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660A - Smart power switch - Google Patents

Smart power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660A
KR20180082660A KR1020170002827A KR20170002827A KR20180082660A KR 20180082660 A KR20180082660 A KR 20180082660A KR 1020170002827 A KR1020170002827 A KR 1020170002827A KR 20170002827 A KR20170002827 A KR 20170002827A KR 20180082660 A KR20180082660 A KR 20180082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switch
present
individu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길
김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Priority to KR102017000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660A/en
Publication of KR2018008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6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witch capable of turning on/off a plurality of lamps one by one or block by block. The power switch includes: a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disposed on a front panel for indicating a position of a user standing in front of the smart power switch; and a switch unit including individual switche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a layout shape of electric lamps or light blocks such that the individual switches can be turned on/off one by one or block by block. A rear surface of the individual switch has a concave groove so that a rea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individual switch is fastened, in male and female forms, to a protruding portion of a connector terminal connected to an electrical lead wire of a wall.

Description

스마트 전원스위치{SMART POWER SWITCH}Smart power switch {SMART POWER SWITCH}

본 발명은 전등을 점등/소등하기 위한 스위치, 벽 스위치 또는 스위치박스( 이하 '전원스위치'라 칭함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스위치를 스마트 전원스위치라 칭하기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 wall switch or a switch box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wer switch') for lighting / extinguishing a lamp. The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smart power switch.

도1은 사무실 실내의 천장에 전등이 복수 개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집안 거실, 사무실, 교실, 강당, 식당 등과 같은 넓은 공간의 홀 실내에는 천장 또는 벽에 복수 개의 전등이 다수 배열되어 장착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출입구 주변에 실내등을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1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lamps are attached to a ceiling of an office interior. A large number of light fixtures are arranged on a ceiling or a wall in a spacious hall such as a house living room, an office, a classroom, an auditorium, a restaurant, etc. Generally, a power switch for lighting and extinguishing an interior light is installed near an entrance .

도2a 내지 도2d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조명등 전원스위치로서, 각각 3구 스위치, 4구 스위치, 5구 스위치, 6구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스위치는, 복수의 개별 스위치의 조합으로 3구, 4구, 5구 또는 6구 등을 구성하는데, 각각의 개별스위치가 천장에 장착된 전등 중에서 어느 전등에 대응되어 연결되어 있는지를 출입자 또는 사용자( 이하, "출입자"와 "사용자"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함 )가 알 수 없다( 도3 참조 ).FIGS. 2A to 2D are power switch for indoor lighting such as a conventional three-switch, four-switch, five-switch and six-switch, respectively. The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stitutes three, four, five or six or more groups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witches. In the power switch, each of the individual switches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lamps mounted on the ceiling (Hereinafter, "user" and "user " are used in combination) can not be known (see FIG. 3).

그 결과, 출입자는 홀에 들어오면 일단 출입구 벽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 전부를 켜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로 인해서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게다가 넓은 홀 중에서 일부 공간만을 밝히고자 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홀에 들어오는 출입자는 일단 6구 스위치 전부를 눌러서 실내등 전부를 켰다가, 각각의 개별스위치를 하나씩 점등했다가 소등했다가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가 필요한 영역을 밝히기 위한 전등 스위치가 어느 것인가를 알아차리고서는 비로소 해당 개별스위치만을 점등시키고 나머지 개별스위치는 소등하는 시행착오를 거치게 된다. As a result, most of the passengers turn on all of the power switche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entrance once they enter the hall, thereby wasting power unnecessarily. In addition, even if it is intended to illuminate only a part of a room in a wide hall, generally a passenger entering the hall lights up all of the interior lights by pressing all of the six-way switches, turns on each individual switch, , It is judged which light switch is to illuminate the necessary area, and only the relevant individual switch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dividual switches are turned off.

이러한 종래기술은, 불필요한 개별스위치 점등 및 소등 과정을 통해 상당한 전력이 낭비되고 잦은 점멸 동작으로 인해 전등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출입자에게 자신이 원하는 전등을 켤 때까지 심리적 불안(초조함, 어둠에 대한 공포심)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한편, 종래기술은 전원스위치 모듈 교환시에, +/- 배선을 모듈에 직접 연결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모듈의 종류 및 형상으로 인해 배선연결 작업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wasted through unnecessary individual switch on and off processes and the life of the lamp is shortened due to frequent flicker operation. 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lso caused psychological anxiety (fear of fear of darkness) until the person turns on a desired light to a visitor.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when the power switch module is replaced, the +/- wiring mus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dule, so that the wiring connection work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module.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2913호.1. Korea public utility model 20-2010-0002913.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52128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52128.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72006호.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72006.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천장 또는 벽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전등을 점등/소등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에 있어서, 출입자가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는 개별스위치를 보고 각각의 개별스위치가 어느 전등 또는 어느 전등블록에 대응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해서 출입자가 원하는 전등 또는 원하는 행(row) 또는 열(column) 영역만의 전등블록만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plurality of lamps attached to a ceiling or a wall, in which a person sees an individual switch constituting a power switch, And to provide a power switch technology capable of lighting or extinguishing only a desired lamp or a lamp block in a desired row or column area.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전원스위치 교환시에 전기기술에 관한 지식이 없는 일반 작업자도 손쉽게 배선연결을 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witch technology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a wire to a general worker who does not have knowledge of electric technology at the time of power switch replacement in addition to the first object.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는 전면 패널, 후면 고정프레임, 전기 인입선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front panel, a rear fixed frame,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ic lead lin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은 기준점 표지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며, 스위치부는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된 전등 레이아웃 형상대로 형상화하여 개별스위치가 제작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A front panel constituting a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and a switch unit, and the switch unit is shaped into a lamp layout shape provided on a ceiling or a wall surface, and individual switches are manufactured and arranged.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패널의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스위치의 단자는 각각 해당 커넥터 단자와 암수접합 방식으로 포개어져 체결되며, 커넥터를 전면 패널에 고정하는 제1 실시예와, 커넥터를 후면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는 후면 고정프레임은 벽체에 단단히 고정된다. The terminals of the individual switches constituting the switch unit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and fasten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or terminals in a male and female bonding manner and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front panel,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pplied. The rear fixing frame constituting the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fixed to the wal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후면 고정프레임은 기존에 사용하던 후면 고정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벽체에 매립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벽체 스위치에서 전면 패널만 뜯어내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로 교체한 후, 후면 고정프레임은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ixed frame can use the conventional rear fixed frame as it is, and only the front panel is removed from the existing wall switch embedded and fixed in the wall, After replacing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rear fixing frame can be used as it is.

본 발명은 출입자가 실내에 들어와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전등 또는 전등 블록에 대응하는 점등/소등 전원스위치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어서 불필요하게 여러 스위치를 컸다 껐다 하는 불편함과 에너지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전등의 배열 레이아웃에 매칭해서 스위치를 배열하므로 시인성이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를 사용해서 전면 패널과 후면 고정프레임을 조립 체결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배선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스위치와 배선과의 연결방식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the ON / OFF power switch corresponding to a lamp or a light block at a desired position when a user enters the room, thereby preventing the unnecessary inconvenience of turning on / off various switches and waste of energy resources ha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visibility because the switche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layout of the lamps installed in the ceiling. In addition, since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fixing frame are assembled and assembled using a connector, it is easy for anyone to change the wiring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witch and the wiring is simple.

도1은 실내의 천장에 복수의 전등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2a 내지 도2d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조명등 전원스위치로서, 각각 3구 스위치, 4구 스위치, 5구 스위치, 6구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3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준점 표지부를 예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양각/음각 표면을 이용한 스위치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의 전면 패널을 커넥터를 통해 후면고정프레임과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1 is a photograph showing a plurality of lamps attached to a ceiling of a room.
FIGS. 2A to 2D are power switch for indoor lighting such as a conventional three-switch, four-switch, five-switch and six-switch, respectively.
3 shows a problem of the prior art.
Figure 4 illustrates a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illustrate various reference mark ma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witch portion using a relief / relief surf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front panel of a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rear fixed frame through a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는 전원스위치의 배열 레이아웃이 실제로 설치된 전등 또는 전등블록의 레이아웃과 유사한 배열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각각의 스위치가 어떤 전등 또는 전등블록에 일대일 대응되는지를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The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rangement similar to the layout of a light or light block in which the arrangement layout of the power switches is actually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ind which light or light block each one corresponds to. .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는, 전면 패널과 후면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되어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은 사용자가 전등을 켜기 위해 전등배열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관측점을 나타내는 기준점 표지부와 천장에 설치된 전등 또는 전등블록에 일대일 대응된 개별 스위치를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스위치의 레이아웃은 실제 전등배열 또는 전등블록의 배열 레이아웃 형상대로 형상화하여 제작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ont panel and a rear fixing frame and is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be installed in a wall. The front panel includes a reference point marking part indicating a user's viewing point looking at the light arrangement for turning on the light, And the individual switches are individually form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lamp or a light block installed in a ceiling, and the layout of the individual switches is formed and arranged in the shape of an actual light arrangement or an array layout of the light blocks.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패널의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스위치의 단자는 각각 해당 커넥터 단자와 암수접합 방식으로 체결되며, 커넥터를 전면 패널에 고정하는 제1 실시예와, 커넥터를 후면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를 구성하는 후면 고정프레임은 벽체에 단단히 고정된다. The terminals of the individual switches constituting the switch unit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or terminals in the male and female connection manner and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front panel, Any one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pplied. The rear fixing frame constituting the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fixed to the wal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는 벽체에 들어와 있는 +/- 또는 접지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가 장착된 전면 패널에 직접 고정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개별스위치 후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암수 체결되는 방식으로 전원스위치 전면 패널과 후면 고정프레임을 조립한다. 이때에, 후면 고정프레임은 기존에 사용하던 후면 고정프레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벽체에 매립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벽체 스위치에서 전면 패널만 뜯어내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로 교체한 후, 후면 고정프레임은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 or ground wiring provided in the wall, the connector is directly fixed to the front panel moun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concave The power switch front panel and the rear fixing frame ar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connector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so as to be male and female. At this time, the rear fixed frame can use the conventional rear fixed frame as it is, and only the front panel is removed from the existing wall switch embedded in the wall and replaced with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at, the rear fixed frame can be used as it i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는 벽체에 들어와 있는 +/- 또는 접지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가 장착된 후면 고정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개별스위치 후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암수 체결되는 방식으로 전원스위치 전면 패널과 후면 고정프레임을 조립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 or ground wiring provided in the wall,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rear fixing frame moun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concave The power switch front panel and the rear fixing frame ar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connector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so as to be male and female.

이하, 첨부도면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는 전면 패널과 후면 고정프레임으로 조립 구성되고, 후면 고정프레임은 벽체에 단단히 고정된다. 전면 패널은 기준점 표지부(reference; 100a)와 스위치부(100b)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부(100b)는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전등 레이아웃 형상대로 형상화하여 제작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with a front panel and a rear fixing frame, and the rear fixing frame is firmly fixed to the wall. The front panel includes a reference point 100a and a switch unit 100b. The switch unit 100b is formed and arranged in a shape of a plurality of lamp layouts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패널의 스위치부(100b)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 스위치 양과 음(+/-) 또는 접지 단자는 각각 해당 커넥터(430a, 430b)와 암수접합 방식으로 포개어져 체결되어 후면 고정프레임에 고정된다.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constituting the switch portion 100b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verlapped with the corresponding connectors 430a and 430b in the male and female connection manner, Respectively.

도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의 전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100)의 전면 패널은 기준점 표지부(refernce; 100a)와 스위치부(100b)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부(100b)는 천장에 설치된 전등들이 설치된 레이아웃 모습대로 형상화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4 is a front panel view of a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front panel of a smart power swit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100a and a switch unit 100b. The switch unit 100b includes a plurality of lamps And is arranged in a shape as the layout of the installed layou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100)의 전면 패널을 구성하는 기준점 표지부(100a)는 출입구(300)를 통해 실내에 들어왔을 때,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된 전등 배열을 바라보는 출입자의 위치와 관측점을 나타내는 기준점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다양한 형태의 기준점 표시부(100a)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내에 칠판 또는 강단과 같은 특징적 물품이 있는 경우 이를 형상화한 표지를 기준점 표지부(100a)로 스마트 전원스위치 패널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기준점 표지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The reference point marking section 100a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of the smart power swit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lamp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wall when the user enters the room through the entrance 300, As a reference point.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reference point display portions 100a can be used, and when a characteristic item such as a blackboard or a shortboard is present in a room, a cover marking the same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marking portion 100a, . 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reference mark ma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어둠 속에서 기준점 표지부(100a)를 쉽게 오감을 활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야광 또는 형광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양각/음각 표면을 적용하여 돌기 촉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Herein, the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100a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using a luminous or fluorescent material so that the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100a can be easily recognized by utilizing the five senses in the dark, and the protruding touch can be provided by applying the embossed / engraved surface.

다시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준점에서 출입자 바라보는 천장의 전등 배치 레이아웃과 동일한 형상과 배치로 스위치부(100b)를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스위치들과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전등과 일대일 대응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unit 100b is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nd arrangement as the arrangement layout of the ceiling lamp viewed from the reference point, so that each individual switch and on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천장에 설치된 복수의 전등과 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동일한 레이아웃으로 개별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천장에 m x n 행렬 형태로 전등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행(row) 또는 열(column)별로 블록을 구성하거나, 영역별로 블록을 구성해서, 각각의 블록에 대응한 표준 개별 스위치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switches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layout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a plurality of lamps installed in a ceiling.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amps are arranged in an mxn matrix on a ceiling , A block may be formed for each row or column, or a block may be formed for each region to constitute a standard individual switch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each block.

도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양각/음각 표면을 이용한 스위치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마치 장난감 레고(Lego)처럼 요철 형상의 표준 패널을 제작하고 그 위에 개별 스위치를 레고 조립하듯이 끼워 조립하는 방식으로 전등 레이아웃에 따라 스위치를 배열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witch unit using a relief / depressed surf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switch can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lamp layout in such a manner that a standard panel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like a toy lego (Lego) is fabricated, and individual switches are assembled by being assembled with each other.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표지부(100a)는 점자 모양으로 돌출하도록 제작해서 어둠 속에서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촉감을 통해 기준점 표지부(100a)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개별스위치는 야광 또는 발광, 형광의 방식으로 어둠 속에서도 형상을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100a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so as to protrude in a braille shap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100a through tactile sensation in the dark .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switches can make the shape recognizable even in the dark in the form of luminous, luminescent, or fluorescent.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원스위치의 전면 패널을 커넥터를 통해 후면 고정프레임과 접속하는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차적으로 벽체에 들어와 있는 +/- 또는 접지 배선(420a, 420b)을 커넥터(connector; 430a, 430b)에 연결하고, 상대 커넥터가 장착된 후면 고정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고, 스마트 전원스위치 전면 패널의 스위치부 후면이 상기 커넥터(430a, 430b)를 덮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front panel of a smart power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rear fixed frame through a connector. Referring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connects the +/- or ground wires 420a and 420b, which are received in the wall, to the connectors 430a and 430b, and the rear fixing fram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witch part of the smart power switch front panel can be fixed to cover the connectors 430a and 430b.

즉, 스위치부의 후면에 오목한 홈을 제작하고, 상기 홈 속으로 돌출 커넥터(430a, 430b)가 삽입되도록 해서 암수 체결되는 방식으로 손쉽게 스마트 전원스위치 전면부와 후면 고정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smart power switch front portion and the rear fixing frame in such a manner that concave groove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witch portion, and the protruding connectors 430a and 430b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 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The foregoing has somewhat improved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constitut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sclosed concepts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invention and similar purposes.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진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ventive concepts and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출입자가 실내에 들어와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전등 또는 전등 블록에 대응하는 점등/소등 전원스위치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어서 불필요하게 여러 스위치를 컸다 껐다하는 불편함과 에너지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전등의 배열 레이아웃에 매칭해서 스위치를 배열하므로 시인성이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를 사용해서 전면 패널과 후면 고정프레임을 조립 체결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배선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스위치와 배선과의 연결방식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N / OFF power switch corresponding to the lamp or the light block at the desired position by coming into the room, thereby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unnecessarily turning on / off the switches unnecessarily and waste of energy resource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visibility because the switches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layout of the lamps installed in the ceiling. Further, since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fixing frame are assembled and assembled by using a connector, anyone can easily change the wiring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witch and the wiring is simple.

Claims (4)

복수 개의 전등을 하나씩 또는 블록별로 점등/소등하는 전원스위치로서, 상기 전원스위치는 전면 패널에
상기 전원스위치 앞에 서서 전등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 표지부와;
상기 전등 또는 전등블록의 레이아웃 형상에 따라 하나씩 또는 블록별로 일대일 대응되어 점등/소등하는 개별스위치를 배열한 스위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a plurality of lamps one by one or block by block,
A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for indicating a position of a user standing in front of the power switch and looking at the lamp;
A switch unit in which individual switches are turned on / off one by one or one-by-one corresponding to the layout shapes of the lamps or light blocks,
And a power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스위치는 전등형상을 닮은 표준화 유닛을 구성원으로 하는 라이브러리로 미리 제공되고, 사용자는 상기 라이브러리로부터 자신의 전등형상을 닮은 개별스위치를 선택해서 조합하여 배열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ividual switch is provided in advance with a library having a standardization unit resembling a light-like configuration, and a user selects individual switches resembling their own lamp shapes from the library, Wherein said power switch is a power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스위치의 후면은 오목한 홈을 구비해서 개별스위치의 전원단자의 후면이, 벽체의 전기 인입선과 연결된 커넥터 단자의 돌출부와 암수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2. The power switch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individual switch has a concave groove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individual switch is fastened in male and female form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nnec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ical lead of th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표지부는 촉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 The power switch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point marking unit is made to be recognizable as tactile sensation.
KR1020170002827A 2017-01-09 2017-01-09 Smart power switch KR201800826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27A KR20180082660A (en) 2017-01-09 2017-01-09 Smart power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27A KR20180082660A (en) 2017-01-09 2017-01-09 Smart power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660A true KR20180082660A (en) 2018-07-19

Family

ID=6305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827A KR20180082660A (en) 2017-01-09 2017-01-09 Smart power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660A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995A (en) * 1997-11-27 1999-06-18 Kokusai Electric Co Ltd Operation switch with guide
JP2931040B2 (en) * 1990-05-23 1999-08-09 松下電工株式会社 Switch device for remote control
KR20050061241A (en) * 2003-12-18 2005-06-22 이바도 Socket type switch system
KR20080052128A (en) 2006-12-06 2008-06-11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Wall outlet's switch system
KR20100002913U (en) 2009-09-30 2010-03-11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Wall Outlet's Switch System
KR101198094B1 (en) * 2011-05-02 2012-11-09 김진영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KR20130069057A (en)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오케이벤처 Knob switch for lighting
KR20130091116A (en) * 2012-02-07 2013-08-16 한국과학기술원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KR20160072006A (en) 2015-09-04 2016-06-22 주식회사 서비전자 Smart concent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040B2 (en) * 1990-05-23 1999-08-09 松下電工株式会社 Switch device for remote control
JPH11163995A (en) * 1997-11-27 1999-06-18 Kokusai Electric Co Ltd Operation switch with guide
KR20050061241A (en) * 2003-12-18 2005-06-22 이바도 Socket type switch system
KR20080052128A (en) 2006-12-06 2008-06-11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Wall outlet's switch system
KR20100002913U (en) 2009-09-30 2010-03-11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Wall Outlet's Switch System
KR101198094B1 (en) * 2011-05-02 2012-11-09 김진영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KR20130069057A (en)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오케이벤처 Knob switch for lighting
KR20130091116A (en) * 2012-02-07 2013-08-16 한국과학기술원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KR20160072006A (en) 2015-09-04 2016-06-22 주식회사 서비전자 Smart conc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5445A1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US7244044B2 (en) Waterproof light-emitting-diode illuminating device
KR20040064245A (en) Illumination unit, in which data is communicated with a system provided with various illumination units
US10132491B2 (en) Musical lanterns
CN103620665A (en) Light emitting diode switch device and array
US20070113441A1 (en) LED illuminated house number and sign characters
JP3149160U (en) LED plug and play assembly structure
EP2497387A1 (en) Solar powered table lighting
CN201954455U (en) Night light with color variance controlled by spatial location
KR20180082660A (en) Smart power switch
CN201015078Y (en) Combination type luminous indication device
DE202012104684U1 (en) Electric candle
CN203873399U (en) Combined children fence with acousto-optical devices
CN201731341U (en) Plane LED lamp
KR200382642Y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device having a fuction of waterproof
US3466760A (en) Educational electrical circuit toy
JP2008214966A (en) Decorative board
KR20090000435A (en) Led module string
CN217519777U (en) Induction three-dimensional LED lamp
CN213118828U (en) Circular backlight panel lamp
CN202103230U (en) Luminous panel frame of electrical switch socket
CN211502455U (en) Wall-mounted display lamp group system
JP6168643B2 (en) Lighting system
CN212117333U (en) Jump flashing hanging decoration
CN211399407U (en) Intelligent induction flexible lamp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2

Effective date: 201910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8330;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