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13A -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 Google Patents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13A
KR20180079913A KR1020170000650A KR20170000650A KR20180079913A KR 20180079913 A KR20180079913 A KR 20180079913A KR 1020170000650 A KR1020170000650 A KR 1020170000650A KR 20170000650 A KR20170000650 A KR 20170000650A KR 20180079913 A KR20180079913 A KR 2018007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gravity
sanitary
sphe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김현석
Original Assignee
김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석 filed Critical 김현석
Priority to KR102017000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913A/ko
Publication of KR2018007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6/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losure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7B1/00 - B67B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각종 용기들중에서 액체, 기체 및 분말형태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병(bottle)에 있어서 사용 음용등을 하고 잔여물이 있는 상태에서 보관 및 다음사용을 준비할 때, 사용하는 행위때마다 그때 그때 별도의 노력을 통해 인위적으로 병의 마개(뚜껑)을 닫아야 하는 불편과 단점을 해소하고 내용물의 향, 성분의 휘발 이탈 및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공기 미세먼지 유해세균 및 이물질등의 유입을 즉시 차단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병의 입구에 모래시계 형태의 원추형상의 통로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단의 원추형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좁아지게 형성되고 하부의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넓어지면서 사용을 위해 기울일 때 입구쪽이 넓게 되어 원활하게 따라지도록 형성시키고 상단의 통로위에 둥그런 구슬형태의 구체를 설치하여 통로를 따라 구체가 중력의 힘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좁아지는 통로를 자동으로 막을수 있도록 구성된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Sanitary bottle cap with automatic sealing function using gravity}
본 발명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각종 용기들 중 액체나 기체 및 분말형태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병(bottle)에 있어서 사용 음용등을 하고나서 잔여물이 있는 상태에서 보관 및 다음사용을 준비할 때, 사용하는 행위때마다 그때 그때 별도의 노력을 통해 인위적으로 병의 마개(뚜껑)을 닫아야 하는 불편과 단점을 해소하고 내용물의 향, 성분의 휘발 이탈 및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공기 미세먼지 유해세균 및 이물질등의 유입을 즉시 차단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병의 입구에 모래시계 형태의 원추형상의 통로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단의 원추형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좁아지게 형성되고, 하단의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넓어지면서 사용을 위해 기울일 때 입구쪽이 넓게 되어 원활하게 따라지도록 형성시키고 상단의 하부쪽으로 좁아지는 통로위에 둥그런 구슬형태의 구체를 설치하여 통로를 따라 구체가 중력의 힘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좁아지는 통로를 자동으로 막을수 있도록 구성된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 기능의 위생용 병마개에 관한 기술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자동 밀봉이 되게하기 위해 둥그런 구체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게 형성된 원추형 통로를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미끄러져 낙하하면서 그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밀봉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장치로써 중력과 구체를 활용하는 기술분야 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적인 용기들, 특히 병뚜껑의 경우 술, 물, 음료, 식용유등등 내용물을 사용후 보관시 내용물의 향, 성분등의 휘발 발산 누출등이 일어나고 또한 공기 먼지 유해세균 이물질등의 유입이 일어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별도의 과정을 거쳐 용기의 마개를 일부러 닫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는 바, 이를 별도의 조작없이 구슬형태의 구체로 된 슬라이딩 구체형 마개에 의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용기의 통로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밀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위생성을 도모할 필요에 의해 본 고안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래시계 형태의 마주보고 있는 원추형 통로를 형성하는데 이 원추형 통로는 상단의 원추형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점점 좁아지게 구성되고 이에 맞닿은 하단의 원추형 통로는 상단의 통로와는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용기내의 내용물을 따르기 위해 기울이면 넓은 하부쪽이 배출시 입구 역할을 하므로써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단의 원추형 통로에는 구슬형태의 둥그런 구체가 장착되어 내용물을 따르고 보관시 용기를 세우게 되면 중력에 의해 구체가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점점 하부로 좁아지는 통로를 자동으로 막을수 있게 형성되며, 사용 음용을 위해 병을 기울이면 구체는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자동으로 아랫부분으로 내려오게 되어 도3의 구체처럼 슬라이딩 되면서 통로를 열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구체가 밀봉하고 여닫는 상단의 원추형 통로의 상부 내측면 상단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톱니형 돌기를 형성시켜 인위적으로 골짜기 형태를 만들어서 사용을 위해 기울이고 따를 때 구체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내용물의 원활한 유동을 도와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개의 최상부 테두리 부분은 내용물을 기울일 때 중력마개 역할의 구체가 빠져나와 이탈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이탈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구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위생마개가 병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턱을 구성하였다.
또한 위생용 마개는 원형, 다각형등 용기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구슬형태의 구체형 뿐만 아니라 삼각뿔형태, 마름모꼴형태등 용기의 형태와 배출통로에 맞게 밀봉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적인 용기들, 특히 병뚜껑의 경우 술, 물, 음료, 식용유등등 내용물을 사용후 보관시 내용물의 향, 성분등의 휘발 발산 누출등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공기 먼지 유해세균 이물질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별도의 과정을 거쳐 용기의 마개를 일부러 닫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는 바, 이를 별도의 조작없이 구슬형태의 구체로 된 슬라이딩 구체형 마개에 의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용기의 통로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밀봉할 수 있어 즉시 밀봉, 즉시 개봉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위생성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용기 특히 병마개에 적용할 경우 공기유입 차단으로 산폐의 방지, 공기누출 차단으로 향기 성분등의 휘발 발산 방지, 미세먼지 유입차단으로 내용물 오염방지, 세균등의 유입 방지로 효모등의 이상발효 방지와 무균상태 유지 등 위생성 향상, 이물질 유입 방지로 안전성 향상등의 효과를 거둘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병의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중력을 활용한 구체형 중력 마개가 적용된 병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해 기울일때의 구체형 중력마개의 위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력을 활용한 구체형 중력 마개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활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 병마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 일반적인 병(11)의 내용물 통로는 아무런 별도의 장치없이 일반적 원통형(12) 으로 구성되어 사용후 별도의 마개(뚜껑)를 통해 닫아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2 에서 보여지듯이 일반적인 병의 통로(12)에 착탈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본 발명품 마개를 장착하는 것으로, 마치 모래시계형태의 마주보고 있는 원추형 통로(22)를 형성하는데 이 원추형 통로(22)는 상단의 원추형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점점 좁아지게 구성되고 이에 맞닿은 하단의 원추형 통로(23) 는 상단의 통로와는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용기내의 내용물을 따르기 위해 기울이면 하부쪽이 배출시 입구 역할을 하므로써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단의 원추형 통로에는 구슬형태의 둥그런 구체(21)가 장착되어 내용물을 따르고 보관시 용기를 세우게 되면 중력에 의해 구체(21)가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점점 하부로 좁아지는 통로를 자동으로 막을수 있게 형성되며, 사용 음용을 위해 병을 기울이면 구체(21)는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자동으로 아랫부분으로 내려오게 되어 도3의 구체(21)처럼 슬라이딩 되면서 통로를 열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구체(21)가 밀봉하고 여닫는 상단의 원추형 통로의 상부 내측면 상단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톱니형 돌기(24)를 형성시켜 인위적으로 골짜기 형태를 만들어서 사용을 위해 기울이고 따를 때 구체(21)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내용물의 원활한 유동을 도와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개의 최상부 테두리 부분은 내용물을 기울일 때 중력마개 역할의 구체(21)가 빠져나와 이탈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이탈 방지용 돌기(26)가 형성되어 구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위생마개가 병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턱(25)을 구성하였다. 또한 위생용 마개는 원형, 다각형등 용기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구슬형태의 구체형 뿐만 아니라 삼각뿔형태, 마름모꼴형태등 용기의 형태와 배출통로에 맞게 밀봉시키는 구조로 형성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본 중력마개의 재질로는 PVC, 연질 PVC, P.E, 실리콘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가볍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슬형태의 구체는 약간의 무게감을 주어 밀봉기능을 더 향상시킬수 있으며 PVC는 물론 스테인레스 금속등도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는 물론 기체 분말등 모든 내용물의 용기에 적용되며 특히 병(Bottle)에 적용되어 사용을 위해 기울인 상태에서 내용물의 분출이 자유롭지만 사용이 끝나면 용기를 자리에 세워놓은 순간 자동으로 즉시 밀봉되어 내용물의 변질과 이물질 유입 향이나 성분의 누출등을 즉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오 본 중력을 활용한 자동밀본 기능의 위생 마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용기에 적용되고 특히 병에 담기는 내용물의 보호에 적합하다.
현대사회에서 수요가 많은 술병(양주, 와인, 포도주, 맥주, 소주, 막걸리등)과 모든 물병,음료수병, 그리고 가정과 사업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름병(식용유, 참기름, 들기름, 향신료등)에 활용 할 수 있어 편리함과 함께 위생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
11. 일반적인 병의 모습
12. 일반적인 병의 통로
21. 구슬형태의 위생마개 구체
22. 모래시계형태의 원추형 통로
23. 하단 원추형 통로 (상부에서 하부로 점점 넓어짐)
24. 상단 원추형 통로의 상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톱니형 골짜기
25. 위생용 마개의 병속으로 침몰 방지 턱
26. 위생마개 구체 의 이탈 방지용 돌기

Claims (3)

  1. 중력을 활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 마개에 있어서
    모래시계 형태의 원추형상의 통로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단의 원추형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좁아지게 형성되고, 하단의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넓어지면서 사용을 위해 기울일 때 입구쪽이 넓게 되어 원활하게 따라지도록 형성시키고, 상단의 하부쪽으로 좁아지는 통로위에 둥그런 구슬형태의 구체를 설치하여 통로를 따라 구체가 미끄러지면서 좁아지는 통로를 중력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막을수 있도록 구성된 중력을 활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을 활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 마개는 내측면 상부에 톱니형태의 세로방향 골짜기가 형성되어 기울일 때 내용물의 배출이 위생마개 구체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위생용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을 활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 마개는 용기의 형태가 원형, 다각형등 다양한 형태에 대해 구슬형태의 구체형 뿐만 아니라 삼각뿔형태, 마름모꼴형태 등 용기의 형태와 배출통로에 맞게 밀봉시키는 구조로 형성된 위생용 마개:의 구성에 관한 발명이다.
KR1020170000650A 2017-01-03 2017-01-03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KR20180079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650A KR20180079913A (ko) 2017-01-03 2017-01-03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650A KR20180079913A (ko) 2017-01-03 2017-01-03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13A true KR20180079913A (ko) 2018-07-11

Family

ID=6291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650A KR20180079913A (ko) 2017-01-03 2017-01-03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9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935A (zh) * 2018-12-29 2019-04-12 苏州东杏表面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对水分敏感的液体保存的防潮瓶
KR20220105034A (ko) 2021-01-19 2022-07-26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홀더형 알약 디스펜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88Y1 (ko) * 2010-02-24 2010-07-13 양규철 가스누출 방지병
KR101104934B1 (ko)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벨로우즈 타입 용기
KR20150103425A (ko) * 2014-03-03 2015-09-11 이성종 자동 개폐가 가능한 식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88Y1 (ko) * 2010-02-24 2010-07-13 양규철 가스누출 방지병
KR101104934B1 (ko)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벨로우즈 타입 용기
KR20150103425A (ko) * 2014-03-03 2015-09-11 이성종 자동 개폐가 가능한 식품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935A (zh) * 2018-12-29 2019-04-12 苏州东杏表面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对水分敏感的液体保存的防潮瓶
CN109606935B (zh) * 2018-12-29 2024-04-19 苏州东杏表面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对水分敏感的液体保存的防潮瓶
KR20220105034A (ko) 2021-01-19 2022-07-26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홀더형 알약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81560B2 (en) Closure device for a fluid vessel
US6571981B2 (en) Disposable sipper cups
US20080041809A1 (en) Closure device for drinking vessel
ZA200900767B (en) Bottle for containing fluids,particularly for pharmaceutical products or the like
US7677402B2 (en) Closing device with integrated rotary closure for feeding bottle and bottle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ES2406084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un recipiente
GB2508862A (en) Piston incorporating valve controlling flow of fluid from storage cylinder
AU2002353588B2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KR20180079913A (ko) 중력을 이용한 자동 밀봉기능의 위생용 마개
US2971664A (en) Draw-through stopper for vacuum bottles or the like
US2141870A (en) Combined bottle stopper and liquid measuring device
WO2017014638A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US2378355A (en) Glass receptacle
TWI680083B (zh) 無菌飲料容器瓶蓋
US1031950A (en) Sanitary vacuum beer-mug.
US2317626A (en) Seal for bottles
WO2019118546A1 (en) Decanter
AU2005293329B2 (en) Improvements in drip free valves
EP3289930A1 (en) A combination glass and bottle package
AU2017371544A1 (en) Receptacle closure
US20090026231A1 (en) Valves for drinking cups
AU2016101668A4 (en) Fluid dispensing device
US740995A (en) Non-refillable bottle.
US780980A (en) Non-refillable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