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576A -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 Google Patents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576A
KR20180083576A KR1020170006009A KR20170006009A KR20180083576A KR 20180083576 A KR20180083576 A KR 20180083576A KR 1020170006009 A KR1020170006009 A KR 1020170006009A KR 20170006009 A KR20170006009 A KR 20170006009A KR 20180083576 A KR20180083576 A KR 20180083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vator
building
bluetoo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득환
정승은
윤태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윤태현
정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윤태현, 정승은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576A/en
Publication of KR2018008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and a door lock using Bluetooth,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and a door lock using Bluetooth which automatically performs calling an elevator and releasing a lock of a door in a building set by a user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of a smartphone to reduce time taken to operate the elevator and the door. The control method comprises: a user function setting step which inputs user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a building and a room number used by a user, to a smartphone of the user; a building searching step which searches a control unit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phone of the user; a connecting step which,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information is searched, connects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Bluetooth of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 elevator calling step which, after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calls an elevator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 gets on, operates the elevator to a floor where the room of the user information is placed; a door lock releasing step in which, when the elevator arrives the floor where the room is placed,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releases the lock of the room′s door; and a locking step in which,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door,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locks the door.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와 현관문을 조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축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호출과 현관문의 잠금 해제를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using Bluetoo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vator of a building set by a user and unlocking an entrance door of a user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operating the elevator and the front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Bluetooth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단거리내에 존재하는 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에는 적외선 통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적외선 통신은 하드웨어 구조가 간단하고, 소비전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이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었다.Generally,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s mainly use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devices existing within a short distance. Infrared communic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ardware structure is simple, power consumption is low, data transmission is efficient and reliability is high there was.

반면, 적외선 통신은 제조사별로 수신모드가 달라 데이터의 포맷 또는 프로토콜의 제약이 크고 전송속도가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frared communic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ception mode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and the format or protocol of the data is restricted and the transmission speed is very low.

이와 같은 적외선 통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거리에서 적외선 통신을 대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개념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개발되었으며, 블루투스는 각종 전자기기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shortcoming of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has been developed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cept replacing infrared communication at a short distance. Bluetooth has been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electronic devices by using radio frequency without physical cable, I can receive the exchange.

현재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춘 노트북, 태블릿을 비롯하여 냉장고, 티비 등의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자제품이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있다.Currently, a wide range of electronic products, including smartphones, laptops and tablets with data communication capabilities, as well as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TVs, support Bluetooth.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는 블루투스가 내장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활용하여 보다 쉽게 사용자가 현관물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국등록특허 제10-2005-0015000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과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하나의 도어락에만 적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Since the smart phone used by most people has built-in Bluetooth, Korean Patent No. 10-2005-0015000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only one door lock.

이에 따라, 건물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현관문 중 사용자 별로 제어가 필요한 어느 하나의 도어락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a door lock which is required to be controll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front door doors existing in a building.

또한, 현관문의 도어락뿐만 아니라, 건물에 사용자가 출입하는 과정에서 시행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부터 도어락의 잠금해제 및 잠금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a call of an elevator to unlocking and locking of a door lock, which is performed in a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a building, as well as door locks of an entrance door.

한국등록특허 제10-2005-0015000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Korean Patent No. 10-2005-0015000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에 출입하는 사용자 별로 각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 현관문의 도어락을 별도로 제어하기 위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for separately controlling a door lock of each entrance door according to the setting of each user for each user entering and leaving the building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에 출입하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호출에서부터 현관문의 잠금 해제 및 잠금까지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nd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Bluetooth for a user entering and exiting a building to automatically perform an operation from the call of the elevator to the unlocking and locking of the front door without the user performing a separate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건물 및 호실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의 제어부를 검색하는 건물 검색 단계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의 제어부가 검색되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통해 제어부와 연결한 후 사용자 정보를 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연결 단계와 건물의 제어부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후 사용자가 탑승하면, 사용자 정보의 해당 호실이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와 엘리베이터가 해당 호실이 위치한 층에 도착하면, 건물의 제어부가 해당 호실의 현관문을 잠금 해제시키는 현관문 잠금 해제 단계와 사용자가 현관문을 통과하면, 건물의 제어부가 현관문을 잠그는 잠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elevator and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function setting step of inputting user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to be used by a user to a smart phone of a user, When a building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a controller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and a controller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are detected, An elevator calling step of operating the elevator to a floor where the corresponding room of the user information is located when the user is boarded after the elevator is called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he room And a locking step of locking the front door of the building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front door,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locks the front door of the room, .

또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건물 및 호실 정보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건물 및 호실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elects and input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in the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list provided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함께 입력받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를 통해 입력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receive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levator used by the user together, and the elevator calling step calls the elevator inputted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또한, 상기 연결 단계와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 사이에 상기 연결 단계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제어부에 기 설정된 보안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user authentication step of requesting the smart phon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step between the connection step and the elevator calling step to request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curity information preset in the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의하면, 건물에 출입하는 사용자 별로 각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 현관문의 도어락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and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of each door can be separat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each user for each user entering and exiting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의하면, 건물에 출입하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호출에서부터 현관문의 잠금 해제 및 잠금까지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and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 that a user entering a build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a user performing a separate operation from the call of the elevator to the unlocking and locking of the door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
1 is a flowchart show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2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or 4 illustrates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flowchart show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IG. 2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건물 및 호실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의 제어부를 검색하는 건물 검색 단계(S2)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의 제어부가 검색되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통해 제어부와 연결한 후 사용자 정보를 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연결 단계(S3)와 건물의 제어부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후 사용자가 탑승하면, 사용자 정보의 해당 호실이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S5)와 엘리베이터가 해당 호실이 위치한 층에 도착하면, 건물의 제어부가 해당 호실의 현관문을 잠금 해제시키는 현관문 잠금 해제 단계(S6)와 사용자가 현관문을 통과하면, 건물의 제어부가 현관문을 잠그는 잠금 단계(S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ilding search step S2 for searching a control unit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1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phone of the smartphone and a controller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information A connection step S3 of connect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Bluetooth of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user calls the elevator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 elevator calling step (S5) for operating the elevator to the floor where the room is located, (S6) for unlocking the front door of the room when the controller of the building arrives at the floor where the room is located, and a lock step (S6) for locking the front door when the user passes the front door (S7).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건물 및 호실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각 건물의 제어부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연결시켜 추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승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1 is configured such that a user directly inputs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provided offline, and the controller of each building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of the smartphone so that it can be used lat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는 인터넷 등 온라인으로 연결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어부가 설치된 건물 및 호실 정보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건물 및 호실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1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d input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in the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list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provided from a server connected online such as the Internet .

이때, 인터넷 등 온라인 상으로 제공된 제어부가 설치된 건물 및 호실 정보 리스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면, 해당 건물의 제어부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별도의 추가적인 설정없이 없이 상기 건물 검색 단계(S2)를 통해 해당 건물의 제어부가 검색되면, 상기 연결 단계(S3)를 통해 즉시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보안을 위해서 최초 1회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별도의 설정을 요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and inputs a building and a room information list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provided on-line such as the Internet,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and the Bluetooth of the smart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dditional setup S2, the control unit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is searched, the connection is immediately established through the connection step (S3), but it may be configured to require separate setting at the first time 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security .

또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함께 입력받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는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를 통해 입력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so,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1)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used by the user together, and the elevator calling step calls the elevator inputted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1)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

또한, 상기 연결 단계(S3)와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S5) 사이에 상기 연결 단계(S3)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제어부에 기 설정된 보안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S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 user authentication step S4 of request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curity information preset in the control unit to the smartphon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step S3 between the connection step S3 and the elevator calling step S5,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하게는, 각 건물의 제어부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보안정보에 대응 하는 인증 정보를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S5)를 비롯한 현관문 잠금 해제 단계(S6) 등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fter the user inpu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ler or the server of each building through the smart phone, the door unlocking step S6 including the elevator calling step S5 and the like To be performed.

예를 들면, 상기 연결 단계(S3)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블루투스를 통해 해당 건물의 제어부와 연결되면, 서버 또는 해당 건물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보안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스마트폰에 요청하고, 비밀번호 또는 지문, 홍채 등의 사용자의 신체 정보등을 비롯한 인증 정보를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martphone of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through the connection step S3, the control unit of the server or the building reques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t security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 Password, or user's body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and iris, and the like through the smartphone.

이때, 올바른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S5)를 비롯한 다음 과정이 실시되되, 올바르지 않은 인증 정보가 입력될 시 다음 과정이 실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correc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the following process including the elevator calling step S5 is performed, but the following process is not performed when incorrec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로써,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1)이 기 설정된 건물의 제어부(2)에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2)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엘리베이터(3)를 호출하고, 해당층에 엘리베이터(3)가 도착하면, 복수 개의 현관문(D1, D2, D3) 중 사용자 정보에 설정된 현관문의 도어락을 선택적으로 해제하게 된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an elevator and a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mart phone 1 carried by a user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2 of a predetermined building via Bluetooth, The door 2 calls the elevator 3 based on the preset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elevator 3 arrives at the floor, the door lock of the entrance door set in the user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the front door doors D1, D2, And is selectively released.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도시한 것이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S1)는 도 3의 (3-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기능 설정"버튼의 선택을 통해 도 3의 (3-I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며, 도 3의 (3-II) 또는 (3-I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층수를 설정하거나, 오프라인에서 제공하는 기 설정된 엘리베이터 시리얼 번호 및 현관문 시리얼 번호를 기재하게 된다.3 or FIG. 4 shows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levator and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S1 is a step of setting the user function, (3-II) of FIG. 3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 user function setting "button, Set the number of floors to be moved, or specify the predetermined elevator serial number and the front door serial number provided offline.

또는, 도 4의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방에 검색된 건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도 4의 (4-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물의 이동할 층수를 선택한 후 도 4의 (4-I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하는 형태로 빠르고 손쉽게 설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4-I) of FIG. 4, after selecting any of the buildings found in the vicinity, the number of layers to be moved is selected as shown in (4-II) (4-III), the setting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many of such variations.

1 : 스마트폰
2 : 제어부
3 : 엘리베이터
1: Smartphone
2:
3: Elevator

Claims (4)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건물 및 호실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의 제어부를 검색하는 건물 검색 단계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건물의 제어부가 검색되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통해 제어부와 연결한 후 사용자 정보를 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연결 단계와;
건물의 제어부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후 사용자가 탑승하면, 사용자 정보의 해당 호실이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와;
엘리베이터가 해당 호실이 위치한 층에 도착하면, 건물의 제어부가 해당 호실의 현관문을 잠금 해제시키는 현관문 잠금 해제 단계와;
사용자가 현관문을 통과하면, 건물의 제어부가 현관문을 잠그는 잠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
A user function setting step of inputting user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user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A building searching step of searching a controller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phone of the user;
A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he controller with the controller through the Bluetooth of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is found;
An elevator calling step of operating the elevator to the floor where the corresponding room of the user information is located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calls the elevator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 boarded;
An entrance door unlocking step in which a control unit of the building unlocks a front door of the room when the elevator arrives at the floor where the room is locate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passes through the front door, a control part of the building locks the front door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and door lock using Bluetoo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건물 및 호실 정보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건물 및 호실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And selects and input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from the list of building and roo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and door lock using Bluetoo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함께 입력받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 단계를 통해 입력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Receive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levator used by the user together,
The elevator calling step
And the elevator is called through the user function setting step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and door lock using Bluetoo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와 엘리베이터 호출 단계 사이에
상기 연결 단계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제어부에 기 설정된 보안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도어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connecting step and the elevator call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user authentication step of request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connection step for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curity information set in advance,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and door lock using Bluetooth.

KR1020170006009A 2017-01-13 2017-01-13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KR201800835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009A KR20180083576A (en) 2017-01-13 2017-01-13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009A KR20180083576A (en) 2017-01-13 2017-01-13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76A true KR20180083576A (en) 2018-07-23

Family

ID=6310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009A KR20180083576A (en) 2017-01-13 2017-01-13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357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000A (en) 2003-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lock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000A (en) 2003-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lock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118B2 (en)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ccess
JP6441982B2 (en) Digital door lock system
US9344436B1 (en) Proximity-based and user-based access control using wearable devices
RU2674328C2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access authority
WO201705871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ausing a mechanical action based on transient user data
US11540245B2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US20140313010A1 (en) Access control system
EP3129569B1 (en) Temporarily pairing a mobile device with a peripheral device
KR1019634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oorlock
US10586413B2 (en) Entrance and exi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luetooth
EP283333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118223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US10573109B2 (en) Electric lock and method for adding a user of the same
CN105207994A (en) Account number binding method and device
US201503816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6192676A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EP4367650A2 (en) Ultra-wideband accessory devices for radio frequency intent detection in access control systems
JP6810638B2 (en) Relay device and electric lock
JP4402135B2 (en) Devic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device
KR20180083576A (en) elevator and door control methods using bluetooth
JP2020068407A (en) Mobile body control system, mobile body control device, and mobile body control method
JP2016206707A (en) Biologic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system
KR1023441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11385660B2 (en) Hot water supply system,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70065709A (en) Entrance Authenticating Method of Mobile Device Connected to Door Control Apparatus, and Server for Distributing Software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