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461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461A
KR20180080461A KR1020170001212A KR20170001212A KR20180080461A KR 20180080461 A KR20180080461 A KR 20180080461A KR 1020170001212 A KR1020170001212 A KR 1020170001212A KR 20170001212 A KR20170001212 A KR 20170001212A KR 20180080461 A KR20180080461 A KR 2018008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tand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곤
나석훈
원효진
홍혜영
이용호
김영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461A/en
Priority to EP17206070.9A priority patent/EP3343047B1/en
Priority to CN201711434953.9A priority patent/CN108242208B/en
Priority to US15/855,851 priority patent/US10390451B2/en
Publication of KR2018008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trongly fixing a bracket to a plate by preventing different floor levels from being gene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when a module cover is coupled to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the module cover located on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connected to the module cover; the plat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module cover, wherein the module cover is fixed to the plate; and a st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plate. The stand includes: a body extended to be lengthwise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support unit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and extended to be lengthwise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st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support guide unit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tand, wherein the support guide unit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upport adjusting member insert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unit and the plate.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includes: a first sid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econd side fac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PDP), an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 liquid crystal display (PDP),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mong them, a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superior in luminance an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nit, so that it can be realized as an ultra-thin type.

최근,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ssembling structure of such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모듈커버를 브라켓에 체결할 때 브라켓의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브라켓을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firmly fixing a bracket to a plate by preventing a step from being gene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when the module cover is fastened to the bracket.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으면서 스탠드를 체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할 수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fastening a stand without machining a separate hole in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은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체결될 때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체결수단이 외부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할 수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placing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plate when the stand is fastened to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탠드를 플레이트에 조립시 스탠드의 전후 조립 방향을 쉽게 인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오조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erroneous assembling by designing the stand to be easily recognized before and after assembling the stand when the stand is assembled to the pla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모듈커버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스탠드는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 플레이트의 전면에 인접하고, 바디의 상면에서 스탠드의 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부,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고, 몸체의 상면에서 스탠드의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플레이트의 후면을 바라보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지지가이드부 그리고, 플레이트와 지지가이드부의 경사면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조정부재를 포함합니다. 지지조정부재는 플레이트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면 그리고, 지지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 module cover to which a display panel is coupled, a plate located behind the module cover, a plate on which the module cover is fixed, and a stand fixed on a lower end of the plate, The stand includes a body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support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plate and extending long from the top of the body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tand, A support guide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upport adjusting member inserted between the plate 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has a first surface facing a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a slant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제2 면은 지지조정부재의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rfac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와 지지조정부재의 제1 면은 플레이트에 압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can be pressed onto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지지조정부재는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와 지지가이드부 사이에는 체결조정홈이 형성되고, 체결조정홈은 지지조정부재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adjustment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guide portion, and the fastening adjustment groov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ment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체결조정홈과 지지가이드부가 접하는 영역에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위치하고, 가이드돌기는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groove formed in a downwardly concave shap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and the support guid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guide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체결조정홈에 대응되어 바디의 하면에 체결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fix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체결고정홈에는 체결고정홈과 체결조정홈을 관통하는 체결조정홀이 형성되고, 체결조정홀을 관통하여 지지조정부재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and fixing groove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fastened to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체결조정홀은 길게 연장되고, 고정부재는 체결조정홀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extends long, and the fastening member can be movable in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의 후면과 플레이트의 전면 사이에 지지부의 후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플레이트의 후면과 지지조정부재의 전면 사이에 지지조정부재의 전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n elongate upwardly extending backside support of a support between the back of the support and the front of the plate, And a buffer member formed to be long in the upward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모듈커버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스탠드는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중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스탠드, 전방스탠드의 후면에 체결하고,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중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후방스탠드, 전방스탠드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의 전면에 인접하는 전방지지대, 후방스탠드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는 후방지지대, 후방스탠드의 하방에서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사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후방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일면이 플레이트의 후면에 압착되는 압착부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 module cover to which the display panel is coupled; a plate which is located behind the module cover a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plate; The stand comprises a front stand extending forward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rear stand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tand and extended rear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front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front side, a rear support pl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tand an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 fixing member passing through in a diagonal direction facing the plate from below the rear stand, An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that is pressed to the back of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후방지지대의 내부에는 압착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압착조정부를 구비하고, 압착조정부의 하면과 후방스탠드의 하면을 사선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압착조정홀이 형성되고, 고정부재는 압착조정홀을 관통하여 압착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 fitting adjustment memb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ss member in an interior of a rear support member, wherein a press fitting adjustment hole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 fitting adjustment un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stand, And the fix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compression member through the compression adjustment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압착부재는 압착조정부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may be movable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in the compression adjus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전방스탠드의 후면의 하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방스탠드의 전면의 하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체결홈은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 lower side of a rear surface of a front st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ide of a front surface of the rear stand;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커버를 브라켓에 체결할 때 브라켓의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브라켓을 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dule cover is fastened to the bracke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ep from be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so that the bracket can be firmly fixed to the plate.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lay panel can be stably fixed to the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으면서 스탠드를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홀을 가공하는 공정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nd can be fastened without machining a separate hole in the pl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ing cost and the cost of the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아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can be improved without forming a separate hole in the plate.

또한,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체결할 때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체결수단이 외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plate when the stand is fastened to the plate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the fastening mean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탠드를 플레이트에 조립시 스탠드의 전후 조립 방향을 쉽게 인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오조립을 미연에 방지하여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제품의 조립시간을 절감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ssembles the stand on the plat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stand can be easily recognized so that the erroneous assembly can be prevented beforehand and the assembly time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assembly time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드와 플레이트 사이에 완충부재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외부 환경에 따라 완충부재의 두께 및 경도 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스탠드와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ffer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stand and the plate, it can be suitably applied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ccordingly, the stand and the plate can be firmly fixed by varying the conditions such as the thickness and hardness of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브라켓의 일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브라켓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이 고정돌출부재에 체결되는 과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고정핀이 장착된 브라켓에 장착되는 과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후면에 강화필름이 장착된 것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를 분해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측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하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4의 측면을 분해한 것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에 장착되는 지지조정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조정부재와 지지가이드부의 관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재, 체결조정홀, 고정홈 간의 너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스탠드가 장착되는 동작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스탠드가 장착되는 동작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장착된 측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오조립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플레이트에 오조립되는 것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to 5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plate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examples of a plate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3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fix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7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process of fastening the fixing pin to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0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process in which a h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racket on which a fixing pin is mounted.
FIG. 2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inforcing film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late.
2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assembling th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ide of FIG. 22;
2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ottom surfac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assembling the side surface of Fig. 24. Fig.
2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pport adjusting member mounted on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adjusting member and a suppor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dth between a fixing member, a clamping hole, and a fix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to 32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operations in which a stand is mounted on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late.
34 to 36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operations in which a stand is mounted on a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late.
3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de where a stand is mounted on a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9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forming a misassembly portion on a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0 and 41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stand assembled on a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However,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OLED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 또는 헤드부(1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display panel 100 or the head unit 10 includes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facing the first long side LS1, And may include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te to the first short side SS1 .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short side SS1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the second short side SS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rea opposite to the first side area, 1 long side area LS1 is referred to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the second long side area LS2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facing the third side area .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are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LS2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first direction (DR1) is a direction parallel to a long side (LS1, LS2)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a second direction (DR2) May b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 (SS1, SS2).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DR2.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respects, the side on which the head unit 10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side or a front side. When the head unit 10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the side on which the image can not be observed can be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or the rear side. When looking at the head portion 10 of the display device on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the first long side LS1 side can be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Likewise, the second long side LS2 can be referred to as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Similarly,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the right side or the right side,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side or the seating side.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헤드부(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an edge of the display device head 10. A corner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with each other can be referred to as a corner. For example,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a first corner C1,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is a second corner C2 A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s the second long side LS2 is a third corner C3 and a point where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a fourth corner C4. .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hort side SS1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r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short side SS2 to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R.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long side LS1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r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long side LS2 to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called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및 하부 전극(140)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substrate 110, an upper electrode 120,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0, and a lower electrode 140.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the upper electrode 12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0, and the lower electrode 140 may be sequentially formed.

투명 기판(110) 및 상부 전극(12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40)은 투명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전극(14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전극(140)의 일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upper electrode 120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e.g., ITO, etc.). The lower electrode 14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is not transparent. The lower electrode 140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ITO or the like). In this case, light may be emitted to one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140.

상부 및 하부 전극(120,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30)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부 전극(120)과 투명 기판(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전극(140)으로 발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하부 전극(140) 뒤에 차광판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120 and 140,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0 may pass through the upper electrode 120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be emit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 light shielding plate may be further formed behind the lower electrode 140 to emit light emitted to the lower electrode 140 to the front.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Th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at emits light by itself, has a high response speed, and has a large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자발광 소자인 OLED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organic compound layers (HIL, HTL, EML, ETL, EIL) formed therebetween. The organic compound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When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holes passing through the HTL and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ETL are transferred to the EML to form excitons, Thereby generating visible light.

이에 따라, OLED는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는 반응 속도가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보다 100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할 때 잔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OLE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reaction speed of an OLED is 1000 times faster than tha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may be no afterimage when displaying an image.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가 접착시트(350)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양면을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device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through the adhesive sheet 350. The adhesive sheet 350 may include a double-sided tape capable of joining both surfaces together.

접착시트(350)는 별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로 이물질 또는 먼지가 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실링 부재(183)를 사이드 실링할 수 있다. 실링 부재(183)는 접착시트(3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350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Accordingly, foreign matter or dust may enter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3 (a), the sealing member 183 can be side-seal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350. [ The sealing member 183 can shield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350 and the display panel 100 at the same time.

다른 예로,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프레임(187)이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87)은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 측에 접하며 일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연장하도록 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 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rame 187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350, as shown in Fig. 3 (b). The frame 187 abuts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350 and may be bent so that one end extends toward the display panel 100. [ Accordingly, at least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simultaneously shielded.

또 다른 예로, 도 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에 미들 케비넷(193)이 위치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플랜지(193a)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미들 케비넷(193)은 몸체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의 적어도 일측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iddle cabinet 19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as shown in FIG. 3 (c). The middle cabinet 193 can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display panel 100 is coupled. The middle cabinet 193 can be insert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with the flange 193a. The middle cabinet 193 can shield at least on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at the same time.

미들 케비넷(193)의 플랜지(193a)는 접착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조할 때 필요한 접착시트(35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The flange 193a of the middle cabinet 19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sheet 350. [ Accordingly, since the adhesive sheet 350 does not need to be entirely placed on the display panel 100, the amount of the adhesive sheet 350 necessary when the display device is manufactured can be reduced.

또 다른 예로, 도 3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여 밴딩될 수 있다. 모듈커버(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밴딩되기 때문에, 접착시트(350)의 적어도 일측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edge portion of the module cover 200 may be bent toward the display panel 100, as shown in Fig. 3 (d). Since the edge portion of the module cover 200 is bent,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sheet 350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에 다른 물질이 포함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200)의 가장자리가 접착시트(35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시트(3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조할 때 필요한 접착시트(350)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include another sub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is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saved. Further, the edge of the module cover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sheet 350. Accordingly, since the adhesive sheet 350 does not need to be entirely placed on the display panel 100, the amount of the adhesive sheet 350 necessary when the display device is manufactured can be reduced.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착시트(350)의 측면에 위치하는 구조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접착시트(350)의 측면에 위치하는 구조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tructures located on the sides of the adhesive sheet 350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ructures locat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adhesive sheet 350 are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헤드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3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0.

하우징(300)은 헤드부(10)로 적어도 하나의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구성요소들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차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housing 300 can transmit at least one driving signal to the head unit 10. [ The housing 300 may shield the components that drive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housing 300 may shiel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A detailed coupling structure and a coupling method of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will be described later.

하우징(500)은 헤드부(10)와 접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되는 부분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The housing 5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ead portion 10 without contacting the head portion 10. That is, the housing 300 may not be positioned in the displayed portion of the display screen. Accordingly, the user can concentrate more on the display screen.

일 예로, 도 4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평평한 형상인 복수의 플랫 케이블(161)를 통해 헤드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하우징(300)과 헤드부(10)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신호연결 단자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61)은 다른 케이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the housing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d unit 10 through a plurality of flat cables 161 having a flat shape. The flat cable 16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connection terminal pins and at least one ground terminal pin for connecting the housing 300 and the head unit 10. The flat cable 161 is advantageous in cost compared to other cables.

다른 예로, 도 4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하여 헤드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서 여러 개의 플랫 케이블(161)로 전송되던 구동신호들을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연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하나의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하우징(300)과 헤드부(10)가 연결되기 때문에 외관이 더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b), the housing 300 can be coupled with the head portion 10 through one circular cable 163. [ That is, in FIG. 4 (a), the driving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flat cables 161 can be connected through a single circular cable 163. The user may feel that the appearance is cleaner because the housing 300 and the head portion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ingle circular cable 163.

또 다른 예로, 도 4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우징(300)과 헤드부(10)는 무선으로 구동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4의 (a)에 도시된 플랫 케이블(161)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원형 케이블(163)을 통해 하우징(300)과 헤드부(10)가 연결될 때보다 더 외관이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300)과 헤드부(10)는 무선으로 구동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하우징(300)과 헤드부(10) 간의 거리에 대한 제약에 대해서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0)과 헤드부(10) 각각은 무선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보다 자유롭게 이들을 설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c), the housing 300 and the head unit 10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driving signal. In this case, the user is more likely to connect the head unit 10 than the housing 300 through the flat cable 161 shown in Fig. You can feel that the exterior has become cleaner. In addition, the housing 300 and the head unit 10 transmit and receive a driving signal wirelessly, and thus can be more freed of the restriction on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300 and the head unit 10. In addition, each of the housing 300 and the head unit 10 can be freely installed within a wireless rang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헤드부(10)와 하우징(300)이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300)에는 헤드부(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구동부가 배치되고, 헤드부(10)에는 화면을 구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부품이 배치됨으로써, 헤드부(1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더 얇아진 헤드부(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두께를 더욱 얇게 형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have the head part 10 and the housing 300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capable of driving the head unit 10 are disposed in the housing 300, and a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capable of driving the screen are disposed in the head unit 10, The thickness can be made thinner. Thus, the display device can make the entir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thinner by the thinner head portion 10. [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PC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PCB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t least one PCB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300. Each PCB may be spaced apart. Each PCB is located apart from one another, bu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PCB는 메인보드(109)일 수 있다. 메인보드(1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작동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1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at least one PCB may be the main board 109. The main board 109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the display device to operate. In addition, the main board 109 can check and manage the operating stat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to make them optimal.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PCB는 파워 서플라이(107)를 구비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메인보드(109)를 비롯하여 헤드부(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 주는 기기를 의미한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메인보드(109) 및 헤드부(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파워 서플라이(107)는 일정한 전압 또는 전류를 가지는 DC 전원을 메인보드(109) 및 헤드부(10)에 안정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t least one PCB may include a power supply 107. The power supply 107 can supply power to the display device. The power supply 107 refers to a main board 109 and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head unit 10. The power supply 107 can be supplied with AC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ed into DC power to be supplied to the main board 109 and the head unit 10.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107 can stably supply the DC power having a constant voltage or current to the main board 109 and the head unit 10.

또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PCB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플랫 케이블(161) 또는 원형 케이블(163)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소스 PCB를 제어하는 타이밍 신호(CLK, LOAD, SPi)들과, 비디오 신호(R, G, B)를 소스 PCB에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영상을 제어해줄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플랫 케이블(161), 원형 케이블(163), 및 무선 송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인터페이스 PCB와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t least one PCB may be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can transmit an input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flat cable 161 or the circular cable 163 or the like. That is,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means that the timing signals (CLK, LOAD, SPi) for controlling the source PCB and the video signals (R, G, B) can be transmitted to the source PCB. 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can control an image.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PCB via either a flat cable 161, a circular cable 163, or wireless transmission.

도 5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메인보드(109)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보드(109)는 제1 메인보드(109a)와 제2 메인보드(109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인보드(109a)는 하우징(3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메인보드(109b)는 제1 메인보드(109a)에 이격되고, 하우징(300)을 중심으로 하우징(30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109)는 제1 메인보드(109a)에 이격되고, 하우징(300)을 중심으로 하우징(30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at least one main board 109 may be disposed. For example, the main board 109 may include a first main board 109a and a second main board 109b. The first main board 109a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300. [ The second main board 109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board 109a and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30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0. [ The power supply 109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board 109a and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300 about the housing 300. [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메인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의 상부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우징(300)의 내부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109 and the power supply 107. [ Since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109 and the power supply 107,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300 can be saved.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00)은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보드(109)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막기 위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위치에 티콘 쉴드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보드(109)가 아닌 티콘 쉴드 상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파워 서플라이(107) 또는 메인보드(109) 간에 서로 간섭되지 않아, 간섭에 의한 오동작 또는 노이즈 등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티콘 쉴드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역할도 할 수 있어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housing 300 may further attach a titanium shield to a position where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is to be mounted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from the power supply 107 and the main board 109. That is, it means that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can be coupled onto the titanium shield, not the power supply 107 and the main board 109.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is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between the power supply 107 or the main board 109,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or noise due to interference from occurring. In addition, the titanium shield can also serve as a buffer for buffering an impact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reby protecting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from impact.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하우징(300)의 높이 방향(Y)으로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보드(109)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보드(109)와 더 쉽게 결합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may overlap the power supply 107 and the main board 109 in the height direction Y of the housing 300. [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can be more easily combined with the power supply 107 and the main board 109. [

이와 달리, 도 5의 (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하우징(300)은 내부에 메인보드(109)가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메인보드(109)는 하우징(300)의 일 측에 위치하며 파워 서플라이(107)는 메인보드(109)와 하우징(30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메인보드(109)와 파워 서플라이(107)는 하우징(300)의 장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b), a single main board 109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300. The main board 109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00 and the power supply 107 may b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ard 109 and the housing 300. That is, the main board 109 and the power supply 107 can be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파워 서플라이(107) 및 메인보드(109)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0)은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내부 공간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can save space because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power supply 107 and the main board 109. [ Accordingly, the overall size of the housing 300 can be reduc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internal space can be improved.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헤드부(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모듈커버(200) 및 PCB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프레임(200)이라 칭할 수 있다.6 to 10, the head portion 1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00, a module cover 200, and a PCB cover 400. The module cover 200 may be referred to as a frame 200.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헤드부(1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복수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unit 10 and images can be displayed. The display panel 100 may output an image by dividing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pixels, controlling each pixel to emit light in accordance with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 인터페이스 PCB(174)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174)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7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n interface PCB 174 and at least one source PCB 172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The interface PCB 174 may be located on at least one source PCB 172. At least one source PCB 172 may be coupled to the interface PCB 174. Each source PCB 172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인터페이스 PCB(174)는 하우징의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도 5 참조)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 등의 구동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배선들은 플랫 케이블(161)와 원형 케이블(1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PCB 174 may be positioned with signal wires for transmitting driving signals such as timing control signals and digital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05 (see Fig. 5) of the housing. Here, the signal wirings may include a flat cable 161 and a circular cable 163.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인터페이스 PCB(17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신호에 따라 구동파형을 인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스 PCB(172)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72)의 일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면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source PCB 172 may apply a voltage to the display panel 100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rface PCB 174. [ That is, at least one source PCB 172 may apply a driving waveform to th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The source PCB 172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0 by a source COF (Chip On Film) 123. The source COF 12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ource PCB 172 may exte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0.

소스 COF(123)는 소스 PCB(17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데이터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데이터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rce COF 12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PCB 172 and the data pads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source COF 123 may include an integrated circuit.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시트(350)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350)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접착시트(350)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비어있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위치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n adhesive sheet 350 for coupling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to the rear surface. The adhesive sheet 350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hollow center. Since the center of the adhesive sheet 350 is empty, at least one PCB may be placed in an empty space.

절연시트(25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와 모듈커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모듈커버(200)의 전면에 부착되고,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시트(251)는 소스PCB(172)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sheet 2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The insulating sheet 251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dule cover 200 and may be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urce PCB 172. [ The insulating sheet 251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that the source PCB 172 is not interfered with by other electronic devices.

모듈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접착시트(3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모듈커버(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0)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커버(200)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cover 20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module cover 200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adhesive sheet 350. The module cover 200 can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at is, the module cover 200 can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display panel 100. Accordingly, the module cover 200 may include a lightweight and high-strength material. For example, the module cover 200 may comprise aluminum.

모듈커버(200)는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즉, 모듈커버(200)는 포밍(forming)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듈커버(200)의 엣지영역의 두께가 모듈커버(20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모듈커버(200)가 포밍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커버(200)의 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200)는 브라켓(500)과 결합할 때, 엣지 부분의 두께로 인해 브라켓(500)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The module cover 200 may differ from the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thickness. That is, the module cover 200 can be formed. The thickness of the edge region of the module cover 20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module cover 200. [ Since the module cover 200 is formed, the rigidity of the module cover 200 can be improved. Further, when the module cover 200 is engaged with the bracket 500, the module cover 200 can shield a part of the bracket 500 due to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모듈커버(200)에는 체결홀(271)이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홀(271)은 모듈커버(200)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체결홀(271)은 제1 체결홀(271a)과 제2 체결홀(27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dule cover 200 may have a fastening hole 271. The fastening hole 271 may be a hole passing through the module cover 200. The fastening hole 271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hole 271a and a second fastening hole 271b.

모듈커버(200)의 제1 및 제2 체결홀(271a, 271b)은 헤드부(10)와 브라켓(500)의 체결 시 제1 및 제2 고정핀(511a, 511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체결홀(271a)은 모듈커버(20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제2 체결홀(271b)은 모듈커버(200)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홀(271)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이 모듈커버(200)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271a and 271b of the module cover 200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511a and 511b when the head portion 10 and the bracket 500 are fastened. . The first fastening hole 271a may be locat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cover 200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71b may be located on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cover 20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least one pair of fastening holes 271 may be disposed in the module cover 200.

또한, 모듈커버(2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보조부재들(27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모듈커버(2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모듈커버(200)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들(275)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베젤 영역(미도시, Bezel Area)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베젤 영역(미도시, Bezel Are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영상영역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영역으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cover 200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coupling assistant members 275. A plurality of coupling assistance members 27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odule cover 200 and the bracket 500. A plurality of coupling assistant members 275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200. The coupling assistant members 275 may be positioned at a constant interval in the edge region of the module cover 200. [ The coupling assistant members 275 may be located in a bezel area (not shown) of the display panel 100. Here, the bezel area (not shown) may be defined as an area that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mage area where the screen is displayed in the display panel 200, and the area where the screen is not displayed.

결합보조부재(275)는 자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보조부재(275)는 네오디뮴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275)는 자성을 이용하여 모듈커버(200)에 브라켓(500)을 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assistant member 275 may comprise a 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the coupling assisting member 275 may include a neodymium magnet or the like. The coupling assistant member 275 can attach or fix the bracket 500 to the module cover 200 using magnetic force.

이와 같이, 모듈커버(200)는 체결홀(271)과 함께 결합보조부재(275)를 배치함으로써, 브라켓(5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dule cover 2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bracket 500 by disposing the coupling assisting member 275 together with the fastening hole 271.

여기서는 결합보조부재(275)가 모듈커버(200)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보조부재(275)는 브라켓(5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assisting member 275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upling assisting member 275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모듈커버(200)는 결합시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커버개구부(273)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버개구부(273)는 모듈커버(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개구부(2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모듈커버(200) 사이에 인터페이스 PCB(174)가 위치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모듈커버(200)에 커버개구부(273)가 너무 많이 형성되는 경우 모듈커버(200)에 크랙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200)는 필요한 부분에만 커버개구부(273)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dule cover 200 may have a cover opening 273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PCB 174 at the time of engagement. That is, the cover opening portion 273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cover 200. The cover opening 273 may provide a space for the interface PCB 174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odule cover 200. If too much cover openings 273 are formed in the module cover 200, the module cover 200 may be cracked or the rigidity may be weakened. Accordingly, the cover opening portion 273 can be formed in only the necessary portion of the module cover 200. [

PCB가 위치한 영역의 후면에 PCB 커버(400)가 제공될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제1,2 PCB 커버(431, 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CB 커버(431)는 소스 PCB(1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제2 PCB 커버(435)는 인터페이스 PCB(174)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PCB 커버(435)는 커버개구부(273)를 덮을 수 있다.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불투명할 수 있다.A PCB cover 400 may be provided on the backside of the area where the PCB is located. The PCB cover 4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CB covers 431 and 435. The first PCB cover 431 may be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urce PCB 172 and the second PCB cover 435 may be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PCB 174. [ That is, the second PCB cover 435 may cover the cover opening 273. The PCB cover 400 may prevent the source PCB 172 and the interface PCB 17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PCB cover 400 may be opaque so that the source PCB 172 and the interface PCB 174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PCB 커버(400)는 소스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커버(4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커버(400)는 소스 PCB(172) 및 인터페이스 PCB(174)를 누설전류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PCB cover 40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that source PCB 172 and interface PCB 174 are not interfered with by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PCB cover 400 may include a plastic material. Accordingly, the PCB cover 400 can protect the source PCB 172 and the interface PCB 174 from leakage currents.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모듈커버(200)만으로 지탱해줄 수 있다. 즉, 헤드부(10)는 모듈커버(200)를 제외한 다른 커버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헤드부(10)는 종래의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보다 두께가 더 얇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unit 10 of the display device can support the display panel 100 only by the module cover 200. [ In other words, the head portion 10 may not have a cover other than the module cover 200. The head portion 10 can be made thinner than other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devices.

브라켓(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 또는 헤드부(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플레이트(6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600)는 유리, 강화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 일 수 있다. 즉, 브라켓(500)은 유리 또는 강화 유리 등에 고정되어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The bracket 5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100 or behind the head portion 10. The bracket 500 may be fixed to the plate 600. For example, the plate 600 may be glass, tempered glass, clear plastic, or the like. That is, the bracket 500 can be fixed to glass or tempered glass or the like, so that the movement can be restrained.

브라켓(500)은 상부 브라켓(500a)과 하부 브라켓(500b1,5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500a)은 헤드부(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500a)은 헤드부(10)의 제1 장변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500a)은 소정의 너비를 가지며 가질 수 있다.The bracket 500 may include an upper bracket 500a and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The upper bracket 500a may be disposed long on the upper side of the head uni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bracket 500a may be arranged long along the first long side of the head portion 10. The upper bracket 500a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하부 브라켓(500b1,500b2)은 헤드부(10)의 하측 중 양측 모서리 또는 양측 코너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브라켓(500b1,500b2)은 헤드부(10)의 하면 중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인 제3 코너(C3)의 주변,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인 제4 코너(C4)의 주변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500b1,500b2)은 소정의 너비를 가지며,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 corners or both corners of the lower side of the head portion 10. In other words, the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are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third corner C3,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meets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ourth corner C4 as a point where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s the first short side SS1. The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be formed by being bent at least once.

여기서는 브라켓(500)를 상부 브라켓(500a)과 하부 브라겟(500b1,500b2)으로 분리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브라켓(500)은 상부 브라켓(500a)과 하부 브라겟(500b1,500b2)으로 분리되지 않고,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Although the bracket 500 is shown as being divided into an upper bracket 500a and a lower bracket 500b1 and 500b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racket 500 may not be divided into the upper bracket 500a and the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but may be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hollow center.

브라켓(500)은 접착물질 또는 접착시트 등과 같은 접착부재(550)를 통해 플레이트(60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550)는 브라켓(500)와 플레이트(600) 사이에 배치되어 브라켓(500)을 플레이트(600)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bracket 500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plate 600 through an adhesive member 550 such as an adhesive material or an adhesive sheet. The adhesive member 550 is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500 and the plate 600 so that the bracket 500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plate 600 and fixed.

접착부재(550)는 브라켓(500)와 플레이트(600)가 접하는 부분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접착부재(550)는 상부 접착부재(550a)와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550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portion where the bracket 500 and the plate 6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dhesive member 550 may include an upper adhesive member 550a and a lower adhesive member 550b1 and 550b2.

예를 들어, 접착부재(550)는 양면을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양면 테이프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접착부재(550)는 강력본드, 강력 풀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onding member 550 may be a double-sided tape capable of bonding both surfaces together. As another example, the adhesive member 550 may be a strong bond, a strong pull, or the like.

상부 접착부재(550a)는 상부 브라켓(500a)와 플레이트(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 접착부재(550a)는 상부 브라켓(5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접착부재(550a)는 헤드부(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접착부재(550a)는 헤드부(10)의 제1 장변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접착부재(550a)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며 가질 수 있다.The upper adhesive member 550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racket 500a and the plate 600. [ That is, the upper adhesive member 550a may b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bracket 500a. The upper adhesive member 550a may be disposed long on the upper side of the head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adhesive member 550a may be arranged long along the first long side of the head portion 10. The upper adhesive member 550a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는 하부 브라켓(500b1,500b2)와 플레이트(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는 하부 브라켓(500b1,500b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는 헤드부(10)의 하측 중 양측 모서리 또는 양측 코너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접착부재(550b1, 550b2)는 헤드부(10)의 하측 중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인 제3 코너(C3)에 인접하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인 제4 코너(C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착부재(550b)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며, 적어도 한번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adhesive members 550b1 and 550b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and the plate 600. [ That is, the lower adhesive members 550b1 and 550b2 may b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s as the lower brackets 500b1 and 500b2. The lower adhesive members 550b1 and 550b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 edges or both corners of the lower side of the head part 10. [ That is, the lower adhesive members 550b1 and 550b2 are adjacent to the third corner C3,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lower side of the head part 10 meets the second long side LS2, LS2 and the first corner SS4 at which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s. The lower adhesive member 550b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be formed by being bent at least once.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550)는 브라켓(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브라켓(500)을 플레이트(600)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550)의 면적은 브라켓(500)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member 550 has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bracket 500 and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ame position, so that the bracket 500 can be fixedly attached to the plate 600 and fixed.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adhesive member 55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racket 500.

또한, 브라켓(500)은 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핀(511)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제1 고정핀(511a)과 제2 고정핀(511b)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two fixing pins 51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The fixing pin 511 may include a first fixing pin 511a and a second fixing pin 511b.

제1 고정핀(511a)은 브라켓(50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핀(511b)은 브라켓(500)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핀(511a)이 브라켓(500)의 좌측에 위치하면, 제2 고정핀(511b)은 브라켓(50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n 511a may be positioned on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bracket 500. The second fixing pin 511b may be located on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500. [ For example, when the first fixing pin 511a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bracket 500, the second fixing pin 511b may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cket 500. [

이와 같이,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정핀(511a, 511b)은 브라켓(500)에 체결되는 헤드부(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정핀(511a, 511b)이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 각각에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헤드부(1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핀(511a, 511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511a and 511b positioned in this way can support the load of the head unit 10 fastened to the bracket 500. [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511a and 511b are spaced apart from the left upper end and the right upper end of the bracket 500, the load of the head portion 10 can be efficiently dispersed. Detail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511a and 511b will be described later.

플레이트(600)는 헤드부(10)의 후방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모래나 수정을 구성하는 이산화규소(SiO2)가 주요 성분인 글래스(glass)일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소다, 석회 유리나 붕규산 유리 뿐만 아니라, 아크릴 수지, 설탕 유리, 운모 또는 알루미늄 옥시니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6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head portion 10 or behind the display panel 100. [ The plate 600 may be glass,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silicon dioxide (SiO2), which constitutes sand or crystal. Plate 600 may include soda, lime glass or borosilicate glass, as well as acrylic resin, sugar glass, mica or aluminum oxynitride, and the like.

플레이트(60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헤드부(1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600)는 접착부재(550)를 이용하여 브라켓(500)를 고정함으로써, 브라켓(500)에 장착된 헤드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600)는 브라켓(500)을 고정시켜, 헤드부(10)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다.The plate 60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late 600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0. The plate 600 can stably support the head unit 10 mounted on the bracket 500 by fixing the bracket 500 using the adhesive member 550. [ Thus, the plate 600 can fix the bracket 500 and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head unit 10. [

플레이트(600)는 중앙영역의 하단 근처에 라인홀(610)을 구비할 수 있다. 라인홀(610)은 플레이트(60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라인홀(610)은 플랫 케이블(161, 도 4의 (a)) 또는 원형 케이블(163, 도 4의 (b))을 관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161, 도 4의 (a)) 또는 원형 케이블(163, 도 4의 (b))이 플레이트(600)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간편하게 플랫 케이블(161, 도 4의 (a)) 또는 원형 케이블(163, 도 4의 (b))을 정리할 수 있다.The plate 600 may have a line hole 610 near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region. The line hole 610 may be formed through the plate 6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ine hole 610 can pass through the flat cable 161 (FIG. 4A) or the circular cable 163 (FIG. 4B). 4 (a)) or the circular cable 163 (Fig. 4 (b)) is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the flat cable 161 (a)) or the circular cable 163 (Fig. 4 (b)).

도 11을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전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핀(511)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제1 고정핀(511a) 내지 제4 고정핀(511d)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t least two fixing pins 51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The fixing pin 511 may include a first fixing pin 511a to a fourth fixing pin 511d.

제1 고정핀(511a)은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핀(511b)은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고정핀(511c)은 브라켓(50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고정핀(511d)은 브라켓(500)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in 511a may be positioned at either the left upper end or the right upper end of the bracket 500. The second fixing pin 511b may be located at the other of the left upper end and the right upper end of the bracket 500. The third fixing pin 511c may be positioned at either the left lower end or the lower right end of the bracket 500. The fourth fixing pin 511d may be located at the other of the left lower end and the lower right end of the bracket 500.

예를 들어, 제1 고정핀(511a)과 제2 고정핀(511b)은 상부 브라켓(500a)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고정핀(511c)은 플레이트(600)의 제3 코너(C3, 도 1 참조) 근처에 위치하는 하부 브라켓(500b1)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고정핀(511d)은 플레이트(600)의 제4 코너(C4, 도 1 참조) 근처에 위치하는 하부 브라켓(500b2)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in 511a and the second fixing pin 511b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racket 500a, respectively. The third fixing pin 511c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bracket 500b1 located near the third corner C3 of the plate 600 (see Fig. 1). The fourth fixing pin 511d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bracket 500b2 located near the fourth corner C4 of the plate 600 (see Fig. 1).

제1 고정핀(511a) 내지 제4 고정핀(511d)은 브라켓(500)에 체결되는 헤드부(1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핀(511a) 내지 제4 고정핀(511d)이 브라켓(500)에 배치하되, 플레이트(600) 각 모서리마다 배치됨으로써, 헤드부(10)의 하중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n 511a to the fourth fixing pin 511d can disperse and support the load of the head unit 10 fastened to the bracket 500. The first fixing pins 511a to the fourth fixing pins 511d may be disposed on the bracket 500 and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plate 600 so that the load of the head unit 10 may be more efficiently dispersed .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은 핀 헤드(521), 핀 네크(523) 및 고정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핀 헤드(521)는 제1 직경(W1)을 갖는 플렌지 또는 도넛 형상이며, 핀 네크(523)는 핀 헤드(521)로부터 연장되되 제1 직경(W1)보다 작은 제2 직경(W2)을 갖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고정핀(511)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3)를 포함함으로써, 체결홀(271)의 적어도 일측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to 13, the fixing pin 511 may include a pin head 521, a pin neck 523, and a fixing hole 525. Fig. The pin head 521 has a flange or donut shape with a first diameter W1 and the pin neck 523 has a second diameter W2 that extends from the pin head 521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W1, As shown in Fig. The fixing pin 511 includes the pin head 521 and the pin neck 523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fixing pin 511 can be easily fasten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astening hole 271.

핀 헤드(521)는 핀 네크(52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핀 헤드(521)는 핀 네크(523)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방으로 단차(stepped out)지며 이격될 수 있다. 연결부(522)는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22)는 핀 헤드(521)의 내경에서 핀 네크(523)의 외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The pin head 5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in neck 523. That is, the pin head 521 can be stepped out and spaced from the pin neck 523 forward of the display device. The connection portion 5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in head 521 and the pin neck 523. [ The connection portion 522 may extend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pin head 521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n neck 523.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고정핀(511)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525)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홀(525)은 제3 직경(W3)을 가지며,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3)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직경(W3)은 제2 직경(W2)보다 작은 직경일 수 있다.The fixing pin 511 may have at least one fixing hole 525 disposed therein. The fixing hole 525 has a third diameter W3 and can be disposed through the pin head 521 and the pin neck 523. [ The third diameter W3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diameter W2.

고정핀(511)은 브라켓(500)에 돌출된 고정돌출부재(501)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고정돌출부재(501)를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핀(511)은 고정돌출부재(501)에 밀착되면서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in 511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ding member 501 protruding from the bracket 500. The fixing pin 511 can be engaged by inserting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That is, the fixing pin 511 may be fixed to the bracket 500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도 12 및 도 13에서는 고정핀(511)이 도넛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핀(511)은 밑면이 다각형인 도넛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핀(511)이 다각형기둥으로 형성되면, 이에 대응되어 체결홀(271)의 형상과 후술할 고정돌출부재(501)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In FIGS. 12 and 13, the fixing pin 511 is shown in a donut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xing pin 511 may also be formed in a donut shape having a polygonal bottom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fixing pin 511 is formed of a polygonal column, the shape of the fixing hole 271 and the shape of a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hereto.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은 브라켓(500)에 돌출된 고정돌출부재(501)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제3 직경(W3)을 가진 고정홀(525)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개구부(503)와 파이프 월(502)을 구비할 수 있다.14 to 17, the fixing pin 511 may be combined with the fixing protruding member 501 protruding from the bracket 500. The fixing protruding member 501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525 having the third diameter W3. The fixed projecting member 501 may have an opening 503 and a pipe wall 502.

개구부(503)는 브라켓(500)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개구부(50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브라켓(5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503 can penetrate a part of the bracket 500. At least one opening 503 may be formed through the bracket 500.

파이프 월(502)은 개구부(503)의 둘레에서 브라켓(5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파이프 월(502)은 개구부(502)의 둘레에서 모듈커버(2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월(502)은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The pipe wall 502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bracket 500 around the opening 503. The pipe wall 502 may protrude toward the module cover 200 around the opening 502. For example, the pipe wall 502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고정돌출부재(501)는 브라켓(5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브라켓(50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고정돌출부재와 제2 고정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돌출부재는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정돌출부재는 브라켓(5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 중 다른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돌출부재(501)와 제2 고정돌출부재(501)는 상부 브라켓(500a, 도 10 참조)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ding member 501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At least one or more fixed projecting members 50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may include a first fixing projection member and a second fixing projection member although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member may be formed on either the left upper end or the right upper end of the bracket 500.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member may be formed on the other of the left upper end and the right upper end of the bracket 500. That is, the first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can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racket 500a (see FIG. 10).

또한, 고정돌출부재(501)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고정돌출부재와 제4 고정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돌출부재는 플레이트(600)의 제3 코너(C3, 도 1 참조) 근처에 위치하는 하부 브라켓(500b1)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고정돌출부재는 플레이트(600)의 제4 코너(C3, 도 1 참조) 근처에 위치하는 하부 브라켓(500b2, 도 11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ing projection member and a fourth fixing projection member. The third fixing projection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bracket 500b1 located near the third corner C3 of the plate 600 (see Fig. 1). The fourth fixing projection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bracket 500b2 (see Fig. 11) located near the fourth corner C3 of the plate 600 (see Fig. 1).

고정돌출부재(501)는 고정핀(511)에 형성된 고정홀(525)에 삽입되도록 브라켓(500)의 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고정돌출부재(501)의 직경은 제3 직경(W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525 formed in the fixing pin 511. [ The diameter of the fixed projection member 501 may be formed in a cylinder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ird diameter W3.

도 14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이 고정돌출부재(501)에 삽입되기 전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돌출부재(501)는 브라켓(5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고정돌출부재(50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핀(511a, 도 10 참조)은 제1 고정돌출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고정핀(511b, 도 10 참조)은 제2 고정돌출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3 고정핀(511c, 도 11 참조)은 제3 고정돌출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4 고정핀(511d, 도 11 참조)은 제4 고정돌출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14, before the fixing pin 51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racket 500. The fixing pin 51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rojection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pin 511b (see Fig. 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member 1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fixing projection member, and the fourth fixing pin 511d (see Fig. 1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ixing projection member As shown in FIG.

도 15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이 고정돌출부재(501)에 삽입된 후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돌출부재(501)는 고정핀(51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핀(511a, 도 10 참조)은 제1 고정돌출부재에 삽입되고, 제2 고정핀(511b, 도 10 참조)은 제2 고정돌출부재에 삽입되고, 제3 고정핀(511c, 도 11 참조)은 제3 고정돌출부재에 삽입되고, 제4 고정핀(511d, 도 11 참조)은 제4 고정돌출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fixing pin 51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01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511. [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rojecting member, the second fixing pin 511b (see Fig.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rojecting member, and the third fixing pin 511b (See Fig. 11) is inserted into the third fixing projection member, and the fourth fixing pin 511d (see Fig. 11) can be inserted into the fourth fixing projection member.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핀(511)이 고정돌출부재(501)에 삽입된 후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돌출부재(501)는 고정핀(511)에 삽입된 후 상단이 구부러지면서 고정핀(511)의 밑면에 접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11)의 상측 외주면이 핀 네크(523)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출부재(501)는 고정핀(511)에 삽입된 후 코킹(caulking)작업을 통해 고정핀(51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재(501)가 고정핀(511)에 삽입되어 코킹(caulking)작업을 통해 고정핀(511)과 결합됨으로써, 브라켓(500)의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16 and 17, the fixing pin 51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ding member 501 and then engaged. The fixing projecting member 501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511 and then the upper end thereof may be bent to be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in 511. [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rojection member 511 can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pin neck 523. [ For example,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511 and then coupled to the fixing pin 511 through a caulking operation.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511 and is engaged with the fixing pin 511 through caulking operation so that no step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500. [

브라켓(500)이 고정돌출부재(501)를 브라켓(5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코킹(caulking)작업을 통해 고정핀(511)을 브라켓(500)의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브라켓(500)의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500)은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접착부재(550, 도 7 참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6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bracket 500 projects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501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and the fixing pin 511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500 through caulk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tep on the rear surface. As described above, since no step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500, the bracket 5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plate 600 using the adhesive member 550 (see FIG. 7).

즉, 브라켓(500)은 후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screw)가 아닌 접착부재(550, 도 7 참조)를 이용하더라도, 브라켓(500)와 플레이트(600) 간의 접합면적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가깝게 밀착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tep is no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500,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bracket 500 and the plate 600 can be increased even if the bonding member 550 (see FIG. 7) Not only can there be more close contact.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하면, 헤드부(10)는 고정핀(511)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500a)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511)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3)를 포함함으로써, 체결홀(271)의 적어도 일측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18 and 20, the head unit 10 may be coupled to an upper bracket 500a having a fixing pin 511 formed therein. The fixing pin 511 includes the pin head 521 and the pin neck 523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fixing pin 511 can be easily fasten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fastening hole 271.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커버(200)에 배치되는 체결홀(271)에 고정핀(511)이 체결될 수 있다. 도 19에서는 모듈커버(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투명하다고 가정하고 체결홀(271)과 고정핀(511)을 도시한 것이다.The fixing pin 511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71 disposed in the module cover 200, as shown in FIG. FIG. 19 shows a coupling hole 271 and a fixing pin 511, assuming that the display panel 100 disposed in front of the module cover 200 is transparent.

체결홀(271)은 고정핀(511)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인입영역(27a)(27a)과 안착되는 안착영역(27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영역(27a)은 체결홀(271)의 하부에 배치되며, 핀 헤드(521)와 핀 네크(523)가 모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충분한 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인입영역(27a)은 핀 헤드(521)의 제1 직경(W1)보다 큰 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271 may include a receiving area 27a where the fixing pin 511 is drawn or drawn out and a seating area 27b on which the fixing pin 511 is seated. The lead-in area 27a is disposed under the fastening hole 271 and can have a sufficient hole area that both the pin head 521 and the pin neck 523 can be drawn in and drawn out. That is, the lead-in area 27a may have a hole area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W1 of the pin head 521. [

안착영역(27b)은 인입영역(27a)을 통해 인입되는 고정핀(511)이 안착되도록 가이드한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영역(27b)은 체결홀(27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영역(27b)은 인입된 핀 헤드(521)가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핀 헤드(521)의 제1 직경(FRD, 도 13 참조)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핀 헤드(521)는 안착영역(27b)에서 체결홀(271)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The seating area 27b can be fixed after guiding the fixing pin 511, which is drawn through the lead-in area 27a, to be seated. The seating area 27b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271. The seating area 27b may have a width less than the first diameter FRD (see FIG. 13) of the pin head 521 so that the drawn pin head 521 is not disengaged. That is, the pin head 521 can be restricted from being pulled in and out of the fastening hole 271 in the seating area 27b.

안착영역(27b)은 인입된 고정핀(511)이 체결홀(271)의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핀 네크(523)의 제2 직경(SRD, 도 13 참조)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안착영역(27b)의 폭은 제1 직경(FRD, 도 13 참조)보다 작고 제2 직경(SRD, 도 13 참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핀(511)은 안착영역(27b)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ating area 27b has a width wider than the second diameter SRD (see FIG. 13) of the pin neck 523 so that the drawn-in fixing pin 511 can be seated while being easily moved along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271 Lt; / RTI > That is, the width of the seating area 27b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FRD, see Fig. 13) and greater than the second diameter (SRD, see Fig. 13). Accordingly, the fixing pin 511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area 27b.

안착영역(27b)에 안착된 고정핀(511)은 일정 값 이상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고정핀(511)은 안착영역(27b)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in 511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area 27b can maintain the current state unless an external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provided. That is, as long a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not provided, the fixing pin 511 can be fixed to the seating area 27b.

다시 말해,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모듈커버(200)가 일 방향으로 틸팅(tilting) 또는 시프트(shift)될 수 있고, 고정핀(511)은 이에 대응하여 체결홀(271)의 형상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핀(511)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이 체결홀(271)의 안착영역(27b)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511)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라는 표현은, 실제로 브라켓(500)에 고정된 고정핀(511)의 움직임은 구속되나, 모듈커버(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고정핀(511)이 체결홀(271) 내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module cover 200 can be tilted or shifted in one direction, and the fixing pin 511 can mov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271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xing pin 511 can be guided along the shape of the seating area 27b of the fastening hole 271. [ Here, the expression "the fixing pin 511 moves relatively" means that the movement of the fixing pin 511 fixed to the bracket 500 is restricted, 511 appear to move in the fastening hole 271. [

이에 따라, 안착영역(27b)에 안착된 고정핀(511)이 의도치 않게 제공된 외력에 의해 인입영역(27a)으로 이동하여, 체결홀(271)로부터 이탈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fixing pin 511, which is seated in the seating area 27b, from the locking hole 271 due to unintentional external force to the locking area 27a.

상술한 고정핀(511)과 체결홀(271)은 결합유닛으로 표현하거나 칭할 수 있다. 결합유닛은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xing pin 511 and the fastening hole 271 may be referred to as a coupling unit or may be referred to as a coupling unit. The coupling un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module cover 200 and the bracket 500.

또한,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 사이에는 고정보조부재(275, 도 6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보조부재(275, 도 6 참조)는 결합유닛과 함께 모듈커버(200)와 브라켓(5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보조부재(275, 도 6 참조)는 자석일 수 있다.Further, a fixing assistant member 275 (see FIG. 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odule cover 200 and the bracket 500. The fixing auxiliary member 275 (see FIG. 6) can firmly fix the module cover 200 and the bracket 500 together with the coupling unit. For example, the fixed auxiliary member 275 (see Fig. 6) may be a magnet.

도 2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600)는 후면에 강화필름(650)을 배치할 수 있다.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의 후면에 배치되어 플레이트(600)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를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또는 물건과의 부딪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외부 충격을 분산시켜 플레이트(600)를 보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reinforcing film 65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The reinforcing film 65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to protect the plate 600. For example, the reinforcing film 650 can prevent scratches or the like that may be caused by scratches or collisions with objects that may occur when the plate 600 is moved. In addition, the reinforcing film 650 can protect the plate 600 by dispersing an external impact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late 600 from the outside.

이러한 강화필름(650)은 불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강화필름(650)은 플레이트(600)의 후방을 통해 플레이트(600)의 전방으로 투과될 수 있는 다양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강화필름(650)은 사용자가 플레이트(6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시청할 때, 플레이트(600)의 후방에서 보여지는 사물과 플레이트(600)의 후방을 통해 투과되는 빛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film 650 may include an opaque material. The reinforcing film 650 may block various light that ma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of the plate 600 through the rear of the plate 600. That is, when the user views the display panel 100 disposed in front of the plate 600, the reinforcing film 650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ar of the plate 600 and the light reflected through the rear of the plate 600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gas. Thus, the user can concentrate more on the display screen.

도 22를 참조하면, 스탠드(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도 1 참조)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stand 7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100 (see FIG. 1).

스탠드(700)는 헤드부(10)의 후방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도 1 참조)의 후방에 위치되는 플레이트(60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스탠드(700)는 적어도 하나가 플레이트(6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700)는 제1 스탠드(700a)와 제2 스탠드(70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탠드(700a)는 플레이트(600)의 하부 중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스탠드(700b)는 제1 스탠드(700a)와 좌우방향(X)으로 이격되어 플레이트(600)의 하부 중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stand 700 can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plate 600 located behind the head 10 or behind the display panel 100 (see FIG. 1). At least one of the stands 700 may be located below the plate 600. For example, the stand 700 may include a first stand 700a and a second stand 700b. The first stand 700a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600 and the second stand 700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and 700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 Can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제1,2 스탠드(700a,700b)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후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2 스탠드(700a,700b)는 플레이트(600)의 하부 좌우측 각각에 위치하여, 플레이트(60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플레이트(600)가 전후방향(Z)인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tands 700a and 700b may b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Z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first and second stands 700a and 700b are locat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600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600 to firmly support the plate 6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Z can do.

제1 스탠드(700)와 제2 스탠드(7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이후 도면에서는 보다 쉬운 설명을 위해 스탠드(700)로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first stand 700 and the second stand 70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the stand 700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asier explanation.

도 23을 참조하면, 바디(705)는 헤드부(10)의 전후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705)는 헤드부(10)의 두께방향 또는 플레이트(600)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바디(705)는 일정한 너비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디(705)는 중앙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the body 705 may be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Z of the head portion 10. That is, the body 705 can be elong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ead part 10 o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600. [ The body 705 may have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The body 705 may be thinner as it moves forward or backward about the center.

바디(705)의 상면에는 지지부(710)와 지지가이드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portion 710 and a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지지부(710)는 바디(705)의 상면 중 중앙영역에서 상방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710)는 바디(70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정한 너비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710)의 너비는 바디(705)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10)의 두께는 바디(705)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710 may extend in the upward direction Y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The support portion 710 may extend in the upward direction 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and may have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71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body 705.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71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705. [

지지부(710)의 전면과 지지부(710)의 후면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10)의 후면은 플레이트(600)의 전면과 접하면서, 플레이트(600)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710 may be flat.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710 can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60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600.

지지가이드부(711)는 지지부(710)로부터 이격되고, 바디(7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711)는 플레이트(600)를 바라보는 경사면(711a, 도 25 참조)이 형성되도록 바디(7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be spaced from the support portion 710 and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so that an inclined surface 711a (see FIG. 25) facing the plate 600 is formed.

지지조정부재(730)는 바디(705)의 상면에서 지지부(710)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는 플레이트(600)의 후방에 위치되며, 플레이트(600)의 후면에 접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는 바디(705)의 상면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positioned apart from the support 7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is located behind the plate 600 and may abut or abut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4를 참조하면, 바디(705)의 상면에 체결조정홈(713)과 지지가이드부(711)가 형성되고, 하면에 체결고정홈(715)와 미끄럼방지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24, a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and a support guide 7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and a fastening fixing groove 715 and a non-skid portion 70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705 .

체결조정홈(713)은 지지부(710)와 지지가이드부(7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체결조정홈(713)은 플레이트(6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체결조정홈(713)은 일부 영역이 플레이트(600)의 하면과 접하고, 나머지 영역이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can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600. A portion of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the remaining reg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체결고정홈(715)은 바디(705)의 하면에서 바디(705)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결조정홈(713)과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 체결고정홈(715)은 바디(705)의 하면에서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fixing groove 715 may b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astening groove 7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705. The fastening fixing groove 715 may be concav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705.

고정부재(750)는 체결고정홈(715)에 형성되는 체결조정홀(717, 도 25 참조)을 관통하여 지지조정부재(730)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750)는 긴 막대기 형상에 스크류 모양으로 홈(나사산)이 파여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750)는 스크류, 볼트, 나사일 수 있다.The fixing member 750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through a fastening hole 717 (see FIG. 25) formed in the fastening and fixing groove 715. The fixing member 75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in a long stick shape.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750 may be a screw, bolt, or screw.

미끄럼방지부(7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701)는 바디(705)의 하면 중 전면측 근방, 후면측 근방 및 중앙 영역 근방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701)는 바디(705)가 임의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non-skid portions 701 may be disposed. For example, the non-slip portions 701 may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side, the vicinity of the rear side, and the vicinity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705, respectively. The non-slip portion 701 can prevent the body 705 from sliding arbitrarily.

또한, 지지부(710)와 지지조정부재(730) 사이에는 완충부재(740)가 위치할 수 있다. 완충부재(740)는 지지부(710)의 후면과 플레이트(600)의 전면 사이에 위치하고, 플레이트(600)의 후면과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600)가 전후방향(Z)으로 흔들리더라도 지지부(710), 플레이트(600) 및 지지조정부재(730) 간의 간격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600)가 흔들리는 동안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member 7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The buffering member 740 is position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ccordingly, even when the plate 600 swing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Z, not only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ortion 710, the plate 600 an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further adhered to each other, The impact generated can be buffered.

도 25를 참조하면, 체결고정홈(715)은 오목하게 형성된 바닥면에 체결조정홀(717)이 배치될 수 있다. 체결조정홀(71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좌우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조정홀(717)은 제1 체결조정홀(717a)과 제2 체결조정홀(71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조정홀(717a)과 제2 체결조정홀(717b)은 좌우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the fastening fixing groove 715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717 on the concav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adjusting holes 717 may b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 For example,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717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adjusting hole 717a and a second fastening adjusting hole 717b. The first fastening adjusting hole 717a and the second fastening adjusting hole 717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

체결조정홀(717)은 바디(70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조정홀(717)은 체결고정홈(715)과 체결조정홈(71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체결조정홀(717)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formed through the body 705. That is,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717 may be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fixing groove 715 and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지지조정부재(730)는 하면에 고정부재(750, 도 24 참조)가 삽입되는 고정홈(73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733)은 체결조정홀(717)과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 고정홈(733)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홈은 제1 체결조정홀(717a)에 대응되고, 제2 고정홈은 제2 체결조정홀(717b)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733)은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접합 모재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formed with a fixing groove 733 into which a fixing member 750 (see FIG. 24) is inserted. The fixing groove 733 can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The fixing groove 733 may include a first fixing groove and a second fixing groove. The first fixing groove may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hole 717a,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fixing hole 717b. The fixing groove 733 may be formed with a threaded joint base material.

고정부재(750, 도 24 참조)는 지지조정부재(730)와 체결조정홈(713)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는 고정부재(750, 도 24 참조)를 통해 체결조정홈(713)에 접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750 (see Fig. 24)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tightening adjusting groove 713. [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moved to abut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750 (see Fig. 24).

지지가이드부(711)는 플레이트(600)를 바라보는 경사면(711a)이 형성되도록 바디(7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경사면(711a)은 체결조정홈(713, 도 26참조)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71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so that an inclined surface 711a facing the plate 600 is formed. The inclined plane 711a can be moved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710 as the distance from the engagement adjustment groove 713 (see Fig. 26) is increased.

지지조정부재(730)는 일부가 경사면(711a)에 인접하고, 고정부재(750, 도 24 참조)의 회전 동작에 따라 경사면(711a)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조정부재(730)는 체결조정홈(713)과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플레이트(600)의 후면을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is partially adjacent to the inclined surface 711a and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711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750 (see Fig. 24). Accordingly,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press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more strongly as the distance from the tightening adjusting groove 713 becomes narrower.

도 26을 참조하면, 지지가이드부(711)는 바디(7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711)는 지지부(710)의 후방에 형성되고, 체결조정홈(713)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711)는 체결조정홈(713)의 상면으로부터 제1 기울기로 상승한 후, 바디(705)의 상면까지 제2 기울기로 하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와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711)는 제1 기울기로 상승하는 상승면(711a)과 제2 기울기로 하강하는 하강면(7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승면(711a)은 경사면(711a)이라 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ortion 71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adjustment groove 713.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be formed to descend at a second slop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adjustment groove 713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705 after rising at a first slope. The first slope may have a slope different from the second slope.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include a rising surface 711a rising at a first slope and a falling surface 711b falling at a second slope. The rising surface 711a may be referred to as an inclined surface 711a.

지지조정부재(730)는 평평한 전면(730a)과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면(730b)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730a)과 후면(730b)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730a)은 플레이트(60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고, 지지조정부재(730)의 후면(730b)은 일부가 경사면(711a)과 마주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는 위치에 따라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두께는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730a)과 지지조정부재(730)의 후면(730b)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730a)은 제1 면(730a)이라 칭할 수 있다.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have a flat front surface 730a and a rear surface 730b partially protruding rearward. The front surface 730a and the rear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The front surface 730a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the rear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partially face the inclined surface 711a.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have a different thickness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thickness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730a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back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 The front surface 730a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surface 730a.

지지조정부재(730)의 후면(730b)은 전면(730a)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전면(730a)과의 간격이 멀어지다가, 하측 근처에서 전면(730a)과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지지조정부재(730)의 후면(730b)은 제3 기울기를 가지는 제1 후면(730b1)과 제4 기울기를 가지는 제2 후면(730b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후면(730b2)은 제2 면(730b)이라 칭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rear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front surface 730a may become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730a, . That is, the rear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have a first rear surface 730b1 having a third inclination and a second rear surface 730b2 having a fourth inclination.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urface 730b.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은 지지조정부재(730)의 상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에는 가이드돌기(7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731)는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2)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731)는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과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2)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731)는 고정홈(733)과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731)는 제2 후면(730b2)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제4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A guide protrusion 7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The guide protrusion 73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 The guide protrusion 73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eet. The guide protrusion 731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groove 733 and the second rear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 Since the guide protrusion 731 extends from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it can have the fourth inclination.

도 27을 참조하면, 가이드홈(719)은 체결조정홈(71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19)은 가이드돌기(731)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19)은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과 접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19)은 체결조정홈(713)에 형성되는 체결조정홀(71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조정홀(717)은 제1 체결조정홀(717a)와 제2 체결조정홀(717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홈(719)은 제1 체결조정홀(717a)과 제2 체결조정홀(717b) 사이에 위치되면서, 지지가이드부(711)의 상승면(711a, 도 26 참조)과 접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the guide groove 719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713. The guide groove 719 may be recessed to insert the guide protrusion 731. The guide groove 719 may be formed at a point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The guide groove 719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s 717 formed in the fastening adjustment groove 713. For example,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717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adjusting hole 717a and a second fastening adjusting hole 717b. The guide groove 719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adjusting hole 717a and the second fastening adjusting hole 717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ising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711 .

이에 따라, 지지조정부재(730)가 바디(705)에 조립되는 동안 오조립을 억제할 수 있다. Thereby, misalignment can be suppressed while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is assembled to the body 705. [

도 28을 참조하면,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2)은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과 마주할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2)은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을 따라 점진적으로 미끄러지면서, 체결조정홈(713)에 접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face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As shown in FIG.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made to approach the tightening adjusting groove 713 while gradually sli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

여기서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2)은 제4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4 기울기는 제1 후면(730b1)과 제2 후면(730b2)이 접하는 지점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라인을 제1 기준라인(BL1)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1 기준라인(BL1)을 중심으로, 제2 후면(730b2)이 기울어지는 기울기로 정의될 수 있다. Where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have a fourth tilt. The fourth inclination is set such that a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point where the first rear surface 730b1 and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set as a first reference line BL1 and the center of the first reference line BL1 , And the second rear surface 730b2 may be defined as a slope.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은 제1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울기는 체결조정홈(713)을 제2 기준라인(BL2)으로 지지가이드부(711)가 기울어지는 기울기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울기는 제4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may have a first inclination. The first inclination may be defined as a slope at which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is inclined to the second reference line BL2. The first slope may have a slop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ourth slope.

또한, 지지조정부재(730)의 제2 후면(730b)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돌기(731)는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홈(719)과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731) 및 가이드홈(719)은 제1 기울기 또는 제4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731 extending from the second rear surface 730b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has a slope equal to that of the guide groove 719 extending from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have.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731 and the guide groove 719 may have a first slope or a fourth slope.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가이드부(711)에 접하거나 마주한 상태에서 고정부재(750)의 회전동작에 따라 체결조정홈(713)에 점진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조정부재(730)가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의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거나 점진적으로 하강하면서 이동할 경우 지지조정부재(730)는 수평방향으로 "a"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조정부재(730)는 수직방향으로 "b"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gradually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the tightening adjusting groove 713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750 in contact with or facing the support guide 711. [ That is,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moved up or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gradually moves up or down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711 to the highest point or gradually descends,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distance "a" . The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moved by a distance "b"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9를 참조하면, 고정부재(750)는 머리영역(750a, 도 26 참조)과 몸통영역(750b, 도 2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영역(750a)의 제1 너비(HW11)는 몸통영역(750b)의 제1 너비(HW21)보다 크게 형성되고, 머리영역(750a)의 제2 너비(HW12)는 몸통영역(750b)의 제2 너비(HW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너비(HW11,HW21)는 바디(705)의 전후방향(Z)을 기준으로 측정한 길이로 정의되고, 제2 너비(HW12,HW22)는 바디(705)의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측정한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29, the fixing member 750 may include a head region 750a (see FIG. 26) and a body region 750b (see FIG. 26). The first width HW11 of the head region 750a is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HW21 of the body region 750b and the second width HW12 of the head region 750a is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HW12 of the body region 750b. 2 width (HW22). The first widths HW11 and HW21 are defined as a length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Z of the body 705 and the second widths HW12 and HW22 are defined as a length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X of the body 705 As shown in FIG.

체결조정홀(717)의 제1 너비(BW11)는 머리영역(750a)의 제1 너비(HW11)보다 작고, 몸통영역(750b)의 제1 너비(HW2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733)의 제1 너비(BW21)는 몸통영역(750b)의 제1 너비(HW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조정홀(717)의 제1 너비(BW11)는 고정홈(733)의 제1 너비(BW2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idth BW11 of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HW11 of the head region 750a and larger than the first width HW21 of the body region 750b. The first width BW21 of the fixing groove 733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width HW21 of the body region 750b. The first width BW11 of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width BW21 of the fixing groove 733. [

또한, 체결조정홀(717)의 제2 너비(BW12)는 머리영역(750a)의 제2 너비(HW12)보다 작으면서, 몸통영역(750b)의 제2 너비(HW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733)의 제2 너비(BW22)는 몸통영역(750b)의 제2 너비(HW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조정홀(717)의 제2 너비(BW12)는 고정홈(733)의 제2 너비(BW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idth BW12 of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second width HW22 of the body region 750b while being smaller than the second width HW12 of the head region 750a . The second width BW22 of the fixing groove 73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width HW22 of the body region 750b. The second width BW12 of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second width BW22 of the fixing groove 733. [

체결조정홀(717)의 제1 너비(BW11)는 "a(도 28 참조)"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750)는 체결조정홀(717)에 삽입되어 체결조정홀(717)의 제1 너비(BW11) 내에서 "a(도 28 참조)"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width BW11 of the fastening adjusting hole 717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a (see Fig. 28) ". The fixing member 75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and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distance of "a (see FIG. 28)" within the first width BW11 of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즉, 체결조정홀(717)에 의한 고정부재(750)의 전진 치수는 경사면 치수 "a"와 "b" 그리고, 경사 각도 "α(알파)"에 종속될 수 있다. That is, the forward dimension of the fastening member 750 by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can be dependent on the inclined plane dimensions "a" and "b" and the inclination angle "α (alpha)".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750)가 체결조정홀(717)에 삽입되어 제1 위치 내지 제3 위치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조정홀(717)의 일측은 지지부(710)와 가까운 영역으로 제3 위치일 수 있고, 체결조정홀(717)의 타측은 지지가이드부(711)와 가까운 영역으로 제1 위치일 수 있다. 체결조정홀(717)의 중앙영역은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 영역으로 제2 위치일 수 있다.30 to 32, the fixing member 750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and positioned in one of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For example, one side of the tigh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a third position close to the support portion 710, and the other side of the tigh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an area near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Lt; / RTI > The central region of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may be the second position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도 30의 (a)와 (b)을 참조하면, 고정부재(750)가 체결조정홀(717) 중 제1 위치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750)는 몸통영역(750b)의 끝단이 지지조정부재(730)의 고정홈(73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750)가 제1 위치에 형성되면,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에 접하거나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731)는 가이드홈(719)에 삽입되기 전인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0A and 30B, the fixing member 75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717 and positione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body region 750b of the fixing member 7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733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Thus, when the fixing member 750 is form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positioned to abut or face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711. [ The guide protrusion 731 may be in a state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719. [

고정부재(750)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동안,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부(710)와 제11 간격(g11)일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은 체결조정홈(713)와 제12 간격(g12)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조정부재(730)와 지지가이드부(711)와 접하는 면적은 제1 면적(s1)일 수 있다.While the fixing member 7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the eleventh gap g11 from the supporting portion 710. [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the twelfth gap g12 from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support guide 711 may be the first area s1.

이후, 고정부재(7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면, 고정부재(750)는 체결조정홀(717) 중 제2 위치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fixing member 750 rotates clockwise, the fixing member 750 can be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mong the clamping holes 717 and arranged.

도 31의 (a)와 (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750)는 전후방향(Z)으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750)는 몸통영역(750b)의 끝단이 지지조정부재(730)의 고정홈(733)의 중간까지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750)가 제2 위치에 형성되면,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가이드부(711)의 경사면(711a)에 계속해서 접하거나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731)는 일부가 가이드홈(719)에 삽입되는 상태일 수 있다.31 (a) and 31 (b), the fixing member 750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Z. [ At this time, the end of the body region 750b may be inserted to the middle of the fixing groove 733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When the fixing member 750 is 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positioned so as to touch or face the inclined surface 711a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711 continuously. The guide protrusion 731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719. [

이때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부(710)와 제21 간격(g21)일 수 있다. 제21 간격(g21)은 제11 간격(g11)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은 체결조정홈(713)와 제22 간격(g22)일 수 있다. 제22 간격(g22)은 제12 간격(g1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조정부재(730)와 지지가이드부(711)와 접하는 면적은 제2 면적(s2)일 수 있다. 제2 면적(s2)은 제1 면적(s1)보다 더 넓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portion 710 by the 21th interval g21. The twenty-first interval g21 may be smaller than the eleventh interval g11.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the twenty-second gap g22 from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 The twenty-second gap g22 may be smaller than the twelfth gap g12.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support guide 711 may be the second area s2. The second area s2 may be wider than the first area s1.

이후, 고정부재(750)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 동작하면, 고정부재(750)는 체결조정홀(717) 중 제3 위치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fixing member 750 continuously rotates clockwise, the fixing member 750 can be moved to the third position among the clamping holes 717 and disposed.

도 32의 (a)와 (b)을 참조하면, 고정부재(750)는 전후방향(Z)으로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750)는 몸통영역(750b)이 지지조정부재(730)의 고정홈(733)에 모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750)가 제3 위치에 형성되면,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은 체결조정홈(713)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731)는 가이드홈(719)에 모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2 (a) and 32 (b), the fixing member 750 can mov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Z. [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75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733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in the entire body region 750b. When the fixing member 750 is formed at the third pos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adjusting groove 713. The guide protrusion 731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719.

이때 지지조정부재(730)는 지지부(710)와 제31 간격(g31)일 수 있다. 제31 간격(g31)은 제21 간격(g21)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조정부재(730)의 하면은 체결조정홈(713)와 제32 간격(g32)일 수 있다. 제32 간격(g32)은 제22 간격(g2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조정부재(730)와 지지가이드부(711)와 접하는 면적은 제3 면적(s3)일 수 있다. 제3 면적(s3)은 제2 면적(s2)보다 더 넓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portion 710 by the gap 31 g31. The 31st interval g31 may be smaller than the 21st interval g21.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may be the 32th interval g32 from the coupling adjusting groove 713. [ And the 32nd interval g32 may be smaller than the 22nd interval g22.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support guide 711 may be the third area s3. The third area s3 may be wider than the second area s2.

지지조정부재(730)는 고정부재(750)가 회전 동작하면서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체결조정홈(713)과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줄이면서 체결조정홈(713)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조정부재(730)가 고정부재(750)를 통해 바디(705)에 체결되는 동안, 고정부재(750)는 체결조정홀(717)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지지조정부재(730)를 플레이트(600)에 압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조정부재(730)가 체결조정홈(713)에 밀착됨으로써, 지지부(710)와 함께 플레이트(6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While the fixing member 750 is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while rotating the fixing member 750,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adjusting member 730 and the clamp adjusting groove 713 is gradually reduced and the clamp adjusting groove 713 ). That is, while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is fastened to the body 705 via the fastening member 750, the fastening member 750 advances forward from the rear along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717, ) To the plate (600). Thus, the plate 600 can be firmly fixed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710 by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713.

도 33을 참조하면, 스탠드(800)는 헤드부(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탠드(800)는 플레이트(600)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800)는 전방스탠드(810)와 후방스탠드(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스탠드(810)는 헤드부(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후방스탠드(820)는 헤드부(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the stand 8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head portion 10. The stand 800 may be elong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600. The stand 800 may include a front stand 810 and a rear stand 820. The front stand 810 can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rear stand 820 can be disposed behind the head portion 10. [

전방스탠드(810)와 후방스탠드(820) 사이에는 플레이트(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방스탠드(810)와 후방스탠드(820)가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플레이트(600)를 지지할 수 있다.A plate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tand 810 and the rear stand 820. The front stand 810 and the rear stand 820 are fastened together and can support the plate 600 in a fastened state.

전방스탠드(810)는 전방지지대(810a)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지지대(810a)는 전방스탠드(810)의 상면 중 후방 또는 뒤쪽에서 상방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지지대(810a)는 전방스탠드(8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방향(Y)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너비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방지지대(810a)는 플레이트(600)와 접하는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지지대(810a)의 후면은 전방스탠드(810)의 후면이라 칭할 수 있다.The front stand 810 may include a front support table 810a. The front support 810a may extend in the upward direction Y from the rear or back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tand 810. [ The front support 810a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tand 810 and may have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The front support table 810a may be formed flat on the rear surface contacting the plate 600. [ Here,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table 810a can be referred to as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tand 810. [

후방스탠드(820)는 후방지지대(820a)를 구비할 수 있다. 후방지지대(820a)는 후방스탠드(820)의 상면 중 전방 또는 앞쪽에서 상방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지지대(820a)는 후방스탠드(8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방향(Y)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후방지지대(820a)는 상측의 두께와 하측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상측 두께가 하측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즉, 후방지지대(820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굵어질 수 있다.The rear stand 820 may have a rear support table 820a. The rear support 820a may extend forward or forwar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tand 820 in the upward direction Y. [ The rear support 820a extends in the upward direction 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tand 820 and can have a constant width. The back support 820a may be different in thicknes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upper thickness may be thinner than the lower thickness.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rear support base 820a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후방지지대(820a)는 플레이트(600)와 접하는 전면에 압착조정부(813, 도 34 참조)가 형성되고, 압착조정부(813, 도 34 참조)에 압착부재(830, 도 34 참조)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지지대(820a)의 전면은 후방스탠드(820)의 전면이라 칭할 수 있다.34)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 member 820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600 and the pressing member 830 (see FIG. 34) is inserted into the compression adjusting unit 813 . 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 820a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tand 820. [

스탠드(800)는 하면에 미끄럼방지부(801)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801)는 전방스탠드(810)의 하면 또는 후방스탠드(820)의 하면 그리고, 전방스탠드(810)와 후방스탠드(820)가 체결되는 영역 근방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801)는 스탠드(800)가 임의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non-slip portion 80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and 800. For example, the non-skid portion 801 can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tand 810 o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tand 820 and in the vicinity of the region where the front stand 810 and the rear stand 820 are fastened . The non-slip portion 801 can prevent the stand 800 from sliding arbitrarily.

또한, 스탠드(8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플레이트(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800)는 제1 스탠드와 제2 스탠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탠드는 플레이트(600)의 하부 중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스탠드는 제1 스탠드와 좌우방향(X)으로 이격되어 플레이트(600)의 하부 중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 80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60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stand 800 may include a first stand and a second stand. The first stand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600 and the second stand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60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 [

제1,2 스탠드는 플레이트(600)의 하부 좌우측 각각에 배치되어, 플레이트(60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플레이트(600)가 전후방향(Z)인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tands are dispos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600 so a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600 to firmly support the plate 600 so as to prevent the plate 600 from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Z.

도 34의 (a)를 참조하면, 후방스탠드(820)는 하면에 고정체결홈(815)이 위치할 수 있다. 고정체결홈(815)은 후방지지대(820a)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체결홈(815)은 후방지지대(820a)의 하방에서 플레이트(600)를 바라보는 사선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a), the rear stand 820 may have a fixing engagement groove 815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fastening groove 815 may be located below the rear support 820a. The fixed fastening groove 815 may b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looking down on the plate 600 from below the rear support table 820a.

압착조정부(813)는 후방지지대(820a)의 전면에 위치하고, 후방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조정부(813)는 후방지지대(820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조정부(813)는 좌우방향(X)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압착조정부(813)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후방지지대(820a)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mpression adjustment unit 813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 table 820a and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ward the rear. The squeeze adjustment unit 813 can be deep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pport table 820a. For example, the squeeze adjustment unit 813 may b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in cross section cut in the lateral direction X. The compression adjustment unit 813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may have a hypotenuse of a right triang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 table 820a.

압착조정부(813)는 하면에 고정체결홈(815)와 연결되는 압착조정홀(825)이 형성될 수 있다. 압착조정홀(825)은 압착조정부(813)와 고정체결홈(815)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압착조정홀(825)은 고정부재(850)의 몸통영역(850b)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850)는 압착조정홀(825)을 관통하여 압착부재(830)에 체결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adjustment unit 813 may have a compression adjustment hole 825 connected to the fixed fixing groove 815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compression adjustment hole 825 is located between the compression adjustment portion 813 and the fixed fastening groove 815 and can be formed through the compression adjustment hole 825. The compression adjustment hole 825 may have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body region 850b of the fixing member 850. [ The fixing member 850 can be fastened to the pressing member 830 through the compression adjustment hole 825.

압착부재(830)는 압착조정부(81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압착부재(830)는 압착조정부(8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압착조정부(813)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부재(830)는 전후방향(Z)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압착부재(830)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후방지지대(820a)의 전면에 위치되며, 플레이트(60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압착부재(830)는 고정부재(8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압착부재(830)는 고정부재(850)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플레이트(600)의 후면을 압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located inside the compression adjusting unit 813. The compression member 830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compression adjustment unit 813 and may be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compression adjustment unit 813. For example,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in cross section cu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Z. [ The pressing member 830 formed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has a hypotenuse of a right triangl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 820a and can be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 The pressing member 830 can b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850. [ That is, the pressing member 830 can operate to press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in response to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850. [

또한, 전방지지대(810a)와 후방지지대(820a) 사이에는 완충부재(840)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840)는 전방지지대(810a)의 후면과 플레이트(60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600)의 후면과 후방지지대(820a)의 전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600)가 전후방향(Z)으로 흔들리더라도 전방지지대(810a), 플레이트(600) 및 후방지지대(820a) 간의 간격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600)가 흔들리는 동안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member 840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support member 810a and the rear support member 820a. The buffer member 84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plate 810a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upport table 820a. Accordingly, even if the plate 600 swing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Z, not only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pport table 810a, the plate 600 and the rear support table 820a can be further adhered to each other, The impact generated can be buffered.

전방스탠드(810)는 후면의 하측에 체결홈(812)이 전방 또는 앞쪽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후방스탠드(820)는 전면의 하측에 체결돌기(821)가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후방스탠드(820)의 체결돌기(821)는 전방스탠드(810)의 체결홈(812)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돌기(821)와 체결홈(8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front stand 810 may have a coupling groove 81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ncave toward the front or the front side. In response to this, the rear stand 820 may have a fastening protrusion 821 protruding forward from below the front surface. The fastening protrusion 821 of the rear stand 820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812 of the front stand 810 and fastened.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821 and the fastening groove 8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34의 (b)를 참조하면, 압착조정부(813)의 내부에 위치되는 압착부재(830)는 출발라인(SL)과 기준라인(B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압착부재(830)의 상측은 기준라인(BL)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압착부재(830)의 하측은 출발라인(SL)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압착부재(830)의 하면은 압착조정부(813)의 하면과 접한 상태이고, 압착부재(830)의 상측은 압착조정부(813)의 상측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4B, the pressing member 830 positioned inside the compression adjusting unit 81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tarting line SL and the reference line BL.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line BL, and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tarting line SL.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adjusting unit 813 and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adjusting unit 813.

이때 고정부재(850)는 몸통영역(850b)의 끝단이 압착부재(830)에 배치되는 고정홀(831)의 밑면과 접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850)는 고정홀(831)에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1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제1 이격거리는 실질적으로 "0"에 가까운 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body region 850b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hole 831 disposed in the pressing member 830. [ That is, the fixing member 8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831 and have a first separation distance therebetwee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may be a value substantially close to "0 ".

여기서 출발라인(SL)은 압착부재(830)에 체결된 고정부재(850)가 회전동작을 하기 전에 압착부재(830)의 하측과 만나는 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일 수 있다. 기준라인(BL)은 압착부재(830)에 체결된 고정부재(850)가 회전동작을 하기 전에 압착부재(830)의 상측과 만나는 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일 수 있다. The starting line SL may be a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point where the fixing member 850 fastened to the pressing member 830 meets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before rotating. The reference line BL may be a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point where the fixing member 850 fastened to the pressing member 830 meets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before rotating.

압착부재(830)는 고정부재(850)가 회전동작하기 전인 초기상태에서 출발라인(SL)과 기준라인(B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압착부재(830)는 압착부재(830)와 접하는 플레이트(600)에 제1 압력을 가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tarting line SL and the reference line BL in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fixing member 850 is rotated. The pressing member 830 may apply a first pressure to the plate 600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830.

도 35의 (a)와 (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850)가 회전동작을 할 수 있다. 고정부재(850)가 회전 동작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압착부재(830)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압착부재(830)는 고정부재(8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출발라인(SL)과 끝라인(E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압착부재(830)의 하면은 압착조정부(813)의 하면과 이격된 상태이고, 압착부재(830)의 상측은 압착조정부(813)의 상측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압착부재(830)의 상측은 기준라인(BL)과 끝라인(EL)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압착부재(830)의 하측은 기준라인(BL)과 출발라인(S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35 (a) and 35 (b), the fixing member 850 can perform a rotating operation. The fixing member 850 rotates and the rotary motion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so that the pressing member 830 can be moved. The pressing member 83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tart line SL and the end line EL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member 850. [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adjusting unit 813, and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adjusting unit 813.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ference line BL and the end line EL, and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ference line BL and the start line SL can do.

이때 고정부재(850)는 몸통영역(850b)의 끝단이 압착부재(830)에 형성되는 고정홀(831)의 밑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850)는 고정홀(831)에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2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제2 이격거리는 제1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body region 850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fixing hole 831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830. That is, the fixing member 8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831 and have a second distance therebetween. The second spacing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spacing distance.

여기서 끝라인(EL)은 압착부재(830)가 고정부재(85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일 수 있다. 즉, 압착부재(830)는 끝라인(EL)을 오버해서 움직일 수 없다. 압착부재(830)는 기준라인(BL)과 끝라인(EL) 사이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The end line EL may be a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maximum point at which the pressing member 830 can be moved by the fixing member 850. [ That is, the pressing member 830 can not move over the end line EL. The pressing member 830 can move between the reference line BL and the end line EL.

압착부재(830)는 압착부재(830)와 접하는 플레이트(600)에 제2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압력은 제1 압력보다 높은 압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압력이 전방지지대(810a)와 후방지지대(820a) 사이에서 플레이트(600)에 가해짐으로써, 플레이트(600)의 움직임은 전방지지대(810a)와 후방지지대(820a) 사이에서 구속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830 can apply a second pressure to the plate 600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830. The second pressure may be a pressure higher than the first pressure. As such, the seco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te 600 between the front support 810a and the rear support 820a, so that movement of the plate 600 is restricted by the restraint 810a between the front support 810a and the rear support 820a .

도 36의 (a)와 (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850)가 회전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압착부재(830)는 고정부재(8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끝라인(EL) 근처까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압착부재(830)의 하면은 압착조정부(813)의 하면과 이격된 상태이고, 압착부재(830)의 상측은 압착조정부(813)의 상측과 실질적으로 접한 상태일 수 있다. 즉, 압착부재(830)의 상측은 끝라인(EL)에 위치할 수 있고, 압착부재(830)의 하측은 기준라인(BL)과 출발라인(S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6 (a) and 36 (b), the fixing member 850 can complete the rotating operation. The pressing member 830 can be positioned near the end line EL by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850. [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 adjusting unit 813. In this case,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in the end line EL, and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8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ference line BL and the start line SL.

이때 고정부재(850)는 몸통영역(850a)의 끝단이 압착부재(830)에 배치되는 고정홀(831)의 밑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850)는 고정홀(831)에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3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제3 이격거리는 제2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8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hole 831 where the end of the body region 850a is disposed on the pressing member 830. That is, the fixing member 8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831 and have a third separation distance therebetween. The third spacing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spacing distance.

압착부재(830)는 압착부재(830)와 접하는 플레이트(600)에 제3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3 압력은 제1,2 압력보다 높은 압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압력이 전방지지대(810a)와 후방지지대(820a) 사이에서 플레이트(600)에 가해짐으로써, 플레이트(600)의 움직임은 전방지지대(810a)와 후방지지대(820a) 사이에서 구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830 may apply a third pressure to the plate 600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830. The third pressure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 The third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te 600 between the front support 810a and the rear support 820a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late 600 is restricted between the front support 810a and the rear support 820a, And can be fixed.

도 37을 참조하면, 플레이트(600)는 하측에 오조립방지부(611)가 위치할 수 있다. 오조립방지부(611)는 일부가 플레이트(600)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조립방지부(611)는 사용자가 스탠드(700)의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오조립방지부(611)는 플레이트(6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7, 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portion 611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600. 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portion 611 may be formed by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portion 611 can b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stand 700. [ 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portion 6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도 38을 참조하면, 스탠드(700)의 지지부(710)는 오조립방지부(611)에 위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수용부재(712)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재(712)는 지지부(7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수용부재(712)는 스탠드(7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38, the supporting portion 710 of the stand 700 can form the receiving member 712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710 in the misassembly prevention portion 611. [ The housing member 7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710. Or the receiving member 7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and 700. [

예를 들어, 오조립방지부(611)는 제1 오조립방지부(611a) 내지 제4 오조립방지부(611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오조립방지부(611a)는 제1 스탠드(700a)의 지지부(710)의 후면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제2 오조립방지부(611b)는 제2 스탠드(700b)의 지지부(710)의 후면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제3 오조립방지부(611c)는 제1 스탠드(700a)의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제4 오조립방지부(611d)는 제2 스탠드(700b)의 지지조정부재(730)의 전면에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isassembly prevention portion 611 may include the first misassembly prevention portion 611a to the fourth misassistance prevention portion 611d. That is, the first errand erection preventing portion 611a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710 of the first stand 700a, and the second errand errand preventing portion 611b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ortion 710 The third erroneous assembling preventing portion 611c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of the first stand 700a and the fourth erroneous assembling preventing portion 611d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rear And may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of the stand 700b.

도 39을 참조하면, 제1 오조립방지부(611a) 내지 제4 오조립방지부(611d)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9의 (a)와 같이, 제1 오조립방지부(611a) 내지 제4 오조립방지부(611d) 중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고, 도 39의 (b)와 같이, 제1 오조립방지부(611a) 내지 제4 오조립방지부(611d) 중 두 개만 배치될 수도 있고, 도 39의 (c)와 (d)와 같이, 제1 오조립방지부(611a) 내지 제4 오조립방지부(611d)가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9, at least one of the first erroneous erasing preventing portion 611a to the fourth erroneous erasing preventing portion 611d may be disposed. 39 (a), only one of the first erroneous errand preventing portion 611a to the fourth erroneous erasing preventing portion 611d may be disposed, and as shown in Fig. 39 (b) As shown in Figures 39 (c) and 39 (d), only the first erroneous erasure preventing portion 611a to the fourth erroneous erasure preventing portion 611d may be disposed, And the prevention portion 611d may be all disposed.

이에 대응하여 스탠드(700)의 지지부(710)는 제1 수용부재(미도시) 및 제2 수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스탠드(700)의 지지조정부재(730)는 제3 수용부재(미도시) 및 제4 수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710 of the stand 700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member (not shown) and a second rece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of the stand 700 may include a third (Not shown) and a fourth receiving member (not shown).

이에 따라, 스탠드(700)는 플레이트(600)에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사용자가 스탠드(700)를 플레이트(600)에 조립하더라도 모두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오조립방지부(611)가 플레이트(600)에 위치하더라도, 스탠드(700)가 조립되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즉 오조립방지부(611)는 스탠드(700)가 위치하는 영역에 중첩되어 위치될 수 있다.Thus, the stand 700 can be assembled to the plate 600 at an accurate position. That is, even if a plurality of users assemble the stand 700 to the plate 600, they can be assembled at precise positions. Even if the misassembly prevention portion 611 is located on the plate 600, the stand 700 may be assembled and may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erroneous assembling prevention portion 611 can be positioned over the area where the stand 700 is positioned.

오조립방지부(611)는 플레이트(600)의 하방에 장착되는 스탠드(700)를 정확하게 조립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을 수 있다.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portion 611 is formed for accurately assembling the stand 700 mounted below the plate 600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shape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도 40을 참조하면, 오조립방지부(611)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조정부재(730)가 플레이트(6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지지부(710)가 플레이트(600)의 후면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스탠드(700)가 전후방향이 뒤바뀌어서 플레이트(600)에 잘못 조립된 것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40, if the misalignment preventing portion 611 is not forme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600, and even when the supporting portion 71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600,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at the stand 700 is rever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erroneously assembled to the plate 600.

이와 같이, 스탠드(700)가 플레이트(600)에 잘못 조립되면, 무게 중심이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600)가 스탠드(700)에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아, 외부의 주변상황에 따라 플레이트(600)가 쓰러질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stand 700 is erroneously assembled with the plate 60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late 600 may be changed, and the plate 600 may not be firmly fastened to the stand 700, ) May be more likely to fall.

도 41을 참조하면, 오조립방지부(611)가 플레이트(600)의 전면 하측에 배치되면, 이에 대응하여 수용부재(712)가 스탠드(700)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1, when the misassembly prevention part 61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600, the receiving member 712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and 700.

이와 같이, 오조립방지부(611)가 플레이트(600)의 전면 하측에 배치되고, 수용부재(712)가 형성되지 아니한 지지조정부재(730)가 스탠드(700)에 조립되면, 플레이트(600)의 전면과 지지조정부재(730) 간에 단차 또는 이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탠드(700)가 전후방향이 뒤바뀌어서 플레이트(600)에 잘못 조립된 것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조립방지부(611)의 간섭에 의해 지지조정부재(730)를 스탠드(700)에 조립할 수 없거나, 잘못 조립된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misalignment preventing portion 611 is dispos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plate 600 an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on which the receiving member 712 is not formed is assembled to the stand 700, A step or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730 and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Accordingly,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at the stand 700 is rever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erroneously assembled to the plate 600. [ That i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730 can not be assembled to the stand 700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erroneous assembling preventing portion 611, or that the erroneously assembled member can be recognized.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조립방지부(611)가 플레이트(600)에 형성되고, 지지부(711)에 수용부재(712)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스탠드(700)가 플레이트(600)에 잘못 조립된 것을 쉽게 인지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스탠드(700)를 플레이트(600)에 조립할 수 있다.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portion 611 is formed on the plate 600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712 is formed on the supporting portion 711 so that the user can assure that the stand 700 is erroneously assembled to the plate 600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stand 700 to the plate 600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or other embodiments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헤드부 600 : 플레이트
701 : 미끄럼방지부 705 : 바디
710 : 지지부 711 : 지지가이드부
711a : 경사면 712 : 수용부재
713 : 체결조정홈 715 : 체결고정홈
717 : 체결조정홀 719 : 가이드홈
730 : 지지조정부재 740 : 완충부재
731 : 가이드돌기 733 : 고정홈
750 : 고정부재
10: head part 600: plate
701: Non-slip portion 705: Body
710: Support part 711: Support guide part
711a: slope 712: housing member
713: fastening adjustment groove 715: fastening fixing groove
717: fastening adjustment hole 719: guide groove
730: Support adjusting member 740: Buffer member
731: Guide protrusion 733: Fixing groove
750: Fixing member

Claims (16)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인접하고, 상기 바디의 상면에서 상기 스탠드의 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스탠드의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을 바라보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지지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가이드부의 경사면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조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지지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display panel;
A module cover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coupled with the display panel;
A plate located behind the module cover and to which the module cover is fixed; And,
And a st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plate,
The stand comprises:
A body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support adjacent to a front surface of the plate an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stand;
A support guide portion adjacent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And a support adjusting member inserted between the plate and an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The support adjustment member comprises:
A first side facing the back side of the plate; And,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지지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밀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조정부재의 제1 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압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adjustment member is pressed onto th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조정부재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upport adjustment member has a guide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가이드부 사이에는 체결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조정홈은, 상기 지지조정부재의 하면에 밀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A fastening adjus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guide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조정홈과 상기 지지가이드부가 접하는 영역에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A guide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is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tightening adjusting groove and the support guide contact each other,
And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조정홈에 대응되어 상기 바디의 하면에 체결고정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astening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홈에는 상기 체결고정홈과 상기 체결조정홈을 관통하는 체결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조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조정부재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fixing groove is formed with a fastening fixing hole penetrating the fastening fixing groove and the fastening adjusting groove,
And a fix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and fastened to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조정홀은 길게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조정홀에서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ening adjustment hole is elongated,
And the fixing member is movable in the tightening adjustment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사이에 상기 지지부의 후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지지조정부재의 전면 사이에 상기 지지조정부재의 전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is formed upward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buffer member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and extending upward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조정부재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쐐기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adjusting member form a wedge shape.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중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스탠드;
상기 전방스탠드의 후면에 체결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 중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후방스탠드;
상기 전방스탠드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인접하는 전방지지대;
상기 후방스탠드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는 후방지지대;
상기 후방스탠드의 하방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바라보는 사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후방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일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압착되는 압착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display panel;
A module cover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coupled with the display panel;
A plate located behind the module cover and to which the module cover is fixed; And,
And a st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plate,
The stand comprises:
A front stand adjacent to a front surface of the plate and extending forwar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rear stand fasten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stand and adjacent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extending long rearwar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A front support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stand and adjacent to a front surface of the plate;
A rear support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stand and adjacent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A fix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rear stand and penetrating in a diagonal direction looking at the plate; And,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ar support member and whose one surface is pressed on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압착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압착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조정부의 하면과 상기 후방스탠드의 하면을 상기 사선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압착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압착조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압착부재에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Inside the rear support frame
And a compression adjustment unit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mpression member,
Wherein a compression adjustment hole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adjusting un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tand through the oblique direction,
And the fix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ompression member through the compression adjustment ho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압착조정부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essing member
And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movable up and down within the squeeze adjustment pa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탠드의 후면의 하측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스탠드의 전면의 하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tand,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a front surface of the rear stand,
Wherein the fastening groove is recessed toward the front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탠드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사이에 상기 전방스탠드의 후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후방스탠드의 전면 사이에 상기 후방스탠드의 전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tand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upward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tand
And a buffer member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tand, the buffer member extending upward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stand.
KR1020170001212A 2016-12-27 2017-01-04 Display device KR20180080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12A KR20180080461A (en) 2017-01-04 2017-01-04 Display device
EP17206070.9A EP3343047B1 (en) 2016-12-27 2017-12-08 Display device
CN201711434953.9A CN108242208B (en) 2016-12-27 2017-12-26 Display device
US15/855,851 US10390451B2 (en) 2016-12-27 2017-12-2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212A KR20180080461A (en) 2017-01-04 2017-01-04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61A true KR20180080461A (en) 2018-07-12

Family

ID=6291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212A KR20180080461A (en) 2016-12-27 2017-01-04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4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2208B (en) Display device
KR102560611B1 (en) Display device
JP2007140455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90004514A (en) Display device
KR20170069530A (en) Display apparatus
KR102515715B1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78995A (en) Multi Display Device
EP3125026A1 (en) Display device
US9877402B2 (en) Display device
JP2003216056A (en) Display device
KR20180092660A (en) Display device
US20100195018A1 (en) Coupling structure between backlight and inverter of liquid crystal display
KR20180080461A (en) Display device
KR100722097B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70062937A (en) Display apparatus
KR102665993B1 (en) Display device
KR102492451B1 (en) Display apparatus
KR100447123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2509391B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76200A (en) Display device
KR100671653B1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77149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751182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10194539B2 (en) Display device
KR101943056B1 (en) Cover shiel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