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4102A - Rrc 재개에서의 ue 식별자 - Google Patents

Rrc 재개에서의 ue 식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4102A
KR20180084102A KR1020187016959A KR20187016959A KR20180084102A KR 20180084102 A KR20180084102 A KR 20180084102A KR 1020187016959 A KR1020187016959 A KR 1020187016959A KR 20187016959 A KR20187016959 A KR 20187016959A KR 20180084102 A KR20180084102 A KR 2018008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message
network node
network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012B1 (ko
Inventor
오스카 올손
마그누스 스타틴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8008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ticket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시스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일시중지된 접속을 재개하는 것과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00)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접속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108)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메시지는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16)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RRC 재개에서의 UE 식별자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5년 11월 17일자로 출원된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256,37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재개(resume) 절차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은 현재, 예를 들어, 모바일 광대역보다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요구를 갖지만, 예를 들어, 저비용 디바이스 설계, 보다 양호한 커버리지 및 배터리들을 충전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들로 수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더 높은 요구사항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의 통신을 위해 개발되고 개선되고 있다. MTC의 주된 특징들 중 하나는 소량의 데이터를 드물게 송신하는 것이다. MTC 디바이스들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디바이스 당 데이터 사이즈는 작게 유지될 것이다.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에서, 현재의 데이터 전송 절차들은 소량의 데이터 전송들 및 짧은 라이브 세션들에 최적화되지 않기 때문에,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커진다.
소량의 데이터 전송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핸들링하기 위해, 3GPP는 무선 자원 제어(RRC) IDLE로부터 RRC CONNECTED로 전환될 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연구하였다. 선택된 솔루션들 중 하나의 솔루션이 "RRC 재개(RRC resume)"인데, 이것은 후속 RRC 접속 설정을 위해 이전 RRC 접속으로부터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컨텍스트를 재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인핸스드 또는 이볼브드 노드 B(eNB)에 UE 컨텍스트를 저장함으로써, 다음 RRC IDLE 대 RRC CONNECTED 전환에서 보안 활성화 및 베어러 설정에 필요한 시그널링을 피할 수 있다. 이 문서를 통해 "UE"라는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무선 디바이스" 또는 "WD"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UE들/WD들은 모바일 전화들에 제한되지 않고, MTC를 수행하는 무선 접속을 갖는 임의의 고정식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eNB"라는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지만, "eNB" 또는 "기지국"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무선 액세스 노드들의 타입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RRC 재개는 2개의 새로운 절차, 즉, RRC 일시중지(RRC Suspend) 및 RRC 재개(RRC Resume)를 도입함으로써 실현된다. eNB는 RRC 접속 일시중지(Connection Suspend)(본 명세서에서는,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로 지칭되기도 함)를 UE에 전송함으로써 접속을 일시중지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UE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시간 기간 동안 비활성화 상태가 된 후에 발생할 수 있다. 3GPP 릴리스 13에서, RRC 접속 일시중지는 "rrc-Suspend"로 설정된 releaseCause를 갖는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로 시그널링된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UE 및 eNB는 모두 UE 컨텍스트, 및 본 명세서에서 재개 ID(Resume ID)로 지칭되는 연관된 식별자(identifier)(ID)를 저장한다. UE 컨텍스트는, 예를 들어, 베어러 구성 및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3GPP 릴리스 13에서,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는 재개 ID는 포함하지만, 보안 파라미터들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래의 릴리스들에서는, 재개 ID 외에도,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가 액세스 계층(Access Stratum)(AS) 보안이 나중에 재확립될 때 요구되는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다음 홉 체이닝 카운터(Next hop Chaining Counter)(NCC) 및 무결성 및 암호화 알고리즘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RRC IDLE로부터 RRC CONNECTED로의 다음 전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eNB에 RRC 접속 재개 요청(Connection Resume Request)(본 명세서에서는, RRC 접속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로도 지칭됨)을 전송함으로써 접속을 재개한다.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는 eNB가 UE 컨텍스트를 리트리브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전에 수신된 재개 ID를 포함한다. eNB가 UE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authorization token)도 제공된다. 인가 토큰은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컨텍스트가 발견되고 인가 토큰이 유효하다고 가정하면, eNB는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컨펌하기 위해 RRC 접속 재개(Connection Resume)(본 명세서에서는, RRC 접속 재개 메시지로도 지칭됨)로 응답한다. UE는 RRC 접속 재개 완료(Connection Resume Complete)(본 명세서에서는,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로도 지칭됨)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을 확인응답한다.
RRC 접속 일시중지(Connection Suspend), RRC 접속 재개 요청(Connection Resume Request), RRC 접속 재개(Connection Resume) 및 RRC 접속 재개 완료(Connection Resume Complete)의 메시지들은 이들의 기능을 기술하는 플레이스홀더들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이들의 명칭들은 RRC 재개의 최종 사양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RRC 재개는 반드시 단일 셀 또는 단일 eNB로 제한될 필요 없이, eNB들에 걸쳐 지원될 수도 있다. 인터-eNB 접속 재개는 컨텍스트 페치를 사용하여 핸들링되며, 이에 따라 재개 eNB(resuming eNB)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시중지 eNB(suspending eNB)로부터 UE 컨텍스트를 리트리브한다. 재개 eNB는 UE 컨텍스트를 식별하기 위해 일시중지 eNB에 의해 사용되는 재개 ID를 제공한다.
인터-eNB 접속 재개를 지원하는 RRC 재개에 의해 발생하는 한가지 문제점은 재개 eNB가 일시중지 eNB로부터 UE 컨텍스트를 리트리브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재개 eNB가 UE 컨텍스트가 리트리브될 수 있도록 일시중지 eNB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필요하다.
무선 시스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일시중지된 접속을 재개하는 것에 관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suspend)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메시지의 수신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본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resume identifier)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재개 식별자의 사용은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특히, 제1 및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인 시나리오에서 유용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이고,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이볼브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셀 식별자(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Cell Identifier(ID))(ECI)이고,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ID(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C-RNTI)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 내의 부분들의 순서는,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 내의 부분들의 순서는,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 내의 부분들의 순서는,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 이후에 발생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의 부분들 내의 비트 순서들은 반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메시지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제어 엘리먼트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메시지와 연관된 MAC 제어 엘리먼트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의 일부는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authorization token)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인가 토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메시지의 일부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uplink common control channel service data unit)로 송신되고,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LTE에서의 기존의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의 사이즈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48비트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는 무선 디바이스의 베어러 구성 및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이다.
무선 디바이스의 실시예들 또한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스토리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메시지의 수신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응되고, 여기서 제1 메시지의 수신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동작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신 모듈, 송신 모듈 및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수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여기서 제1 메시지의 수신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송신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제1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수신 모듈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의 실시예들 또한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이전에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고,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이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요청은 재개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는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을 포함하고, 본 방법은 인가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이고,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스토리지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은 LTE 네트워크이고,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ECI이고,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C-RNTI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 내의 부분들의 순서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 내의 부분들의 순서는,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 내의 부분들의 순서는,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고,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순서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 이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의 부분들 내의 비트 순서들은 반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와 연관된 MAC 제어 엘리먼트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와 연관된 MAC 제어 엘리먼트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메시지의 일부는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인가 토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1 메시지의 일부는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LTE에서의 기존의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의 사이즈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48비트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는 무선 디바이스의 베어러 구성 및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고,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이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이다.
무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의 실시예들 또한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 이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동작 가능함 - 을 포함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이전에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네트워크 노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이전에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 모듈, 획득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은,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이전에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송신 모듈은,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메시지의 수신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본 방법은,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에게,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3 메시지와 연관된 MAC 제어 엘리먼트는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 시스템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의 절단된 버전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이해할 것이며, 첨부 도면들과 연관하여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그에 대한 추가적인 양태들을 실현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 양태들을 예시하고, 본 개시내용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의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이 일시중지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2는 UE의 일시중지된 RRC 접속이 재개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례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3의 무선 네트워크의 동작을 예시하는 시그널링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예를 예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의 예들을 예시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정보를 표현하고,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최상의 모드를 예시한다. 첨부 도면들에 비추어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개념들을 이해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루지 않은 이들 개념들의 응용들을 인식할 것이다. 이들 개념들 및 응용들은 본 개시내용 및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자원 제어(RRC) 재개(Resume)는 사용자 장비(UE)가 RRC IDLE로부터 RRC CONNECTED로 전환될 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피처이다. RRC 재개는 소량의 데이터의 드문 송신들을 수행하는 머신 타입 통신(MTC) 디바이스들과 같은 UE들에 특히 유리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RRC 재개는 UE에 대한 후속 RRC 접속을 설정할 때 해당 UE에 대한 이전 RRC 접속으로부터의 UE 컨텍스트를 재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UE가 UE의 RRC 접속이 일시중지되었을 때 접속되었던 인해스드 또는 이볼브드 노드 B(eNB)(즉, 일시중지 eNB)에 UE 컨텍스트를 저장함으로써, UE 컨텍스트가 UE의 RRC 접속을 재개할 때 재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인터-eNB 접속 재개를 지원할 때 RRC 재개에서의 하나의 문제점은 재개 eNB(즉, UE가 RRC 접속을 재개할 때 접속 중인 eNB)가 일시중지 eNB로부터 UE의 UE 컨텍스트를 페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재개 식별자(ID)(Resume identifier)는 RRC 재개를 위한 UE와 연관된다. 재개 ID는 UE가 식별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UE 및 일시중지 eNB 모두를 식별하는 재개 ID에 대한 포맷을 활용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RRC 재개를 위한 재개 ID의 포맷은 여전히 특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되는 바와 같이, 재개 ID는 우선적으로 일시중지된 UE들의 UE 컨텍스트에 대한 식별자로서 동작해야 한다. 이것은 셀/eNB 내의 모든 일시중지된 UE들을 다룰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하기 때문에 요구사항들을 그 길이에 둔다. 두 번째로, 인터-eNB RRC 재개를 지원하기 위해, 재개 ID가 재개 eNB로 하여금 접속을 일시중지한 eNB를 식별하여 UE 컨텍스트가 페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재개 ID가 바람직하게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존의 롱 텀 에볼루션(LTE) 식별자들에 기초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RRC 접속이 재개될 때, 일시중지된 UE의 UE 컨텍스트를 식별 및 리트리브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UE 컨텍스트에 대한 식별자, 즉, 소위 재개 ID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1 부분은 eNB 및 셀을 식별하고, 제2 부분은 셀 내의 일시중지된 UE를 식별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재개 ID의 제1 부분은 특정 구현에 따라 eNB, 셀, 또는 eNB 및 셀 모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TE에서 중요한 시그널링 감소 기술인 RRC 재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개 ID의 제1 부분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SIB) SIB1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28비트의 이볼브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셀 ID(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Cell ID)(ECI)이고, 재개 ID의 제2 부분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부분으로서 UE에 할당된 16비트의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RNTI)이다. C-RNTI는 네트워크 할당된 UE 식별자의 일례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ECI는 eNB ID 및 UE ID 모두를 포함하고,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ID의 제1 부분은 ECI의 일부 또는 eNB를 식별하는 셀 ID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추가로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경합 해결 동안에 재개 ID의 절단된 버전이 사용되는 경우에 1개 이하의 UE가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할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셀 내의 UE 아이덴티티가 재개 ID의 제1 부분이 되고, eNB 및 셀 식별자가 재개 ID의 제2 부분이 되도록 2개의 부분이 스왑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식별자는 함께, 일시중지된 UE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두 식별자는 UE에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RRC 접속이 일시중지될 때, 재개 ID를 UE에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16비트의 C-RNTI는 어드레스 공간이 고갈되기 전에 최대 65,536개의 UE가 셀에서 일시중지될 수 있게 한다. 다수의 UE들을 포함하는 광역 셀들에서는 이것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룹 식별자가 임의적으로 C-RNTI에 부가되어 어드레스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룹 식별자는 RRC 접속의 초기 확립시와 RRC 접속이 재개될 때, 또는 RRC 접속이 일시중지될 때, UE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제안된 솔루션들은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갖는다.
·다수의 eNB들/셀들 간에 RRC 재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재개 ID는 UE에 이미 알려진 기존의 식별자들에 기초하므로, 접속이 일시중지된 경우, 재개 ID를 UE에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보다 간단한 솔루션으로 이어지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또한, 기존의 식별자들을 사용하면 보다 적은 사양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이점도 갖는다.
·임의적인 그룹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일시중지된 UE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것은 광역 셀들 및/또는 밀도가 높은 UE 배치들에서 중요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기능을 구현 또는 이해하지 못하는 레거시 UE들에 대한 모호성(새로운 식별자로 인한 경합 해결시)이 회피되며, 즉, 레거시 UE들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히, 상기 네트워크의 다수의 eNB들/셀들 간에 동작하는 RRC 재개의 개선된 방법들을 제안한다. 도 3은 이러한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10)를 예시하며, 이 무선 네트워크(10)는 코어 네트워크로도 지칭될 수 있는 네트워크(12),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14)로 지칭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들(14-1 및 14-2), 및 무선 디바이스(WD)(16)를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4)은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노드들이고, 본 예에서는 기지국들이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들(14)은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들(14)로도 지칭된다. LTE에서, 기지국들은 eNB들로 지칭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들(14)은 본 명세서에서 eNB들(14)로도 지칭된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14-1) 및 WD(16)의보다 상세한 도면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14-1)는 프로세서(18), 스토리지(20), 인터페이스(22) 및 안테나(2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WD(16)는 프로세서(26), 스토리지(28), 인터페이스(30) 및 안테나(32)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무선 네트워크(10)에 무선 접속들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10)는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 네트워크 노드들, 기지국들, 제어기들, 무선 디바이스들, 중계국들, 및/또는 유선 접속을 통하든 무선 접속을 통하든 간에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이에 참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2)는 하나 이상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 네트워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거대 도시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4-1)는 프로세서(18), 스토리지(20), 인터페이스(22) 및 안테나(24)를 포함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이들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더 큰 박스 내에 위치된 단일의 박스들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실제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의 예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2)는 유선 접속을 위한 와이어들과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 트랜시버를 커플링하기 위한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노드(14-1)는 다수의 물리적으로 별개인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노드 B 컴포넌트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컴포넌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 컴포넌트 및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이들 자신의 개별적인 프로세서, 스토리지 및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4-1)가 다수의 별개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특정 시나리오들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RNC가 다수의 노드 B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유일한 노드 B 및 BSC 쌍은 별개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4-1)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일부 컴포넌트들은 중복될 수 있고(예를 들어, 상이한 RAT들에 대한 별개의 스토리지(20)), 일부 컴포넌트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24)가 RAT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프로세서(18)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자원,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단독으로 또는 스토리지(2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14-1) 컴포넌트들과 결합하여 네트워크 노드(14-1)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코딩된 로직의 결합 중 하나 이상의 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는 스토리지(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피처들 또는 이점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무선 피처들을 WD(16)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0)는 영구 스토리지, 고상 메모리(solid state memory),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이동식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한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토리지(20)는 네트워크 노드(14-1)에 의해 활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명령어들,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0)는 프로세서(18)에 의해 행해지는 임의의 계산들 및/또는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수신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4-1)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14-1), 네트워크(12) 및/또는 WD(16)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2)는 네트워크 노드(14-1)가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12)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코딩 또는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는 또한 안테나(24)에 커플링될 수 있거나 그 일부일 수 있는 무선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는 무선 접속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WD들에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 후, 무선 신호는 안테나(24)를 통해 적절한 수신자(예를 들어, WD(16))로 송신될 수 있다.
안테나(24)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24)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형 또는 패널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는 임의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섹터형 안테나는 특정 영역 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패널형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시선 안테나(line of sight antenna)일 수 있다.
WD(16)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엔드포인트, 무선 머신, 이동국, 모바일 전화, 무선 로컬 루프 전화, 스마트폰, UE, 데스크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셀룰러 전화, 태블릿, 랩탑, 또는 네트워크 노드(14-1)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로/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P)(VoIP) 전화 또는 핸드셋 및/또는 기타 WD들일 수 있다. WD(16)는 프로세서(26), 스토리지(28), 인터페이스(30) 및 안테나(3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14-1)와 마찬가지로, WD(16)의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더 큰 박스 내에 위치된 단일의 박스들로서 도시되지만, 실제로 무선 디바이스는 단일의 예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토리지(28)는 다수의 개별 마이크로칩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마이크로칩은 총 스토리지 용량의 일부를 나타낸다).
프로세서(26)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자원,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단독으로 또는 스토리지(28)와 같은 다른 WD(16) 컴포넌트들과 결합하여 WD(16)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코딩된 로직의 결합 중 하나 이상의 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피처들 또는 이점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무선 피처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28)는 영구 스토리지, 고상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 매체, RAM, ROM, 이동식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컬 또는 원격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한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토리지(28)는 WD(16)에 의해 활용되는 소프트웨어 및 인코딩된 로직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명령어들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8)는 프로세서(26)에 의해 행해지는 임의의 계산들 및/또는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수신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는 WD(16)와 네트워크 노드(14-1)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30)는 WD(16)가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4-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포맷팅, 코딩 또는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는 또한 안테나(32)에 커플링될 수 있거나 그 일부일 수 있는 무선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는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4-1)로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들을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 후, 무선 신호는 안테나(32)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14-1)로 송신될 수 있다.
안테나(32)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32)는 무선 신호들을 송신/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형 또는 패널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안테나(32)는 무선 신호가 사용되고 있는 범위에서 인터페이스(3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단계들은 단지 특정 실시예들의 예시일 뿐이다. 모든 실시예들이 개시된 모든 단계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단계들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정확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의 단계에 고유한 단계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단계들, 방법들 또는 기능들이,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컴포넌트들 및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20)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8)(및 인터페이스(22) 및 스토리지(20)와 같이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엔티티들 및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단계들, 방법들 또는 기능들이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은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들, 서브 루틴들, 라이브러리들, 소스 코드, 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기능 모듈들은 가능하게는 스토리지(28 및/또는 20)와 협력하여 프로세서들(26 및/또는 1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26 및/또는 18) 및 스토리지(28 및/또는 20)는 프로세서들(26 및/또는 18)이 스토리지(28 및/또는 20)로부터 명령어들을 페치하고, 페치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각각의 기능 모듈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단계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6),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16)의 접속을 일시중지시키는 네트워크 노드(14)(본 명세서에서는, 일시중지 네트워크 노드(suspending network node)로 지칭됨),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16)의 접속을 재개시키는 네트워크 노드(14)(본 명세서에서는, 재개 네트워크 노드(resuming network node)로 지칭됨)에서 수행되는 기본 단계들에 대한 설명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 이하의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0)는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LTE 또는 그 장래의 변형이며, 따라서, 3GPP 용어가 사용된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16)는 UE(16)로 지칭되고, 일시중지 네트워크 노드(14)는 일시중지 eNB(14)로 지칭되고, 재개 네트워크 노드(14)는 재개 eNB(14)로 지칭된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eNB(14-1)는 재개 eNB이고, eNB(14-2)는 일시중지 eNB이다. 설명은 도 4의 시그널링도를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UE(16)는 소스 eNB(14-2)와의 확립된 RRC 접속을 갖는다. 일부 트리거링(예를 들어, UE 비활성화 타이머의 만료)으로 인해, 소스 eNB(14-2)는 UE(16)에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RRC 접속을 일시중지하기로 결정한다(단계(100)). 따라서, eNB(14-2)는 일시중지 eNB(14-2)로 지칭된다. UE(16)는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UE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IDLE/SUSPENDED 상태로 전환된다. eNB(14-2)로 하여금 RRC 접속을 일시중지하게 하는 다양한 트리거링들이 구상될 수 있다.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는 액세스 계층(AS) 보안이 나중에 재확립될 때 요구되는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다음 홉 체이닝 카운터(NCC) 및 보안 알고리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UE(16)에 의해 그것의 UE 컨텍스트에 더하여 저장된다.
일시중지 eNB(14-2)에 의해 서빙되는 셀이 크고, 많은 일시중지된 UE들을 포함하는 경우, 일시중지 eNB(14-2)는 GROUP_ID를 할당하여 어드레스 가능한 UE 컨텍스트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GROUP_ID는 RRC 접속 일시중지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GROUP_ID는, RRC 접속이 초기에 확립될 때, 예를 들어, RRC 접속 확립(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의 두 번째 단계에서 UE(16)에 전송된다. 접속 확립 절차 동안에 GROUP_ID가 UE(16)에 전송되는 경우, GROUP_ID는 RRC 접속 재개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RRC 접속 재개 메시지로 전송되어, GROUP_ID가 변경되면 GROUP_ID와 새로운 셀(즉, RRC 접속이 후속하여 재개되는 셀) 내의 UE 아이덴티티의 결합이 새로운 셀 내에서 고유함을, 즉, 새로운 셀 내에서 임의의 다른 UE에 대해 사용되지 않음을 보장하게 할 수 있다.
새로운 업링크(UL) 데이터가 도달할 때까지(즉, 새로운 데이터가 UE(16)의 업링크 버퍼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UE(16)가 페이징될 때까지, UE(16)는 IDLE/SUSPENDED 상태를 유지한다(단계(102)). 시간상으로 어느 정도 나중에는, 새로운 데이터가 UE(16)에서 업링크 버퍼에 도달하거나 또는 UE(16)가 네트워크(12)에 의해 페이징되고 있다. 이것, 또는 UE(16)와의 접속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다른 액티비티는 UE(16)가 RRC 접속을 재개하도록 트리거링한다. 임의적으로,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UE(16)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며, 여기서 UE(16)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고(단계(104)), 이에 응답하여, eNB(14-1)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단계(106)). UE(16)는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타겟 또는 재개 eNB로 지칭되는 eNB(14-1)에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RRC 접속을 재개한다(단계(108)). UE(16)는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에 자신의 재개 ID 및 인가 토큰을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재개 ID는 실시예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부분은 eNB 및 셀을 식별하고, 다른 부분은 셀 내의 일시중지된 UE를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개 ID는 그룹 식별자인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재개 ID는 이하의 서브-부분들로 구성된 합성 식별자이다.
·ECI. ECI는 28비트의 길이이고, 일시중지 셀의 SIB1에서 브로드캐스팅된다. 이것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내에서 eNB 및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RNTI. C-RNTI는 16비트의 길이이고, 랜덤 액세스 절차 동안 일시중지 셀에 의해 할당된다.
·GROUP_ID. GROUP_ID는 16비트의 C-RNTI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 어드레스 공간을 확장하는 데 사용되는 새로운 식별자이다. 이것은 단계(10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시중지 eNB(14-2)에 의해 UE(16)에 할당된다.
재개 eNB(14-1)는 ECI에 기초하여 일시중지 eNB(14-2)의 위치를 찾고, UE(16)와 연관된 UE 컨텍스트를 리트리브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단계(110)). UE 컨텍스트 요청은 UE(16)의 재개 ID를 포함한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전체 재개 ID를 포함하기보다, UE 컨텍스트 요청은 C-RNTI, 및 포함된 경우, UE(16)의 GROUP_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중지 eNB(14-2)는 C-RNTI 및 GROUP_ID(존재하는 경우)와 연관된 UE 컨텍스트를 리트리브하고, UE 컨텍스트를 재개 eNB(14-1)에 전송한다(단계(112)). UE 컨텍스트 응답은 또한 AS 보안 키, 보안 알고리즘 구성 및 인가 토큰을 포함한다.
UE 컨텍스트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일시중지 eNB(14-2)는 재개 ID가 누락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로 응답한다.
UE 컨텍스트가 발견된 경우, 재개 eNB(14-1)는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에서 UE(16)로부터 수신된 인가 토큰을 일시중지 eNB(14-2)로부터 수신된 인가 토큰과 매칭시킴으로써 이를 검증한다(단계(114)). 다음으로, 재개 eNB(14-1)는 일시중지 eNB(14-2)로부터 수신된 AS 보안 키 및 보안 알고리즘 구성을 사용하여 AS 보안을 활성화한다(단계(114)).
재개 eNB(14-1)는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RRC 접속 재개 메시지를 UE(16)에 전송한다(단계(116)).
경합 해결이 이 단계의 일부로서도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도록 한다. 다수의 UE들이 동시에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는 경우, 이들은 모두 동일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할 것이고, 따라서 업링크 송신을 위해 동일한 자원을 사용할 것이다. 이 경우, eNB는 다수의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들을 수신할 것이지만, 단지 이들 중 하나만 디코딩하여 응답할 수 있을 뿐이다. UE가 eNB가 실제로 어떤 UE에 응답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기 위해, eNB는 그 응답에 RRC 접속 재개 요청의 사본을 포함한다. 수신된 메시지와 송신된 메시지, 즉, RRC 접속 재개 요청 간의 매칭을 알아차린 UE만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성공으로 선언할 것이다. 따라서, 매칭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UE(16)는 경합 해결을 목적으로 RRC 접속 재개 메시지에 포함된 RRC 접속 재개 요청의 사본을 RRC 접속 재개 요청의 로컬 사본과 비교한다. 수신된 사본과 로컬 사본 간에 매칭되는 경우, UE(16)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성공으로 선언할 것이다. RRC 접속 재개 요청은 UE들간에 고유한 재개 ID를 포함하기 때문에, 단 하나의 UE만이 성공할 것이다. 다른 UE들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것이다.
경합 해결은 RRC 접속 확립/재확립을 위해 오늘날 행해지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계층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즉, RRC 접속 재개 요청의 사본이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의 MAC 제어 엘리먼트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점은 이 제어 엘리먼트의 사이즈가 RRC 접속 재개 요청의 사이즈보다 작은 48비트로 고정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핸들링하는 데에는 2가지 주된 옵션이 있다.
·더 큰 사이즈의 새로운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를 도입한다.
·기존의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를 사용하되,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로부터 컨텐츠의 일부들(예를 들어, C-RNTI, GROUP-ID(필요한 경우) 및 인가 토큰)만이 복사된다. 따라서, UE(16)에서는, RRC 접속 재개 메시지에 포함된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의 일부와 RRC 접속 재개 요청의 해당 일부의 로컬 사본 간에 매칭되는 경우에, UE(16)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성공으로 선언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는 더 이상 고유하지 않을 수 있고, 둘 이상의 UE에 대해 경합 해결이 성공할 것이라는 작은 위험이 있다. 그러나, AS 보안이 활성화되고, 올바른 키를 가진 UE만이 후속 메시지들을 해독하고 그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감지되고 해결될 수 있다.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로부터 컨텐츠의 일부들을 복사하는 것은, 예를 들어,
·특정 정보 엘리먼트들 및/또는 정보 엘리먼트들의 일부들만을 포함함으로써, 또는
·RRC 메시지 타입의 식별, 및 특정 정보 엘리먼트들 및/또는 정보 엘리먼트들의 일부들을 포함하여 RRC 접속 재개 메시지의 제1 부분을 복사함으로써, 또는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CCCH)로부터의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SDU))를 기존의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의 사이즈(즉, 레거시 LTE에서의 48비트)로 절단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CCCH로부터의 SDU를 절단함으로써, RRC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타입이 유지되고, 레거시 RRC 접속 요청, RRC 접속 재확립 요청 및 RRC 접속 재개 요청에 대한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들이 RRC 메시지에 포함된 UL-CCCH의 메시지 타입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CCCH로부터의 절단된 SDU가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로서 사용되는 경우, 새로운 기능을 구현 또는 이해하지 못하는 레거시 UE들에 대한 모호성이 회피되며, 즉, 레거시 UE들이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RRC 접속을 재개하려고 시도하는 UE들 사이에서 CCCH로부터의 절단된 SDU가 더 이상 고유한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를 제시하지 않는 경우, 충돌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AS 무결성의 검증에 의해 감지되고 해결될 수 있다. 충돌의 위험은 RRC 접속 재개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의 엔트로피가 높아지는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으며, 즉, 2개 이상의 UE가 동일한 셀에서 동시에 동일한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를 사용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 재개 ID에서의 정보의 예시적인 배열에서, 제1 부분은 C-RNTI, 그 뒤에 GROUP_ID(GROUP_ID가 필요/사용되는 경우) 및 ECI가 올 수 있다.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에서 엔트로피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절단된 RRC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는 경우에, C-RNTI, GROUP_ID 및 ECI 부분들의 비트 순서들은 반전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ECI의 셀 아이덴티티 부분이 ECI의 eNB 부분 앞에 온다. C-RNTI 및 GROUP_ID 부분들의 비트 순서의 반전은 이들이 점진적으로 할당되고 분포가 더 작은 값들로 편향되는 것에 가정한다. C-RNTI 및 GROUP_ID의 비트 순서들을 반전시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할당 알고리즘이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UE는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을 확인응답할 수 있다(단계(118)). 단계(118)는 임의적이라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그 후, UE(16)는 RRC CONNECTED 상태에 있게 되고, 이어서 재개된 RRC 접속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단계(120)),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122)).
상기 설명에서, 일시중지 eNB(14-2)는 재개 eNB(14-1)와 상이한 것으로 가정되며, 즉, 인터-eNB RRC 재개가 가정된다. 일시중지 및 재개 eNB들(14)이 동일하거나, 동일한 eNB(14)인 경우, 즉, 인트라-eNB RRC 재개를 가정하는 경우, 절차는 단계들(110 및 112)이 eNB(14)에서 내부적으로 수행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들이 주로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위에서 개시된 것들 이외의 실시예들도 동등하게 가능하며, 본 개시내용 및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개념들의 범위 내에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상이한 결합들이 논의되긴 했지만, 모든 가능한 결합들이 개시되지는 않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결합들이 존재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다른 표준들 및 통신 시스템들에도 그 자체로 적용 가능하고, 다른 피처들과 관련하여 개시되는 특정 도면으로부터의 임의의 피처가 임의의 다른 도면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고/거나 상이한 피처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단계들, 방법들 또는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은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들, 서브 루틴들, 라이브러리들, 소스 코드, 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기능 모듈들은 가능하게는 스토리지(28 및/또는 20)와 협력하여 프로세서들(26 및/또는 1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26 및/또는 18) 및 스토리지(28 및/또는 20)는 프로세서들(26 및/또는 18)이 스토리지(28 및/또는 20)로부터 명령어들을 페치하고, 페치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각각의 기능 모듈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단계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7은 무선 디바이스(16) 및 네트워크 노드(14)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6)는 제1 수신 모듈(34-1), 송신 모듈(34-2) 및 제2 수신 모듈(34-3)을 포함한다. 제1 수신 모듈(34-1)은, 제1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무선 디바이스(16)와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메시지의 수신시, 무선 디바이스(16)는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즉, UE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송신 모듈(34-2)은,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14)에게, 무선 디바이스(16)와 무선 네트워크(16)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resume identifier)를 포함하고, 여기서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16)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부분, 및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2 수신 모듈(34-3)은, 제2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6)와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16)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4)는 수신 모듈(36-1), 획득 모듈(36-2) 및 송신 모듈(36-3)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36-1)은, 무선 디바이스(16)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6)와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재개 식별자는, 무선 디바이스(16)가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14) 및 셀을 식별하는 부분, 및 셀 내의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36-2)은,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이전에 무선 디바이스(16)와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송신 모듈(36-3)은, 무선 디바이스(16)에게, 무선 디바이스(16)와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16)의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14)의 가상화된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다른 타입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특히,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하여) 유사한 아키텍처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상화된" 기지국(14)은 기지국(14)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의 물리적 프로세싱 노드(들) 상에서 실행되는 가상 머신(들)을 통해) 가상 컴포넌트로서 구현되는 기지국(14)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4)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18), 스토리지(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A)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38)을 임의적으로 포함한다. 기지국(14)은 또한, 다수의 안테나들(24)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4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42)를 포함하며 무선 인터페이스로도 지칭될 수 있는 트랜시버(22B)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38)(존재하는 경우)은, 예를 들어, 광 케이블 등을 통해 트랜시버(22B)에 접속된다. 제어 시스템(38)(존재하는 경우)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A)를 통해 네트워크(들)(46)에 커플링되거나 그 일부로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노드(44)에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제어 시스템(38)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트랜시버(22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노드(44)에 접속된다. 각각의 프로세싱 노드(4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8)(예를 들어, CPU들, ASIC들, FPGA들 등), 스토리지(50)(예를 들어, 메모리)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지국(14)의 기능들(5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노드(44)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제어 시스템(38)(존재하는 경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노드(44)에 걸쳐 분산된다.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지국(14)의 기능들(54)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싱 노드(들)(44)에 의해 호스팅되는 가상 환경(들)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원하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싱 노드(들)(44)와 제어 시스템(38)(존재하는 경우), 또는 대안적으로는 트랜시버(22B) 사이의 부가적인 시그널링 또는 통신이 사용된다. 특히,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어 시스템(38)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트랜시버(22B)는 적절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를 통해 프로세싱 노드(들)(44)와 직접 통신한다.
다음의 두문자어들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3GPP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S 액세스 계층(Access Stratum)
·ASIC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BS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T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CCCH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CPU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RNTI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ECI 이볼브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셀 식별자(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Cell Identifier)
·eNB 인핸스드 또는 이볼브드 노드 B(Enhanced or Evolved Node B)
·E-UTRAN 이볼브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FPGA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ID 식별자(Identifier)
·IP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LAN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MAC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TC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NCC 다음 홉 체이닝 카운터(Next Hop Chaining Counter)
·PDA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LMN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STN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RA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T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NC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O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RC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SDU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
·SIB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VoIP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D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
·W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개시내용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개선들 및 수정들을 인식할 것이다. 모든 이러한 개선들 및 수정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개념들 및 이하 청구범위의 범위 내인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52)

  1. 무선 네트워크(10)에서의 무선 디바이스(16)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suspend)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00) -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시(100),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함 -;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14)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108) - 상기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resume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16)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10)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이볼브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셀 식별자(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Cell Identifier(ID))(ECI)이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RNTI)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 내의 상기 부분들의 순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 내의 상기 부분들의 순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 내의 상기 부분들의 순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후에 발생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들 내의 비트 순서들은 반전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제어 엘리먼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authorization token)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인가 토큰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uplink common control channel service data unit)로 송신되고,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LTE에서의 기존의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content resolution identity MAC control element)의 사이즈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48비트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베어러 구성 및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2)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1)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인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인 방법.
  20. 무선 네트워크(10)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16)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14) 사이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터페이스(30);
    프로세서(26); 및
    스토리지(28)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28)는 상기 프로세서(26)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제1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함 -,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제2 네트워크 노드(14)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고 - 상기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16).
  21. 무선 네트워크(10)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16)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제1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함 -,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14)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고 - 상기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디바이스(16).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제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무선 디바이스(16).
  23. 무선 네트워크(10)를 위한 무선 디바이스(16)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수신 모듈(34-1) -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함 -;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14)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모듈(34-2) - 상기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수신 모듈(34-3)
    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6).
  24. 무선 네트워크(10)에서의 네트워크 노드(14)의 동작 방법으로서,
    무선 디바이스(16)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08) - 상기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이전에 저장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110-112);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116)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4)는 제1 네트워크 노드(14-1)이고,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14-2)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1)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2)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이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110-112)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2)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110);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2)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112)
    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상기 요청은 상기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14)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인가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114)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4)와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이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110-112)는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단계(110-112)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10)는 롱 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이볼브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셀 식별자(ID)(ECI)이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은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인 방법.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 내의 상기 부분들의 순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는 방법.
  31.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 내의 상기 부분들의 순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는 방법.
  32.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 내의 상기 부분들의 순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처음에 발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 이후에 발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이 상기 순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 이후에 발생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들 내의 비트 순서들은 반전되는 방법.
  35.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37.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14)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안전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인가 토큰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인가 토큰을 포함하는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 할당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재개 식별자의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42.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LTE에서의 기존의 경합 해결 아이덴티티 MAC 제어 엘리먼트의 사이즈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43.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상기 제1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48비트로 절단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44. 제24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베어러 구성 및 보안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방법.
  45. 제24항 및 제2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4)는 제1 네트워크 노드(14-1)이고,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14-2)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14-1)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2)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인 방법.
  46. 제24항 및 제2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4)와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인 방법.
  47. 무선 네트워크(10)를 위한 네트워크 노드(14)로서,
    인터페이스(22);
    프로세서(18); 및
    스토리지(2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20)는 상기 프로세서(18)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4)는,
    무선 디바이스(16)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이전에 저장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14).
  48. 무선 네트워크(10)를 위한 네트워크 노드(14)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4)는,
    무선 디바이스(16)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이전에 저장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적응되는 네트워크 노드(14).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4)는 제25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네트워크 노드(14).
  50. 무선 네트워크(10)를 위한 네트워크 노드(14)로서,
    무선 디바이스(16)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 모듈(36-1) - 상기 제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재개 식별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가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노드를 식별하는 부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를 식별하는 부분
    을 포함함 -;
    상기 재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을 일시중지할 때 이전에 저장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한 획득 모듈(36-2);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송신 모듈(36-3)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4).
  51. 무선 네트워크(10)에서의 무선 디바이스(16)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접속을 일시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00) -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시(100), 상기 무선 디바이스(16)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일시중지된 동작 모드로 진입함 -;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시, 제2 네트워크 노드(14)에게,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108) - 상기 제2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14)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의 상기 저장된 무선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16)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메시지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6)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10) 사이의 상기 접속이 재개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로 송신되고,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는 상기 업링크 공통 제어 채널 서비스 데이터 단위의 절단된 버전인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경합 해결을 위해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의 사본을 상기 제2 메시지의 일부의 대응하는 로컬 버전과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16959A 2015-11-17 2016-11-15 Rrc 재개에서의 ue 식별자 KR10206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56378P 2015-11-17 2015-11-17
US62/256,378 2015-11-17
PCT/IB2016/056867 WO2017085621A1 (en) 2015-11-17 2016-11-15 Ue identifier in rrc resu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102A true KR20180084102A (ko) 2018-07-24
KR102067012B1 KR102067012B1 (ko) 2020-01-17

Family

ID=5739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959A KR102067012B1 (ko) 2015-11-17 2016-11-15 Rrc 재개에서의 ue 식별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945303B2 (ko)
EP (2) EP3979764A1 (ko)
KR (1) KR102067012B1 (ko)
DK (1) DK3378273T3 (ko)
ES (1) ES2907677T3 (ko)
HU (1) HUE058340T2 (ko)
PL (1) PL3378273T3 (ko)
WO (1) WO20170856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63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RRC 재개 후 RLF에 관련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Tx UE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676A1 (en) * 2016-02-02 2017-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with resume id for suspend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35638A (ko) * 2016-09-29 2018-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RRC Inactive 및 active 상태에서 data 전송 결정 및 방법 및 장치
GB2555784A (en) * 2016-11-04 2018-05-1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11184938B2 (en) * 2017-03-24 2021-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RRC connection
CN110741725B (zh) * 2017-06-16 2023-06-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恢复连接
CN111278072A (zh) * 2017-09-04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WO2019061135A1 (en) * 2017-09-28 2019-04-04 Lenovo (Beijing) Limited EXECUTING A REPEAT REQUEST PROCESS
WO2019101189A1 (en) 2017-11-27 2019-05-3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same
WO2019161545A1 (zh) * 2018-02-23 2019-08-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完整性校验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3777280B1 (en) * 2018-03-26 2023-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urity verification when resuming an rrc connection
CN110351894A (zh) * 2018-04-04 2019-10-1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认证ue的方法和设备
WO2019202513A1 (en) 2018-04-16 2019-10-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urity handling for rrc resume from inactive state
WO2019216749A1 (ko) * 2018-05-09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u 에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137760A1 (en) * 2018-10-31 2020-04-3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using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165843A1 (en) * 2019-02-14 2020-08-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handling context information for mobile-terminated early data transmission
EP4104631A1 (en) * 2020-02-14 2022-1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in a radio access network for improving the rrc resume proced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97A2 (en) * 2010-03-26 2011-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20110292790A1 (en) * 2008-12-11 2011-12-01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EP2645804A1 (en) * 2012-03-27 2013-10-02 BlackBerry Limited Re-establishment of suspended RRC connection at a different ENB
WO2013144613A1 (en) * 2012-03-27 2013-10-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B STOR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ANOTHER NETWORK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5121B2 (en) * 2012-03-27 2015-10-06 Blackberry Limited Re-establishment of suspended RRC connection at a different eNB
GB2515456B (en) * 2013-04-05 2015-11-11 Broadcom Corp Resource Control
PL3582551T3 (pl) * 2015-02-06 2021-1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osób i urządzenie do optymalizacji sygnalizacji
WO2017196126A1 (en) * 2016-05-12 201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2790A1 (en) * 2008-12-11 2011-12-01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WO2011118997A2 (en) * 2010-03-26 2011-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EP2645804A1 (en) * 2012-03-27 2013-10-02 BlackBerry Limited Re-establishment of suspended RRC connection at a different ENB
WO2013144613A1 (en) * 2012-03-27 2013-10-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B STOR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ANOTHER NETWORK COMPONENT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54452 *
3GPP R2-156350* *
3GPP R2-156424 *
3GPP TR 23.720 V1.1.0* *
3GPP TS 36.300 V13.1.0 *
3GPP TS 36.331 V12.7.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63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RRC 재개 후 RLF에 관련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Tx UE의 동작 방법
US11432358B2 (en) 2019-03-28 2022-08-30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sidelink TX UE for transmitting Rrc message related to RLF after RRC re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5621A1 (en) 2017-05-26
US20230262830A1 (en) 2023-08-17
US20190357296A1 (en) 2019-11-21
DK3378273T3 (da) 2022-02-21
US10945303B2 (en) 2021-03-09
EP3979764A1 (en) 2022-04-06
HUE058340T2 (hu) 2022-07-28
PL3378273T3 (pl) 2022-06-13
EP3378273A1 (en) 2018-09-26
EP3378273B1 (en) 2022-02-09
ES2907677T3 (es) 2022-04-26
KR102067012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62830A1 (en) Ue identifier in rrc resume
KR102568700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CN110786065B (zh) 在ran非活动模式下的下行链路传输
US20200120570A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9548098B (zh) 会话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5142417B2 (ja) リンク障害復旧のため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とこの方法を具現するための無線機器及び基地局
US11889373B2 (en) Radio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re-establishing a radio connection
EP3689096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r pdcp preservation upon rrc resume/suspend
US20190208411A1 (en) Security framework for msg3 and msg4 in early data transmission
US20170099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US11672044B2 (en) UE identifier in RRC resume
WO2018126801A1 (zh) 数据发送、数据接收方法及装置
WO2019062996A1 (zh) 一种安全保护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503003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US9820327B2 (en) Re-attaching to the network after reception of a service reject at a user equipment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KR20160010520A (ko) 네트워크 노드 및 방법
US11405830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90124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Provisioned Security Protection
WO2019219752A1 (en) Conditional connection and tunnel setup for small data transmission
US9820331B1 (en) UE-context release in response to failure of air interface communication
US20200323017A1 (en) 5G NAS Recovery from NASC Failure
WO2021201729A1 (en) Faster release or resume for ue in inactive state
CN116783986A (zh) 用于数据发射处理的方法及设备
US10123373B1 (en) Transfer of WCD service-context information through the WCD to facilitate transition of the WCD to a new serving base station
WO2020012658A1 (ja)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認証データ取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