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765A -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 Google Patents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765A
KR20180079765A KR1020170000349A KR20170000349A KR20180079765A KR 20180079765 A KR20180079765 A KR 20180079765A KR 1020170000349 A KR1020170000349 A KR 1020170000349A KR 20170000349 A KR20170000349 A KR 20170000349A KR 20180079765 A KR20180079765 A KR 2018007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nvironmental
building material
unit
building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1143B1 (en
Inventor
태성호
노승준
김낙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4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evice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which automatically selects a main construction material which is input in a system of quantitatively assessing and estimating life cycle sustainability of a building as a variable and assesses a rate in which a selected building material influences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a scenario.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for the same is recorded. The automatic device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pplied to the system assessing the life cycle sustainability of the building using an input amount of the main construction material includes: an input unit receiving a code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materials about an amount and a kind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a database unit storing a unit weight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materials by a code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materials; a calculation unit receiving the code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and deducting whole weight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materials by calculating the whole weight by the each construction material based on the code of the each construction material and the unit weigh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ing the main construction material in order in which a ratio of the whole weight by the each construction material is high about a sum of the whole weight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materials deducted by the calculation unit.

Description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on apparatus,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method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 및 예측하는 시스템에 변수로 입력되는 주요 건축 자재를 자동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건축 자재가 시나리오에 따라 환경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평가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and predic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which evaluates the degree to which a selected building material affects an environment according to a scenario.

건축물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지구에 영향을 주게 된다. 건축물을 시공함에 따라 천연 자원의 고갈, 생태계 파괴, 대기 및 수질의 오염, 쓰레기 발생 등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건축물의 많은 설계 요소는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려는 경우에도, 설계자가 일반적인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바르게 이해하고 이에 따라 설계를 진행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The architecture affects the earth in many ways. As buildings are built,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destruction of ecosystem, pollution of air and water quality, generation of garbage. In addition, many design elements of a building affect the environment. However, even if the design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it is a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esigner to understan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 environment and to carry out the design accordingly.

환경 영향에 기초한 건축 자재의 선정은 전과정 평가(Life-Cycle Assessment, LCA)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전과정이라 함은, 자재 채취 과정, 자재 공급 과정, 자재 수송 과정, 건축 과정, 사용 과정, 폐기 과정 등 모든 과정을 의미하며, 전과정 평가라 함은, 앞서 언급한 과정에 걸친 물질 수지(투입 물질, 에너지, 배출 물질)를 정량화하고 환경에 미치는 전체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selection of building materials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s can be done by analyzing through Life-Cycle Assessment (LCA). In this case, the term "all processes" means all processes including material collection process, material supply process, material transportation process, construction process, use process, and disposal process, and the term "life cycle evaluation" Substances, energy, and emissions) and to assess the overall impact on the environment.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에 대한 전과정 평가 방법에서는, 건축 자재의 생산 과정에서 야기되는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투입되는 건축 자재의 종류와 수량을 모두 직접 수작업으로 입력하였으며, 건축물 전과정 평가에서 평가대상으로 선별되어야 하는 주요 건축 자재 선정도 수작업에 의해 선정한다. 또한, 건축물의 전과정 내재 환경영향 평가를 위해서 선정된 주요 건축 자재 또는 전체 건축 자재의 운송, 시공, 유지관리, 폐기정보를 확인하여 각각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평가가 진행된다. 즉, 건축물 전과정 평가의 수행에 있어 상술한 수작업에 기인하는 비용이 평가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건축물 전과정 평가의 확산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fe-cycle evaluation method for buildings, in ord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 caused by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 material,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to be inputted into the building are directly inputted by hand, Selection of major building materials to be screened is also selected by hand. In addition, assessment is carried out by manually inputting the selected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or transportatio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dispos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struction materials or all of the building materials for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building.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due to the above-mentioned manual work is a major part of the evaluation cost in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life cycle evaluation of the building, thereby hindering the spread of the evaluation of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building.

이에 따라, 건축 자재별 품목 코드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CO2 배출량 평가와 연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단지 건축 자재별 품목 코드를 통해 건축 자재의 수량 정보를 프로그램 내로 불러오는 제한적인 기술일 뿐, 주요 건축 자재의 자동 선정이 불가능하고, 이후 시나리오 기반의 내재 환경영향 평가를 지원하지 않음에 따라 평가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echnology for linking with the evaluation of CO2 emission of buildings using the item code for each building material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is is only a limited technology for bringing the quantity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into the program through the item code for each building material, It is not possible to automatically select the material, and since it does not support the inherent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based on the scenarios, the evaluation cost can not be effectively reduc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39023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902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건설시장에서 호환되어 사용 가능한 건축자재의 품목 코드 정보를 건축물 전과정 평가 시스템 내에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자동 입력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건축자재의 종류와 수량 정보의 입력을 자동화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system for automatically inputting a product code information of a building material compatible in a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in a building life course evalu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품목 코드별로 건축 자재의 단위 중량, 단위 환경영향계수, 단위 단가 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건축 자재 정보의 자동 입력과 동시에 입력된 건축 자재의 전체 중량, 전체 환경영향, 전체 비용 관점에서 상위 90~99%를 차지하는 주요 건축 자재를 자동으로 선정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a database of the unit weight, the uni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and the unit pric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by the above-described item code,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building material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total weight of the build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on apparatus,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which automatically selects a major building material occupying 90 to 99% from the viewpoint of cost.

한편, 본 발명은 주요 건축 자재의 자동 선정 기술을 통해 자동으로 선정된 주요 건축 자재를 대상으로 사전에 정의된 건축 자재의 운송방법, 건축자재별 시공방법, 건축 자재별 유지관리 방법, 건축 자재별 재활용ㅇ매립ㅇ소각방법 등의 시나리오를 통해 건축자재에 기인한 건축물 전과정 관점의 내재 환경영향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porting a predefined building material, a construction method for each building material, a maintenance method for each building material, a construction method for each building material Recycling, reclamation, landfill, and incineration metho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 building from the viewpoint of building materials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중량을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중량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중량을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자재 선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course using the input amount of the major building material,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ype and the quantity; A database unit for storing unit weights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codes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and calculates a total weigh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weight and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weights;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total weight ratio of each building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unit.

여기서,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중량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중량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material selection unit may select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accumulated weight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weight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 reaches 90 to 99% It can be selected as the main building materi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단가를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단가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비용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비용을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using an input amount of a major building material,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material; 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unit pric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codes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and calculates a total cos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price and a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costs; And a main building material is select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derived from the operation unit.

여기서,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비용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비용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material selection unit may select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cost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cost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reaches 90 to 99% It can be selected as the main building material.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투입량 단위 당 환경영향계수를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투입량을 계산하며,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using an input amount of a major building material,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material; A database unit that stores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s per unit of input amoun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calculating an input amoun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환경 점수를 계산하여 복수개의 환경 점수를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자재 선택부를 포함한다.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environmental scores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to derive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derived from the operation unit.

여기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지구온난화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1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is a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global warming, 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of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reaches 90 to 99% can be selected as the first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또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오존층 감소에 대한 오존층감소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2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is an ozone layer reduction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the reduction of the ozone layer, 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reaches 90 to 99% can be selected as the second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한편,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산성화에 대한 산성화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3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is an acidification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acidificatio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reaching 90 to 99% can be selected as the third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또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부영양화에 대한 부영양화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4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is an eutrophic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eutrophicatio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a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The building materials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reaching 90 to 99% can be selected as the fourth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한편,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자원고갈에 대한 자원고갈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5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is a resource-depleting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depletion of resources.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a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of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s accumulat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reaches 90 to 99% can be selected as the fifth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또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광화학적 산화물 발생에 대한 광화학적산화물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6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is a photochemical oxide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generation of photochemical oxides, 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a cumulative cumulative cumulative cumulativ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percentage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can be selected as the sixth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한편, 상기 자재 선택부는, 상기 제1 집합, 상기 제2 집합, 상기 제3 집합, 상기 제4 집합, 상기 제5 집합 및 상기 제6 집합의 합집합에 포함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may select building materials included in the union of the first set, the second set, the third set, the fourth set, the fifth set, and the sixth set as main building materials have.

또한, 상기 연산부는, 복수개의 주요 건축 자재에 대하여 생산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단계 및 폐기 단계에서 사용되는 투입량 및 에너지원 소비량을 계산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시나리오 기능은 생산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단계 및 폐기 단계 별로 미리 설정된 주요 건축 자재별 개보수율 및 투입되는 기준 건설 장비의 에너지 소비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량 및 소비량을 계산하는 기능일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scenario function for calculating an input amount and an energy source consumption used in a production step, a construction step, an operation step, and a disposal step for a plurality of major building materials, and the scenario function includes a production step, A function of calculating the input amount and the consumption amount by using the maintenance ratio of each major building material preset for each step, the operation step and the discarding step, and the energy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inputted reference construction equipment.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중량을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중량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중량을 도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unit that stores a unit weigh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a type and a quantity of a building material;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weight and a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weights;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total weight ratio of each building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s derived in the second step.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단가를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제4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단가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비용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비용을 도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unit prices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a type and a quantity of a building material;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 total cos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price and a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costs; And a sixth step of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derived in the fifth step.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투입량 단위 당 환경영향계수를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제7 단계;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투입량을 계산하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unit that stores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s per unit of input amoun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a type and a quantity of a building material; The amount of each building material is calculated by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환경 점수를 계산하여 복수개의 환경 점수를 도출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제8 단계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한다.An eighth step of deriv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by calculating an environmental score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steps of: And a ninth step of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derived in the eighth step.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an automated method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전과정 평가에 과도하게 소요되었던 시간, 비용, 노동력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드화된 건축 자재의 정보를 통해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시나리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time, cost, and labor that have been excessively spent in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as well as efficiently manage databases and scenarios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through coded building material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사용되는 피해산정형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on apparatus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mage estimation model used in an automation apparatus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a building's life cou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operational flowcharts showing an autom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Also,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부(100), 입력부(200), 연산부(300) 및 자재 선택부(40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on apparatus for building life course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on apparatus for building life cours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unit 100, an input unit 200,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400).

데이터베이스부(100)는,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중량, 단위 단가 및 투입량 당 단위 환경영향계수를 각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100)는, 환경 영향에 관한 전과정 목록 별 영향 정도를 계수화하여 저장할 수 있고, 건축 자재에 관련된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에너지의 소비량 당 단위 환경영향계수 및 단위 비용을 계수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100 stores the unit weight, the unit price, and the uni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per unit amoun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building material code. At this time, the database unit 100 can store and store the degree of influence of each cycle history list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store the uni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per unit consumption amount of the energy applied to the scenario related to the building material and the unit cost .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전과정을 통하여 건축물에 투입될 건축 자재 및 에너지원 각각에 대하여 제1 환경영향계수(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및 제2 환경영향계수를 저장한다. 환경영향계수는, 각 건축 자재 및 에너지원의 환경 영향을 기능 단위, 예를 들면 원단위로 환산하여 환경 영향을 정량화한 값이다. 즉, 환경영향계수는, 제품별로 구축된 LCI(Life Cycle Inventory) DB(제품 시스템의 기능단위(Functional Unit)에 따라 제품 시스템으로 투입되는 자원의 양(환경에서 채취한 자원, 에너지, 광물 포함)과 환경으로 버려지는 배출물(대기, 수계)과 폐기물의 발생량을 사전에 목록화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경영향 범주에 따른 환경영향을 사전에 정량화한 값을 의미하며, 그 산출 방법은 아래와 같다.For example, the database unit 100 stores a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and a second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each building material and energy source to be input into the building through the entire process.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a valu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ach building material and energy source into a functional unit, for example, a unit level, and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the amount of resources (including resources, energy and minerals collected from the environment) input into the product system according to the LCI (Life Cycle Inventory) DB (productive system functional unit) And the amount of waste discharged into the environment (air, water system) and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advance). The calculation method is as follows.

환경영향은 지구의 환경적인 측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 또는 유익한 전체 또는 부분적인 환경의 변화를 총칭한다. 이러한 환경영향은 전과정 영향평가(LCIA)를 통해 정량화가 가능하며, 그 결과는 지구온난화, 산성화, 부영양화, 오존층 파괴,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등을 포함하는 환경영향 범주(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평가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와 관련된 국제 표준(ISO)과 지침, 녹색건축물 인증제와 건축물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 도구(Tool)에서 적용하고 있는 환경영향 범주를 분석하였고 건축물 관점에서의 다수의 국가에서 중복하여 채택하고 있는 주요 환경영향 범주를 6종을 선정하였다.Environmental impact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hanges in whole or in part the environment that are harmful or beneficial resulting from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Earth. These environmental impacts can be quantified through the LCIA, and the results are expressed in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including global warming,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ozone depletion, and photochemical oxide produc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scope of evaluation of automation devices for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lied in international standards (ISO) and guidelines related to lif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building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building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ol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were analyzed and six major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adopted in multiple countries from the viewpoint of architecture were selected.

건축 자재에 관한 제1 환경영향계수는 사전에 구축된 LCI DB의 전과정 영향평가(LCIA)(분류화, 특성화)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 자재의 LCI DB로써 환경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구축한 국가 LCI DB(Korea LCI DB)와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한 건축 자재 환경성 정보 국가 DB(National D/B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Building Products)를 이용할 수 있으며, ISO 14040에서 제시한 ELCA의 LCI DB 선정 원칙에 따라 지역적 상관성(Regional correlation), 시간적 상관성(Temporal correlation), 기술적 상관성(Technical correlation)의 순서로 LCI DB를 선정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1은 건축 자재의 LCI DB를 이용한 제1 환경영향계수의 산출식을 나타낸다.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factor for building materials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LCIA (LCIA)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e-built LCI DB. For example, the National LCI DB (Korea LCI DB) constr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s the LCI DB of building materials and the National D / B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Building Products (DB) And LCI DB can be selected in order of regional correlation, temporal correlation, and technical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ELCA's LCI DB selection principle presented in ISO 14040. Equation (1) represents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using the LCI DB of the building material.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EIC1i,j는 건축 자재(Building materials) (i)의 기능단위(Functional Unit)에 대한 환경영향 범주(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j)의 제1 환경영향계수를 나타내며, Ei,k는 건축 자재 (i)의 기능단위당 영향물질(Substance) (k)의 배출량, IFj,k는 환경영향 범주 (j)에 대한 영향물질 (k)의 영향지수(Impact factor)를 의미한다.Where EIC1 i, j represents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j) for the functional units of the building materials (i), E i, The emission amount of the substance (k) per functional unit of the material (i), IF j, k means the impact factor of the substance (k) to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j).

지구온난화(GWP)는 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100년 기준의 영향지수에 근거하여 기준물질인 이산화탄소(CO₂)로 산출할 수 있다. 산성화(AP)는 지역적 특성 및 대기환경에 따라 상이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적용 가능한 형태로 제시된 CML 2002를 통해 기준물질인 이산화황(SO₂)으로 통합 가능하다. 부영양화(EP)도 산성화의 영향지수와 같이 CML 2002를 통해 기준물질인 인산염(

Figure pat00004
)으로 통합 가능하다. 오존층 파괴(ODP)는 WMO(World Metrological Organization)에서 제시한 영향지수에 근거하여 기준물질인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CFC-11)으로 산출할 수 있다.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POCP)도 CML 2002를 통해 기준물질인 에틸렌(Ethylene)으로 통합 가능하다. 자원고갈(ADP)도 CML 2002를 통해 기준물질인 안티몬(Sb)으로 산출할 수 있다. 6종의 환경영향 범주, 즉, 지구온난화, 산성화, 부영향화, 오존층파괴, 광화학적산화물 및 자원고갈에 대한 기준 물질(이산화탄소 등) 및 영향 지수(IF)의 일례는 하기 표 1과 같다.Global warming (GWP) can be calculated as carbon dioxide (CO2), which is the reference material, based on the 100-year impact index given in the IPCC Guidelines. Acidification (AP) is possible to integrate into reference sulfur dioxide (SO₂) through CML 2002, which is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tmospheric environment but applicable in all regions. Eutrophication (EP), like the index of acidification effect,
Figure pat00004
). The ozone depletion (ODP) can be calculated as trichlorofluoromethane (CFC-11), which is the reference material, based on the impact index provided by the World Metrological Organization (WMO). Photochemical oxide formation (POCP) can also be incorporated into the reference material, ethylene, via CML 2002. Resource depletion (ADP) can also be calculated from CML 2002 as antimony (Sb) as a reference material. Table 1 shows examples of six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global warming,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ozone depletion, photochemical oxide, reference materials (such as carbon dioxide), and impact index (IF).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한편, 수학식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영향물질의 배출량과 환경영향 범주별 영향지수를 곱한 후 이를 모두 합산하는 특성화를 통해 건축자재의 제1 환경영향계수를 정량적으로 산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구온난화의 기준물질인 CO2와 영향물질인 CFC-11, CFC-114, CFC-13의 영향지수는 각각 1.00E+00 kg-CO2/kg-CO2, 4.00E+03 kg-CO2/kg-CFC-11, 9.30E+03 kg-CO2/kg-CFC-114, 8.50E+03 kg-CO2/kg-CFC-13이며, 이를 레미콘(25-240-15)의 분류화 내역(4.20E+02 kg-CO2/m3, 2.05E-09 kg-CFC-11/m3, 2.10E-09 kg-CFC-114/m3, 4.40E-10 kg-CFC-12/m3)과 곱한 후 모두 합산하면 레미콘(25-240-15)에 대한 지구온난화의 원단위(4.09E+02 kg-CO2eq/m3)을 산출 할 수 있다.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국가 LCI DB(A) 또는 환경성 정보 국가 DB(B)를 데이터 소스(Source)로 하여 산출한 제1 환경영향계수(EIC1)의 일례는 하기 표 3과 같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Equation (1),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of the building material can be quantitatively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the influent substance by the influence index for each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For example, the influence index of CO 2 , the reference material of global warming, and the influential substances CFC-11, CFC-114 and CFC-13 are 1.00E + 00 kg-CO 2 / kg-CO 2 , 4.00E + 03 a kg-CO 2 / kg-CFC -11, 9.30E + 03 kg-CO 2 / kg-CFC-114, 8.50E + 03 kg-CO 2 / kg-CFC-13, this ready-mixed concrete (25-240-15 CFC-11 / m 3 , 2.10E-09 kg-CFC-114 / m 3 , 4.40E-10 kg-CO 2 / m 3 , 2.05E-09 kg- CFC-12 / m 3 ) and then summed together to calculate the global warming (4.09E + 02 kg-CO 2eq / m 3 ) for remicon (25-240-15). An example of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EIC1 calculated using the above-mentioned equation (1) as the data source as the above-mentioned national LCI DB (A) o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untry DB (B) same.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에너지원에 대한 제2 환경영향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원의 생산에 관련된 환경영향과 연소에 의한 환경영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에너지원의 생산단계에 대한 LCI DB로써 국가 LCI DB를 선정하고 건축 자재와 동일하게 LCI DB의 분류화 및 특성화를 통하여 제2 환경영향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calculate the second environmental impact factor for the energy source, the environmental impac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energy source and the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the combustion must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 national LCI DB can be selected as the LCI DB for the production stage of the energy source, and the second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by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LCI DB as the building material.

에너지원에 대한 제2 환경영향 계수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second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the energy source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여기서, EIC2i,j는 에너지원 (i)의 기능단위(FU)에 대한 환경영향 범주 (j)의 제2 환경영향 계수를 나타내며, PEi,k는 에너지원 (i)의 생산에 따른 기능단위당 영향물질 (k)의 배출량, IFj,k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환경영향 범주 (j)에 대한 영향물질 (k)의 영향지수, CEi,k는 에너지원 (i)의 연소에 따른 기능단위당 영향물질 (k)의 배출량을 나타낸다.Here, EIC2 i, j represents the second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j) for the functional unit (FU) of the energy source (i), PE i, k represents the function the combustion of the per unit affected material (k) emissions, IF j, k will impact on the environment impact category (j) as described in Table 1 material (k) impact factor, CE i, k is the energy source (i) of the (K) per functiona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국가 LCI DB(A) 또는 환경성 정보 국가 DB(B)를 데이터 소스(Source)로 하여 산출한 제2 환경영향 계수(EIC2)의 일례는 하기 표 4와 같다.An example of the second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EIC2 calculated us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 (2) using the above-mentioned national LCI DB (A) o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untry DB (B) as a data source is shown in Table 4 same.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위 표 4에서 지구온난화(GWP), 산성화(AP), 부영향화(EP), 오존층파괴(ODP), 광화학적산화물(POCP) 및 자원고갈(ADP)의 각 환경영향 범주별 환경영향 계수의 단위는 표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능단위 당 기준물질의 중량(kg)이다.In Table 4, the unit of environmental impact factor by each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of global warming (GWP), acidification (AP), epidermalization (EP), ozone layer destruction (ODP), photochemical oxide (POCP) and resource depletion (ADP) Is the weight (in kg) of the reference material per functional unit, as set forth in Table 3.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적어도 표 3에 도시된 건축 자재에 대한 기능 단위 당 단가, 즉, 가격을 자재 단가 계수로서 저장함과 아울러, 적어도 표 4에 도시된 에너지원에 대한 기능 단위 당 단가를 에너지원의 단위 단가로서 저장한다.The database unit 100 stores at least the unit price per functional unit of the building material shown in Table 3 as the material unit price coefficient and at least the unit price per functional unit for the energy source shown in Table 4 as energy And stores it as a unit price of a circle.

입력부(200)는, 복수개의 건축 자재별로 사전에 부여된 정보화 코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코드를 연산부(300)로 출력한다. 이때, 입력부(200)는, 정보화 코드를 건축도서 등의 정보 보유 매체로부터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정보화 코드는, 건축 자재의 종류 또는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음에 따라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 정보를 연산부(300)로 전달할 수 있으나 정보화 코드에 건축 자재의 종류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수량은 코드의 입력 횟수에 기인하여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200 receives an information code given in advance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outputs the input code to the operation unit 300. At this time, the input unit 200 can automatically acquire an information code from an information holding medium such as a building book,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information code may include a kind of construction material or quantity information. The input unit 200 can transmit the type and the quantity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to the operation unit 300 upon receipt of the codes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However, when the information code includes only the type of the building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grasp i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연산부(300)는, 입력부(200)로부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제공받고,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단위 중량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중량을 도출하며, 도출된 전체 중량을 자재 선택부(400)로 출력한다.The calculation unit 300 calculates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unit weight and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by receiving codes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200, And outputs the derived total weight to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또한, 연산부(300)는, 입력부(200)로부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제공받고,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단위 단가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비용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비용을 도출하며, 도출된 전체 비용을 자재 선택부(400)로 출력한다.The operation unit 300 receives a plurality of codes of the building material from the input unit 200 and calculates the total cos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unit price and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And outputs the total cost thus calculated to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

한편, 연산부(300)는,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투입량을 계산하고, 후술하는 수학식 3과 같이 건축 자재의 투입량에 제1 환경영향계수를 곱하여 환경 점수를 계산하며, 계산된 환경 점수를 자재 선택부(400)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lculation unit 300 calculates the input amoun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00, and calculates the first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to the input amount of the building material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3) And outputs the calculated environmental score to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The environment selection unit 400 receives the environment score,

자재 선택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선택부(400)는, 공동주택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한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주요 환경영향 범주(GWP, AP, EP, ODP, POCP, ADP)의 90~99%,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을 야기하는 공동주택 생산단계에서의 주요 건축자재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자재 선택부(400)는, 각 주요 환경영향 범주에 따라 선택된 건축자재의 합집합 또는 교집합에 해당하는 건축자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can select the major building materials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derived from the operation unit 300. [ For example,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selects 90 to 99% of the major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GWP, AP, EP, ODP, POCP, ADP)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on the apartment, Preferably,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the apartment house production stage which causes more than 95% can be derived. At this time,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may select a build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a union or an intersection of selected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each major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as a main building materi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자재 선택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선택부(400)는,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중량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95%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중량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can select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unit 300. [ For exampl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weight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 materials reaches 90 to 99%, the material selecting unit 400 preferably ,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weight when reaching 95% can be selected as the main building material.

한편, 자재 선택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재 선택부(400)는,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비용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95%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비용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can select the major building materials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unit 300. [ For exampl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cost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reaches 90 to 99%, the material selecting unit 400 preferably Can select the building material that is reflected in the cumulative cost when it reaches 95% as the main building material.

연산부(300) 및 자재 선택부(400)의 주요 건축 자재 도출 방식을 생산단계에 적용한 경우, 그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다. 여기서, 연산부(300) 및 자재 선택부(400)의 동작에 대하여, 편의상 건축자재가 건축물의 전과정 단계 동안 야기하는 내재 환경영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생산 단계에 국한하여 설명하나, 건설 단계, 운영 단계에서의 평가 결과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편의상 평가대상은 최근 국내에서 건설된 공동주택으로 설정하고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RC구조)로 한정한다.When the main building material deriving method of the calculating unit 300 and the material selecting unit 400 is applied to the production step, the concrete operation is as follows. Her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300 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is limited to a production stage in which the building material occupies 90% or more of the inherent environmental effects caused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building, ,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evaluation target is set as a recently built apartment house in Korea, and the structure is limited to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C structure).

먼저,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벽식구조 공동주택 2개(WS-1, WS-2), 라멘구조 공동주택 2개(RS-1, RS-2), 무량판구조 공동주택 2개(FS-1, FS-2)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Table 5 below, two wall-structured residential units (WS-1, WS-2), two ramen residential units (RS-1 and RS- 1, FS-2) can be selected as evaluation targets.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여기서 EIRj는 건축물의 환경영향 범주 (j)에 대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며, Qk는 건축자재 (k)의 수량, Uk는 건축자재 수량과 제1 환경영향계수 간의 단위환산계수, EIC1j,k는 건축자재 (k)의 환경영향 범주 (j)에 대한 제1 환경영향계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위환산계수는, 건축자재의 수량이 코드화되어 입력되는 경우에 제1 환경영향계수의 기능 단위와 대응되도록 조정하는 계수로서, 예를 들어 1ton의 시멘트가 입력되는 경우 kg의 기능 단위를 갖는 제1 환경영향계수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1000의 값을 갖는 단위환산계수가 상술한 수학식 3에 대입된다.The EIR j represen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j) of the structure, Q k is a building material (k) number, U k is a construction material quantity and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unit conversion factor between the coefficient, EIC1 j of, k represents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factor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j) of the building material (k). Here, the unit conversion coefficient is a coefficient that adjusts to correspond to the functional unit of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when the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is coded and inputted. For example, when 1 ton of cement is inputted, A unit conversion coefficient having a value of 1000 is substituted into the above-described equation (3)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하기 표 6은 연산부(300) 및 자재 선택부(400)에 의한 공동주택의 환경영향을 야기하는 주요 건축자재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연산부(300)에 의해 계산된 바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를 야기하는 상위 95%의 주요 건축자재는 레미콘, 철근, 콘크리트벽돌, 석고보드, 유리인 것으로 분석되고 WS, RS, FS에서 모두 레미콘의 환경영향 기여도는 약 80%인 것으로 도출된다. 산성화에서는 레미콘, 철근, 단열재, 석고보드, 콘크리트벽돌을 포함하는 5가지의 건축자재가 상위 95% 이상의 환경영향을 차지하고 부영양화에서는 레미콘, 철근, 석고보드, 콘크리트벽돌이 주요 건축자재로 도출된다. 한편, 오존층 파괴와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은 WS, RS, FS에서 모두 레미콘의 환경영향이 90%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고 레미콘과 철근의 환경영향만으로도 9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원 소모에서는 레미콘, 철근, 단열재, 유리, 콘크리트벽돌이 환경영향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WS, RS, FS에서 모두 환경영향 특성화값이 높고 상대적으로 투입량이 많은 레미콘이 모든 환경영향의 50% 이상을 기여하고 공동주택의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레미콘과 철근만으로도 80~95% 정도의 환경영향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자재 선택부(400)는, 6가지 주요 환경영향지수의 95% 이상을 종합적으로 야기하는 공동주택의 6가지 주요 건축자재로서 레미콘, 철근, 단열재, 콘크리트벽돌, 유리, 석고보드를 도출할 수 있다. Table 6 below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main building materials causing the environmental influence of the apartment house by the operation unit 300 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The top 95% of the major building materials causing global warming were analyzed as concrete, concrete, brick, gypsum board and glass a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300. In WS, RS and FS, Is about 80%. In acidification, five building materials including concrete, rebar, insulation, gypsum board, and concrete bricks account for more than 95% of environmental impacts. In eutrophication, concrete, concrete, reinforcing board, gypsum board and concrete bricks are the main building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ozone layer destruction and photochemical oxide production are analyzed to have more than 90% of environmental impacts of concrete in WS, RS, and FS, and more than 95% of environmental impacts of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alone are analyzed. In resource consumption, remicon, rebar, insulation, glass, and concrete brick account for more than 95% of environmental impacts. In concrete terms, concrete, which has a high environmental impact characterization value and a relatively high input amount, contributes more than 50% of all environmental impacts in WS, RS and FS, and 80 ~ 95% Environmental impacts are analyzed. Accordingly,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can be used to derive concrete, reinforcing materials, insulating materials, concrete bricks, glass, gypsum boards as six main building materials of a multi-family house which comprehensively causes more than 95% .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여기서, 표 6에서 사용된 단위는 %이며, M은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R은 철근(Rebar), I는 단열재(Insulation), C는 콘크리트 벽돌(Concrete brick), G는 유리(Glass), B는 석고 보드(Gypsum Board), O는 그 외 자재(Other materials)이다.Here, the unit used in Table 6 is%, M is Ready Mixed concrete, R is Rebar, I is Insulation, C is Concrete brick, G is Glass, B is a gypsum board, and O is other materials.

또한, 연산부(300) 및 자재 선택부(400)가 비용을 이용하여 건축자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공동주택에 대한 물량 산출서 기준의 직접 공사비를 참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300 and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select the building material by using the cost, 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based on the quantity calculation table for the apartment house.

즉, 직접공사비에 대한 주요 건축자재를 도출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물량산출서(BOQ)에 기재된 건축자재에 따라 조달청에서 공시한 2015년 하반기 시설공사(건축분야) 가격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공동주택 직접공사비에 대한 총 비용을 평가하고 누적기여도 9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건축자재를 도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derive the main building materials for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field) information of the second half of 2015 announced by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building material described in the BOQ of the apartment house. Also,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total cost of the direct housing construction cost using Equation (4) and to derive the main building material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95% of the cumulative contribution.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여기서, CR는 건축물의 직접공사비에 대한 평가결과를 나타내며, Qk는 건축자재 (k)의 수량, Uk는 건축자재의 수량과 직접공사비 단가간의 단위환산계수, CCk는 건축자재 (k)의 직접공사비에 대한 단가를 나타낸다.Here, CR indicates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direct construction of buildings, Q k is a building material (k) number, U k is a unit conversion factor, CC k between the direct cost price and quantity of building materials are building materials (k) The cost of direct construction cost.

그 결과, 하기 표 7와 같이 공동주택 직접공사비의 누적기여도 95% 이상을 차지하는 10가지 주요 건축자재로써 레미콘, 철근, 유리, 콘크리트벽돌, 단열재, 석고보드, 창호, 석재, 타일, 페인트가 도출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7, remicon, reinforcing bar, glass, concrete brick, thermal insulation material, gypsum board, window, stone, tile and paint are derived as ten major building materials which occupy more than 95% .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여기서, 연산부(300)는, 생산 단계 외에 건축물 전과정 단계별 시나리오에 따라 확장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ISO 21931-1에 따르면 건축물의 전과정 단계는 생산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단계로 구분되며, 생산단계를 제외한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단계에서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가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unit 300 may perform the extend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cenarios of the entire stage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 production stage. According to ISO 21931-1, the life cycle stages of a building are divided into production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and disposal stage. Scenario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t th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and disposal stage excluding the production stage are set .

먼저, 시공단계는 운송과정과 시공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운송과정은 건축물에 투입되는 건축자재를 시공현장까지 운송하는 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건축자재별로 주로 사용되는 운송차량의 종류의 일례로, 레미콘 수송에 레미콘 믹스트럭이 사용되고 철근과 형강 수송에 20ton 트럭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건축자재는 8ton 트럭이 사용될 수 있고 모든 건축자재는 30km 이내의 건축자재 업체에서 조달받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construction step can be divided into a transportation process and a construction process. The transport process assesse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ansporting building materials to the construction site. As an example of the types of transportation vehicles mainly used for building materials, a mixer truck is used for the transport of the remicon, and a 20ton truck is used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section steel. In addition, other building materials can be used for 8 ton trucks, and all building materials can be procured from construction materials companies within 30 km.

시공 과정은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장비의 사용과 현장사무소의 운영 등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시공과정의 에너지소비량 도출을 위해 지구별 예산내역서와 일위대가에 근거하여 공동주택 시공과정의 에너지소비량을 간접적으로 도출한 연구 자료(건축공종 29건, 토목공종 22건, 조경공종 22건, 전력소비량 36건)와 최근 준공된 공사현장(공동주택 5건)의 전력소비 실측량과 공사일보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건설장비의 에너지소비량은 공사일보에 명시된 장비 사용현황과 근로기준법의 일일 근로시간인 8시간을 적용하여 건설장비별 총 사용시간을 분석할 수 있고, 건축표준품셈의 건설장비별 연비를 적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하기 표 8은 연산부(300)에 의한 시나리오 기반 환경영향 평가에 사용되는 공동주택 시공과정의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낸다.The construction process evaluates the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the use of equipment and the operation of site offices 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n order to deriv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research data indirectly derived energy consumption of the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the budget statement of the district and the one large scale (29 architectural works, 22 civil works, 22 landscaping works, 36 cases) and the recently completed construction site (5 cases of apartment complexes). In particular,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analyzed by using the equipment usage status specified in the KORAIL daily report and the 8-hour working hours of the Labor Standards Act, so that the total usage time of each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analyzed. The energy consumption can be calculated. Table 8 below shows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apartment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used in the scenario-bas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the operation unit 300.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운영단계는 에너지의 사용과정과 유지관리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동주택의 운영단계에서 발생되는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수명(Service life)의 설정이 필요한데, 건축사업 초기단계에서 건축물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법인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 수명인 40년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The operation phase can be divided into energy use process and maintenance process. In ord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phase of the apartment complex, it is necessary to set the service life. In ord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buildings at the early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compare the results, The scenario can be constructed by applying the same legal life of 40 years.

또한, 유지관리과정에서는 건축물의 개보수를 위해 신규로 투입되는 건축자재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이에 주택법에서 제시하는 건축자재별 수선주기와 수선율에 기초한 환경영향 평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tenance process evaluates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new building materials for the renovation of building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thod based on the repair cycle and the water factor according to the building materials proposed by the Housing Act.

폐기 단계는, 건축물의 해체과정, 폐건축자재의 운송과정, 폐건축자재의 매립과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해체과정에서는 건축물의 해체작업에 투입되는 장비에 기인한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이때, 해체과정에서는 폐건축자재의 양이 산출되는데 폐건축자재의 양과 생산단계에서 투입된 건축자재의 수량이 동일하다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해체장비는 기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해체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ackhoe (1.0m3) + Giant Breaker (0.7m3)로 설정할 수 있다.The disposal step can be classified into a disassembly process of a building, a transportation process of a waste building material, and a landfill process of a waste building material.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environmental impact due to the equipment being put into the dismantling work of the building is evaluated. In this case, the quantity of the waste building material is calculated in the dismantling process, and the quantity of the waste building material and the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input in the production stage can be set to be the same. In addition, the dismantling equipment can be set as Backhoe (1.0 m 3 ) + Giant Breaker (0.7 m 3 ),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dismantl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운송 과정은, 발생된 폐기물을 처리장까지 운송하는 과정에서의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이때, 운송차량은 건설표준품셈에 따라 15ton 트럭을 적용하고, 운송거리는 시공단계의 운송과정과 동일하게 30km로 설정할 수 있다.The transport process assesse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ansporting the generated waste to the treatment plant. At this time, 15ton truck is applied to the transport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ndard, and the transportation distance can be set to 30km as the transportation process in the construction phase.

매립 과정에서는, 폐건축자재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영향을 평가한다. 폐건축자재 재활용과정의 환경영향은 재활용업체에서 부담하는 Cut-off method를 적용하고 재활용되지 못한 폐건축자재에 대한 매립과정에서의 환경영향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매립장비는 Dozer (D8N, 15 PL, 6 PL) + Compactor (32ton)로 설정할 수 있고 폐기물통계연감에 따라 건축자재별 폐기물 처리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의해, 레미콘은 70%가 재활용되고 30%가 매립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리는 80%가 재활용되고 20%는 매립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석고보드는 10%의 재활용이 이뤄지고 90%는 매립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철근, 형강은 모두 재활용되고 콘크리트벽돌과 단열재는 모두 매립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기 표 9는 연산부(300)에 설정된 해체 및 매립장비의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낸다.In the landfill process, the environmental impacts that occur during the landfill of waste building materials are assess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recycling process of waste building materials can be considered only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reclamation of waste building materials that are not recycled by applying the cut-off method that recycling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At this time, the landfill equipment can be set up as Dozer (D8N, 15 PL, 6 PL) + Compactor (32 t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on the waste disposal status by construct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 waste statistics yearbook, 70% Can be set to be embedded. Glass can be set to be 80% recycled and 20% reclaimed. Also, the gypsum board can be set to be recycled at 10% and reclaimed at 90%.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reinforcing bars and sections are recycled, and the concrete bricks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an be all buried. Table 9 below shows energy consumption of dismantling and buried equipment set in the operation unit 300. [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연산부(300)는, 시나리오 기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를 위하여 내 환경부에서 개발된 피해산정형 모델인 KOLID(KOrean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method based on a Damage oriented modeling)를 적용할 수 있다. KOLI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온난화, 산성화, 부영향화, 오존층파괴, 광화학적산화물, 자원고갈의 6가지 환경영향 범주를 통해 암, 감염증, 백내장, 영양부족, 토지유실, 농업생산 등 16가지 종말점에 대한 피해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이를 인체건강, 사회자산, 생물다양성, 1차 생산의 4가지 보호대상(Safety guard)으로 평가하며, 화폐가치로써 단일의 최종 평가결과를 도출한다. 이때, KOLID의 인체건강에서는 사망 또는 사망에 이르지 않는 장애와 질환의 기간(Year)을 의미하는 DALY를 피해지표로하고 사회자산은 농작물, 수산자원, 삼림자원, 광물자원, 화석연료 억제 및 고갈에 대한 경제적인 비용(원)을 피해지표로 한다. 또한, 생물다양성은 유관속식물과 수생생물의 멸종종수에 대한 기대치인 EINES를 피해지표로 평가하며, 1차 생산은 육상식물과 해양 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의 양(kg/m2ㅇyr)을 평가하는 NPP를 피해지표로 한다.The operation unit 300 can apply a damage assessment model (KOLID), which is a damage estimation model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for the scenario-based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shown in FIG. 2, KOLID has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such as global warming,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ozone layer destruction, photochemical oxides, and resource depletion. We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damage to the end point and evaluate it as four safety guards: human health, social assets, biodiversity, primary production, and derive a single final evaluation result as the monetary value. At this time, KOLID's human health is based on the DALY, which means the period of disability and disease that does not lead to death or death, and the social assets are agricultural land, fishery resources, forest resources, mineral resources, The economic cost (KRW) will be used as the index. In addition, biodiversity is assessed as an indicator of EINES, which is an expectation for the species extinction of vascular plants and aquatic organisms, and the primary production is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kg / m 2 y yr) due to photosynthesis of land plants and oceanic plankton The NPP to be evaluated is used as an index of damage.

연산부(300)는 하기 수학식 5에 따라 통합화 과정을 통해 시스템 전체의 환경영향을 산출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300 can calculat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entire system through the integration process according to Equation (5).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여기서 TI는 통합화를 통한 시스템 전체의 환경영향, Dk는 보호대상 k로 분류된 모든 목록항목들이 해당 보호대상에 미치는 영향크기, IFk는 보호대상 k의 통합화 계수, Loadi,j는 영향범주 i로 분류된 목록항목 j의 환경부하량, DFk,i,j는 영향범주 i로 분류된 목록항목 j가 보호대상 k에 미치는 피해계수, Ik는 보호대상 k의 환경영향을 나타낸다. Here, TI is the system-wide environmental impact through integration, Dk is the magnitude of impact of all list items classified as protected object k on the protected object, IFk is the integration coefficient of protected object k, and Loadi, j is classified as impact category i The environmental load of the list item j, DFk, i, j, is the damage coefficient of the list item j classified as the influence category i on the protected object k, and Ik represent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protected object k.

표 10은 환경영향 범주의 기준물질별 피해계수(DFk,i,j)를 나타내고, 표 11은 KOLID의 보호대상별 경제가치 비용(IFk)을 나타낸다.Table 10 shows the damage factors (DFk, i, j) by reference material of the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and Table 11 shows the economic value cost (IFk) by KOLID.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표 10 및 표 11에 제시된 값을 수학식 5에 적용해보면, 지구온난화 환경영향 범주에 대하여 보호대상인 인체 건강에 대한 피해 계수는 1.23ㅧ10-7 DALY/kg-CO2이고, 인체 건강에 대한 경제가치비용인 통합화 계수는 2.82E+7이므로, 피해 계수와 통합화 계수를 곱하여 도출된 인체 건강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 결과는 약 3.47원/kg-CO2이고, 지구온난화 환경영향 범주에 대하여 보호대상인 사회 자산에 대한 피해 계수는 2.72원/kg-CO2이며, 사회 자산에 대한 경제가치비용인 통합화 계수는 1.00E+0이므로, 피해계수와 통합화 계수를 곱하여 도출된 사회 자산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 결과는 2.72원/kg-CO2이 된다. 결국, 지구온난화 환경영향 범주에 대해서는 인체 건강 및 사회 자산이 보호 대상이므로 이를 더하여 6.19원/kg-CO2이 통합화를 위한 환경영향이 된다(도 2 참조).Applying the values given in Table 10 and Table 11 to Equation 5, the damage factor for the human health protected against the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is 1.23 ㅧ 10 -7 DALY / kg-CO 2 , Since the value of cost is 2.82E + 7, the resul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human health, which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amage factor by the integration coefficient, is about 3.47 won / kg-CO 2 . Since the damage factor for the asset is 2.72 Yuan / kg-CO 2 , and the integration coefficient, which is the economic value cost for social assets, is 1.00E + 0,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sult for the social assets derived by multiplying the damage factor and the integration coefficient is 2.72 yuan / kg-CO 2 . As a result, human health and social assets are protected against the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impact category, so 6.19 won / kg-CO 2 is an environmental impact for integration (see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a building's life cou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3, Respectively.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해 수행되는 건축자재의 종류와 수량 정보의 입력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건축자재별 정보화된 품목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축자재의 정보를 건축물 전과정 평가 프로그램 내에 입력부(200)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시킨다.In order to simplify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types of building materials and quantity information to be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building, an information item code for each building material is given and th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is inputted into the building life course evaluation program through the input unit 200 Input automatically.

자재 선택부(400)는, 자동으로 선택한 주요 건축 자재 목록, 예를 들면, 레미콘, 철근, 유리, 콘크리트 벽돌, 단열재 및 석고보드를 포함한 목록을 연산부(300)에 제공한다. 즉, 자재 선택부(400)는, 각각의 건축자재 품목코드별로 건축자재에 대한 단위 중량, 환경영향 원단위, 단가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데이터베이스부(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외기준 판단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건축물 전과정 평가의 대상이 되는 주요 건축자재를 자동으로 선정한다.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provides the arithmetic unit 300 with a list including a list of main building materials automatically selected, for example, concrete, reinforcing bars, glass, concrete bricks, thermal insulation and gypsum board. That is,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exclusion criter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100, which is a database of the unit weight, the environmental impact unit cost, and th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building material item code And automatically selects the major building materials that are subject to the evaluation of the building's life cycle.

이후에, 연산부(300)는, 상술한 전과정 시나리오의 생산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단계 및 폐기 단계에 사용되는 주요 건축 자재 및 에너지원을 각각 도출한다.Thereafter, the operation unit 300 derives major building materials and energy sources used in the production phase, construction phase, operation phase, and discard phase of the above-mentioned life course scenario.

선정된 주요 건축자재는 연산부(300)의 프로그램 내에 정의된 건축자재별 전과정 내재환경영향 평가 시나리오와 결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내재 환경영향 평가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주요 건축자재는 운영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를 대상으로 평가되고 6대 환경영향범주(지구온난화(GWP), 산성화(AP), 부영양화 (EP), 오존층영향(ODP), 자원소모(ADP), 광화학적산화물생성(POCP))에 관한 내재 환경영향 평가가 가능하다.The selected main building materials may be subjected to the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of the entir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n combination with the scenarios of the life course inhe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each building material defined in the program of the operation unit 300. At this time, All stages are assessed and assessed for the six major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global warming (GWP), acidification (AP), eutrophication (EP), ozone layer impact (ODP), resource consumption (ADP), photochemical oxide production The intrins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possible.

즉, 연산부(300)는, 시나리오에서 도출된 주요 건축 자재 및 에너지원에 관련된 피해 계수와 통합화 계수를 데이터베이스부(100)로부터 읽어들여 수학식 5에 의하여 통합화 환경영향 값을 도출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300 reads the damage coefficient and the integration coefficient related to the main building material and the energy source derived from the scenario from the database unit 100, and derives the integrated environment influence value according to Equation (5).

이후에, 연산부(300)는, 도출된 통합화 환경영향 값에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건축 자재에 관한 제1 환경영향계수 및 에너지원에 관한 제2 환경영향계수를 곱하여 기능 단위별 금액을 도출하고, 각각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 및 에너지원 소비량을 곱하여 환경영향 평가 결과, 즉, 환경영향 금액을 도출하게 된다.Thereafter, the operation unit 300 multiplies the derived integrated environmental influence value by the first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related to the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and the second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energy source,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sult, that is, the environmental impact amount, is derived by multiplying the input amount of the major building material and the energy source consumption amount, respectively.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레미콘에 관한 지구온난화 범주의 제1 환경영향계수가 표 3에 의하면 4.09E+02원kg-CO2/mㅃ이고, 지구온난화 범주의 통합화를 위한 환경영향을 계산한 결과가 상술한 바와 같이 6.19원/kg-CO2이므로 1mㅃ당 기능 단위별 금액은 409ㅧ9.16=2532원이고, 레미콘의 투입량이 10mㅃ라면 환경영향 금액은 25320원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환경 범주 및 모든 보호 대상에 대하여 행렬 방식으로 계산하면 전체 환경영향 금액이 도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of the global warming category related to the ready-mixed concret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is 4.09E + 02 kg-CO 2 / m 에 according to Table 3, and the environment for global warming category integration As the result of calculation of the effect is 6.19 Won / kg-CO 2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each functional unit per unit is 409 ㅧ 9.16 = 2532 Won, and if the amount of remicon is 10m 환경, the environmental impact amount is 25320 Won. In this way, all environmental categories and all protected objects can be calculated in a matrix manner, resulting in a total environmental impact amount.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을 도시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to 6 are operational flowcharts showing an automation method for building life course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s follows.

먼저, 입력부(200)를 통하여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다(S100).First,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ype and quantity of building material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00 (S100).

이후에, 연산부(300)는,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단위 중량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중량을 도출한다(S200).Thereafter, the operation unit 300 calculates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unit weigh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and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and derives a plurality of total weights (S200).

다음에, 자재 선택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한다(S300).Next,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selects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order of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for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unit 300 (S300).

한편, 연산부(300)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단가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비용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비용을 도출한다(S400).In operation S400, the calculation unit 300 calculates a total cos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using the unit price and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costs.

다음에 자재 선택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한다(S500).Next,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selects the main building material in the order of the total cost ratio of each building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derived from the operation unit 300 (S500).

한편, 연산부(300)는,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투입량을 계산하며,

Figure pat00020
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환경 점수를 계산하여 복수개의 환경 점수를 도출한다(S600).On the other hand, the calculation unit 300 calculates the input amoun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Figure pat00020
An environmental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building material to derive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S600).

다음에 자재 선택부(400)는, 연산부(300)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한다(S700).Next, the material selection unit 400 selects the major building materials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s of the respective building materials to the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derived from the operation unit 300 (S700).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The automate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life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or a magneto-optical disk).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100: 데이터베이스부
200: 입력부
300: 연산부
400: 자재 선택부
100:
200: Input unit
300:
400: Material selection unit

Claims (17)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중량을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중량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중량을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자재 선택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1.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using the input amoun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A database unit for storing unit weights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codes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and calculates a total weigh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weight and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weights; And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major building materials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중량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중량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weight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weight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selected by materials.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단가를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단가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비용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비용을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자재 선택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1.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using the input amoun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unit pric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 operation unit that receives codes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and calculates a total cos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price and a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costs; And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비용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비용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cost in the case where the ratio of the cumulative cost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selected by materials.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투입량 단위 당 환경영향계수를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투입량을 계산하며,
Figure pat00021

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환경 점수를 계산하여 복수개의 환경 점수를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자재 선택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1. An autom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life course of a building,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using the input amoun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A database unit that stores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s per unit of input amoun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calculating an input amoun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rom the input unit,
Figure pat00021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environmental scores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to derive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And
And a materi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s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derived from the operation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지구온난화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1 집합으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aid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a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global warming,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as the first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오존층 감소에 대한 오존층감소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2 집합으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is an ozone layer reduction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ozone layer reduction,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selected by the second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산성화에 대한 산성화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3 집합으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an acidification environmental influence coefficient for acidification,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as the third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부영양화에 대한 부영양화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4 집합으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an eutrophic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eutrophication,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selected as the fourth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자원고갈에 대한 자원고갈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5 집합으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a resource-depleting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resource depletion,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as the fifth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환경영향계수는, 광화학적 산화물 발생에 대한 광화학적산화물 환경영향계수이고,
상기 자재 선택부는,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한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누적한 누적 환경 점수의 비율이 90 ~ 99%에 도달하는 경우의 누적 환경 점수 내에 반영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 중 제6 집합으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 is a photochemical oxide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 for photochemical oxide generation,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the building material reflected in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when the ratio of the cumulative environmental score accumula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reaches 90 to 99% Automated equipment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as the sixth se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재 선택부는, 상기 제1 집합, 상기 제2 집합, 상기 제3 집합, 상기 제4 집합, 상기 제5 집합 및 상기 제6 집합의 합집합에 포함된 건축 자재를 주요 건축 자재로 선택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aterial selection unit selects a building material included in the union of the first set, the second set, the third set, the fourth set, the fifth set, and the sixth set as main building materials, Automated device for evalua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복수개의 주요 건축 자재에 대하여 생산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단계 및 폐기 단계에서 사용되는 투입량 및 에너지원 소비량을 계산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시나리오 기능은 생산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단계 및 폐기 단계 별로 미리 설정된 주요 건축 자재별 개보수율 및 투입되는 기준 건설 장비의 에너지 소비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량 및 소비량을 계산하는 기능인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unit has a scenario function for calculating an input amount and an energy source consumption used in a production step, a construction step, an operation step, and a discarding step for a plurality of major building materials, and the scenario function includes a production step, An automation device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which is a function to calculate the input quantity and the consumption quantity by using the repair rate of each major building material and the energy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construction equipment set in advance for each operational stage and disposal stage.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중량을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중량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중량을 도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중량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중량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
An autom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a building's life course,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building using the input amount of the major building material, including a database unit storing a unit weigh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s a result,
A first step of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weight and a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weights; And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weigh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weights derived in the second step.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단위 단가를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제4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위 단가 및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전체 비용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전체 비용을 도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전체 비용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전체 비용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life cycle which is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building using the input amoun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including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unit pric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the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s a result,
A fourth step of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A fifth step of calculating a total cost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a unit price and a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derive a plurality of total costs; And
And a sixth step of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total cost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total costs derived in the fifth step.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투입량 단위 당 환경영향계수를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주요 건축 자재의 투입량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전과정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 자재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복수개의 건축 자재의 코드를 입력받는 제7 단계;
각 건축 자재의 코드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투입량을 계산하며,
Figure pat00022

에 의해 각 건축 자재별로 환경 점수를 계산하여 복수개의 환경 점수를 도출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제8 단계에서 도출된 복수개의 환경 점수의 총합에 대하여 각 건축 자재 별 환경 점수의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주요 건축 자재를 선택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
And a database unit which stores environmental impact coefficients per unit of input amount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evaluates the building life cycle evaluation applied to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all buildings using the input amount of major building materials A method for automation,
A seventh step of receiving a code of a plurality of buil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building material;
The amount of each building material is calculated by the code of each building material,
Figure pat00022

An eighth step of deriv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by calculating an environmental score for each building material by the steps of: And
And a ninth step of selecting a major building material in descending order of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 score of each building material to the total sum of the plurality of environmental scores derived in the eighth step.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n automated method for building life course evalu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KR1020170000349A 2017-01-02 2017-01-02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KR101981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49A KR101981143B1 (en) 2017-01-02 2017-01-02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49A KR101981143B1 (en) 2017-01-02 2017-01-02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65A true KR20180079765A (en) 2018-07-11
KR101981143B1 KR101981143B1 (en) 2019-05-22

Family

ID=6291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349A KR101981143B1 (en) 2017-01-02 2017-01-02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4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64B1 (en) * 2020-02-07 2020-11-02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Method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pparatus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R102461497B1 (en) * 2021-11-19 2022-11-01 주식회사 공새로 Method and server for predicting or recommending construction material for construction process
KR102634668B1 (en) * 2023-05-10 2024-02-13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A building remodeling method to reduc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WO2024045094A1 (en) * 2022-08-31 2024-03-07 西门子股份公司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and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305A (en) * 2007-09-29 2009-04-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ssessment method of sustainable building life cycle
KR101184982B1 (en) * 2011-05-02 2012-10-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Evaluation method for optimum sustainable design of building by environmental load and economical efficiency
KR101390237B1 (en) 2013-07-22 2014-04-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Method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ing main material inventory
KR20160131642A (en) * 2015-05-08 2016-11-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System for construc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305A (en) * 2007-09-29 2009-04-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ssessment method of sustainable building life cycle
KR101184982B1 (en) * 2011-05-02 2012-10-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Evaluation method for optimum sustainable design of building by environmental load and economical efficiency
KR101390237B1 (en) 2013-07-22 2014-04-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Method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ing main material inventory
KR20160131642A (en) * 2015-05-08 2016-11-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System for construc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노승준 외 3인.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주요 건축자재의 환경영향 특성화값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13년 7월, 제29권, 제7호, pp.93~100. 1부. *
노승준 외 3인.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주요 건축자재의 환경영향 특성화값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13년 7월, 제29권, 제7호, pp.93~100.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64B1 (en) * 2020-02-07 2020-11-02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Method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pparatus for buil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R102461497B1 (en) * 2021-11-19 2022-11-01 주식회사 공새로 Method and server for predicting or recommending construction material for construction process
WO2024045094A1 (en) * 2022-08-31 2024-03-07 西门子股份公司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and device
KR102634668B1 (en) * 2023-05-10 2024-02-13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A building remodeling method to reduc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43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chez et al. A selective disassembl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pproach for adaptive reuse of building components
Umar et al.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use and recycling of construction & demolition waste management practices in Malaysia
Osmani et al. Current and emerging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status, trends and approaches
Lockrey et al. Concrete recycling life cycle flows and performance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in Hanoi
KR101981143B1 (en)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assess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KR1018141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life cycle sustainability assessment using probabilistic 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Marinković Life cycle assessment (LCA) aspects of concrete
Hendriks et al. Use of recycled materials in constructions
Arslan et al.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nagement in Turkey
Burchart-Korol et al.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assessment method of coal mines
da Silva Souza et al. Mapping and recycling proposal for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generated in the Brazilian Amazon
Wahlström et al.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nstruction products and materials–Assessment of release
Honarvar et al. Building circularity as a measure of sustainability in the old and modern architecture: A case study of architecture development in the hot and dry climate
Povetkin et al. Identifying and addressing latent causes of construction waste in infrastructure projects
Ding Embodied carbon i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demolition in buildings
Diemer et al. Waste management and circular economy in the french building and construction sector
Aidonis et al. An analytical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managing reverse supply chai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ragança et al. Perspectives of building sustainability assessment
Dziedzic et al. A framework for asset management planning in sustainable and resilient cities
Rheude et al. Residential demolition and waste management-An ecobalancing case study
Ayeratharasu Rajasekharan et al. Life cycle energy and carbon analysis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in India
Akhir Risk level of factors causing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throughout construction project life cycle
Saade et al. Methodological discussion and piloting of LCA-based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product stage assessment of Brazilian buildings
Cordrie et al. Regional demolition waste treatment capacity: a case stud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building selective deconstruction value chain’s stakeholders
Hanieh et al. Sustainability Model from Cradle-to-Gate: Residential Buildings in Palest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