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062A -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 Google Patents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062A
KR20180087062A KR1020170011307A KR20170011307A KR20180087062A KR 20180087062 A KR20180087062 A KR 20180087062A KR 1020170011307 A KR1020170011307 A KR 1020170011307A KR 20170011307 A KR20170011307 A KR 20170011307A KR 20180087062 A KR20180087062 A KR 20180087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late
channel
branched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임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수 filed Critical 임종수
Priority to KR102017001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062A/ko
Publication of KR20180087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0/00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 F28F2260/02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having micro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를 분배 또는 통합하는 유체분배/통합부; 유체분배/통합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관로로 분기하며, 분기된 각각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단계 이상 재분기하는 유체관로가 형성된 유체관로 플레이트; 및 복수의 판의 내부에 유체관로 플레이트의 최종 단계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여 직선방향의 관로가 형성된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유체분배/통합부 및 유체관로 플레이트는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Hot Water System Using Secondary Cell}
본 발명은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저항을 크게 줄여 가스나 기름과 같은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온수 및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 장치는 열전도 효율이 좋은 열교환체를 통해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온도가 낮은 유체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에어컨, 보일러, 냉장고, 히터 등의 제품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 중, 보일러는 밀폐된 용기에 담긴 물을 용기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가열하여 온수 또는 고온, 고압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보일러에 의해 발생된 온수 또는 수증기는 고온의 상태이므로 이러한 고온의 특성을 이용하여 겨울철 난방용으로 사용하거나 발생된 수증기의 고압 특성을 이용하여 화력발전소의 증기터빈 등을 가동시킴으로써 전력을 생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다른 화석연료에 비해 환경오염이 적은 천연가스의 소비는 전 세계적으로 크게 늘고 있으며, 최근 셰일가스(shale gas)의 채굴로 향우 천연가스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는 더욱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난방이나 온수를 위한 가정용 및 산업용 가스 보일러와 같은 열교환 장치가 크게 보급되어 있으며, 폐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콘덴싱 기술의 개발로 그 효율 또한 20% 이상 크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겨울의 평균온도는 점차적으로 내려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강추위가 며칠 동안 지속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기름, 가스 등의 에너지자원의 소비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스나 기름, 전기 등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온수 및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교환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열저항을 크게 줄여 가스나 기름, 전기와 같은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온수 및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를 분배 또는 통합하는 유체분배/통합부; 유체분배/통합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관로로 분기하며, 분기된 각각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단계 이상 재분기하는 유체관로가 형성된 유체관로 플레이트; 및 복수의 판의 내부에 유체관로 플레이트의 최종 단계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여 직선방향의 관로가 형성된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유체분배/통합부 및 유체관로 플레이트는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열교환 장치는, 복수의 판의 내부에 유체관로 플레이트의 최종 단계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는 관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단계 이상 복수의 관로로 분기하는 중간 유체관로가 형성된 중간관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관로 플레이트는 복수의 판의 내부에 중간관로 플레이트의 최종 단계로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는 관로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간관로 플레이트는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유체관로 플레이트, 미세관로 플레이트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는 설정된 깊이와 폭으로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이 반복되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미세관로 플레이트 또는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단의 중간관로 플레이트에 복수의 발화점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체관로 플레이트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는 1:2 또는 1:3으로 각각의 관로가 분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관로 플레이트는 다이케스팅(die casting) 또는 절삭가공을 이용하여 원형의 관로가 형성되며, 중간관로 플레이트 및 미세관로 플레이트는 에칭(etching)을 이용하여 관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관로 플레이트, 중간관로 플레이트 및 미세관로 플레이트는 관로가 설치된 두 개의 판을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관로 플레이트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는 각각 관로의 분기되는 단계에 대응하여 복수의 층이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관로 플레이트, 미세관로 플레이트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는 각각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며, 미세관로 플레이트 또는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방의 중간관로 플레이트의 위치에 적어도 한 가닥의 열선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관로 플레이트 및 미세관로 플레이트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기, 보일러와 같은 열교환 장치의 열저항을 크게 줄여 가스나 기름, 전기와 같은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온수 및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흐르는 관로를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여러 단계로 분기함으로써 열교환기로 유입하여 유출되기까지의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의 분기구조와 미세관의 형성을 판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보일러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 장치를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하고 각각의 관로의 단위면적당 유량에 기초하여 관로가 분기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손실을 줄이며, 기포의 생성을 막고, 유체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석연료를 연료로 사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열선을 통해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빠른 시간 내에 유체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외관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외관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외관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외관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유체분배/통합부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유체관로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중간관로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중간관로 플레이트의 발화점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유체관로 플레이트, 미세관로 플레이트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가 결합된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관로의 형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외관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외관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외관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외관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관 케이스(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외관 케이스(1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에는 가스, 기름, 물 등의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배관이 관통되는 배관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유체분배/통합부(110), 유체관로 플레이트(120), 미세관로 플레이트(130)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분배/통합부(110)는 열교환 장치의 유체 유입구 측 및 유체 유출구 측에 각각 설치되며,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를 분배 또는 통합한다. 이때, 유체분배부(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로 유입되는 유체를 1차 분배기(112)에서 다수의 관로(114)로 분배하며, 각각의 관로(114)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복수의 플레이트 분배기(116)로 분배한다.
유체통합부(110)는 유체분배부(1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유체분배부(110)와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유체분배부(110)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이때, 유체통합부(110)는 열교환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복수의 플레이트 통합기(116)를 이용하여 통합하며, 각각의 플레이트 통합기(116)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다수의 관로(114)로 재통합하고, 최종 통합기(112)에서 각각의 관로(114)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를 통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유체통합부(110)에 대한 설명은 유체분배부(110)의 설명을 참조한다.
유체관로 플레이트(120)는 유체분배/통합부(110)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의 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관로로 분기하며, 분기된 각각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단계 이상 재분기하는 유체관로가 형성된다. 이때, 유체관로 플레이트(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깊이와 폭으로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이 반복되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체관로 플레이트(120)는 한쪽의 판에 다이캐스팅(die casting) 또는 절삭가공을 이용하여 반원형의 관로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판에 대향하는 반원형의 관로 홈을 형성한 후, 두 개의 판을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유체관로 플레이트(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가 분기하는 단계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최상단 층의 유체관로 플레이트(122)는 유체분배부(11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공(125)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두 번째 층의 유체관로 플레이트(124)의 상단에는 각각의 유체유입공(125)을 통해 흘러내린 유체가 흐르는 상단관로(126)와 각각의 유체유입공(125)이 분기하는 형태의 분기유입공(126)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층구조는 관로의 분기하는 단계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관로는 1:2 또는 1:3의 형태로 분기할 수 있으며, 분기하는 각각의 관로의 지름은 분기 전의 관로의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A 관로가 세 개의 B 관로로 분기되었다고 가정하면, 단위면적당의 유량은 수학식 1과 같이 성립할 수 있다.
[수학식 1]
(π/4)x(A 관로의 직경)2 x A 관로의 유체속도
= 3 x (π/4)x(B 관로의 직경)2 x B 관로의 유체속도
여기서, 분기 전의 관로의 유량과 분기 후의 관로의 합친 유량이 다른 경우 유체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관로 사이의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학식 1과 같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분기되는 각각의 관로의 지름을 결정할 수 있다.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판의 내부에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의 최종 단계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여 직선방향의 관로가 형성된다. 즉,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판의 내부에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의 최종단계에 의해 분기된 관로에 대응하는 관로(132)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는 에칭(etching)을 이용하여 두 개의 판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반원형의 관로를 형성하고,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접합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분배/통합부(110) 및 유체관로 플레이트(120)는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칭 기술은 물질 표면의 선택된 부분에 희망하는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산이나 기타 부식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부식시켜 제거하는 기술로서,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공정 등에서 사용된다. 에칭에는 웨트 에칭, 드라이 에칭(플라스마 에칭), 이온밀링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웨트 에칭은 에칭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선택성도 좋지만 표면을 더럽히고 또 레지스트를 언더컷 하기 쉽다. 플라스마 에칭에는 중성 플라스마를 사용하는 것과 하전 플라스마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언더컷은 현저하게 감소되지만(특히, 하전 플라스마의 경우) 선택성은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이온 밀링은 이온 빔으로 레지스트를 제거하는 것으로, 선택성, 정밀도는 좋지만 작업이 느리고 또 양 레지스트의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음 레지스트에서는 두께가 변동하기 때문에 언더컷하기 쉽다).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은 금속 박판을 접합하기 위해 브레이징(Brazing)을 사용하는 기술로서 경납땜(hard soldering)이라고도 하며, 놋쇠납, 은납 등을 접착제로 하여 접착부를 가열하고, 이것을 용해시켜서 접합시킨다. 이때, 접착제를 경납이라 하며, 분말 또는 판상인 것이 많다. 피접착제보다 저용융점의 것을 사용하고, 플럭스(용제)는 접착면의 청정을 위해서 사용하며 붕소계의 것이 많다. 전체를 가열 접착시키는 작업을 노내 납땜(furnace brazing)이라 한다.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는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와 미세관로 플레이트(13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미세관로 플레이트(130)의 관로는 모세압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1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의 최상단의 관로의 직경을 고려하여 여러 단계의 분기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세관 현상은 매우 좁은 구멍을 가진 관속으로 액체가 올라가는 현상으로서, 보렐리((Giovanni Borelli)는 액체가 관속으로 올라가는 높이는 관의 내부직경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통상적으로 관의 직경이 0.5mm 이면 올라가는 물의 높이는 약 50mm 정도이다.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는 유체관로 플레이트(120) 및 모세관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판으로 구현되며, 각각의 판의 내부에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의 최종 단계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는 관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단계 이상 복수의 관로로 분기하는 중간 유체관로가 형성된다. 이때,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는 1:2 또는 1:3으로 각각의 관로가 분기된 형태가 에칭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분기되는 단계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관로가 형성된 복수의 층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층의 형태는 유체관로 플레이트(120)의 층구조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는 미세관로 플레이트(130)와 마찬가지로,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박판을 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관로 플레이트(140) 및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판의 내부에 중간관로 플레이트(140)의 최종 단계로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는 관로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는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하단의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층구조(142, 144) 중 최하층(144)의 각각의 판의 사이에 복수의 발화점(14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발화점(146)은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판과 판 사이에 불규칙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발화점(146)이 중간관로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발화점(146)은 미세관로 플레이트(130)의 최하단의 판과 판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유체관로 플레이트, 미세관로 플레이트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가 결합된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유체관로 플레이트(120)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140)를 각각 복수의 판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판 내에 분기된 형태의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미세관로 플레이트(130) 내에 모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관로의 형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관로가 각각 1:2 -> 1:2 -> 1:3 -> 1:3 -> 1:3으로 분기하였다고 가정하면, 미세관로 플레이트(130)에는 432개의 관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는 1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모세관을 형성시키며, 유체속도의 흐름에 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보일러 장치의 경우, 외부에서 공급되어지는 열로 관 내부의 유체를 가열한다. 이때, 관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열이 관을 통해 내부의 물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관의 두께에 의한 열저항과 관의 열전도율에 의한 열저항, 관 내부의 공간 체적으로 인한 열저항 등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20mm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는 관을 1mm 이하로 구현함으로써, 열저항을 최소화하여 유체를 순간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즉, 20mm 직경의 관은 그 관벽의 두께가 약 2mm 정도이며 관 내부의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적은 0.000314m2 이다. 만일, 직경이 0.5mm 인 관이라고 가정하면 관벽의 두께는 0.15mm 이며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적은 0.000000196m2 이다. 단순히 산술적으로 계산해 보면 두께에 의한 열저항은 13배, 면적에 의한 열저항은 1600배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서 0.5mm의 관으로 구성된 다발형태의 연소기 내의 열교환기를 가열하게 되면 열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보일러 시스템이 수백도로 가열하여 100도 이내의 온수를 생산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100도 이내의 온도로 가열하여 90도 이상의 온수를 생산해 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측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열교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는 유체관로 플레이트(120), 미세관로 플레이트(130) 및 중간관로 플레이트(140)가 설정된 깊이와 폭으로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이 반복되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신에, 각각이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미세관로 플레이트(130) 또는 미세관로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하방의 중간관로 플레이트(140)의 위치에 적어도 한 가닥의 전기열선(148)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미세관로 플레이트(130)의 미세관로 또는 중간관로 플레이트(140)의 관로를 흐르는 유체와 전기열선(148) 사이에는 열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내용 없음

Claims (1)

  1.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를 분배 또는 통합하는 유체분배/통합부;
    상기 유체분배/통합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관로로 분기하며, 분기된 각각의 관로가 단위면적당의 유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단계 이상 재분기하는 유체관로가 형성된 유체관로 플레이트; 및
    복수의 판의 내부에 상기 유체관로 플레이트의 최종 단계에 의해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 대응하여 직선방향의 관로가 형성된 미세관로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분배/통합부 및 상기 유체관로 플레이트는 상기 미세관로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장치.
KR1020170011307A 2017-01-24 2017-01-24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KR20180087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307A KR20180087062A (ko) 2017-01-24 2017-01-24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307A KR20180087062A (ko) 2017-01-24 2017-01-24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62A true KR20180087062A (ko) 2018-08-01

Family

ID=6322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307A KR20180087062A (ko) 2017-01-24 2017-01-24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0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2684A (zh) * 2018-11-02 2021-06-04 住友理工株式会社 内部换热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2684A (zh) * 2018-11-02 2021-06-04 住友理工株式会社 内部换热器
CN112912684B (zh) * 2018-11-02 2023-12-12 住友理工株式会社 内部换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123B2 (en) Heat exchanger for steam generator and steam generator comprising same
JP5932757B2 (ja) 流体熱交換装置
Hassan et al. Modeling the uniformity of manifol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CN101375124B (zh) 用于热空气发生器和锅炉的热交换器
US9638471B2 (en) Balanced heat exchanger systems and methods
RU2535187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шахмат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каналов
JP2009257755A (ja) 流体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EP2962052B1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Zhou et al.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u-based microchannel heat exchanger fabricated by multi-blade milling process
US10107576B2 (en) Heat exchanger
Cuta et al. Fabrication and testing of microchannel heat exchangers
CN103759472A (zh) 具有节流功能的微型换热器
KR101646761B1 (ko) 열교환 장치
US9574803B2 (en) Absorber with plate exchanger with porous distribution element
KR20180087062A (ko) 2차 전지를 이용한 온수시스템
KR20180087055A (ko) 캠핑용 순간온수기
Bowman et al. A Review of Micro Heat Exchanger Flow Physics, Fabric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Rymal et al. Numerical design of a high-flux microchannel solar receiver
CN102313401A (zh) 微通道换热器
JP6162836B2 (ja) 熱交換器
KR100950198B1 (ko) 열전달용 박판구조 및 그 열전달장치
KR101969500B1 (ko) 불순물 제거를 위한 드레인 공간부를 갖는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KR20050118634A (ko) 나선형 순간 가열용 히팅 시스템
Brandner et al. Fabrication and testing of microstructure heat exchangers for thermal applications
KR20190083609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모듈형 열교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