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463A -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463A
KR20180081463A KR1020180001157A KR20180001157A KR20180081463A KR 20180081463 A KR20180081463 A KR 20180081463A KR 1020180001157 A KR1020180001157 A KR 1020180001157A KR 20180001157 A KR20180001157 A KR 20180001157A KR 20180081463 A KR20180081463 A KR 20180081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space
common search
downlink control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096B1 (ko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66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8166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8/00022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28440A1/ko
Priority to US16/464,135 priority patent/US11160051B2/en
Priority to EP18736364.3A priority patent/EP3547591A4/en
Priority to CN201880004512.1A priority patent/CN110024323B/zh
Publication of KR2018008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는 단말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new radio and Apparatuses thereof}
본 실시예들은 3GPP에서 논의가 시작된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이하, "NR[New Radio]"라고도 함)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셀 특정(cell-specific)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서 단말에 전송하기 위하여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을 구성하고, 구성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NR은 LTE/LTE-Advanced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고,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LTE-Advanced 대비 유연한(flexible)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가 존재하는 NR에서는 각 단말 별로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에 기반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을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셀-특정(cell-specific)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을 정의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할 필요성이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가 존재하는 NR에서 각 단말 별로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에 기반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일 실시예는 단말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기지국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전송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전송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가 존재하는 NR에서는 각 단말 별로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에 기반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OFDM 심볼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또는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또는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NR (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스킴(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LTE-Advanced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별 요구(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s), 레이턴시(latenc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 요구(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러지(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에 대해 하나의 NR 캐리어(carrier)를 통해 TDM, FDM 또는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간 유닛(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시간 도메인 구조(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서브프레임(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레퍼런스 뉴머롤러지(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단일한 서브프레임 지속기간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서브프레임은 1ms의 지속기간(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서브프레임은 절대적인 레퍼런스 지속기간(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시간 유닛(time unit)으로서 슬롯(slot) 및 미니 슬롯(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뉴머롤러지에 관계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슬롯의 전송 지시(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하향 링크 전송(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모든 심볼이 상향 링크 전송(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하향 링크 부분(DL portion) + (gap) + 상향 링크 부분(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또는 SCS)에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또는 슬롯 병합(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지연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의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뉴머롤러지 기반의 프레임 구조에서 정의된 0.5ms(7 symbols) 또는 1ms(14 symbols) 기반의 슬롯 단위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지연 시간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를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슬롯(mini-slot)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URLLC와 같은 지연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NR 캐리어 내에서 서로 다른 SCS값을 갖는 뉴머롤러지를 TDM 방식 또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뉴머롤러지 별로 정의된 슬롯(또는 미니-슬롯) 길이를 기반으로 지연 시간 요구 사항(latency requirement)에 맞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SCS가 60kHz인 경우, SCS 15kHz인 경우보다 심볼 길이가 1/4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하게 7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할 경우, 해당 15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0.5ms이 되는 반면, 60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약 0.125ms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 또는 서로 다른 TTI 길이를 정의함으로써, URLLC와 eMBB 각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더 넓은 대역폭 동작(Wider bandwidth operations)
기존 LTE system의 경우, 임의의 LTE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에 대한 확장 가능한 대역폭 동작(scalable bandwidth operation)을 지원하였다. 즉, 주파수 배포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에 따라 임의의 LTE 사업자는 하나의 LTE CC를 구성할 때, 최소 1.4 MHz부터 최대 20 MHz의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일반적인 LTE 단말은 하나의 LTE CC에 대해 20 MHz의 대역폭(bandwidth)에 대한 송수신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지원하였다.
하지만 NR의 경우, 하나의 NR CC에서 서로 다른 송수신 대역폭 캐퍼빌리티(bandwidth capability)를 갖는 NR 단말을 지원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임의의 NR CC에 대해 세분화된 대역폭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별로 서로 다른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를 설정(configuration)하고 활성화(activation)할 수 있도록 하여, 유연(flexible)한 더 넓은 대역폭 동작(wider bandwidth operation)에 대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NR CC의 전체 대역폭(bandwidth)에서 일부분인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가 정의될 수 있으며, 각 단말은 설정된 N개의 대역폭 파트 중 임의의 대역폭 파트를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의의 NR CC는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단말마다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중에서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에 대해 활성화(activation)하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를 통해서 해당 단말을 위한 상/하향 링크 무선 신호 및 무선 채널에 대한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NR CC에서 복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지원하는 경우, 각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마다 상/하향 링크 무선 신호 및 무선 채널에 대한 송수신에 대해 서로 다른 뉴머롤러지(numerology)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 URLLC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지연 경계(latency boundary)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짧은 스케줄링 단위(short scheduling unit(또는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반면, eMBB 또는 mMTC의 경우에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스케줄링 단위(scheduling unit)를 정의함에 있어서 URLLC에 대비하여 조금 더 긴 시구간 자원 할당 단위를 적용하는 것이 제어 오버헤드(control overhead) 및 커버리지(coverage)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NR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URLLC에 적합한 짧은 시구간 자원 할당 단위를 정의하는데 용이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e.g. 60kHz, 120kHz, 등의 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뉴머롤러지(numerology)와 eMBB 및 mMTC에 적합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e.g. 15kHz for eMBB 또는 3.75kHz for mMTC)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하나의 NR 캐리어를 통해서 지원하는 혼합 뉴머롤러지(mixed numerology) 방법이 가능하다.
또는 임의의 특정 뉴머롤러지(numerology)로 동작하는 NR 캐리어 내에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또는 미니 슬롯(mini-slot) 등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단위(time-domain scheduling unit)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를 고려한 NR에서 각각의 단말 별로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단위(time-domain scheduling unit) 기반의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단말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셀 특정(cell-specific)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CSS 설정 방법은 구체적으로 해당 CSS가 구성되는 제어 자원 셋(CORESET, Control Resource Set)를 설정하는 방법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해당 CORESET에서 구성되는 CSS를 통해 전송되는 PDCCH에 포함된 셀-특정(cell-specific) DCI는 i)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ii) 셀-특정(cell-specific) TPC(Transmit Power Control) 관련 설정 정보, iii)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iv) RAR(Random Access Response)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S 설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기술하나, 이는 해당 CSS가 구성되는 CORESET를 설정하는 방법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모든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단말, 기지국, 코어망 개체(MME)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LTE 기술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뿐만 아니라 차세대 이동통신(5G 이동통신, New-RAT) 단말, 기지국, 코어망 개체(AMF: Access and Mobility Function)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기지국은 LTE/E-UTRAN의 eNB를 나타낼 수도 있고, CU(Central Unit)와 DU(Distributed Unit)가 분리된 5G 무선망에서 기지국(CU, DU, 또는 CU와 DU가 하나의 논리적인 개체로 구현된 개체), gNB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뉴머롤러지(numerology)는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수치적 특성 및 수치의 의미를 뜻하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하, SCS 또는 Subcarrier Spacing으로도 호칭 가능)의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뉴머롤러지(numerology)가 상이하다는 것은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결정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슬롯 길이(slot length)는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로도 표현될 수 있고, 슬롯이 점유하는 시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5kHz의 SCS를 기초로 한 뉴머롤러지가 사용될 경우에,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14개의 OFDM 심볼로 표현될 수 있고, 1ms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는 시스템 정보의 일부분으로서 SIB1으로 단말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SIB1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그리고 SIB1이 아닌 다른 SIB를 통해서 단말에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는 기타 시스템 정보(OSI, Other System Information)로 호칭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0).
이 때,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PBCH를 통해 셀 내의 단말들에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데, 이 때 MIB에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 CC/셀에서는 복수의 뉴머롤러지가 설정될 수 있고,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PDCCH에 대한 뉴머롤러지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해당 주기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이나 슬롯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의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PSS/SSS 또는 PBCH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 및 슬롯 길이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PRB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술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S310).
단말은 S300 단계에서 수신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수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되는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cell-specific DC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 즉 RMSI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가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400).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 CC/셀에서는 복수의 뉴머롤러지가 설정될 수 있고,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PDCCH에 대한 뉴머롤러지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해당 주기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이나 슬롯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의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PSS/SSS 또는 PBCH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 및 슬롯 길이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PRB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전술한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410).
이 때,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는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PBCH를 통해 셀 내의 단말에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브로드캐스팅할 때, MIB에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S420).
기지국은 S400 단계에서 설정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수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되는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cell-specific DC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 즉 RMSI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가 있다.
이하, 전술한 단말과 기지국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다양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CSS 주기 설정
실시예 1에서는 전술한 CSS 또는 CSS가 구성되는 CORESET에 대해서 시간 도메인(time-domain)축에서의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NR CC(Component Carrier)/셀에서 해당 CSS를 위한 시구간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는 해당 CSS가 구성되는 주기에 대한 설정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에 기반한 복수의 뉴머롤러지(multiple numerology)를 지원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NR에서는 해당 NR 셀이 구성된 주파수 대역 또는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에 따라서 서로 다른 SCS 기반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및 그에 따른 슬롯 길이(slot length)에 기반한 데이터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뉴머롤러지(multiple numerology) 기반의 NR에서, CSS 주기 는 SCS의 값 및 그에 따른 슬롯 길이(slot length)와 관계 없이 임의의 고정된 주기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NR에서는 CSS가 전술한 서브프레임 단위, 즉 1ms 단위로 설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NR에서 CSS의 주기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CSS의 주기는 SCS 값의 함수로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임의의 NR의 셀을 구성하는 SCS 값에 따라 해당 CSS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해당 CSS의 주기는 SCS 값의 함수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NR 셀에서 설정된 슬롯 길이(slot length)의 함수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CSS는 해당 NR 셀에서 정의된 슬롯 단위로도 설정될 수 있다. 단, 임의의 NR 셀에서 복수의 SCS가 지원될 경우에 해당 CSS는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SCS 및 그에 따른 슬롯 길이(slot length)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SCS 및 슬롯 길이(slot length)에 따라 별도의 CSS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가 해당 CSS의 주기를 설정하고, 이를 MIB 또는 SIB와 같은 셀-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CSS 관련 주기 설정 정보는 PBCH를 통해 전송되는 MIB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주기 관련 설정 정보는 i) CSS의 전송 뉴머롤러지(transmission numerology) 설정 및 그에 따른 슬롯 길이(slot length)를 기반으로 한 슬롯 단위의 주기 설정 정보, ii)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또는 서브프레임 단위의 주기 설정 정보, iii) 하나 이상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단위로 해당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내에서 CSS가 구성되는 슬롯 인덱스(slot index(indices))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subframe index(indices))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 2. CSS 서브대역 (sub-band) 설정
실시예 2에서는 전술한 CSS 또는 CSS가 구성되는 CORESET에 대해서 주파수 도메인(frequency-domain) 축에서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NR CC(Component Carrier)/셀에서 해당 CSS를 위한 주파수 구간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는 해당 CSS가 구성되는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의 그룹으로 구성되는 서브대역(sub-band) 관련 할당 정보 또는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관련 할당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CSS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에, 해당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에서 CSS를 구성하기 위한 PRB의 그룹 즉, 서브대역(sub-band)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해당 PRB의 그룹은 해당 셀의 PCI(Physical Cell ID),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해당 셀의 시스템 대역폭(number of PRBs), SCS 값을 각각 인자로 하는 함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고 또는 이 중 일부를 인자로 하는 함수의 형태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전술한 인자를 적용할 지 여부를 설정하고, 이를 MIB 또는 SIB 등의 셀-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이를 기반으로 해당 CSS에 대한 서브대역(sub-band)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MIB 또는 SIB 등의 셀-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이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단위로 CSS 서브대역 호핑(sub-band hopping)을 적용할 지 여부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각각의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단위로 정의되는 CSS 서브대역(sub-band)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해당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에 따라 호핑(hopping)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에서 CSS를 구성하기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직접 설정하고, 이를 MIB 또는 SIB 등의 셀-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CSS 구성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MIB에 포함되어 PBCH를 통해 전송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CSS가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할당 정보 또는 해당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에서의 PRB의 할당 정보일 수 있다.
또는 해당 CSS가 구성되는 주파수 자원은 해당 NR CC/셀에서 SS block이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CSS는 PSS/SSS 또는 PBCH 전송이 이루어지는 대역폭(bandwidth)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PSS/SSS 또는 PBCH 전송이 이루어지는 PRB와 동일한 PRB를 통해서 해당 CSS가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 있고 또는 해당 PSS/SSS 또는 PBCH를 포함하는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를 통해서 해당 CSS가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PDCCH에 대한 전송 뉴머롤러지 설정
실시예 3에서는 전술한 CSS 또는 CSS가 구성되는 CORESET을 통해서 전송되는 셀-특정(cell-specific) DCI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에 대한 전송 뉴머롤러지(transmission numerology)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NR 셀에서 복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가 지원될 경우, 각각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마다 별도의 CSS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PSS/SSS 또는 PBCH 전송이 이루어지는 기준 뉴머롤러지(reference numerology)를 기반으로 하는 CSS, 즉 단일 뉴머롤러지(single numerology) 기반의 CSS만이 정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에서 해당 CSS의 전송 뉴머롤러지(transmission numerology)를 설정한 후에 MIB 또는 SIB와 같은 셀-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CSS의 전송 뉴머롤러지(transmission numerology) 관련 설정 정보(e.g. SCS 또는 CP(Cyclic Prefix) 길이 관련 설정 정보 등)는 PBCH를 통해 전송되는 MIB에 포함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NR에서는 임의의 단말을 위한 CSS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CSS의 목적/용도 별로 복수의 CSS 또는 CSS가 구성되는 CORESET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 RMSI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CSS, ii) 그 외의 시스템 정보들, 즉 PBCH를 통해 전송되는 MIB와 RMSI를 제외한 기타 시스템 정보들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기 위한 CSS, iii) RAR(Random Access Response)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CSS, iv) 페이징(paging)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CSS, v) 단말 별로 구성되는 USS(UE-specific Search Space)에 대한 폴백 동작(fallback operation)을 위한 CSS, vi) TPC 명령어 등의 기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multicast/broadcast)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CSS 등 목적/용도에 따라 별도의 CSS들이 정의될 수 있다. 단, 이 중 복수의 특정 목적/용도를 위해 단일한 CSS가 공유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CSS가 정의되는 경우에 각각의 CSS 설정은 계층적(hierarchic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 1, 2, 3에서 설명한 각각의 CSS 설정 정보들이 MIB, RMSI 등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BCH를 통해 전송되는 MIB를 통해서 RMSI를 위한 CSS 설정 관련 정보가 전송되고, 이후에 해당 RMSI를 통해서 기타 시스템 정보들을 위한 CSS 또는 페이징(paging), RAR 등을 위한 CSS 설정 관련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단, 이처럼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복수의 CSS가 정의되고 각각의 CSS 관련 설정이 계층적(hierarchical)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경우가 본 실시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500)은 제어부(510), 송신부(520), 수신부(530)를 포함한다.
제어부(5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기지국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데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 셀에서는 복수의 뉴머롤러지가 설정될 수 있고,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PDCCH에 대한 뉴머롤러지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해당 주기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이나 슬롯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의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PSS/SSS 또는 PBCH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 및 슬롯 길이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PRB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520)와 수신부(5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송신부(520)는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는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전송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수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되는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cell-specific DC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 즉 RMSI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가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600)은 수신부(610), 제어부(620), 송신부(630)를 포함한다.
수신부(6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610)는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PBCH를 통해 셀 내의 단말에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브로드캐스팅할 때, MIB에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 셀에서는 복수의 뉴머롤러지가 설정될 수 있고, PD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PDCCH에 대한 뉴머롤러지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구성 정보에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다른 예로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해당 주기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이나 슬롯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의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PSS/SSS 또는 PBCH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 및 슬롯 길이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는 공통 검색 공간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PRB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610)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 수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되는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cell-specific DC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셀-특정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로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 즉 RMSI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가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데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기지국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전송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수신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공통 검색 공간(CSS, 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통해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통해 전송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CS, Subcarrier Spacing)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및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의 주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주파수 자원은,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80001157A 2017-01-06 2018-01-04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4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0221 WO2018128440A1 (ko) 2017-01-06 2018-01-05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6/464,135 US11160051B2 (en) 2017-01-06 2018-01-05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EP18736364.3A EP3547591A4 (en) 2017-01-06 2018-01-05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ND ASSOCIATED APPARATUS
CN201880004512.1A CN110024323B (zh) 2017-01-06 2018-01-05 在nr中发送或接收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2589 2017-01-06
KR1020170002589 2017-01-06
KR1020170066632 2017-05-30
KR1020170066632A KR20180081669A (ko) 2017-01-06 2017-05-30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공용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63A true KR20180081463A (ko) 2018-07-16
KR102114096B1 KR102114096B1 (ko) 2020-05-25

Family

ID=630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57A KR102114096B1 (ko) 2017-01-06 2018-01-04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0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2892A (ja) * 2018-08-03 2020-11-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参照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12602361A (zh) * 2018-08-09 2021-04-02 日本电气株式会社 分布式单元、中央单元及其方法
CN112753261A (zh) * 2018-09-27 2021-05-0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CN112753261B (zh) * 2018-09-27 2024-05-17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3849A1 (en) * 2013-04-03 2016-0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pdcch common search space design for one or more carrier typ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3849A1 (en) * 2013-04-03 2016-0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pdcch common search space design for one or more carrier typ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1443* *
3GPP R1-1612019* *
3GPP R2-168287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2892A (ja) * 2018-08-03 2020-11-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参照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12602361A (zh) * 2018-08-09 2021-04-02 日本电气株式会社 分布式单元、中央单元及其方法
CN112753261A (zh) * 2018-09-27 2021-05-0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CN112753261B (zh) * 2018-09-27 2024-05-17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096B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4075B (zh) 用于调度新无线电中的数据信道的方法和装置
KR102129362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16005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CN109417529B (zh) 在支持多个副载波间隔的小区中配置和检测循环前缀长度的方法和装置
KR102156668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6695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대역폭 파트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2396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4637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024323B (zh) 在nr中发送或接收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及其装置
KR102162591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14096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6869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8940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80106859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1345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호핑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8758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11307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반복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78412B1 (ko) 새로운 무선 액세스 망에서 단말을 위한 동기화 신호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38279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8010839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26604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다중 numerology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195869B1 (ko)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17737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39855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사이드링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08113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