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79A -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79A
KR20180088079A KR1020170012690A KR20170012690A KR20180088079A KR 20180088079 A KR20180088079 A KR 20180088079A KR 1020170012690 A KR1020170012690 A KR 1020170012690A KR 20170012690 A KR20170012690 A KR 20170012690A KR 20180088079 A KR20180088079 A KR 20180088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ens
lens
holder
liqui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8079A/ko
Priority to PCT/KR2017/009668 priority patent/WO2018044131A1/ko
Priority to EP17847056.3A priority patent/EP3508911A4/en
Priority to JP2019512792A priority patent/JP7059259B2/ja
Priority to US16/330,632 priority patent/US11428850B2/en
Priority to CN201780068223.3A priority patent/CN109923472B/zh
Publication of KR2018008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 액체 렌즈를 둘러싸는 스페이서, 및 액체 렌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모듈, 액체렌즈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및 액체 렌즈모듈 및 제1 렌즈부를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홀더의 상부에는 액체 렌즈와 기판이 연결되는 접합 영역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오프닝(opening)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LIQUID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의 구조 및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의 사용자는 고해상도를 가지며 크기가 작고 다양한 촬영 기능(예, 오토포커싱(Auto-Focusing, AF) 기능, 손떨림 보정 내지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 등)을 가지는 광학 기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촬영 기능은 여러 개의 렌즈를 조합해서 직접 렌즈를 움직이는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렌즈의 수를 증가시킬 경우 광학 기기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 기능은, 렌즈 홀더에 고정되어 광축이 정렬된 여러 개의 렌즈 모듈이, 광축 또는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팅(Tilting)하여 수행되고,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렌즈 구동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렌즈 구동 장치는 전력 소모가 높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커버 글라스를 추가하여야 하는바 전체 두께가 두꺼워 진다.
따라서 두 가지 액체의 계면의 곡률을 전기적으로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 렌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에 따라 두 액체 사이에 위치하는 계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액체 렌즈를 복수의 고체 렌즈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액체 렌즈와 고체 렌즈를 광축(예, 렌즈의 중심축)에 정렬시키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홀더가 액체 렌즈를 삽입하는 측면에 개구영역 뿐만 아니라, 액체 렌즈를 정렬시키기 위한 기준을 노출시킬 수 있는 상면에 오프닝을 포함하여 렌즈의 조립 공정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 상기 액체 렌즈를 둘러싸는 스페이서, 및 상기 액체 렌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모듈; 상기 액체렌즈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및 상기 액체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에는 상기 액체 렌즈와 상기 기판이 연결되는 접합 영역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오프닝(opening)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측면에는 상기 액체 렌즈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액체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제1렌즈부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센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렌즈는 평면상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다각형의 형상에서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렌즈의 모서리는 상기 액체 렌즈의 중심부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렌즈의 모서리와 상기 기판의 두께의 합은 상기 중심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닝의 수는 상기 액체 렌즈와 상기 기판이 연결되는 접합 영역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오프닝은 상기 액체 렌즈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닝은 평면상 원형, 반구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액체 렌즈모듈을 통과하는 광이 전달되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 상기 액체 렌즈를 둘러싸는 스페이서, 및 상기 액체 렌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모듈; 상기 액체렌즈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및 상기 액체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에는 상기 액체 렌즈와 상기 기판의 모서리 영역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오프닝(opening)이 배치되며, 상기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 및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전극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액체 렌즈를 고체 렌즈에 정렬하기 용이하도록 수용할 수 있는 렌즈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2는 액체 렌즈모듈을 설명한다.
도3은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수용하는 홀더의 제1예를 설명한다.
도4는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수용하는 홀더의 제2예를 설명한다.
도5는 홀더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6은 홀더와 액체 렌즈모듈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7은 홀더에 배치되는 오프닝의 예를 설명한다.
도8은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요소(element)가 상기 두 요소(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상에 후술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액체 렌즈와 액체 렌즈모듈은 일 실시예일 뿐 액체 렌즈모듈 자체의 상하가 뒤집혀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액체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으로 전후좌우 또는 상하가 뒤집힌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위치는 다른 구성요소의 상하 배치는 유지된 채로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상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된 캐비티의 경사면도 다른 구성요소의 상하 배치는 유지된 채로 독립적으로 캐비티의 상하가 뒤집힐 수 있으며, 본 명세서상 액체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 변경으로 변경가능한 모든 조합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어셈블리는 액체 렌즈모듈(14)과 고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모듈(14)은 액체 렌즈모듈(14)과 고체렌즈를 수용하는 홀더(1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액체 렌즈모듈(14), 액체렌즈 모듈(14)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12), 액체렌즈(14)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16), 및 액체 렌즈모듈(14), 제1렌즈부(12), 및 제2렌즈부(14)를 수용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홀더(18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렌즈부(12) 및 제2렌즈부(16)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렌즈부(16)는 액체 렌즈모듈(14)를 기준으로 제1렌즈부(12)와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렌즈부(12) 또는 제2렌즈부(16)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액체 렌즈모듈(14)은 복수의 렌즈인 제1렌즈부(12)의 하부 또는 제2렌즈부(16)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렌즈의 상부 또는 하부(즉, 제일 위 또는 제일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렌즈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홀더(18A)에 제1렌즈부(12) 및 제2렌즈부(16)에 포함되는 복수의 렌즈를 결합한 후 액체 렌즈모듈(14)을 마지막에 결합할 수 있다.
도2는 액체 렌즈모듈(14)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렌즈모듈(14)은 액체렌즈(28)와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모듈(14)은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28), 액체 렌즈를 둘러싸는 스페이서(36), 및 액체 렌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42, 44)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28)의 모서리는 액체 렌즈의 중심부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액체 렌즈(28)는 서로 다른 두 액체, 예를 들면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하고,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의 곡률 또는 형상은 액체 렌즈(28)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액체 렌즈(28)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은 제1기판(42) 및/또는 제2기판(44)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제1기판(42)은 구별되는 복수개의(예를들면 4개 또는 8개) 구동 전압을 전달할 수 있고, 제2기판(44)은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제2기판(44)은 하나의 기준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제1기판(42)과 제2기판(44)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은 액체 렌즈(28)의 각 모서리에 노출되는 복수의 전극에 인가될 수 있다.
도3은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수용하는 홀더의 제1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8A)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에 액체 렌즈모듈(14)이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어, 액체 렌즈모듈의 중심축과 홀더(18A)에 수용된 복수의 렌즈의 중심축이 서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도3의 점선으로 표기한 영역을 참조하면, 액체 렌즈모듈(14)을 홀더(18A)에 결합한 후, 상부에서 바라보면 액체 렌즈모듈(14)에 포함되는 제1기판(42) 과 스페이서(36)가 홀더(18A)의 양측면에 돌출될 수 있다.
액체 렌즈모듈(14)을 홀더(18A)에 삽입할 때, 액체 렌즈모듈(14)과 홀더(18A)에 포함되는 제1렌즈부(12) 및 제2렌즈부(16) 중 적어도 하나와 중심축이 정렬되도록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복수의 렌즈의 광축을 정렬시키는 과정은 렌즈 어셈블리의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홀더(18A)의 양측으로 노출된 제1기판(42)과 스페이서(36)를 기준으로 액체 렌즈모듈(14)을 홀더(18A)에 수용된 다른 렌즈들과 정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액체 렌즈모듈(14)의 렌즈 영역 또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28, 도2참조)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구적인 방법으로 정렬하는 것이 어렵다.
도4는 액체 렌즈 및 고체 렌즈를 수용하는 홀더의 제2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렌즈를 수용하는 홀더(18B)의 상부에는 복수(예를들면 4개)의 오프닝(52)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닝(52)을 통해 액체 렌즈모듈(14, 도2참조)의 액체 렌즈(28), 스페이서(36), 및 제1기판(42)이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오프닝(52)을 통해 액체 렌즈(28)의 일부 또는 제1기판(42)의 일부가 노출되고, 액체 렌즈모듈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액체 렌즈모듈(14)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액체 렌즈(28)는 평면상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액체 렌즈(28)와 제1기판(42)의 접합 영역은 다각형의 형상에서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오프닝(52)의 수는 액체 렌즈(28)의 모서리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렌즈(28)와 제1기판(42)이 연결되는 접합 영역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예를들어 4개)의 오프닝(52)을 통해 액체 렌즈(28)의 네 모서리 영역이 노출되어 액체 렌즈(28)의 위치 및/또는 자세(기울어짐, 틀어짐 등)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홀더(18B) 내에서 액체 렌즈모듈(14)의 배치를 교정할 수 있다. 오프닝(52)을 통해 노출되는 액체 렌즈모듈(14)의 액체 렌즈(28)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어, 액체 렌즈모듈(14)와 홀더(18B)에 포함된 다른 렌즈의 광축을 기구적 정렬과정을 통해 맞출 수 있다.
도5는 홀더(18B)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8B)는 복수의 오프닝(52)과 액체 렌즈가 아닌 고체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고체 렌즈 수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닝(52)은 고체 렌즈 수용부(54)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6은 홀더(18B)와 액체 렌즈모듈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8B)에 액체 렌즈모듈이 삽입될 수 있다. 홀더(18B)에 포함된 오프닝(52)을 통해 액체 렌즈모듈의 액체 렌즈(28) 및 제1기판(42)이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액체 렌즈(28)와 제1기판(42)의 상면 또는 접합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프닝(52)을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액체 렌즈(28)의 모서리와 제1기판(42)의 두께의 합은 액체 렌즈(28)의 중심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오프닝(52)을 통해 액체 렌즈(28)의 일부와, 제1기판(42)이 노출되면서 액체 렌즈(28)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도7은 홀더에 배치되는 오프닝의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a) 내지 (d)는 홀더(18C, 18D, 18E, 18F)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홀더(18C, 18D, 18E, 18F)의 상부에는 액체 렌즈(28)와 기판이 연결되는 접합 영역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오프닝(opening)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오프닝은 액체 렌즈모듈의 렌즈 영역(54)에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7의 (a)를 참조하면, 오프닝(52A)은 홀더(18C)의 상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원형의 형태일 수 있다.
도7의 (b)를 참조하면, 오프닝(52B)은 홀더(18D)의 상부에 위, 아래로 배치되는 막대의 형태, 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도7의 (c)를 참조하면, 오프닝(52C)은 홀더(18E)의 상부에 좌, 우로 배치되는 막대의 형태, 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도7의 (d)를 참조하면, 오프닝(52D)은 홀더(18F)의 상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트여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홀더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오프닝은 원형, 반구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프닝은 홀더 상면에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된 홀의 형태일 수 있고, 홀더 상면에 홀더 측면으로부터 도피되어 형성된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도8은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홀더(18), 홀더(18)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 렌즈모듈(14), 액체 렌즈모듈(14)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12), 액체 렌즈모듈(14)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16), 및 제2렌즈부(16)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센서 기판(64)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모듈(14)는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28), 액체 렌즈(28)를 둘러싸는 스페이서(26), 액체 렌즈(28)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2)은 센서 기판(64)과 액체 렌즈(28)를 연결할 수 있다. 기판(42)은 구별되는 복수의 구동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 전압은 복수의 단자(48)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홀더(18)는 복수의 오프닝(52)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모듈(14)을 홀더(18)에 삽입한 후 복수의 오프닝(52)을 통해 노출되는 액체 렌즈(28)를 이용하여 액체 렌즈모듈(14)의 위치,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 렌즈모듈(14)을 제1렌즈부(12) 및 제2렌즈부(16)와 기구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전술한 액체 렌즈는 카메라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홀더에 실장되는 액체 렌즈 및 액체 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렌즈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및 액체 렌즈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정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광학 기기(Optical Device, Optical Instrument)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기기는 광신호를 가공하거나 분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기기의 예로는 카메라/비디오 장치, 망원경 장치, 현미경 장치, 간섭계 장치, 광도계 장치, 편광계 장치, 분광계 장치, 반사계 장치, 오토콜리메이터 장치, 렌즈미터 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액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는 광학 기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기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기기는 카메라 모듈,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모듈과 디스플레이부를 실장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 하우징에 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실장될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 상기 액체 렌즈를 둘러싸는 스페이서, 및 상기 액체 렌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모듈;
    상기 액체렌즈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및
    상기 액체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에는 상기 액체 렌즈와 상기 기판의 모서리 영역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오프닝(opening)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측면에는 상기 액체 렌즈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영역이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제1렌즈부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2렌즈부를 수용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기판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렌즈는 평면상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다각형의 형상에서 모서리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렌즈의 모서리는 상기 액체 렌즈의 중심부보다 두께가 얇은,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의 수는 상기 액체 렌즈와 상기 기판이 연결되는 접합 영역의 수와 동일한,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오프닝은 상기 액체 렌즈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은 평면상 원형, 반구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렌즈부 및 상기 액체 렌즈모듈을 통과하는 광이 전달되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카메라 모듈.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두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 상기 액체 렌즈를 둘러싸는 스페이서, 및 상기 액체 렌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액체 렌즈모듈;
    상기 액체렌즈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및
    상기 액체 렌즈모듈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수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부에는 상기 액체 렌즈와 상기 기판의 모서리 영역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2개의 오프닝(opening)이 배치되며,
    상기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 및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전극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170012690A 2016-09-05 2017-01-26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88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90A KR20180088079A (ko) 2017-01-26 2017-01-26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CT/KR2017/009668 WO2018044131A1 (ko) 2016-09-05 2017-09-05 카메라 모듈
EP17847056.3A EP3508911A4 (en) 2016-09-05 2017-09-05 CAMERA MODULE
JP2019512792A JP7059259B2 (ja) 2016-09-05 2017-09-05 カメラモジュール
US16/330,632 US11428850B2 (en) 2016-09-05 2017-09-05 Camera module
CN201780068223.3A CN109923472B (zh) 2016-09-05 2017-09-05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90A KR20180088079A (ko) 2017-01-26 2017-01-26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79A true KR20180088079A (ko) 2018-08-03

Family

ID=6325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90A KR20180088079A (ko) 2016-09-05 2017-01-26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8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0321B2 (en)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KR101908658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0740234A (zh) 镜头组、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11953703B2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598930B2 (en) Liquid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89600A (ko) 카메라 모듈
KR20190132126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88204A (ko) 액체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06770A (ko) 렌즈 구동장치
KR1023311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액체 렌즈
JP7257324B2 (ja) 液体レンズ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20180087079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20286591A1 (en) Sens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JP2020506427A (ja) 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光学機器、及び液体レン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20507811A (ja) 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102344463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088079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126581A (ko)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KR20220059450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20094823A1 (en) Sens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N113424514B (zh) 包括液体透镜的相机模块及其控制方法
KR102357913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081905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00114264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37148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