)는 실시간으로 상기 업데이트된 안내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정보는 상기 노선차량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예컨대,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목적지 영역(30)으로 진입하게 되는 진입경로 상의 일지점(예컨대, 목적지의 진입문 등)일 수 있다. 상기 일지점에는 상기 노선차량에 구비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의 통신부(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일지점을 통과하면서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업데이트된 안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노선차량에 구비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절감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차피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 각각의 안내정보만 적응적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상기 진입경로에 위치한 일지점에서 안내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져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에는 큰 영향이 없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 각각의 안내정보를 효과적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즉,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안내정보를 결정해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입력할 필요가 없이, 상기 운영주체는 단순히 목적지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안내정보 특정부(140)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안내정보가 상응하는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가 상기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함은,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정차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시간정보가 이벤트 정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동일한 정차장에서도 출력될 안내 컨텐츠를 달리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내정보 특정부(140)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노선차량에 구비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안내정보 특정부(140)에서 생성된 안내정보가 노선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가 노선차량에 구비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으로 전송되면 전송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에 포함된 안내정보 특정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적지 영역(30) 내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60)는 목적지의 운영주체 측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제1이벤트 정보(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예컨대, 학교)에 존재하는 도서관에서 10:30분부터 소정의 행사(예컨대, 면접 시험)가 진행된다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안내 컨텐츠에 포함될 요청정보(예컨대, 정숙, 우회 등)가 상기 제1이벤트 정보(61)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는 상기 제1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정차장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도서관이라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 정차장(예컨대, 30, 31, 32, 33)내에서 어느 한 정차장(예컨대, 32)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정차장(예컨대, 32)는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한 정차장일 수 있다. 제1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정차장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서관과 비슷한 위치에 존재하는 정차장이 복수인 경우 또는 이벤트 정보가 목적지 영역(30) 전체에 해당되는 경우 등 제1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정차장이 복수개로 결정되는 경우는 다양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는 상기 결정된 정차장(예컨대, 32)에 상응하는 업데이트할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는 상기 이벤트 발생 위치(예컨대, 도서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의 종류(예컨대, 면접 시험)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시간정보(예컨대, 10:30 등)가 상기 안내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요청정보(예컨대, 정숙)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에서 생성되는 안내정보는 '도서관에서 10:30부터 면접시험을 실시하니 정숙해주세요!' 등과 같이 이벤트 정보와 관련하여 안내 컨텐츠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한 정보가 안내정보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이벤트 정보(6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학본관에서 12시부터 소정의 행사가 진행되며, 우회가 요청정보로써 제2이벤트 정보(62)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내정보 특정부(140)는 소정의 정차장(예컨대, 33)을 대응되는 정차장으로 결정하고, 상기 정차장(예컨대, 33)에 상응하는 안내정보 '대학본관에서 12시부터 ~행사가 진행되니 학생들은 우회해주세요!' 등과 같은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벤트 정보만 입력하면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자동으로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안내정보가 필요한 정차장에서 하차하는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안내정보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이벤트 정보에 시간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시간정보에 상응하도록 각 정차장별 안내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컨대, 목적지의 운영주체는 안내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이벤트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안내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가 더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시간정보는 해당 안내정보가 출력될 시간(예컨대, 몇월 몇일 오전 10시부터 13시까지)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가 출력되어야 할 시간구간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안내정보를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업데이트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면 일단 수행하되 안내 컨텐츠의 출력시점에서 어떤 안내 컨텐츠를 출력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정차장(예컨대, 32)의 안내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가 운영주체에 의해 입력되고, 이에 따라 입력되거나 생성된 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는 오전 10시부터 13시까지 출력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정차장(예컨대, 32)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기존의 안내정보로 유지한채 업데이트를 하지 않다가 필요한 시점에서만 안내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각각의 정차장별 안내 컨텐츠 출력시점의 직전에 해당 정차장에서 출력할 안내 컨텐츠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정차장(예컨대, 32)에 오전 9:30에 도착할 경우에는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10시부터 13시 사이에 상기 특정 정차장(예컨대, 32)에 도착할 경우에는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새로운 안내정보가 수신되거나 생성되면 일단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업데이트는 새로운 안내정보를 추가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각각의 안내정보에는 대응되는 시간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정차장(예컨대, 32)에 오전 9:30에 도착할 경우에는 이전의 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10시부터 13시 사이에 상기 특정 정차장(예컨대, 32)에 도착할 경우에는 새로운 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소정의 목적지를 위해 운행되는 노선차량에서 상기 목적지의 영역 내에 발생하는 상황 또는 이벤트를 각각의 정차장별로 적응적으로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탑승자는 자신의 하차할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목적지의 운영주체는 탑승자에게 미리 정보를 제공해서 해당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거나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은 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미리 정해진 노선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노선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의 안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1영역으로 분류되는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2영역-상기 제2영역은 상기 노선의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적지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임-으로 분류되는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수신한 제2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에 포함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정차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대상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상기 제2정차장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안내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안내정보들 중에서 어떤 제2안내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컨텐츠를 출력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제2영역에 진입하는 진입경로에 위치한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2안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6.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미리 정해진 노선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노선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의 안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안내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안내 컨텐츠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1영역으로 분류되는 제1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1안내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노선차량이 상기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노선에서 제2영역-상기 제2영역은 상기 노선의 목적지에 상응하는 목적지 영역이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임-으로 분류되는 제2정차장의 안내를 위한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시스템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2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정차장들 중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정차장을 결정하며, 결정된 대상 정차장에 상응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안내정보 특정부를 더 포함하는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시스템.
KR1020170014295A 2017-02-01 2017-02-01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89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95A KR20180089919A (ko) 2017-02-01 2017-02-01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95A KR20180089919A (ko) 2017-02-01 2017-02-01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32A Division KR20190007078A (ko) 2019-01-10 2019-01-10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19A true KR20180089919A (ko) 2018-08-10

Family

ID=6322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95A KR20180089919A (ko) 2017-02-01 2017-02-01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9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089B1 (ko) 2002-04-03 2005-01-13 인태환 버스 정류장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089B1 (ko) 2002-04-03 2005-01-13 인태환 버스 정류장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407787B2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vehicle, driving assistance terminal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program
US9513134B1 (en) Management of evacuation with mobile objects
WO2020147361A1 (zh) 用于控制车辆的方法和装置
US967789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in a vehicle and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094194B2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CN107003673A (zh) 用于运行多个车辆的方法和装置
CN113535743B (zh) 无人驾驶地图实时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09523179B (zh) 车队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JP2020160836A (ja) 運行制御装置、運行制御方法、及び車両
KR20190007078A (ko)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0154809A (ja) 運行制御装置及び車両
EP3674178B1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80089919A (ko) 노선 차량의 안내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11823230B2 (en) Control apparatus,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WO202119251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30364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94717B2 (ja) バス用車載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CN112885087A (zh) 确定路况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和程序产品
JP4658357B2 (ja) 渋滞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11273652A (zh) 自动驾驶装置
JP2020035295A (ja) サーバ装置、駐車場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2524949B1 (ko) 서비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9200529A (ja) 走行支援システム、および、走行支援方法
KR102524958B1 (ko) 서비스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0454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vehicl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