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700A -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 Google Patents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700A
KR20180087700A KR1020170012054A KR20170012054A KR20180087700A KR 20180087700 A KR20180087700 A KR 20180087700A KR 1020170012054 A KR1020170012054 A KR 1020170012054A KR 20170012054 A KR20170012054 A KR 20170012054A KR 20180087700 A KR20180087700 A KR 2018008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in body
attached
learner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형
Original Assignee
장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형 filed Critical 장준형
Priority to KR102017001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700A/ko
Publication of KR2018008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Abstract

학습용 교구는 사물카드, 본체, 자석판으로 구성된다. 사물카드는, 토착종과 외래종으로 구분하는 학습을 할 대상이 되는 식물이 표시되어 있고 이 두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N극이 외측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S극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된 제1자석이 구비된다. 본체에는 제1자석이 부착된 부위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구비된다. 자석판은 본체에 대해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판면이 본체의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사물카드들의 제1자석들에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학습자가 토착종 식물이라고 알고 있는 사물카드를 삽입공에 삽입하고 나서 자석판을 본체에 삽입하면, 토착종 식물의 사물카드는 자석판에 붙게 되고 외래종 식물의 사물카드는 자석판에 의해 본체 밖으로 배출된다. 학습자가 어떤 사물을 분류하는 학습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행동에 의한 참여 방식의 학습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사물카드의 표지에 대한 구성만을 달리함으로써 식물의 분류만이 아니라 곤충이나 동물의 분류,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무해한 물질의 분류 등과 같은 다양한 사물의 분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Education Tool for discriminating Thing}
본 발명은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가 분류 대상 사물에 대해 어느 종류의 분류에 속하는지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나 청소년의 교과 학습 과정에서 어떤 사물을 분류하는 학습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컨대 식물이나 곤충 등에 대해 토착종과 외래종을 구분하는 학습을 함으로써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경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학습자인 학생들이 단순히 교재를 보면서 암기하는 방식을 통해서는, 암기의 부담과 지루함에 기인하여 분류 학습의 효과가 현저하게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루함이 없고 보다 현실적인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 현장에서는 교과서에만 의존하지 않고 실물이나 모사 조형물 등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어떤 사물이 어떤 분류에 속하는지를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지루함을 다소 줄일 수는 있으나, 적극적인 참여와 즐거움을 가져다주지 못하므로 그 효과는 미미하다. 나아가, 자신이 학습한 내용에 대해 테스트를 하는 과정을 제시하지 못하므로, 학습 결과에 대한 확인을 통한 보다 효과적인 학습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어떤 사물을 분류하는 학습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행동에 의한 참여 방식의 학습이 가능하고 또한 학습 결과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이 병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고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구는, 학습자가 두 종류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학습을 할 대상이 되는 사물이 표시된 표지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두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N극이 외측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S극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된 제1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사물카드; 상기 사물카드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위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판면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상기 사물카드들의 상기 제1자석들에 인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제1자석에 대해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제2자석을 구비한 자석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자석판을 상기 본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학습자의 손이 부분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물카드는, 상기 표지가 부착된 부위가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상기 제1자석 삽입 시 상기 삽입공에 상기 표지가 부착된 부위가 걸리어 지지된다.
상기 사물은 식물일 수 있으며, 상기 두 종류는 외래종과 토착종을 포함한다.
상기 표지는, 상기 사물의 사진 또는 그림 및 상기 사물의 명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자석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판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학습용 교구를 사용하면, 학습자가 어떤 사물을 분류하는 학습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행동에 의한 참여 방식의 학습이 가능하고 또한 학습 결과에 대해 기구적인 동작의 결과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이 병행된다. 따라서, 학습 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교구는 필요에 따라 사물카드의 표지에 대한 구성만을 달리함으로써 식물의 분류만이 아니라 곤충이나 동물의 분류,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무해한 물질의 분류 등과 같은 다양한 사물의 분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구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본체와 함께 사용되는 자석판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상면도.
도 4 는 도 1 의 본체에 도 2 의 자석판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4 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4 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7 은 도 1 의 본체에 삽입되는 사물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7 의 사물카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8 의 사물카드의 확대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구는 사물카드(30), 본체(10), 및 자석판(20)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구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구성되며, 그 모서리는 사용상의 안전을 위해 만곡된 면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사물카드(30)와 자석판(20)이 삽입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다.
본체(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14)은 후술되는 사물카드(30)의 하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자석판(20)이 인입되는 인입구(16)가 마련되어 있다. 인입구(16)를 통해 자석판(20)은 수평 방향으로 인입되어 삽입공(14)이 형성된 상면에 평행하게 상면의 밑에 놓여지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의 내부에는 자석판(20)을 인입구(16)에 삽입 시 자석판(2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나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구(16)의 하부에는 또 다른 인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인입구(18)는 학습자가 자석판(20)을 본체(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손이 부분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석판(20)을 본체(10)에 삽입 시 자석판을 쥔 손을 인입구(16)를 통해 본체(10) 내측까지 부분적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손쉽게 자석판(20)을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자석판(20)을 분리할 때에도 인입구(16)로 손의 일부를 넣고 자석판(20)을 파지하여 순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본체(10)와 함께 사용되는 자석판(2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도 2 의 상면도이다.
자석판(20)은 본체(10) 내부의 수평 단면 공간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판넬 형상으로 제작된다. 자석판(20)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는 학습자가 자석판(20)을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공(28)이 형성된다.
자선판(2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자석(24)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제2자석(24)은 후술되는 사물카드(30)의 제1자석(34)에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자석(24)의 부착 위치는 본체(10)의 삽입공(14)의 형성 위치에 대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공(14)들에 대응되어 제2자석(24)이 부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자석판(20) 자체가 하나의 판형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자석판(20)의 상면에만 판형 자석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2자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는 도 1 의 본체에 도 2 의 자석판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와 6 은 각각 도 4 의 전면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석판(20)이 본체(10)에 삽입되면, 자석판(20)의 각 제2자석(24)은 본체(10)의 삽입공(14)들의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7 은 도 1 의 본체에 삽입되는 사물카드(30)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물카드(30)는 학습자가 두 종류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학습을 할 대상이 되는 사물이 표시된 표지(32)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학습용 교구가 학습 대상으로 삼는 사물이 식물인 경우를 예시하며, 또한 식물을 외래종과 토착종의 두 종류로 분류하는 학습을 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표지(32)에는 토착종으로서 "개나리"가 표기된 것과 외래종으로서 "가시박"이 표기된 것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사물카드(30)가 필요한 갯수만큼 제작되어 도 8 과 같이 예컨대 24 개의 사물카드(30)가 학습을 위해 준비되며, 각각의 사물카드(30)에는 외래종과 토착종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의 명칭이 기재된다.
나아가 표지(32)는 도 9 와 같이 사물의 명칭과 함께 사진이나 그림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단순히 어떤 명칭의 식물이 외래종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학습을 하는 데에 나아가, 식물의 사진이나 그림만으로도 외래종 여부를 구분하는 학습을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식물의 사진과 그 명칭을 대응시켜 기억하는 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측면의 학습효과를 얻기 위해서, 명칭만 기재된 사물카드(30), 사진이나 그림만 포함된 사물카드(30), 및 사진이나 그림과 함께 명칭이 표기된 사물카드(30)를 각각 별개의 세트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카드(30)의 하부에는 제1자석(34)이 부착되어 있다. 제1자석(34)은 분류될 두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N극이 외측(사물카드(30)의 하부측)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S극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된다.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토착종에 대해서는 N극이 하부에 배치되고 외래종에 대해서는 S극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자석판(20)에 부착된 복수의 제2자석(24)은 모두 같은 극성이 상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만약 자석판(20)의 제2자석(24)이 판형 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2자석(24)은 당연히 동일한 극이 상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7 에서 사물카드(30) 중 외래종을 표기한 사물카드(30)의 하부측 극성인 S극이므로 자석판(20)의 상면의 극성도 S극이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사물카드(30)는, 표지(32)가 부착된 부위가 제1자석(34)이 부착된 부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삽입공(14)에 제1자석(34) 삽입 시 삽입공(14)에 표지(32)가 부착된 부위가 걸리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9 의 실시예에서, 표지(32)가 부착된 부위는 원형으로, 그리고 제1자석(34)이 부착된 부위는 원형보다 작은 폭의 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구를 이용한 학습 과정을 기술한다.
학습 지도자는 학습자들에게 교구를 배포하며, 이때 본체(10)와 사물카드(30)만을 먼저 배포한다. 학습자들은 별도의 교재를 통하여 외래종과 토착종 식물에 대해 종류별로 학습을 미리 한 상태이며, 본 발명의 학습용 교구를 이용하여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한다.(본 학습용 교구를 이용하여 최초 학습을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학습 지도자는 학습자들에게, 자신이 받은 사물카드(30)들 중에서 토착종 식물만을 골라내어 본체(10)의 삽입공(14)에 끼워넣으라고 지시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자신이 받은 사물카드(30) 중에서 토착종이라고 판단하는 사물카드(30)의 제1자석(34) 부위를 본체(10)의 삽입공(14)에 끼워넣는다.
학습자의 작업이 완료되면, 학습 지도자는 학습자들에게 자석판(20)을 배포하여, 자석판(20)을 본체(10)에 인입시킬 것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 과 같은 상태가 되어, 자석판(20)은 본체(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판면이 삽입공(10)을 통해 삽입된 사물카드(30)들의 제1자석(34)들에 인접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제1자석(34)에 대해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게 된다. 즉, 외래종 사물카드(30)는 자석판(20)의 제2자석(24)과 사물카드(30)의 제1자석(34)과의 척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올라와 삽입공(14)으로부터 이탈되고, 반면에 토착종 사물카드(30)는 자석판(20)의 제2자석(24)과 사물카드(30)의 제1자석(34)과의 인력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삽입공(14)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학습자가 토착종으로 잘못 기억한 외래종의 사물카드(30)가 본체(10)에 삽입되는 경우, 자석판(20)을 본체(10)에 밀어넣는 순간 외래종의 사물카드(30)는 마치 기계가 토해내듯이 본체(10)로부터 배척된다. 이를 목격하는 학습자는 잘못된 기억을 바로잡을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외래종과 토착종을 명확하게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용 교구를 사용하면, 학습자가 어떤 사물을 분류하는 학습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행동에 의한 참여 방식의 학습이 가능하고 또한 학습 결과에 대해 기구적인 동작의 결과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이 병행된다. 따라서, 학습 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교구는, 필요에 따라 사물카드(30)의 표지(32)에 대한 구성만을 달리함으로써 식물의 분류만이 아니라 곤충이나 동물의 분류,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무해한 물질의 분류 등과 같은 다양한 사물의 분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학습자가 두 종류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학습을 할 대상이 되는 사물이 표시된 표지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두 종류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N극이 외측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S극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부착된 제1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사물카드;
    상기 사물카드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위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판면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상기 사물카드들의 상기 제1자석들에 인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제1자석에 대해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제2자석을 구비한 자석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자석판을 상기 본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학습자의 손이 부분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카드는, 상기 표지가 부착된 부위가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상기 제1자석 삽입 시 상기 삽입공에 상기 표지가 부착된 부위가 걸리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은 식물이며, 상기 두 종류는 외래종과 토착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상기 사물의 사진 또는 그림 및 상기 사물의 명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판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구.
KR1020170012054A 2017-01-25 2017-01-25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KR20180087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54A KR20180087700A (ko) 2017-01-25 2017-01-25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54A KR20180087700A (ko) 2017-01-25 2017-01-25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00A true KR20180087700A (ko) 2018-08-02

Family

ID=6325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054A KR20180087700A (ko) 2017-01-25 2017-01-25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7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er One man, one computer, 10 million students: How Khan Academy is reinventing education
US20060226603A1 (en) Barrier game display unit education system
Glomo-Narzoles Student team achievement division (STAD), its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FL learners
Sanderson ENGAGING HIGHLY TRANSIENT STUDENTS.
Arisetyawan et al. Integrating the concept of plane figure and baduy local wisdom as a media alternative of mathematics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Ahlquist et al. Variation theory and Montessori education
Morgado From passive to active learners: Implementing the pedagogy of “learning by doing” in a large-sized design foundation class
KR20180087700A (ko) 사물 분류 학습용 교구
Cain et al. Teaching number in the early elementary years
US11004358B2 (en) Visual and kinesthetic method and educational kit for solving algebraic linear equations involving an unknown variable
US20170270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science concepts
KR102244286B1 (ko) 한자보드게임
Ramirez et al. “La Lotería”-using a culturally relevant mathematics activity with pre-service teachers at a family math learning event
Gajda et al. Career academies and the arts: Implications for schooling
McKnight et al. Teaching early mathematics' smarter not harder': Using open-ended tasks to build models and construct patterns
RU133959U1 (ru) Учебное пособие
US9017077B2 (en) Block learning game
Nirode A proof progression for geometry
Stakhova MAIN WAYS OF FORMING THE READYNESS OF FUTURE TEACHERS FOR ENVIRONMENTAL ACTIVITY
US9947239B2 (en) Data diagnostic evaluation device
JP3139060U (ja) 算数学習用カードおよび算数学習用カード集合体
Schnittka et al. Science STUFF (Science, Society and Technology for Underrepresented Future Fabricators): Curriculum for future makers and designers
US20030148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learning in a group environment
Zhao et al. STAD modeling method for computer supported group learning
Becker Gamification: A different paradigm of pedag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