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405A -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405A
KR20180083405A KR1020187017082A KR20187017082A KR20180083405A KR 20180083405 A KR20180083405 A KR 20180083405A KR 1020187017082 A KR1020187017082 A KR 1020187017082A KR 20187017082 A KR20187017082 A KR 20187017082A KR 20180083405 A KR20180083405 A KR 2018008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hotosensitive element
input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핑 후
Original Assignee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29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입력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키 포지션(110)과 제어 및 판독 회로(120)를 포함한다. 각 키 포지션(110)에는 광 투과창(111) 및 감광성 소자(112)가 배치되어 있고, 광 투과창(111)은 외부 광선이 입사되는데 사용되고, 감광성 소자(112)는 광 투과창(111) 뒤의 광로 상에 배치되며, 그 상태는 입사된 외부 광선의 세기와 서로 대응하며; 제어 및 판독 회로(120)는 각 감광성 소자(112)를 리셋 및 스캔하는데 사용되고, 스캔한 각 감광성 소자(112)의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광 투과창(111)이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광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입력 정보를 얻고, 이것으로 종래의 압력 입력을 대체하며, 응답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손가락의 작업 강도를 줄이고, 손가락의 민첩성에 대한 요구도 낮아진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광 세기 변화를 감지하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이 광범위하게 사용됨에 따라 그 주변 설비로서의 입력장치는 이미 매우 흔한 것이다. 현재, 수동 입력은 여전히 주요 입력 방식이다.
통상적인 입력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 스크린, 버튼 등이며, 기본적으로 모두 압력 발생의 상태 변화로 정보 입력의 목적을 달성한다. 일반적으로, 광 마우스도 압력 버튼을 왼쪽 버튼 및 오른쪽 버튼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압력에 의한 수동 입력 방식은 응답 속도가 느리고, 손가락이 쉽게 피로를 느끼는 등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키 포지션과 제어 및 판독 회로를 포함한다. 각 키 포지션에 광 투과창 및 감광성 소자가 배치되어 있고, 광 투과창은 외부 광선의 입사에 사용되고, 감광성 소자는 광 투과창 뒤의 광로에 배치되며, 그 상태는 입사한 외부 광선의 광 세기와 서로 대응하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각 감광성 소자의 리셋 및 스켄에 사용되고, 스캔한 각 감광성 소자의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광 투과창이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광 세기의 변화를 통해 입력 정보를 얻고, 이로 종래의 압력 입력을 대체함으로써 응답 속도가 더 빠르면서 손가락으로 누를 필요가 없어 손가락에 대한 작업 강도를 경감하고, 차광 위치에 이동하기만 하면 되므로 손가락 민첩성에 대한 요구가 낮아진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조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입력장치의 키 포지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입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3의 입력장치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4의 입력장치의 키 포지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5의 입력장치의 키 포지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키 포지션(key position)(110), 제어 및 판독 회로(control and readout circuits)(120)를 포함한다.
각 키 포지션(110)에는 광 투과창(111) 및 감광성 소자(112)가 배치되어 있다.
광 투과창(111)은 외부 광선이 입사되는데 사용되며(도면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됨), 임의의 형상 및 배치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키 포지션의 광 투과창은 서로 이격될 수도 있고, 단일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의 상부 전체는 모두 광을 투과할 수 있고, 각 키 포지션에 대응하는 광 투과영역을 이 키 포지션의 광 투과창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광 투과창은 입력장치의 커버(131) 상의 개구 또는 통공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광 투과창은 투명재료로 제조된 창일 수 있으며, 커버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으로서, 광 투과창은 입사된 외부 광선이 감광성 소자에 더 양호하게 집광될 수 있도록 집광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성 소자(112)는 광 투과창 뒤의 광로에 배치되며, 그 상태는 입사한 외부 광선의 광 세기와 서로 대응한다. 각종 유형의 감광성 소자는 모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검출 가능한 상태가 서로 다른 입사 광 세기에 따라 대응하는 변화를 일으키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 포토레지스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감광성 소자의 서로 다른 특성에 따라 예를 들어, 저항 값의 변화나 전압 값의 변화 등 상태 변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으로서, 감광성 소자는 광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태양전지판 또는 박막태양 전지판 등일 수 있으며,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 에네지의 전환 및 이용도 가능하다.
제어 및 판독 회로(120)는 각 감광성 소자의 리셋 및 스캔에 사용되며, 스캔한 각 감광성 소자의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광 투과창이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키 신호(key signal)를 출력한다. 가림물(132)은 예를 들어, 손가락, 입력펜 등일 수 있다.
외부 광선을 차단함으로써 감광성 소자에 조사되는 광 세기를 변경하기 때문에 장치 자체 광원은 필요 없다. 감광성 소자가 가려진 상태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제어 및 판독 회로는 키 포지션을 스캔하기 전에 감광성 소자를 리셋하여 이미 축적된 일련의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 리셋이란 감광성 소자를 광선에 조사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초기화 또는 복원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감광성 소자에 대해 초기화 또는 복원하는 구체적인 방법도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신호의 판독단에 무전압(zero voltage) 또는 역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초기화 또는 복원 방식은 사용하는 감광성 소자 자체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 및 판독 회로의 스캔 방식은 종래의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스캔 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기적 스캔 방식 또는 트리거 스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캔할 때마다, 각 키 포지션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하나씩 스캔할 수 있고, 모든 키 포지션을 동시에 스캔할 수도 있다.
제어 및 판독 회로에서 사용되는 키 포지션을 판단하기 위한 논리는 실제 응용 상황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감광성 소자 중의 하나가 광 세기에 따라 변하는 파라미터(포토레지스터의 저항 값, 포토다이오드의 전압 값 등)가 설정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또는 큰 경우), 상기 키 포지션은 가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1차 입력을 생성한다. 다른 예로서, 변동 폭의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감광성 소자의 측정된 파라미터의 변동 폭이 설정 임계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키 포지션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1차 입력을 생성한다. 판단 근거로서의 변화 폭은 변화의 절대 값(예를 들어 이전 스캔에서 얻은 파라미터 값에 대한 차이 값)일 수 있으며, 변화 비율 (예를 들어 가려지지 않은 경우의 파라미터 값 변화에 대한 비율, 여기서 가려지지 않은 경우의 파라미터 값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일 수 있다. 일부 응용에 있어서, 후자는 외부 광 세기가 변할 때에도 키 포지션이 가려진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외에, 이러한 판단 논리를 더 채용할 수 있다. 즉 키 포지션 상태가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부터 가려진 상태로 변할 때에만 하나의 입력으로 간주하고, 키 포지션 상태가 가려진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가려진 상태로부터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 변할 때 입력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특정 키 포지션을 장시간 가림으로써 1차 입력만 생성하고, 2차 입력은 가림물을 제거한 다음 다시 가려질 때에만 생성될 수 있다.
제어 및 판독 회로에서 사용되는 출력 키 신호 방식은 실제 응용의 수요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창이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은 키 포지션으로 판단되는 키 값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비트 맵(bitmap) 형식으로 모든 키 포지션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각 키 포지션이 하나의 물리적 키를 대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종래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하나의 물리적 키는 복수의 가상 키들의 복합 키일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입력 규칙(예를 들어, 다수의 키들의 조합)을 통해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의 키 포지션의 크기, 배열 방식 및 전체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상이한 입력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 포지션을 통상의 키보드의 버튼 크기로 설계하고,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배열하면, 본 발명의 입력 장치가 키보드로 형성될 수 있다. 간편하게 식별하기 위해, 광 투과창의 위치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키 포지션과 대응하는 문자 또는 부호 등을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밀리미터 이하의 크기를 갖는 키 포지션을 설계할 수 있고, 다수의 키 포지션은 밀집한 2차원 어레이로 배열되고, 상부는 평평한 일체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입력 장치가 슬라이드 입력판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이한 키 포지션 배치 방식도 하나의 입력 장치에 통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슬라이드 입력판을 갖는 키보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의 모든 키 포지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일체로 성형된 다공판을 사용하고, 광 투과창은 중공으로 하거나 투명 소자로 밀봉하고, 바닥은 일체형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연성 회로기판(FPC) 등을 사용함으로써 감광성 소자 및 제어 및 판독 회로를 집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초박형이면서 방수 및 방진 가능하다는 우수한 특성을 쉽게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키 포지션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기 때문에 종래의 키보드와 더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상응하게 감광성 소자를 탑재한 회로판도 다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으로서, 본 발명을 종래의 압력 입력 장치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키 포지션 상에 감압 소자를 배치하고, 이 경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또 대응하는 감압 소자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사용한 감압 소자는 탄성 스위치 기구(elastic switch mechanism), 터치 스크린(touch screeen)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키보드의 키 캡 상에 투명한 창이 배치될 수 있고, 키 캡에는 감광성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키 포지션은 "가려짐" 및 "가려지면서 눌림"의 두 가지 입력 상태를 제공하여 키 포지션의 표현 능력이 배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종래의 터치 스크린(투광)의 하부에 배치하여 상술한 슬라이드 입력판과 같이, 손가락이 햇빛만 가렸을 때 감광성 소자에 의해 응답하고, 손가락이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에 의해 응답함으로써 키 포지션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입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조합식 입력 구조는 보다 풍부한 입력 표현 능력을 가지고 하나의 키를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의 경우 키 포지션의 반복 사용을 통해 단일 물리적 키 포지션의 크기를 증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입력의 효율도 더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전자 제품 또는 전자 제품의 다른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 및 마이크)와 일체로 집적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므로, 실제 응용 요구에 따라 입력장치에 다양한 부가 기능 모듈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모듈 중 하나 이상에서 선택된다:
전원 공급 모듈: 기타 전원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며,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슈퍼 커패시터 등과 에너지 저장형 전원 모듈일 수 있으며, 외부 전원 공급 회로용 전원 컨버터일 수도 있고, 광전판(감광성 소자의 광전판일 수도 있고, 별도로 배치된 광전판일 수도 있음)일 수도 있다;
통신 모듈: 전자 제품과 통신하고, 키 신호 등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적외선 통신 모듈, 공중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WiFi 모듈, WiMax 모듈, 2G/3G/4G/5G 통신 모듈 등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언급할만한 것은 3G/4G와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은 컴퓨터 키보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휴대용 계산 단말기, 모바일 고객 서비스 플랫폼 단말 등 원격 분산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입력 모듈: 예를 들어, 지문 또는 손금을 입력하기 위한 영상 수집 모듈,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 등,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 정보를 수집하는 모듈; 이들 모듈의 입력 정보는 감광성 소자의 입력 정보와 대체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 모듈: 입력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록하고 히스토리 데이터에 따라 후속 입력에 대한 입력 제시를 생성하며, 이러한 제시는 화면과 같은 연결된 기타 외부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 직렬 인터페이스, 병렬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 (예를 들어, SD 카드, TFT 카드) 인터페이스, 외부 스피커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 케이블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체적인 적용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실시방식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컴퓨터 키보드이다. 상기 입력 장치는 다수의 키 포지션과 제어 및 판독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그 중, 광 입력을 이용한 키 포지션은 3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는데, 제 1 그룹은 다수의 키 포지션(210')으로 구성되고, 크기 및 배열 방식이 통상의 키보드의 키와 동일하다. 제 2 그룹은 다수의 키 포지션(210'')으로 구성되며, 크기는 밀리미터 이하이며, 밀집한 2차원 어레이로 배열되어 슬라이딩 입력판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마우스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 그룹은 두 개의 키 포지션(210''')으로 구성되며, 크기는 일반 키와 동일하고, 슬라이딩 입력판 부근에 배치되어 마우스의 왼쪽 및 오른쪽 버튼으로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모듈로서, 지문을 수집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내장 LED 광원(242)(감광성 소자의 아래에 배치된)을 사용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영상 수집 모듈(241)(예를 들어, 평면 어레이 감광성 소자); 음성 식별 모듈(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여 음성 입력을 실현하는 마이크(243)가 더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키보드는 음성 입력과 수동 입력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하나의 키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값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현재 가능한 복수의 입력 결과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입력의 편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등 방위를 나타내는 음성)을 이용하여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선택하거나, 물리적 키를 비롯한 복수의 가상 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거나, 제시된 여러 동음어 중의 하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음성 입력의 편리성이 이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음성 자체는 입력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음성 입력의 프라이버시 결여 결함도 회피된다.
본 실시예의 키보드는 종래의 키보드 및 마우스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연결선(244)(예를 들어 USB 연결선)을 통해 데스크탑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키보드는 초박형 및 밀폐된 하나의 일체로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장비와 분리될 수 있고, 또 다른 컴퓨터 장비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낭비를 감소시킨다.
통상, 키보드가 비교적 넓은 표면적을 가지므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광 입력 키 포지션 상에 배치된 감광성 소자는 광전판과 같은 광전 소자를 이용하여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을 때 광 에너지 컨버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장치 내부의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휴대 전화 충전과 같은 다른 외부 장치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및 판독 회로는 키보드를 작동 및 아이들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되며, 작동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얻기 위해 광전 소자의 리셋 및 스캐닝이 수행되고, 아이들 상태에서 광전 소자가 전원 공급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한다. 작동 상태와 아이들 상태 사이의 전환은 제어 및 판독 회로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든 감광성 소자의 상태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변화가 없으면, 아이들 상태로 전환되고, 임의의 감광성 소자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작동 및 아이들 상태의 전환은 사용자가 설정된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생성된 전환 신호에 따라 제어 및 판독 회로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며, 이 두 전환 제어 방식은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감광성 소자가 광전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입력 장치는 마찬가지로 작동 및 아이들 상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아이들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 모드 대신 절전 모드로 들어간다.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력장치는 수요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부가 기능 모듈을 더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방식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휴대폰 보호 케이스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장치는 연결 접속구(344)를 통해 휴대폰(345)과 연결된다. 키 포지션은 복합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하부는 광 입력 키 포지션(310a)이고, 상부는 터치 스크린(310b)이다. 전체 광 입력 키 포지션(310a) 상의 감광성 소자는 하나의 광전판을 분할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키보드 형식으로 배열된다. 광전판은 제어 및 판독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회로판에 집적된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광 입력 키 포지션 상의 광전판은 입력에 사용될 수도 있고, 전력 공급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입력장치(보호 케이스)의 배면이 광전판(도시되지 않음)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보호 케이스가 휴대폰에 씌워지면 광 에너지를 이용해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방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형 키보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키보드는 전체 사이즈가 저장 시 축소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2개의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부분(400a 및 400b)으로 형성되어 휴대하기가 더 간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채용한 광 입력 키 포지션은 전체적인 구조를 쉽게 형성하기 때문에 키보드를 전체적으로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는 것은 매우 용이한 것이며, 분리된 부분 사이는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등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타 실시방식에 있어서, 분리된 부분 사이는 피봇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를 구성하는 2개 부분(500a와 500b)은 회전하여 함께 접혀질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방식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과 결합되어 휴대폰 상의 각종 입력 버튼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645) 위의 각 입력 버튼은 스위치 키(651), 볼륨 조절버튼(652), 메인 메뉴 버튼(653), 전진버튼(654), 후퇴버튼(655), 서브 메뉴 버튼(656)을 포함한다. 각 버튼은 모두 본 발명의 광 입력 키 포지션의 구조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그 중 일부 버튼은 예를 들어 653/654/655/656를 휴대폰의 터치 스크린에 집적할 수 있다.
휴대폰을 전체 밀폐식 구조가 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광 입력 키 포지션을 이용하여 휴대폰 표면의 입력 버튼을 제작함으로써(광 입력 키 포지션의 광 투과창을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재료로 밀폐하고, 충전 및 외부 컴퓨터 등 설비는 모두 무선 방식을 채용할 수 있음), 양호한 방수 능력을 가진다.
기타 실시 방식에 있어서, 실제 수요에 따라 휴대폰 표면의 입력 버튼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측면에 위치한 스위치 버튼 및 볼률 조절버튼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 입력 포인트 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방식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식 키 포지션을 사용한 키보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 입력 키 포지션(710a)은 종래의 버튼식 키보드의 키 포지션(710b)과 결합하여 이중 입력 상태를 갖는 복합식 키 포지션을 형성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입력 키 포지션(710a)의 광 투과창(711)은 탄성 버튼 기구의 키 캡(713)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감광성 소자(도시하지 않음)는 키 캡 내에 배치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광 투과창(711)을 가리기만 하고 누르지 않은 경우, 감광성 소자만 응답하고, 손가락이 키 캡(713)을 누르면 탄성 버튼 기구도 응답하므로 하나의 키 포지션에 두가지 입력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키보드는 종래의 키보드 사용 방식의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외에, 두배의 누름 상태를 제공할 수 있고, 키 포지션의 수량이 절반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공간이 제한되는 응용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상,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상의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아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에 근거하여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2)

  1. 입력장치로서,
    외부 광선이 입력되는 광 투과창과, 상기 광 투과창 뒤의 광로 상에 배치되고, 그 상태가 입사된 외부 광선의 광 세기와 서로 대응하는 감광성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 포지션; 및
    각 감광성 소자를 리셋 및 스캔하고, 스캔한 각 감광성 소자의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광 투과창에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및 판독 회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포지션은 복수개 있으며,
    적어도 일부 키 포지션은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배열되어 키보드를 형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키 포지션은 밀집된 2차원 어레이로 배열되며, 어레이의 상부는 평탄한 일체로서 슬라이드 입력판을 형성하는,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키 포지션 상에 감압 소자가 더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상응하는 감압 소자가 트리거된 것을 나타내는 키 신호를 더 출력하는, 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소자는 탄성 버튼기구, 터치 스크린 중에서 선택되는, 입력장치.
  5.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창은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6.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소자가 포토다이오드, 포토레지스터, 광전 소자 중에서 선택되는, 입력장치.
  7.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상기 입력장치를 작동 및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는데 더 사용되며, 작동 상태에서 감광성 소자의 리셋 및 스캔을 실행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감광성 소자를 절전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입력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소자는 광전 소자이고, 상기 광전 소자는 상기 입력장치 또는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상기 입력장치를 작동 및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는데 더 사용되며, 작동 상태에서 광전 소자의 리셋 및 스캔을 실행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광전 소자를 전원 공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입력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작동 상태와 아이들 상태 사이의 전환을 자동으로 전환하는데 더 사용되며, 모든 감광성 소자의 상태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변화가 없으면, 아이들 상태로 전환되고, 임의의 감광성 소자에서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작동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 및 판독 회로는 사용자가 설정된 스위치를 트리거하여 생성된 전환 신호에 따라 작동 및 아이들 상태 전환을 실행하는, 입력장치.
  11.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키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값 중의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현재 가능한 복수의 입력 결과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입력장치.
  12.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부분 사이는 슬라이드 방식 또는 피봇 회전 방식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
KR1020187017082A 2015-11-18 2015-11-18 입력장치 KR20180083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94900 WO2017084039A1 (zh) 2015-11-18 2015-11-18 输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405A true KR20180083405A (ko) 2018-07-20

Family

ID=5871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082A KR20180083405A (ko) 2015-11-18 2015-11-18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379656B2 (ko)
EP (1) EP3376347A4 (ko)
JP (1) JP2019502217A (ko)
KR (1) KR20180083405A (ko)
CN (1) CN108351709A (ko)
AU (1) AU2015414847A1 (ko)
BR (1) BR112018009795A8 (ko)
CA (1) CA3005660A1 (ko)
MX (1) MX2018005852A (ko)
RU (1) RU2692421C1 (ko)
WO (1) WO2017084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2183A (zh) * 2018-08-20 2019-04-05 福建出彩教育科技有限公司 遮光输入法
CN109284011A (zh) * 2018-11-06 2019-01-29 仁化县启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光感键盘
CN111736479B (zh) * 2020-06-28 2022-12-1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控制方法、家电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54977A (zh) * 2021-03-26 2021-06-29 崔磊 用于光敏开关的组合芯片及其于按键开关组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1268A (en) * 1967-12-19 1971-11-16 Int Standard Electric Corp Reflection type contactless touch switch having housing with light entrance and exit apertures opposite and facing
SU1668977A1 (ru) * 1989-01-20 1991-08-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517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US5351106A (en) 1991-07-01 1994-09-27 Amergraph Corporation Exposure system
US7237132B2 (en) * 2004-04-14 2007-06-26 Broadcom Corporation Power reduction for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wireless input device using a flip-flop to detect event termination
US20070165002A1 (en) * 2006-01-13 2007-07-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1236467A (zh) 2007-01-29 2008-08-06 颜涌 用光束笔操作的计算机输入装置
RU2347260C1 (ru) * 2007-08-16 2009-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через оптическую клавиатуру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ческой клавиатуры
CN101299603A (zh) 2008-06-30 2008-11-05 上海海想自动控制技术有限公司 非接触式方向键
US8907897B2 (en) * 2009-06-16 2014-12-09 Intel Corporation Optical capacitive thumb control with pressure sensor
CN102214002B (zh) 2010-04-08 2013-09-25 颜涌 用光束及其阻断方式操作的人机接口输入设备
CN203102166U (zh) 2013-03-11 2013-07-31 加弘科技咨询(上海)有限公司 光电感应式键盘
EP2822181B1 (de) * 2013-07-03 2015-10-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edienvorrichtung
CN203444421U (zh) * 2013-09-03 2014-02-19 高一鸣 一种非晶硅板表面触摸式移动键盘
CN203950277U (zh) * 2014-07-24 2014-11-19 董圆圆 一种具有触控和语音输入功能的键盘
CN204705991U (zh) * 2015-06-05 2015-10-14 江西科技学院 一种可折叠夜光键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8940A1 (en) 2018-12-06
EP3376347A1 (en) 2018-09-19
AU2015414847A1 (en) 2018-07-05
WO2017084039A1 (zh) 2017-05-26
MX2018005852A (es) 2018-09-17
BR112018009795A2 (pt) 2018-11-06
EP3376347A4 (en) 2019-07-03
US10379656B2 (en) 2019-08-13
BR112018009795A8 (pt) 2019-02-26
JP2019502217A (ja) 2019-01-24
CA3005660A1 (en) 2017-05-26
RU2692421C1 (ru) 2019-06-24
CN108351709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25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10871857B2 (en) Touch panel being able to realize force touch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5159409B (zh) 一种具有指纹传感器的移动终端
KR20180083405A (ko) 입력장치
WO2018214742A1 (zh) 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KR20170002658U (ko) 접촉식 입력 장치
CN202948405U (zh) 光学感测式键盘
RU118140U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электрон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US86436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873838A (zh) 一种终端触控输入装置、终端及方法
CN103915271A (zh) 防水按键模块及其电子装置
CN202339643U (zh) 具有扫描功能的电子阅读装置
KR20100127929A (ko) 배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717780B1 (ko) 휴대용 통신기기용 방수팩
CN105659193A (zh) 多功能人机交互设备
KR102587731B1 (ko)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가 구비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CN103338033A (zh) 用于手机的电容式触摸按键及其设计方法
CN211860182U (zh) 一种手机
US20190230209A1 (en) Mobile Terminal
US20180292929A1 (en) Touch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63485A (ko)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KR20140063483A (ko)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