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405A -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405A
KR20180079405A KR1020187015508A KR20187015508A KR20180079405A KR 20180079405 A KR20180079405 A KR 20180079405A KR 1020187015508 A KR1020187015508 A KR 1020187015508A KR 20187015508 A KR20187015508 A KR 20187015508A KR 20180079405 A KR20180079405 A KR 2018007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processor
end tim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메이 추이
하오웨이 왕
자후이 류
샹 저우
샤오펑 타오
빙산 후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7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 상에서의 이용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하나 이상의 보조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프로세서는 추가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개시내용은 대체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가된 보조형 액세스(licensed assisted access)(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에서의 중요한 쟁점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대한 (Wi-Fi 및 다른 운영자의 LAA 등의) 다른 액세스 메커니즘과 공정하게 경쟁하는 방법이다. 또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의 간섭은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에서 수반된다.
이하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개요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주어진다. 이하의 개요는 본 개시내용의 빠짐없이 철저한 개요가 아니며, 본 개시내용의 결정적인 부분 또는 중요한 부분 또는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요의 목적은 몇 가지 개념을 단순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일 뿐이며, 이후에 주어지는 더 상세한 설명의 서문으로서 역할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는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되고, 이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 이 프로세서는 추가로, 표시된 시작 시간 및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현재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은,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표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 이 방법은, 표시된 시작 시간 및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2차 캐리어 상의 현재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 상의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는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프로세서는 또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복수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고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 상의 통신 제어 방법은,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복수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고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이하의 도면들과 연계하여 주어지는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로서 표기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 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 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 상의 무선 통신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 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방법 및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evolved base station)의 개략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점유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상이한 캐리어들에 대해 결정된 이용 시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기지국이 캐리어의 결정된 이용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데이터 전송 시간을 보내기 위한 특별한 시그널링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 시간이 보내지는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캐리어를 선택하는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이 중첩되는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도면들이나 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요소들 및 피처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도면이나 실시예에서 설명된 요소 및 피처와 결합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 본 개시내용과 무관하거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컴포넌트 및 처리는 도면과 명세서에 도시 및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의 예가 간략하게 설명된다.
LAA의 설계 목표 중 하나는, LAA가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대한 다른 액세스 메커니즘과 공정하게 경쟁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다른 액세스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Wi-Fi, 다른 운영자의 LAA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목적은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의 공정한 경쟁을 더 보장하는 것이다. 도 23을 예로서 취하여, 동일한 운영자에 의해 eNB1, eNB2 및 eNB3이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3개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은 조밀한 배치의 경우에 큰 중첩 부분을 가지며, 중첩된 부분에는 Wi-Fi 액세스 포인트가 있다.
먼저, 소정 기간에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점유 상태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하며,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이 없고: 비인가 주파수 대역(2차 캐리어)에 대한 eNB1, eNB2, eNB3 및 Wi-Fi 액세스 포인트 경쟁이 없는 경우를 고려한다.
그 다음, 소정 기간에서 eNB1, eNB2, eNB3 및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점유 상태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하며,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이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도 16a와 도 16b를 비교함으로써,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이 있는 경우에 Wi-Fi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주파수 재사용이 있는 경우 LAA에 대한 기지국이 항상 채널을 점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16b의 eNB2가 대화전 청취(listen before talk)(LBT)를 수행할 때 채널이 점유되었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 eNB2는,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을 구현하는 방법에 의해,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기지국이 eNB2와 동일한 운영자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eNB2가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단 LAA에 대한 기지국이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고 나면, 기지국에 인접하고 동일한 운영자에 속하는 기지국은 주파수 재사용을 통해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따라서, (Wi-Fi 액세스 포인트, 또 다른 운영자의 기지국을 포함한)다른 액세스 메커니즘이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점유할 확률이 크게 감소될 수 있어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불공정 경쟁을 초래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LAA에 대한 상기 주파수 재사용에서의 불공정 경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제1 결정 유닛(111) 및 제어 유닛(113)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결정 유닛(111) 및 제어 유닛(113)은 도 1에서 기능 모듈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결정 유닛(111) 및 제어 유닛(113)의 기능은 또한, 전체적으로 프로세서(110)에 의해 구현되며, 반드시 프로세서(110) 내의 별개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프로세서(110)가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정 유닛(111) 및 제어 유닛(113)의 기능은 복수의 프로세서에 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들은 복수의 프로세서의 협력적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결정 유닛(111)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113)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제1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1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2차 캐리어(2차 셀(SCell)이라고도 함)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시간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eNB가 종료 시간에서 데이터 전송을 종료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대해 공정하게 경쟁하기 위해, 다른 액세스 메커니즘(예를 들어, Wi-Fi, LAA에 대한 다른 동작들의 기지국)을 위한 기간이 예약된다.
예를 들어,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기지국들이 (도 16c에 도시된 t1 및 t2 등의)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는 것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다른 액세스 메커니즘들(예를 들어, Wi-Fi, LAA에 대한 다른 운영자들의 기지국)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점유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정 유닛(111)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에서 LBT를 수행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의 최대 점유 시간을 결정하고, 최대 점유 시간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제1 결정 유닛(111)은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LTE 프레임을 한 주기로 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정 유닛(111)은 현재 기지국이 2차 캐리어 중 하나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제1 결정 유닛(111)은 2차 캐리어에 대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이 결정되는 경우, 제어 유닛(113)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제1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재의 기지국이 2차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2차 캐리어에 대응하는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이 결정되는 경우, 제어 유닛(113)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이 결정된 후 2차 캐리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다른 기지국들에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선택된 한 기지국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및 도면들에서, 전술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은 eNB 헤드라 지칭될 수 있다. eNB 헤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특정한 실시예와 연계하여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그 다음,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가 간략하게 설명된다.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동일한 운영자의 eNB들은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로서 정의된다. 하나의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는 하나의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동일한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 내의 eNB들은, 상기 제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7은 소정 시간의 소정 지역에서의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의 개략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특별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표시 정보는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MBSFN)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이하, 전술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그널링의 예시적인 구성이 설명된다.
시그널링은 eNB 헤드에 의해 구성되고 전송될 수 있다. eNB 헤드는 지역에 대해 구성된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LBT 검출을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LTE 프레임 주기에서) 수행할 수 있고, LBT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모든 비인가 주파수 대역들의 최대 점유 시간(최대 점유 시간의 양은 LBT 검출에서 파라미터 q에 관련된다)을 획득할 수 있다. eNB 헤드는 최대 점유 시간에 기초하여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지역 내의 eNB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은, 캐리어 1 내지 캐리어 32에 대해 eNB 헤드에 의해 주기적으로 (10ms의 주기로) 획득되는 최대 점유 시간을 도시하며, 여기서, 기간 내에서 캐리어에 대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각각 t11, t12, t21, t22 ...로 표현된다.
eNB 헤드는 시그널링을 통해 지역 내의 다른 eNB들에 상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포맷은 예를 들어 하기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예시적인 시그널링 포맷
eNB 헤드는 특별 서브프레임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eNB들은 LBT 검출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고, 후속 데이터 전송은, eNB 헤드로부터 전송된 수신 시그널링에서 구성된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도 19는, 캐리어 1을 예로서 취하여, 기지국이 eNB 헤드에 의해 표시된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 헤드에 의해 전송된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소정 시간에서 캐리어 1에서 동작하는 eNB1은 현재 시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지속시간이 t11부터 t12까지라는 것을 획득하고, LBT 검출을 완료한 후 eNB1이 채널을 점유하기 시작하는 시간은 t0이며, 여기서, t11 < t0 < t12이다. 그 다음, eNB1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지속시간은 t0부터 t12까지이다, 즉, 데이터 전송은 t12에서 종료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는 목적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 대한 다른 액세스 메커니즘(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LAA의 다른 운영자들의 기지국들)과의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것이다.
제5항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슬롯의 길이는 11개 또는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벌이다.
그 다음,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특별 서브프레임의 구성 예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 헤드는, 특별 서브프레임에 대해 11개 또는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벌 등의, 비교적 긴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슬롯(DwPTS)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eNB들은, 7개 내지 10개의 OFDM 심벌 등의 긴 보호 기간(guard period)(GP)을 구성할 수 있다. eNB 헤드는 긴 DwPTS에서 시그널링(도 20에서 비스듬한 음영 라인으로 표시된 부분)을 전송하는 반면, 다른 eNB들은 GP들에 있으므로,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시그널링은 또한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링 C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한 양태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한 예와 연계하여 전술되어,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에서의 불공정 경쟁 문제를 주로 해결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실시예는, 기지국이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캐리어의 이용을 합리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210)는, 제1 결정 유닛(211), 제어 유닛(213), 파싱 유닛(215) 및 제2 결정 유닛(217)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211) 및 제어 유닛(213)의 구성은, 전술된 제1 결정 유닛(111) 및 제어 유닛(113)의 구성과 유사하며, 여기서는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파싱 유닛(215)은,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2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제2 표시 정보는, 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2차 캐리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제2 결정 유닛(217)은,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제2 표시 정보 및 2차 캐리어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결정 유닛(217)은 또한,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의 결정된 개수 및 기준 개수에 기초하여,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2차 캐리어를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기준 개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싱 유닛(215)은 또한, MME로부터의 제3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3 표시 정보는 각각의 2차 캐리어의 기지국들의 기준 개수를 표시한다. MME 측의 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추후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준 개수는 각각의 2차 캐리어의 이력 부하 및 간섭 상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적다면 간섭은 미리결정된 레벨보다 낮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2차 캐리어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추가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또 다른 기지국에게,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2차 캐리어를 통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213)은 제4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표시 정보는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2차 캐리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4 표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 다음,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캐리어를 이용하기로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식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소정 간섭이 LAA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에 도입될 수 있다. 비인가 주파수 대역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고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2차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eNB의 수(즉,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eNB의 수)는, eNB들 사이의 정보 상호작용을 통해 적절한 수준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eNB들 사이의 간섭은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됨으로써,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한다.
도 22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2의 eNB(2201)는 eNB(2201)에 의해 구성된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2차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다른 eNB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eNB는 캐리어 1에 의해 운반되고 1개의 eNB는 캐리어 2에 의해 운반된다. 이 경우에, 도 22의 eNB(2201)가 캐리어 2에 대응하는 2차 캐리어를 활성하기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캐리어 2 상에서의 동일한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eNB들의 개수가 적고, 간섭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그 다음, 전술된 제2 표시 정보(또는 제4 표시 정보) 및 제3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그널링 구성의 한 예가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그널링은 시그널링 A라고 지칭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그널링은 시그널링 B라고 지칭된다.
운영자의 배치에 기초하여, 시그널링 A는 소정 지역에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eNB들 사이에서 상호작용될 수 있다. 시그널링 A는, 현재의 eNB에 의해 활성화되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2차 캐리어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시그널링 B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에 의해 eNB에 전송될 수 있다. 시그널링 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2차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eNB들의 최대 수를 포함한다. eNB들의 최대 개수는, 각각의 2차 캐리어의 이력 부하 및 간섭 상황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각각의 eNB는 시그널링 A 및 시그널링 B에 기초하여 표 2에 도시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에 도시된 목록에 기초하여, 각각의 eNB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2차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eNB의 최대 개수, 및 현재의 eNB에 인접하고 2차 캐리어를 활성화한 eNB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정보는,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동일 주파수 간섭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eNB가 2차 캐리어를 활성화하기로 선택하기 위한 참조 정보로서 역할할 수 있다.
도 22의 eNB(2201)를 예로서 취하여, 4개의 eNB가 2차 캐리어를 활성화한 동안 캐리어 1에 대응하는 2차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eNB들의 최대 개수는 4이고, 단 하나의 eNB만이 2차 캐리어를 활성화한 동안 캐리어 2에 대응하는 2차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eNB들의 최대 개수는 4라는 것을 표 2로부터 알 수 있다. 명백하게, 캐리어 2에 대응하는 2차 캐리어는 더 작은 동일 주파수 간섭을 갖는다. 따라서, eNB(2201)는 캐리어 2에 대응하는 2차 캐리어를 활성화하고 LBT 검출을 수행하기로 선택함으로써,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할 수 있다.
명백하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일부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도 역시 개시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이 전술된 상세사항을 반복하지 않고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310)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제1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된 eNB 헤드로서 선택된 기지국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또한, eNB 헤드 이외의 기지국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한 실시예가 전술된 상세사항을 반복하지 않고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파싱 유닛(411) 및 제어 유닛(41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파싱 유닛(411)은,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제1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
제어 유닛(413)은,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표시된 시작 시간 및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끔 현재의 기지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정보는 특별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eNB 헤드는, 특별 서브프레임에 대해 11개 또는 12개의 OFDM 심벌 등의, 상대적으로 긴 DwPTS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도록 7개 내지 10개의 OFDM 심벌 등의, 긴 보호 기간(GP)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도 21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는 또한, 기지국이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캐리어의 합리적인 이용을 선택함으로써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0)는, 파싱 유닛(511), 제어 유닛(513) 및 결정 유닛(515)을 포함한다. 파싱 유닛(511) 및 제어 유닛(513)의 구성 중 일부는, 전술된 파싱 유닛(411) 및 제어 유닛(413)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파싱 유닛(511)은 또한,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2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제2 표시 정보는, 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2차 캐리어를 표시한다.
결정 유닛(515)은,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제2 표시 정보 및 2차 캐리어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유닛(515)은,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결정된 개수 및 기준 개수에 기초하여 2차 캐리어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기준 개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싱 유닛(511)은 또한, MME로부터의 제3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제3 표시 정보는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기준 개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3 표시 정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2차 캐리어의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추가하여,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된 2차 캐리어를 또 다른 기지국에 통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513)은 또한, 제4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표시 정보는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2차 캐리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제2 표시 정보 및 제4 표시 정보는 각각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고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eNB 헤드 이외의 기지국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은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 표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S610)를 포함한다. 제1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표시된 시작 시간 및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현재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S620)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eNB 헤드로서 역할하는 기지국을 명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결정 유닛(711) 및 명시 유닛(713)를 포함한다.
결정 유닛(711)은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결정 유닛(711)은,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캐리어)에서 동작하는 eNB들을 주파수 재사용 클러스터로서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명시 유닛(713)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에서의 전술된 복수의 기지국 각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는 전술된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고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시 유닛(713)은 복수의 기지국의 위치 및/또는 트래픽 부하에 기초하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eNB 헤드)을 명시할 수 있다.
eNB 헤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식이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시된 지역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eNB는 그 지역의 eNB 헤드로 취해지거나, 대안으로서 그 지역에서 큰 전송 전력을 갖는 eNB가 그 지역의 eNB 헤드로서 취해질 수 있다. 또한, eNB 헤드는 소정 기간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기초하여 반-정적(semi-static) 방식으로 서비스 게이트웨이(S-GW) 또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GW)에 의해 명시될 수 있으며, 큰 데이터 트래픽(빈번한 LBT 검출)을 갖는 eNB가 지역 내의 eNB 헤드로서 선택된다. 게다가, eNB 헤드는 또한, 상기의 방식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명시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또한, 기지국이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캐리어의 합리적인 이용을 선택함으로써,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을 달성하는 양태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MME 측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8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결정 유닛(811), 명시 유닛(813) 및 제어 유닛(815)을 포함한다. 결정 유닛(811) 및 명시 유닛(813)의 구성들의 일부는 전술된 결정 유닛(711) 및 명시 유닛(713)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결정 유닛(811)은 또한, 각각의 2차 캐리어를 이용하여 기지국들의 기준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유닛(815)은 기준 개수에 관한 정보를 MME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결정 유닛(811)은, 기지국들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 간섭이 미리결정된 레벨보다 낮도록 각각의 2차 캐리어의 이력 부하 및 간섭 상황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기준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MME 측을 위한 통신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S910에서,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이 결정된다. 단계 S920에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복수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가 명시되고 통보된다.
나아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또한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결정 디바이스(1010) 및 제어 디바이스(1020)를 포함한다.
결정 디바이스(1010)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디바이스(1020)는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파싱 디바이스(1110)와 제어 디바이스(1120)를 포함한다.
파싱 디바이스(1110)는,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 제어 디바이스(1120)는,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표시된 시작 시간 및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끔 현재의 기지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결정 디바이스(1210) 및 명시 디바이스(1220)를 포함한다.
결정 디바이스(1210)는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명시 디바이스(1220)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복수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고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들의 단계들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모듈들 및/또는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들과 모듈들 및/또는 유닛들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들은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용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컴퓨터(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범용 컴퓨터(1300))에 설치된다. 컴퓨터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3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301)는, ROM(read only memory)(13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섹션(1308)으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3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CPU(1301)의 다양한 처리에 요구되는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RAM(1303)에 저장될 수 있다. CPU(1301), ROM(1302), 및 RAM(1303)은 버스(1304)를 통해 서로 링크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305)도 역시 버스(1304)에 링크된다.
다음과 같은 컴포넌트들: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한) 입력 섹션(1306),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 출력 섹션(1307),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한) 저장 섹션(1308), 및 (LAN 카드, 모뎀 등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을 포함한) 통신 섹션(1309)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305)에 링크된다. 통신 섹션(1309)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드라이버(1310)는 또한, 필요하다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305)에 링크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드라이버(1310)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 등의 이동식 매체(1311)가 설치되어, 거기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 섹션(1308)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전술된 일련의 처리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형성하는 프로그램들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이동식 매체(1311) 등의 메모리 매체로부터 설치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도 13에 도시된 이동식 매체(1311)로 제한되지 않으며,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와는 별개로 배포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동식 매체(1311)는, 예를 들어, (floppy disc(등록 상표)를 포함한)자기 디스크, (CD-ROM 및 DVD를 포함한)콤팩트 디스크, (MD(mini disc)(등록 상표)를 포함한)광 자기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1302) 및 저장 섹션(1308)에 포함된 하드 디스크일 수 있고, 이들이 포함된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자에게 배포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머신 판독가능한 명령어 코드를 저장한 프로그램 제품이 더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명령어 코드가 머신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에서는, 머신-판독가능한 명령 코드가 저장된 전술된 프로그램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저장 매체도 역시 포함된다.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련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기지국 측 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매크로 eNB 및 소형 eNB 등의, 임의의 유형의 진화된 노드 B(eNB)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형 eNB는, 피코 셀 eNB, 마이크로 eNB 및 패밀리(펨토) eNB 등의,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범위를 갖는 셀의 eNB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NodeB 및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등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지국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엔티티(기지국 디바이스라고도 함), 및 이 엔티티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RR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다양한 유형의 단말기들은 기지국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 측 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패널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등의) 온보드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웨이퍼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 등의) 상기 단말기들 각각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관한 응용 예들]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폰(25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 폰(2500)은: 프로세서(2501), 메모리(2502), 스토리지(25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2504), 카메라(2506), 센서(2507), 마이크로폰(2508), 입력 장치(2509), 디스플레이 장치(2510), 스피커(25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2515), 하나 이상의 안테나(2516), 버스(2517), 배터리(2518), 및 보조 제어기(25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5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일 수 있고, 스마트 폰(25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추가적인 계층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5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25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25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2504)란,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부 디바이스를 스마트 폰(25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카메라(2506)는, (전하 결합 디바이스(CCD) 및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포착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센서(2507)는, 측정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508)은 스마트 폰(2500)에 입력된 음성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장치(25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5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턴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5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 폰(2500)의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2511)는 스마트 폰(2500)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LTE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예를 들어, 기저대역(BB) 프로세서(2513) 및 무선 주파수(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2513)는, 예를 들어,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RF 회로(251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5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또한, BB 프로세서(2513) 및 RF 회로(2514)가 통합된 칩 모듈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복수의 BB 프로세서(2513) 및 복수의 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2513) 및 복수의 RF 회로(251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2513) 또는 단일의 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방식 등의 추가적인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BB 프로세서(2513) 및 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2515)들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에 포함된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에 대한 회로들 등의) 복수의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2516)의 접속 목적지를 스위칭한다.
안테나(2516)들 각각은,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 등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2500)는 복수의 안테나(25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스마트 폰(2500)이 복수의 안테나(251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스마트 폰(2500)은 단일의 안테나(25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2500)은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들에 대한 안테나(25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2515)는 스마트 폰(2500)의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1), 메모리(2502), 스토리지(25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2504), 카메라(2506), 센서(2507), 마이크로폰(2508), 입력 장치(2509), 디스플레이 장치(2510), 스피커(25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 및 보조 제어기(2519)는 버스(2517)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배터리(2518)는 급전 라인을 통해 도 13에 도시된 스마트 폰(2500)의 모듈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급전 라인은 도 14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조 제어기(2519)는 휴면 모드에서 스마트 폰(2500)의 최소한의 필요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스마트 폰(2500)에서, 사용자 장비의 송수신 유닛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기능 유닛들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2501) 및 보조 제어기(25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제어기(2519)는 프로세서(2501)의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배터리(2518)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1) 또는 보조 제어기(2519)는, 메모리(2502) 또는 스토리지(25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장비의 기능 유닛들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에 관한 응용 예들]
도 1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23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310) 및 기지국 디바이스(2320)를 포함한다. 기지국 디바이스(2320)는 무선 주파수(RF) 케이블을 통해 안테나(2310)들 각각에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2310)들 각각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 등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기지국 디바이스(2320)가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300)는 복수의 안테나(2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2310)는 eNB(230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5는 eNB(2300)가 복수의 안테나(2310)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eNB(2300)는, 단일의 안테나(23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2320)는, 제어기(2321), 메모리(2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를 포함한다.
제어기(23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일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2320)의 상위 계층의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기(23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팩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팩키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를 통해 전달한다. 제어기(2321)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하여 번들링된 팩키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링된 팩키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2321)는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 무선 베어러 제어, 이동성 관리, 허용 제어 및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어는 근처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연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23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2321)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및 (단말기 목록, 전송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의) 다양한 유형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는, 기지국 디바이스(2320)를 코어 네트워크(23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기(23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eNB(2300)는 (S1 인터페이스 및 X2 인터페이스 등의) 논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나 또 다른 eNB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비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안테나(2310)를 통해 eNB(2300)의 셀에 위치한 단말기로의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2326) 및 RF 회로(2327)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2326)는, 예를 들어,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고, (L1, 매체 액세스 제어(MAC), 무선 링크 제어(RLC),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등의) 다양한 유형의 계층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기(2321) 대신에, BB 프로세서(2326)는 상기 논리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BB 프로세서(23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BB 프로세서(2326)의 기능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디바이스(2320)의 슬롯에 삽입된 카드 또는 블레이드(blade)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모듈은 카드 또는 블레이드 상에 장착된 칩일 수 있다. 한편, RF 회로(2327)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3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복수의 BB 프로세서(23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BB 프로세서(2326)는, eNB(2300)에 의해 이용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복수의 RF 회로(23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232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와 호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2326) 및 복수의 RF 회로(2327)를 포함하는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2326) 또는 단일의 RF 회로(232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eNB(2300)에서, 기지국 측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의 송수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유닛들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또한 제어기(23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321)는 메모리(232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유닛들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에서, 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및/또는 예시된 피처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되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피처들과 결합되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피처들을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이란, 피처, 요소,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말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피처, 요소,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들 및 예들에서, 숫자로 된 참조 번호는 다양한 단계 및/또는 유닛들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설명 및 도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참조 번호가 이용되며, 어떤 식으로든 순서나 제한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방법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시간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시간 순서에 따라 병렬로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이 상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해 개시되었지만, 전술된 모든 실시예 및 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본 개시내용에 관한 다양한 변경, 개선 또는 균등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 개선 또는 균등물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드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30)

  1.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관한 제1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2차 캐리어의 최대 점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 상에서 대화전 청취(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고, 상기 최대 점유 시간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각각 상기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은 주기적으로 결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이 상기 2차 캐리어들 중 하나 상에서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2차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이 결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슬롯(downlink pilot timeslot)의 길이는 11개 또는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벌(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mbol)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2 표시 정보를 파싱하고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상기 2차 캐리어를 표시함 -;
    상기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상기 제2 표시 정보 및 상기 2차 캐리어에 기초하여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결정된 개수 및 기준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상기 2차 캐리어를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제3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상기 기준 개수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4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상기 2차 캐리어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 및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각각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고 전송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에 관한 제1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 표시 정보를 파싱하고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함 -;
    상기 2차 캐리어 상의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상기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상기 표시된 시작 시간 및 상기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끔 현재의 기지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특별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 내의 보호 기간의 길이는 7개 또는 10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심벌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2 표시 정보를 파싱하고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상기 2차 캐리어를 표시함 -;
    상기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상기 제2 표시 정보 및 상기 2차 캐리어에 기초하여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상기 결정된 개수 및 기준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2차 캐리어를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부터의 제3 표시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상기 기준 개수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4 표시 정보를 또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의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상기 2차 캐리어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 및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각각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고 전송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5. 기지국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 표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표시함 -;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료 시간이 상기 표시된 종료 시간보다 늦지 않도록, 상기 표시된 시작 시간 및 상기 표시된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2차 캐리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끔 현재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결정하고;
    상기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고 통보하도록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위치 및/또는 트래픽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시간 및 상기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을 명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을 이용하는 기지국들의 기준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개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들의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 간섭이 미리결정된 레벨보다 낮도록 상기 2차 캐리어들 각각의 이력 부하 및 간섭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0. 이동성 관리 엔티티 측을 위한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동일한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 상의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를 명시하고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187015508A 2015-11-05 2016-10-31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80079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745705.0 2015-11-05
CN201510745705.0A CN106686726B (zh) 2015-11-05 2015-11-05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PCT/CN2016/104024 WO2017076254A1 (zh) 2015-11-05 2016-10-31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405A true KR20180079405A (ko) 2018-07-10

Family

ID=5866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508A KR20180079405A (ko) 2015-11-05 2016-10-31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5728B2 (ko)
EP (1) EP3370465A4 (ko)
KR (1) KR20180079405A (ko)
CN (1) CN106686726B (ko)
RU (1) RU2733215C2 (ko)
WO (1) WO2017076254A1 (ko)
ZA (1) ZA2018037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7458A (zh) * 2017-05-26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数据的方法和通信设备
CN109219151A (zh) * 2017-06-29 2019-01-15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11431683A (zh) * 2019-01-10 2020-07-17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9609B2 (en) * 2003-07-31 2006-07-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CN1913563B (zh) * 2006-08-25 2010-06-23 清华大学 一种数字广播网和宽带无线接入网的融合方法
US8934909B2 (en) * 2010-05-19 2015-0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ffloading to unlicensed bands
EP2732582B1 (en) * 2011-07-14 2016-12-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a flexible time sharing scheme on an unlicensed band of a system
US9031017B2 (en) * 2012-06-21 2015-05-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wer control for LTE deployment in unlicensed band
US9184886B2 (en) 2012-08-10 2015-11-10 Blackberry Limited TD LTE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n unlicensed bands
US9674825B2 (en) * 2013-07-17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LTE channel access over unlicensed bands
US10356623B2 (en) 2013-09-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US9825748B2 (en) * 2014-02-03 2017-11-21 Apple Inc. Offloading and reselection policies and rules for mobile devices
US9867070B2 (en) * 2014-02-26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fo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WO2016120172A1 (en) * 2015-01-30 2016-08-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urst slot numbering for licensed assisted access
KR102080982B1 (ko) * 2015-02-06 2020-02-24 애플 인크. 비면허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시분할 lte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717686B (zh) * 2015-03-31 2018-11-30 深圳酷派技术有限公司 一种未授权频段的信道检测方法及网元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0465A1 (en) 2018-09-05
CN106686726A (zh) 2017-05-17
RU2018120529A3 (ko) 2020-05-27
US20180310337A1 (en) 2018-10-25
WO2017076254A1 (zh) 2017-05-11
ZA201803702B (en) 2018-11-28
RU2018120529A (ru) 2019-12-06
EP3370465A4 (en) 2018-10-10
US10645728B2 (en) 2020-05-05
RU2733215C2 (ru) 2020-09-30
CN106686726B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4849B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1382097B2 (en)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467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709739A1 (en) Electronic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801098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스펙트럼 관리 디바이스
US11664944B2 (en) Electronic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covery reference signal operations
EP3713145B1 (en) Electronic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80129761A (ko) 전자 디바이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90022672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US20220295374A1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365150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80079405A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EP4243536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667976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10547014A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20220061054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