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42A -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42A
KR20180079942A KR1020170000716A KR20170000716A KR20180079942A KR 20180079942 A KR20180079942 A KR 20180079942A KR 1020170000716 A KR1020170000716 A KR 1020170000716A KR 20170000716 A KR20170000716 A KR 20170000716A KR 20180079942 A KR20180079942 A KR 2018007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publication
editing
planning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권
Original Assignee
전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권 filed Critical 전대권
Priority to KR102017000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942A/ko
Publication of KR2018007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판물의 제작과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기획자 정보가 저장된 기획자 DB를 가지며 각 기획자가 접속하여 기획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획 단말기가 연결된 기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획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기획 콘텐츠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기획 서버; 다수의 저자 정보가 저장된 저자 DB를 가지며 각 저자가 접속하여 집필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집필 단말기가 연결된 집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집필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집필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집필 서버; 다수의 편집자 정보가 저장된 편집자 DB를 가지며 각 편집자가 접속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편집 단말기가 연결된 편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편집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편집 서버; 다수의 디자이너 정보가 저장된 디자이너 DB를 가지며 각 디자이너가 접속하여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디자인 단말기가 연결된 디자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디자인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디자인 서버; 다수의 교정자 정보가 저장된 교정자 DB를 가지며 각 교정자가 접속하여 교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교정 단말기가 연결된 교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정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교정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교정 서버; 및, 상기 기획 서버를 통하여 출판물 제작에 대한 기획안이 접수될 때 기획안의 등록 사실을 상기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에게 알리고, 출판물 제작에 대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상기 기획 서버,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획 콘텐츠, 집필된 출판물, 편집된 출판물, 디자인된 출판물, 교정된 출판물을 다음 과정의 서버로 전송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Platform system based online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ublication}
본 발명은 출판물의 제작과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감수 등을 위한 각 분야의 관련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자동으로 매칭되어 신속하게 출판물을 제작 및 공급할 수 있고, 출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출판물 제작 시스템을 통하여 제작된 모든 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오픈형 출판물 제작 및 유통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적과 같은 출판물의 제작은,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및 감수 과정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절차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완성된 출판물의 유통은 전자책 또는 종이책 등의 형태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서적 출판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출판물 제작자는 기획자에게 어떤 출판물을 제작할 것인지 기획을 의뢰하게 되고, 기획이 완성된 후 기획자는 해당 콘텐츠에 적합한 저자를 섭외하여 집필을 의뢰한다. 이를 위하여 출판물 제작자는 다수의 기획자와 저자를 상대로 출판물 제작의 참여 여부를 문의하고, 해당 기획자나 저자가 참여를 희망할 때 비로소 집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특정 출판물에 대한 집필이 완료된 후 편집자에게 해당 원고 내용에 대한 편집을 의뢰하고, 디자이너에게 표지 등의 디자인을 의뢰한 후, 교정과 감수를 통하여 원고가 확정되고, 최종적으로 출판물을 전자 서적 또는 종이 서적 등의 형태로 인쇄하여 유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출판물 제작을 위해서는 1명의 기획자, 1 ~ 3명의 저자, 1명의 편집자, 1 ~ 2명의 디자이너, 1명의 교정자, 1명의 감수자를 포함하여, 대략 5 ~ 10명의 관련자들이 협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출판물의 제작은 기획자,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 감수자, 인쇄업자 등이 모두 참여하는 하나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출판물 제작자는 제작에 참여하는 기획자,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 감수자, 인쇄업자 등을 직접 섭외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출판물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6개월 이상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1년 내외의 출판물 제작 기간에서 실제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감수, 인쇄 등에는 비교적 짧은 시간만이 소요되지만, 출판물 제작을 위한 각 전문가를 섭외하고 해당 분야의 일을 의뢰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출판 기획이 이루어질 때, 해당 콘텐츠의 기획 의도에 부합하는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 감수자, 인쇄업자 등의 전문가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출판물의 제작은 출판물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각분야의 전문가를 직접 섭외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출판물이 인쇄되는 최종 단계에서는 출판물을 기획할 당시의 독자들의 관심이나 소비 경향 등의 여건이 변하게 되어 제작 후에 판매 등에 차질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획자나 저자들 각각은 본인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기획 또는 집필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지만 그 외의 편집, 디자인, 교정, 인쇄 등과 같은 분야에는 전문성을 갖지 못하므로, 이와 같이 개인적으로 기획 또는 집필한 콘텐츠는 최종 출판물로 연결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출판물 제작은 기획자가 알고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만 편중되어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문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다양성이나 창조성이 다소 미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책이나 종이책과 같은 출판물의 제작에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갖는 다수의 출판 관련자들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03460호(2009.01.12.출원공개, 네트워크 기반의 출판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한국공개특허 10-2015-0085858호(2015.07.27.출원공개, 전자책 제작, 유통지원 웹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자의 분야에서 관심을 갖는 출판 관련자들이 서로 간의 협업으로 출판물 제작에 참여하여, 출판물의 제작 기간을 줄이면서 독자에게 양질의 출판물을 공급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판물의 제작과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은, 다수의 기획자 정보가 저장된 기획자 DB를 가지며 각 기획자가 접속하여 기획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획 단말기가 연결된 기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획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기획 콘텐츠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기획 서버; 다수의 저자 정보가 저장된 저자 DB를 가지며 각 저자가 접속하여 집필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집필 단말기가 연결된 집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집필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집필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집필 서버; 다수의 편집자 정보가 저장된 편집자 DB를 가지며 각 편집자가 접속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편집 단말기가 연결된 편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편집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편집 서버; 다수의 디자이너 정보가 저장된 디자이너 DB를 가지며 각 디자이너가 접속하여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디자인 단말기가 연결된 디자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디자인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디자인 서버; 다수의 교정자 정보가 저장된 교정자 DB를 가지며 각 교정자가 접속하여 교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교정 단말기가 연결된 교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정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교정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교정 서버; 및, 상기 기획 서버를 통하여 출판물 제작에 대한 기획안이 접수될 때 기획안의 등록 사실을 상기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에게 알리고, 출판물 제작에 대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상기 기획 서버,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획 콘텐츠, 집필된 출판물, 편집된 출판물, 디자인된 출판물, 교정된 출판물을 다음 과정의 서버로 전송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영 서버는 출판물에 대하여 챕터 단위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및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기획 서버,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의 운영을 제어하고, 판매된 콘텐츠의 수익을 배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획 모듈, 집필 모듈, 편집 모듈, 디자인 모듈 및 교정 모듈은, 각각 기획툴 DB, 집필툴 DB, 편집툴 DB, 디자인툴 DB 및 교정툴 DB를 더 구비하여 기획 단말기, 집필 단말기, 편집 단말기, 디자인 단말기 및 교정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판물 제작을 위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감수 등의 각 분야의 관련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상호 간의 신속한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출판물 제작 기간을 줄이고, 양질의 출판물을 제작 및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콘텐츠의 출판물에 대하여 챕터 단위와 같이, 부분적으로 제작, 인쇄 및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콘텐츠 공급 기간을 단축시키고, 소비자(독자)로 하여금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 제작 및 유통을 위한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기획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집필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편집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디자인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교정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출판물'이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될 수 있는 전자 서적과 종이 서적을 포함하고, '집필'이란 새로운 콘텐츠의 창작 행위와 이미 창작된 콘텐츠에 대한 번역 행위를 포함하며, '저자'란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는 자와 이미 창작된 콘텐츠를 번역하는 자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 제작 및 유통을 위한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 제작을 위한 플랫폼은 출판물 제작을 운영하는 운영 시스템(10)과, 상기 운영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출판물 제작이 이루어지는 제작 시스템(20)과, 제작된 출판물을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30)과, 인쇄된 출판물을 독자에게 공급하는 판매 시스템(40)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출판물 제작 및 유통 플랫폼을 구성하는 상기 시스템들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여기서 운영 시스템(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판물이 제작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며, 출판물의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감수, 등록, 인쇄, 판매 및 수익배분 등의 모든 과정에 관여한다.
상기 제작 시스템(20)은 다수의 기획자,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들을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하고, 이들의 협업으로 특정 콘텐츠의 출판물이 제작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제작 시스템(20)에서 제작되는 콘텐츠는 IT, 경제·경영, 창업, 마케팅, 각종 교재와 같은 전문 서적이나 소설, 웹툰과 같은 일반 출판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시스템(30)은 제작 시스템(20)을 통하여 제작된 특정 콘텐츠의 출판물을 인쇄하는 구성으로, 온라인 공급을 위한 전자책이나 오프라인 공급을 위한 종이책과 같은 출판물로 인쇄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시스템(40)은 전자책 또는 인쇄된 종이책 형태의 출판물을 독자에게 공급하는 구성으로, 특히, 한 권의 완성된 출판물을 판매함과 동시에 부분별(예컨데, 챕터 단위) 판매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분별 판매는 출판업자 입장에서는 출판 과정에서 챕터 단위로 완성된 콘텐츠를 우선 제작 및 판매할 수 있어 콘텐츠 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콘텐츠의 특성이 급변하는 경향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독자)의 입장에서는 원하는 콘텐츠가 수록된 챕터를 선별적으로 구매할 수 있어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제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에 대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및 교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 제작 시스템은 출판물 제작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는 운영 시스템(100)과 실제 출판물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제작 시스템(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시스템(100)은 출판물 제작의 관리자(예컨데, 출판업자)에 의하여 각 서버를 통하여 출판 운영이 이루어지며, 제작 시스템(200)은 각 분야별 관련자들에 의하여 해당 관련자들의 단말기를 통하여 실제 제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획자,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들이 각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기획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출판물 제작을 제안하면, 해당 콘텐츠의 특성과 기획 의도에 부합하는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작업에 관심을 갖는 관련자들이 참여하여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영 시스템(100)은 출판 콘텐츠 기획을 운영하는 기획 서버(110), 출판물 집필을 운영하는 집필 서버(120), 출판물 편집을 운영하는 편집 서버(130), 출판물 디자인을 운영하는 디자인 서버(140), 출판물 교정을 운영하는 교정 서버(150)를 포함하고, 각 서버를 연동시켜 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영 서버(160)를 구비한다.
또한, 제작 시스템(200)은 출판 콘텐츠 기획이 이루어지는 기획부(210), 출판물 집필이 이루어지는 집필부(220), 출판물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부(230), 출판물 디자인이 이루어지는 디자인부(240), 출판물 교정이 이루어지는 교정부(250)를 포함한다. 제작 시스템(200)의 기획부(210), 집필부(220), 편집부(230), 디자인부(240), 교정부(250)들은 운영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하고, 각 분야의 관련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출판 콘텐츠에 대한 기획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획 서버(110)와 기획부(210)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기획 서버(110)는 기획 모듈(111)을 구비하고, 기획부(210)는 복수의 기획 단말기(211)로 구성된다.
상기 기획 모듈(111)은 기획 단말기(211)로부터 특정 콘텐츠를 제공받아 운영 서버(160)에 전달하고, 운영 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등의 결과물(즉, 원고)을 제공받아 기획 단말기(211)에 전달한다. 또한, 기획 모듈(111)은 기획자가 기획 단말기(211)에서 콘텐츠 기획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기획툴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기획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함)로서 기획툴 DB(113)를 구비한다. 또한, 기획 서버(110)는 콘텐츠 기획에 관심을 갖는 복수의 기획자들을 관리하므로, 기획 모듈(111)은 각 기획자들이 소지하는 복수의 기획 단말기(211)와 연결되고, 각 기획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기획자 DB(112)를 구비한다. 특정 콘텐츠에 대한 출판물을 기획하는 기획자는 해당 콘텐츠 출판물에 대한 제작 의도를 기획 단말기(211)를 통하여 운영 서버(160)에 제공한다.
출판물 집필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필 서버(120)와 집필부(220)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집필 서버(120)는 집필 모듈(121)을 구비하고, 집필부(220)는 복수의 집필 단말기(221)로 구성된다.
집필 모듈(121)은 집필 단말기(221)로부터 기획에 따라 집필된 출판물을 제공받아 운영 서버(160)에 전달하고, 운영 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기획 콘텐츠와, 편집, 디자인, 교정 등의 결과물을 제공받아 집필 단말기(221)에 전달한다. 또한, 집필 모듈(121)은 집필 단말기(221)에서 콘텐츠에 대한 집필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집필툴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집필툴 DB(123)를 구비한다. 또한, 집필 서버(120)는 출판물 집필에 관심을 갖는 복수의 저자들을 관리하므로, 집필 모듈(121)에는 각 저자가 소지하는 복수의 집필 단말기(221)와 연결되고, 집필 모듈(121)은 각 저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자 DB(122)를 구비한다. 저자는 본인의 단말기를 통하여 운영 서버(160)에 접속하여 출판물 제작을 위한 기획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획이 본인의 집필 의도에 부합하는 경우 집필 의사를 밝혀 출판물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출판물의 집필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누구라도 제안된 콘텐츠에 대하여 일정량의 원고(예컨데, 1~2차시 분량의 원고)를 집필하여 집필 단말기(221)를 통해 운영 서버(160)에 업로드 하게 되고,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 한 기획자는 기획 단말기(211)를 통하여 업로드 된 다수의 집필 원고 중 선별하여 해당 저자를 출판물 제작의 팀원으로 참여시킨다. 또한, 저자는 본인이 직접 특정 콘텐츠 출판을 위한 기획 의도를 제시할 수도 있다.
출판물 편집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서버(130)와 편집부(230)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편집 서버(130)는 편집 모듈(131)을 구비하고, 편집부(230)는 복수의 편집 단말기(231)로 구성된다.
편집 모듈(131)은 편집 단말기(231)로부터 편집된 출판물을 제공받아 운영 서버(160)에 전달하고, 운영 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기획 콘텐츠, 집필, 디자인, 교정 등의 결과물을 제공받아 편집 단말기(231)에 전달한다. 또한, 편집 모듈(131)은 편집자가 편집 단말기(231)에서 집필 결과물에 대한 편집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편집툴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편집툴 DB(133)를 구비한다. 또한, 편집 서버(130)는 출판물 편집에 관심을 갖는 복수의 편집자들을 관리하므로, 편집 모듈(131)은 각 편집자가 소지하는 복수의 편집 단말기(231)와 연결되고, 각 편집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편집자 DB(132)를 구비한다. 편집자는 본인의 단말기를 통하여 운영 서버(160)에 접속하여 출판물 제작을 위한 기획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획이 본인의 편집 의도에 부합하는 경우 편집 의사를 밝혀 출판물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출판물의 편집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누구라도 운영 서버(160)에서 선별된 집필 원고에 대하여 일정량의 원고를 편집하여 편집 단말기(231)를 통해 운영 서버(160)에 업로드 하게 되고,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 한 기획자는 기획 단말기(211)를 통하여 업로드 된 다수의 편집 원고 중 선별하여 해당 편집자를 출판물 제작의 팀원으로 참여시킨다.
출판물 디자인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서버(140)와 디자인부(240)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디자인 서버(140)는 디자인 모듈(141)을 구비하고, 디자인부(240)는 복수의 디자인 단말기(241)로 구성된다.
디자인 모듈(141)은 디자인 단말기(241)로부터 디자인된 출판물을 제공받아 운영 서버(160)에 전달하고, 운영 서버(160)로부터 기획 콘텐츠, 집필, 편집, 교정 등의 결과물을 제공받아 디자인 단말기(241)에 전달한다. 또한, 디자인 모듈(141)은 디자이너가 디자인 단말기(241)에서 편집된 출판물에 대한 디자인 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툴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디자인툴 DB(143)를 구비한다. 또한, 디자인 서버(140)는 출판물의 디자인에 관심을 갖는 복수의 디자이너들을 관리하므로 디자인 모듈(141)은 각 디자이너가 소지하는 복수의 디자인 단말기(241)와 연결되고, 각 디자이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디자이너 DB(142)를 구비한다. 디자이너는 본인의 단말기를 통하여 운영 서버(160)에 접속하여 출판물 제작을 위한 기획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출판 기획이 본인의 디자인 의도에 부합하는 경우 디자인 참여 의사를 밝혀 출판물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출판물의 디자인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누구라도 운영 서버(160)에서 선별된 편집 원고에 대하여 일정량의 원고를 디자인하여 디자인 단말기(241)를 통해 운영 서버(160)에 업로드 하게 되고,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 한 기획자는 기획 단말기(211)를 통하여 업로드 된 다수의 디자인 원고 중 선별하여 해당 디자이너를 출판물 제작의 팀원으로 참여시킨다.
출판물 교정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서버(150)와 교정부(250)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교정 서버(150)는 교정 모듈(151)을 구비하고, 교정부(250)는 복수의 교정 단말기(25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원고에 대한 교정 작업은 감수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교정 모듈(151)은 교정 단말기(251)로부터 교정된 출판물을 제공받아 운영 서버(160)에 전달하고, 운영 서버(160)로부터 기획 콘텐츠, 집필, 편집, 디자인 등의 결과물을 제공받아 교정 단말기(251)에 전달한다. 또한, 교정 모듈(151)은 교정자가 교정 단말기(251)에서 디자인된 출판물에 대한 교정 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교정툴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교정툴 DB(153)를 구비한다. 또한, 교정 서버(150)는 출판물의 교정에 관심을 갖는 복수의 교정자들을 관리하므로 교정 모듈(151)은 각 교정자가 소지하는 복수의 교정 단말기(251)와 연결되고, 각 교정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교정자 DB(152)를 구비한다. 교정자는 본인의 단말기를 통하여 운영 서버(160)에 접속하여 출판물 제작을 위한 기획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출판 기획이 본인의 교정 의도에 부합하는 경우 교정 참여 의사를 밝혀 출판물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출판물의 교정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누구라도 운영 서버(160)에서 선별된 디자인 원고에 대하여 일정량의 원고를 교정하여 교정 단말기(251)를 통해 운영 서버(160)에 업로드 하게 되고, 해당 콘텐츠를 업로드 한 기획자는 기획 단말기(211)를 통하여 업로드 된 다수의 교정 원고 중 선별하여 해당 교정자를 출판물 제작의 팀원으로 참여시킨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운영 서버(160)는 제작된 출판물을 인쇄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인쇄 서버, 인쇄된 출판물을 등록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등록 서버 및 인쇄된 출판물의 판매 과정을 제어하는 판매 서버와도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출판물 제작 시스템은 출판물 제작을 위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및 교정 분야에서 다수의 관련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어느 기획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출판물 제작을 계획 및 제안하면, 다른 분야에서의 각 관련자들이 해당 콘텐츠를 확인하여 본인의 의도와 부합하는 경우 참여 의사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특정 출판물을 제작을 위한 각 분야 관련자들의 쉽고 빠른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판물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판물 제작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제작 과정은 먼저, 기획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출판물 제작을 기획하면 기획 서버(110)는 출판물 제작 기획 사실을 운영 서버(160)에 전송한다(S11). 그리고 운영 서버(160)는 기획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사실을 집필 서버(120), 편집 서버(130), 디자인 서버(140) 및 교정 서버(150)에 전송하여, 각 분야의 관련자들에게 출판물 기획 사실을 알리게 된다(S12). 이때, 기획자가 기획안 등록시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에 대한 팀원의 자격(일 예로, 최소 경력 사항)을 설정하였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분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전달된다. 이때, 각 분야의 관련자들은 개인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기획안과 각 단계에 따른 결과물을 검토 후 본인의 의도와 부합할 때, 출판물 제작에 대한 분야별 소정 분량의 원고(예컨데, 1~2차시 분량)를 운영 서버(160)에 전송한다. 그리고 운영 서버(160)에서는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과 같은 순서로 해당 분야의 관련자들이 참여하는 순서에 따라 참여 희망 사실을 기획 서버(110)를 통하여 기획 제안자에게 제공하여, 각 분야에서 해당 업무를 담당할 팀원을 선별하도록 하고, 선발된 팀원들이 협업하여 출판물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출판물 제작에 참여하고자 하는 저자는 기획안에 따라 콘텐츠 내용을 집필하고, 집필된 결과물의 원고를 운영 서버(160)에 전송한다(S13). 운영 서버(160)는 집필 서버(120)로부터 집필 원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이를 기획 서버(110)를 통하여 기획 제안자에게 알려 특정 집필 원고와 해당 저자를 선택하여 출판물 제작에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획 서버(110)와 해당 집필 서버(120) 사이에는 추가적인 기획안과 집필 원고가 서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버(160)는 집필 원고에 대한 편집을 위하여, 집필된 원고를 편집 서버(130)로 전송하여 편집자에 의한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4). 출판물 제작에 참여하고자 하는 편집자는 기획안에 따라 집필 원고를 편집하고, 편집된 결과물의 원고를 운영 서버(160)에 전송한다(S15). 운영 서버(160)는 편집 서버(130)로부터 편집 원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이를 기획 서버(110)를 통하여 기획 제안자에게 알려 특정 편집 원고와 해당 편집자를 선택하여 출판물 제작에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획 서버(110)와 해당 편집 서버(130) 사이에는 추가적인 기획안과 편집 원고가 서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기획안과 편집 원고도 집필 분야의 참여자도 알 수 있도록 집필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160)는 편집 원고에 대한 표지 등의 디자인을 위하여 편집된 원고를 디자인 서버(140)로 전송하여 디자이너에 의한 디자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6). 출판물 제작에 참여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는 기획안에 따라 편집 원고를 디자인하고, 디자인된 결과물의 원고를 운영 서버(160)에 전송한다(S17). 운영 서버(160)는 디자인 서버(140)로부터 디자인 원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이를 기획 서버(110)를 통하여 기획 제안자에게 알려 특정 디자인 원고와 해당 디자이너를 선택하여 출판물 제작에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획 서버(110)와 해당 디자인 서버(140) 사이에는 추가적인 기획안과 디자인 원고가 서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기획안과 디자인 원고도 집필, 편집 분야의 참여자가 알 수 있도록 집필 서버(120), 편집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160)는 디자인 원고에 대한 교정을 위하여 디자인된 원고를 교정 서버(150)로 전송하여 교정자에 의한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8). 출판물 제작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정자는 기획안에 따라 디자인 원고를 교정하고, 교정된 결과물의 원고를 운영 서버(160)에 전송한다(S19). 운영 서버(160)는 교정 서버(150)로부터 교정 원고가 업로드 되는 경우 이를 기획 서버(110)를 통하여 기획 제안자에게 알려 특정 교정 원고와 해당 교정자를 선택하여 출판물 제작에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획 서버(110)와 해당 교정 서버(150) 사이에는 추가적인 기획안과 교정 원고가 서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기획안과 교정 원고도 집필, 편집, 디자인 분야의 참여자가 알 수 있도록 집필 서버(120), 편집 서버(130), 디자인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관련 분야의 서버와 참여자 사이에는 참여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각결과물이 서로 전송되며, 각 분야의 서버에 전 단계의 결과물을 전송하는 과정(S12,S14,S15,S18)에서 해당 분야의 서버뿐만 아니라 출판물 제작과 유통의 팀원으로 참여하는 다른 분야의 참여자도 제작 과정의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분야의 서버에 전송된다.
그리고 운영 서버(160)는 최종적으로 교정이 완료된 원고를 최종 감수하여 통과된 콘텐츠를 인쇄 서버에 제공하여 전자책 또는 종이책 등의 출판물로 출판될 수 있도록 하고, 등록 서버에 제공하여 출판물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특정 출판물에 대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교정, 인쇄 및 등록은 각 챕터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운영 시스템
110 : 기획 서버 120 : 집필 서버
130 : 편집 서버 140 : 디자인 서버
150 : 교정 서버
200 : 제작 시스템
210 : 기획부 220 : 집필부
230 : 편집부 240 : 디자인부
250 : 교정부

Claims (3)

  1. 다수의 기획자 정보가 저장된 기획자 DB를 가지며 각 기획자가 접속하여 기획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획 단말기가 연결된 기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획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기획 콘텐츠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기획 서버;
    다수의 저자 정보가 저장된 저자 DB를 가지며 각 저자가 접속하여 집필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집필 단말기가 연결된 집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집필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집필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집필 서버;
    다수의 편집자 정보가 저장된 편집자 DB를 가지며 각 편집자가 접속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편집 단말기가 연결된 편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편집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편집 서버;
    다수의 디자이너 정보가 저장된 디자이너 DB를 가지며 각 디자이너가 접속하여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디자인 단말기가 연결된 디자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디자인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디자인 서버;
    다수의 교정자 정보가 저장된 교정자 DB를 가지며 각 교정자가 접속하여 교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교정 단말기가 연결된 교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교정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교정된 출판물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교정 서버; 및
    상기 기획 서버를 통하여 출판물 제작에 대한 기획안이 접수될 때 기획안의 등록 사실을 상기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저자, 편집자, 디자이너, 교정자에게 알리고, 출판물 제작에 대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상기 기획 서버,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기획 콘텐츠, 집필된 출판물, 편집된 출판물, 디자인된 출판물, 교정된 출판물을 다음 과정의 서버로 전송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판물의 제작과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출판물에 대하여 챕터 단위로 기획, 집필, 편집, 디자인 및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기획 서버, 집필 서버, 편집 서버, 디자인 서버 및 교정 서버의 운영을 제어하고, 판매된 콘텐츠의 수익을 배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판물의 제작과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 모듈, 집필 모듈, 편집 모듈, 디자인 모듈 및 교정 모듈은,
    각각 기획툴 DB, 집필툴 DB, 편집툴 DB, 디자인툴 DB 및 교정툴 DB를 더 구비하여 기획 단말기, 집필 단말기, 편집 단말기, 디자인 단말기 및 교정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판물의 제작과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KR1020170000716A 2017-01-03 2017-01-03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KR2018007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16A KR20180079942A (ko) 2017-01-03 2017-01-03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16A KR20180079942A (ko) 2017-01-03 2017-01-03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42A true KR20180079942A (ko) 2018-07-11

Family

ID=6291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16A KR20180079942A (ko) 2017-01-03 2017-01-03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94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62A (ko) * 2000-11-27 2001-02-05 장영수 인터넷을 이용한 출판대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4848A (ko) * 2005-05-26 2006-12-06 주식회사 와이비엠시사닷컴 다른 기종 컴퓨터 간의 편집 교정 원고 공유 시스템
KR20090003460A (ko) * 2007-06-12 2009-01-12 복성배 네트워크 기반의 출판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85858A (ko) * 2014-01-16 2015-07-27 (주)아이이펍 전자책 제작, 유통 지원 웹 시스템
KR20160093216A (ko) * 2015-01-29 2016-08-08 이준영 온라인을 이용한 번역 및 출판에 따른 수익 배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62A (ko) * 2000-11-27 2001-02-05 장영수 인터넷을 이용한 출판대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4848A (ko) * 2005-05-26 2006-12-06 주식회사 와이비엠시사닷컴 다른 기종 컴퓨터 간의 편집 교정 원고 공유 시스템
KR20090003460A (ko) * 2007-06-12 2009-01-12 복성배 네트워크 기반의 출판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85858A (ko) * 2014-01-16 2015-07-27 (주)아이이펍 전자책 제작, 유통 지원 웹 시스템
KR20160093216A (ko) * 2015-01-29 2016-08-08 이준영 온라인을 이용한 번역 및 출판에 따른 수익 배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ederkofler The evolution of strategic alliances: Opportunities for managerial influence
Thite et al. Global HR rol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development: Evidence from emerging Indian IT services multinationals
Jagoda et al. Key issues in managing technology transfer projects: Experiences from a Canadian SME
Baham Improving business product owner commitment in student scrum projects
Fitch et al. The evolution of the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the first 100 years
Alves et al. On the pragmatics of requirements engineering practices in a startup ecosystem
Sadik et al. Corporate recruitment practices and the hierarchy of graduate employability in India
Sabini et al. Professional regulatory entanglement: the curious case of project management in Italy
KR20180079942A (ko) 출판 관련자 자동 매칭을 통한 출판물의 제작 및 유통을 위한 온라인 상의 플랫폼 시스템
WO2018234787A1 (en) COLLABORATION AND PUBLICATION SYSTEM
Keller et al. Digital information product development: lessons from a small-sized German enterprise
Chipambwa et al. Creative design softwar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the graphic designer in Zimbabwe
Lettice et al. Team performance management: a review and look forward
Brownlee et al. Disseminating research and# VisualAbstracts
Pisano et al. The changing role of the designer in new business models based around 3D printing technologies
Gough et al. Love it, hate it, tolerate it: Translators’ experiences with concurrent translation on collaborative platforms
KR20170111533A (ko) 교과서 및 교재 공동집필 및 제공가능한 집필시스템
McDermott A mixed methods study: Evaluating the relationship of project manager competencies and it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ies
KR20160133930A (ko) 창작 콜라보레이션 플랫폼 구축 방법, 운영 방법 및 시스템
Vecchi Global Work Arrangements in the Virtual Enterprise–Some Lessons from Automattic
Chen et al. Optimization of 3D printing supply chain in the era of live streaming e-commerce
Yang et al. On Whose Shoulders?
Valle et al. International modularity and offshoring in Spanish industry
Kurniawan et al. Proposed Production Process Standardization at Function ART Indonesia to Reduce Waste of Production
Sohl Crafting the next generation of angels: a promising model in experiential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