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292A - pendant - Google Patents
pendant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5292A KR20180085292A KR1020170008830A KR20170008830A KR20180085292A KR 20180085292 A KR20180085292 A KR 20180085292A KR 1020170008830 A KR1020170008830 A KR 1020170008830A KR 20170008830 A KR20170008830 A KR 20170008830A KR 20180085292 A KR20180085292 A KR 201800852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ornament
- magnetic body
- pendant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용줄을 가지고 신체에 착용하는 장신구의 일종인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착용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진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ant, which is a kind of ornaments to be worn on a body with a wearable string, and relates to a pendant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wearing.
사람들이 장신구를 사용한 것은 인류의 문화만큼이나 오래된 것이다.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로 장신구를 만들어 신체에 직접 착용하거나 의복의 특정 부위에 매달아 자신의 호신부로 삼거나, 자신을 돋보이도록 하거나, 차별화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통적인 요소를 가진 장신구를 통해 소속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The use of ornaments by people is as old as the culture of mankind. People make jewelry in various forms and wear it directly to the body, hang it on a specific part of clothing, make it their own fortune-teller, make themselves stand out, differentiate themselves, or in some cases show their belonging through common ornaments did.
가령 팔찌는 팔목 기타 팔 부위에 차는 고리 모양의 장신구로, 금, 은과 같은 귀금속이나 옥 등 보석을 고리형으로 형성하거나, 조개껍데기 유리 등을 줄에 꿰고 줄 끝을 묶어 환형으로 만들어 착용하였다.For example, a bracelet is a ring-shaped ornaments for cuffs and other arm parts, and it is worn by making rings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jade gems such as silver, or clamshell glass or the like.
펜던트는 걸거나 늘어뜨리는 목걸이 등을 말하는데, 유사이전부터 동물의 치아, 돌, 조개껍데기 등을 끈에 꿰어 걸었고, 문장을 새긴 펜던트를 착용하여 착용자의 지위나 문벌을 나타내거나 여성의 경우 감상적인 주제를 묘사한 펜던트를 걸고 치장함으로써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되는 멋을 내고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왔다.The pendant refers to a necklace that hangs or hangs. Before the pendulum, an animal's teeth, stones, shells, etc. were put on a string and put on a pendant engraved with a sentence to show the status of the wearer, By expressing beauty by putting on and decorating the pendant that depicts it.
장신구의 상당수는 신체에 착용하기 위해 끈을 사용하여 목이나 손에 잘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지는데, 자신에게 착용할 때에는 두 손을 쉽게 사용하지 못하거나, 너무 가까운 거리에 있어 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Many of the ornaments are made so that they do not fall off easily to the neck or hands by using a string to wear on the body, but they can not easily use both hands when worn on themselves, or are difficult to identify with eyes because they are too close There was a problem and there was an inconvenience.
장신구 가운데 상당 수가 착용 후 벗지 않고 계속 착용하도록 예정된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고, 필요에 따라 벗거나 다른 장신구를 착용해야 하므로, 장신구 탈착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끈이 달린 장신구를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많은 장치, 구조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장신구는 신체에 착용하는 것이므로 너무 복잡하고 크게 만들 수 없다는 점에서 여러 한계가 있고, 손이나 목에 끈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장신구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장착 위치에 대한 기본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여전히 불편한 경우가 많다.Many of the ornaments are scheduled to be worn without wearing off after wearing them, but there are many cases that are not so, and it is necessary to wear off or attach other accessories as needed, so a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accessory detachment, Many devices and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ornaments are worn on the body,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not be made too complicated and large, and there are still inconveniences due to the above-mentioned basic restrictions on the mounting position for the ornaments worn by the hand or the neck There are many.
특히 펜던트는 목에 거는 형태를 가져 장식물이 앞쪽에 있고, 체결장치는 목 뒤쪽에 위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줄이 아주 긴 경우를 제외하면 체결장치를 눈으로 보면서 체결할 수도 없고, 거울을 보면서 체결하는 경우에도 체결이 쉽지 않을 때가 많다.In particular, the pendant has a form hanging on the neck, the ornament is on the front side, and the fastening device is usually located on the back of the neck. It can not be fastened while looking at the fastening device, It is often difficult to tighten.
본 발명은 착용줄을 가지는 장신구의 하나인 펜던트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착용상의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사용을 위한 체결, 해체가 용이한 펜던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olving the difficulties or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wearing of the pendant which is one of the ornaments having a wearable string and aims to provide a pendant which is easy to be fastened and disassembled for use with a simple structure .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동시에 저절로 풀어지기는 어려운 구조를 가지도록 한 펜던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ndant having a structure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which is difficult to be released by itself.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펜던트는, 장식물에 착용줄의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펜던트에 있어서, 장식물이 착탈가능하게 분할될 수 있고, 착용줄의 양단은 분할된 서로 다른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장식물의 착탈을 통해 펜던트 사용자가 착용줄을 목에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end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ndant in which both ends of a string are fastened to ornaments, the ornaments can be detachably divided, and both ends of the string are fixed And the pendant user can attach the wearing line to the neck throug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ornament.
본 발명에서 착용줄의 일단이 고정되는 장식물 제1부와 착용줄 타단이 고정되는 장식물 제2부 사이의 결합은 제1부 및 제2부 각각의 결합면에 자석 혹은 자성체가 설치되어 자석과 자석 사이의 혹은 자석과 자성체 사이의 자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rt of the decorative article to which the one end of the wearable string is fixed and the second part of the decorative articl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earable string are fixed are provided with a magnet or a magnetic body on the mat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Or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ic body.
특히, 이들 결합면에 각각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되고, 자석들 혹은 자석 및 자성체가 요부 및 철부에서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Particularly, it may be one in which recess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se coupling surfaces, and magnets or magnets and magnetic bodies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recesses and the recesses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에서, 결합면에는 자석 및 자성체가 설치되지 않은 요부 및 철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이들 철부 및 요부가 상호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결합면과 평행한 힘이나 충격에 의해 제1부와 제2부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 해체되는 것을 더욱 잘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recess and a convex portion to which the magnet and the magnetic body are not provided. In this case, the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e fit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and disassembl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줄의 두 끝단이 장식물의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두 부분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장식물의 두 부분은 쉽게 착탈될 수 있으므로, 착용줄에 별도의 착탈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장식물은 통상 눈에 쉽게 보일 정도로 크기가 충분히 커서 이 부분에 착탈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용이하므로 펜던트의 구성이 전체적으로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착용할 때에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wo ends of the string can be fixed to two separate parts of the ornament, and the two parts of the ornamen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attachment / The pendant can be easily constructed as a whole and can be easily worn even when it is worn.
특히 자석 및 자성체를 사용하는 체결구조에서는 체결부가 서로 접근만 하여도 자력에 의해 서로 이끌려 쉽게 제자리를 찾아 두 체결부가 정합, 체결될 수 있으므로 체결을 위해 신경을 써서 체결부를 정렬시키고, 정합시키는 노력이 절약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a fastening structure using a magnet and a magnetic body, even if the fastening portions are close to each other, the fastening portions can be easily attract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the two fastening portions can be aligned and fastened. Therefore, efforts to align and align the fastening portions with care for fastening Can be saved.
또한, 착탈되는 두 부분의 결합면에 돌출부 및 홈의 요철구조를 형성하면 두 부분이 자력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는 것에 더하여 자력에 의한 결합이 순간적인 외부 충격에 의해 해제될 위험이 있을 때에도 요철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부분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두 부분이 분리되는 것은 억제될 수 있다. 즉, 두 부분이 외부 충격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팬던트 착용시 의도하지 않게 팬던트가 신체에서 이탈되어 망실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oncave-convex structure of the groove are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s of the two parts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he two parts are maintained to be coupled by the magnetic force, and even when the coupling due to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by the momentary external impact, The structure allows relative movement of the two portion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upling surface and separation of the two portions can be suppressed. That is, since the two portions a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due to the external impac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the pendant is unintentionally lost from the body when the pendant is wor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던트로서 장식물을 이루는 부분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도1의 펜던트의 후면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3은 도1의 펜던트에서 장식물을 이루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결합면이 드러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펜던트에서 장식물 결합면의 요부와 철부를 이루도록 삽입홈에 자석이나 자성체를 설치하는 일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던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6은 도5의 펜던트에서 장식물을 이루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결합면이 드러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식물을 이루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결합면이 드러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pend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pendant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s forming the ornaments in the pendant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magnet or a magnetic body in an insertion groove of a pend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end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s forming the ornament in the pendant of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s forming the orna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veal the engagement surfa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던트에서 장식물을 이루는 두 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3은 이 실시예에서 장식물을 이루는 두 부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S. 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of a pend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parts constituting ornaments are combined.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wo ornamental parts are separated Fig.
이 실시예에서 착용줄(20)은 일체로 이루어지고, 착용줄의 중간에는 별도의 체결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착용줄(20) 양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장식물(10)과 결합되어 있다. 장식물(10)은 정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혹은 마름모의 형태이며, 이 정사각형이나 마름모의 중앙에 있는 하나의 대각선이 분리 경계선(12)으로 표현되어 있다. 장식물(10)은 이 분리 경계선(12)을 중심으로 좌측의 삼각형 형태의 제1부(11)와 우측의 삼각형 형태의 제2부(13)가 나뉘고, 좌측 및 우측이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 착용줄(20)이 장식물(10)과 결합된 위치도 이 분리 경계선(1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earing
제1부(11)와 제2부(13)의 결합체가 장식물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제1부 및 제2부 표면에는 상표, 문자 등이 아름답게 표현될 수 있고, 미세한 홈이 일정 패턴과 일정 간격으로 전면에 형성되어 그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특정한 색상이나 무뉘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표면에 도색, 도금 등을 통해 색상이나 무늬, 광택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make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그리고, 착용시 신체의 피부에 닿는 부분, 즉, 제1부(11)와 제2부(13)의 후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토르말린이나 기타 신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기능성 물질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부와 제2부의 후면에는 각각 세 개씩의 자석 구슬(15)이 반쯤 박히고 반은 외부로 반구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A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wearer's body that is worn when worn, that is, a rear surface of the
이 실시예에서 제1부 및 제2부의 상호 결합면(19a, 19b)에는 두 부분의 결합을 위한 자석(191, 195) 혹은 자성체가 설치된다. 장식물(10)을 이루는 각 부분(11, 13)의 본체는 자석의 영향을 받아 전체가 자화되지 않도록 비자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체와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므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각 부분 본체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산화피막인 알루마이트막이나 법랑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도3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제1부(11) 및 제2부(13)의 결합면(19a, 19b)에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두 개의 원형 자석(191, 195)이 설치된다. 이들 두 개의 원형 자석은 제1부(11)에서는 설치홈에 원기둥형 자석(191)을 압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끝단이 결합면(19a)에서 조금 돌출되어 자석 철부(돌출부)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제2부(13)에서는 설치홈 깊이가 압입되는 원기둥형 자석(195)의 두께보다 조금 깊어 자석 요부(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들 결합면을 밀착시켜 정합상태를 만들면 돌출된 자석(191)의 끝단은 오목부에 삽입되어 그 저면에 있는 자석(195)와 부착되고 결합면(19a, 19b)과 평행한 외력이 작용할 때 저항으로 작용하여 장식물의 두 부분이 해체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3, two
제1부 및 제2부의 결합면(19a, 19b)이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 제1부(11)의 자석(191)과 제2부(13)의 자석(195)은 서로 대향하는 표면이 서로 다른 자극을 나타내어 자성에 의해 인력(자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일측에는 자석 대신에 자성체 금속을 설치하면 자석의 극성을 신경쓰지 않을 수 있지만 두 자석의 결합에 비해 자성에 의한 인력이 약해질 수 있다. 자성에 의한 인력은 두 부분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고 어느 정도 근접된 위치에만 놓여도 이 자력에 의해 저절로 정확한 위치로 두 부분을 유도하므로 체결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The
이와 별도로, 이 실시예에서는 제1부(11)의 결합면(19a)에는 두 개의 자석 사이에 두 개의 홈(193)이 설치되고, 제2부(13)의 결합면(19b)에는 두 개의 돌기(197)가 설치되어, 결합면들의 정합상태에서 돌기(197)는 홈(19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들 돌기(197) 및 홈(193)의 결합도 결합면과 평행한 외력이 작용할 때 저항으로 작용하여 두 부분이 해체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 돌기 및 홈이 있는 경우, 자석이 설치된 부분에 자석이 돌기를 이루거나 설치홈과 더불어 오목부를 형성하여 결합면과 평행한 외력에 저항하도록 할 필요성은 줄어들지만 두 부분을 체결할 때 자력에 의해 먼저 자석 설치부가 정확한 정합 위치에서 결합면이 밀착되도록 하고, 돌기(197)를 홈(193)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한다는 면에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Separately, in this embodiment, two
본체의 표면 마감 처리를 하거나, 외관 미감을 위한 미세 패턴을 형성하거나, 결합면의 자석 삽입홈, 돌기 및 그 대응 홈을 형성하는 작업은 정밀한 밀링 작업 및 드릴링 작업과 같은 기계작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rface finishing treatment of the main body, the formation of fine patterns for the appearance aesthetics, and the formation of the magnet insertion grooves, protrusions and the corresponding grooves of the coupling surfaces can be accomplished by a machine operation such as a precision milling operation and a drilling operation .
가령, 자석 삽입홈(192))의 경우, 자석(195)이 삽입홈(192)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삽입홈(192)의 측면 벽체에는 삽입방향으로 길게 줄모양 혹은 기타 모양의 미세한 돌출부(194)가 밀링 작업을 통해 형성되고, 삽입홈(192)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형 자석(195)이 매우 큰 기계적 압력에 의해 삽입홈(192)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줄모양의 미세한 돌출부(194)는 그 단부가 큰 압력(F)에 의해 일부 변형되면서 원기둥형 자석(195)의 측면과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석(195)을 삽입홈(192)에서 빼내는 것은 어렵고, 결국 자석(195)의 삽입홈(192)에 대한 영구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4는 이러한 자석 고정 장면을 도시하고 있다.In order to fix the
한편, 착용줄(20)과 장식물(10)의 두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장식물의 두께를 결정하는 측면에는 착용줄의 끝단을 수용할 수 있는 착용줄용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장식물의 후면에서 이 홈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이 홈으로 통하는 미세홀이 정밀한 드릴링 작업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재질의 착용줄의 단부를 착용줄용 홈에 채워넣고 후면에서 미세홀을 통해 착용줄을 관통하는 핀(17)을 압입하게 된다. 핀(17)의 직경은 미세홀의 폭 혹은 직경과 거의 같아 이렇게 기계적으로 큰 압력(F)으로 압입하면 미세홀 내로 핀(17)이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에서 핀(17)을 꺼내기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착용줄용 홈 내에서 착용줄(20) 끝단은 핀(17)에 관통되고 고정되어 장식물(10)과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x two parts of the wearing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장식물 결합 상태의 정면도 및 장식물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장식물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5 and 6 are a front view and an ornament separation state of the ornament-fitt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rnament is separate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 펜던트의 기본적인 특징은 변화가 없고 다만 펜던트의 형태 및 결합면의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를 가진다.In these embodiments, the basic features of the pend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hanged, but differ from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 form of the pendant and the specific form of the coupling surface.
즉, 제1부(111, 211)와 제2부(113, 213)의 결합면의 한 쪽에는 두 개의 자석 오목부(자석 요부)가 다른 한 쪽에는 이에 결합되고 삽입되는 자석 돌출부(자석 철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면이 정합될 때에는 자석 오목부와 자석 돌출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서 결합면도 정합 상태 혹은 밀착 상태를 이룬다. That is, two magnet concave portions (magnet concave portions)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단, 여기서는 장식물을 이루는 두 부분 사이의 결합면이 전체적으로 볼 때 평면이 아닌 단차면 혹은 하나의 평면이 몇 번 꺾여져 여러 평면이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coupling surface between the two parts constituting the ornament is not a plane when viewed as a whole, but a single plane or a plane is folded a few times, so that various planes are joined at different angles.
이런 결합면에서는 결합면 차체가 돌기와 홈의 역할을 하여 자석 결합부를 제외한 별도의 돌기 및 그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상하 방향의 충격에 의해 장식물을 이루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In such a coupling surface, the coupling surface body body functions as a projection and a groove, so that even if a separate projection excluding the magnet coupling portion and a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are not formed, It is difficult to cause the relative movement.
이상에서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장식물 11, 111, 211: 제1부
12: 분리 경계선 13, 113, 213: 제2부
15: 자석 구슬 17: 핀
19a, 19b: 결합면 20: 착용줄
191, 195: 자석(원기둥형 자석) 192: 삽입홈
193: 홈 194: 돌출부
197: 돌기10:
12:
15: magnetic beads 17: pin
19a, 19b: engaging surface 20:
191, 195: magnet (cylindrical magnet) 192: insertion groove
193: groove 194: protrusion
197:
Claims (6)
상기 장식물은 결합면에서 상호 착탈이 가능하게 분할될 수 있는 복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용줄의 양단은 각각 상기 장식물의 복수 부분의 가운데 서로 다른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장식물의 착탈을 통해 펜던트 사용자가 상기 착용줄을 목에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A pendant in which both ends of a string are fastened to ornaments,
Wherein the ornam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removable from each other on a coupling surface,
Wherein both ends of the wearer string are fixedly coupled to different portions of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ornament,
And a pendant user is able to hang the wearer's neck through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ornament.
상기 착용줄의 양단 가운데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장식물의 복수 부분 가운데 제1부와
상기 착용줄 양단 가운데 타단이 고정되는 상기 장식물의 복수 부분 가운데 제2부 사이의 결합은
상기 제1부 및 상기 제2부 각각의 결합면에 자석 혹은 자성체가 설치되어 자석과 자석 사이의 혹은 자석과 자성체 사이의 자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ornament to which one end is fix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ornament,
Wherein a magnet or a magnetic body is provided on a mating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nd is formed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 or between the magnet and the magnetic body.
상기 결합면 각각에는 상기 자석 혹은 상기 자성체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석요부 및 자석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요부 및 상기 자석철부는 상기 자석 혹은 상기 자성체 상호 간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석요부에 상기 자석철부가 삽입되어 정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coupling surfaces being formed with a magnet recessed portion and a magnetized ironed portion in which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is installed,
Wherein the magnet concave portion and the magnet convex portion are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acting between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convex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agnet concave portion to be matched.
상기 결합면 각각에는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성체가 설치되지 않은 요부(홈) 및 철부(돌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자석요부가 상기 자석철부에 삽입될 때 상기 철부 및 상기 요부가 상호간에 끼워져 정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coupling surfaces is further provided with recesses (grooves) and projections (protrusions) on which the magnets and the magnetic body are not provided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fitted and matched with each other when the magnet concav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agnet convex portion.
상기 자석철부 및 자석요부는 상기 결합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삽입홈과 같은 단면 형태의 자석이나 자성체를 압입하여 형성하되,
상기 자석철부에는 상기 자석이나 자성체의 끝단이 상기 삽입홈 밖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자석요부에는 상기 삽입홈 깊이가 상기 자석이나 자성체의 두께보다 더 깊어 상기 자석이나 자성체가 완전히 삽입되고도 일부 깊이만큼 삽입홈이 남도록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magnet convex portion and the magnet concave portion are formed by press-fitting a magnet or a magnetic body having the same sectional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end of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groove in the magnet convex portion,
Wherein the magnet concav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is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so that the insertion recess is left with a certain depth even though the magnet or the magnetic body is completely inserted.
상기 결합면은 단일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복수의 단일평면이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속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upling surface is not made of a single plane but a plurality of single plan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8830A KR20180085292A (en) | 2017-01-18 | 2017-01-18 | pend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8830A KR20180085292A (en) | 2017-01-18 | 2017-01-18 | pend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5292A true KR20180085292A (en) | 2018-07-26 |
Family
ID=6304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8830A KR20180085292A (en) | 2017-01-18 | 2017-01-18 | pend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85292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1681U (en) | 2010-06-11 | 2011-12-19 | 안병선 | Mounting structure of pendant for accessary |
-
2017
- 2017-01-18 KR KR1020170008830A patent/KR2018008529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1681U (en) | 2010-06-11 | 2011-12-19 | 안병선 | Mounting structure of pendant for accessa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14143B2 (en) | Interchangeable charm system for glasses | |
US20130263625A1 (en) | Magnetically interchangeable jewelry and accessories | |
KR20160129225A (en) | Nail art design apparatus | |
US7596966B2 (en) |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 |
KR101837024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strings of ornaments and ornaments having the same | |
US4974429A (en) |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 |
KR20180085292A (en) | pendant | |
KR200474073Y1 (en) | Accessary of a position control and changing decoration | |
JP3228989U (en) | Chain connector for jewelry | |
KR20030039941A (en) | A multi-use jewelry | |
KR101854774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accessories | |
KR20160136111A (en) | Accessory of clothing | |
KR200333800Y1 (en) | Ornaments having a rotating means for medal | |
KR101604653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accessories | |
JP3243358U (en) | accessories for watch band | |
KR200326415Y1 (en) | Earring | |
KR200246452Y1 (en) | apparatus for fixing belt | |
KR0134998B1 (en) | Personal ornaments | |
KR200363084Y1 (en) | Accessory for neckless | |
JP6017145B2 (en) | Jewelery | |
KR200266375Y1 (en) | A multi-use jewelry | |
JP3071869U (en) | Jewelry and other accessories that can be replaced | |
KR20180043106A (en) | Interchanged Possible Accessory Of Decoration-part | |
KR200386159Y1 (en) | Pendent with magnet | |
US20140082890A1 (en) | Coordinated and replaceable cuff lin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