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710A - 전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710A
KR20180085710A KR1020180084453A KR20180084453A KR20180085710A KR 20180085710 A KR20180085710 A KR 20180085710A KR 1020180084453 A KR1020180084453 A KR 1020180084453A KR 20180084453 A KR20180084453 A KR 20180084453A KR 20180085710 A KR20180085710 A KR 20180085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ower line
main power
circulation pip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942B1 (ko
Inventor
김봉석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868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6066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34Cable fittings for cryogen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4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rmal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16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coo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3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filled with oil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전력이 요구되는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인 전력라인에서 복수 개의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되며, 분기 전력라인이 배치되는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된 냉매 순환관을 배치하여 실내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경우, 냉매를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 또는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시스템{POWER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대용량 전력이 요구되는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인 전력라인에서 복수 개의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되며, 분기 전력라인이 배치되는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된 냉매 순환관을 배치하여 실내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경우, 냉매를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 또는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CT, IoT, 빅데이터 등 컴퓨터 및 인터넷과 관련된 기술 진화에 따른 데이터 또는 인터넷 사용량이 증대됨에 따라 각종 데이터센터가 건립되고 있으며, 하나의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은 종래의 일반 건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또한, 데이터센터 등은 소비전력이 크고 전력 계통 또는 설비들의 과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존재하나, 화재 발생시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일반적인 스플링 쿨러 등을 적용하면 합선 등이 발생하고 복구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통상적인 화재 진압과 다른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전력 시스템의 경우, 복잡한 건물 구조 내부에서 접속 또는 분기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 등을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하는 경우, 분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전력라인에서 복수 개의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되며, 분기 전력라인이 배치되는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된 냉매 순환관을 배치하여 실내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경우, 냉매를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 또는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센터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전력라인; 및, 상기 메인 전력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전력라인; 및, 상기 분기 전력라인이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순환관;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전력라인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 전력라인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전력라인 또는 상기 분기 전력라인은 부스덕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전력라인은 데이터센터의 복수 층을 관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분기 전력라인은 복수 층의 실내 공간으로 수평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전력라인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메인 전력라인에 냉매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로와 상기 냉매 순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매 순환관은 냉매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및 냉매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를 경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센터의 복수 개의 층에 상기 냉매 순환관,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순환펌프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순환관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된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 순환관은 냉매가 실내로 분사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분사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순환관의 일부 구간은 상기 실내 공간의 천정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매 순환관이 배치된 실내 공간에 화재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한 화재 감지시 상기 분사노즐은 냉매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매 순환관이 배치된 실내 공간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분사노즐은 냉매를 실내 공간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낮아질 때까지 냉매를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액상 질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센터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서, 부스덕트로 구성되고, 전력전송을 위한 메인 전력라인; 부스덕트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전력라인에서 전력 수요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되는 분기 전력라인; 상기 메인 전력라인과 상기 분기 전력라인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분기 접속부; 상기 메인 전력라인을 따라 배치되며 메인 전력라인을 둘러싸는 냉매 유로가 구비된 냉각관; 상기 냉각관에서 분기되어 냉매의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 순환관; 상기 냉각관과 상기 냉매 순환관을 연결시키는 냉매 출입부; 및, 상기 냉매 순환관은 냉매 분사를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매는 액상 질소이며, 상기 분기 접속부는 냉매가 수용되는 저온 구간, 기상냉매가 수용되는 온도 구배구간 및 냉매가 존재하지 않는 상온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 접속부의 저온 구간과 상기 냉매 순환관을 연결하여 냉매 출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전력라인 및 메인 전력라인에서 분기되는 분기 전력라인을 부스덕트 형태로 구성하여 데이터센터 등의 내부의 설치 용이성, 분기 용이성, 공간 활용의 효율성 또는 외관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 순환관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를 실내공간으로 분사하여 화재의 진행속도를 완화하거나, 데이터센터 등 실내 공간의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전력라인 내부의 냉매유로를 복수 개로 분할하거나, 냉매의 냉각과 순환을 위한 냉매 순환관을 복수 개로 구성하여, 냉매의 냉각장치 또는 펌프 등을 소형화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이 설치된 데이터센터 등의 건물 내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데이터센터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전력라인; 및, 상기 메인 전력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전력라인; 및, 상기 분기 전력라인이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순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용량 전력이 요구되는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되는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인 전력라인에서 복수 개의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되며, 필요에 따라 메인 전력라인을 따라 메인 전력라인을 감싸는 냉각관을 통해 메인 전력라인의 냉각이 가능하고, 메인 전력라인에서 분기된 분기 전력라인이 배치되는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된 냉매 순환관을 배치하여 실내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경우, 냉매를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 또는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이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내부의 예시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전력라인(100)은 대형 데이터센터 등에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 전력라인(300)은 하나의 메인 전력라인(300)으로부터 복수 개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메인 전력라인(100)은 데이터 센서 등의 건물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분기 전력라인(300)은 복수 층으로 수평방향으로 분기되는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메인 전력라인(100)은 데이터센터 등의 건물(b)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력 공급이 필요한 층에서 분기 전력라인(300)을 메인 전력라인(100)으로부터 분기하여 데이터 서버(600) 등의 설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기 전력라인(300)은 층별로 분기될 수도 있으나, 전력공급이 불필요한 층의 경우는 분기되지 않고 특정 층에서 여러 개로 분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분기 전력라인(300)과 서버(600) 등의 전력 수요 설비는 상기 분기 전력라인(30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 또는 부스덕트 등의 전력 공급라인(310)에 의한다.
따라서, 메인 전력라인(100)은 건물의 층별 데이터 공급을 위하여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분기 전력라인(300)은 수평방향으로 분기되어 층별 전력 공급을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면적의 공장 등에서는 메인 전력라인(100)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분기 전력라인(300)을 분기하여 전력 수요처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건물에 수직방향으로 메인 전력라인(100)이 구비되고, 층별로 분기 전력라인(300)이 분기되어 데이터 서버(600) 등의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예이다.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메인 전력라인(100)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접속부(110)를 통해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접속부(110)는 메인 전력라인(100)이 절곡되는 부분, 예를 들면 수평방향 위치 변경이 필요한 영역 등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중간 접속부(110)는 중간 접속함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과 냉매관 외측에 구비되는 진공관을 포함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전력라인(100)과 상기 분기 전력라인(300) 중 어느 하나는 부스덕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층에 하나의 전력라인 분기 접속부(13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층에서 복수 개의 분기 전력라인(300)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각각의 층에서 분기된 분기 전력라인(300)은 각각 전력 공급을 요하는 서버 등의 장비 또는 설비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냉매를 순환시켜 메인 전력라인(100)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인 전력라인(100)은 양단에 종단 접속부(150)가 구비되고 양 종단 접속부(150)를 냉매 순환관(200)으로 연결하고, 냉매 순환관(200) 사이에 냉각장치(210) 및 순환펌프(26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 또는 상기 냉매 순환관과 연결되어, 냉매를 보충하기 위한 냉매탱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종단 접속부(150)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외부 전력라인(500)이 접속되어 대용량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매 순환관(200)은 건물의 최상층과 최저층에 각각 구비되는 종단 접속부(150)를 상호 연결하며, 냉매 순환관(200)이 냉각장치(210)와 순환펌프(260)를 경유하도록 하여 메인 전력라인(100)으로 공급되는 냉매를 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순환관(200)은 순환과정에서 저온 냉매로의 열침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냉매관과 냉매관을 감싸는 단열관을 포함하는 이중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관은 메인 전력라인(100)의 냉각관 내부의 냉매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단열관은 메인 전력라인(100)에 구비될 수 있는 덕트부재 내부와 같이 진공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단열관은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방식 또는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는 진공단열 방식 모두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260) 등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사된 또는 유실된 냉매의 보충을 위한 냉매탱크 등을 더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전력라인(100)은 냉매에 의한 냉각을 전제로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순환관(200)을 통해 냉매를 순환펌프(260)를 통해 순환시키며 냉각장치(210)를 통해 순환되는 냉매를 냉각시켜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메인 전력라인(10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내부의 냉매를 하나의 전체 유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방법 이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전력라인(100)을 층별로 구획하여 냉매 순환관(200)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배치하는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전력라인(100)의 냉매유로는 복수 개로 분할되고, 각각의 냉매유로를 흐르는 냉매의 냉각 및 순환을 위한 복수 개의 냉매 순환관(200)이 층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냉매 순환관(200)을 순환하는 냉매를 냉각 및 순환시키기 위한 각각의 냉각장치(210) 및 냉매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260)가 층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냉매 순환관(200)은 각각의 층에 구비된 상기 냉각장치(210) 및 상기 순환펌프(260)를 경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전력라인(100) 내부의 냉매유로는 층별로 분리되어도 되고,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어느 한 층의 냉각장치(210) 등에 고장이 발생되어 전체 시스템의 셧다운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냉각장치(210) 또는 순환펌프(260)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냉매 순환관(200)을 전체 하나로 구성한 냉각장치(210) 등의 고장 등에 의한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층에 구비되는 냉매 순환관(200)이 상기 메인 전력라인(100)과 연결되는 지점에는 냉매 순환관(200)의 냉매관이 메인 전력라인(100)의 냉각관 내부의 냉매유로와 연통되며 그 외부는 외부 열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 단열공간을 구비하는 냉매 출입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냉매 순환관(200)을 사용하여 화재 진압 또는 실내 공간의 냉각이 가능한 전력 시스템이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냉매 순환관(200)의 일부 구간은 실내에 배치되고, 실내에 배치된 냉매 순환관(200)의 일부 구간에는 화재 발생시 냉매유로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분사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분사노즐(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순환관(200)은 냉매관 및 단열관을 포함하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분사노즐(270)은 상기 냉매 순환관의 내부 냉매관과 연통되고, 각각 개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70)을 통해 냉매가 분사되는 경우, 작업자에 노출되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분사전 싸이렌 등으로 이를 냉매 분사를 예측 또는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화재 감시 또는 실내 온도 감시를 위하여 실내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순환관(200)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설치된 감지센서(230)가 화재 감지센서인 경우, 상기 화재 감지센서(연기 등의 감지)에 의한 화재 감지시 상기 분사노즐(270)은 냉매를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230)에서 측정된 화재 감지 정보 또는 실내 온도 정보 등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270)의 개폐 밸브(미도시) 등을 제어하여 실내로 냉매를 분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냉매 순환관(200)이 1층 내지 5층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냉매 순환관(200)에 냉매 분사를 위한 분사노즐(270)이 구비된 상태에서 화재 감지센서에 의하여, 예를 들어 2층 및 4층에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분사노즐(270)을 통해 냉매를 화재 현장에 분사하여 초기 진화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화재 발생시 상기 분사노즐(270)을 통해 냉매, 예를 들면 액상 질소가 기화하며 분사되는 경우, 과열된 설비 등을 냉각시키는 효과와 화재 현장의 산소 농도를 다소 낮추는 효과가 있어 어느 정도의 초기 진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냉매의 하나의 예로 제시된 액상 질소는 공기의 주된 구성이나 화재 발생시 액상 질소를 분사하여 순간적으로 근방의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불이 쉽게 번지지 않고 본격적 소화 작업까지 시간 지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데이터센터 등의 경우에는 데이터 서버(600) 등이 밀집되어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가 온도 센서인 경우, 실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실내 온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상승하는 경우, 분사노즐(270)을 통해 냉매가 소량 분사되어 기화되는 과정에서 과열된 서버실 내부를 냉각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상기 냉매는 액상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저온의 냉매가 소량 분사되어 기화된다고 하여도 온도차가 커서 데이터 서버(600) 등이 저장된 실내공간의 온도를 신속하게 설정된 범위 이하로 내릴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실시예는 대용량 전력이 요구되는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인 전력라인에서 복수 개의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되며, 필요에 따라 메인 전력라인을 따라 메인 전력라인을 감싸는 냉각관을 통해 메인 전력라인의 냉각이 가능하고, 메인 전력라인에서 분기된 분기 전력라인이 배치되는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된 냉매 순환관을 배치하여 실내 공간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경우, 냉매를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 또는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이라면 모두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메인 전력라인
130 : 전력라인 분기 접속부
150 : 종단 접속부
200 : 냉매 순환관
210 : 냉각장치
260 : 순환펌프
300 : 분기 전력라인
500 : 외부 전력라인
600 : 데이터 서버

Claims (16)

  1. 데이터센터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전력라인; 및,
    상기 메인 전력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 전력라인; 및,
    상기 분기 전력라인이 설치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순환관;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력라인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 전력라인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력라인 또는 상기 분기 전력라인은 부스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력라인은 데이터센터의 복수 층을 관통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분기 전력라인은 복수 층의 실내 공간으로 수평방향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력라인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메인 전력라인에 냉매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로와 상기 냉매 순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관은 냉매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및 냉매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의 복수 개의 층에 상기 냉매 순환관,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순환펌프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관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분기 전력라인이 분기된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관은 냉매가 실내로 분사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관의 일부 구간은 상기 실내 공간의 천정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관이 배치된 실내 공간에 화재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한 화재 감지시 상기 분사노즐은 냉매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관이 배치된 실내 공간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분사노즐은 냉매를 실내 공간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낮아질 때까지 냉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액상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4. 데이터센터에 설치되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서,
    부스덕트로 구성되고, 전력전송을 위한 메인 전력라인;
    부스덕트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 전력라인에서 전력 수요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되는 분기 전력라인;
    상기 메인 전력라인과 상기 분기 전력라인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분기 접속부;
    상기 메인 전력라인을 따라 배치되며 메인 전력라인을 둘러싸는 냉매 유로가 구비된 냉각관;
    상기 냉각관에서 분기되어 냉매의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 순환관;
    상기 냉각관과 상기 냉매 순환관을 연결시키는 냉매 출입부; 및,
    상기 냉매 순환관은 냉매 분사를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액상 질소이며, 상기 분기 접속부는 냉매가 수용되는 저온 구간, 기상냉매가 수용되는 온도 구배구간 및 냉매가 존재하지 않는 상온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접속부의 저온 구간과 상기 냉매 순환관을 연결하여 냉매 출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
KR1020180084453A 2016-07-08 2018-07-20 전력 시스템 KR10263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53A KR102638942B1 (ko) 2016-07-08 2018-07-20 전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819A KR102560661B1 (ko) 2016-07-08 2016-07-08 전력 시스템
KR1020180084453A KR102638942B1 (ko) 2016-07-08 2018-07-20 전력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819A Division KR102560661B1 (ko) 2016-07-08 2016-07-08 전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710A true KR20180085710A (ko) 2018-07-27
KR102638942B1 KR102638942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53A KR102638942B1 (ko) 2016-07-08 2018-07-20 전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573B1 (ko) * 2023-10-30 2024-03-04 주식회사 해우이엔지 전력구 내 전력설비의 전력라인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186A (ja) * 2004-07-20 2006-02-02 Yyl:Kk 直流超伝導送電ケーブル及び送電システム
KR101323135B1 (ko) * 2013-09-02 2013-10-30 김주한 에어컨용 실외기 자동소화장치
JP2014159903A (ja) * 2013-02-20 2014-09-04 Shinichi Ikemi 循環式太陽熱発電装置
KR20140107188A (ko) * 2011-12-06 2014-09-04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케이블 선로, 초전도 케이블의 부설 방법, 및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운전 방법
JP2015079625A (ja) * 2013-10-16 2015-04-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線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186A (ja) * 2004-07-20 2006-02-02 Yyl:Kk 直流超伝導送電ケーブル及び送電システム
KR20140107188A (ko) * 2011-12-06 2014-09-04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케이블 선로, 초전도 케이블의 부설 방법, 및 초전도 케이블 선로의 운전 방법
JP2014159903A (ja) * 2013-02-20 2014-09-04 Shinichi Ikemi 循環式太陽熱発電装置
KR101323135B1 (ko) * 2013-09-02 2013-10-30 김주한 에어컨용 실외기 자동소화장치
JP2015079625A (ja) * 2013-10-16 2015-04-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線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573B1 (ko) * 2023-10-30 2024-03-04 주식회사 해우이엔지 전력구 내 전력설비의 전력라인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942B1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6704A (zh) 一种带有封闭通道的模块化的数据中心机房
US10624242B2 (en) System and method of packaging computing resources for space and fire-resistance
US9116536B2 (en) Data center
US11622484B2 (en) Data center exterior wall penetrating air handling technology
US7867070B2 (en) Data center cooling
CN105101737A (zh) 数据中心模块、数据中心冷却系统及方法
KR102041214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CN112638114A (zh) 冷却数据中心
MX2014013689A (es)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centro de datos con medios de refrigeracion eficientes.
EP3159462A1 (en) Modular data center
CN113519140A (zh) 网络通信系统中的功率、数据、冷却和管理的集成
KR102204641B1 (ko) 데이터센터 독립 공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공조 관리 방법
CN103747640A (zh) 拼接模块化数据中心基础设施及其拼接模块化数据中心
KR20180085710A (ko) 전력 시스템
KR102560661B1 (ko) 전력 시스템
RU2598355C2 (ru) Модульный центр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JP6309783B2 (ja) 空調システム
JP2015148382A (ja) 空調システム、複合型空調システム
Musilli et al. Facilities Design for High‑density Data Centers
KR102586650B1 (ko) 전기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218668735U (zh) 数据中心用高层建筑结构
US20220418152A1 (en) Security panels for use in data centers
CN106369738A (zh) 一种新型的机房环境的维持方法
Isaak Architecture Design: Data Center Rack Floor Plan and Facility Layout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