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635A -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635A
KR20180086635A KR1020170010295A KR20170010295A KR20180086635A KR 20180086635 A KR20180086635 A KR 20180086635A KR 1020170010295 A KR1020170010295 A KR 1020170010295A KR 20170010295 A KR20170010295 A KR 20170010295A KR 20180086635 A KR20180086635 A KR 20180086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der
tubes
recovery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김수민
김명성
Original Assignee
김봉석
김명성
김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김명성, 김수민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17001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635A/ko
Publication of KR2018008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순환시키면서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기체상태의 냉매가스가 응축되게 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냉동장치 응축기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실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공급헤더와,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관에 의하여 냉매공급헤더로부터 냉매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분배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실의 내부 하측에는 응축된 액상냉매를 수액기로 유출시키기 위한 냉매회수헤더와,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부 연결관을 통해 응축된 액상냉매를 냉매회수헤더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회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과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 각각을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형성되어 있는 냉매코일 배열유닛일정간격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냉매분배관에 연결되고, 하단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냉매회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Refrigerant coil arrangement structure of refrigerating device condenser}
본 발명은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보내지는 냉매가스가 외부의 공기 또는 물 등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하여 응축되어 액상으로 변화하는 액상냉매는 중력에 의하여 밑으로 흘러내려 수액기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응축기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냉매순환관으로 공급되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상기 응축기의 냉매순환관으로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기체냉매가 응축기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냉매순환관을 원활하게 순환하면서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응축작용이 잘 되도록 하여 냉동장치의 냉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장치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에 공급하여 액화시킨 다음, 수액기에서 액화된 액상냉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로 공급하며, 상기 팽창밸브는 액상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안개상태로 증발기에 공급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에서는 안개상태의 냉매를 냉동 내지 냉장시키고자 하는 공기 또는 물로부터 열을 빼앗는 열교환작용으로 냉동 및 냉방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냉동장치는 냉매가 열교환매체로부터 열을 빼앗는 열교환작용에 의하여 냉동 및 냉방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냉매가 냉동사이클을 잘 흐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응축기에서 응축작용이 잘 이루어짐과 동시에 잘 흐르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의 냉동장치에서는 응축기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상방 등에 냉각팬을 설치하여 냉매를 강제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액화시키고 있으며, 또는 응축기의 냉매순환관을 지그재그상으로 배열하여 외부 냉각매체(공기, 물 등)와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제품들이 소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냉동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상태로 응축된 액상냉매를 급속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급속 팽창된 안개상태를 기화시켜 냉동 및 냉방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로 구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응축기(100)는 압축기를 비롯하여 수액기 등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110)과, 상기 기계실(110)에 설치된 압축기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공급헤더(130)와 냉매회수헤더(140)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냉매공급헤더(130)와 냉매회수헤더(140) 각각에는 복수의 냉매순환관(150)이 지그재그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150) 각각의 공급단부(151)는 냉매공급헤더(130)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150) 각각의 회수단부(152)는 냉매회수헤더(1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150)에는 방열핀(130)이 일정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00)의 좌,우측면 또는 전,후측면 각각에는 외부의 공기가 잘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170)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100)의 상방에는 송풍팬(1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응축기(100)는 송풍팬(180)이 작동하게 되면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공(17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서 복수의 냉매순환관(150)과 방열핀(16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150)을 순환하는 냉매가스가 공기유입공(170)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액화상태로 응축되는 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되어야만 상기 응축기(100)의 응축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응축기(100)에 배열 설치되는 냉매순환관(170)의 배열구조로는 응축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압축기에서 고온고안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응축기(100)의 냉매공급헤더(130)에 공급되게 되면 상기 냉매공급헤더(130)에 공급된 냉매가스는 공급단부(151)을 통해 냉매순환관(150)으로 공급되어 회수단부(152)가 연결되어 있는 냉매회수헤더(140) 측으로 빠르게 흘러가야 하지만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150)으로 냉매가스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150)이 냉매공급헤더(130)에 연결된 공급단부(151)에서부터 냉매회수헤더(140)에 연결된 회수단부(152)까지 지그재그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공급단부(151)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액화상태로 응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액화되지 아니한 습증기 상태의 냉매가 액화된 액상냉매의 흐름을 방해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등록특허 제10-0805424호(2008. 02. 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의 배열구조를 개선하여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공급헤더와, 응축되어 액화된 액상냉매를 수액기 측으로 보내는 냉매회수헤더를 상,하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냉매공급헤더와 냉매회수헤더는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냉매순환관으로 연결하는 배열구조로서, 상기 형성된 냉매공급헤더로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액화상태로 응축되는 즉시 중력에 의하여 냉매회수헤더 측으로 자연낙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냉매가스가 응축기에서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면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응축기의 응축효율과 함께 냉동장치의 냉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순환시키면서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기체상태의 냉매가스가 응축되게 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냉동장치 응축기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실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공급헤더와,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관에 의하여 냉매공급헤더로부터 냉매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분배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실의 내부 하측에는 응축된 액상냉매를 수액기로 유출시키기 위한 냉매회수헤더와,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부 연결관을 통해 응축된 액상냉매를 냉매회수헤더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회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과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 각각을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형성되어 있는 냉매코일 배열유닛일정간격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냉매분배관에 연결되고, 하단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냉매회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의 응축실에는 냉매공급헤더와 이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 및 냉매회수헤더와 이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과,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 및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 각각을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구성된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직렬로 복수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장치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냉매코일 배열유닛의 냉매공급헤더로 유입되어 복수의 냉매분배관을 통해 복수의 냉매순환관으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외부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하여 응축되는 즉시로 복수의 냉매회수관으로 빠르게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응축기로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외부의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냉매가스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냉동장치의 냉동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냉동장치의 냉동사이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동장치 응축기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동장치 응축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냉동장치 응축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방향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한 정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냉동장치 응축기 측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E-E선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도시는 냉동장치의 냉동사이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냉동사이클은 응축기(1)를 기준하여 볼 때 압축기(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는 출구라인(21)을 통해서 응축기(1)로 공급되며, 상기 응축기(1)에서 액화상태로 응축된 액상냉매는 출구라인(11)을 통해 수액기(3)로 보내지며, 상기 수액기(3)는 응축기(1)에서 공급된 액상냉매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4)로 보내주며, 상기 팽창밸브(4)에서는 액상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안개상태로 증발기(5)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증발기(5)에서는 안개상태의 냉매가 외부 열교환매체로부터 열을 빼앗는 열교환작용으로 기화되면서 압축기(2)로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압축기(1)에서는 증발기(5)로부터 공급된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다시 응축기(1)로 보내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응축기(1)의 내부 상측에는 압축기(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공급헤더(6)가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공급헤더(6)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 연결관(61) 각각에 수평방향을 향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분배관(62)이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응축기(1)의 내부 하측에는 수평상으로 냉매회수헤더(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회수헤더(7)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부 연결관(71) 각각에는 수평방향을 향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회수관(72)이 배열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으며, 또한 상기 응축기(1)의 내부 상,하측에 수평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분배관(62)과 복수의 냉매회수관(72)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냉매순환관(81)으로 구성되는 냉매코일 배열유닛(8)을 형성하되,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8)을 구성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81)들은 상기 복수의 냉매분배관(62)에 연결되는 상단 연결부(81a)에서부터 상기 복수의 냉매회수관(72)에 연결되는 하단 연결부(81b)까지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똑바르게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81) 각각을 흐르는 냉매가스가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액화상태로 응축되는 즉시 중력에 의해 복수의 냉매회수관(72)으로 자연낙하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또한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8)을 구성하는 복수의 냉매회수관(72)에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방열핀(82)이 조밀하게 배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응축기(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본체(1a)를 상,하부로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1a)의 하부에는 압축기(1), 수액기(3) 등의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기계실(9)을 형성하는 한편, 상부에는 상기 냉매공급헤더(6), 복수의 냉매분배관(62), 냉매회수헤더(7), 복수의 냉매회수관(72) 및 하나 이상의 냉매코일 배열유닛(8) 등의 각 구성요소가 배열 설치되는 응축실(1b)이 분리된 상태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응축기(1)는 응축기의 각 구성요소가 배열 설치되어 있는 응축실(1b)만 개별적으로 단독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는 응축실(1b)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실(1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외부 공기를 상기 응축실(1b)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냉각팬(9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본체(1a)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획하여 하부에는 응축실(1b)을, 상부에는 기계실(9)을 형성하되, 상기 응축실(1b)의 내부에는 응축기(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즉, 냉매공급헤더(6), 복수의 냉매분배관(62), 냉매회수헤더(7), 복수의 냉매회수관(72), 냉매코일 배열유닛(8) 등을 하나 이상으로 직렬로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축기(2)의 출구라인(21)으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복수의 냉매공급헤더(6) 각각은 상부 냉매공급연결관(63)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1)의 출구라인(11)을 통해 응축된 액상냉매를 수액기(3)로 보내기 위한 복수의 냉매회수헤더(7) 각각은 하부 냉매회수연결관(73)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는 응축실(1b) 내부에 냉매공그ㅈ헤더(6), 복수의 냉매분배관(62), 냉매회수헤더(7), 복수의 냉매회수관(72). 냉매코일 배열구조(8) 등을 하나 이상으로 직렬로 복수 장착하는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양측 냉매공급헤더(6)는 상부 냉매공급연결관(63)으로 연결하며, 양측 냉매회수헤더(7)는 하부 냉매회수연결관(73)으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2)의 출구라인(21)으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상기 출구라인(21)에 연결되어 있는 냉매공급헤더(6)와 상부 냉매공급연결관(63)에 의해 연결된 냉매공급헤더(6)에도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또한 외부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액화 응축된 액상냉매는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하부 냉매회수냉매회수헤더(73)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출구라인(11)을 통해 응축된 액상냉매를 수액기(3) 측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1)의 케이스본체(1a)의 전,후측면 또는 좌,우측면에는 공기를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통공(12)이 종,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동장치는 기존의 냉동사이클과 마찬가지로 압축기(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는 상기 압축기(2)에서 토출시키는 냉매가스의 토출력에 의해 응축기(1)로 보내지는 것이며, 상기 응축기(1)에서는 압축기(2)에서 공급되어진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공기, 물 등등)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응축시키고, 응축된 액상냉매를 수액기(3) 측으로 보내게 되며, 상기 수액기(3)는 응축기(1)에서 공급된 액상냉매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팽창밸브(4)로 토출시키며, 상기 팽창밸브(4)는 액상냉매를 급속 팽창시켜서 안개상태로 만들어서 증발기(5)로 보내게 되며, 상기 증발기(5)는 팽창밸브(4)에서 공급된 안개상태의 냉매를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냉동 및 냉방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증발기(5)에서 열교환 냉각매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하는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2)로 되돌려 보내지고, 상기 압축기(2)는 증발기(5)에서 공급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로 보내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냉동장치에서 냉매가스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데 따른 구성은 종래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1)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냉동장치의 압축기(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출구라인(21)으로 공급되는 냉매가스는 응축기(1)의 케이스본체(1a)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실(1b)의 내부 상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매공급헤더(6)로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냉매공급헤더(6)로 공급된 냉매가스는 복수의 상부 연결관(61)을 통해 상기 냉매공급헤더(6)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수평상태로 평행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분배관(62) 각각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냉매분배관(62) 각각으로 공급되는 냉매가스는 냉매코일 배열유닛(8)을 형성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81)을 통해 복수의 냉매회수관(72) 측으로 순환하게 되며, 상기 복수의 냉매분배관(62)과 복수의 냉매회수관(7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매코일 배열유닛(8)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순환관(81)들이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81)으로 순환하게 되는 냉매가스는 상단 연결부(81a)를 통해 복수의 냉매순환관(81)으로 유입되어 하단 연결부(81b)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회수관(72)측으로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8)을 구성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81)들은 종래 기술과 같이 ∪자형으로 절곡된 지점을 기준하여 지그재그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고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똑바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81)의 상단 연결부(81a)를 통해 냉매순환관(81) 속으로 유입되는 냉매가스는 외부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액상상태로 응축되는 즉시, 중력에 의하여 자연낙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 냉매순환관(81)을 순환하는 냉매가스가 액화상태로 응축되는 액상냉매는 상기 압축기(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킨 냉매가스를 토출시킬 때의 토출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중력에 의한 자연낙하 원리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밑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냉매순환관(81)을 순환하는 냉매가스는 응축된 액상냉매가 중력에 의해 자연낙하하게 되면 그 빈 공간을 응축되지 아니한 냉매가스가 메워주게 되므로 결국 상기 응축기(1)로 공급되는 냉매가스는 원활하게 순환하게 되어 응축기(1)에서의 냉매가스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냉동장치의 냉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기(1)는 각 구성요소를 도 4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응축실(1b)에 함께 설치하게 되더라도 각 냉매코일 배열유닛(8)은 복수의 냉매순환관(81)을 순환하는 냉매가스가 액화상태로 응축되는 즉시 액상냉매가 중력에 의하여 자연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로 설치된 각 응축기(1)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응축기 1a : 케이스본체
1b : 응축실 11 : 출구라인
2 : 압축기 21 : 출구라인
3 : 수액기 4 : 팽창밸브
5 : 증발기 6 : 냉매공급헤더
61 : 상부 연결관 62 : 냉매분배관
63 : 상부 냉매공급연결부 7 : 냉매회수헤더
71 : 하부 연결관 72 : 냉매회수관
73 : 하부 냉매회수연결관 8 : 냉매코일 배열유닛
81 : 냉매순환관 81a,81b : 상,하단 연결부
9 : 기계실 9a : 냉각팬

Claims (2)

  1.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순환시키면서 외부 열교환 냉각매체와의 열교환작용으로 기체상태의 냉매가스가 응축되게 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냉동장치 응축기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실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되는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냉매공급헤더와,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결관에 의하여 냉매공급헤더로부터 냉매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분배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실의 내부 하측에는 응축된 액상냉매를 수액기로 유출시키기 위한 냉매회수헤더와,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부 연결관을 통해 응축된 액상냉매를 냉매회수헤더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회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과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 각각을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형성되어 있는 냉매코일 배열유닛일정간격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냉매분배관에 연결되고, 하단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냉매회수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응축실에는 냉매공급헤더와 이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 및 냉매회수헤더와 이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과, 상기 냉매공급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분배관 및 상기 냉매회수헤더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회수관 각각을 수직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순환관이 구성된 상기 냉매코일 배열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직렬로 복수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KR1020170010295A 2017-01-23 2017-01-23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KR20180086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95A KR20180086635A (ko) 2017-01-23 2017-01-23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95A KR20180086635A (ko) 2017-01-23 2017-01-23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35A true KR20180086635A (ko) 2018-08-01

Family

ID=6322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295A KR20180086635A (ko) 2017-01-23 2017-01-23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549B1 (ko) 2021-12-02 2022-02-28 (주)영신공조 잔류수 배출이 용이한 싱글서킷 업다운 코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24B1 (ko) 2001-08-30 2008-02-20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중 유로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24B1 (ko) 2001-08-30 2008-02-20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중 유로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549B1 (ko) 2021-12-02 2022-02-28 (주)영신공조 잔류수 배출이 용이한 싱글서킷 업다운 코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537B1 (en) Heat exchanger
US10612823B2 (en) Condenser
US11333401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6716227B2 (ja) 蒸発器、これを備えたターボ冷凍装置
US20180186216A1 (en) Refrigeration cycle of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7309604A (ja) 冷凍装置の蒸発器及び冷凍装置
JP2018162900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10544990B2 (en) Heat exchanger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EP2941614B1 (en) Heat exchanger for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80086635A (ko) 냉동장치 응축기의 냉매코일 배열구조
KR102039488B1 (ko) 공기조화기
KR102036292B1 (ko) 냉동장치의 증발식 응축기
KR101867688B1 (ko) 열교환기
US20230288145A1 (en) Heat exchanger
CN114151986B (zh) 冷水机组
KR20150098835A (ko) 응축기
KR102148722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169284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30024251A (ko) 냉동장치를 이용한 온수생산장치
KR20180086637A (ko) 냉동장치의 응축기
KR20190089433A (ko) 실외 열교환기
CN213630704U (zh) 移动式空调器
JP7412446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