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215A - 시스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시스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215A
KR20180082215A KR1020170003620A KR20170003620A KR20180082215A KR 20180082215 A KR20180082215 A KR 20180082215A KR 1020170003620 A KR1020170003620 A KR 1020170003620A KR 20170003620 A KR20170003620 A KR 20170003620A KR 20180082215 A KR20180082215 A KR 2018008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refrigerant
pipe
less
refrigera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215A/ko
Publication of KR2018008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24F2001/0037
    • F24F2001/008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과 냉매관 지지대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0㎜ 이하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1.0 초과 1.8m 이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5 내지 4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1.5 초과 2.0m 이하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50 내지 8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2.0 초과 3.0m 이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00 내지 15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3.0 초과 4.0m 이하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00㎜ 이상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4.0 초과 5.0m 이하다.

Description

시스템 공기 조화기{SYSTEM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포함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흔히 에어컨이라고 불리는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가리킨다. 그 중에서 시스템 공기 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시스템 공기 조화기는 가정보다는 주로 대형 사무실이나 업소용으로 이용된다.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천장에 매립된다. 따라서 실내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실내기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되기 때문에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도 천장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 번 설치된 실내기와 냉매관은 거의 교체를 하지 않기 때문에, 냉매관의 설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냉매관의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냉매관이 길면 길수록 냉매관의 처짐은 가속화된다.
냉매관이 처지게 되면 냉매관을 흐르는 냉매의 압손, 냉매의 누설, 냉매의 흐름에 의한 소음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냉매관의 처짐을 예방해야 한다.
냉매관은 행거라고 불리는 냉매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냉매관 지지대는 천장 내부의 콘크리트를 타공한 후 설치된다. 그런데 콘크리트를 타공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머리 위 방향으로 제한된 작업의 특수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따라서 냉매관 지지대의 수가 많아질수록 시스템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는 작업 시간과 어려움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기술을 감안하여 장기 신뢰성 측면에서 냉매관의 처짐을 제한하면서도 시스템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는 작업 시간과 어려움을 저감할 수 있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냉매관의 재질,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냉매에 따라 냉매관 지지대의 최적 간격 설정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냉매관의 외경에 따른 두께 설정을 통해 냉매관의 처짐량을 제한할 수 있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과 냉매관 지지대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0㎜ 이하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1.0 초과 1.8m 이하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5 내지 4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1.5 초과 2.0m 이하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50 내지 8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2.0 초과 3.0m 이하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00 내지 15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3.0 초과 4.0m 이하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00㎜ 이상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4.0 초과 5.0m 이하다.
상기 시스템 공기 조화기는, 실외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실외기;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고, 수평부와 수직부를 구비한다.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은 상기 천장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처짐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수평부를 지지한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밀도는 7.5 내지 8.5 g/㎤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내부에 R410a의 냉매가 흐른다.
상기 수평부의 처짐량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9㎜ 이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중량%로 C : 0.03% 이하, Si : 0 초과 1.7% 이하, Mn : 1.5 ~ 3.5%, Cr : 15.0 ~ 18.0%, Ni : 7.0 ~ 9.0%, Cu : 1.0 ~ 4.0%, Mo : 0.03% 이하, P : 0.04% 이하, S : 0.04% 이하, N : 0.03% 이하, 잔부 :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austenite) 기지조직과 30~60㎛의 평균 입도 크기(average diameter)를 갖는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입도번호(Grain size No.)는 5.0~7.0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99%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matrix structure)을 갖는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1% 이하의 델타 페라이트(δ-ferrite) 기지조직을 갖는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탄성 계수는 170 내지 180 ㎬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4㎜ 이상 7.94㎜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4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7.94㎜ 이상 12.7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5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2.70㎜ 이상 15.88㎜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6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5.88㎜ 이상 19.05㎜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7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9.05㎜ 이상 22.2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8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2.20㎜ 이상 31.8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1.0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31.80㎜ 이상 50.8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1.20㎜ 이상이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50.80㎜ 이상 54.00㎜ 이하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1.50㎜ 이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구리 냉매관에 비해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지지하는 냉매관 지지대들의 상호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의 냉매관을 지지하기 위한 냉매관 지지대를 설치하는 경우 그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매관 지지대의 설치 수 감소에 따라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설치 현장에서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고, 작업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구리 냉매관과 동일한 수준의 처짐량을 유지하면서도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를 감소시켜 냉매관 굽힘 등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냉매관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개념도다.
도 2는 실시예3의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해 물성을 평가한 응력-변형 그래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처짐량 해석 결과를 보인 결과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처짐량 해석 결과를 보인 다른 결과다.
도 5는 종래의 동 냉매관의 처짐량 해석 결과를 보인 결과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시스템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개념도다.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는 실외기(미도시), 실내기(110), 냉매관(120) 및 냉매관 지지대(130)들을 포함한다.
실외기는 실외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실외기는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실내기(110)는 실내에 설치된다. 실내기(110)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를 포함하며, 이들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는 냉방기로 작동할 수도 있고, 히트 펌프로 작동할 수도 있다.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가 냉방기로 작동하는 경우 실외기는 응축기에 해당하고, 실내기(110)는 증발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실내기(110)는 실내의 천장(10)에 설치된다. 실내의 천장(10)에 설치된다는 것은, 실내기(110)의 일부가 천장(10)을 통해 노출되고, 나머지는 천장(10)의 내측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천장(10)의 내측에는 콘크리트가 존재하며, 천장(10)과 콘크리트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천장(10)에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실내기(110)의 나머지 부분은 천장(10)과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냉매관(120)은 실외기와 실내기(110)에 각각 연결된다. 냉매관(120)은 실외기와 실내기(110)를 연결하여 이들로 하여금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게 한다. 냉매는 냉매관(120)을 통해 형성되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게 된다.
실내기(110)가 실내의 천장(10)에 설치되기 때문에, 냉매관(120)이 실내기(11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천장(10)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냉매관(120)은 수평부(120a)와 수직부(120b)를 구비하며,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외기로부터 실내기(110)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관(120)은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냉매관(120)의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냉매관(120)의 처짐이란 두 지지대 사이에서 냉매관(120)의 높이가 균일함을 잃고, 부분적으로 아래로 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냉매관(120)의 수평부(120a)는 수직부(120b)에 비해 더 많은 처짐량이 발생할 수 있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은 냉매관(120)의 처짐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은 천장(10)의 내측 콘크리트에 설치된다. 콘크리트에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에 냉매관 지지대(130)들이 고정된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은 콘크리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냉매관(120)의 수평부(120a)를 감싼다. 따라서 냉매관 지지대(130)들에 의해 냉매관(120)이 지지된다.
하나의 냉매관(120)은 다수의 냉매관 지지대(130)들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냉매관 지지대(130)들은 천장(10)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이 촘촘하게 설치될수록 냉매관(120)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냉매관 지지대(130)들이 과도하게 촘촘하게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을 설치하는 작업 시간은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 전체를 설치하는 총 작업 시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나아가 냉매관 지지대(130)들이 촘촘하게 설치될수록 더 많은 큰크리트 타공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도,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작업 난이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매관(12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면서도,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작업 시간 및 난이도 향상을 억제할 수 있는 최적의 냉매관 지지대(130)들의 간격(D)을 제공한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의 간격(D)이란 냉매관 지지대(130)들의 수평 방향 상호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다만, 냉매관(120)이 굽은관이거나 절곡관인 경우에는 상기 수평 방향 상호 이격 거리는 냉매관 지지대(130)들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굽은관 또는 절곡관을 따르는 거리를 의미한다.
냉매관 지지대(130)들의 수평 방향 상호 이격 거리는 냉매관(120)의 소재, 냉매관(120)의 밀도,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냉동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그리고 냉매관(120)의 외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냉매관(120)의 소재에 따라 냉매관(120)의 물성이 결정된다. 여기서 냉매관(120)의 물성이란 냉매관(120)의 강성(stiffness, N/m)을 포함한다. 냉매관(120)의 강성에 따라 처짐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냉매관(120)의 소재에 의해 냉매관 지지대(130)의 상호 이격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매관(120)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은 종래의 동(구리) 냉매관에 비해 내부식성, 열손실 저감 효과가 인정된다. 다만, 스테인리스 스틸은 동에 비해 높은 강도값과 및 경도값을 갖는다. 이로 인해 스테인리스 스틸은 굽힘 등의 가공과 용접 등의 연결 작업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 설치 현장에 사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현장에서도 어려움 없이 가공 및 연결 작업 가능한 스테인리스 스틸의 조성비를 제공하며, 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냉매관(120)을 포함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를 제안한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냉매관(120)의 처짐량을 제한하기 위한 냉매관 지지대(130)들 사이의 간격(D)은 냉매관(120)의 강성과 관련이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동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냉매관(120)은 동 냉매관에 비해 처짐량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 처짐량이 개선되면, 냉매관(120)을 지지하는 냉매관 지지대(130)의 상호 이격 거리도 멀어질 수 있어,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작업성도 개선될 수 있다.
냉매관(120)의 강성은 단위 변화량에 대한 외력의 값으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냉매관(120)을 구부릴 때 냉매관(120)의 처짐 곡선의 곡률은 굽힘 모멘트(M)에 비례하며, 탄성계수(E)×단면2차모멘트(I)에 반비례한다.
냉매관(120)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170 내지 180㎬의 탄성계수(E)를 갖는 반면, 종래의 냉매관을 구성하는 구리는 110 내지 120㎬의 탄성계수(E)를 갖는다. 두께의 변화로 인한 단면 2차 모멘트 차이는 크지 않으므로 처짐 곡선의 곡률은 주로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굽힘 모멘트(M)가 같은 경우 탄성계수(E)×단면2차모멘트(I) 값이 작을수록 처짐 곡선의 곡률 크기는 커진다. 따라서 탄성계수(E)×단면2차모멘트(I) 값은 처짐 곡선의 곡률 크기는 나타내는 계수에 해당한다. 이것을 굽힘 강성이라 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강성이 구리 냉매관의 강성보다 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관 지지대(130)들 사이의 간격(D)이 종래보다 멀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라고 하더라도 냉매관(120)의 밀도에 의해 냉매관(120)의 처짐량이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냉매관(120)의 밀도는 냉매의 밀도와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매관(120)의 밀도를 변수로 냉매관 지지대(130)의 상호 이격 거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밀도는 7.5 내지 8.5 g/㎤로 한정된다. 나아가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밀도는 7.8 내지 8.2 g/㎤로 한정될 수 있다. 종래의 동 냉매관의 밀도는 8.94 g/㎤ 내외이므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밀도는 동 냉매관의 밀도에 비해 작은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에서는 냉동사이클을 따라 R410a의 냉매가 흐른다. R410a 냉매는 혼합냉매로 1 g/㎤ 이하의 밀도, 구체적으로는 0.94 g/㎤ 내외의 밀도를 갖는다. 냉매의 종류와 그 밀도는 냉매관(120)의 소재 및 밀도와 함께 냉매관(120)의 처짐량을 결정하는 변수가 된다.
상기와 같이 냉매관(120)의 소재, 냉매관(120)의 밀도, 냉매가 결정되면, 냉매관(120)의 외경에 따라 냉매관 지지대(130)들 사이의 최적 간격(D)이 산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외경이 20㎜ 이하라면, 냉매관 지지대(130)들 사이의 간격(D)은 최소 1.0m 최대 1.8m 사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냉매관(120) 설치를 위한 타공 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냉매관 지지대(130)들 사이의 간격(D)이 상기 표에서 최대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외경이 20㎜ 이하라면, 냉매관 지지대(130)들은 1.8m마다 설치될 수 있다.
표 1에 기재된 간격(m)들은 모두 종래의 동 냉매관 수준의 처짐량을 가지면서도, 동 냉매관을 지지하는 냉매관 지지재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간격(m)들을 이용하면, 냉매관 지지대(130)들 사이의 간격(D)을 최적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관(120)들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시스템 공기 조화기(100)의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참고로 동 냉매관 수준의 처짐량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9 ㎜로 설정되었다.
또한 냉매관(120)의 처짐량은 냉매관(120)의 두께(외경과 내경의 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같은 두께라도 냉매관(120)의 처짐량은 냉매관(120)의 외경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처짐량 제한을 위해 냉매관(120)의 외경에 따른 두께 값을 제공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외경에 따른 두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외경이 4㎜ 이상 7.94㎜ 미만일 때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두께가 0.40㎜ 이상이면, 냉매관(120)의 처짐이 제한될 수 있다. 표 2의 나머지 부분도 이와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 기재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두께는 하한에만 기술적 의의가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최소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서 tm은 냉매관(120)의 최소 두께(㎜), P는 설계압력(㎫), Do는 냉매관(120)의 외경(㎜), S는 허용 응력 (N/㎜2), textra는 부식, 나사산 가공 등에 따른 여유 두께를 가리킨다. 이렇게 산출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최소 두께는 ASME B31.1 / KGS Code / JIS B 8607 기준에 만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냉매관(120)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종래의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저강도와 저경도의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구리 소재 수준의 강도와 경도를 갖는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저강도 및 저경도 특성은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에 대한 항복강도, 인장강도, 경도 및 연신율을 측정하고, 이를 구리 소재 등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소재 수준의 강도와 경도의 특성을 가지면, 종래의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문제가 되었던 가공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저강도와 저경도 특성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조성, 기지조직 및 평균 입도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저강도와 저경도 특성을 결정하는 각 항목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각 함량은 중량비(weight percent, wt.%)다.
1. 스테인리스 스틸의 조성(composition)
(1) 탄소 (C, carbon) : 0.03% 이하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탄소(C)와 크롬(Cr, chromium)을 포함한다. 탄소는 크롬과 반응하여 크롬탄화물(chromium carbide)로 석출되는데, 입계 또는 그 주변에 크롬이 고갈되어 부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탄소의 함량은 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의 함량이 0.03%를 초과하면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소재 수준의 강도와 경도를 갖기 어렵고, 저강도와 저경도의 특성을 활용하여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소재 수준의 저강도와 저경도를 갖고 이를 통해 충분한 가공성 확보하도록 탄소의 함량을 0.03% 이하로 설정한다.
(2) 규소 (Si, silicon) : 0 초과 1.7% 이하
오스테나이트는 페라이트나 마르텐사이트에 비해 낮은 항복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소재 수준의 저강도와 저경도 물성을 갖기 위해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이 오스테나이트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규소는 페라이트를 형성하는 원소다. 규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지조직에서 페라이트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페라이트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규소의 함량은 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의 함량이 1.7%를 초과하면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소재 수준의 강도와 경도를 갖기 어렵고,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소재 수준의 저강도와 저경도를 갖고 이를 통해 충분한 가공성 확보하도록 규소의 함량을 1.7% 이하로 설정한다.
(3) 망간 (Mn, Manganess) : 1.5 ~ 3.5%
망간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이 마르텐사이트로 상변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다. 만일 망간의 함량이 1.5% 미만이면 망간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망간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 망간의 하한을 1.5%로 설정한다.
그러나 망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스테인리스 스틸의 항복강도가 상승하게 되어,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수준의 저강도 특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망간의 상한을 3.5%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이 저강도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4) 크롬 (Cr, Chromium) : 15.0 ~ 18.0%
크롬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부식개시저항성(Corrosion Initiation Resistance)을 향상시키는 원소다. 부식개시란 부식되지 않은 모재(母材, base material)에 부식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부식개시저항성이란 모재에 최초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크롬의 함량이 15.0%보다 낮으면 스테인리스 스틸이 충분한 부식개시저항성을 갖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크롬의 하한을 15.0%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이 충분한 부식개시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크롬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연신율은 저하된다. 크롬의 함량이 18.0%를 넘어서면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 증가폭과 연신율 저하폭이 커져 스테인리스 스틸의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크롬의 상한을 18.0%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이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크롬은 고가의 원소이므로, 크롬의 함량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제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크롬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5) 니켈 (Ni, Nickel) : 7.0 ~ 9.0%
니켈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부식성장저항성(Corrosion Growth Resistance)을 향상시키는 원소다. 부식성장이란 이미 모재에 발생된 부식이 넓은 범위로 퍼지면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부식성장저항성이란 부식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부식성장저항성은 부식개시저항성과 개념적으로 차이가 있다. 니켈의 함량이 7.0%보다 낮으면 스테인리스 스틸이 충분한 부식성장저항성을 갖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니켈의 하한을 7.0%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이 충분한 부식성장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니켈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게 된다. 니켈의 함량이 9.0%를 넘어서면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와 경도 증가폭이 커져 스테인리스 스틸의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니켈의 상한을 9.0%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이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니켈은 고가의 원소이므로, 니켈의 함량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제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니켈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설정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6) 구리 (Cu, Copper) : 1.0 ~ 4.0%
구리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이 마르텐사이트로 상변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다. 구리의 함량이 1.0% 미만이면 구리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리에 의한 상변태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 구리의 하한을 1.0%로 설정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이 구리 수준의 저강도와 저경도 물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리의 함량이 반드시 1.0% 이상으로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1.0% 이상의 구리를 포함함에 따라 Cu계 스테인리스 스틸로 분류될 수 있다.
구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구리의 상변태 효과가 증가하기는 하나, 그 증가폭은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구리의 함량이 4.0%를 넘어서게 되면 상변태 억제 효과가 포화된다. 구리는 고가의 원소이므로, 구리의 함량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제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리의 상변태 억제 효과가 포화된 범위 내에서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구리의 상한을 4.0%로 설정한다.
(7) 몰리브덴 (Mo, Molybdenum) : 0.03% 이하
(8) 인 (P, Phosphorus) : 0.04% 이하
(9) 황 (S, Sulfer) : 0.04% 이하
(10) 질소 (N, Nitrogen) : 0.03% 이하
몰리브덴, 인, 황 및 질소는 강철 반제품에 본래부터 포함되어 있는 원소들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경화시키므로, 가능한 낮은 함량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내식성 향상이라는 장점보다 스테인리스 스틸을 경화시키는 단점이 더 크기 때문에 0.03%이하로 관리되어야 한다. 인, 황 및 질소도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화 방지를 위해 각각 0.04%, 0.04% 및 0.03% 이하로 설정된다.
2.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matrix structure)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은 조성 및/또는 열처리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은 오스테나이트(Austenite), 페라이트(Ferrite) 및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로 구분된다. 각각의 기지조직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의 물성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을 갖는다. 오스테나이트는 페라이트나 마르텐사이트에 비해 저항복강도 및 저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기지조직에 해당한다. 나아가 후술하는 평균 입도 크기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결정 크기를 성장시켜 만족하게 되는 한정 사항이다. 상기 세 가지 기지조직을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여 결정 크기를 성장시켰을 때 오스테나이트가 가장 큰 저강도 및 저경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은 오스테나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기지조직을 오스테나이트만으로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은 오스테나이트 뿐만 아니라 다른 기지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저강도 및 저경도 특성을 위해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이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과 델타 페라이트 기지조직을 갖는 경우, 스테인리스 스틸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99%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을 갖고 1% 이하의 델타 페라이트 기지조직을 가져야 한다.
기지조직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의 물성이 달라진다. 기지조직에 따른 스테인리스 스틸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설정하여 서로 비교한다.
실시예1과 실시예2의 스테인리스 스틸들은 앞서 [1. 스테인리스 스틸의 조성] 항목에서 설명한 조성을 동일하게 갖는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들은 [3.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에서 설명할 입도번호 5.0~7.0에 해당하는 평균 입도 크기를 갖는다. 다만 실시예 1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99%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과 1% 이하의 페라이트 기지조직만을 갖는 반면, 실시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만을 갖는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들을 서로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 3을 참고한다.
Figure pat00004
표 1로부터 실시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이 실시예 1의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저강도 및 저경도의 물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이 실시예 1의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높은 연신율을 갖는다.
이로부터 스테인리스 스틸의 저강도 및 저경도 물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델타 페라이트 기지조직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므로, 스테인리스 스틸이 델타 페라이트 기지조직을 갖더라도 그 비율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1% 이하이어야 한다.
스테인리스 스틸이 1% 이하의 델타 페라이트 기지조직을 갖는 경우에도 델타 페라이트가 결정립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보다 국부적으로 특정 결정립에 모여(밀집되어) 분포되는 것이 저강도 및 저경도 구현에 유리하다.
3.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average diameter)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는 조성 및/또는 열처리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와 경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테면 평균 입도 크기가 작을수록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와 경도는 커지고, 평균 입도 크기가 클수록 스테인리스 스틸의 강도와 경도는 작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저강도 및 저경도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를 30~60㎛로 제한한다. 일반적인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입도 크기는 30㎛보다 작다. 따라서 제조공정 및 열처리를 통해 평균 입도 크기를 30㎛ 이상으로 성장시켜야 한다. 미국재료시험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기준에 따르면, 30~60㎛의 평균 입도 크기는 5.0~7.0의 입도번호(Grain size No.)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30㎛보다 작은 평균 입도 크기는 ASTM 입도번호 7.5 이상에 해당한다.
만일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가 30㎛보다 작거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입도번호가 7.0보다 크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저강도 및 저경도의 특성을 갖지 못한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또는 입도번호)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저강도 및 저경도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인자에 해당한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평균 입도 크기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의 물성이 달라진다. 평균 입도 크기에 따른 스테인리스 스틸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예와 실시예를 각각 설정하여 서로 비교한다.
비교예 1은 구리이고, 비교예 2는 입도 번호 7.5 이상의 스테인리스 스틸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입도 번호 6.5의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ASTM 입도번호 7.5에 해당하는 평균 입도 크기는 약 24 내지 27㎛이므로, 비교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27㎛ 이하의 평균 입도 크기를 갖는다. 이에 반해 실시예 3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ASTM 입도번호 6.5에 해당하는 평균 입도 크기(약 39 내지 40㎛)를 갖는다.
도 2는 실시예3의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해 물성을 평가한 응력-변형 그래프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변위(displacement)(㎜)를 의미하고, 그래프의 세로축은 스테인리스 스틸에 인가된 응력(stress)(N/㎜2)을 의미한다.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테인리스 스틸의 항복강도(yield strength)는 약 156.2㎫로 측정되었고, 스테인리스 스틸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약 470㎫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한 물성을 평가한 결과, 조성, 기지조직 및 평균 입도를 실시예3으로부터 조금씩 변경하더라도 약 160㎫의 이하의 항복강도, 약 480㎫ 이하의 인장강도, 약 120Hv 이하의 경도(hardness) 및 60% 이상의 연신율(enlongation)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그 형태가 튜브(tube) 또는 시트(sheet)인 것과 무관하게 상기 범위 내의 물성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을 다른 비교예들과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 4를 참고한다.
Figure pat00005
비교예 1은 구리(동)로 100㎫의 항복강도, 270㎫의 인장강도, 100Hv의 경도 및 45%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다. 구리는 저강도 및 저경도의 물성을 가지므로, 공기 조화기 등의 냉매관으로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리는 부식으로 인한 신뢰성의 문제점 및 신냉매에 대한 냉매관으로의 부적절성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비교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과 유사한 조성 및 기지조직을 가지나 그 입도번호가 7.5 이상이다. 비교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200㎫ 내외의 항복강도, 500㎫ 내외의 인장강도, 130Hv 내외의 경도 및 5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다. 입도번호가 7.5보다 큰 비교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구리에 비해 과도하게 큰 고강도 및 고경도의 물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비교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부식으로 인한 구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더라도, 냉매관으로 가공되기 부적절한 가공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 실시예 3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약 160㎫의 내외의 항복강도, 약 480㎫ 내외의 인장강도, 약 120Hv 이하의 경도(hardness) 및 60% 이상의 연신율(enlongation)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비교예 2의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제기된 가공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비교예 1의 구리에서 제기된 부식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은 충분한 고 내압 특성을 가지므로 고압 신냉매의 냉매관(120)으로도 사용되기 적절하다.
또한 구리의 열전도율은 388 W/mK이고, 스테인리스 스틸의 열전도율은 16.2W/mK이다. 소재의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냉매의 흐름 과정에서 열 손실이 커지므로, 소재의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사이클의 효율은 저하된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열전도율은 구리의 4% 수준에 불과하므로, 스테인리스 스틸로 사이클의 냉매관(120)을 구성하게 되면 열 손실을 줄여 사이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120)의 처짐량 해석을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처짐량 해석 결과를 보인 결과다.
해석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은 19.05㎜ 이며, 두께는 0.8㎜이며, 밀도는 8.0 g/㎤이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흐르는 냉매는 R410a이며, 냉매의 밀도는 0.94 g/㎤이다. 두 냉매관 지지대 간의 간격은 1.5m 설정되었다.
처짐량 시뮬레이션 결과 약 0.5㎜이 발생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처짐량 해석 결과를 보인 다른 결과다.
해석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은 19.05㎜ 이며, 두께는 0.8㎜이며, 밀도는 8.0 g/㎤이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흐르는 냉매는 R410a이며, 냉매의 밀도는 0.94 g/㎤이다. 두 냉매관 지지대 간의 간격은 1.8m 설정되었다.
처짐량 시뮬레이션 결과 약 0.9㎜이 발생하였다.
도 5는 종래의 동 냉매관의 처짐량 해석 결과를 보인 결과다.
해석에 사용된 동 냉매관의 외경은 19.05㎜ 이며, 두께는 1.0㎜이며, 밀도는 8.94 g/㎤이다. 그리고, 동 냉매관을 흐르는 냉매는 R410a이며, 냉매의 밀도는 0.94 g/㎤이다. 두 냉매관 지지대 간의 간격은 1.5m 설정되었다.
처짐량 시뮬레이션 결과 약 0.9㎜이 발생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의 해석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실시예 4, 도 4의 해석에 사용된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실시예 5, 도 5의 해석에 사용된 동 냉매관을 결과를 비교예 3이라 한다.
실시예 4와 비교예 3을 비교하면, 동일한 외경(19.05㎜)을 갖더라도,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이 더 작은 처짐량(0.5㎜<0.9㎜)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4의 두께(0.8㎜)가 비교예 3의 두께(1.0㎜)보다 작은 값을 갖기 때문에, 만일 실시예 4의 두께가 1㎜라고 한다면 더욱 작은 처짐량 값을 가질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두께에 따라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5와 비교예 3을 비교하면, 동일한 외경(19.05㎜)을 갖더라도,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을 지지하는 냉매관 지지대들이 더 먼 간격(1.8m)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냉매관 지지대들의 간격(1.8m>1.5m)이 다르지만, 실시예 5와 비교예 3의 처짐량(0.9㎜)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공기 조화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실외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실외기;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고, 수평부와 수직부를 구비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 및
    상기 천장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처짐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수평부를 지지하는 냉매관 지지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밀도는 7.5 내지 8.5 g/㎤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내부에 R410a의 냉매가 흐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0㎜ 이하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1.0 초과 1.8m 이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5 내지 4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1.5 초과 2.0m 이하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50 내지 8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2.0 초과 3.0m 이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00 내지 150㎜ 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3.0 초과 4.0m 이하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00㎜ 이상일 때 상기 냉매관 지지대들 사이의 간격은 4.0 초과 5.0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처짐량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0.9㎜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중량%로 C : 0.03% 이하, Si : 0 초과 1.7% 이하, Mn : 1.5 ~ 3.5%, Cr : 15.0 ~ 18.0%, Ni : 7.0 ~ 9.0%, Cu : 1.0 ~ 4.0%, Mo : 0.03% 이하, P : 0.04% 이하, S : 0.04% 이하, N : 0.03% 이하, 잔부 :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오스테나이트(austenite) 기지조직과 30~60㎛의 평균 입도 크기(average diamet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입도번호(Grain size No.)는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99%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matrix structur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은 입도 면적을 기준으로 1% 이하의 델타 페라이트(δ-ferrite) 기지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탄성 계수는 170 내지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4㎜ 이상 7.94㎜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4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7.94㎜ 이상 12.7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5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2.70㎜ 이상 15.88㎜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6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5.88㎜ 이상 19.05㎜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7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19.05㎜ 이상 22.2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0.8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22.20㎜ 이상 31.8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1.0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31.80㎜ 이상 50.80㎜ 미만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1.20㎜ 이상이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외경이 50.80㎜ 이상 54.00㎜ 이하일 때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냉매관의 두께는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공기 조화기.
KR1020170003620A 2017-01-10 2017-01-10 시스템 공기 조화기 KR20180082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20A KR20180082215A (ko) 2017-01-10 2017-01-10 시스템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20A KR20180082215A (ko) 2017-01-10 2017-01-10 시스템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15A true KR20180082215A (ko) 2018-07-18

Family

ID=6304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620A KR20180082215A (ko) 2017-01-10 2017-01-10 시스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2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4727A (zh) * 2019-07-31 2022-03-11 大金工业株式会社 冷冻装置及所述冷冻装置的制冷剂配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4727A (zh) * 2019-07-31 2022-03-11 大金工业株式会社 冷冻装置及所述冷冻装置的制冷剂配管
CN114174727B (zh) * 2019-07-31 2024-02-23 大金工业株式会社 冷冻装置及所述冷冻装置的制冷剂配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6132B1 (en) Air conditioner
EP3382052B1 (e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refrigerant pipe made of a ductile stainless steel
KR20170113325A (ko) 스테인리스강 및 상기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배관
EP3643992A1 (en) Air conditioner
EP3598034B1 (en) Air conditioner
US11408691B2 (en) Air conditioner
KR102141900B1 (ko) 공기 조화기 시스템
US11448407B2 (en) Air conditioner
KR20180082215A (ko) 시스템 공기 조화기
EP3670683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486013B2 (en) Air conditioner
US11287146B2 (en) Air conditioner
EP3598027B1 (en) Air conditioner
EP3598032A1 (en) Air conditioner
US11365893B2 (en) Air conditioner
US11413713B2 (en) Air conditioner
US11447839B2 (en) Air conditioner
EP3598035B1 (en) Air conditioner
KR102357608B1 (ko) 공기 조화기
KR20170113326A (ko) 공기 조화기
KR20180104523A (ko) 공기 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