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503A - Socket for Piping - Google Patents
Socket for Pip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0503A KR20180080503A KR1020170001288A KR20170001288A KR20180080503A KR 20180080503 A KR20180080503 A KR 20180080503A KR 1020170001288 A KR1020170001288 A KR 1020170001288A KR 20170001288 A KR20170001288 A KR 20170001288A KR 20180080503 A KR20180080503 A KR 20180080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backflow
- pipe
- prevention plate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연결되도록 양측에 제1,2 배관수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역류 방지판이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역류 방지판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통상적으로 배관이란 각종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목적에 따라 온수배관, 난방배관, 오,배수배관, 소화배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가정 광범위로 사용되는 오,배수배관은 그 종류에 따라 주철관, 탄소강관, 경질염화 비닐 라이닝강관, 타르에폭시 도장강관, 연관, 경질염화비닐관, 내화2층관, 철관콘크리트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Generally, piping refers to a passage through which various fluids flow,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hot water pipe, a heating pipe, an oil pipe, a drain pipe, and a digest pip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se, the water distribution pipes used widely in the home can be classified into cast iron pipes, carbon steel pipes, hard vinyl chloride lining pipes, tar epoxy pipes, connection pipes, hard vinyl chloride pipes, refractory double pipes, have.
또한, 배관들은 연결소켓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배관의 수리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소켓을 중심으로 새로운 배관을 교체하거나 관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Also, the pipelines can be continuously installed by the connection socket, and when repair or maintenance of the piping is required, the new piping is replaced or th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around the connection socket.
한편, 연결소켓은 90°벤드, 45°벤드, Y관, YT관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직선형 배관들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무리하게 새로운 배관을 교체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자원이 낭비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socket was generally made of 90 ° bend, 45 ° bend, Y tube, YT tube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straight pipe is replaced,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new pipe unreasonab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sources are wasted and the cost is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배관공사를 한 뒤, 보수공사를 해야할 때, 보수해야할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된 각각의 관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도 작업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으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관 부속이 많지 않아 관과 관끼리의 결합 부위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기에, 하수관들이 서로 연결될 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소켓의 개발이 요구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workability even when piping work is performed, when repair work is required, when the parts to be repaired are cut and the cut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Since there are not many piping parts,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match the joints between the pipes and pipes. Therefore,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 connection socket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when the sewer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764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2016. 06. 28.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이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절단된 두 관을 연결할 때,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을 제안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propos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35764 entitled "Length-Adjustable Connection Socket" (Registered on May 28, 2016) Technical literature '), and this prior art document proposes a connection socket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when connecting the two cut pipes.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단순히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로서, 해안이나 저지대의 자연재해시 발생될 수 있는 배수관 내부의 유체 역류현상이나, 오수배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악취나 유해물질, 각종 해충들이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are merely techniques for securing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backflow phenomenon in the inside of a drain pipe, which may occur during a natural disaster of a coastal area or a lowland,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various insects 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이에 배관용 소켓을 구비하여 각종 배관의 연결과, 수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면서도, 종래 각종 오,배수배관이 지니는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과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소켓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cket for piping that can solve problems such as fluid backflow, odor inflow, hazardous material backflow, and insect inflow of various miscellaneous water pipes, while ensuring efficiency of connection and repair work of various pipelines The development of socket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관용 소켓을 이용하여 배관의 연결과 수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배관용 소켓 자체의 관리 및 설치가 용이하며, 소켓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편리하고, 유체역류와 악취유입 차단의 내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체의 정방향 흐름에도 유체의 량에 대응되는 정도만 개방될 수 있고, 소켓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개폐될 수 있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ing socket capable of securing the efficiency of piping connection and repair work and preventing fluid backflow, odor inflow, It is easy to manage and install the socket for piping itself,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form the shape of the socket,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tightness of fluid reverse flow and odor flow interrup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cket for a backflow preventing pipe that can be opened only to a degre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fluid in the backflow preventing pipe and can be opened or closed irrespective of the sectional shape of the socke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타측에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22)이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턱(30);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ocket for a backflow preventativ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몸체(10a)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는 방출몸체(10b)에 연결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1 소켓연결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방출몸체(10b)는 일측에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2 소켓연결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켓연결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소켓연결부(13b)의 타측에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회동되도록 회동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수용몸체(10a)는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 직각방향으로 걸림턱(3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걸림턱(30)에는 역류 방지판(22)과 맞닿는 면을 향하여 볼록부(31a)가 형성된 탄성체(31)가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힌지부(21)와 대향되는 위치의 걸림턱(30)이 상대적으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힌지부(21)는 소켓연결부(13)의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공(21a)에 힌지축(21b)이 삽입되고,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공(21a)을 커버하여 상기 힌지축(21b)이 고정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힌지공(21a)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이 힌지공(21a)을 따라 걸림턱(30)에 밀착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힌지부(21)의 힌지축(21b)이 탄성스프링(21c)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c)의 일단이 힌지축(21b)에 결합되고, 타측이 역류 방지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22a)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22b)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22d)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22e)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역류 차단부(20)은 힌지부(21)가 하부에 형성되고, 역류 방지판(22)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부력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에 따르면, 배관용 소켓의 몸체부를 이용하여 배관의 연결과 수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몸체부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이 구비되어 유체역류, 악취유입, 유해물질 역류 및 해충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cket for a backflow preventio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piping connection and repair and maintenance work can be secured by using the body of the socket for piping, and a backflow prevention plate is provided so as to pivot about a hinge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fluid backflow, odor inflow, harmful material backflow, and pest inflow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몸체부는 수용몸체와 방출몸체로 구성되어 배관용 소켓 자체의 관리 및 설치가 용이하며, 소켓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Further, the body part is composed of a receiving body and a discharge body, and it is easy to manage and install the socket for a pipe, and the shape of the socket can be freely form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탄성체가 구비되어 역방향 흐름에 의한 가압력에 역류 방지판이 밀착될 수 있어 유체역류와 악취유입 차단의 내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an elastic body is provided, so that the backflow preventing plate can be attached to the pressing force by the backward flow, thereby securing the tightness of fluid backflow and odor inflow and outflow.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시 역류 방지판이 폐쇄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므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hinge portion includes an elastic spring, which generates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elastic spring always closes the backflow preventing plate, thereby preventing the inflow of odor.
나아가, 힌지축이 구비되는 힌지공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힌지축이 힌지공을 따라 걸림턱에 밀착되어 부재의 훼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단의 내밀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hinge shaft having the hinge shaft is formed as a long hole, when the reverse flow is generated, the hinge shaf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jaw along the hinge hole to prevent the member from being damaged, thereby ensuring the durability, Can be additionally secured.
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판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이 절첩되도록 구비되어 유체의 정방향 흐름에도 유체의 량에 대응되는 정도만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horizontal hinge so that at least a pair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s are folded, and can be opened only to a degre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fluid in the forward flow of the fluid.
그리고 역류 방지판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이 절첩되도록 구비소켓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개폐될 수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may be opened or closed regardles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ocket so that at least one pair of vertical partition plates are folded with at least one vertical hing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사용상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차단부의 단면 상세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 차단부의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소켓의 형상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 use state view and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ocket for pip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socket for pi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6 are exploded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socket for pi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verse flow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 reflux bloc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ocket for pip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몸체부(10), 역류 차단부(20) 및 걸림턱(30)을 포함한다.1 to 3, the socket for a backflow preventio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체부(10)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타측에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된다.The
상기 몸체부(10)의 제1 배관수용부(11)와 제2 배관수용부(12)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용 배관(P1) 또는 방출 배관(P2)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공지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와 제2 배관수용부(12)는 단부에 단턱부(11a)(12a)가 형성되어 배관(P1)(P2)의 단부가 상기 단턱부(11a)(12a)에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원형 단면을 지니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관용 소켓은 몸체부(10)의 내측에 후술할 역류 차단부(20)가 구비되는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유지 관리와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는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몸체부(10)가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단면은 원형 단면으로 국한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Whe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몸체(10a)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는 방출몸체(10b)에 연결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1 소켓연결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출몸체(10b)는 일측에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2 소켓연결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켓연결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13b)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4, the
상기 소켓 연결부(13)를 형성하는 제1 소켓연결부(13a)와 제2 소켓연결부(13b)는 원형 단면 이외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바, 상호 접착수단을 바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제2 소켓연결부(13b)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단턱부(13a-1)(13b-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의 단부가 상기 단턱부(13a-1)(13b-1)에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소켓연결부(13b)의 타측에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회동되도록 회동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4, a rotating
상기 회동공간부(14)는 양 측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회동공간부(14)에 구비된 역류 방지판(22)이 제약 없이 회전되어 개방 또는 폐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dth of the
또한, 상기 방출몸체(10b)는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 상기 제2 배관수용부(12)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축관되는 축관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원형 단면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는 몸체부(10)에 각종 이물질이 구비되거나 유체의 흐름이 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유체가 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 축관부(15)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구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allow the fluid to flow stably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차단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 상단에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22)이 구비된다.4 to 6, the
상기 역류 방지판(22)의 상단에 힌지부(21)가 구비되므로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역류 방지판(22)의 자중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걸림턱(30)은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역류 방지판(22)과 힌지부(21)는 수용 배관(P1)에 인접하여 형성된 걸림턱(30)의 내측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수용몸체(10a)는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 직각방향으로 걸림턱(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별도로 몸체부(10)의 내측에 걸림턱(30)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바 제작의 용이성이 확보된다.The receiving
또한, 상기 걸림턱(30)에는 역류 방지판(22)과 맞닿는 면을 향하여 볼록부(31a)가 형성된 탄성체(31)가 구비될 수 있다.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역류 방지판(22)이 가압되는바, 탄성체(31)에 의하여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 차단과 악취유입 차단을 확보함에 있어 보다 내밀성을 기할 수 있다.The latching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31)에 형성된 볼록부(31a)는 역방향 흐름의 가압 정도에 무관하게 상기 볼록부(31a)의 형상변형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압력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4, the
한편, 상기 힌지부(21)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몸체부(10)의 외주면에는 상부를 나타내도록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로,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힌지부(21)는 소켓연결부(13)의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공(21a)에 힌지축(21b)이 삽입될 수 있다.The
상기 힌지부(21b)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공(21a)을 커버하여 상기 힌지축(21b)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과정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이를 해체하는 경우에도 단지 몸체부(10)의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힌지부(21b)를 분리하는 기술적 효과를 꾀할 수 있다.The other one of the first
이때,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제2 소켓연결부(13b)는 상호 내,외측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에 구비된 소켓연결부에 힌지공(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공(21a)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이 힌지공(21a)을 따라 걸림턱(30)에 밀착될 수 있다. 5 to 6, when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21b)는 힌지공(21a)의 형상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도 함께 이동하여 역류 방지판(22)이 가압되는바, 탄성체(31)에 의하여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 차단과 악취유입 차단을 확보함에 있어 보다 내밀성을 기할 수 있다.7, the
나아가, 상기 힌지축(21b)이 힌지공(21a)을 따라 걸림턱(30)에 밀착되어 부재의 훼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확보되는 추가적인 효과도 있다.Further, the
또한, 상기 힌지부(21)의 힌지축(21b)이 탄성스프링(21c)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c)의 일단이 힌지축(21b)에 결합되고, 타측이 역류 방지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도록 복원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힌지축(21b)는 역류 방지판(22)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일측 단부가 다각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술한 장공형 힌지공(21a)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되,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탄성스프링(21c)는 상시 역류 방지판(22)이 폐쇄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므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1)에 별도의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하여 역류 방지판(22)이 폐쇄되며, 효과적인 차단을 위하여 힌지부(21)과 대향되는 위치의 걸림턱(30)이 상대적으로 일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걸림턱(30)에 형성되는 탄성체(31)도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상기 실시예는 중력에 의하여 자중으로 역류 방지판(22)이 폐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배관용 소켓의 내부가 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부력에 의하여 역류 방지판(22)이 부유하여 회동함으로써 폐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이때, 힌지부(21)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역류 방지판(22)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유체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는 부력에 의하여 폐쇄되고, 유체의 정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개방된다.Th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22a)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22b)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8, the
이로써,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정방향 흐름만 발생되는 경우에도 유체의 량에 대응되는 정도만 개방될 수 있어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even when only a forward flow of the flui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s generated, the fluid can be opened only to a degre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fluid, so that the inflow of the odor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수평힌지(22a)는 적어도 두 개의 상,하부 수평힌지(22a-1)(22a-2)가 구비되어 적어도 세 개의 수평 분할판(22b-1)(22b-2)(22b-3)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상,하부 수평힌지(22a-1)(22a-2)에는 각각 상,하부 탄성스프링(22c-1)(22c-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탄성스프링(22c-1)이 하부 탄성스프링(22c-2) 보다 강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량과 압력에 따라 하부 수평힌지(22a-2)에 종속된 수평 분할판(22b-3)부터 순차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upper and lower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22d)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22e)이 절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9, the
상기 수직힌지(22d)에 의하여 몸체부(10)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하기 수직 분할판(22e)이 몸체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몸체부
10a:수용몸체
10b:방출몸체
11:제1 배관수용부
12:제2 배관수용부
11a,12a:단턱부
13:소켓 연결부
13a,13b:제1,2 소켓연결부
14:회동공간부
15:축관부
20:역류 차단부
21:힌지부
21a:힌지공
21b:힌지축
21c:탄성스프링
22:역류 방지판
22a:수평힌지
22a-1,22a-2:상,하부 수평힌지
22b:수평 분할판
22b-1,22b-2,22b-3:수평 분할판
22c-1,22c-2:상,하부 탄성스프링
22d:수직힌지
22e:수직 분할판
30:걸림턱
31:탄성체
31a:볼록부10:
10b: discharge body 11: first pipe accommodating portion
12: second
13:
14: rotation space part 15:
20: reverse flow blocking portion 21: hinge portion
21a:
21c: elastic spring 22: backflow prevention plate
22a: Horizontal hinges 22a-1, 22a-2: Upper and lower horizontal hinges
22b:
22c-1, 22c-2: upper and lower elastic springs
22d:
30: latching jaw 31: elastic body
31a:
Claims (11)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는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역류 방지판(22)이 구비되는 역류 차단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턱(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A body portion 10 having a first pipe receiving portion 11 formed at one side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receiving pipe P1 and a second pipe receiving portion 12 formed at the other side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P2;
A backflow blocking portion 20 having a hinge portion 2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so as to rotate about the hinge portion 21; And
A stopper 30 for blocking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of the backflow blocking portion 20 from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in the sidewalls.
상기 몸체부(10)는 수용몸체(10a)와 방출몸체(10b)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몸체(10a)는 수용 배관(P1)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제1 배관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는 방출몸체(10b)에 연결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1 소켓연결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방출몸체(10b)는 일측에 일정한 직경을 지니는 제2 소켓연결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연결부(13a)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켓연결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소켓연결부(13b)의 타측에는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이 회동되도록 회동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부(14)의 일측에는 방출 배관(P2)에 연결되도록 제2 배관수용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10 is composed of a receiving body 10a and a discharge body 10b and the receiving body 10a is formed with a first pipe receiving portion 11 on one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ipe P1 A first socket connecting part 13a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pe receiving part 1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body 10b and the discharging body 10b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A second socket connecting part 13b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ocket connecting part 13a to form a socket connecting part 1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ocket connecting part 13b is connected to the back flow blocking part 20b And a second pipe receiving portion 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ivoting space portion 14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P2 Wherein the backflow preventing pipe is formed of a metal plate.
상기 수용몸체(10a)는 제1 배관수용부(11)의 타측에 직각방향으로 걸림턱(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body (10a) is formed with a latching jaw (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pe receiving portion (11).
상기 걸림턱(30)에는 역류 방지판(22)과 맞닿는 면을 향하여 볼록부(31a)가 형성된 탄성체(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3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31) formed with a protrusion (31a) toward a surface contacting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힌지부(21)와 대향되는 위치의 걸림턱(30)이 상대적으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of claim 3,
(30) facing the hinge (21)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to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21).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힌지부(21)는 소켓연결부(13)의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공(21a)에 힌지축(21b)이 삽입되고, 제1 소켓연결부(13a) 또는 제2 소켓연결부(13b)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공(21a)을 커버하여 상기 힌지축(21b)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nge portion 21 of the backflow blocking portion 20 has a hinge hole 21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either the first socket connecting portion 13a or the second socket connecting portion 13b of the socket connecting portion 13, And the other of the first socket connecting portion 13a and the second socket connecting portion 13b covers the hinge hole 21a so that the hinge shaft 21b is fixed. Socket for piping.
상기 힌지공(21a)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역방향 흐름이 발생되면, 상기 힌지축(21b)이 힌지공(21a)을 따라 걸림턱(3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inge shaft (21a)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that when the reverse flow is generated, the hinge shaft (21b) is closely attached to the latching jaw (30) along the hinge hole (21a).
상기 힌지부(21)의 힌지축(21b)이 탄성스프링(21c)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1c)의 일단이 힌지축(21b)에 결합되고, 타측이 역류 방지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역류 방지판(22)이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도록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21c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21b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pring 21c is coupled to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The hinge shaft 21b of the hinge unit 21 is inserted through the elastic spring 21c, And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is restored to block the reverse flow.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힌지(22a)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평 분할판(22b)이 절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of the backflow barrier (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horizontal hinge (22a) so that at least one pair of horizontal partition plates (22b) .
상기 역류 차단부(20)의 역류 방지판(22)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힌지(22d)가 구비되어 적어도 한 쌍의 수직 분할판(22e)이 절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of the backflow barrier (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vertical hinge (22d) so that at least one pair of vertical partition plates (22e) .
상기 역류 차단부(20)은 힌지부(21)가 하부에 형성되고, 역류 방지판(22)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부력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배관용 소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flow barrier (20) is formed with a hinge (21)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2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and is closed by buoyanc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288A KR101967798B1 (en) | 2017-01-04 | 2017-01-04 | Socket for Pip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288A KR101967798B1 (en) | 2017-01-04 | 2017-01-04 | Socket for Pip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503A true KR20180080503A (en) | 2018-07-12 |
KR101967798B1 KR101967798B1 (en) | 2019-04-10 |
Family
ID=629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1288A KR101967798B1 (en) | 2017-01-04 | 2017-01-04 | Socket for Pip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779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25475A (en) * | 1983-12-09 | 1985-07-04 | Kitazawa Valve:Kk | Check valve |
JPH09119534A (en) * | 1995-08-24 | 1997-05-06 | Fmc Corp | Improved check valve and check valve seat |
KR20020057894A (en) * | 2002-05-21 | 2002-07-12 | 이한욱 | A circuit breaker for a foul water |
KR200370716Y1 (en) * | 2004-10-04 | 2004-12-16 | 박종수 | Check valve for preventing counter flow in water pipe |
KR20090030396A (en) * | 2007-09-20 | 2009-03-25 | (주)일산금속 | Offensiv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
-
2017
- 2017-01-04 KR KR1020170001288A patent/KR10196779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25475A (en) * | 1983-12-09 | 1985-07-04 | Kitazawa Valve:Kk | Check valve |
JPH09119534A (en) * | 1995-08-24 | 1997-05-06 | Fmc Corp | Improved check valve and check valve seat |
KR20020057894A (en) * | 2002-05-21 | 2002-07-12 | 이한욱 | A circuit breaker for a foul water |
KR200370716Y1 (en) * | 2004-10-04 | 2004-12-16 | 박종수 | Check valve for preventing counter flow in water pipe |
KR20090030396A (en) * | 2007-09-20 | 2009-03-25 | (주)일산금속 | Offensiv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7798B1 (en) | 2019-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69823B2 (en) | Non-return valve | |
CN103459905A (en) | Valve insert | |
US20160186912A1 (en) |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 |
NO20141495A1 (en) | Sealing arrangement for a stroke coupling, as well as a metal gasket and a receiving portion for use in said sealing arrangement | |
US8439078B2 (en) | Odour trap | |
KR101967798B1 (en) | Socket for Piping | |
US1054150A (en) | Slide-gate. | |
US10641398B2 (en) | Ball valve with integrated fitting | |
CN102535603A (en) | Turnover plate one-way valve | |
KR101175311B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water pipe line | |
JP2014196605A (en) | Piping device | |
KR101378120B1 (en) | a inner check valve | |
KR200438690Y1 (en) | Union typed connection valve for preventing flowing backward | |
KR20130001142U (en) | Pipe connector | |
KR101204446B1 (en) | Swing check valve | |
KR20130114362A (en) | Sheet integrated lining for butterfly valve | |
KR200475998Y1 (en) | Butterfly valve | |
US801458A (en) | Sheet-metal valve-seat ring. | |
JP2020176507A (en) | Joint pipe, and joint pipe with valve | |
JP2008190700A (en) | Valve with diameter-reduced joint part | |
KR101190309B1 (en) | Disk valve with expansion type sealing tube | |
JPWO2019151490A1 (en) | Channel structure | |
KR20080029167A (en) | Water supply valve | |
US797914A (en) | Split sleeve for gas, water, or other pipes. | |
TWM510401U (en) | Structure for pip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