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817A -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817A
KR20180089817A KR1020170014622A KR20170014622A KR20180089817A KR 20180089817 A KR20180089817 A KR 20180089817A KR 1020170014622 A KR1020170014622 A KR 1020170014622A KR 20170014622 A KR20170014622 A KR 20170014622A KR 20180089817 A KR20180089817 A KR 20180089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let
image
camera
cover glass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국
이강용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817A/ko
Priority to PCT/KR2017/004996 priority patent/WO2017200242A2/ko
Priority to EP17799600.6A priority patent/EP3460460B1/en
Priority to US16/302,636 priority patent/US11300533B2/en
Priority to CN201780031267.9A priority patent/CN109154580B/zh
Publication of KR2018008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카메라 커버 유리(Camera cover glass)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측정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카메라 커버 유리에 발생한 액적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droplet of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발생하는 액적(droplet)을 감지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형 자동차 산업에서는 스마트 자동차(smart car)의 확산과 자동차 부품의 전장화에 따른 자동차의 눈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자동차의 핵심 부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에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는 여러 외부 환경 속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특성 때문에 카메라 렌즈 표면에 액적들이 발생한다. 이는 카메라의 성능을 떨어뜨려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 시스템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중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및 무인 항공기와 같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에는 반드시 렌즈 표면에 발생한 액적을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렌즈 표면에 발생한 액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용 소형 카메라에 와이퍼나 브러시와 같은 세정 장치들을 부착하여 발생된 액적들을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정 장치들은 작업 효율성이 낮고, 와이퍼나 유체 분사 장치와 같은 별도의 외부 구동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 다양한 용도의 차량용 소형 카메라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습윤(Electrowetting)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 표면에 발생한 액적들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전기습윤 기술은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모 전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계적 외부 구동 장치가 필요 없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소형 카메라의 시야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렌즈 표면에 발생하는 액적들을 즉시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세정 장치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키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세정 장치의 수명이 감소한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를 위한 세정 장치는 렌즈 표면에 발생한 액적들을 감지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하는 액적 감지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 또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카메라 커버 유리 표면에 발생하는 액적(droplet)을 감지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에 발생하는 액적(droplet)을 감지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카메라 커버 유리(Camera cover glass)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커버 유리에 발생한 상기 액적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확인하고,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액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카메라 커버 유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상기 커버 유리 층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및 상기 투명 전극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액적이 표면에 형성되는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을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투명 전극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상기 투명 전극 및 상기 소수성 절연 층은 각각 제1 저항(resistance) 성분 및 제1 캐패시터(capacitor) 성분을 가지고, 상기 액적은 제2 저항 성분과 제2 캐패시터 성분을 가진다.
상기 투명 전극의 임피던스는 상기 제2 저항 성분과 상기 제2 캐패시터 성분에 의하여 변화한다.
상기 액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적을 감지하면,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에 직류 전압인 그라운드와 하이 전압을 미리 정해진 주기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인가하거나,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경우,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가 발견된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를 계산한 후,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선명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상기 커버 유리 층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및 상기 투명 전극의 상면에 적층되며, 액적(droplet)이 표면에 형성되는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을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가 수행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은,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가 변화한 경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적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상기 커버 유리 층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및 상기 투명 전극의 상면에 적층되며, 액적(droplet)이 표면에 형성되는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을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가 수행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경우,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적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가 발견된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를 계산한 후,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선명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은,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 또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카메라 커버 유리 표면에 발생하는 액적(droplet)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액적 유무에 따른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 변화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카메라 커버 유리에 액적이 발생된 경우에 촬영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액적 유무에 따른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 변화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카메라 커버 유리에 액적이 발생된 경우에 촬영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카메라부(10), 임피던스 측정부(20), 제어부(30) 및 전압 인가부(4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는 카메라 모듈(11) 및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를 덮는 카메라 커버 유리(Camera cover glass)(15)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은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은, 구면이나 비구면으로 제작된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의 소자들로 구성되어 빛을 수렴 또는 발산시켜 광학적인 상을 생성하는 렌즈 모듈, 생성된 광학적인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이미지 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각종 회로를 포함하는 PC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커버 유리(15)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16),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17) 및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18)을 포함한다.
커버 유리 층(16)은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최하위층으로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를 직접적으로 덮는 역할과 동시에,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기판(Substrate) 역할을 한다.
투명 전극(17)은 커버 유리 층(16)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패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투명 전극(17)은 직선 형, 유선 형 또는 고리 형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투명 전극(17)이 형성하는 패턴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소수성 절연 층(18)은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최상위층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명 전극(17)의 상면에 적층되어 각 투명 전극(17) 사이를 채운다.
예를 들어, 소수성 절연 층(18)은 페럴린 C, 테프론 및 금속 산화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절연 층(18)은 표면에 액적(droplet)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소수성 절연 층(18)은 물과 같은 유체와 친화성이 낮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적이 소수성 절연 층(18)의 표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20)는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투명 전극(17)에는 전압 인가부(40)에 의하여 상시적으로 미세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투명 전극(17) 마다 직류 전압인 그라운드(ground) 전압과 하이(high) 전압이 미세하게 인가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임피던스 측정부(20)에 의하여 측정된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 또는 카메라 모듈(1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카메라 커버 유리(15)에 액적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40)는 임피던스 측정부(20)에 의하여 측정된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을 확인하고,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경우, 카메라 커버 유리(15)에 액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투명 전극(17) 및 소수성 절연 층(18)은 각각 저항(resistance) 성분 및 캐패시터(capacitor) 성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소수성 절연 층(18) 표면에 발생된 액적은 자체적으로 저항(resistance) 성분과 캐패시터(capacitor) 성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소수성 절연 층(18) 표면에 액적이 발생하면, 액적이 발생된 위치의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가 변화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카메라 모듈(1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경우, 카메라 커버 유리(15)에 액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커버 유리(15)에 액적이 다수 발생하면, 촬영된 이미지는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것을 판단하기 위하여,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거나, 이미지의 선명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가 다수 발견되거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선명도 미만인 경우,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카메라 커버 유리(15)에 액적이 발생한 경우, 전압 인가부(40)가 투명 전극(17)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전압 인가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커버 유리(15)에 발생한 액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명 전극(17)에 전압을 인가한다.
즉, 전압 인가부(40)는 각 투명 전극(17)에 직류 전압인 그라운드와 하이 전압을 미리 정해진 주기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적은 소수성 절연 층(18)의 표면에서,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된 전극에서 하이 전압이 인가된 전극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에는 소수성 절연 층(18)의 가장 바깥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카메라 커버 유리(15)가 클리닝될 수 있다.
또는, 전압 인가부(40)는 투명 전극(17)에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압이 투명 전극(17)에 인가되면, 소수성 절연 층(18)의 표면에 형성된 액적은 투명 전극(17)에 인가된 교류 전압으로 인하여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액적은 진동과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경사로 인하여 경사를 따라 소수성 절연 층(18)의 가장 바깥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카메라 커버 유리(15)가 클리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41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카메라 커버 유리(15)의 각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S42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측정된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3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투명 전극(17)의 임피던스가 변화한 경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S44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액적이 감지됨에 따라 투명 전극(17)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적을 제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카메라 모듈(11)을 통해 이미지를 촬영한다.
S52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한다.
S53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경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거나, 이미지의 선명도를 계산한 후,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가 다수 발견되거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선명도 미만인 경우,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는 액적이 감지됨에 따라 투명 전극(17)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적을 제거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카메라부
11: 카메라 모듈
15: 카메라 커버 유리(Camera cover glass)
16: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17: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18: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
20: 임피던스 측정부
30: 제어부
40: 전압 인가부

Claims (14)

  1. 카메라에 발생하는 액적(droplet)을 감지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카메라 커버 유리(Camera cover glass)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커버 유리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커버 유리에 발생한 상기 액적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확인하고,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액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커버 유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상기 커버 유리 층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및
    상기 투명 전극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액적이 표면에 형성되는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을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투명 전극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 및 상기 소수성 절연 층은 각각 제1 저항(resistance) 성분 및 제1 캐패시터(capacitor) 성분을 가지고, 상기 액적은 제2 저항 성분과 제2 캐패시터 성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의 임피던스는 상기 제2 저항 성분과 상기 제2 캐패시터 성분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적을 감지하면,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에 직류 전압인 그라운드와 하이 전압을 미리 정해진 주기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인가하거나,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경우,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가 발견된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를 계산한 후,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선명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11.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상기 커버 유리 층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및 상기 투명 전극의 상면에 적층되며, 액적(droplet)이 표면에 형성되는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을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가 수행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가 변화한 경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적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
  12.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덮는 커버 유리 층(Cover glass layer), 상기 커버 유리 층의 상면에 연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및 상기 투명 전극의 상면에 적층되며, 액적(droplet)이 표면에 형성되는 소수성 절연 층(Hydrophobic and dielectric layer)을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가 수행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이미지가 일정한 원형의 형태로 왜곡된 경우,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적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액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 후, 상기 이미지에서 원형의 액적 형태가 발견된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를 계산한 후, 상기 이미지의 선명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선명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이미지가 왜곡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액적 감지 방법.



KR1020170014622A 2016-05-18 2017-02-01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89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22A KR20180089817A (ko) 2017-02-01 2017-02-01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PCT/KR2017/004996 WO2017200242A2 (ko) 2016-05-18 2017-05-15 클리닝 기기 및 방법
EP17799600.6A EP3460460B1 (en) 2016-05-18 2017-05-15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16/302,636 US11300533B2 (en) 2016-05-18 2017-05-15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201780031267.9A CN109154580B (zh) 2016-05-18 2017-05-15 清洁器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22A KR20180089817A (ko) 2017-02-01 2017-02-01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60A Division KR20190098939A (ko) 2019-08-12 2019-08-12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817A true KR20180089817A (ko) 2018-08-09

Family

ID=6325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22A KR20180089817A (ko) 2016-05-18 2017-02-01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8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897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에스앤에이 액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897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에스앤에이 액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4580B (zh) 清洁器及方法
US108239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camera lens part
US11693235B2 (en) Lens cleaning via electrowetting
US10241348B2 (en)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70249B1 (ko) 전기습윤을 이용하여 액적을 제거하는 클리닝 기기 및 이에 포함된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소수성막
KR20180089817A (ko)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158114B1 (ko)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관련 전자 기기
KR20180045079A (ko) 전기습윤을 이용하는 클리닝 기기 및 이에 있어서 액적 제거 방법
KR20190098939A (ko) 카메라 액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167285B1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클리닝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8160635A (ja) カメラ状態検出方法
KR20230118792A (ko) 발열을 이용하여 액적을 제거하는 자가 세정 장치 및방법
CN104914551A (zh) 测量设备及其测量方法
KR102367530B1 (ko) 다중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클리닝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2446842A (zh) 基于稀疏和稠密深度图图像重建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101612817B1 (ko) 차량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34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sensors of autonomous vehicles
KR101816480B1 (ko) 클리닝 장치 및 방법
KR20210010005A (ko) 다중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클리닝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6210529B (zh) 移动终端的拍摄方法以及装置
CN111845634B (zh) 具有多层结构的清洁器及其工作方法
KR102633239B1 (ko) 전기습윤을 이용하는 클리닝 기기 및 이에 있어서 액적 제거 방법
CN105157599B (zh) 一种激光轮廓扫描投影系统
KR102184915B1 (ko) 스티커형 클리닝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TW202024766A (zh) 影像擷取裝置及其自動清潔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