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147A - 클렌징 장치 - Google Patents

클렌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147A
KR20180080147A KR1020180058064A KR20180058064A KR20180080147A KR 20180080147 A KR20180080147 A KR 20180080147A KR 1020180058064 A KR1020180058064 A KR 1020180058064A KR 20180058064 A KR20180058064 A KR 20180058064A KR 20180080147 A KR20180080147 A KR 20180080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cleansing portion
height
washing machine
machin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572B1 (ko
Inventor
김미나
곽택종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008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6297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05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5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47A/ko
Priority to KR1020220068787A priority patent/KR102418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렌징 대상에 밀착되는 내측 클렌징부;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클렌징부; 및 상기 내측 클렌징부 및 상기 외측 클렌징부를 서로 상대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렌징 장치{Cleansing Device}
본 발명은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클렌징부와 외측 클렌징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되, 내외측 클렌징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도록 하여 자체적으로 버블 생성력을 증대시킬 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세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신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신체의 아름다움 중에서도, 특히 다른 사람이 가장 먼저 식별하게 되는 피부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게 된다.
피부 관리는 잡티가 없고 청결하며 부드러운 피부의 유지를 목표로 하며, 특히 신체 부위 중 얼굴의 피부 관리에 대하여 가장 많은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얼굴의 피부 관리를 위해 마사지를 받거나, 피부를 아름답게 보여주는 기능성 화장 제품을 바르거나, 또는 각종 세정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을 지속한다.
그 중 피부의 노폐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세안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세안을 위해서 사람들은 액상의 클렌징 제형 등과 같은 세정 제품을 얼굴에 바른 후 씻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손을 이용하여 세안을 하는 경우 세정 제품이 피부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할 수 있고, 손에 의한 세균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세정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도구 중에서, 브러시를 포함하며 진동을 일으키거나 회전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이용한 세안 방법이 널리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 판매되는 브러시 장치는, 브러시가 전체적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거나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세정되는 방식인데 이는 대칭적인 근육 배열을 가진 얼굴에 비대칭적인 힘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을 다양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일 방향 회전되는 제품이나 강한 진동으로 작동하는 제품의 경우 세정 제품이 외부로 튀는 현상을 유발하여 사용자에 불편을 초래하며 세정 제품이 눈 등의 민감한 부위에 들어가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시중의 클렌징 기기의 경우 클렌징력은 있으나 브러시에 세정 제품이 끼어 버블이 생성되지 않아 소비자들이 직접 손으로 거품을 낸 뒤 브러시에 묻혀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추후 세척시에도 세정 제품의 잔여물이 남는 문제 있다.
세정 제품의 버블 생성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기적으로는 별도의 장치를 구입해야 하여 소비자의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며, 기존의 손으로 소비자가 거품을 내는 방식은 버블 생성의 효과가 낮고, 버블 생성 기기 중에는 공기 통로와 세제 연결 통로를 만들어 버블을 만들고 생성된 버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노즐이 필요한 복잡한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버블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세안망으로 공기와 세정액을 혼합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섬세하거나 균질의 공기를 포함한 버블을 생성시키기가 어렵고, 거품이 잘 소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257256호(2013.04.17. 공고) (선행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793호(2014.03.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이나 얼굴에 접촉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을 높여 버블의 생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렌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성된 버블이 사용 중에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여 세정 제품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클렌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렌징 장치는, 클렌징 대상에 밀착되는 내측 클렌징부;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클렌징부; 및 상기 내측 클렌징부 및 상기 외측 클렌징부를 서로 상대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점은,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가 접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 마찰에 의해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을 높여 버블을 생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가 접촉되지 않는 공간 부분으로, 상기 접촉점에서 생성된 버블을 수용하여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상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메쉬 또는 스폰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클렌징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끝단이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상면이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갖는 플랫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일측의 높이가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고, 타측의 높이가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면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틸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에지 커팅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상면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틸트 구조와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에지 커팅 구조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상면이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갖는 플랫 구조와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에지 커팅 구조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복수의 모를 갖는 브러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버블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높이가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높이보다 동일하거나 높고, 브러시의 모가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장치는, 내측 클렌징부와 외측 클렌징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서로 상대회전 하도록 하되, 내외측 클렌징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촉점에서 내외측 클렌징부의 마찰에 의해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이 높아져 자체적으로 버블 생성력을 증대시킬 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세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장치는, 버블 생성력 증대로 사용자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장치는, 내측 클렌징부를 촘촘하게 감싸는 재질로 외측 클렌징부를 구성함으로써, 내측에 생성된 버블이 사용 중에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세정 제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외측 클렌징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외측 클렌징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외측 클렌징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측 클렌징부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1)는,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를 클렌징하거나 또는 피부에 일정한 자극을 가하여 피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케이스(10), 구동원(20), 동력 전달부(30), 내측 회전부(40), 외측 회전부(50), 내측 클렌징부(60), 외측 클렌징부(7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피부는 얼굴, 신체, 그리고 두피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렌징 장치(1)는, 편의상 피부 미용을 위한 장치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청소용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
케이스(10)는, 내부에 후술할 구동원(20), 후술할 동력 전달부(30), 후술할 내외측 회전부(40, 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일측에 후술할 후술할 내외측 클렌징부(60, 70)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곡면 형태를 갖는 형상일 수 있으며, 케이스(10)를 잡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손가락 안착홈(도시하지 않음)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케이스(10)를 파지한 상태로 후술할 내외측 클렌징부(60, 70)를 피부에 밀착시켜서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원(2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동력을 발생시켜 후술할 동력 전달부(30)를 통해 후술할 내외측 클렌징부(60, 70)가 마련되는 후술할 내외측 회전부(40, 50)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구동원(20)은, 회전모터일 수 있으며, 내외측 클렌징부(60, 70)가 마련되는 내외측 회전부(50)의 일정 각도 회전을 위한 서보모터(Servo-motor) 등일 수 있다.
동력 전달부(3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원(20)과 내외측 회전부(40, 5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원(20)의 동력을 후술할 내외측 회전부(40, 50) 각각에 전달하되, 내측 회전부(40)와 외측 회전부(5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30)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30)는, 내측 회전부(40) 또는 외측 회전부(50)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고,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내측 회전부(40) 또는 외측 회전부(50)가 상대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 회전부(40)는, 동력 전달부(30)에 연결되어 후술할 내측 클렌징부(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내측 회전부(40)는, 동력 전달부(30)를 통해 구동원(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및/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내측 클렌징부(60)를 고정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내측 클렌징부(6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회전부(40)는, 내측 회전판(41), 내측 회전축(42), 내측 회전체(4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회전판(41)은, 후술할 내측 클렌징부(60)를 고정할 수 있다.
내측 회전판(41)은, 원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 클렌징부(60)가 구비되는 면의 반대편 면에 내측 회전축(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측 회전판(41)과 내측 회전축(42)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 구비되어 조립 제작될 수 있다.
내측 회전축(42)은, 내측 회전판(4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회전축(42)은 내측 회전판(41)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내측 회전축(42)은 내측 회전판(41)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후술할 외측 회전부(50)는, 어긋난 내측 회전축(42)을 통해 회전하는 내측 회전판(4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내측 회전판(41)이 외측 회전판(51)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측 회전축(42)의 두께는 내측 회전판(41)의 자중이나 회전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내측 회전축(42)은 후술할 외측 회전축(5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외측 회전축(52)의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일 때, 내측 회전축(42)은 외측 회전축(52)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측 회전축(42)의 일단은 내측 회전판(41)에 고정되며, 타단은 내측 회전체(43)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내측 회전판(41)의 일면에 내측 회전체(43)가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므로, 내측 회전축(42)은 생략 가능하다.
내측 회전체(43)는, 내측 회전축(42)에 구비될 수 있다. 내측 회전체(43)는 동력 전달부(30)에 맞물려서 시계방향 및/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기어 이가 형성되는 기어, 또는 표면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롤러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측 회전부(50)는, 동력 전달부(30)에 연결되어 후술할 외측 클렌징부(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외측 회전부(50)는, 내측 회전부(40)와 마찬가지로 동력 전달부(30)를 통해 구동원(20)의 동력을 전달받되, 내측 회전부(4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외측 클렌징부(70)를 고정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외측 클렌징부(7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회전부(50)는, 외측 회전판(51), 외측 회전축(52), 외측 회전체(5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회전판(51)은, 후술할 외측 클렌징부(70)를 고정할 수 있다.
외측 회전판(51)은, 내측 회전판(41)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어서 원판 형태가 아닌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고리의 내측 구멍은 내측 회전판(4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일정 여유만큼 더 클 수 있다.
다만, 내측 회전판(41)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내측 회전축(42)이 연결될 경우 외측 회전판(51)의 내측 구멍은 내측 회전축(42)에 의하여 회전되는 내측 회전판(41)이 충돌하지 않는 크기로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회전판(51)은 고리 형태를 갖되, 외측 클렌징부(70)가 고정되는 일면이 내측 회전판(41)에서 내측 클렌징부(60)가 고정되는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외측 회전판(51)의 일면과 내측 회전판(41)의 일면이 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외측 회전판(51)의 일면과 내측 회전판(41)의 일면이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외측 회전판(51)의 일면과 내측 회전판(41)의 일면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회전축(52)은, 외측 회전판(5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외측 회전축(52)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회전축(42)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회전축(52)은 내측 회전축(42)보다 충분히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회전체(53)는, 외측 회전축(52)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회전체(53)는 동력 전달부(30)에 맞물려 내측 회전체(4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내측 회전체(43)와 마찬가지로 기어 이가 형성되는 기어, 또는 표면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롤러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내측 회전부(40)와 외측 회전부(50)는, 동력 전달부(30)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내측 회전부(40)만 회전하여 외측 회전부(50)가 상대회전하거나, 외측 회전부(50)만 회전하여 내측 회전부(40)가 상대회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내측 회전부(40)와 외측 회전부(50)는, 후술할 내측 클렌징부(60) 및 외측 클렌징부(70)를 서로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내측 클렌징부(60) 및 외측 클렌징부(70)는, 클렌징 대상에 밀착되어 피부를 클렌징하거나 피부를 마사지하는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버블을 생성하는 기능도 겸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클렌징 대상이라 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람의 피부일 수 있고, 또는 청소가 필요한 바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는, 버블 생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서로 상대회전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80)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부(90)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점(80)은,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접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서로 상대회전 하는 동안 회전 마찰에 의해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을 높여 버블을 생성시킬 수 있다.
수용부(90)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접촉되지 않는 공간 부분으로, 접촉점(80)에서 생성된 버블을 수용하여 내측 클렌징부(60)의 상면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접촉점(80)에서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최대 -0.5cm 중첩될 수 있으며, 수용부(90)에서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최대 0.5cm 이격될 수 있다. 즉,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 사이의 거리는, -0.5cm ~ 0.5cm일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클렌징부(60) 및 외측 클렌징부(70) 각각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측 클렌징부(60)는, 내측 회전부(40)의 내측 회전판(41)에 마련되어 시계방향 및/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메쉬, 스폰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클렌징부(60)는, 외측 클렌징부(7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외측 클렌징부(70)에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내측 클렌징부(60)는, 외측 클렌징부(70)가 고리 모양일 경우, 별 모양, 꽃 모양, 다각형 모양 등 고리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이 아닌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으로 튀어나온 굴곡진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튀어나온 부분이 외측 클렌징부(70)에 중첩되는 돌출부(61)가 된다. 이때 내측 클렌징부(60)에 형성되는 돌출부(61)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접촉되는 부분이 접촉점(80)이 된다.
돌출부(61)가 형성된 내측 클렌징부(60)는, 클렌징 대상에 밀착되는 상면이 마찰을 일으키기 위한 요철 구조를 갖거나, 마찰을 잘 일으킬 수 있는 재질이 마련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내측 클렌징부(60)에서 클렌징 대상에 밀착되는 상면의 형상이나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클렌징이 가능한 모든 형태를 포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61)가 형성된 내측 클렌징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외측 클렌징부(70)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갖는 플랫(flat)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구조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측 클렌징부(60)를 덮는 버블의 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측 클렌징부(60)는 상면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틸트(tilt)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틸트 구조로 형성된 내측 클렌징부(60)는 일측의 높이가 외측 클렌징부(70)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고, 타측의 높이가 외측 클렌징부(70)의 높이보다 낮게 되므로, 내측 클렌징부(60)의 상부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로써,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서로 상대회전 하면서 접촉점(80) 부분에서 계속 생성되는 버블이 외측 클렌징부(7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기 보다는 내측 클렌징부(60)의 상면으로 올라가 결과적으로 내측 클렌징부(60)를 덮는 버블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는, 틸트 구조가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내측 클렌징부(60)의 상면은, 플랫 구조와 틸트 구조가 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일례로 중앙부는 플랫 구조, 주변부는 틸트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클렌징부(60)는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62)를 갖는 에지 커팅(edge cutt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지 커팅 구조는 상기한 플랫 구조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에지 커팅 구조로 형성된 내측 클렌징부(60)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상대회전 하면서 접촉점(80)에서 버블이 생성되는 것에 더하여, 절개부(62)에서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이 더욱 높아져 버블의 생성력이 더욱 높아져, 이로써 내측 클렌징부(60)를 덮는 버블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측 클렌징부(60)는 상기한 틸트 구조와 에지 커팅 구조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조합 구조로 형성된 내측 클렌징부(6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측 클렌징부(60)를 덮는 버블의 양이 더욱 많아지게 될 것이다.
상기한 에지 커팅 구조는 상기한 플랫 구조와 상기한 틸트 구조가 조합된 상면을 갖는 내측 클렌징부(6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측 클렌징부(70)는, 내측 클렌징부(60)를 감싸도록 외측 회전부(50)의 외측 회전판(51)에 마련되어 내측 클렌징부(60)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상대회전 할 수 있으며, 복수의 모(毛)를 갖는 브러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클렌징부(70)는, 내측 클렌징부(60)와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버블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 클렌징부(70)는, 그 높이가 내측 클렌징부(60)의 높이보다 동일하거나 높고,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의 특성상 주위 환경으로 튀는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브러시의 모를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다.
외측 클렌징부(70)는 복수의 모 형태가 아닌 둥글거나 돌기 형태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터(applicator)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외측 클렌징부(70)를 구성하는 모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BS, SAN,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세라믹, 고무, 천연섬유나 인조섬유 또는 금속섬유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서로 상대회전 하도록 하되, 내외측 클렌징부(60, 7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80)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촉점(80)에서 내외측 클렌징부(60, 70)의 마찰에 의해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이 높아져 자체적으로 버블 생성력을 증대시킬 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세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버블 생성력 증대로 사용자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측 클렌징부(60)를 촘촘하게 감싸는 재질로 외측 클렌징부(70)를 구성함으로써, 내측에 생성된 버블이 사용 중에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세정 제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 장치에서 내외측 클렌징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돌출부(61)의 끝단을 내측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V'자 등과 같이 오목하게 절단한 형태로 내측 클렌징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내측 클렌징부(60)와 외측 클렌징부(70) 간의 접촉점(80)을 앞선 실시예 대비 늘릴 수 있으므로, 접촉점(80)에서 버블 생성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클렌징 장치 10: 케이스
20: 구동원 30: 동력 전달부
40: 내측 회전부 41: 내측 회전판
42: 내측 회전축 43: 내측 회전체
50: 외측 회전부 51: 외측 회전판
52: 외측 회전축 53: 외측 회전체
60: 내측 클렌징부 61: 돌출부
62: 절개부 70: 외측 클렌징부
80: 접촉점 90: 수용부

Claims (13)

  1. 클렌징 대상에 밀착되는 내측 클렌징부;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클렌징부; 및
    상기 내측 클렌징부 및 상기 외측 클렌징부를 서로 상대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은,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가 접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 마찰에 의해 세정 제품과 공기, 물의 혼합력을 높여 버블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 상기 외측 클렌징부가 접촉되지 않는 공간 부분으로, 상기 접촉점에서 생성된 버블을 수용하여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상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메쉬 또는 스폰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클렌징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측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이 절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상면이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갖는 플랫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일측의 높이가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고, 타측의 높이가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면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틸트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에지 커팅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상면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틸트 구조와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에지 커팅 구조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클렌징부는,
    상면이 상기 외측 클렌징부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갖는 플랫 구조와 측면에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에지 커팅 구조가 조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클렌징부는,
    복수의 모를 갖는 브러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클렌징부와의 마찰에 의해 생성된 버블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높이가 상기 내측 클렌징부의 높이보다 동일하거나 높고, 브러시의 모가 촘촘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장치.
KR1020180058064A 2017-01-03 2018-05-23 클렌징 장치 KR10240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64A KR102407572B1 (ko) 2017-01-03 2018-05-23 클렌징 장치
KR1020220068787A KR102418996B1 (ko) 2018-05-23 2022-06-07 클렌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94A KR101862975B1 (ko) 2017-01-03 2017-01-03 클렌징 장치
KR1020180058064A KR102407572B1 (ko) 2017-01-03 2018-05-23 클렌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894A Division KR101862975B1 (ko) 2017-01-03 2017-01-03 클렌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87A Division KR102418996B1 (ko) 2018-05-23 2022-06-07 클렌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47A true KR20180080147A (ko) 2018-07-11
KR102407572B1 KR102407572B1 (ko) 2022-06-10

Family

ID=8198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64A KR102407572B1 (ko) 2017-01-03 2018-05-23 클렌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967B1 (ko) * 2023-06-14 2023-11-15 주식회사 리와인드랩 내구성을 향상시킨 중주파 클렌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87B1 (ko) * 2005-11-22 2006-12-13 전동진 칫솔모의 폭조절이 가능한 칫솔
KR101257256B1 (ko) 2012-02-16 2013-05-02 (주)센트로닉스 브러쉬 리스 직류모터를 이용한 세안장치와 제어방법 및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471793Y1 (ko) 2012-07-17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전동 클렌저
KR20160017540A (ko) * 2014-08-06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87B1 (ko) * 2005-11-22 2006-12-13 전동진 칫솔모의 폭조절이 가능한 칫솔
KR101257256B1 (ko) 2012-02-16 2013-05-02 (주)센트로닉스 브러쉬 리스 직류모터를 이용한 세안장치와 제어방법 및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471793Y1 (ko) 2012-07-17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전동 클렌저
KR20160017540A (ko) * 2014-08-06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967B1 (ko) * 2023-06-14 2023-11-15 주식회사 리와인드랩 내구성을 향상시킨 중주파 클렌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572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287B2 (en) Dual motor apparatus
JP6596092B2 (ja) 非ニュートン性化粧品組成物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ブラシヘッド
KR101643811B1 (ko) 피부 관리 장치
KR101862975B1 (ko) 클렌징 장치
KR200489176Y1 (ko) 클렌징 장치
KR20180080147A (ko) 클렌징 장치
KR102418996B1 (ko) 클렌징 장치
JP7378408B2 (ja) クレンジング装置
CN204274973U (zh) 一种美容洁面按摩刷
KR102175903B1 (ko) 클렌징 장치
CN112702935B (zh) 针对个人护理用具的皮肤护理附件
US20150245698A1 (en) Assemblable cosmetic applicator
CN110636788A (zh) 清洁装置
US20210196035A1 (en) Fluid-filled cleaning head
JP3106170U (ja) 洗顔用具
JP2006006597A (ja) 洗顔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